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0608A - 인테그럴 포토그래피 플라스틱 시트 - Google Patents

인테그럴 포토그래피 플라스틱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0608A
KR20070080608A KR1020070063470A KR20070063470A KR20070080608A KR 20070080608 A KR20070080608 A KR 20070080608A KR 1020070063470 A KR1020070063470 A KR 1020070063470A KR 20070063470 A KR20070063470 A KR 20070063470A KR 20070080608 A KR20070080608 A KR 20070080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nsional
printing
convex lens
printed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3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3079B1 (ko
Inventor
최수인
Original Assignee
최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수인 filed Critical 최수인
Priority to KR1020070063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079B1/ko
Publication of KR20070080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608A/ko
Priority to CA002691735A priority patent/CA2691735A1/en
Priority to MX2009014230A priority patent/MX2009014230A/es
Priority to EA201070067A priority patent/EA019106B1/ru
Priority to EP07808312A priority patent/EP2179321A4/en
Priority to US12/665,507 priority patent/US20110058254A1/en
Priority to PCT/KR2007/004522 priority patent/WO2009001983A1/en
Priority to BRPI0721771-4A priority patent/BRPI0721771A2/pt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079B1/ko
Priority to CO10008303A priority patent/CO6300816A2/es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6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two different directions in a plane, e.g. honeycomb arrangement of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0Systems using moiré frin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5/00Viewers, other than projection viewers, giving motion-picture effects by persistence of vision, e.g. zoetrope
    • G03B25/02Viewers, other than projection viewers, giving motion-picture effects by persistence of vision, e.g. zoetrope with interposed lenticular or line scre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9/00Stereo-photographic or similar proce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플라스틱 시트의 표면에 반구형의 볼록렌즈들이 가로세로 배열을 이루는 볼록렌즈층이 형성되어 시트의 전면에서 볼 때 방향에 관계없이 선명한 입체영상을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종래의 인테그럴 포토그래피(IP:integral photography) 인쇄방식을 개선하여 컴퓨터그래픽에 의한 인쇄방식으로 재구성하고, 인테그럴 포토그래피의 특수효과장점 과 대량생산에 적합한 인쇄를 적용하며, 이런 인쇄방식에서 발생될 수 있는 모아래(moire) 현상 및 글리터(Glitter) 현상을 최소화시켜 선명한 입체 또는 특수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투명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그 상면에는 반구형의 볼록렌즈(11)들이 가로세로 배열을 이루어 형성된 볼록렌즈층(10)과; 상기 볼록렌즈층(10)의 하부에 위치되어 볼록렌즈(11)의 준(準)초점거리와 상응하는 두께의 합성수지 판재로 형성된 투명시트(20)와; 상기 투명시트(20)의 하면에 FM 스크린 방식에 의한 미세도트 구조(80)로 인쇄 되어 실사(實寫)를 볼 수 있도록 구성된 그래픽 인쇄면(41)과; 상기 그래픽 인쇄면(41)과 같은 준(準)초점거리에 인쇄 되며, 컴퓨터그래픽에 의하여 계산되어 영상 처리된 그래픽이 입체화면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된 입체 인쇄면(42, 42-1)과; 상기 볼록렌즈층(10)과 인쇄면(41)(42, 42-1)들이 준(準)초점거리 간격의 투명시트(20)에 서로 상응하는 시각적인 배열을 이루어 한 장의 시트로 형성된 인테그럴 포토그래피 입체플라스틱 시트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인테그럴 포토그래피 플라스틱 시트{Integral Photography plastic sheet by special prin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인쇄방식을 일실시예로 예시한 일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및 부분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부분설명 확대도,
도 5-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정(正)초점거리 인쇄층에 의한 입체 플라스틱 시트의 부분도면,
도 5-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비(非)초점거리 인쇄층에 의한 입체 플라스틱 시트의 부분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일반적인 그림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그래픽인쇄면과 입체 인쇄면을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입체인쇄면과 특수효과 인쇄면을 예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서 인쇄 되는 별색 또는 4도 망점들의 기울기 각도를 나타낸 도면,
도 10는 본 발명에 의한 볼록렌즈층에서 볼록렌즈들이 45°기울기를 이루어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볼록렌즈층에서 볼록렌즈들이 60°기울기를 이루어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준(準)초점거리 인쇄층에 의한 입체 플라스틱 시트
2 : 정(正)초점거리 인쇄층에 의한 입체 플라스틱 시트
3 ; 비(非)초점거리 인쇄층에 의한 입체 플라스틱 시트
10 : 볼록렌즈층 11 : 볼록렌즈
14 : 초점 형성각 20 : 투명시트
30 : 비(非)초점거리
40 : 준(準)초점거리 [정(正)초점거리보다 짧은]
40-1 : 준(準)초점거리 [정(正)초점거리보다 긴]
41 : 그래픽 인쇄면 42 : 입체 인쇄면
42-1 : 특수효과 인쇄면
43 : 준(準)초점거리 인쇄층 50 : 정(正)초점거리
53 : 정(正)초점거리 인쇄층
60 : FM 스크린방식의 미세도트
61 : 낱개의 볼록렌즈를 통해 보이는 준(準)초점거리의 미세도트
62 : 낱개의 볼록렌즈를 통해 보이는 정(正)초점거리의 미세도트
63 : 낱개의 볼록렌즈를 통해 보이는 비(非)초점거리의 미세도트
70 : AM 스크린방식에 의한 인쇄용 망점구조
80 : FM 스크린방식에 의한 인쇄용 미세도트 구조
90 : 입체영상으로 표현되기 위한 영상 분리된 화상(그래픽 패턴)
91 : 볼록렌즈들을 통하여 입체적으로 보이게 될 영역
92 : 볼록렌즈들을 통하여 입체적으로 군집되어 비춰지는 영상조합 화상
본 발명은 인테그럴 포토그래피(IP:integral photography)를 이용한 입체방식으로써, 1908년 프랑스의 Gabriel, M. Lippmann 에 의해 제안된 방법이지만 당시에는 고도의 정밀공작기술과 고도의 영상분해 사진기술을 필요로 했기 때문에 실용화가 어려웠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양한 기술개발 및 디지털 출력에 의한 다양한 인쇄기술의 발달로 실용화의 길이 열리게 되었다.
