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240B1 -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 - Google Patents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240B1
KR101946240B1 KR1020170165942A KR20170165942A KR101946240B1 KR 101946240 B1 KR101946240 B1 KR 101946240B1 KR 1020170165942 A KR1020170165942 A KR 1020170165942A KR 20170165942 A KR20170165942 A KR 20170165942A KR 101946240 B1 KR101946240 B1 KR 101946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position variable
main
variable frame
main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룡
노은철
Original Assignee
(주)은광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은광기전 filed Critical (주)은광기전
Priority to KR1020170165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240B1/ko
Priority to PCT/KR2018/013745 priority patent/WO201911219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8Filling preformed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이 개시된다. 상기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은 메인부; 상기 메인부가 결합되는 메인금형 연결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위로 배치되게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와 결합되고 냉장고 케이스 생산라인 상에 위치한 금형고정데크와 연결되는 데크 연결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메인부가 결합되는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가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에 상에 설치되는 가동부재들과,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의 아래에서 상기 메인부 둘레를 에워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동부재들과 연결되어 상기 가동부재들에 의해 상기 메인부의 깊이 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와 접하거나 이격되도록 이동하여 위치가 가변되는 위치가변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COMMON USE FOR REFRIGERATOR CASE}
본 발명은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 케이스의 규격에 따라 냉장고 케이스의 깊이 방향으로 가변 가능한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캐비닛의 발포 공정은 고정식 발포 공정과 회전식 발포 공정으로 나누어 진다.
상기 고정식 발포 공정은 냉장고 캐비닛이 별도의 컨베이어(Conveyor)에 의해 이동 후 고정된 발포 장치 내부로 공급이 되고 하부의 픽스쳐(Fixture)가 상승하여 상부에 위치한 발포 금형과 합체되고, 합체시 상(Top)면, 하(Bottom)면, 측면의 지지구조물이 동작하여 캐비닛의 외곽을 고정하게 된다.
캐비닛의 고정이 끝나면 발포액이 주입되고 발포가 진행되어 경화가 끝날때까지 고정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경화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금형 합체부 및 고정지지구조물들이 동작하여 냉장고 캐비닛에서 이탈되고 하부 픽스쳐(Fixture)가 하강하여 취출 투입 컨베이어(Conveyor)를 통해 공정이 완료된 냉장고 캐비닛을 취출하고 다시 새로운 냉장고 캐비닛이 진입되어 다음 공정이 진행된다.
상기 회전식 발포 공정은 이동이 가능한 팰럿 타입(Pallet Type)의 설비에 발포 금형을 장착하고 이 금형이 일정한 궤도를 가지는 컨베이어(Conveyor)상에서 이동되며 일정 구간에서 금형 오픈(Open), 캐비닛 취출(Unloading), 클리닝(Cleaning), 캐비닛 반제품 공급(Loading), 발포액 주입, 금형 클로징(Closing), 컨베이어(Conveyor) 이동(경화 시간 동안) 등의 공정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냉장고 캐비닛의 발포 공정들 중 고정식 발포 공정에 이용되는 발포 금형은 냉장고 생산라인 상에 설치된 데크(DECK)장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는 도 1에 예시되어 있다.
고정식 발포설비에 장착하는 데크장치는 발포금형 제작시 기준이 되는 설비이다. 제품의 길이방향은 데크장치 상측부 가변으로 대응이 되며, 제품 폭방향은 설비측 월 프레임(WALL FRAME)의 가변으로 조절이 된다. 그러나 제품의 깊이방향으로의 가변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발포금형 제작시 홀더베이스부에서 제품 깊이 차이 치수만큼 다르게 각 금형마다 제작하여 사용한다. 이는, 결과적으로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생산 제품의 모델 변경시 발포 금형을 고정하고 있는 데크장치는 설비내 이동통로를 이용해 모델변경 금형 교환을 위한 장소로 이동하여 다른 모델의 생산을 위한 발포 금형으로 교환하여야 한다. 이는, 결과적으로 생산 과정을 지연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81478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냉장고 케이스의 규격에 따라 금형의 교체가 필요 없고, 금형 교체에 따른 시간이 절감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냉장고 케이스의 제작 설비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한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위치가변프레임부의 위치 이동 및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의 이동된 상태를 구속하기 위해 유압 또는 공압의 실린더장치를 채택하고, 실린더장치의 채택에 따라 위치가변프레임부의 위치를 구속하기 위한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의 이동 및 이동 상태를 유지시키는 과정이 소음 없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은 메인부; 상기 메인부가 결합되는 메인금형 연결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위로 배치되게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와 결합되고 냉장고 케이스 생산라인 상에 위치한 금형고정데크와 연결되는 데크 연결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메인부가 결합되는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가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에 상에 설치되는 가동부재들과,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의 아래에서 상기 메인부 둘레를 에워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동부재들과 연결되어 상기 가동부재들에 의해 상기 메인부의 깊이 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와 접하거나 이격되도록 이동하여 위치가 가변되는 위치가변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는 사각틀 형상의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안쪽에 구비되고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바 형상의 제1 보조프레임 및 제2 보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들은,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의 가장자리 중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의 장축 방향에 평행한 양측에 구비되어 피스톤로드가 상기 메인프레임의 제1 장축플레이트 및 제2 장축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로드가 신장되면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를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피스톤로드가 수축되면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를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에 접하도록 이동시키는 복수의 가동실린더; 상기 복수의 가동실린더와 이웃하도록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 상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1 가이드블록과, 상기 제1 가이드블록에 삽입되고 각각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장축플레이트 또는 제2 장축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복수의 가이드핀과, 상기 각각의 가이드핀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로드가 신장될 때 하강되는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복수의 제1 가이드블록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스톱퍼를 포함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의 가장자리 중 상기 메인프레임의 제1 단축플레이트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열되어 제1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단축플레이트, 상기 제1 단축플레이트에 수직한 제1 장축플레이트 및 제2 장축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가 상승 및 하강할 때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와 함께 자유상승 및 자유하강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1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 상에서 상기 제1 단축플레이트와 이격된 상기 제1 보조프레임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열되어 제2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보조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와 함께 자유상승 및 자유하강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2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 상에서 상기 제1 보조프레임과 이격된 제2 보조프레임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열되어 제3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보조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 및 제2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와 함께 자유상승 및 자유하강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3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 상기 메인프레임의 제1 단축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단축플레이트와 이격된 제1 보조프레임의 이격된 거리 