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9210A -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포인팅 방법 및 포인터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포인팅 방법 및 포인터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9210A
KR20070079210A KR1020060009751A KR20060009751A KR20070079210A KR 20070079210 A KR20070079210 A KR 20070079210A KR 1020060009751 A KR1020060009751 A KR 1020060009751A KR 20060009751 A KR20060009751 A KR 20060009751A KR 20070079210 A KR20070079210 A KR 20070079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virtual
signal
point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1550B1 (ko
Inventor
유호준
홍선기
김남우
최기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9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550B1/ko
Priority to US11/580,094 priority patent/US7952560B2/en
Publication of KR20070079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210A/ko
Priority to US13/064,868 priority patent/US843681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2Light pens for emitting or receiving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25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ers or reflectors or a plurality of detectors forming a reference frame from which to derive the orientation of the object, e.g. by triangulation or on the basis of reference deformation in the picked up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 G06F3/043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in which the acoustic waves are either generated by a movable member and propagated within a surface layer or propagated within a surface layer and captured by a movabl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 포인팅 방법 및 포인터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감지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가상 영역을 생성하고 가상 영역에 위치한 포인팅 지점의 좌표를 디스플레이 영역상의 좌표로 변환하여 변환된 좌표에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 포인팅 방법 및 포인터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를 이용하여 포인터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감지하는 영역 감지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며 동일한 종횡비를 갖는 가상 영역을 생성하는 가상 영역 생성부와, 상기 가상 영역 내에서 포인팅된 지점의 좌표를 상기 가상 영역의 크기에 대한 비율로 변환하는 좌표 변환부 및 상기 비율을 송신하는 좌표 비율 송신부를 포함한다.
포인팅 장치(Pointing Device), 가상 영역, 디스플레이 영역, 포인터(Pointer)

Description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 포인팅 방법 및 포인터 디스플레이 방법{Pointing device, pointer displaying device, pointing method and pointer displaying method using virtual area}
도 1은 종래의 다이렉트 포인팅 장치에 의하여 포인터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을 이용하여 포인터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낸 시스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과 가상 영역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에 의하여 포인터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본 인식 영역 내에 가상 인식 영역 및 디스플레이 인식 영역의 일부가 포함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본 인식 영역 내에 가상 인식 영역의 일 부 및 디스플레이 인식 영역의 전체가 포함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포인팅 방향에 따라 생성된 가상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310 : 영역 감지부 320 : 가상 영역 생성부
330 : 좌표 추출부 340 : 좌표 변환부
350 : 좌표 비율 송신부
본 발명은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감지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가상 영역을 생성하고 가상 영역에 위치한 포인팅 지점의 좌표를 디스플레이 영역상의 좌표로 변환하여 변환된 좌표에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 포인팅 방법 및 포인터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이렉트 포인팅 장치(Direct Pointing Device)란, 디지털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추출하고, 이로부터 현재 포인팅되는 지점에 대하 여 화면 내에서의 위치를 검출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포인터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입력 디바이스를 말한다.
다이렉트 포인팅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포인팅되는 지점에 포인터가 표시되는 절대 매핑(Direct Mapping) 방식을 사용하므로 마우스, 키패드 등과 같은 상대 매핑(Relative Mapping) 방식의 포인팅 디바이스에 비해 포인터의 위치를 보다 빠르고 쉽게 조작할 수 있으며, 원격으로 포인터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이렉트 포인팅 장치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상에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와 다이렉트 포인팅 장치 간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사용자는 포인터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다이렉트 포인팅 장치에 의하여 포인터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0)와 다이렉트 포인팅 장치(20a, 20b) 간의 거리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스플레이 영역(15)상에 포인터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이렉트 포인팅 장치(20a, 20b)의 유효 각도(25a, 25b)를 나타내고 있다.
즉, 다이렉트 포인팅 장치(20a)가 디스플레이 장치(10)와 근거리에 있는 경우, 포인팅될 수 있는 방향은 비교적 넓은 범위의 각도(25a)로 분포되어 있는 반면, 다이렉트 포인팅 장치(20b)가 디스플레이 장치(10)와 원거리에 있는 경우, 포인팅될 수 있는 방향은 비교적 좁은 범위의 각도(25b)로 분포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와 근거리에서 다이렉트 포인팅 장치(20a)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영역(15)상에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큰 어려움 없이 포인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0)와 원거리에서 다이렉트 포인팅 장치(20b)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영역(15)상에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포인터의 위치를 결정함에 있어서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즉, 포인팅 방향을 조금만 변경시켜도 포인터의 위치가 크게 변하므로 사용자에 의한 세밀한 포인터의 위치 변경이 용이하지 않게 되며, 사용자의 손떨림 현상도 더욱 크게 발생하는 것이다.