이런 입체표현 방식은 컴퓨터그래픽의 발달이 더욱 가능하게 했으며, 심지어는 가정용 잉크젯 프린트 방식으로도 입체인쇄물을 제작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이런 잉크젯 프린트 방식은 일반적으로 그 인쇄 속도가 매우 늦어 대량생산에는 부적합한 방법이다.
따라서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전통적인 인쇄방식 즉 오프셋, 그라비아, 플렉소 인쇄 등을 사용하는데 모두가 잉크전이방법으로써 망점스크린 인쇄방식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런 망점스크린 인쇄방식은 인테그럴 포토그래피(IP:integral photography)방식의 입체인쇄에 있어서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망점스크린의 패턴각도에 의해서 입체영상제품에 모아래(moire)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주로 주요그림 또는 색상을 형성하는 4도(C,M,Y,K) 망점의 스크린 배열각도가 입체 플라스틱 시트의 볼록렌즈들의 배열과 서로 상충되고, 4도의 망점들이 낱개의 볼록렌즈들에 의하여 확대되어, 또다른 어지러운 패턴이 형성되어 보이는 즉, 모아래(moire)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 주로 별색1도 로 이루어지는 입체패턴의 인쇄는 정상적으로 보이지만, 4도 망점스크린인쇄에 의한 그림들은 모아래(moire) 현상 때문에 그 품질이 떨어지고 입체감 또는 특수효과를 반감시키는 결과를 낳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방식은 이런 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입체를 표현하는 입체인쇄면과 주요그림 또는 색상을 형성하는 그래픽인쇄면을 서로 분리하여 인쇄하되, 주로 별색인쇄의 입체인쇄면은 볼록렌즈의 초점거리에 위치하게 하고, 주요그림 또는 색상을 표현하는 그래픽인쇄면은 볼록렌즈면 과 가까운 비 초점거리에 형성하게 하여 볼록렌즈들의 돋보기 효과에서 벗어나는 방식을 써서 모아래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을 쓰기도 하지만, 분리하여 인쇄하고 다시 결합시켜야하는 2중 작업으로 작업성이 떨어져,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하는 폐단을 발생하게 된다.