내에서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의 가장자리 중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의 장축 방향에 평행한 양측에 구비되어 제4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장축플레이트 및 제2 장축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 제2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 및 제3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와 함께 자유상승 및 자유하강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4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1 단축플레이트의 반대측에 배치된 제2 단축플레이트측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열되어 제5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단축플레이트, 제1 장축플레이트 및 제2 장축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 제2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 제3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 및 제4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와 함께 자유상승 및 자유하강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5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 상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장축 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1 그룹 방향으로 전진하여 상기 제1 그룹 내에 속한 상기 복수의 제1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가 상승 및 하강한 상태를 구속하고, 후진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가 상승 및 하강한 상태의 구속을 해제하는 제1 구속부재; 및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 상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장축 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 그룹, 제3 그룹, 제4 그룹 및 제5 그룹 방향으로 전진하여 상기 제2 그룹, 제3 그룹, 제4 그룹 및 제5 그룹 내에 속한 각각의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가 상승 및 하강한 상태를 구속하고, 후진하여 상기 제2 그룹, 제3 그룹, 제4 그룹 및 제5 그룹 내에 속한 각각의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가 상승 및 하강한 상태의 구속을 해제하는 제2 구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5 그룹 내에 속한 각각의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는,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 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구속부재 및 제2 구속부재의 전진 및 후진 방향과 마주하도록 개방된 삽입구멍이 구비되는 제2 가이드블록; 및 상기 삽입구멍을 지나도록 상기 제2 가이드블록에 결합되어 하단부가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가이드블록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와 함께 자유상승 및 자유하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와 함께 자유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멍 내에 위치하는 제1 피구속홈 및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와 함께 자유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멍 내에 위치하는 제2 피구속홈을 포함하는 피구속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속부재는,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의 가장자리 중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의 장축방향에 평행한 양측에서 상기 제1 그룹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3 가이드블록; 각각의 제3 가이드블록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1 가이드샤프트; 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바의 양단이 상기 복수의 제1 가이드샤프트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1 그룹에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1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그룹에 속한 각각의 제2 가이드블록의 삽입구멍에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끝단부에 상기 제1 피구속홈 및 제2 피구속홈과 체결될 수 있는 핀구속홈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1 핀구속로드; 및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지지대를 상기 제1 단축플레이트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제1 작동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속부재는,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의 가장자리 중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4 가이드블록; 상기 복수의 제4 가이드블록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 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바의 양단이 상기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2 그룹에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2 지지대; 상기 제2 지지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그룹에 속한 각각의 제2 가이드블록의 삽입구멍에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끝단부에 상기 제1 피구속홈 및 제2 피구속홈과 체결될 수 있는 핀구속홈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핀구속로드; 상기 바의 양단이 상기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3 그룹에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3 지지대; 상기 제3 지지대 및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제3 그룹에 속한 각각의 제2 가이드블록의 삽입구멍에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끝단부에 상기 제1 피구속홈 및 제2 피구속홈과 체결될 수 있는 핀구속홈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3 핀구속로드; 상기 바의 양단이 상기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4 그룹에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4 지지대; 상기 제4 지지대에 결합되고, 상기 제4 그룹에 속한 각각의 제2 가이드블록의 삽입구멍에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끝단부에 상기 제1 피구속홈 및 제2 피구속홈과 체결될 수 있는 핀구속홈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4 핀구속로드; 상기 바의 양단이 상기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5 그룹에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5 지지대; 상기 제5 지지대 및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제5 그룹에 속한 각각의 제2 가이드블록의 삽입구멍에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끝단부에 상기 제1 피구속홈 및 제2 피구속홈과 체결될 수 있는 핀구속홈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5 핀구속로드; 및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4 지지대와 연결되고, 상기 제4 지지대를 상기 제2 단축플레이트 방향으로 전진시켜서 상기 제4 지지대와 연결된 상기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 및 상기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에 연결된 상기 제2 지지대, 제3 지지대, 제5 지지대도 함께 상기 제2 단축플레이트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복수의 제2 작동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핀구속로드는 상기 제1 작동실린더 및 복수의 제2 작동실린더의 피스톤 로드가 전진하면 핀구속홈이 상기 각각의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의 피구속핀이 상승 및 하강된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피구속홈 및 제2 피구속홈에 체결되어 상기 각각의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의 피구속핀의 이동 상태를 구속하고, 상기 제1 작동실린더 및 복수의 제2 작동실린더의 피스톤 로드가 후진하면 상기 제1 피구속홈 및 제2 피구속홈과 이격되어 상기 각각의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의 피구속핀의 이동 상태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에 의하면, 냉장고 케이스의 규격에 따라 금형의 교체가 필요 없고, 금형 교체에 따른 시간이 절감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냉장고 케이스의 제작 설비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위치가변프레임부의 위치 이동 및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의 이동된 상태를 구속하기 위해 유압 또는 공압의 실린더장치를 채택하고, 실린더장치의 채택에 따라 위치가변프레임부의 위치를 구속하기 위한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의 이동 및 이동 상태를 유지시키는 과정이 소음 없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발포 설비의 데크장치에 발포 금형이 고정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베이스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베이스부를 생략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각각의 피구속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의 위치가변프레임부가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하강된 위치가변프레임부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베이스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베이스부를 생략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각각의 피구속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은 메인부(100), 베이스부(200) 및 가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부(100)는 냉장고 케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냉장고의 케이스의 내부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틀이다. 