KR20070082729A - 은 콜로이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은 콜로이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82729A KR20070082729A KR1020060015719A KR20060015719A KR20070082729A KR 20070082729 A KR20070082729 A KR 20070082729A KR 1020060015719 A KR1020060015719 A KR 1020060015719A KR 20060015719 A KR20060015719 A KR 20060015719A KR 20070082729 A KR20070082729 A KR 200700827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lver
- solution
- colloid
- water
- cellulose
- Prior art date
Links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4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3
- 239000000084 colloidal system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8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0
- NDVLTYZPCACLMA-UHFFFAOYSA-N silver oxide Chemical compound [O-2].[Ag+].[Ag+] NDVLTYZPCACLMA-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SQGYOTSLMSWVJD-UHFFFAOYSA-N silver(1+) nitrate Chemical compound [Ag+].[O-]N(=O)=O SQGYOTSLMSWVJD-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29910001923 silver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VHUUQVKOLVNVRT-UHFFFAOYSA-N Ammon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NH4+].[OH-] VHUUQVKOLVNVRT-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0908 ammonium hydroxid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29910001961 silver nitr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1 silver 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NGBNXJUWQPLNGM-UHFFFAOYSA-N silver;azane Chemical compound N.[Ag+] NGBNXJUWQPLNGM-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93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3
- GRYLNZFGIOXLOG-UHFFFAOYSA-N N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N+]([O-])=O GRYLNZFGIOXLOG-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29910017604 nitric acid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29920000663 Hydroxy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KWYUFKZDYYNOTN-UHFFFAOYSA-M Potass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K+] KWYUFKZDYYNOTN-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9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8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354 Hydroxy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9447 hydroxy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CDBYLPFSWZWCQE-UHFFFAOYSA-L Sod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Na+].[O-]C([O-])=O CDBYLPFSWZWCQE-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1768 carboxy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2134 Carboxy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3170 water-soluble synthetic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3171 Poly (ethylene ox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WCUXLLCKKVVCTQ-UHFFFAOYSA-M Potass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K+] WCUXLLCKKVVCTQ-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945 an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093 cat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1866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3088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0979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UFVKGYZPFZQRLF-UHFFFAOYSA-N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Chemical compound OC1C(O)C(OC)OC(CO)C1OC1C(O)C(O)C(OC2C(C(O)C(OC3C(C(O)C(O)C(CO)O3)O)C(CO)O2)O)C(CO)O1 UFVKGYZPFZQRL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736 non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BWHMMNNQKKPAPP-UHFFFAOYSA-L potass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K+].[K+].[O-]C([O-])=O BWHMMNNQKKPAPP-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DPXJVFZANSGRMM-UHFFFAOYSA-N acetic acid;2,3,4,5,6-pentahydroxyhexanal;sodium Chemical compound [Na].CC(O)=O.OCC(O)C(O)C(O)C(O)C=O DPXJVFZANSGRM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AXCZMVOFGPJBDE-UHFFFAOYSA-L calcium di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Ca+2] AXCZMVOFGPJBDE-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920 calcium hydr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1861 calcium hydr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0029 sod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9812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027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IIZPXYDJLKNOIY-JXPKJXOSSA-N 1-palmitoyl-2-arachidonoyl-sn-glycero-3-phosphocholi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O)OC[C@H](COP([O-])(=O)OCC[N+](C)(C)C)OC(=O)CCC\C=C/C\C=C/C\C=C/C\C=C/CCCCC IIZPXYDJLKNOIY-JXPKJXOS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5018 case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BECPQYXYKAMYBN-UHFFFAOYSA-N casein, tech. Chemical compound NCCCCC(C(O)=O)N=C(O)C(CC(O)=O)N=C(O)C(CCC(O)=N)N=C(O)C(CC(C)C)N=C(O)C(CCC(O)=O)N=C(O)C(CC(O)=O)N=C(O)C(CCC(O)=O)N=C(O)C(C(C)O)N=C(O)C(CCC(O)=N)N=C(O)C(CCC(O)=N)N=C(O)C(CCC(O)=N)N=C(O)C(CCC(O)=O)N=C(O)C(CCC(O)=O)N=C(O)C(COP(O)(O)=O)N=C(O)C(CCC(O)=N)N=C(O)C(N)CC1=CC=CC=C1 BECPQYXYKAMYB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21240 casein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WGCNASOHLSPBMP-UHFFFAOYSA-N hydroxyacetaldehyde Natural products OCC=O WGCNASOHLSPBM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787 lecith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0445 lecithi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40067606 lecithin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00027 potass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1103 potass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1164 potassium chlorid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153 Hydroxypropyl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3
- 239000001863 hydroxypropyl 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3
- 235000010977 hydroxypropyl cellulose Nutrition 0.000 claims 3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29910002651 NO3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NHNBFGGVMKEFGY-UHFFFAOYSA-N Nitrate Chemical compound [O-][N+]([O-])=O NHNBFGGVMKEFGY-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abstract 4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7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6722 reduc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8098 formaldehyd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ANQVKHGDALCPFZ-UHFFFAOYSA-N ethyl 2-[6-(4-methylpiperazin-1-yl)-1h-benzimidazol-2-yl]acetate Chemical compound C1=C2NC(CC(=O)OCC)=NC2=CC=C1N1CCN(C)CC1 ANQVKHGDALCPF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FOIXSVOLVBLSDH-UHFFFAOYSA-N Silver ion Chemical compound [Ag+] FOIXSVOLVBLSD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150000003378 silver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976 in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923 metal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603 redu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213 Polysorbate 20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623 enhanc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56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0486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GGCZERPQGJTIQP-UHFFFAOYSA-N sodium;9,10-dioxoanthracene-2-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Na+].C1=CC=C2C(=O)C3=CC(S(=O)(=O)O)=CC=C3C(=O)C2=C1 GGCZERPQGJTIQ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101710134784 Agnoprot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069 Raman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21607 Silver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10413 T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948 carboxy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12 carboxy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40105329 carboxymethylcellulose Drug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Substances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ADZWSOLPGZMUMY-UHFFFAOYSA-M silver bromide Chemical compound [Ag]Br ADZWSOLPGZMUMY-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958 silver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HKZLPVFGJNLROG-UHFFFAOYSA-M silver