한국 공개 특허 2005-083723호는 디스플레이 영역상의 커서 위치와 전체 가상 영역 중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영역 사이의 상호 관계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상의 커서 위치가 전체 가상 영역에 비례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영역의 위치를 반영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용 커서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개시된 발명은 디스플레이 영역의 범위를 초과하는 전체 가상 영역 중 특정 가상 영역을 검색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포인터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포인팅 장치 간의 거리와 무관하게 사용자가 포인터의 위치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가상 영역에 위치한 포인팅 지점의 좌표를 디스플레이 영역상의 좌표로 변환하여 변환된 좌표에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를 이용하여 포인터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감지하는 영역 감지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며 동일한 종횡비를 갖는 가상 영역을 생성하는 가상 영역 생성부와, 상기 가상 영역 내에서 포인팅된 지점의 좌표를 상기 가상 영역의 크기에 대한 비율로 변환하는 좌표 변환부 및 상기 비율을 송신하는 좌표 비율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 송신 수단을 이용하여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는 영역 신호 송신부와, 상기 송신된 신호에 따라 생성된 가상 영역 내에서 포인팅된 지점의 좌표를 상기 가상 영역의 크기에 대한 비율로 변환한 좌표 비율을 수신하는 좌표 비율 수신부와, 상기 좌표 비율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상에서의 포인터 좌표를 결정하는 좌표 결정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포인터 좌표에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방법은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를 이용하여 포인터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며 동일한 종횡비를 갖는 가상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 영역 내에서 포인팅된 지점의 좌표를 상기 가상 영역 의 크기에 대한 비율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비율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터 디스플레이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 송신 수단을 이용하여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된 신호에 따라 생성된 가상 영역 내에서 포인팅된 지점의 좌표를 상기 가상 영역의 크기에 대한 비율로 변환한 좌표 비율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좌표 비율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상에서의 포인터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포인터 좌표에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역을 이용하여 포인터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낸 시스템도로서, 시스템은 포인팅 장치(300) 및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소정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신호 송신 수단(211, 212, 213, 214)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다. 신호 송신 수단(211, 212, 213, 214)은 적외선 신호 또는 초음파 신호 등의 신호를 송신하는데, 이를 수신한 포인팅 장치(300)는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의하여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영역(210)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신호 송신 수단(211, 212, 213, 214)은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전면 모서리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디스플레이 영역(210)을 감지한 포인팅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영역(210)의 종횡 비율에 대응되는 가상 영역(220)을 생성한다. 여기서, 가상 영역(220)의 크기는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와 포인팅 장치(300)간의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그 거리가 멀어질수록 가상 영역(220)의 크기는 커지고 그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가상 영역(220)의 크기는 작아질 수 있다.
또한,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와 포인팅 장치(300)간의 거리가 소정 임계치보다 큰 경우 가상 영역(220)의 크기가 디스플레이 영역(21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고, 그 거리가 소정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가상 영역(220)의 크기가 디스플레이 영역(21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포인팅 장치(300)를 이용하여 가상 영역(220)의 소정 지점(225)을 포인팅하게 되는데, 이렇게 포인팅된 지점(225)의 좌표 즉, 가상 영역(220)상의 좌표가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송신된다. 여기서, 가상 영역(220)상의 좌표 는 가상 영역(220)상에서의 절대 좌표가 아니라 상대 좌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종횡 크기가 400x300인 가상 영역(220)상에 포인팅된 지점(225)의 좌표가 (300, 200)인 경우 포인팅 장치(300)는 (300, 200)을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가상 영역(220)의 크기에 대한 포인팅 지점(225)의 비율을 송신한다. 즉, 포인팅 장치(300)는
Figure 112006007701049-PAT00001
을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송신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종횡 크기에 수신한 비율을 곱함으로써 실제로 디스플레이되는 포인터(290)의 좌표(250)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수신한 비율이
Figure 112006007701049-PAT00002
이고,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가 200 x 150인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포인터(290)의 좌표(250)는
Figure 112006007701049-PAT00003
이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포인팅 장치(300)는 영역 감지부(310), 가상 영역 생성부(320), 좌표 추출부(330), 좌표 변환부(340) 및 좌표 비율 송신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역 감지부(310)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를 이용하여 포인터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영역(210)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신호가 하나인 경우 신호 발생 지점을 기준으로 소정 영역을 형성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영역(210)으로 감지하거나, 수신된 신호가 복수 개인 경우 신호 발생 지점을 연결한 소 정 영역을 디스플레이 영역(210)으로 감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신호는 적외선 신호 및 초음파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신호가 복수 개인 경우 각 신호는 서로 다른 고유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각 모서리에 신호 송신 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각 신호 송신 수단에 의하여 서로 다른 고유한 신호가 송신된 경우 이를 수신한 영역 감지부(310)는 모든 신호를 송신하여 디스플레이 영역(210)을 감지할 수 있고, 수신된 신호 중 일부만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영역(210)을 감지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영역 감지부(310)는 수신된 복수 개의 신호를 분석하여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와의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할 수도 있다.