또 다른 모아래(moire)현상 제거방법은 주로 별색으로 처리된 입체인쇄면과 주요그림 또는 색상을 표현하는 그래픽인쇄면이 입체 플라스틱 시트의 하면에 같이 인쇄를 하되, 주요그림 인쇄면의 직상부에 위치한 볼록렌즈상면에 투명잉크수지를 인쇄함으로써 모아래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을 쓰기도 한다. 이것은 볼록렌즈들의 골 사이로 투명잉크가 채워지는 현상을 이용하여 볼록렌즈의 역할을 떨어뜨려 주요그림 인쇄면이 모아래현상 즉 망점들의 확대현상에서 벗어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역시 별도의 추가인쇄 작업으로 인해 작업성의 번거로움을 낳게 하는 폐단이 발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플라스틱 시트의 표면에 반구형의 볼록렌즈들이 가로세로 배열을 이루는 볼록렌즈층이 형성되어 시트의 전면에서 볼 때 방향에 관계없이 선명한 입체영상을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종래의 인테그럴 포토그래피(IP:integral photography) 인쇄방식을 개선하여 컴퓨터그래픽 의한 인쇄방식으로 재구성하고, 인테그럴 포토그래피의 특수효과장점 과 대량생산에 적합한 인쇄를 적용하며, 이런 인쇄방식에서 발생될 수 있는 모아래(moire) 현상및 글리터(Glitter) 현상을 최소화시켜 선명한 입체 또는 특수영상을 볼 수 있고, 제작공정을 줄일 수 있는 입체 플라스틱 시트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투명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그 상면에는 반구형의 볼록렌즈(11)들이 가로세로 배열을 이루어 형성된 볼록렌즈층(10)과; 상기 볼록렌즈층(10)의 하부에 위치되어 볼록렌즈(11)의 준(準)초점거리와 상응하는 두께의 합성수지 판재로 형성된 투명시트(20)와; 상기 투명시트(20)의 하면에 FM 스크린망점방식으로 인쇄 되어 실사(實寫)를 볼 수 있도록 구성 된 그래픽 인쇄면(41)과; 상기 그래픽 인쇄면(41)과 같은 준(準)초점거리에 인쇄 되며, 컴퓨터그래픽에 의하여 계산되어 영상 처리된 그래픽이 입체화면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된 입체(특수효과) 인쇄면(32)과; 상기 볼록렌즈층(10)과 인쇄면(31)(32)들이 준(準)초점거리 간격의 투명시트(20)하면에 서로 상응하는 시각적인 배열을 이루어 한 장의 시트로 형성된 입체 플라스틱 시트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입체 플라스틱 시트(1)의 최 상측에는 볼록렌즈층(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록렌즈층(10)은 투명한 합성수지를 성형하여 그 상면에 반구형의 볼록렌즈(11)들이 가로세로 배열을 이루어 방사형으로 펼쳐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볼록렌즈층(10)에 가로세로 배열된 볼록렌즈(11)들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렌즈(11)들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들의 교차각이 90°를 이루도록 하여 볼록렌즈(11)들의 기울기가 45°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선들의 교차각이 60°를 이루도록 하여 볼록렌즈(11)들의 기울기가 60°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볼록렌즈(11)들의 기울기가 45°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록렌즈층(10)의 하부에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투명시트(20) 가 위치되어 있고, 투명시트(20)는 볼록렌즈(11)의 준(準)초점거리(40)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시트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투명시트(20)의 하면에는 실사(實寫) 및 입체영상 또는 특수효과를 볼 수 있도록 인쇄된 준(準)초점거리 인쇄층(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준(準)초점거리 인쇄층(43)에는 그래픽인쇄면(41)과 입체인쇄면(42)이 인쇄되는데, 마치 입체인쇄면(42) 위에 그래픽 인쇄면(41)이 놓인 것처럼 보여짐 으로써 그래픽 인쇄면(41)은 주제그림, 상품의 사진, 각종 색상 등으로 표현하게 된다.
이때, 준(準)초점거리 인쇄층(43)의 입체인쇄면(42) 또는 특수효과 인쇄면(42-1)은 도 7 과 도 8 에서 도시한바 와같이, 주로 상,하,좌,우 연속된 그래픽 패턴으로 이루어지며 입체표현 또는 특수효과 등을 표현하게 된다.
결국 이것은 준(準)초점거리 인쇄층(43)의 입체인쇄면(42)(42-1)과 그래픽 인쇄면(41)이 깊이감의 차이 또는 특수효과(입체, 모션, 색상변환 등)에 있어서 시각적인 차이로 느끼게 하거나 차등 구분하여 볼 수 있게 해준다.
그런데 상기에서 서술하였듯이 종래의 인테그럴 포토그래피(IP:integral photography)방식의 입체인쇄에 있어서는 몇 가지 문제점을 해결해야 된다. 즉, 입체인쇄면(42)과 그래픽 인쇄면(41)을 이루는 일반적인 인쇄방식은 오프셋 스크린망점의(C,M,Y,K) 패턴각도에 겹쳐지는 색상에 의해서 표현되어 지는데, 입체 플라스틱 시트의 표면을 이루는 볼록렌즈(11)들의 일정한 각도와 패턴배열구조가 옵셋스크린 망점(C,M,Y,K)의 일정한 패턴배열구조와 서로 겹치면서 모아래 현상이 일어나 는 것이다.