mon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Ag+] HKZLPVFGJNLROG-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BDHFUVZGWQCTTF-UHFFFAOYSA-M sulfonate Chemical compound [O-]S(=O)=O BDHFUVZGWQCTTF-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416 surface enhanced Raman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169 water-solubl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ZXSQEZNORDWBGZ-UHFFFAOYSA-N 1,3-dihydropyrrolo[2,3-b]pyridin-2-one Chemical compound C1=CN=C2NC(=O)CC2=C1 ZXSQEZNORDWB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ZIIFPSPUDAGJM-UHFFFAOYSA-N 6-chloro-2-n,2-n-diethylpyrimidine-2,4-diamine Chemical compound CCN(CC)C1=NC(N)=CC(Cl)=N1 XZIIFPSPUDAG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OAKJQQAXSVQMHS-UHFFFAOYSA-N Hydrazine Chemical compound NN OAKJQQAXSVQM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2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973 alkyl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40 anti-vi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78 crystallin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KDLHZDBZIXYQEI-UHFFFAOYSA-N palladium Substances [Pd] KDLHZDBZIXYQE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53 phys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946 reduc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LKZMBDSASOBTPN-UHFFFAOYSA-L silver carbonate Substances [Ag].[O-]C([O-])=O LKZMBDSASOBTPN-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JHJLBTNAGRQEKS-UHFFFAOYSA-M sodium bromide Chemical compound [Na+].[Br-] JHJLBTNAGRQEK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29940035044 sorbitan monolaurat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11 spectroscopic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oxide Inorganic materials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11 α-olef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NYAEWCLZODPBN-JGWLITMVSA-N (2r,3r,4s)-2-[(1r)-1,2-dihydroxyethyl]oxolane-3,4-diol Chemical class OC[C@@H](O)[C@H]1OC[C@H](O)[C@H]1O JNYAEWCLZODPBN-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LDVVTQMJQSCDMK-UHFFFAOYSA-N 1,3-dihydroxypropan-2-yl formate Chemical compound OCC(CO)OC=O LDVVTQMJQSCD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CPELXLSAUQHCOX-UHFFFAOYSA-M Bromide Chemical compound [Br-] CPELXLSAUQHCOX-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15 Carbon black (E15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VKZGUZCCUSVTD-UHFFFAOYSA-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09 Moistur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943 N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34972 Photosensitivity rea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PXOKRUENSOPAO-UHFFFAOYSA-N Raney nickel Chemical compound [Al].[Ni] NPXOKRUENSOPA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6404 Sn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DBMJMQXJHONAFJ-UHFFFAOYSA-M Sodium laurylsulph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OS([O-])(=O)=O DBMJMQXJHONAF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IYFATESGLOUGBX-YVNJGZBMSA-N Sorbitan monopalmit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O)OC[C@@H](O)[C@H]1OC[C@H](O)[C@H]1O IYFATESGLOUGBX-YVNJGZBMSA-N 0.000 description 1
- HVUMOYIDDBPOLL-XWVZOOPGSA-N Sorbitan monostear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C@@H](O)[C@H]1OC[C@H](O)[C@H]1O HVUMOYIDDBPOLL-XWVZOOPG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2 abras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6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35 aliphatic alka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210 alkyl ammonium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710 antibio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5 bacterio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7388 benzenesulf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5 bio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GDTBXPJZTBHREO-UHFFFAOYSA-N bromine Substances BrBr GDTBXPJZTBHR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4 b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32 colony 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18 complex 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81 deodor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MOTZDAYCYVMXPC-UHFFFAOYSA-N dodecyl hydrogen sulf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OS(O)(=O)=O MOTZDAYCYVMXP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43264 dodecyl sulf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CUHVTYCUTYWQO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O=C CUHVTYCUTYWQO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95 identification t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77 insect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53 magnetic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645 metal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45 mic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18 mica group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1 m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65 moissa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33 moisturiz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58 nano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Substances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957 no side effec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211 photo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6 polysorb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53 potass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1 silicon carb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CQLFBEKRDQMJLZ-UHFFFAOYSA-M silver acetate Chemical compound [Ag+].CC([O-])=O CQLFBEKRDQMJLZ-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40071536 silver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0890 silver compound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379 silver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UKHWJBVVWVYFEY-UHFFFAOYSA-M silver;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Ag+] UKHWJBVVWVYFEY-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09 sodium c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LJMYIDDQXHKNR-UHFFFAOYSA-K sodium citrate Chemical compound O.O.[Na+].[Na+].[Na+].[O-]C(=O)CC(O)(CC([O-])=O)C([O-])=O NLJMYIDDQXHKNR-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NTHWMYGWWRZVTN-UHFFFAOYSA-N sodium silicate Chemical compound [Na+].[Na+].[O-][Si]([O-])=O NTHWMYGWWRZV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50003429 sorbitan palmi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50011392 sorbitan stea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BQYATWDVHIOAR-UHFFFAOYSA-N tellanylidenegermanium Chemical compound [Te]=[Ge] JBQYATWDVHIOA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66 varni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01L1/04—Dust-free rooms or enclosu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2—Laboratory benches or tables; Fitting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6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wound spr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01L2200/087—Ergonomic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e Of Metal Powder And Suspension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 콜로이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은 덩어리를 묽은 질산 수용액과 가열 반응시켜 제조한 질산은 수용액을 알칼리성 물질과 혼합하여 산화은(II)의 침전물을 얻고, 이를 물에 분산시킨 후 계면활성제와 수산화암모늄을 가하여 은 입자의 성장을 조절함과 동시에 은-암모늄 착화합물을 형성시키며, 여기에 환원제를 가하여 은 콜로이드를 제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산화은(II) 제조시 수반되는 은 이외의 기타 이온들을 제거하여 균일한 크기를 가지는 고순도 은 콜로이드를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의 은 콜로이드 제조시 장시간이 소요되던 환원공정이 획기적으로 단축되어 공정상 및 경제상의 이점이 있고, 전도성 접착제, 전자파 차단제, 도료, 표면 증강 라만 산란용 증강제, 잉크 첨가제, 항균제, 항생제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개선된 은 콜로이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은 콜로이드, 착화합물, 항균제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참고예로 제시된 산화은(II) 입자의 제조과정을 간단하게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은 콜로이드 용액과 국내 상품용으로 판매되는 HTC 906((주) 뉴 휴먼테크)의 은 콜로이드 용액의 비교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참고예로 제시된 산화은(II) 입자의 사진이다.
