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9914A - 광학적 정보 기록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광학적 정보 기록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9914A
KR20070079914A KR1020070010370A KR20070010370A KR20070079914A KR 20070079914 A KR20070079914 A KR 20070079914A KR 1020070010370 A KR1020070010370 A KR 1020070010370A KR 20070010370 A KR20070010370 A KR 20070010370A KR 20070079914 A KR20070079914 A KR 20070079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gion
recording medium
optical recording
focus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1138B1 (ko
Inventor
코이치로 니시카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9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focusing only
    • G11B7/09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focusing only by astigmatic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11B7/133Shape of individual detector el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3Diffractive elements, e.g. holograms or gratin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81Non-lens elements for altering the properties of the beam, e.g. knife edges, slits, filters or sto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광학적 정보 기록 재생장치는 광원, 대물렌즈, 광검출소자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대물렌즈는 광원으로부터 발사된 광속을 소정 트랙 피치로 배치된 트랙을 지닌 광기록 매체에 집속시킨다. 상기 광속의 파장은 상기 광기록 매체의 트랙 피치보다 길다. 상기 광검출소자는 상기 광기록 매체로부터 반사된 광속을 수광한다. 또, 상기 광검출소자는 상기 광기록 매체의 트랙으로부터 반사된 광속 중 0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 간의 간섭에 의해 생성된 광속만을 실제로 수광하는 제 1 영역과, 0차 회절광만을 실제로 수광하는 제 2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검출소자의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의 출력에 근거해서 비점수차 포커스 에러 검출법을 이용해서 포커스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Description

광학적 정보 기록 재생장치{APPARATUS FOR OPTICALLY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광학계의 모식도 및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프리그루브에 의한 회절을 예시한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대물렌즈의 동공면 상에서의 강도분포의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RF 신호와 서보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포토다이오드 및 해당 포토다이오드 상의 광의 스폿의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과 종래예에 의한 광축 방향의 디스크 시프트와 그때의 포커스 에러 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과 종래예에 의한 광축 방향의 디스크 시프트와 그때의 포커스 에러의 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7A 및 도 7B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광학계의 모식도 및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회절 소자의 모식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광검출부의 모식도;
도 10은 종래 기술에 의한 광검출소자와 그 광검출소자 상의 스폿의 모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LD(반도체 레이저) 2: PBS(편광 빔 분할기)
3: 모니터용 포토다이오드(PD) 4: 제 1 렌즈
5: 제 2 렌즈 6: λ/4 판
7: 미러 8: 대물렌즈
9: 광디스크 10, 13: 센서 렌즈
11, 14: RF 신호 및 서보 제어 신호 생성용의 포토다이오드(PD)
12: 회절 소자
15: 신호처리용의 프로세서
 본 발명은 광디스크 등의 광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혹은 광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소위 광학적 정보 기록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포커스 에러 신호의 생성수단을 구비한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디스크장치는 각종 분야에서 널리 응용되어, 비디오 레코더, 비디오 카메라 등의 기억장치로서의 이용을 위해 개발되어 왔다.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 광픽업소자에서의 서보 에러를 생성하는 기술에 주목 하면, 포커스 에러 생성에 관해서는 초기의 콤팩트 디스크 장치 이래로 주로 비점수차 포커스 에러검출법이 사용되어 왔다.
비점수차 포커스 에러검출법에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분할 센서 이전의 광검출 광학계에 원통형 렌즈 등을 이용해서 비점수차를 도입시킨다. 이것에 의해 광디스크의 위치(너무 가까운 위치거나, 합초점 위치거나, 너무 먼 위치)에 따라 센서 상의 스폿의 형상을 변경하고, 또, 센서 상의 분할 영역으로부터의 출력을 이용해서 포커스 에러 신호를 얻고 있다.