상기의 스크린 망점(C,M,Y,K)에 의해 만들어지는 일반적인 오프셋 인쇄방식을'AM(Amplitude Modulation,면적변조) 스크린인쇄 방식'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런 현상은 특이하게도 인쇄가 아닌 인화된 사진영상물 또는 고 해상도의 잉크젯 프린트방식에 의한 인쇄물 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인화된 사진현상 제품은 주로 R,G,B칼라로 빛에의해 만들어 지는데 옵셋스크린 인쇄처럼 망점이 없기 때문이며 또한 대개의 고해상도 잉크젯 프린트방식의 인쇄물은 인쇄면을 이루는 잉크(C,H,Y,K또는 6색잉크)의 미립자들이 종이위에 인쇄될 때 서로 번짐 현상으로 낱개의 미립자로 유지되지 않고 색상혼합을 이루어 미립자간에 자연스러운 그라데이션 톤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사실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서는 입체인쇄에 있어서의 모아래(moire)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잉크젯 프린트방식과 비슷한 인쇄방식인 'FM(Frequency Modulation,주파수변조) 스크린인쇄방식'을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을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M(Amplitude Modulation,면적변조) 스크린인쇄방식을 아날로그 인쇄(analog printing)이라고 한다면, FM(Frequency Modulation,주파수변조) 스크린인쇄방식은 디지털 인쇄(digital printing)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AM스크린인쇄방식과 FM스크린인쇄방식의 큰 차이점은 그림의 음영을 표현하는 방식에서 구분된다. AM 스크린인쇄방식은 일반적인 인쇄방식으로써 스크린망점 배열구조(70) 및 망점들의 크기변 환에 의한 색상(C,M,Y,K)조합으로 음영을 조절하게 하는 방식이고, FM 스크린인쇄방식(80)은 최근의 CTP(Computer To Plate)출력 이라고 하는 인쇄기술의 발달로 일정한 패턴의 옵셋스크린 망점(C,M,Y,K)구조가 아닌, 불특정 다수의 미세 도트(60)들의 조밀도에 의하여 그림의 음영이 표현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FM 스크린인쇄방식(80)이 잉크젯프린트방식과 비슷한 인쇄방식이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입체 플라스틱 시트(1)의 인쇄에 있어서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입체인쇄에 있어서 인쇄물을 종이에 인쇄하고 투명한 플라스틱 볼록렌즈시트에 붙이는 방법보다는 투명한 플라스틱 볼록렌즈시트에 직접 인쇄하는 것이 공정을 줄이는 바람직한 방법이므로, 후자의 방법으로 인쇄를 할 때 종이처럼 잉크 번짐 현상이 없기 때문에 글리터(Glitter)현상 이라하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방법은 단순히 모아래 현상만을 제거할 수는 있어도, 색상을 이루는 불특정 미세도트(60)들이 시선이동에 따라 마치 반짝이는 현상처럼 미세한 점들이 나타났다 사라짐을 반복하여 보이게 되고, 이것은 육안으로 보는 해상도에 있어서 매우 거칠게 느껴지게 하는 글리터(Glitter)현상 이라하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이것은 사람 피부색등을 표현할 때 더욱 문제로 발생하게 된다. 즉 옵셋 인쇄에 있어서의 사람피부색은 핑크계열의 그라데이션 톤으로써 대개는 노랑(Y)색 과적(M)색의 망점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피부색의 음영에 영향을 주는 적(M)색이 사람피부가 마치 곰보처럼 거칠게 보이게 하는 원인이 되기 때 문이다. 즉 이것은 미세한 도트(60)로 이루어진 FM SCREEN 인쇄방식이라 할지라도 음영을 이루는 약 30%∼ 70%의 미세도트(60)의 조밀도 간격에서 나타나며, 도 5-1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정(正)초점거리 인쇄층에 의한 입체 플라스틱 시트(2)를 형성하는 볼록렌즈(11)들의 초점확대현상(62)으로 미세도트(60)들이 시선의 움직임에 따라 낱개의 볼록렌즈(62)에 확대되어 글리터(반짝 반짝이는 듯 한)현상으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인쇄된 인쇄물을 직접 육안으로 볼 때는 선명하고 깨끗하게 보이는데, 볼록렌즈층(10)을 통하여 볼 때만 발생하는 현상이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더욱더 초미립자의 FM SCREEN 망점을 이용하고자 한다면, 여기에도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 이유는 현존하는 잉크전이식 인쇄기계의 구조적인 특성상 초미립자에 의한 잉크전이가 한계를 벗어나기 때문이다. 즉, 초미립자로 형성된 PS 판에 묻게 되는 잉크가, 정확하게 인쇄물에 전이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어, 정확한 색상표현이 되지 않는 폐단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존하는 기계장치에 의한 FM SCREEN방식의 도트 해상도는 주로 2400dpi에서 4000dpi 사이를 표현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지는데, 고해상도 일수록 주로 이런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4, 도 5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의 모아래(moire)현상 및 글리터(Glitter)현상으로 인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사람이 육안으로 글리터 현상을 잘 느낄 수 없는 정도는, 입체플라스틱 시트(1)를 구성하는 볼록렌즈들의 Pitch가 고해상도의 렌즈크기와 간격으로, 그리고 볼 록렌즈(11)의 크기가 작으면 작을수록 글리터 현상을 잘 느낄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그만큼 인쇄는 더욱더 어려워지는 것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100LPI 이하의 렌즈배열구조 에서 볼록렌즈(11)의 크기가 커지면 커질수록 육안으로 보이는 글리터 현상이 더욱 도드라지게 보일 것이다. 이것은 각각의 볼록렌즈들 사이에서 시선에 따라 불특정하게 FM SCREEN 인쇄방식의 C,M,Y,K미세도트(60)가 볼록렌즈의 크기만큼 각각 확대되어 나타났다 사라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최소화 하는 방안으로, 볼록렌즈층(10)에 상응하는 인쇄층의 위치를 볼록렌즈(11)들의 정확한 정(正)초점거리(50)에서 약간 벗어난 준(準)초점거리(40)(40-1)에 인쇄층(43)이 형성되게 하여, 볼록렌즈(11)들을 통하여 보이는 상기 미세도트(60)들이 Blur(흐려짐, 번짐)현상을 일으켜, 입체 FM SCREEN 인쇄방식에 있어서의 글리터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입체인쇄면(42)의 그래픽패턴(90)이 볼록렌즈(11)들에 의한 선명한 입체영상으로 표현되어 유지되어야 하며, 입체인쇄면(42)이 볼록렌즈층(10)을 통하여 입체효과를 표현가능하게 하도록 볼록렌즈(11)들의 준(準)초점거리 범위 내에서 제작하여야만 한다.