도 4는 pH에 따른 산화은(II)의 이론적인 용해도 곡선이다.
본 발명은 은 콜로이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은 덩어리를 묽은 질산 수용액과 가열반응시켜 제조한 질산은 수용액을 알칼리성 물질과 혼합하여 산화은(II)의 침전물을 얻고, 이를 물에 분산시킨 후 계면활성제와 수산화암모늄을 가하여 은 입자의 성장을 조절함과 동시에 은-암모늄 착화합물을 형성시키며, 여기에 환원제를 가하여 은 콜로이드를 제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짐으로 써, 산화은(II) 제조시 수반되는 은 이외의 기타 이온들을 제거하여 균일한 크기를 가지는 고순도 은 콜로이드를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의 은 콜로이드 제조시 장시간이 소요되던 환원공정이 획기적으로 단축되어 공정상 및 경제상의 이점이 있고, 전도성 접착제, 전자파 차단제, 도료, 표면 증강 라만 산란용 증강제, 잉크 첨가제, 항균제, 항생제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개선된 은 콜로이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균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진 구리(Cu), 아연(Zn), 백금(Pt), 은(Ag) 등의 금속은 예로부터 항균제로 많이 이용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은은 세균, 바이러스 등에 대한 높은 항균 및 항바이러스 능력으로 인해 저가이고, 또한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어 왔다.
특히, 1 nm ∼ 100 nm 크기의 은 입자는 쉽게 세포 내로 침투하여 바이러스, 곰팡이, 균류 등의 호흡 관련 효소의 기능을 정지시켜 대사 과정을 저해하기 때문에 병균 또는 바이러스의 사멸에 매우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1970년대 중반 표면 증강 라만 분광법(surface-enhanced Raman spectroscopy)의 발견과 라만 분광법에서 기질 재료로 이용된 은 콜로이드 용액에서 은 입자의 응집, 형상, 크기가 분석 결과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난 후 균일한 크기, 형상, 입도 분포를 가지는 저가의 은 콜로이드 용액을 대량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해서 많은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한편, 일반적으로 마이크론 단위 이상의 고체 결정성 물질의 경우 결정성 물질의 물리적 성질이 입자 크기에 무관하지만 나노 크기 이하로 입자가 미세화 되면 마이크론 또는 서브마이크론 분말이 가지지 못한 특성이 발현된다(김경호 외 3인, 공업화학 전망, 2003). 이는 입자의 질량 대 비표면적 증가 효과(surface-area effect)와 모세관 효과(capillarity effect) 때문이다. 비표면적 증가효과로 인해 표면 원자의 증가로 물질의 열역학적 성질(녹는점 내림, 상전이) 등에 큰 변화를 일으킨다.
특히 나노 크기 금속 콜로이드 용액은 전자 반발력으로 인해 높은 분산능 등 을 나타내므로 기계적 물성 향상, 항규 및 전자파 차폐 등 높은 기능성을 발휘할 수 있다. 금속 입자가 분산된 콜로이드 용액에서 매우 중요한 점은 입자 크기 제어인데, 입자 형태의 소재는 촉매, 센서, 정보기록매체(자성체), 연마제, 항균 및 살균 입자, 의약용, 전자파 차단, 디스플레이 분야 등 넓은 분야에 응용되는데, 입자의 크기가 불균일하면 각각의 입자마다 성능 및 물성이 다르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첨단 분야에의 응용에 제한을 받게 된다.
다음 표 1은 나노 분말의 활용 분야, 소재, 활용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활용 형태 | 활용 분야 | 소재 |
분말 | 응집제 | Fe2O3, Al2O3 |
침전 방지제 | SiO2 | |
분산 | 화장품 (보습제,립스틱) | TiO2,ZnO |
자성 유체 | Fe2O3 | |
충진제 | C, SiO2, TiO2, SiC | |
코팅 | 도료 | Ag, Pd, Mica |
촉매 | Pd, Pt, Cu, Ni | |
형광체 | ZnO, TiO2, NiAl | |
벌크 | 다공질 벌크 (센서, 필터) | SnO2, ZnO, Al2O3 |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되는 은 콜로이드 용액의 물리적인 상태는 가능하면 은 농도가 높으면 균일한 크기를 가지는 은 입자이며, 은 농도가 높아질수록 항균 및 항바이러스 능력은 향상된다.
일반적으로 콜로이드 용액 내에서 은 입자가 커질수록 노란색, 붉은색, 보라색, 푸른색, 녹색, 검은색 순으로 은 용액의 색깔은 변화되며 불안정한 상태를 나타낸다.
살균 및 항균성 금속으로서 널리 사용되어 온 은을 콜로이드 용액에서 나노 크기로 분산시키는 방법으로 전기 분해, 화학적인 방법, 물리적인 방법(분쇄법) 등이 알려져 있다. 전기 분해에 의해 제조된 은 콜로이드는 고순도이지만 고농도(공업적 응용을 위해서는 1,000 ppm 이상)로 제조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물리적 방법인 분쇄법은 은 입자를 나노 크기로 제조하기 어렵고 분쇄 효율, 분산 등 여러 면에서 효과적이지 못하다. 은 입자를 제조하는 화학적 방법은 대부분 은염으로부터 환원제를 이용하여 은 이온을 환원시킨 후 용액내에 분산시키거나 은을 질산 수용액 상태에 용해시킨 후 은-암모늄 착화합물 형성하는 은 미립자 제조로 나뉠 수 있다.