이때, 대물렌즈가 광디스크의 트랙을 횡단하는 경우에는, 광디스크에 형성된 랜드(land)나 그루브(groove)로 이루어진 트랙에 의해 반사된 1차 회절광에 의해서 포커스 신호에 간섭이 중첩되어, 포커스 신호에 변동을 초래하게 된다. 이것으로 인해 불안정한 포커스 서보 제어, 간섭에 따른 액추에이터 잡음 등이 생기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국 공개특허 평 10-097723호 공보에서는 트랙 횡단에 의해 초래된 간섭을 저감하고, 트랙으로부터 반사된 광속 중 0차 회절광을 주로 수광하는 센서 상의 영역을 이용해서 안정적인 포커스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도 10에는 상기 기술에서 사용된 센서(31) 및 이 센서 상의 스폿이 예시되어 있다.
센서(31)는 트랙으로부터 반사된 광속 중 0차 회절광을 주로 수광하는 영역(A), (B), (C), (D)과, 0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 간의 간섭광에 의해 생성된 광속을 주로 수광하는 영역(E), (F)으로 분할되어 있다.
포커스 에러 신호는 다음 식을 계산함으로써 얻어진다:
FE = (Sa+Sc)-(Sb+Sd)
(식 중, Sa, Sb, Sc, Sd는 각각 영역(A), (B), (C), (D)으로부터의 출력을 나타냄). 0차 회절광을 주로 수광하는 영역(A), (B), (C), (D)만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안정된 포커스 에러 신호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파장과 트랙 피치 간의 관계에 따라서는 도 10에 표시한 바와 같이 0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이 서로 간섭하는 영역이 증대되어, 영역(A), (B), (C), (D)에도 간섭광이 입사될 수 있다. 따라서, 영역(A), (B), (C), (D)만을 이용한 경우에도 포커스 에러 신호에 변동이 도입됨으로써, 불안정한 포커스 서보 제어 및 액추에이터 잡음을 초래하게 된다.
이 문제에 관련하여, 주로 0차 회절광이 입사하는 영역을 좁혀서 간섭광이 그 영역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포커스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데 이용되는 0차 회절광의 광량의 감소를 초래하므로, 불안정한 포커스 에러 신호로 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기록매체의 트랙 피치에 비해서 광속의 파장을 증대시킴으로써, 0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이 간섭하는 영역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0차 회절광만이 놓이는 영역을 증대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비점수차 포커스 에러 검출법에 의해 생성된 포커스 에러 신호 속으로 트랙 횡단 신호 성분이 누설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광학적 정보 기록 재생장치는 광원, 대물렌즈, 광검출소자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대물렌즈는 광원으로부터 발사된 광속을 소정 트랙 피치로 배치된 트랙을 지닌 광기록 매체에 집속시킨다.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사된 광속의 파장은 상기 광기록 매체의 트랙 피치보다 길다. 상기 광검출소자는 상기 광기록 매체로부터 반사된 광속을 수광한다. 또, 상기 광검출소자는 상기 광기록 매체의 트랙으로부터 반사된 광속 중 0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 간의 간섭에 의해 생성된 광속만을 실제로 수광하는 제 1 영역과, 0차 회절광만을 실제로 수광하는 제 2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검출소자의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의 출력에 근거해서 비점수차 포커스 에러 검출법을 이용하여 포커스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광학적 정보 기록 재생장치는 광원, 대물렌즈, 파면분할소자, 광검출소자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대물렌즈는 광원으로부터 발사된 광속을 소정 트랙 피치로 배치된 트랙을 지닌 광기록 매체에 집속시킨다.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사된 광속의 파장은 상기 광기록 매체의 트랙 피치보다 길다. 상기 파면분할소자는 상기 광기록 매체로부터 반사된 광속을 분할한다. 또, 상기 파면분할소자는 상기 광기록 매체의 트랙으로부터 반사된 광속 중 0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 간의 간섭에 의해 생성된 광속만을 주로 수광하는 제 1 영역과, 0차 회절광만을 실제로 수광하는 제 2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광검출소자는 상기 파면분할소자를 통과한 광속을 수광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파 면분할소자의 상기 제 2 영역을 통과한 광속을 수광하는 상기 광검출소자로부터의 출력에 근거해서 비점수차 포커스 에러 검출법을 이용하여 포커스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광학적 정보 기록 재생장치는 광원, 포커싱 수단, 수광수단 및 생성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포커싱 수단은 광원으로부터 발사된 광속을 소정 트랙 피치로 배치된 트랙을 지닌 광기록 매체에 집속시킨다.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사된 광속의 파장은 상기 광기록 매체의 트랙 피치보다 길다. 상기 수광수단은 상기 광기록 매체로부터 반사된 광속을 수광한다. 또, 상기 수광수단은 상기 광기록 매체의 트랙으로부터 반사된 광속 중 0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 간의 간섭에 의해 생성된 광속만을 실제로 수광하는 제 1 영역과, 0차 회절광만을 실제로 수광하는 제 2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생성수단은 상기 수광수단의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의 출력에 근거해서 비점수차 포커스 에러 검출법을 이용하여 포커스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기타 특성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형태의 설명
다음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 실시형태에 의한 광학적 정보 기록 재생장치 의 광학계의 모식도이다.