예를 들면, 렌즈피치가 20LPI 이고, FM SCREEN방식의 인쇄해상도가 2400dpi미세도트(60)로 인쇄되었을 때를 가정한다면, 렌즈의 초점거리가 수치적으로 정확하다함은 1:120 크기만큼의 확대 현상이 나타남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120배로 확대된 미세도트(60)는 1개의 볼록렌즈(11)에 꽉 차게 보이게 되고, 움직이는 시선 에 따라 렌즈크기만큼 확대된 도트(62)크기로 보이다가 사라지게 되는 글리터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볼록렌즈 1개의 정확한 초점거리 형성 표현범위는 볼록렌즈(11) 직경크기의 1/120 이내의 표현초점거리 오차범위 내에서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복록렌즈(11)크기의 1/120만큼의 표현초점거리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대신, 볼록렌즈(11)크기의 2/120 만큼의 초점이 흐려지게 조절된 준(準)초점거리(40)에 인쇄층을 형성한다면, 정(正)초점거리(50)에 형성되어 낱개의 볼록렌즈(11)를 통해 보이는 미세도트(62)의 모양보다 , 준(準)초점거리(40)에 형성되어 낱개의 볼록렌즈(11)를 통해 보이는 미세도트(61)의 모양이 1/120대비 2/120 만큼, 즉 50%정도의 BLUR(흐려짐)현상이 발생함으로써 글리터 현상이 사라지게 된다.
반대로, 선명한 입체화상으로 표현 되어야하는 입체인쇄면(42)의 선명도는 미세도트(60)보다 상대적으로 큰 그래픽 패턴(90)이 각각의 볼록렌즈(11)들을 통하여 입체적으로 군집되어 비춰지는 영상조합화상(92)에 의해 표현되어지는 것이므로, 군집된 볼록렌즈들의 사이드에 위치한 렌즈들이 시선의 이동에 따라 볼록렌즈(11) 1개의 크기만큼 입체 그래픽 패턴(90)의 색상이 꽉 차게 보이는지, 혹은 안 보이는지에 따라 의도된 입체그래픽모양의 선명도가 좌우된다.
따라서 볼록렌즈(11) 1개의 크기에 비쳐지는 오차는 2/120 (1/60=1.6%)만큼의 시선이동에 따른 입체선명도가 감소되는 미미한 수치의 오차가 발생하는 것이며, 결국 준(準)초점거리(40)에 의한 흐려짐의 현상보다, 준(準)초점거리(40)에 인쇄된 입체인쇄면(42)의 그래픽 패턴(90)이 얼마나 정교하게 인쇄되었는지의 정도의 차이가 선명도를 좌우하게 된다.
실질적으로 인쇄과정에서 발생되는 잉크전이에 따른 색상오차 또는 선명도의 오차는 2400dp거 경우 3% , 4000pi 의 경우 5%이상이 발생 하게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정(正)초점거리(50)의 인쇄층에 인쇄된 입체 플라스틱 시트(2)의 정확한 입체 선명도에 비해 그 차이가 거의 없어, 글리터 현상을 제거한 FM SCREEN 인쇄방식의 선명한 입체 플라스틱 시트(1)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준(準)초점거리(40)에는 인쇄해상도 와 볼록렌즈(11)의 크기에 따른 비율적 광계가 존재한다. 즉. 정확한 초점거리와 이에 따른 오차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므로, 도 5-2에서 도시한 것처럼 비(非)초점 거리(30)에 인쇄층이 형성되면 그 결과로 볼록렌즈(11)들에 의한 입체효과 및 선명도까지 제거되므로 주의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준(準)초점거리 인쇄층(43)에 의한 입체 플라스틱 시트(1)는 AM 스크린방식의 입체인쇄에 있어서도 그 제작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AM SCREEN 방식에 있어서의 모아래 현상을 최소화 하여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일반 오프셋인쇄가 보통 175선(LPI)으로 작업된다고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입체플라스틱 시트(1)는 200선 300선 400선과 같이 해상도(LPI)가 높을수록 모아래 현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도 9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해상도에 따라 모아래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오프셋 스크린망점의 각도를 조절해야 하며, 조절되는 각도에 따라 스크린 망점의 크기가 최소의 크기로 보여질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험결과에 따르면 표 1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표에서 보듯이 각각의 해상도에 따라 나열된 각도들은 모아래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적정 각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인쇄에 있어서 4도(C,M,Y,K) 망점들은 동일한 해상도 내에서 이 들 각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되, 서로 다른 각도를 선택하여 기울기들을 각각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표 1]
Figure 112007506313010-PAT00001
또한 4도(C,M,Y,K) 망점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모아래 현상을 최소화 할 수는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글리터 현상까지 제거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AM SCREEN 방식에 있어서도 준(準)초점거리 인쇄층(43)에 그래픽 인쇄면(41)과 입체인쇄면(42)이 형성하도록 하여 글리터 현상까지 제거하여야 한다.