상기한 방법 중 은염을 수용액 상태로 만든 후 환원시켜 은 콜로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은 매우 오래전부터 이용되어 왔다. 예를 들면, 질산은 수용액에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을 가해서 Ag(NH3)2+ 형태의 착화합물을 제조한 후, 글루코오스(glucose)로 환원시켜 은거울이 생성되는 반응은 익히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8-18406호는 1 nm ∼ 100 nm의 은 입자가 1 중량% ∼ 80 중량% 농도로 매질에 분산된 은 졸(sol)의 제조방법 및 응용으로서 은 화합물 용액을 환원제와 반응시켜 은 미립자를 만들고 원심분리기로 생성된 은 미립자를 회수한 후 다시 은 미립자를 매질 중에 분산시켜 제조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75231호는 질산 수용액과 은 덩어리의 반응을 통해서 포화된 질산은 수용액을 제조한 후 계면활성제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PVP), 환원제로서 물유리를 사용한 은 콜로이드의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은 콜로이드 용액에서 은 입자의 평균 크기는 50 nm이었다.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은 콜로이드의 화학적 제조법은 은염을 NaBH4 또는 시트르산 나트륨으로 환원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매우 간단하지만 은 콜로이드 제조에 이용되는 물(H2O)의 순도, 온도, 금속염 농도, 환원제, 제조 기구의 세척 등에 민감하여 재현성 있는 안정한 상태의 은 콜로이드 제조에 있어서 문제점을 드러내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99481호는 소독제 및 항균제로 이용 가능한 은과 브롬화합물을 이용한 은염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한 방법에 의하면 분쇄한 은 분말을 질산 수용액에 용해한 후 염산에 용해시킨 SnCl2 용액과 혼합하고, 이를 pH 7.5로 조절하여 증발시킨 후 얻어진 분말과 NaBr을 혼합하여 물에 용해한 다음 H2O2 용액으로 탈색하여 얻어진 용액을 소독제 및 항균제로 이용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77912호에는 유기 용매(메탄올, 에탄올)와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등 고분자를 용해시킨 용액에 실버 아세테이트, 질산은 등 은염을 용해시킨 용액을 혼합시킨 후 이온을 환원하여 은 콜로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은 콜로이드 용액에서 은 농도는 100 ∼ 5,000 ppm이며, 은 입자 크기는 2 nm ∼ 5 nm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18196호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수용액내에서 나노 크기의 복합금속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금(Au), 은(Ag), 철(Fe), 백금(Pt), 아연(Zn) 염 화합물 중 2종 이상을 용해시킨 복합 금속 이온 수용액에 하이드라진(hydrazine) 등의 환원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을 첨가하여 복합 금속 입자로 환원시키면서 탄화수소계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복합 금속입자의 성장을 정지시켜 금속 입자를 나노 크기로 유지하는 방법에 대해서 공지하고 있다.
한편, 추(Chou) 등은 질산은 수용액으로부터 은 콜로이드 제조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즉, 은 입자의 성장을 제어하기 위해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PVP)이 사용되었으며, 환원제로서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은 입자의 환원을 촉진하기 위해서 수산화나트늄(NaOH) 또는 탄산나트륨(Na2CO3)용액이 이용되었다. NaOH 용액이 이용되었을 때 제조된 은 콜로이드 용액에서 은 입자의 평균 크기는 10 nm ∼ 20 nm 이었으며, Na2CO3 용액이 이용되었을 때 제조된 은 콜로이드 용액에서 은 입자의 평균 크기는 20 ∼ 150 nm 이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5-40226호는 질산에 은을 용해시켜 질산은 수용액을 제조한 후,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을 가해서 은과 암모늄 이온의 착화합물을 형성하였으며, 은 입자 크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분산제를 첨가하고, NaOH 용액과 포름알데히드 용액을 환원제로 이용하여 은 나노 입자의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은 나노 입자의 평균 입경은 5 nm이었으며 구형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은 콜로이드를 제조하는 종래의 화학적 환원법은 은 수용액 속에 녹아 있는 불필요한 이온을 그대로 함유하고 있으므로 고순도 은 콜로이드 용액을 제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은 콜로이드를 복잡한 제조 공정으로 긴 환원시간이 소요되며 은 콜로이드를 제조하는 원료 물질이 고가의 은염으로 제조비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한 은 나노 콜로이드 제조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은 덩어리를 묽은 질산 수용액에 용해시킨 후 알칼리성 물질을 가하여 산화은(II)의 침전물을 제조한 후, 수세 및 건조된 산화은(II)을 물에 분산시켜 계면활성제와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을 가하여 착화합물을 형성한 후, 포르알데히드수용액(85중량%)와 수산화나트륨을 동시에 가함으로써, 은 콜로이드 용액에 함유되어 있는 은 이외의 기타 이온(NO3 -, OH-, Na+, 미반응 Ag+)들을 효율적으로 제거함과 동시에 은 이온의 환원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고순도 은 콜로이드 용액의 제조 방법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은 콜로이드의 원료 물질로서 고가의 은염 대신 은 덩어리를 사용함으로써 은 콜로이드의 농도를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켰으며, 여기에 계면활성제와 수산화암모늄을 가하여 얻어진 착화합물을 수산화나트륨 용액과 포름알데히드 수용액으로 구성되는 환원제를 동시에 혼합시켜 은 이온과 수산화암모늄의 착화합물 형성과 동시에 은 이온을 환원시킬 수 있어, 기존의 은 콜로이드 제조방법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던 긴 환원 시간(24 시간 ∼ 48 시간 소요)의 문제점과 불순물의 영향을 동시에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균일한 크기를 가지는 고순도의 은 나노 입자를 단시간에 대량으로 얻을 수 있는 개선된 은 콜로이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질산 수용액과 은 덩어리를 혼합한 후 가열하여 얻은 질산은 수용액과 알칼리성 물질을 반응시켜 산화은(II) 침전물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공정; 상기 산화은(II) 침전물을 여과 및 건조한 다음 물에 분산하고, 여기에 계면활성제와 수산화암모늄을 가하여 은-암모늄 착화합물을 형성하는 제 2 단계 공정; 및 상기 착화합물이 형성된 용액에 환원제를 가하여 은 콜로이드를 형성하는 제 3 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은 콜로이드의 제조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질산은 용액 제조시 수반되는 은 이외의 기타 이온들을 제거하여 균일한 크기를 가지는 고순도 은 콜로이드를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의 은 콜로이드 제조시 장시간이 소요되던 환원공정이 획기적으로 단축되어 공정상 및 경제상의 이점이 있고, 전도성 접착제, 전자파 차단제, 도료, 표면 증강 라만 산란용 증강제, 잉크 첨가제, 항균제, 항생제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개선된 은 콜로이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은 콜로이드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 단계 공정은 질산 수용액과 은 덩어리를 혼합한 후 가열하여 얻은 질산은 수용액과 알칼리성 물질을 반응시켜 산화은(II) 침전물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은 은 이온을 만들 수 있는 고가의 금속 은염을 사용하는 대신 순도 99.99 %이상의 은 덩어리를 질산 용액에 녹인 은 수용액을 은 산화물(산화은(II))의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묽은 질산 수용액,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 70 중량% 농도 범위의 질산 수용액에 은 덩어리를 담그고 100 ℃ ∼ 105 ℃, 바람직하게는 100 ℃로 가열하는데, 이때 물이 증발되는 양 만큼 물을 보충하면서 은 수용액의 농도가 15 중량% ∼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 20 중량%,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18 중량% 농도범위의 은 수용액이 되도록 한다.
