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1478A -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1478A
KR20070081478A KR1020060013369A KR20060013369A KR20070081478A KR 20070081478 A KR20070081478 A KR 20070081478A KR 1020060013369 A KR1020060013369 A KR 1020060013369A KR 20060013369 A KR20060013369 A KR 20060013369A KR 20070081478 A KR20070081478 A KR 20070081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am
main body
refrigerato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은광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은광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은광기전
Priority to KR1020060013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1478A/ko
Publication of KR20070081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4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 케이스의 외상과 내상 사이의 틈새에 발포 수지를 발포하여 충진하는 경우에 내상의 내면을 지지하기 위한 금형의 삽입 및 이탈이 용이한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은, 깊이가 깊은 박스 형상의 냉장고 케이스의 외상과 내상 사이에 수지를 발포하여 충진시 내상의 상부면과 4개의 측부면을 지지하기 위한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에 있어서, 상기 내상의 상부면의 내측에 접하는 상면이 구비된 금형 본체와, 외측에 상기 내상의 4개의 측부면 각각에 접하는 측면이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측면이 상기 내상의 측부면 각각에 접촉되고 떨어지는 방향으로 왕복이동되게 상기 본체에 각각 지지된 4개의 금형 이동체와, 상기 4개의 금형 이동체를 독립적으로 또는 일시에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장고, 발포 수지, 금형

Description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A BUBBLING MOLD OF CASE FOR REFRIGERA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의 금형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의 제1 금형 이동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의 제3 금형 이동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의 제4 금형 이동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의 제1 구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의 제2 구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의 제3 구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의 제1 언더컷 구동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의 제2 언더컷 구동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일반적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케이스 외상
2 케이스 내상
3 발포 수지
4,5 금형
10 금형 본체
10a 상면
11 제1 가이드 구멍
12 관통구
13 제2 가이드 구멍
14 제3 가이드 구멍
15 제1 언더컷 설치부
16 제2 언더컷 설치부
20 제1 금형 이동체
20a 측면
21 가이드봉
30 제2 금형 이동체
30a 측면
31 가이드봉
40 제3 금형 이동체
40a 측면
41 가이드봉
50 제4 금형 이동체
50a 측면
51 가이드봉
60 제1 구동수단
61a,61b 제1 및 제2 캠구
611a,611b 캠핀
62 복동실린더
63a,63b 제1 및 제2 캠팔로우어
631a,631b 캠슬롯
64a,64b 제1 및 제2 캠구 가이드
65a,65b 상하 연결막대
66 좌우 연결막대
70 제2 구동수단
71 캠구
711 캠핀
72 복동실린더
73 캠팔로우어
731 캠슬롯
74 캠구 가이드
75 좌우 연결막대
80 제3 구동수단
81 캠구
811 캠핀
82 복동실린더
83 캠팔로우어
831 캠슬롯
84 캠구 가이드
85 좌우 연결막대
90 제1 언더컷 구동체
91 브라켓
91a 힌지축
92 회동부
92a 언더컷부
95 제2 언더컷 구동체
96 브라켓
96a 힌지축
97 회동부
97a 언더컷부
본 발명은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 케이스의 외상과 내상 사이의 틈새에 발포 수지를 발포하여 충진하는 경우에 내상의 내면을 지지하기 위한 금형의 삽입 및 이탈이 용이한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실 및 냉동실을 형성하기 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냉장실 및 냉동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로 구성되는 바, 상기 케이스와 도어는 외상과 내상의 틈새에 단열을 위해 우레탄과 같은 발포 수지를 발포 충진하여 형성된다.
도 13은 상기 케이스에 발포 수지를 발포 충진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의 케이스는 외상(1)과 내상(2)의 틈새에 발포 수지(3)을 발포하여 충진시 틈새의 내부에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외상(1)과 내상(2)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외상(1)의 외측과 내상(2)의 내측은 각각 금형(4)(5)에 의해 지지된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케이스는 냉장실 및 냉동실이 깊은 박스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내상(2)의 내측을 지지하는 금형(5)은 깊이가 깊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삽입되었다가 이탈된다.