일 예로, 상기 메인부(100)는 냉장고의 냉장실을 성형하기 위한 제1 성형부(101), 냉장고의 중실을 성형하기 위한 제2 성형부(102) 및 냉장고의 냉동실을 성형하기 위한 제3 성형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200)는 상기 메인부(100)가 결합되는 메인금형 연결부(210) 및 상기 베이스부(200)의 위로 배치되게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와 결합되고 냉장고 케이스 생산라인 상에 위치한 금형고정데크와 연결되는 데크 연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는 사각 형상일 수 있고, 상기 데크 연결부(220)는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가동부(300)는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에 상에 설치되는 가동부재들(301)과,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의 아래에서 상기 메인부(100) 둘레를 에워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동부재들(301)과 연결되어 상기 가동부재들(301)에 의해 상기 메인부(100)의 깊이 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와 접하거나 이격되도록 이동하여 위치가 가변되는 위치가변프레임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는 사각틀 형상의 메인프레임(3021) 및 상기 메인프레임(3021)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3021)의 안쪽에 구비되고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바 형상의 제1 보조프레임(3022) 및 제2 보조프레임(30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3021)은 사각틀 형상의 장축 방향에 평행한 제1 장축플레이트(3021a) 및 제2 장축플레이트(3021b)와, 사각틀 형상의 단축 방향에 평행한 제1 단축플레이트(3021c) 및 제2 단축플레이트(3021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프레임(3022) 및 제2 보조프레임(3023)은 상기 제1 장축플레이트(3021a) 및 제2 장축플레이트(3021b)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재들(301)은 복수의 가동실린더(310), 복수의 가이드부재(320), 복수의 제1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1), 복수의 제2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2), 복수의 제4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4), 복수의 제5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5), 제1 구속부재(340) 및 제2 구속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동실린더(310)는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의 가장자리 중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의 장축 방향에 평행한 양측에 구비되어 피스톤로드가 상기 메인프레임(3021)의 제1 장축플레이트(3021a) 및 제2 장축플레이트(3021b)에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로드가 신장되면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를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피스톤로드가 수축되면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를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에 접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가동실린더(310)는 4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2개는 제1 장축플레이트(3021a)에 연결되고, 나머지 2개는 제2 장축플레이트(3021b)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재(320)는 상기 복수의 가동실린더(310)와 이웃하도록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 상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1 가이드블록(321)과, 상기 제1 가이드블록(321)에 삽입되고 각각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장축플레이트(3021a) 또는 제2 장축플레이트(3021b)에 연결되는 복수의 가이드핀(322)과, 상기 각각의 가이드핀(322)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로드가 신장될 때 하강되는 상기 가이드핀(322)이 상기 복수의 제1 가이드블록(3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스톱퍼(3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톱퍼(323)는 원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1)는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의 가장자리 중 상기 메인프레임(3021)의 제1 단축플레이트(3021c)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열되어 제1 그룹(10)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단축플레이트(3021c), 상기 제1 단축플레이트(3021c)에 수직한 제1 장축플레이트(3021a) 및 제2 장축플레이트(3021b)에 연결되어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가 상승 및 하강할 때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와 함께 자유상승 및 자유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2)는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 상에서 상기 제1 단축플레이트(3021c)와 이격된 상기 제1 보조프레임(3022)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열되어 제2 그룹(20)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보조프레임(3022)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1)와 함께 자유상승 및 자유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3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3)는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 상에서 상기 제1 보조프레임(3022)과 이격된 제2 보조프레임(3023)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열되어 제3 그룹(30)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보조프레임(3023)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1) 및 제2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2)와 함께 자유상승 및 자유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4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4)는 상기 메인프레임(3021)의 제1 단축플레이트(3021c) 및 상기 제1 단축플레이트(3021c)와 이격된 제1 보조프레임(3022)의 이격된 거리 내에서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의 가장자리 중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의 장축 방향에 평행한 양측에 구비되어 제4 그룹(40)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장축플레이트(3021a) 및 제2 장축플레이트(3021b)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1), 제2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2) 및 제3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3)와 함께 자유상승 및 자유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5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5)는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1 단축플레이트(3021c)의 반대측에 배치된 제2 단축플레이트(3021d)측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열되어 제5 그룹(50)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단축플레이트(3021d), 제1 장축플레이트(3021a) 및 제2 장축플레이트(3021b)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1), 제2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2), 제3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3) 및 제4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4)와 함께 자유상승 및 자유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1, 332, 333, 334, 335)는 제2 가이드블록(3311, 3321, 3331, 3341, 3351) 및 피구속핀(3312, 3322, 3332, 3342, 33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블록(3311, 3321, 3331, 3341, 3351)은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 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구속부재(340) 및 제2 구속부재(350)의 전진 및 후진 방향과 마주하도록 개방된 삽입구멍(33111, 33211, 33311, 33411, 335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구속핀(3312, 3322, 3332, 3342, 3352)은 상기 삽입구멍(33111, 33211, 33311, 33411, 33511)을 지나도록 상기 제2 가이드블록(3311, 3321, 3331, 3341, 3351)에 결합되어 하단부가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를 관통하여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가이드블록(3311, 3321, 3331, 3341, 3351)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와 함께 자유상승 및 자유하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와 함께 자유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멍(33111, 33211, 33311, 33411, 33511) 내에 위치하는 제1 피구속홈(33121, 33221, 33321, 33421, 33521) 및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와 함께 자유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멍(33111, 33211, 33311, 33411, 33511) 내에 위치하는 제2 피구속홈(33122, 33222, 33322, 33422, 