우선 글리터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볼록렌즈(11)의 크기(1pi)대비 인쇄의 해상도(dpi)가 중요한 관련이 있음을 활용해야 한다. 이는 FM스크린 방식과 동 일한 방법으로 상기에서 서술한바 있다. 따라서 상기의 FM 스크린 방식의 입체인쇄방법과 비교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M 스크린 방식은 'dpi' 단위로 해상도를 나타내고, AM 스크린 방식은 'LPI'의 단위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FM 스크린 방식의 2400dpi는 AM SCREEN 방식의 170LPI와 비슷한 정도의 해상도를 표현하게 되는데, 데이터의 입력수치에 따라 그 값을 조절할 수는 있다. 통상적으로는 1200 dpj 는 133 LPI , 1800dpi는 150 LPI , 2540dPi는 175 LPI 등으로 해상도를 표현하게 되는데 글리터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해상도가 높을수록 유리하다.
따라서 고해상도의 품질로 인쇄할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20 LPI의 볼록렌즈(11)의 크기와 배열을 이루는 볼록렌즈시트에 500 LPI의 초 고해상도 스크린 망점으로 이루어진 4도(C,M,Y,K) AM스크린 방식의 옵셋인쇄에 있어서, 인쇄의 망점과 망점사이의 간격 및 최대직경의 크기는 0.05mm 이다. 그리고 20LPI 로 형성된 볼록렌즈시트에 인쇄할 경우 볼록렌즈(11)의 피치가 20LPI이면 렌즈 1개의 최대직경은 1.27mm 이므로 정확한 초점거리의 표현범위는 25배 이상의 확대초점 형성거리가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망점이50% 정도의 blur 현상이 이루어져 모아래 현상 및 글리터 현상이 사라질 때, 입체의 선명도는8% 정도로 선명도가 낮아지게 되는 것이므로 FM 스크린 인쇄방식에 비해 효과는 약간 떨어지지만 AM스크린 인쇄방식에 있어서도 최적의 입체 플라스틱 시트(1)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 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볼록렌즈층(10)을 통해 입체시트(1)를 관찰하면 특수인쇄로 제작된 무수한 도형이나 그림들로 이루어진 입체 인쇄면(42)에 상품이나 주제 그림으로 이루어진 그래픽인쇄면(41)의 그림이 공간에 떠있거나 들어가 보이는 선명한 입체영상을 볼 수 있는 것이므로 고품질의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입체시트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렌즈가 반구형(半球形)의 볼록렌즈(11)들로 구성된 것이므로 입체 플라스틱 시트(1)가 놓여지는 위치나 방향에 관계없이 어떠한 위치에서 관찰하더라도 선명한 입체영상을 볼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인테그럴 포토그래피(IP:integral photography)의 종래의 인쇄방식을 개선하여 컴퓨터그래픽으로 재구성하고, 인테그럴 포토그래피의 특수효과장점 과 대량생산에 적합한 인쇄를 적용하며, 이런 입체인쇄방식에서 발생될 수 있는 모아래(moire) 현상 및 글리터(Glitter) 현상을 최소화시켜 선명한 입체 또는 특수영상을 볼 수 있고, 제작공정을 줄일 수 있어 생산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투명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그 상면에는 반구형의 볼록렌즈(11)들이 가로 세로 배열을 이루어 형성된 볼록렌즈층(10)과; 상기 볼록렌즈층(10)의 하부에 위치되어 볼록렌즈(11)의 준(準)초점거리와 상응하는 두께의 합성수지 판재로 형성된 투명시트(20)와; 상기 투명시트(20)의 하면에 FM 스크린 방식에 의한 미세도트 구조(80)로 인쇄 되어 실사(實寫)를 볼 수 있도록 구성된 그래픽 인쇄면(41)과; 상기 그래픽 인쇄면(41)과 같은 준(準)초점거리에 인쇄 되며, 컴퓨터그래픽에 의하여 계산되어 영상 처리된 그래픽이 입체화면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된 입체 인쇄면(42, 42-1)과; 상기 볼록렌즈층(10)과 인쇄면(41)(42, 42-1)들이 준(準)초점거리 간격의 투명시트(20)에 서로 상응하는 시각적인배열을 이루어 한 장의 시트로 형성된 인테그럴 포토그래피 입체 플라스틱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컴퓨터그래픽에 의하여 계산되어 영상 처리된 그래픽이 입체화면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된 입체 인쇄면(42, 42-1)이 별색 도형 또는 FM 스크린 방식에의한 미세도트 구조(80)로 인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그럴 포토그래피 입체 플라스틱 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투명시트(20)의 하면에 FM 스크린 방식에 의한 미세 도트구조(80)로 인쇄 되어 실사(實寫)를 볼 수 있도록 구성된 그래픽 인쇄면(41)을 대신하여, 초고해상도의 AM 스크린 인쇄방식의 망점구조(70)로 형성된 그래픽 인쇄면(41)이 준(準)초점거리의 투명시트(20) 하면에 인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그럴 포토그래피입체 플라스틱 시트
  4. 제 2항에 있어서 AM 스크린 인쇄방식의 망점배열이 모아래 현상 또는 글리터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스크린 망점각도가 조절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그럴포토그래피 입체 플라스틱 시트.