그러나, 상기 내상(2)의 내측을 지지하는 금형(5)은 내상(2)의 상부면(2a)으로부터 4개의 측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4개의 측부면(2b)이 금형(5)의 측면(5b)에 맞닿게 되어 삽입 및 이탈이 어렵게 된다.
특히, 발포 수지가 발포 충진된 다음에는 발포에 의한 압력으로 상기 내상(2)의 상부면(2a) 및 측부면(2b)은 상기 금형(5)의 상면(5a) 및 측면(5b)에 밀착되기 때문에 금형(5)을 내상(2)으로부터 이탈시키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탈 작업시 내상(2)의 내면에 스크랫치(scratch)가 발생되는 등 제품에 손상이 생기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 케이스의 외상과 내상 사이의 틈새에 발포 수지를 발포하여 충진하는 경우에 내상의 내면을 지지하기 위한 금형의 삽입 및 이탈이 용이한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은, 깊이가 깊은 박스 형상의 냉장고 케이스의 외상과 내상 사이에 수지를 발포하여 충진시 내상의 상부면과 4개의 측부면을 지지하기 위한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에 있어서, 상기 내상의 상부면의 내측에 접하는 상면이 구비된 금형 본체와, 외측에 상기 내상의 4개의 측부면 각각에 접하는 측면이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측면이 상기 내상의 측부면 각각에 접촉되고 떨어지는 방향으로 왕복이동되게 상기 본체에 각각 지지된 4개의 금형 이동체와, 상기 4개의 금형 이동체를 독립적으로 또는 일시에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4개의 금형 이동체는 금형 본체를 중심으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금형을 냉장고용 케이스의 내상의 내측으로 삽입 및 이탈시 금형 이동체를 금형 본체의 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체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은,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금형 이동체의 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왕복이동되게 상기 금형 본체에 지지되고, 소정 위치에 캠핀이 구비된 캠구와, 상기 캠구를 왕복으로 이동시키도록 일단은 상기 캠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금형 본체에 연결된 복동실린더와, 상기 금형 이동체 각각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금형 본체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먼 원점과 가까운 근점을 갖는 캠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캠핀이 상기 캠슬롯의 원점과 근점 사이에서 캠슬롯을 따라 왕복이동되도록 연결된 캠팔로우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캠구와 캠팔로우어가 구비된 구동수단은 구조가 간단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금형 이동체는 캠기구 및 실린더에 의해 확실하게 금형 본체에 연결되어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2)은, 금형 본체(10), 제1 내지 제4 금형 이동체(20)(30)(40)(50), 제1 내지 제3 구동수단(60)(70)(80), 제1 언더컷 구동체(90) 및 제2 언더컷 구동체(9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깊이가 깊은 박스 형상의 냉장고 케이스의 외상과 내상 사이에 수지를 발포하여 충진시 내상의 상부면과 4개의 측부면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금형 본체(10)는 냉장고용 케이스의 내상의 상부면 내측에 접하는 상면(10a)이 구비되고, 제1 내지 제4 금형 이동체(20)(30)(40)(50), 제1 내지 제3 구동수단(60)(70)(80), 제1 언더컷 구동체(90) 및 제2 언더컷 구동체(95)가 지지되어 설치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금형 본체(10)의 상면(10a)은 냉장고용 케이스 내 상의 상부면에 대응되는 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의 금형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금형 본체(10)의 폭방향(도면의 도시를 기준으로 함, 이하 동일함)으로의 양측 각각에는 제1 및 제2 금형 이동체(20)(30) 각각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금형 본체(10)의 양측에는 제1 및 제2 금형 이동체(20)(30) 각각의 내측에 구비된 가이드봉(21)(31)이 왕복으로 습동가능하게 삽입되기 위한 제1 가이드 구멍(11)이 양측에서 4개의 귀퉁이 근처에 형성된다. 또한, 금형 본체(10)의 양측 및 중앙 내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금형 이동체(20)(30)를 왕복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수단(60)이 설치된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 금형 이동체(20)(30)는 좌우로 대칭적인 구조를 갖고 상기 제 1 구동수단(60)에 의해 동시에 구동되기 때문에 상기 금형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구동수단(60)의 복동실린더(62)가 좌우의 중앙에 위치되고 좌우 연결막대(66)가 지나기 위한 관통구(1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금형 본체(10)의 전방(도면의 도시를 기준으로 함, 이하 동일함)에는 제3 금형 이동체(4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금형 본체(10)의 전방에는 상기 제3 금형 이동체(40)의 내측에 구비된 가이드봉(41)이 왕복으로 습동가능하게 삽입되기 위한 제2 가이드 구멍(13)이 전방에 4개의 귀퉁이 근처에 형성된다. 