335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속부재(340)는 복수의 제3 가이드블록(341), 복수의 제1 가이드샤프트(342), 제1 지지대(343), 복수의 제1 핀구속로드(344) 및 제1 작동실린더(3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3 가이드블록(341)은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의 가장자리 중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의 장축방향에 평행한 양측에서 상기 제1 그룹(1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가이드샤프트(342)는 각각의 제3 가이드블록(3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가이드샤프트(342)는 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바의 양단이 상기 복수의 제1 가이드샤프트(342)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1 그룹(10)에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핀구속로드(344)는 상기 제1 지지대(343)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그룹(10)에 속한 각각의 제2 가이드블록(3311)의 삽입구멍(33111)에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끝단부에 상기 제1 피구속홈(33121) 및 제2 피구속홈(33122)과 체결될 수 있는 핀구속홈(34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구속홈(3441)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U자 형상의 개방된 부분이 상기 삽입구멍(33111)에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제1 작동실린더(345)는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대(343)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지지대(343)를 상기 제1 단축플레이트(3021c) 방향으로 전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작동실린더(345)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로드가 상기 제1 지지대(34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속부재(350)는 복수의 제4 가이드블록(351),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352), 제2 지지대(3531), 복수의 제2 핀구속로드(3541), 제3 지지대(3532), 복수의 제3 핀구속로드(3542), 제4 지지대(3533), 복수의 제4 핀구속로드(3543), 제5 지지대(3534), 복수의 제5 핀구속로드(3544) 및 복수의 제2 작동실린더(3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4 가이드블록(351)은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의 가장자리 중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352)는 상기 복수의 제4 가이드블록(35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352)는 2개일 수 있고, 각각의 제2 가이드샤프트(352)는 상기 제1 장축플레이트(3021a) 및 제2 장축플레이트(3021b)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대(3531)는 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바의 양단이 상기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352)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2 그룹(20)에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핀구속로드(3541)는 상기 제2 지지대(3531)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그룹(20)에 속한 각각의 제2 가이드블록(3321)의 삽입구멍(33211)에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끝단부에 상기 제1 피구속홈(33221) 및 제2 피구속홈(33222)과 체결될 수 있는 핀구속홈(354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구속홈(35411)의 형태는 상기 복수의 제1 핀구속로드(344)의 형태와 동일하다.
상기 제3 지지대(3532)는 상기 바의 양단이 상기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352)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3 그룹(30)에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3 핀구속로드(3542)는 상기 제3 지지대(3532) 및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352)에 결합되고, 상기 제3 그룹(30)에 속한 각각의 제2 가이드블록(3331)의 삽입구멍(33311)에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끝단부에 상기 제1 피구속홈(33321) 및 제2 피구속홈(33322)과 체결될 수 있는 핀구속홈(354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지지대(3533)는 상기 바의 양단이 상기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352)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4 그룹(40)에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4 핀구속로드(3543)는 상기 제4 지지대(3533)에 결합되고, 상기 제4 그룹(40)에 속한 각각의 제2 가이드블록(3341)의 삽입구멍(33411)에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끝단부에 상기 제1 피구속홈(33421) 및 제2 피구속홈(33422)과 체결될 수 있는 핀구속홈(354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지지대(3534)는 상기 바의 양단이 상기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352)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5 그룹(50)에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5 핀구속로드(3544)는 상기 제5 지지대(3534) 및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352)에 결합되고, 상기 제5 그룹(50)에 속한 각각의 제2 가이드블록(3351)의 삽입구멍(33511)에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끝단부에 상기 제1 피구속홈(33521) 및 제2 피구속홈(33522)과 체결될 수 있는 핀구속홈(354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작동실린더(355)는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4 지지대(3533)와 연결되고, 상기 제4 지지대(3533)를 상기 제2 단축플레이트(3021d) 방향으로 전진시켜서 상기 제4 지지대(3533)와 연결된 상기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352) 및 상기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352)에 연결된 상기 제2 지지대(3531), 제3 지지대(3532), 제5 지지대(3534)도 함께 상기 제2 단축플레이트(3021d) 방향으로 전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작동실린더(355)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로드가 상기 제4 지지대(353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핀구속로드(344, 3541, 3542, 3543, 3544)는 상기 제1 작동실린더(345) 및 복수의 제2 작동실린더(355)의 피스톤 로드가 전진하면 핀구속홈(3441, 35411, 35421, 35431, 35441)이 상기 각각의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1, 332, 333, 334, 335)의 피구속핀(3312, 3322, 3332, 3342, 3352)이 상승 및 하강된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피구속홈(33121, 33221, 33321, 33421, 33521) 및 제2 피구속홈(33122, 33222, 33322, 33422, 33522)에 체결되어 상기 각각의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1, 332, 333, 334, 335)의 피구속핀(3312, 3322, 3332, 3342, 3352)의 이동 상태를 구속하고, 상기 제1 작동실린더(345) 및 복수의 제2 작동실린더(355)의 피스톤 로드가 후진하면 상기 제1 피구속홈(33121, 33221, 33321, 33421, 33521) 및 제2 피구속홈(33122, 33222, 33322, 33422, 33522)과 이격되어 상기 각각의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1, 332, 333, 334, 335)의 피구속핀(3312, 3322, 3332, 3342, 3352)의 이동 상태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은 냉장고 케이스의 규격에 따라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의 위치가 가변되며, 이하에서는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의 위치가 가변되는 과정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의 위치가변프레임부가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하강된 위치가변프레임부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과 같이 위치가변프레임부(302)의 위치가 가변되지 않은 상태에서 소형 규격의 냉장고 케이스를 제작하고자 할 때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의 위치를 가변시킨다. 즉,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를 상기 메인부(100)의 깊이 방향을 따라 하강시킨다.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의 위치 이동은 상기 가동부재들(301)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복수의 가동실린더(310)의 피스톤로드가 하강하면 상기 피스톤로드에 연결된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가 상기 메인부(100)의 깊이 방향을 따라 도 6과 같이 하강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제1 가이드블록(321)에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가이드핀(322)도 함께 하강되어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핀(322)의 하강 높이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핀(322)의 상단부에 결합된 복수의 스톱퍼(323)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 복수의 스톱퍼(323)에 의해 제한되는 높이는 상기 메인부(100)의 깊이 방향이 상기 소형 냉장고 케이스의 깊이 규격에 대응하는 깊이를 갖도록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가 이동되는 높이이다.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가 하강된 상태는 제1 내지 제5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5)와 제1 구속부재(340) 및 제2 구속부재(350)에 의해 고정된다.