먼저, 광학계의 일반적인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반도체 레이저(LD)(1)로부터 발사된 광속은 일부가 편광 빔 분할기(PBS) (2)로부터 반사되어 모니터를 위한 모니터용 포토다이오드(PD)(3)에 입사된다. 이 모니터용 PD(3)로부터의 출력은 LD(1)의 출력 파워를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PBS(2)를 통과한 광속은 제 1 렌즈(4)와 제 2 렌즈(5)를 포함하는 집광 렌즈 유닛에 입사하여, 서로 대략 평행하게 된다. 이들 평행한 광속은 λ/4 판(6)을 통과해서, 미러(7)에 의해 편향되어, 대물렌즈(8)에 의해 광디스크(9) 상에 집속된다. 정보의 기록시에는, LD(1)로부터의 광출력이 변조되어 광디스크(9) 상에 정보가 기록된다. 또, 재생시에는, LD(1)로부터 저출력으로 광속이 출력되어 정보 트랙을 주사한다. 광디스크(9)로부터 반사된 광속은 RF(radio-frequency) 신호 및 서보 제어 신호 생성용의 포토다이오드(PD)(11)에 의해 수광되고, 이 수광된 신호에 근거해서 정보를 재생한다.
제 1 렌즈(4)와 제 2 렌즈(5)를 포함하는 집광렌즈유닛은 해당 유닛에서의 렌즈 간 거리를 변경함으로써 광디스크(9)에 집속되는 광속에 가변의 구면 수차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2층의 광디스크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LD(1)의 파장은 405 ㎚, 대물렌즈(8)의 개구수는 0.85이다. 광디스크(9)는 320 ㎚의 피치를 지닌 프리그루브(16)를 지니고 있다.
광디스크(9)로부터 반사된 광속은 대물렌즈(8), λ/4 판(6), 그리고 제 1 렌즈(4)와 제 2 렌즈(5)를 포함하는 집광 렌즈 유닛을 통해서 PBS(2)에 입사된다. 이들 광속은 PBS(2)로부터 반사되어, 센서 렌즈(10)에 의해 PD(11) 상에 집광된다. 이 PD(11)로부터의 출력으로부터 정보 신호 및 서보 제어용 신호가 얻어진다. 이러한 신호는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신호 처리용의 프로세서(15)에 제공될 수 있다.
대물렌즈(8)에 의해 집속된 광속은 프리그루브에 의해 반사되어 회절된다. 이하, 광속의 회절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입사각 θ1을 지닌 입사광의 성분을 설명한다.
반사된 광속의 1차 회절각도를 θ2로서 정의할 경우, 회절격자에 입사하는 광과 회절격자로부터 회절되는 광 간의 관계로부터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
sinθ2 - sinθ1 = 405/320.
그 결과, 1차 회절광은 이하의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얻어질 수 있다:
-58.2°< θ1 < -15.4°.