또한, 금형 본체(10)의 전방에는 상기 제3 금형 이동체(40)를 왕복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수단(7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금형 본체(10)의 후방(도면의 도시를 기준으로 함, 이하 동일 함)에는 제4 금형 이동체(5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금형 본체(10)의 후방에는 상기 제4 금형 이동체(50)의 내측에 구비된 가이드봉(51)이 왕복으로 습동가능하게 삽입되기 위한 제3 가이드 구멍(14)이 후방에 4개의 귀퉁이 근처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금형 본체(10)의 상부 후방에는 후방 상단부에 형성된 언더컷 부분을 지지하고 그 언더컷 부분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작동되는 제1 언더컷 구동체(90)가 설치되기 위한 제1 언더컷 설치부(15)가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중앙에서 폭방향으로 양측으로 형성된 언더컷 부분을 지지하고 그 언더컷 부분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작동되는 제2 언더컷 구동체(95)가 설치되기 위한 제2 언더컷 설치부(16)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금형 이동체(20)(30) 각각은 상기 금형 본체(10)의 양측 각각에 폭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냉장고용 케이스의 내상의 양측부면을 지지하도록 벌어지고 내상의 양측부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오므라들게 왕복이동된다. 상기 제1 및 제2 금형 이동체(20)(30)는 좌우 대칭적인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금형 이동체(2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의 제1 금형 이동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금형 이동체(20)의 외측에는 냉장고용 케이스의 내상 양측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측면(20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금형 이동체(20)의 내측에는 상기 금형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된 제1 가이드 구멍(11)에 삽입되어 가이드되기 위한 가이드봉(21)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봉(21)은 상기 제1 가이드 구멍(11)에 삽입되어 습동가능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제1 금형 이동체(20)는 상기 제1 가이드 구멍(11)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금형 본체(10)의 일측에서 상기 금형 본체(10)로부터 폭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왕복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제1 금형 이동체(20)의 왕복 이동은 상기 금형 본체(10)의 일측에서 상기 제1 금형 이동체(20) 사이에 설치된 제1 구동수단(60)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금형 이동체(20)의 내측에는 제1 구동수단(60)의 캠구(61a)의 캠핀(611a)이 슬라이딩되는 캠슬롯(631a)이 형성된 캠팔로우어(63)가 고정된다.
상기 제3 금형 이동체(40)는 상기 금형 본체(10)의 전방에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냉장고용 케이스의 내상의 전방 측부면을 지지하도록 벌어지고 내상의 전방 측부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오므라들게 왕복이동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의 제3 금형 이동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3 금형 이동체(40)의 전방에는 냉장고용 케이스의 내상 전방 측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측면(40a)이 형성된다. 상기 제3 금형 이동체(40)의 후방에는 상기 금형 본체(10)의 전방에 구비된 제2 가이드 구멍(13)에 삽입되어 가이드되기 위한 가이드봉(41)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봉(41)은 상기 제2 가이드 구멍(13)에 삽입되어 습동가능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제3 금형 이동체(40)는 상기 제2 가이드 구멍(13)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금형 본체(10)의 전방에서 전후방향으로 상기 금형 본체(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왕복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제3 금형 이동체(40)의 왕복 이동은 상기 금형 본체(10)의 전방에서 상기 제3 금형 이동체 (40) 사이에 설치된 제2 구동수단(70)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3 금형 이동체(40)의 내측에는 제2 구동수단(70)의 캠구(71)의 캠핀(711)이 슬라이딩되는 캠슬롯(731)이 형성된 캠팔로우어(73)가 고정된다.