즉,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가 하강될 때 상기 제1 내지 제5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5) 각각의 피구속핀(3312, 3322, 3332, 3342, 3352)도 함께 하강되며, 이때 피구속핀(3312, 3322, 3332, 3342, 3352)의 제2 피구속홈(33122, 33222, 33322, 33422, 33522)이 각각의 제2 가이드블록(3311, 3321, 3331, 3341, 3351)의 삽입구멍(33111, 33211, 33311, 33411, 33511)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1 구속부재(340)의 제1 작동실린더(345) 및 제2 구속부재(350)의 복수의 제2 작동실린더(355)가 작동하여, 각각의 작동실린더(345, 355)의 피스톤로드가 전진한다. 이때, 상기 제1 구속부재(340)는 피스톤로드가 전진하여 제1 지지대(343)를 제1 단축플레이트(3021c) 방향으로 전진시키고, 상기 제2 구속부재(350)는 피스톤로드가 전진하여 제2 내지 제5 지지대(3534)를 제2 단축플레이트(3021d) 방향으로 전진시킨다.
상기 제1 지지대(343)가 전진되면 제1 지지대(343)에 결합된 복수의 제1 핀구속로드(344)는 제1 그룹(10) 내에 속한 각각의 제2 가이드블록(3311)의 삽입구멍(33111) 내에서 전진하여 복수의 제1 핀구속로드(344)의 핀구속홈(3441)의 안쪽 둘레는 복수의 제1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1) 각각의 피구속핀(3312)의 제2 피구속홈(33122)에 맞물리게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2 내지 제5 지지대(3531, 3532, 3533, 3534)가 전진되면 상기 제2 지지대(3531)에 결합된 복수의 제2 핀구속로드(3541), 상기 제3 지지대(3532) 및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352)에 결합된 복수의 제3 핀구속로드(3542), 상기 제4 지지대(3533)에 결합된 복수의 제4 핀구속로드(3543), 상기 제5 지지대(3534) 및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352)에 결합된 복수의 제5 핀구속로드(3544)는 각각, 상기 제2 내지 제5 그룹(20, 30, 40, 50) 내에 속한 각각의 제2 가이드블록(3321, 3331, 3341, 3351)의 삽입구멍(33211, 33311, 33411, 33511) 내에서 전진하여 복수의 제2 내지 제5 핀구속로드(3541, 3542, 3543, 3544) 각각의 핀구속홈(35411, 35421, 35431, 35441)의 안쪽 둘레는 복수의 제2 내지 제5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2, 333, 334, 335) 각각의 피구속핀(3322, 3332, 3342, 3352)의 제2 피구속홈(33222, 33322, 33422, 33522)에 맞물리게 체결된다.
한편, 대형 규격의 냉장고 케이스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위치가변프레임부(302)가 메인금형 연결부(210)에 접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소형 규격의 냉장고 케이스를 제작하기 위해 하강되어 있던 위치가변프레임부(302)를 도 7과 같이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에 접하도록 상승시킨다.
하강되어 있던 위치가변프레임부(302)를 상승시키기 위해, 먼저, 위치가변프레임부(302)의 하강된 상태를 구속하고 있던 제1 내지 제5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5)와 제1 구속부재(340) 및 제2 구속부재(350) 간의 결합을 해제하여 구속 상태를 해제한다.
즉, 상기 제1 구속부재(340)의 제1 작동실린더(345) 및 제2 구속부재(350)의 복수의 제2 작동실린더(355)가 작동하여, 각각의 작동실린더(355)의 피스톤로드가 후진하면 제1 지지대(343)를 제1 단축플레이트(3021c)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진시키고, 제2 내지 제5 지지대(3531, 3532, 3533, 3534)를 제2 단축플레이트(3021d)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진시킨다. 이에 의해, 제1 지지대(343)에 결합된 복수의 제1 핀구속로드(344) 각각의 핀구속홈(3441)의 안쪽 둘레는 복수의 제1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1) 각각의 피구속핀(3312)의 제2 피구속홈(33122)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2 지지대(3531)에 결합된 복수의 제2 핀구속로드(3541), 상기 제3 지지대(3532) 및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352)에 결합된 복수의 제3 핀구속로드(3542), 상기 제4 지지대(3533)에 결합된 복수의 제4 핀구속로드(3543), 상기 제5 지지대(3534) 및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352)에 결합된 복수의 제5 핀구속로드(3544) 각각의 핀구속홈(35411, 35421, 35431, 35441)의 안쪽 둘레는 복수의 제2 내지 제5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2, 333, 334, 335) 각각의 피구속핀(3322, 3332, 3342, 3352)의 제2 피구속홈(33222, 33322, 33422, 33522)으로부터 이격된다.