이때, 1차 회절광 각도는 이하의 범위에 있게 된다:
24.6° < θ2 < 90°
도 2는 상기 입사광과 반사 회절광 간의 관계를 예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검은 원과 흰 원으로 표시된 2종의 입사광인 반사광과 반사회절광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프리그루브(16)면에 수직인 각도(일점쇄선)를 0°로 정의할 경우, 0°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전개되는 영역을 입사각 θ1의 플러스 영역으로 정의하고, 0°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전개되는 영역을 반사회절각 θ2의 플러스 의 영역으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반사 회절각이 마이너스인 영역에서는, 입사각 θ1은 이하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5.4°< θ1 < 58.2°.
여기서, ± 58.2°의 한계는 대물렌즈에 광속이 입사할 때 대물렌즈의 개구수를 이용해서 이하의 식으로부터 결정된다:
sinθ1 = 0.85.
도 3은 이때 대물렌즈(8)에 들어오는 반사광의 동공면상의 강도분포(21)의 모식도이다. 즉, 0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이 서로 간섭하는 영역은 중심에 인접해서 생기지 않고, 서로 멀리 떨어져 있다. 이것은 사용 파장보다 프리그루브의 피치가 좁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 점에 주목해서 창작된 것이다. 즉,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파장이 광기록재의 트랙 피치보다 좁은 경우에는, 파장과 트랙 피치 간의 관계에 의존하여, 0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이 서로 간섭하는 영역은 중심에 인접해서 위치될 수 있다. 이것은 0차 회절광을 이용해서 비점수차 포커스 에러 검출법에 의해 포커스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데 있어 곤란을 초래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 본 발명은 광속의 파장을 트랙 피치에 비해서 길게 함으로써, 0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이 서로 간섭하는 영역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0차 회절광만 존재하는 영역을 증대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비점수차 포커스 에러 검출법에 의해 생성된 포커스 에러 신호 속으로 트랙 횡단 신호 성분이 누설되는 것이 감소될 수 있 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PBS(2)에 인접한 센서 렌즈(10)의 면이 원통면을 지니고, PD(11)에 인접한 다른 쪽 면이 구면을 지닌다.
원통면의 모선은 공지된 기술에서와 같이 광디스크(9)의 트랙 방향에 대해서 45°로 경사지도록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있다. 포커스 에러는 상기 원통면에 의해 발생한 비점수차를 이용해서 생성된다.
도 4는 PD(11)의 광검출 영역과 수광광의 스폿(22)의 모식도이다.
PD(11)는 6개의 구획으로 분할된 영역(A), (B), (C), (D), (E), (F)을 포함하는 6분할 광검출기이다. 영역(E) 및 (F)는 스폿(22)의 간섭 영역을 가리도록 위치되어 있다. 여기서, 각 영역의 크기는 조립 오차(스폿(22)의 반경의 1/8 정도)가 도입된 경우에도 간섭 영역이 영역(E) 및 (F)으로부터 돌출되지 못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포커스 에러(FE)는 이하의 식으로부터 얻어진다:
FE = (Sa+Sc) - (Sb+Sd)
(식 중, Sa, Sb, Sc 및 Sd는 각각 영역(A), (B), (C) 및 (D)으로부터의 출력을 나타냄). 또한, 트래킹 에러(TE)는 간섭 영역의 변화를 얻을 수 있도록 이하의 식으로 정의된다:
TE = Se - Sf
(식 중, Se 및 Sf는 각각 영역(E) 및 (F)으로부터의 출력을 나타냄).
이와 같이 해서,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포커스 에러 생성 시 간 섭 영역의 변화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검토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포커스 에러는 도 10에 나타낸 4 분할 광검출기를 이용해서 얻어진 것과 비교하였다.
도 5는 디스크가 광축 방향(포커스 방향)으로 시프트된 경우 얻어진 포커스 에러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 에러는 실선으로 표시하고, 종래예에 의한 포커스 에러는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포커스 에러의 평가를 위해서 FE는 (Sa+Sb+Sc+Sd)로 나눗셈해서 정규화하였다.