상기 제4 금형 이동체(50)는 상기 금형 본체(10)의 후방에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냉장고용 케이스의 내상의 후방 측부면을 지지하도록 벌어지고 내상의 후방 측부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오므라들게 왕복이동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의 제4 금형 이동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4 금형 이동체(50)의 후방에는 냉장고용 케이스의 내상 후방 측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측면(50a)이 형성된다. 상기 제4 금형 이동체(50)의 전방에는 상기 금형 본체(10)의 후방에 구비된 제3 가이드 구멍(14)에 삽입되어 가이드되기 위한 가이드봉(51)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봉(51)은 상기 제3 가이드 구멍(14)에 삽입되어 습동가능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제4 금형 이동체(50)는 상기 제3 가이드 구멍(14)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금형 본체(10)의 후방에서 전후방향으로 상기 금형 본체(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왕복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제4 금형 이동체(50)의 왕복 이동은 상기 금형 본체(10)의 후방에서 상기 제4 금형 이동체(50) 사이에 설치된 제3 구동수단(80)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4 금형 이동체(50)의 내측에는 제3 구동수단(80)의 캠구(81)의 캠핀(811)이 슬라이딩되는 캠슬롯(831)이 형성된 캠팔로우어(83)가 고정된다.
상기 제1 구동수단(60)은 상기 제1 및 제2 금형 이동체(20)(30)을 왕복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금형 이동체(20)(30)은 좌우로 대칭적인 구조를 갖고 상기 제1 구동수단(60)에 의해 동시에 작동된다. 도 7은 제1 구동수단(60)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구동수단(60)은 제1 및 제2 캠구(61a)(61b), 복동실린더(62) 및 제1, 제2 캠팔로우어(63a)(6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캠구(61a)(61b) 각각은 길이가 긴 봉재로서 상기 금형 본체(10)의 양측에 한 쌍씩 설치되며, 한 쌍 각각은 금형 본체(10)의 양측 각각의 상부 및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나란히 설치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금형 본체(10)의 양측 각각에는 상기 제1 및 제2 캠구(61a)(61b) 각각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 및 제2 캠구 가이드(64a)(64b)가 금형 본체(10)의 양측 각각에 상하 2열로 배열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1 및 제2 캠구(61a)(61b) 각각은 상기 제1 캠구 가이드(64a)(64b)에 지지되어 금형 본체(10)의 양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금형 본체(10)의 양측 각각에 설치된 제1 및 제2 캠구(61a)61b) 각각은 상하 연결막대(65a)65b)로 연결되어 일체로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금형 본체(10)의 양측 각각에서 상하 한 쌍이 일체로 연결된 제1 캠구(61a)와 제2 캠구(61b)는 좌우 연결막대(66)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캠구(61a)(61b)에는 상기 제1 및 제2 금형 이동체(20)(30) 각각의 내측에 고정된 캠팔로우어(63a)(63b)에 형성된 캠슬롯(631a)(631b)에 연결되기 위한 캠핀(611a)(611b)이 상하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구동수단(60)의 복동실린더(62)는 상기 제1 및 제2 캠구(61a)(61b) 를 일체로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구동수단(60)의 복동실린더(62)는 일단은 상기 금형 본체(10)의 중앙에서 내부에 형성된 관통구(12)에 위치되어 실린더통은 상기 금형 본체(10)에 연결되고 실린더 로드는 상기 좌우 연결막대(66)에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 캠팔로우어(63a)(63b)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금형 이동체(20)(30) 각각의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및 제2 캠구(61a)(61b) 각각의 전후방향으로의 왕복운동을 폭방향으로의 왕복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캠팔로우어(63a)(63b) 각각에는 상기 금형 본체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먼 원점(F)과 가까운 근점(N)을 갖는 캠슬롯(631a)(631b)이 형성된다. 