상기 은 덩어리를 질산 수용액에 침지한 후 평균 200 rpm의 속도로 4 ∼ 6시간 교반하여 반응시키면 효과적으로 질산은 수용액이 제조된다.
더욱 효과적으로 은 덩어리를 묽은 질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기 위해서는 시판되는 질산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시판되는 통상적인 질산 수용액의 농 도는 60 중량% ∼ 67 중량% 범위이다. 이때, 은 덩어리를 시판 질산 수용액에 첨가시켜 은 덩어리를 서서히 용해시킬 때 가해지는 질산 수용액의 양은 전체 첨가되는 질산 수용액의 1/3 정도가 바람직하다. 1 시간 경과 후, 불용되어 있는 은 덩어리를 용해시키기 위해서 물을 질산 수용액에 가하는데, 이때 생성된 희석열에 의하여 은 덩어리의 용해가 촉진된다. 상기한 방법으로 수회 반복하여 은 덩어리를 질산 수용액에 완전히 용해시킨다.
상기 제조된 은 이온 수용액에 알칼리성 물질을 첨가한다. 상기 알칼리성 물질은 은 수용액에서 은 이외의 이온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탄산나트륨 및 탄산칼륨 등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칼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한다.
즉, 상기한 알칼리성 물질의 첨가는 은염의 용해도적(solubility product)에 따라 추가로 선택될 수 있는데, 사용가능한 알칼리성 물질로는 탄산은, 염화은, 브롬화은을 형성할 수 있는 탄산염, 염화염, 브롬화염 등이 있다.
상기 알칼리성 물질은 은 양으로부터 화학양론적으로 계산된 양으로 가해지며 첨가와 동시에 은 침전물이 생성된다. 탄산은(Ag2CO3, Ksp= 6.15 × 10-12), 염화은(AgCl, Ksp = 1.8× 10-10 ), 브롬화은(AgBr, Ksp= 5× 10-13), 수산화은(AgOH, Ksp= 1.52× 10-8)의 용해도적이 매우 적은 값이기 때문에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할 경우 수산화나트륨의 첨가와 동시에 초기 생성된 산화은(II)이 갈색의 진흙상(泥狀)으로 침전된다. 은 이외의 기타 이온들은 침전물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은 이외의 기타 이온들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은 덩어리가 질산 수용액에 녹는 과정은 다음 반응식 1(질산수용액의 농도가 3.8M ∼ 4.9M의 경우), 반응식 2(질산수용액의 농도가 4.9M ∼ 7.1M의 경우)로서 표현될 수 있으며, 반응식 1 및 2로부터 은 양에 대한 질산 수용액 양을 계산할 수 있다. 즉, 사용되는 질산 수용액의 농도는 3.8 M이하이므로, 반응식 1을 근사적으로 적용하여 소요되는 질산 수용액 양을 계산하였다(L.L.Martinez, et al., Metall.Trans.(B), 24, 827(1993).
은 덩어리가 질산에 용해되어 생성된 은 수용액과 수산화나트륨과의 반응에 의한 은 산화물의 생성 반응은 다음 반응식 3으로 표현된다.
상기 반응식 3에 의해서 은 수용액으로부터 산화은(II)을 제조하기 위해서 소요되는 수산화나트륨양이 산출된다.
제 2 단계 공정은 상기 제 1 단계 공정에서 얻은 산화은(II) 침전물을 여과 및 건조한 다음 물에 분산하고, 여기에 계면활성제와 수산화암모늄을 가하여 은-암모늄 착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산화은(II) 침전물이 생성되어 바닥에 가라앉으면 침전물 상등액은 폐기하고 상온의 물(증류수)로 수세하여 건조한다. 상기 수세는 여과시켜 얻은 산화은(II)을 증류수에 분산시킨 후 pH를 측정하여 7이 나올 경우 중지하였다. 수세한 은 침전물은 다양한 방법으로 건조한다.
회수되는 산화은(II)의 양은 수산화나트륨이 가해질 때 pH 변화에 민감하다.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pH 9에서 산화은(II)의 용해도는 100 mg/L이다. 그러므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 가해진 용액의 pH가 9보다 높은 경우 거의 99%이상의 산화은(II)이 회수된다.
일반적으로 은 콜로이드 용액의 평균적인 은 입자 크기는 약 5 nm ∼ 50 nm 범위이며, 나노 크기의 입자는 비표면적 증가 효과로 인해서 응집성이 강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은 콜로이드는 어두운 색으로 변색하면서 입자가 커진다.
따라서 은 나노 입자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서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상기한 계면활성제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수용성 단백질,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수용성 합성 고분자 등 중에 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선택 사용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직쇄 알킬벤젠술폰산염(Linear Alkylbenzeen sulfonate), 알파 올레핀 술폰산염(α-olefin sulfonate), 소듐 알칸 술폰산염(Sodium alkane sulfonate) 및 알킬에테르 황산에스테르염(Alkyl Ether Sulfate)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양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제4급 알킬암모늄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polyoxyethylene alkylamin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솔비탄 에스테르류[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sorbitan monolaurate), 솔비탄 팔미테이트,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등], 모노글리세라이드(monoglycerid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시판되는 것으로 Tween 20(시그마 알드리치사), Tween 40 (시그마 알드리치사) 등과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oduim dodecyl sulfate, 시그마 알드리치사) 등이 있다. 상기 수용성 단백질은 젤라틴(gelatin), 레시틴(lecithin) 및 카제인(casein) 등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Carboxy Methyl Cellulose, CMC), 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MC) 및 히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HPMC),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소듐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HEC)등 중에서 선 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수용성 합성고분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등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계면활성제 선택에 있어 가장 바람직하기로 젤라틴(gelatin)과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sorbitan monolaurate, Tween 20)를 혼합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젤라틴(gelatin), 폴리비닐피롤리돈, CMC(Carboxy Methyl Cellulose) 및 MC(Methyl Cellulose) 등의 대표적인 수용성 고분자 및 수용성 합성 고분자는 은 콜로이드 입자에 보호 콜로이드 역할을 하며 은 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은 입자가 안정화된다.