상기 도면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 에러는 종래예에 의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도 6A 및 도 6B는 포커스 서보 제어만을 활성 상태로 한 채로 프리그루브가 디스크의 반경 방향(프리그루브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의 포커스 에러를 나타낸다. 도 6A는 광검출기가 스폿에 대해서 시프트(스폿(22)의 반경의 1/8만큼)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6B는 왕로(往路) 광학계에 비점수차(0.4λ P-V)가 도입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 포커스 에러의 값은 도 5에 표시된 해당 포커스 에러의 진폭치로 정규화해서 평가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 에러는 실선으로 표시하고, 종래예에 의한 포커스 에러는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6A에 있어서, 종래예에 의한 포커스 에러는 프리그루브의 이동과 관련해서 간섭 영역의 영향에 의해 변동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 에러의 변동은 매우 작고, 종래예에 의한 것의 약 1/10으로 유지되고 있다.
또, 도 6B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 에러는 종래예에 의한 것의 약 1/2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트랙 횡단 신호 성분이 포커스 에러 속으로 누설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 2 실시형태)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광학적 정보 기록 재생장치의 광학계의 모식도이다.
LD(1)로부터 대물렌즈(8)까지의 왕로 광학계는 제 1 실시형태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이하, 복로(復路) 광학계에 대해 설명한다. 광디스크(9)로부터 반사된 광속은 대물렌즈(8), λ/4 판(6) 및 제 1 렌즈(4)와 제 2 렌즈(5)를 포함하는 집광 렌즈유닛를 통해서 PBS(2)에 입사된다. 이들 입사 광속은 PBS(2)로부터 반사되어 파면 분할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회절 소자(12)에 입사한다. 회절 소자(12)를 통과한 광속은 센서 렌즈(13)를 거쳐 RF 신호 및 서보 제어 신호 생성용의 PD(14) 상에 집속된다. 이 PD(14)로부터의 출력으로부터 정보 신호 및 서보 제어 신호가 얻어져, 프로세스(15)에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절 소자(12)는 도 8에 모식적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0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 간의 간섭에 의해 생성된 광속을 회절시키는 회절 격자부를 포함한다. 이 회절 격자부는 도면에 있어서 음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회절 격자부는 블레이즈드화(blazed)되어 있어 1차 회절광이 증대되고, 1차 회절광 이외의 회절광이 감소되게 된다.
또한, 회절 격자부의 크기는 해당 회절 격자부가 스폿의 간섭 영역을 가리고, 또한, 조립 오차(스폿 반경의 1/8 정도)가 도입된 경우에도 간섭 영역이 회절 격자부로부터 돌출되지 못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광학계 및 PD(14)에 있어서의 광검출부의 모식도이다.
PD(14)는 6개의 구획으로 분할된 영역(A'), (B'), (C'), (D'), (E'), (F')을 포함하는 6분할 광검출기이다.
도 9A에 표시된 바와 같이, 회절 소자(12)의 회절 격자부에서 회절된 광속은 센서 렌즈(13)를 거쳐 PD(14)의 영역(E'), (F')에 입사한다. 또, 회절 격자부를 통과하지 않은 광속에는 센서 렌즈(13)에 의해 비점수차가 부여되고, 그 결과 얻어진 광속은 4개의 영역(A'), (B'), (C'), (D')에 입사한다. 센서 렌즈(13)는 제 1 실시형태의 센서 렌즈(10)와 같다.
또한, 서보 제어 신호는 이하의 계산으로부터 얻어진다:
FE = (Sa'+Sc')-(Sb'+Sd')
TE = Se'-Sf'
(식 중, Sa', Sb', Sc', Sd', Se', Sf'는 각각 영역(A'), (B'), (C'), (D'), (E'), (F')으로부터의 출력을 나타냄).