상기 캠슬롯(631a)(631b) 각각에는 상기 제1 및 제2 캠구(61a)(61b) 각각에 구비된 캠핀(611a)(611b)이 원점(F)과 근점(N) 사이에서 그 슬롯을 따라 왕복이동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제2 구동수단(70)은 상기 제3 금형 이동체(40)를 왕복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제2 구동수단(70)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구동수단(70)은 캠구(71), 복동실린더(72) 및 캠팔로우어(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구동수단(70)의 캠구(71)는 길이가 긴 봉재로서 상기 금형 본체(10)의 전방에 한 쌍이 설치되며, 한 쌍 각각은 금형 본체(10)의 전방의 좌우에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나란히 설치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금형 본체(10)의 전방에는 상기 제2 구동수단의 캠구(71) 각각을 가이드하기 위한 캠구 가 이드(74)가 금형 본체(10)의 전방에 좌우 2열로 배열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2 구동수단의 캠구(71)는 상기 캠구 가이드(74)에 지지되어 금형 본체(10)의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금형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된 제2 구동수단의 캠구(71)는 좌우 연결막대(75)로 연결되어 일체로 된다. 한편, 상기 제2 구동수단의 캠구(71)에는 상기 제3 금형 이동체(40)의 후방에 고정된 캠팔로우어(73)에 형성된 캠슬롯(731)에 연결되기 위한 캠핀(711)이 좌우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구동수단(70)의 복동실린더(72)는 상기 제2 구동수단의 캠구(71)를 일체로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 구동수단의 복동실린더(72)는 일단은 상기 금형 본체(10)의 전방에 위치되어 실린더통은 상기 금형 본체(10)에 연결되고 실린더 로드는 상기 좌우 연결막대(75)에 연결된다.
상기 제2 구동수단의 캠팔로우어(73)는 상기 제3 금형 이동체(40)의 후방에 고정되어 상기 제2 구동수단의 캠구(71)의 상하방향으로의 왕복운동을 전후방향으로의 왕복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구동수단의 캠팔로우어(73)에는 상기 금형 본체(10)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먼 원점(F)과 가까운 근점(N)을 갖는 캠슬롯(731)이 형성된다. 상기 캠슬롯(731) 각각에는 상기 제2 구동수단의 캠구(71) 각각에 구비된 캠핀(711)이 원점(F)과 근점(N) 사이에서 그 슬롯을 따라 왕복이동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제3 구동수단(80)은 상기 제4 금형 이동체(50)을 왕복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9는 제3 구동수단(80)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3 구동수단(80)은 캠구(81), 복동실린더(82) 및 캠팔로우어(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3 구동수단(80)의 캠구(81)는 길이가 긴 봉재로서 상기 금형 본체(10)의 후방에 한 쌍이 설치되며, 한 쌍 각각은 금형 본체(10)의 후방의 좌우에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나란히 설치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금형 본체(10)의 후방에는 상기 제3 구동수단의 캠구(81) 각각을 가이드하기 위한 캠구 가이드(84)가 금형 본체(10)의 후방에 좌우 2열로 배열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3 구동수단의 캠구(81)는 상기 캠구 가이드(84)에 지지되어 금형 본체(10)의 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금형 본체(10)의 후방에 설치된 제3 구동수단의 캠구(81)는 좌우 연결막대(85)로 연결되어 일체로 된다. 한편, 상기 제3 구동수단의 캠구(81)에는 상기 제4 금형 이동체(50)의 전방에 고정된 캠팔로우어(83)에 형성된 캠슬롯(831)에 연결되기 위한 캠핀(811)이 좌우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3 구동수단(80)의 복동실린더(82)는 상기 제3 구동수단의 캠구(81)를 일체로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3 구동수단의 복동실린더(82)는 일단은 상기 금형 본체(10)의 후방에 위치되어 실린더통은 상기 금형 본체(10)에 연결되고 실린더 로드는 상기 좌우 연결막대(85)에 연결된다.