계면활성제 사용에 있어, 젤라틴(gelatin)과 Tween 20을 사용할 경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젤라틴(gelatin)을 증류수에 용해시킨 수용액에 Tween 20을 젤라틴(gelatin) 사용량에 대해 20 중량% ∼ 50 중량% 정도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계면활성제 사용량은 산화은(II) 함량에 대해서 20 중량% ∼ 20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 15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계면활성제의 양이 많으면 은 입자의 분산성은 좋으나 은 콜로이드의 제품 적용과정에서 전도성이 떨어지고 계면활성제의 양이 적으며 분산성이 떨어지므로 적정량을 첨가하도록 해야 한다.
다음으로 은의 착화합물을 형성하기 위해서 물에 상기 은 침전물을 분산시킨 후 계면활성제 존재하에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을 서서히 가한다.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이 가해짐에 따라 검은색의 산화은(II)은 서서히 용해되며, 수산화암모늄 용액이 모두 가해졌을 때 맑은 용액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이 가해지는 양은 최소한 증류수와 동일한 양이며, 구체적으로 증류수에 대하여 80 중량% ∼ 150 중량% 사용할 수 있다.
다음 반응식 4는 증류수에 분산된 산화은(II)과 수산화암모늄과의 반응에 의한 은-암모늄 착화합물 생성 반응을 나타낸 것으로서, 안정한 착화합물의 형성을 위해서 필수적인 요소는 OH-의 원활한 공급이며, 이는 본 발명에서 이용된 수산화나트륨에 의해 달성된다.
제 3 단계 공정은 상기 제 2 단계 공정에서 얻은 착화합물이 형성된 용액에 환원제를 가하여 은 콜로이드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즉, 상기 제 2 단계 공정에서 얻어진 은-암모늄 착화합물로부터 은을 환원시키기 위하여 포르알데히드 수용액(85중량%)와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한다.
상기 포름알데히드는 은-암모늄 착화합물과 반응하며 환원된 금속 은 입자는 용액 내에 분산된다. 포름알데히드 수용액(85중량%)의 사용량은 은 콜로이드 용액에서 산화은(II) 양에 대해 1 중량% ∼ 20 중량%이며, 상기 환원제로서 포름알데히드 수용액(85중량%)과 수산화나트륨의 중량비가 1 : 10 ∼ 1 : 100인 혼합물을 사용하는데, 이때 포름알데히드 수용액(85중량%)의 사용량이 많으면 최종 은 콜로 이드 용액은 강산성 성질을 나타내어 제품으로서 적용에 있어서 문제가 있고, 포름알데히드 수용액(85중량%)의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미세하고 균일한 은 입자가 제조되지 않으므로 적정량을 첨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포름알데히드 수용액(85중량%)의 첨가 속도가 은 착화합물의 환원속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매우 중요하므로, 기존의 특허 및 문헌에서는 환원제인 포름알데히드 수용액을 24 시간 ∼ 48 시간 동안 적가하고 있으며, 미반응 포름알데히드와 은 착화합물의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가온조작이 필수적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가온조작 및 장시간에 걸친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적가의 문제점을 수산화나트륨의 첨가로 해결하였다. 즉, 추(Chou) 등의 연구결과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수산화나트륨은 은 착화합물의 안정성을 제공하며 직접적인 환원성을 보임이 알려졌으며, 이로 인해서 환원 속도 및 환원 시간이 대폭 감소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상기 산화은(II)과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중량비는 1:1 ∼ 1: 10, 바람직하게는 1:1.5 ∼ 1:8 범위로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한 포름알데히드 수용액(85중량%)와 수산화나트륨의 혼합사용에 의하여 은 착화합물이 환원되는 시간은 1 분 ∼ 10 분으로 감소되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1 분 정도가 소요되어, 상기 시간 내에 환원반응은 급격하게 일어나며 완전히 종료된다.
은-암모늄 착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의 환원 반응을 다음 반응식 5로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은 콜로이드 용액은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분산 아크릴 등의 수용성 고분자 기질에 분산시켜 수 ∼ 수십 나노미터 크기의 은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다양한 산업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즉,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등과 상용성이 우수하며 항균 및 살균성, 연마성, 자외선 차단성, 감광성, 대전 방지성, 전자파 차폐 및 탈취성을 갖는 플라스틱 성형품, 섬유, 도료, 잉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은 콜로이드 용액은 표면 증강 라만 산란용 증강제, 잉크의 활성부분의 첨가제, 또는 다양한 전기 제품에 들어가는 전도성 접착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 산화은(II) 제조
60 중량% 농도의 질산 수용액 323.8g에 은 덩어리(순도 99.9% 이상) 200.24 g을 침지하고 100 ℃로 가열하면서 물을 보충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은이 포화된 은 이온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가해지는 증류수 양은 749.1g이었다.
질산 용액의 온도를 100 ℃로 유지한 상태에서 3 시간 동안 가열하여 은이 질산 수용액에 모두 용해된 후, 수산화나트륨 240 g을 용해시킨 증류수 1 L와 질산은 용액을 혼합, 교반하였으며, 이때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 가해짐과 동시에 갈색 침전물이 생성되어 460 g의 산화은(II)이 얻어졌다. 상기 산화은(II)은 증류수로 수세 및 건조하여 산화은(II) 분말은 125. 81g을 얻었으며, 도 3에는 얻어진 산화은(II) 분말의 사진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상기 참고예로부터 얻어진 산화은(II) 1.04 g을 증류수 10 g에 분산한 후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은 콜로이드 용액에서 42 중량%) 10.7 g을 가하여 투명 용액을 얻었으며, 여기에 젤라틴(gelatin)을 증류수에 용해시킨 수용액에 Tween 20(시그마-알드리치사)을 젤라틴(gelatin) 사용량에 대해 5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 계면활성제(은 콜로이드 용액에서 5.9 중량%) 1.5 g, 수산화나트륨 2 g 및 포름알데히드 수용액(85중량%) 0.2g을 가하여 착화합물이 형성됨과 동시에 환원시켜 농도 50,000 ppm이고 순도 99.99 %의 은 콜로이드를 얻었으며, 환원에 소요되는 시간은 10 초이었다.