이와 같이 해서, 포커스 에러 생성 시, 0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이 서로 간섭하는 영역의 영향을 규제하는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트랙 횡단 신호 성분이 포커스 에러속으로 누설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조립 오차에 의해 초래된 센서와 스폿 간의 상대적 변위, 광학 소자의 품질 등에 연유한 왕로 광학계에 비점수차가 도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불안정한 포커스 서보 제어, 액추에이터 잡음 등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문제도 저감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포커스 에러의 생성 시에, 0차 회절광만을 이용하였지만, 포커스 에러 신호에 상당히 영향을 주지 않는 한 포커스 에러의 생성시 0차 회절광에 1차 회절광을 중첩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트랙 횡단 신호 성분이 포커스 에러속으로 누설되는 것을 저감함으로써, 안정된 포커스 에러 신호를 얻을 수 있어 액추에이터 잡음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등가 구성 및 기능을 망라하도록 최 광의의 해석에 따르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11)

  1.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사된 광속을 소정 트랙 피치로 배치된 트랙을 지닌 광기록 매체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
    상기 광기록 매체로부터 반사된 광속을 수광하고, 상기 광기록 매체의 트랙으로부터 반사된 광속 중 0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 간의 간섭에 의해 생성된 광속만을 실제로 수광하는 제 1 영역과, 0차 회절광만을 실제로 수광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광검출소자; 및
    상기 광검출소자의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의 출력에 근거해서 비점수차 포커스 에러 검출법을 이용하여 포커스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사된 광속의 파장은 상기 광기록 매체의 트랙 피치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정보 기록 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소자는 6개의 구획을 포함하고, 이 6개의 구획 중, 상기 제 1 영역이 2개의 구획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영역은 4개의 구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정보 기록 재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의 면적은 상기 광검출소자의 제 2 영역의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정보 기록 재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검출소자의 중심에 대해서 상기 제 2 영역보다 가깝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정보 기록 재생장치.
  5.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사된 광속을 소정 트랙 피치로 배치된 트랙을 지닌 광기록 매체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
    상기 광기록 매체로부터 반사된 광속을 분할하고, 상기 광기록 매체의 트랙으로부터 반사된 광속 중 0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 간의 간섭에 의해 생성된 광속만을 주로 수광하는 제 1 영역과, 0차 회절광만을 실제로 수광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파면분할소자;
    상기 파면분할소자를 통과한 광속을 수광하는 광검출소자; 및
    상기 파면분할소자의 상기 제 2 영역을 통과한 광속을 수광하는 상기 광검출소자로부터의 출력에 근거해서 비점수차 포커스 에러 검출법을 이용하여 포커스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사된 광속의 파장은 상기 광기록 매체의 트랙 피치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정보 기록 재생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파면분할소자의 제 1 영역은 회절격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정보 기록 재생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파면분할소자의 제 1 영역은 2개의 구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정보 기록 재생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파면분할소자의 중심에 대해서 상기 제 2 영역보다 가깝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정보 기록 재생장치.
  9.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사된 광속을 소정 트랙 피치로 배치된 트랙을 지닌 광기록 매체에 집속시키는 포커싱 수단;
    상기 광기록 매체로부터 반사된 광속을 수광하고, 상기 광기록 매체의 트랙으로부터 반사된 광속 중 0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 간의 간섭에 의해 생성된 광속만을 실제로 수광하는 제 1 영역과, 0차 회절광만을 실제로 수광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수광수단; 및
    상기 수광수단의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의 출력에 근거해서 비점수차 포커스 에러 검출법을 이용해서 포커스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사된 광속의 파장은 상기 광기록 매체의 트랙 피치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정보 기록 재생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수단은 광검출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정보 기록 재생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수단은 광검출소자와 파면분할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정보 기록 재생장치.