상기 제3 구동수단의 캠팔로우어(83)는 상기 제4 금형 이동체(50)의 전방에 고정되어 상기 제3 구동수단의 캠구(81)의 상하방향으로의 왕복운동을 전후방향으로의 왕복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3 구동수단 의 캠팔로우어(83)에는 상기 금형 본체(10)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먼 원점(F)과 가까운 근점(N)을 갖는 캠슬롯(831)이 형성된다. 상기 캠슬롯(831) 각각에는 상기 제3 구동수단의 캠구(81) 각각에 구비된 캠핀(811)이 원점(F)과 근점(N) 사이에서 그 슬롯을 따라 왕복이동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제1 언더컷 구동체(90)는 상기 금형 본체(10)의 상부 후방에는 후방 상단부에 형성된 언더컷 부분을 지지하고 그 언더컷 부분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작동된다. 언더컷이란 금형을 내상으로부터 이탈시킬 때 지장이 있는 금형 또는 내상의 요철 부분을 말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의 제1 언더컷 구동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언더컷 구동체(90)는 상기 금형 본체(10)에 형성된 제1 언더컷 설치부(15)에 고정되는 브라켓(91)과, 언더컷부(92a)를 갖고 상기 언더컷부(92a)가 금형의 면으로부터 돌출되었다가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브라켓(91)에 구비된 힌지축(91a)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회동부(9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92)는 도면에 미도시된 구동수단(실린더)에 의해 왕복으로 회동된다.
상기 제2 언더컷 구동체(95)는 상기 금형 본체(10)의 중앙에서 폭방향으로 양측으로 형성된 언더컷 부분을 지지하고 그 언더컷 부분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작동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의 제2 언더컷 구동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언더컷 구동체(95)는 상기 금형 본체(10)에 형성된 제2 언더컷 설치부(16)에 고정되는 브라켓(96)과, 각각 언더컷부(97a)를 갖고 상기 언더컷부(92a)가 금형의 면으로부터 돌출되었다가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브라켓(95)의 좌우에 대칭적으로 구비된 힌지축(96a) 각각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회동부(9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97)는 도면에 미도시된 구동수단(실린더)에 의해 왕복으로 회동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은 금형 본체(10)을 중심으로 제1 내지 제4 금형 구동체(20)(30)(40)(50) 각각 4개의 측방향 각각으로 벌어지고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그 크기가 축소 및 확장되어 축소된 상태에서 냉장고용 케이스의 내상에 삽입 및 이탈됨으로써 내상에 걸리지 않게 되고, 확대된 상태에서 우레탄 발포시 발생되는 압력으로 내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냉장고용 케이스의 내상의 내측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은 냉장고용 케이스의 외상과 내상 사이의 틈새에 우레탄을 발포하여 충진하는 경우에 내상의 내면을 지지하기 위한 금형의 삽입 및 이탈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

  1. 깊이가 깊은 박스 형상의 냉장고 케이스의 외상과 내상 사이에 수지를 발포하여 충진시 내상의 상부면과 4개의 측부면을 지지하기 위한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에 있어서,
    상기 내상의 상부면의 내측에 접하는 상면이 구비된 금형 본체와,
    외측에 상기 내상의 4개의 측부면 각각에 접하는 측면이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측면이 상기 내상의 측부면 각각에 접촉되고 떨어지는 방향으로 왕복이동되게 상기 본체에 각각 지지된 4개의 금형 이동체와,
    상기 4개의 금형 이동체를 독립적으로 또는 일시에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
  2.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금형 이동체의 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왕복이동되게 상기 금형 본체에 지지되고, 소정 위치에 캠핀이 구비된 캠구와,
    상기 캠구를 왕복으로 이동시키도록 일단은 상기 캠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금형 본체에 연결된 복동실린더와,
    상기 금형 이동체 각각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금형 본체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먼 원점과 가까운 근점을 갖는 캠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캠핀이 상기 캠슬롯의 원점과 근점 사이에서 캠슬롯을 따라 왕복이동되도록 연결된 캠팔로우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