이어서, 복수의 가동실린더(310)는 피스톤로드가 상승하도록 동작하여 상기 피스톤로드에 연결된 위치가변프레임부(302)를 상기 메인부(100)의 깊이 방향을 따라 상승시키고, 이때 하강되었던 상기 복수의 가이드핀(322)도 함께 상승하면서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와 같이 상승된 위치가변프레임부(302)의 상승된 상태는 제1 내지 제5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5)와 제1 구속부재(340) 및 제2 구속부재(350)에 의해 구속되어 유지된다. 이 과정은, 상기 제1 내지 제5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1, 332, 333, 334, 335) 각각의 피구속핀(3312, 3322, 3332, 3342, 3352)이 상승하여 각각의 피구속핀(3312, 3322, 3332, 3342, 3352)의 제1 피구속홈(33121, 33221, 33321, 33421, 33521)이 각각의 제2 가이드블록(3311, 3321, 3331, 3341, 3351)의 삽입구멍(33111, 33211, 33311, 33411, 33511) 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내지 제5 핀구속로드(344, 3541, 3542, 3543, 3544) 각각의 핀구속홈(3441, 35411, 35421, 35431, 35441)이 상기 제1 피구속홈(33121, 33221, 33321, 33421, 33521)에 맞물리게 체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하강된 위치가변프레임부(302)가 하강된 상태가 구속되는 과정과 동일하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동일 품종이고 규격이 다른 냉장고 케이스를 제작할 때 냉장고 케이스의 깊이가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각 규격에 맞는 발포 금형을 이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으나, 이러한 문제는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을 이용하면 해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은 위치가변프레임부(302)를 가변시키는 것에 의해 냉장고 케이스의 소형 규격의 깊이에 맞도록 메인부(100)의 깊이 방향의 성형 영역의 깊이를 조절하여 소형 규격의 냉장고 케이스의 깊이에 맞는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 케이스의 규격에 따라 메인부(100)를 교체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메인부(100)를 교체하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절감되므로 냉장고 케이스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냉장고 케이스의 규격에 따른 각각의 발포 금형을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냉장고 케이스의 발포금형 제작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의 개발을 통해,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의 위치 이동 및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의 이동된 상태를 구속하기 위해 유압 또는 공압의 실린더장치를 채택하고, 실린더장치의 채택에 따라 위치가변프레임부(302)의 위치를 구속하기 위한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의 이동 및 이동 상태를 유지시키는 과정이 소음 없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의 메인부(100)는 금속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금속재의 메인부(100)의 표면에는 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시키기 위해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으며,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의 표면 도포재료는 벤조트리아졸 35중량%, 보론 5중량%, CMC(Carboxy Methyl Cellulose) 5중량%, 지르코늄 5중량%, 티타늄 5중량%, 산화알루미늄(Al₂O₃) 45중량%로 구성된다.
벤조트리아졸은 부식방지 및 변색방지 등의 목적으로 첨가되며, 보론은 탈산제 등의 역할을 한다.
CMC(Carboxy Methyl Cellulose)는 흡수성이 큰 백색 또는 미백색의 분말로서 물에 용이하게 녹아 점성을 나타내며, 피막을 형성하고 분산제 등의 역할을 한다.
지르코늄은 내마모성 및 내부식성 등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티타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배합한다.
산화알루미늄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을 상기와 같이 수치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의 위치가변프레임부(302)의 메인프레임(3021) 표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이 도포된 오염방지도포층이 형성된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수산화나트륨 및 알킬 베타인이 포함되어 있고, 수산화나트륨 및 알킬 베타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 10 중량%이다.
상기 수산화나트륨 및 알킬 베타인은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메인프레임(3021)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 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메인부 200 : 베이스부
300 : 가동부 301 : 가동부재들
302 : 위치가변프레임부

Claims (3)

  1. 메인부(100);
    상기 메인부(100)가 결합되는 메인금형 연결부(210) 및 베이스부(200)의 위로 배치되게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와 결합되고 냉장고 케이스 생산라인 상에 위치한 금형고정데크와 연결되는 데크 연결부(220)를 포함하는 상기 베이스부(200); 및
    상기 메인부(100)가 결합되는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의 일면에 결합되는 가동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300)는,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에 상에 설치되는 가동부재들(301)과,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의 아래에서 상기 메인부(100) 둘레를 에워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동부재들(301)과 연결되어 상기 가동부재들(301)에 의해 상기 메인부(100)의 깊이 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와 접하거나 이격되도록 이동하여 위치가 가변되는 위치가변프레임부(302)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는 사각틀 형상의 메인프레임(3021) 및 상기 메인프레임(3021)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3021)의 안쪽에 구비되고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바 형상의 제1 보조프레임(3022) 및 제2 보조프레임(3023)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들(301)은,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의 가장자리 중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의 장축 방향에 평행한 양측에 구비되어 피스톤로드가 상기 메인프레임(3021)의 제1 장축플레이트(3021a) 및 제2 장축플레이트(3021b)에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로드가 신장되면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를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피스톤로드가 수축되면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를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에 접하도록 이동시키는 복수의 가동실린더(310);
    상기 복수의 가동실린더(310)와 이웃하도록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 상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1 가이드블록(321)과, 상기 제1 가이드블록(321)에 삽입되고 각각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장축플레이트(3021a) 또는 제2 장축플레이트(3021b)에 연결되는 복수의 가이드핀(322)과, 상기 각각의 가이드핀(322)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로드가 신장될 때 하강되는 상기 가이드핀(322)이 상기 복수의 제1 가이드블록(3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스톱퍼(323)를 포함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320);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의 가장자리 중 상기 메인프레임(3021)의 제1 단축플레이트(3021c)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열되어 제1 그룹(10)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단축플레이트(3021c), 상기 제1 단축플레이트(3021c)에 수직한 제1 장축플레이트(3021a) 및 제2 장축플레이트(3021b)에 연결되어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가 상승 및 하강할 때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와 함께 자유상승 및 자유하강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1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1);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 상에서 상기 제1 단축플레이트(3021c)와 이격된 상기 제1 보조프레임(3022)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열되어 제2 그룹(20)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보조프레임(3022)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1)와 함께 자유상승 및 자유하강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2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2);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 상에서 상기 제1 보조프레임(3022)과 이격된 제2 보조프레임(3023)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열되어 제3 그룹(30)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보조프레임(3023)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1) 및 제2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2)와 함께 자유상승 및 자유하강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3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3);