KR1020070063470A 2007-06-27 2007-06-27 인테그럴 포토그래피 플라스틱 시트 KR100923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470A KR100923079B1 (ko) 2007-06-27 2007-06-27 인테그럴 포토그래피 플라스틱 시트
EP07808312A EP2179321A4 (en) 2007-06-27 2007-09-18 PLASTIC MATERIAL OF INTEGRAL PHOTOGRAPHY BY SPECIAL PRINTING
MX2009014230A MX2009014230A (es) 2007-06-27 2007-09-18 Lamina de plastico para fotografia integral por impresion especial.
EA201070067A EA019106B1 (ru) 2007-06-27 2007-09-18 Лист пластика для интегральной фотографии, выполненный путем особой печати
CA002691735A CA2691735A1 (en) 2007-06-27 2007-09-18 Integral photography plastic sheet by special print
US12/665,507 US20110058254A1 (en) 2007-06-27 2007-09-18 Integral photography plastic sheet by special print
PCT/KR2007/004522 WO2009001983A1 (en) 2007-06-27 2007-09-18 Integral photography plastic sheet by special print
BRPI0721771-4A BRPI0721771A2 (pt) 2007-06-27 2007-09-18 Lâmina plástica estereoscópica de fotografia integral.
CO10008303A CO6300816A2 (es) 2007-06-27 2010-01-27 Lamina plastica para fotografia integral por impresion espec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470A KR100923079B1 (ko) 2007-06-27 2007-06-27 인테그럴 포토그래피 플라스틱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608A true KR20070080608A (ko) 2007-08-10
KR100923079B1 KR100923079B1 (ko) 2009-10-22

Family

ID=38600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470A KR100923079B1 (ko) 2007-06-27 2007-06-27 인테그럴 포토그래피 플라스틱 시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10058254A1 (ko)
EP (1) EP2179321A4 (ko)
KR (1) KR100923079B1 (ko)
BR (1) BRPI0721771A2 (ko)
CA (1) CA2691735A1 (ko)
CO (1) CO6300816A2 (ko)
EA (1) EA019106B1 (ko)
MX (1) MX2009014230A (ko)
WO (1) WO2009001983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8691A2 (en) * 2008-07-15 2010-01-21 Azuna Method and assembly for personalized three-dimensional products
WO2015111981A1 (ko) * 2014-01-27 2015-07-30 신현재 변동투시화각 입체시트 및 박층 입체시트
US10302956B2 (en) 2014-01-27 2019-05-28 Hyunjea Shin Stereoscopic sheet having variable perspective viewing angle and thin-layered stereoscopic sheet
KR102209560B1 (ko) * 2020-03-27 2021-01-28 김연희 2차원 그래픽인쇄 기술을 이용한 곡면화 구조의 3차원 입체화상 조형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285985B1 (ko) * 2020-03-27 2021-08-04 김연희 2차원 그래픽인쇄 기술을 이용한 3차원 입체화상 조형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990B1 (ko) * 2009-01-07 2010-01-28 정현인 전반사에 의한 입체표면 시트
EP3461116B1 (en) * 2017-09-23 2024-04-17 Heidelberg Polska Sp. z o.o. A method and system for am screening and protecting printout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44649A (en) * 1935-05-09 1939-01-24 Ig Farbenindustrie Ag Process of printing lenticular film and lenticular film therefor
GB9309673D0 (en) * 1993-05-11 1993-06-23 De La Rue Holographics Ltd Security device
US5896230A (en) * 1994-05-03 1999-04-20 National Graphics, Inc. Lenticular lens with multidimensional display having special effects layer
US6424467B1 (en) * 2000-09-05 2002-07-23 National Graphics, Inc. High definition lenticular lens