가상 영역 생성부(320)는 디스플레이 영역(210)의 종횡 비율에 대응하는 가상 영역(220)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가상 영역 생성부(320)는 디스플레이 영역(210)의 종횡 비율에 4:3인 경우 4:3 종횡 비율의 가상 영역(220)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영역(210)의 종횡 비율이 16:9인 경우 16:9 종횡 비율의 가상 영역(220)을 생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가상 영역 생성부(320)는 디스플레이 영역(210)의 중심과 가상 영역(220)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가상 영역(220)을 생성한다.
또한, 가상 영역(220)을 생성함에 있어서, 가상 영역 생성부(320)는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와의 거리 및 방향을 참조할 수 있다. 즉, 가상 영역 생성부(320)는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와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 가상 영역(220)의 크기는 작게 형성하고,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와의 거리가 먼 경우 가상 영 역(220)의 크기는 크게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향하는 방향이 디스플레이 영역(210)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이 아닌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210)이 왜곡될 수 있는데, 가상 영역 생성부(320)는 영역 감지부(310)로부터 전달받은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와의 방향을 참조하여 왜곡된 디스플레이 영역(210)에 대응되도록 왜곡된 가상 영역(220)을 생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상 영역(220)의 크기는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와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데, 그 거리가 소정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가상 영역(220)의 크기는 디스플레이 영역(210)보다 작게 형성되고, 그 거리가 소정 임계치보다 큰 경우 가상 영역(220)의 크기는 디스플레이 영역(21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인팅 장치(300)로 디스플레이 영역(210)상의 포인터 위치(250)를 제어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와의 거리와 무관하게 포인팅 장치(300)의 동일한 동작 반경으로 포인터(290)의 위치(25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영역(210)의 좌측 변 또는 우측 변으로 포인터(290)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디스플레이 영역(210)을 향하는 포인팅 방향이 임계 지점에서 좌측으로 30도, 우측으로 30도인 경우, 임계치 미만의 지점 또는 임계치 초과의 지점에서 포인팅 방향은 좌측으로 30도, 우측으로 30도인 것이다.
좌표 추출부(330)는 가상 영역(220) 내에서 포인팅된 지점(225)의 좌표를 추출한다. 좌표 추출부(330)에 의하여 추출되는 좌표는 가상 영역(220) 내에서의 절 대 좌표를 의미한다.
한편, 가상 영역 생성부(320)에 의하여 생성되어 좌표 추출부(330)로 전달되는 가상 영역(220)의 크기는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와의 거리에 무관하게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가상 영역(220)의 크기가 1280×1024인 경우, 좌표 추출부(330)로 전달되는 가상 영역(220)의 크기는 1280×1024인 것이다. 이 경우, 결국 포인팅된 지점(225)의 좌표는 (0, 0)~(1279, 1023)의 범위 내에서 추출될 수 있게 된다.
좌표 변환부(340)는 가상 영역(220) 내에서 포인팅된 지점(225)의 좌표를 가상 영역(220)의 크기에 대한 비율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가상 영역(220)의 크기가 1280×1024이고 포인팅된 지점(225)의 좌표가 (200, 300)인 경우, 변환된 좌표의 비율은
Figure 112006007701049-PAT00004
이 된다.