실시예 2
상기 참고예로부터 얻어진 산화은(II) 1.01 g를 증류수 10.01 g에 분산한 후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은 콜로이드 용액에서 52.91 중량%) 15 g을 가하여 투명 용액을 얻었으며, 여기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한 계면활성제(은 콜로이드 용액에서 1.05 중량%) 0.3 g, 수산화나트륨 2 g 및 포름알데히드 수용액(85중량%) 0.03 g를 가하여 착화합물이 형성됨과 동시에 환원시켜 농도 50,000 ppm이고 순도 99.99 %의 은 콜로이드를 얻었으며, 환원에 소요되는 시간은 1분 20초이었다.
실시예 3
상기 참고예로부터 얻어진 산화은(II) 0.51 g를 증류수 10.07 g에 분산한 후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은 콜로이드 용액에서 42.65 중량%) 10.7 g를 가하여 투명 용액을 얻었으며, 여기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한 계면활성제(은 콜로이드 용액에서 1.14 중량%) 0.27 g, 수산화나트륨 2 g 및 포름알데히드 수용액(85중량%) 0.06 g을 가하여 착화합물이 형성됨과 동시에 환원시켜 농도 50,000 ppm이고 순도 99.99 %의 은 콜로이드를 얻었으며, 환원에 소요되는 시간은 4 분 46초이었다.
실시예 4
상기 참고예로부터 얻어진 산화은(II) 0.5 g을 증류수 12.21 g에 분산한 후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은 콜로이드 용액에서 37 중량%) 10.0 g을 가하여 투명 용액을 얻었으며, 여기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한 계면활성제(은 콜로이드 용액에서 0.74 중량%) 0.2 g, 수산화나트륨 4 g 및 포름알데히드 수용액(85중량%) 0.1 g을 가하여 착화합물이 형성됨과 동시에 환원시켜 농도 50,000 ppm이고 순도 99.99 %의 은 콜로이드를 얻었으며, 환원에 소요되는 시간은 57 초이었다.
비교예 1
산화은(II) 1.04 g에 대응되는 Ag 농도를 위해서 시중에서 시판중인 시약급 질산은(AgNO3) 0.77 g가 콜로이드 제조에 이용되었다. 질산은 0.77 g는 증류수 10.06 g에 분산된 후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은 콜로이드 용액에서 37 중량%) 14 g이 가해졌다.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이 질산은 수용액에 가해졌을 때 초기 용액에서 약간의 갈색 침전물이 일시적으로 생성되었지만 사라졌다. 여기에 계면활성제(은 콜로이드 용액에서 0.88 중량%) 0.24 g, 수산화나트륨 2 g 및 포름알데히드 수용액(85중량%) 0.2 g가 가해졌다. 은 콜로이드는 10일 경과 후에도 생성되지 않았다.
비교예
2
산화은(II) 0.49 g에 대응되는 Ag 농도를 위해서 시중에서 시판중인 시약급질산은(AgNO3) 0.36 g이 콜로이드 제조에 이용되었다. 질산은 0.36 g이 증류수 10.1 g에 분산된 후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은 콜로이드 용액에서 43.74 중량%) 10.1 g이 가해졌다.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이 질산은 수용액에 가해졌을 때 초기 용액에서 약간의 갈색 침전물이 일시적으로 생성되었지만 사라졌다. 여기에 계면활 성제(은 콜로이드 용액에서 1.17 중량%) 0.27 g, 수산화나트륨 2.2 g 및 포름알데히드 수용액(85중량%) 0.06 g가 가해졌다. 은 콜로이드는 10일 경과 후에도 생성되지 않았다.
비교예 3
산화(II)은 0.52 g에 대응되는 Ag 농도를 위해서 시중에서 시판중인 시약급질산은(AgNO3) 0.38 g이 콜로이드 제조에 이용되었다. 질산은 0.38 g이 증류수 12.2 g에 분산된 후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은 콜로이드 용액에서 37.53 중량%) 10.21 g이 가해졌다.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이 질산은 수용액에 가해졌을 때 초기 용액에서 약간의 갈색 침전물이 일시적으로 생성되었지만 사라졌다. 여기에 계면활성제(은 콜로이드 용액에서 0.74 중량%) 0.2 g, 수산화나트륨 4.09 g 및 포름알데히드 수용액(85중량%) 0.12 g이 가해졌다. 은 콜로이드는 10일 경과 후에도 생성되지 않았다.
시험예 1 : 은 콜로이드 형성 확인 시험
본 발명에 의한 은 콜로이드 입자의 생성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은 콜로이드 10 g에 약 1 g의 NaCl 결정을 첨가하였다. NaCl 결정은 은 콜로이드 용액에 용해되었으며 투명한 색을 나타내었다. 만약 환원되지 않은 Ag+ 이온이 콜로이드에 존재될 경우 흰색의 침전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은 콜로이드 제조과정에서 콜로이드 생성 여부를 나타내게 되는 틴들효과(Tyndall effect)가 은이온 상태의 수용액에서는 나타나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생성된 은 콜로이드에서 은 입자가 불안정하여 성장될 경우 은 콜로이드 용액은 검은색 침전이 발생된다.
상기 비교예 1 ∼ 3의 경우 흰색의 침전물이 발생되었으며 이를 근거로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인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에 의해서 은 콜로이드 용액이 제조되지만, 비교예 1 ∼ 3에 의하면 은 콜로이드가 생성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 잔존 이온 확인 시험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은 콜로이드의 잔존 이온을 확인하기 위해 ICP 분석이 실시되었다.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원소 | NH4+ | Na+ | Cl- | NO3 - | PO4 - |
함량 | 5.3ppm | 2.1 ppm | N.D | N.D | N.D |
시험예 3 : 항균력 측정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은 콜로이드 용액의 항균력 시험은 KS K 0693-2001(직물에 대한 항균도 시험)에 의해 실시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 표 3 에 나타내었다.