KR1020060013369A 2006-02-13 2006-02-13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 KR200700814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369A KR20070081478A (ko) 2006-02-13 2006-02-13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369A KR20070081478A (ko) 2006-02-13 2006-02-13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478A true KR20070081478A (ko) 2007-08-17

Family

ID=38611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369A KR20070081478A (ko) 2006-02-13 2006-02-13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147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616B1 (ko) * 2008-03-28 2009-12-3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냉장고 케이스의 발포 금형
KR101320112B1 (ko) * 2012-04-05 2013-10-18 에이테크솔루션(주) 냉장고 캐비닛 발포 금형
KR101347393B1 (ko) * 2012-10-19 2014-01-24 에이테크솔루션(주) 길이 가변이 용이한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
KR101485365B1 (ko) * 2014-08-29 2015-01-26 주식회사 은광기전 냉장고 케이스의 공용 발포 금형
KR20180063647A (ko) 2016-12-02 2018-06-12 주식회사 은광기전 냉장고 캐비닛 발포 금형 설비의 데크 상판 조절 장치
KR101946240B1 (ko) 2017-12-05 2019-05-20 (주)은광기전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
KR102093656B1 (ko) * 2018-09-21 2020-03-26 (주)은광기전 발포 성형시 냉장고 케이스의 언더컷 형상부의 압력의 지지가 가능한 냉장고 케이스의 발포 금형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케이스의 발포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616B1 (ko) * 2008-03-28 2009-12-3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냉장고 케이스의 발포 금형
KR101320112B1 (ko) * 2012-04-05 2013-10-18 에이테크솔루션(주) 냉장고 캐비닛 발포 금형
KR101347393B1 (ko) * 2012-10-19 2014-01-24 에이테크솔루션(주) 길이 가변이 용이한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
KR101485365B1 (ko) * 2014-08-29 2015-01-26 주식회사 은광기전 냉장고 케이스의 공용 발포 금형
WO2016032214A1 (ko) * 2014-08-29 2016-03-03 주식회사 은광기전 냉장고 케이스의 공용 발포 금형
KR20180063647A (ko) 2016-12-02 2018-06-12 주식회사 은광기전 냉장고 캐비닛 발포 금형 설비의 데크 상판 조절 장치
KR101946240B1 (ko) 2017-12-05 2019-05-20 (주)은광기전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
KR102093656B1 (ko) * 2018-09-21 2020-03-26 (주)은광기전 발포 성형시 냉장고 케이스의 언더컷 형상부의 압력의 지지가 가능한 냉장고 케이스의 발포 금형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케이스의 발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1478A (ko)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
KR101347393B1 (ko) 길이 가변이 용이한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
CN101482357B (zh) 用于冰箱的打开装置
CN101929785B (zh) 制冷机
CN107471543B (zh) 一种小家电显示面板注塑模具以及注塑工艺
KR100916837B1 (ko) 기종변경이 용이한 냉장고 도어 발포성형지그
EP3326780B1 (en) Undercut processing mechanism and molding die
KR20150031857A (ko) 금형장치
KR101436156B1 (ko) 링크 타입 언더컷취출부가 구비된 냉장고 내상 진공성형용 금형
KR101375207B1 (ko) 힌지 타입 언더컷취출부가 구비된 냉장고 내상 진공성형용 금형
CN210552451U (zh) 一种模具结构
KR100901197B1 (ko) 언더컷 취출이 가능한 냉장고 도어 백 성형용 금형
CN107901360B (zh) 一种具有延时功能的自动顶出装置及具有其的模具
CN110962279B (zh) 多腔体发泡柜用发泡模具及发泡方法
KR20000016491U (ko) 냉장고의 캐비넷 발포 성형 장치
KR20090103593A (ko) 냉장고 케이스의 발포 금형
KR200337334Y1 (ko) 언더컷 취출부를 가지는 냉장고 도어 백 성형용 금형
CN110962278B (zh) 快递柜用发泡模具及发泡方法
EP141708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jection molding products
JP2000313057A (ja) 押出ブロー成形機の吹込み装置
KR100542635B1 (ko) 유리선반 성형용 금형
CN220390201U (zh) 一种模具及注塑设备
CN220429257U (zh) 一种具有自动脱模机构的热压成型模具
CN209176083U (zh) 注塑装置
KR20040100494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