    상기 메인프레임(3021)의 제1 단축플레이트(3021c) 및 상기 제1 단축플레이트(3021c)와 이격된 제1 보조프레임(3022)의 이격된 거리 내에서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의 가장자리 중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의 장축 방향에 평행한 양측에 구비되어 제4 그룹(40)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장축플레이트(3021a) 및 제2 장축플레이트(3021b)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1), 제2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2) 및 제3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3)와 함께 자유상승 및 자유하강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4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4);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1 단축플레이트(3021c)의 반대측에 배치된 제2 단축플레이트(3021d)측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열되어 제5 그룹(50)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단축플레이트(3021d), 제1 장축플레이트(3021a) 및 제2 장축플레이트(3021b)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1), 제2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2), 제3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3) 및 제4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4)와 함께 자유상승 및 자유하강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5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5);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 상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3021)의 장축 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1 그룹(10) 방향으로 전진하여 상기 제1 그룹(10) 내에 속한 상기 복수의 제1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1)가 상승 및 하강한 상태를 구속하고, 후진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1)가 상승 및 하강한 상태의 구속을 해제하는 제1 구속부재(340); 및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 상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3021)의 장축 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 그룹(20), 제3 그룹(30), 제4 그룹(40) 및 제5 그룹(50) 방향으로 전진하여 상기 제2 그룹(20), 제3 그룹(30), 제4 그룹(40) 및 제5 그룹(50) 내에 속한 각각의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2, 333, 334, 335)가 상승 및 하강한 상태를 구속하고, 후진하여 상기 제2 그룹(20), 제3 그룹(30), 제4 그룹(40) 및 제5 그룹(50) 내에 속한 각각의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2, 333, 334, 335)가 상승 및 하강한 상태의 구속을 해제하는 제2 구속부재(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그룹(10, 20, 30, 40, 50) 내에 속한 각각의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1, 332, 333, 334, 335)는,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 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구속부재(340) 및 제2 구속부재(350)의 전진 및 후진 방향과 마주하도록 개방된 삽입구멍(33111, 33211, 33311, 33411, 33511)이 구비되는 제2 가이드블록(3311, 3321, 3331, 3341, 3351); 및
    상기 삽입구멍(33111, 33211, 33311, 33411, 33511)을 지나도록 상기 제2 가이드블록(3311, 3321, 3331, 3341, 3351)에 결합되어 하단부가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를 관통하여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가이드블록(3311, 3321, 3331, 3341, 3351)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와 함께 자유상승 및 자유하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와 함께 자유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멍(33111, 33211, 33311, 33411, 33511) 내에 위치하는 제1 피구속홈(33121, 33221, 33321, 33421, 33521) 및 상기 위치가변프레임부(302)와 함께 자유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멍(33111, 33211, 33311, 33411, 33511) 내에 위치하는 제2 피구속홈(33122, 33222, 33322, 33422, 33522)을 포함하는 피구속핀(3312, 3322, 3332, 3342, 335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속부재(340)는,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의 가장자리 중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의 장축방향에 평행한 양측에서 상기 제1 그룹(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3 가이드블록(341);
    각각의 제3 가이드블록(341)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1 가이드샤프트(342);
    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바의 양단이 상기 복수의 제1 가이드샤프트(342)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1 그룹(10)에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1 지지대(343);
    상기 제1 지지대(343)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그룹(10)에 속한 각각의 제2 가이드블록(3311, 3321, 3331, 3341, 3351)의 삽입구멍(33111, 33211, 33311, 33411, 33511)에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끝단부에 상기 제1 피구속홈(33121, 33221, 33321, 33421, 33521) 및 제2 피구속홈(33122, 33222, 33322, 33422, 33522)과 체결될 수 있는 핀구속홈(3441)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1 핀구속로드(344); 및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대(343)와 연결되고, 상기제1 지지대(343)를 상기 제1 단축플레이트(3021c)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제1 작동실린더(345)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속부재(350)는,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의 가장자리 중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4 가이드블록(351);
    상기 복수의 제4 가이드블록(351)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352);
    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바의 양단이 상기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352)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2 그룹(20)에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2 지지대(3531);
    상기 제2 지지대(3531)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그룹(20)에 속한 각각의 제2 가이드블록(3311, 3321, 3331, 3341, 3351)의 삽입구멍(33111, 33211, 33311, 33411, 33511)에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끝단부에 상기 제1 피구속홈(33121, 33221, 33321, 33421, 33521) 및 제2 피구속홈(33122, 33222, 33322, 33422, 33522)과 체결될 수 있는 핀구속홈(3441)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핀구속로드(3541);