좌표 비율 송신부(350)는 좌표의 비율을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좌표 비율 송신부와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간의 통신 방식은 이더넷, USB, IEEE 1394, 직렬 통신(serial communication) 및 병렬 통신(parallel communication)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홈 RF 및 무선 랜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영역 신호 송신부(410), 좌표 결정부(420), 제어부(430), 좌표 비율 수신부(440) 및 디스플레이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역 신호 송신부(4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 송신 수단을 이용하여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신호는 적외선 신호 및 초음파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역 신호 송신부(410)는 신호 송신 수단 별로 고유한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신호 송신 수단은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전면부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전면부 중 디스플레이 영역(210)의 각 모서리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영역(210)의 형태를 포인팅 장치(300)에 의하여 감지되도록 한다.
좌표 비율 수신부(440)는 영역 신호 송신부(410)에 의하여 송신된 신호에 따라 포인팅 장치(300)에 의하여 생성된 가상 영역(220) 내에서 포인팅된 지점의 좌표를 가상 영역(220)의 크기에 대한 비율로 변환한 좌표 비율을 수신한다. 좌표 비율 수신부(440)와 포인팅 장치(300)간의 통신 방식은 이더넷, USB, IEEE 1394, 직렬 통신 및 병렬 통신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홈 RF 및 무선 랜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좌표 결정부(420)는 좌표 비율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영역(210)상에서의 포인터 좌표를 결정한다. 도 3을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좌표 비율은 가상 영역(220) 내에서 존재하는 포인팅 지점의 좌표를 가상 영역(220)의 크기에 대한 비율로 변환한 것으로서, 가로 비율 및 세로 비율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좌표 결정부(420)는 좌표 비율에 포함된 가로 비율 및 세로 비율을 디스플레이 영역(210)의 가로 크기 및 세로 크기에 각각 적용하여 포인터 좌표를 결정한다. 즉, 가로 비율을 디스플레이 영역(210)의 가로 크기에 곱하고, 세로 비율을 디스플레이 영역(210)의 세로 크기에 곱함으로써 포인터 좌표를 결정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부(450)는 입력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액정 화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Plasma Display Panel) 등의 영상 표시 수단이 구비된 모듈로서 좌표 결정부(420)에 의하여 결정된 포인터 좌표에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430)는 영역 신호 송신부(410), 좌표 결정부(420), 좌표 비율 수신부(440), 디스플레이 부 및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과 가상 영역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a는 포인팅 장치(300)와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간의 거리가 소정 임계치보다 큰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포인팅 장치(300)와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간의 거리가 소정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에서 A 지점은 포인팅 장치(300)와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간의 거리에 대한 임계 지점으로서, A 지점(510)에서 디스플레이 영역(210)의 좌측 끝과 우측 끝을 포인팅하기 위한 포인팅 장치(300)의 동작 범위 각도(515)는 좌측 및 우측 각각
Figure 112006007701049-PAT00005
이다.
이 때, 포인팅 장치(300)의 위치가 B 지점(520)인 경우 가상 영역(590a)은 디스플레이 영역(210)보다 크게 형성되는데, 가상 영역(590a)의 크기는 B 지점(520)에서 가상 영역(590a)의 좌측 끝과 우측 끝을 포인팅하기 위한 포인팅 장치(300)의 동작 범위 각도(525)가 좌측 및 우측 각각
Figure 112006007701049-PAT00006
인 경우에 형성되는 가상 영역(590a)에 따라 결정된다.
즉, 사용자는 임계 지점인 A 지점(510)뿐만 아니라 B 지점(520)에서도 임계 지점에서와 같은 포인팅 장치(300)의 동작 범위 각도(515)로 포인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5b에서 A 지점(510)은 포인팅 장치(300)와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간의 거리에 대한 임계 지점으로서, A 지점(510)에서 디스플레이 영역(210)의 좌측 끝과 우측 끝을 포인팅하기 위한 포인팅 장치(300)의 동작 범위 각도(515)는 좌측 및 우측 각각
Figure 112006007701049-PAT00007
이다.
이 때, 포인팅 장치(300)의 위치가 C 지점(530)인 경우 가상 영역(590b)은 디스플레이 영역(210)보다 작게 형성되는데, 가상 영역(590b)의 크기는 C 지점(530)에서 가상 영역(590b)의 좌측 끝과 우측 끝을 포인팅하기 위한 포인팅 장치(300)의 동작 범위 각도(535)가 좌측 및 우측 각각
Figure 112006007701049-PAT00008
인 경우에 형성되는 가상 영역(590b)에 따라 결정된다.