KR1020070010370A 2006-02-03 2007-02-01 광학적 정보 기록 재생장치 KR100831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27120A JP2007207381A (ja) 2006-02-03 2006-02-03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JP-P-2006-00027120 2006-0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914A true KR20070079914A (ko) 2007-08-08
KR100831138B1 KR100831138B1 (ko) 2008-05-20

Family

ID=38333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370A KR100831138B1 (ko) 2006-02-03 2007-02-01 광학적 정보 기록 재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183279A1 (ko)
JP (1) JP2007207381A (ko)
KR (1) KR1008311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5056B2 (en) 2010-11-25 2013-10-22 Toshiba Samsung Storage Technology Korea Corporation Method of generating tracking error signal, optical pickup device, and optical disc drive device adopting the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8110A (ja) * 2005-11-29 2007-06-14 Canon Inc 光情報記録再生装置
US7400567B2 (en) * 2005-11-29 2008-07-15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JP5002445B2 (ja) 2007-12-26 2012-08-15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アエレクトロニクス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US8072867B2 (en) * 2009-04-23 2011-12-06 Victor Company Of Japan, Ltd. Optical pickup
JP5392031B2 (ja) * 2009-11-30 2014-01-22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光ピックアッ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242A (ja) * 1993-04-22 1995-01-17 Canon Inc 2ビーム光ヘッド
JPH0896387A (ja) * 1994-09-27 1996-04-12 Canon Inc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H103671A (ja) * 1996-06-18 1998-01-06 Ricoh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におけるトラッキング信号生成方法
US6665242B2 (en) * 1999-12-02 2003-12-16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circuit for adjusting reproducing power
KR100739661B1 (ko) * 2000-04-28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기록재생기기용 에러신호 검출방법 및 장치
KR100636121B1 (ko) * 2000-05-23 2006-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장치
KR100750093B1 (ko) * 2000-10-12 2007-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용 디포커스 에러신호 검출장치 및 방법 및 이를채용한 시크 방향 검출장치 및 방법
KR100396544B1 (ko) * 2000-11-17 2003-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기록재생기기용 에러신호 검출장치
KR100600297B1 (ko) * 2004-03-08 2006-07-13 (주)아이엠 트랙 피치가 상이한 광디스크용 광픽업 장치
JP2005322357A (ja) * 2004-05-11 2005-11-17 Canon Inc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4642492B2 (ja) * 2005-01-28 2011-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7148110A (ja) * 2005-11-29 2007-06-14 Canon Inc 光情報記録再生装置
US7400567B2 (en) * 2005-11-29 2008-07-15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5056B2 (en) 2010-11-25 2013-10-22 Toshiba Samsung Storage Technology Korea Corporation Method of generating tracking error signal, optical pickup device, and optical disc drive device adopting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207381A (ja) 2007-08-16
US20070183279A1 (en) 2007-08-09
KR100831138B1 (ko) 2008-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1865A (en) Optical pickup apparatus and optical grating assembly therefor
JP4389154B2 (ja) 光ピックアップ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19980080412A (ko) 기록재생장치 및 방법
KR100452904B1 (ko) 광픽업장치,광픽업용대물렌즈,광픽업용집광광학계및광디스크장치
US5608695A (en) Optical pick-up apparatus with tracking error detection by detection of amount of light in fan field
KR100831138B1 (ko) 광학적 정보 기록 재생장치
US7697401B2 (en) Optical head device and optical disk apparatus
JP3563210B2 (ja) 光ディスク装置用光学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US5648946A (en) Optical pick-up apparatus with holographic optical element to diffract both forward and return light beams
US7064900B2 (en) Optical pickup device and optical disk device and optical device and composite optical element
JPWO2007116631A1 (ja) 光ディスク装置
JP2877044B2 (ja) 光ヘッド装置
US5909423A (en) Photo-detection device used in an optical pickup head for detecting focusing error signal
JP2594445B2 (ja) ホログラム光ヘッド
KR950005033B1 (ko) 광픽업 장치
JP3031841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616453B2 (ja) 光ヘッド用フィルタ装置
JP3303250B2 (ja) 変位測定装置および光ピックアップ
JPH02193333A (ja) 光ピックアップ
JPH0675300B2 (ja) 光学式ヘッド装置
US20050072899A1 (en) Inclination detector, optical head, optical information processor computer, video recorder, video reproducer, and car navigation system
JPH10320810A (ja) 半導体レーザ装置およ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H0861920A (ja) 変位測定装置および光ピックアップ
JP3477928B2 (ja) 光ピックアップヘッド装置
KR100343159B1 (ko) 광픽업에서회절격자를이용한에러신호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