구분 | 공시료 | 실시예 1 |
초기균수 (mL/CFU*) | 2.3 × 104 | 2.3 × 104 |
18 시간 후 (mL/CFU) | 4.7 × 106 | <10 |
정균 감소율 | - | 99.9 |
*) CFU: colony forming unit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은 콜로이드 제조에서 필연적으로 함유되던 은 이온 외 기타 이온들을 제거하여 고순도 은 콜로이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은 콜로이드의 원료물질로 은염 대신 은 덩어리를 사용하므로 저가로 은 콜로이드를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은 콜로이드 용액을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분산 아크릴 등의 수용성 고분자 기질에 분산시킨 항균, 살균성, 대전 방지성, 전자파 차단성, 방충성, 감광성, 탈취성을 갖는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은 콜로이드를 도포하여 제조된 은 콜로이드의 기능성이 부여된 유리, 금속, 세라믹, 표면 증강 라만 산란용(Surface Enhanced Raman Scattering Spectroscopy, SERP) 증강제, 잉크 활성 부분 첨가제, 전기 제품에 이용될 수 있는 전도성 접착제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7)
- 질산 수용액과 은 덩어리를 혼합한 후 가열하여 얻은 질산은 수용액과 알칼리성 물질을 반응시켜 산화은(II) 침전물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공정;상기 산화은(II) 침전물을 여과 및 건조한 다음 물에 분산하고, 여기에 계면활성제와 수산화암모늄을 가하여 은-암모늄 착화합물을 형성하는 제 2 단계 공정; 및상기 착화합물이 형성된 용액에 환원제를 가하여 은 콜로이드를 형성하는 제 3 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콜로이드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성 물질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탄산나트륨 및 탄산칼륨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콜로이드의 제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수용성 단백질,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수용성 합성 고분자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콜로이드의 제조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단백질은 젤라틴(gelatin), 레시틴(lecithin) 및 카제인(casein)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콜로이드의 제조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 Methyl Cellulose, CMC), 메틸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MC) 및 히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HPMC),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HPC),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소듐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및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HEC)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콜로이드의 제조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합성고분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콜로이드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는 포름알데히드 수용액과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중량비가 1 : 10 ∼ 1 : 100인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콜로이드 제조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5719A KR100769731B1 (ko) | 2006-02-17 | 2006-02-17 | 은 콜로이드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5719A KR100769731B1 (ko) | 2006-02-17 | 2006-02-17 | 은 콜로이드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82729A true KR20070082729A (ko) | 2007-08-22 |
KR100769731B1 KR100769731B1 (ko) | 2007-10-23 |
Family
ID=3861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15719A KR100769731B1 (ko) | 2006-02-17 | 2006-02-17 | 은 콜로이드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6973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0632B1 (ko) * | 2007-08-24 | 2009-03-27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불순물이 함유된 은 화합물로부터 은 콜로이드의 제조방법 |
KR101349815B1 (ko) * | 2010-11-30 | 2014-01-16 |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 생체용 친환경 수용성 은 나노 칼슘 콜로이드 및 그 제조방법 |
CN114892394A (zh) * | 2022-06-08 | 2022-08-12 | 深圳市乐清合兴电子有限公司 | 一种多层导电布及其制作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3478B1 (ko) * | 2002-11-20 | 2005-03-11 | (주)나눅스 | 은 콜로이드 및 그 제조 방법 |
KR100554207B1 (ko) * | 2003-10-28 | 2006-02-22 |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 은 나노 입자의 제조방법 |
-
2006
- 2006-02-17 KR KR1020060015719A patent/KR10076973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0632B1 (ko) * | 2007-08-24 | 2009-03-27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불순물이 함유된 은 화합물로부터 은 콜로이드의 제조방법 |
KR101349815B1 (ko) * | 2010-11-30 | 2014-01-16 |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 생체용 친환경 수용성 은 나노 칼슘 콜로이드 및 그 제조방법 |
CN114892394A (zh) * | 2022-06-08 | 2022-08-12 | 深圳市乐清合兴电子有限公司 | 一种多层导电布及其制作方法 |
CN114892394B (zh) * | 2022-06-08 | 2023-09-22 | 深圳市乐清合兴电子有限公司 | 一种多层导电布及其制作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69731B1 (ko) | 2007-10-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Mavani et al. | 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s by using sodium borohydride as a reducing agent | |
Shenashen et al. | Synthesis, morphological control, and properties of silver nanoparticles in potential applications | |
Lanje et al. | 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s: a safer alternative to conventional antimicrobial and antibacterial agents | |
Ikram et al. | Synthesis of Al/starch co-doped in CaO nanoparticles for enhanced catalytic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experimental and DFT approaches | |
Janardhanan et al. | Synthesis and surface chemistry of nano silver particles | |
Bankura et al. |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dextran stabilized silver nanoparticles in aqueous medium | |
Rheima et al. | 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s using the UV-irradiation technique in an antibacterial application | |
Lalueza et al. | Bactericidal effects of different silver-containing materials | |
RU2430169C2 (ru) |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нанометрического, монодисперсного и стабильного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серебра и продуктов из него | |
US20080064767A1 (en) | High-concentration nanoscale silver colloidal solution and preparing process thereof | |
EP3490936B1 (en) | Habit modified crystals of zinc oxide | |
CN103586461A (zh) | 一种纳米银溶胶及其制备与纯化方法 | |
KR100769731B1 (ko) | 은 콜로이드의 제조 방법 | |
Mourdikoudis et al. | Colloidal chemical bottom-up synthesis routes of pnictogen (As, Sb, Bi) nanostructures with tailored properties and applications: a summary of the state of the art and main insights | |
Bachhav et al. | Silver nanoparticles: A comprehensive review on mechanism, synthesis and biomedical applications | |
CN1298222C (zh) | 液态纳米单质银抗菌剂及制备方法 | |
KR100970805B1 (ko) |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은나노입자 콜로이드 | |
KR100890632B1 (ko) | 불순물이 함유된 은 화합물로부터 은 콜로이드의 제조방법 | |
KR101368404B1 (ko) | 금속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 |
JP6032622B2 (ja) | 金コロイド溶液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020150B1 (ko) | 금속 나노 입자 콜로이드 용액의 제조방법 | |
KR100473478B1 (ko) | 은 콜로이드 및 그 제조 방법 | |
Lavrynenko et al. | Morphology, phase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nanostructures formed in the systems containing lanthanum, cerium, and silver | |
KR100375525B1 (ko) | 계면활성제 수용액내에서의 미세금속입자의 제조방법 및 그 이용방법 | |
Omurzak et al. | Effect of surfactant materials to nanoparticles formation under pulsed plasma conditions and their antibacterial properti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