    상기 바의 양단이 상기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352)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3 그룹(30)에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3 지지대(3532);
    상기 제3 지지대(3532) 및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352)에 결합되고, 상기 제3 그룹(30)에 속한 각각의 제2 가이드블록(3311, 3321, 3331, 3341, 3351)의 삽입구멍(33111, 33211, 33311, 33411, 33511)에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끝단부에 상기 제1 피구속홈(33121, 33221, 33321, 33421, 33521) 및 제2 피구속홈(33122, 33222, 33322, 33422, 33522)과 체결될 수 있는 핀구속홈(3441)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3 핀구속로드(3542);
    상기 바의 양단이 상기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352)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4 그룹(40)에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4 지지대(3533);
    상기 제4 지지대(3533)에 결합되고, 상기 제4 그룹(40)에 속한 각각의 제2 가이드블록(3311, 3321, 3331, 3341, 3351)의 삽입구멍(33111, 33211, 33311, 33411, 33511)에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끝단부에 상기 제1 피구속홈(33121, 33221, 33321, 33421, 33521) 및 제2 피구속홈(33122, 33222, 33322, 33422, 33522)과 체결될 수 있는 핀구속홈(3441)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4 핀구속로드(3543);
    상기 바의 양단이 상기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352)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5 그룹(50)에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5 지지대(3534);
    상기 제5 지지대(3534) 및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352)에 결합되고, 상기 제5 그룹(50)에 속한 각각의 제2 가이드블록(3311, 3321, 3331, 3341, 3351)의 삽입구멍(33111, 33211, 33311, 33411, 33511)에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끝단부에 상기 제1 피구속홈(33121, 33221, 33321, 33421, 33521) 및 제2 피구속홈(33122, 33222, 33322, 33422, 33522)과 체결될 수 있는 핀구속홈(3441)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5 핀구속로드(3544); 및
    상기 메인금형 연결부(210)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4 지지대(3533)와 연결되고, 상기 제4 지지대(3533)를 상기 제2 단축플레이트(3021d) 방향으로 전진시켜서 상기 제4 지지대(3533)와 연결된 상기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352) 및 상기 복수의 제2 가이드샤프트(352)에 연결된 상기 제2 지지대(3531), 제3 지지대(3532), 제5 지지대(3534)도 함께 상기 제2 단축플레이트(3021d)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복수의 제2 작동실린더(355)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핀구속로드(344, 3541, 3542, 3543, 3544)는 상기 제1 작동실린더(345) 및 복수의 제2 작동실린더(355)의 피스톤 로드가 전진하면 핀구속홈(3441)이 상기 각각의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1, 332, 333, 334, 335)의 피구속핀(3312, 3322, 3332, 3342, 3352)이 상승 및 하강된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피구속홈(33121, 33221, 33321, 33421, 33521) 및 제2 피구속홈(33122, 33222, 33322, 33422, 33522)에 체결되어 상기 각각의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1, 332, 333, 334, 335)의 피구속핀(3312, 3322, 3332, 3342, 3352)의 이동 상태를 구속하고, 상기 제1 작동실린더(345) 및 복수의 제2 작동실린더(355)의 피스톤 로드가 후진하면 상기 제1 피구속홈(33121, 33221, 33321, 33421, 33521) 및 제2 피구속홈(33122, 33222, 33322, 33422, 33522)과 이격되어 상기 각각의 위치가변프레임지지부재(331, 332, 333, 334, 335)의 피구속핀(3312, 3322, 3332, 3342, 3352)의 이동 상태의 구속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
KR1020170165942A 2017-12-05 2017-12-05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 KR101946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942A KR101946240B1 (ko) 2017-12-05 2017-12-05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
PCT/KR2018/013745 WO2019112198A1 (ko) 2017-12-05 2018-11-12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942A KR101946240B1 (ko) 2017-12-05 2017-12-05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6240B1 true KR101946240B1 (ko) 2019-05-20

Family

ID=66678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942A KR101946240B1 (ko) 2017-12-05 2017-12-05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46240B1 (ko)
WO (1) WO20191121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5688A (zh) * 2022-05-18 2022-08-16 黄石东贝制冷有限公司 一种发泡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21746A (zh) * 2021-03-15 2021-06-25 滁州市博精模具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箱发模具的涨缩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1478A (ko) 2006-02-13 2007-08-17 주식회사 은광기전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
KR101485365B1 (ko) * 2014-08-29 2015-01-26 주식회사 은광기전 냉장고 케이스의 공용 발포 금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1818B2 (ja) * 2001-07-10 2006-04-26 東芝機械株式会社 型締装置
JP5556727B2 (ja) * 2011-04-07 2014-07-23 株式会社デンソー 型締装置および成形装置
KR101347393B1 (ko) * 2012-10-19 2014-01-24 에이테크솔루션(주) 길이 가변이 용이한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
KR101353675B1 (ko) * 2012-11-06 2014-01-21 이종식 자동차 내장재 플로어 카펫트의 홀 천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1478A (ko) 2006-02-13 2007-08-17 주식회사 은광기전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
KR101485365B1 (ko) * 2014-08-29 2015-01-26 주식회사 은광기전 냉장고 케이스의 공용 발포 금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5688A (zh) * 2022-05-18 2022-08-16 黄石东贝制冷有限公司 一种发泡模
CN114905688B (zh) * 2022-05-18 2023-06-27 黄石东贝制冷有限公司 一种发泡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12198A1 (ko)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240B1 (ko) 냉장고 케이스 제조용 높이 가변형 공용 발포 금형
CN102892570B (zh) 改进的立体成型机
CN103889686B (zh) 吹塑模单元、吹塑成形机以及吹塑模单元的更换方法
JP2001198972A (ja) 内部に補強材を有するブロー成形品、並びにその成形装置及びその成形方法
US20150165710A1 (en) Combination apparatus of cold isostatic press and general press
CN105946202A (zh) 吹塑模单元和使用该吹塑模单元的吹塑成形机
CN105328677A (zh) 一种模具分类放置架
DE60101203T2 (de) Verfahren zum Formen von Einlageteilen und Metallform dafür
AU2011253720A1 (en) Moulding and fitting together system
CN107297397A (zh) 整形装置
CN218015717U (zh) 一种方便脱膜的压铸模具
CN209737860U (zh) 异形门压制装置及木门生产线
CN205871056U (zh) 一种注塑模具
CN215969895U (zh) 一种橡胶件成型模具及硫化机
KR102106302B1 (ko) 길이 가변이 가능한 냉장고 케이스의 3모델 공용 발포금형
KR100924926B1 (ko) 앵글러캠과 앵글러블록을 이용한 언더컷 처리 금형
KR101582589B1 (ko) 암형 나사면을 갖는 제품의 사출 성형 금형
JP6213773B2 (ja) 断熱箱体の製造装置
CN106273198A (zh) 一种气动式扩涨箱发结构
KR20060110929A (ko) 스프링 백 방지기능을 갖는 프레스 장치
EP2528722B1 (en) Mould for injection-moulding of plastic parts
US5230904A (en) Apparatus for fully supporting appliance cabinet interior
US8758666B2 (en) Apparatus for fabricating parts and method of forming the apparatus
CN210282966U (zh) 一种液态硅胶模具
CN215148301U (zh) 一种smc汽车件生产用定位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