US6856462B1 (en) * 2002-03-05 2005-02-15 Serigraph Inc. Lenticular imaging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0311905Y1 (ko) * 2003-01-24 2003-05-09 정현인 방사형 볼록렌즈 입체인쇄시트
KR100561321B1 (ko) * 2003-11-19 2006-03-16 주식회사 미래코코리아 투명창이 있는 입체 플라스틱 시트 및 그 제조방법
US7576918B2 (en) * 2004-07-20 2009-08-18 Pixalen, Llc Matrical imaging method and apparatus
WO2007002301A2 (en) * 2005-06-24 2007-01-04 Real D Autostereoscopic display with increased sharpness for non-primary viewing zones
KR20070001533A (ko) * 2005-06-29 2007-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렌티큘라방식 입체영상표시장치
US7130126B1 (en) * 2006-03-16 2006-10-31 Mirceo Korea Co., Ltd. Three-dimensional plastic sheet
US7830569B2 (en) * 2006-03-31 2010-11-09 Eastman Kodak Company Multilevel halftone screen and sets thereof
KR100841438B1 (ko) * 2006-12-29 2008-06-26 정현인 광속차를 이용한 인쇄용 평면렌즈시트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8691A2 (en) * 2008-07-15 2010-01-21 Azuna Method and assembly for personalized three-dimensional products
WO2010008691A3 (en) * 2008-07-15 2011-03-10 Azuna, Llc Method and assembly for personalized three-dimensional products
US8018655B2 (en) 2008-07-15 2011-09-13 Azuna, Llc Method and assembly for three-dimensional products
US8786952B2 (en) 2008-07-15 2014-07-22 aviDDD, LLC Method and assembly for three-dimensional products
WO2015111981A1 (ko) * 2014-01-27 2015-07-30 신현재 변동투시화각 입체시트 및 박층 입체시트
US10302956B2 (en) 2014-01-27 2019-05-28 Hyunjea Shin Stereoscopic sheet having variable perspective viewing angle and thin-layered stereoscopic sheet
KR102209560B1 (ko) * 2020-03-27 2021-01-28 김연희 2차원 그래픽인쇄 기술을 이용한 곡면화 구조의 3차원 입체화상 조형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285985B1 (ko) * 2020-03-27 2021-08-04 김연희 2차원 그래픽인쇄 기술을 이용한 3차원 입체화상 조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91735A1 (en) 2008-12-31
MX2009014230A (es) 2010-06-25
KR100923079B1 (ko) 2009-10-22
WO2009001983A1 (en) 2008-12-31
EA019106B1 (ru) 2014-01-30
US20110058254A1 (en) 2011-03-10
EP2179321A4 (en) 2012-12-26
CO6300816A2 (es) 2011-07-21
BRPI0721771A2 (pt) 2014-02-11
EA201070067A1 (ru) 2010-08-30
EP2179321A1 (en) 201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079B1 (ko) 인테그럴 포토그래피 플라스틱 시트
JP5200284B2 (ja) 潜像印刷物
KR200311905Y1 (ko) 방사형 볼록렌즈 입체인쇄시트
JP5457622B2 (ja) 透かしシステムと透かしと透かし像システムを提供する方法
JPH06139334A (ja) ランダム・ドット・ステレオグラムおよびその作成方法
JP2003165289A (ja) マイクロパターンを有する印刷物
AU2013101454A4 (en) Improved printing of security devices
CA2489333C (en) Data carrier
CA2645552C (en) Three-dimensional plastic sheet
JP6381041B2 (ja) 積層型視覚効果発現構造物
JP2009113392A (ja) 潜像表示媒体
JP2007264078A (ja) 立体プラスチックシート
JP2014162112A (ja) 潜像印刷物
JP6112357B2 (ja) 偽造防止用潜像画像表出構造
JP6418576B2 (ja) 潜像印刷物、潜像印刷物の潜像画線群作製方法及び潜像印刷物の潜像画線群作製用ソフトウェア
CN110744941B (zh) 一种连续调真彩色图像的形成方法
JPH0961950A (ja) 立体画像印刷物
JP6120080B2 (ja) 偽造防止形成体及び偽造防止形成体の画線データ作成方法
JP7352232B2 (ja) 複写牽制画線印刷物及び複写牽制画線印刷物の作成方法
JP7224588B2 (ja) 潜像模様発現構造及び位相変調模様用のデータの作成方法
JP3996241B2 (ja) グラビア印刷方法およびグラビア印刷物
JP6060830B2 (ja) 特殊潜像模様形成体
JP2024031891A (ja) 立体印刷物、及び立体印刷物の製造方法
JP6394974B2 (ja) 立体画像発現構造
JP2023552770A (ja) セキュリティ特徴の設計及び生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