즉, 사용자는 임계 지점인 A 지점(510)뿐만 아니라 C 지점(530)에서도 임계 지점에서와 같은 포인팅 장치(300)의 동작 범위 각도(515)로 포인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결국 사용자는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와의 거리와 무관하게 용이하게 포인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b에서 M 지점(550)은 디스플레이 영역(210)의 중심으로서, 가상 영역(590a, 590b) 또한 M 지점(550)을 그 중심으로 하여 형성된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에 의하여 포인터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포인팅 장치(300)에 의하여 인식되는 영역을 이용하여 포인터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포인팅 장치(300)에 의하여 인식되는 영역은 기본 인식 영역(610), 디스플레이 인식 영역(630) 및 가상 인식 영역(620)을 포함한다.
기본 인식 영역(610)이란, 포인팅 장치(300)가 향하는 방향의 영역 중 포인팅 장치(300)에 의하여 인식되는 영역을 의미하는데, 기본 인식 영역(610)의 중심(650a)은 포인팅 장치(300)가 향하는 포인팅 방향이 된다.
디스플레이 인식 영역(630)이란, 기본 인식 영역(610) 내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영역(210)으로서, 포인팅 장치(300)에 의하여 인식되는 디스플레이 영역(210)을 의미한다.
가상 인식 영역(620)이란, 기본 인식 영역(610) 내에 포함된 가상 영역으로서, 포인팅 장치(300)에 의하여 인식되고 있는 가상 영역을 의미한다. 가상 인식 영역(620)은 디스플레이 인식 영역(630)의 위치에 따라 전부 또는 일부만이 기본 인식 영역(61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6a는 기본 인식 영역(610) 내에 가상 인식 영역(620) 및 디스플레이 인식 영역(630)이 모두 포함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 인식 영역(630)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가상 인식 영역(620)이 형성되는데, 좌표 추출부(330)는 가상 인식 영역(620) 내에 위치한 포인터의 좌표(635)를 추출한다. 즉, 가상 인식 영역(620)의 좌측상단을 기준으로 포인팅되는 지점의 좌표(635)를 추출하는 것으로서, 도 6a에 따르면 (w, h)가 포인터의 좌표(635)가 된다.
그리고, 좌표 변환부(340)는 포인터의 좌표(635)를 가상 인식 영역(620)의 크기에 대한 비율로 변환한다. 도 6a에서 가상 인식 영역(620)의 가로 크기(621)가 x이고, 세로 크기(622)가 y이므로 가로 비율은
Figure 112006007701049-PAT00009
이고 세로 비율은
Figure 112006007701049-PAT00010
가 된다.
가로 비율 및 세로 비율은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전달되고,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좌표 결정부(420)는 디스플레이 영역(210)의 가로 크기(641) 및 세로 크기(642)에 전달받은 좌표 비율을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할 포인터(690)의 좌표(645)를 결정한다. 즉, 전달받은 가로, 세로 비율이 각각
Figure 112006007701049-PAT00011
Figure 112006007701049-PAT00012
이고, 디스플레이 영역(210)의 가로, 세로 크기가 각각 u (641)및 v(642)이므로, 결국 결정된 포인터(690)의 좌표(645)는
Figure 112006007701049-PAT00013
가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본 인식 영역 내에 가상 인식 영역 및 디 스플레이 인식 영역의 일부가 포함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서와 같이, 가상 인식 영역(720)의 좌측상단(725)이 기본 인식 영역(710)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가상 인식 영역(720)은 디스플레이 인식 영역(730)을 기준으로 생성되므로, 포인팅 장치(300)의 좌표 추출부(330)는 포인팅 지점(750)의 좌표를 추출할 수 있고,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좌표 결정부(420)는 디스플레이될 포인터의 좌표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신된 복수 개의 신호는 서로 다른 고유한 신호인 경우에는, 복수 개의 신호 전체가 감지되지 않고 하나의 신호만 감지되더라도 디스플레이 인식 영역(730)의 형태 및 크기가 감지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본 인식 영역 내에 가상 인식 영역의 일부 및 디스플레이 인식 영역의 전체가 포함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원거리에 있는 경우 또는 포인팅 방향이 디스플레이 영역(210)에서 소정 각도이상 떨어진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서, 기본 인식 영역(810) 내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인식 영역(830)의 크기는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원거리에 있기 때문에 포인팅 장치(300)에 의하여 작게 인식되지만, 가상 인식 영역(820)의 크기는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와의 거리와 무관하게 동일한 크기로 생성된다. 즉, 도 7과 같이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와 근거리에 위치한 경우의 가상 인식 영역(720)의 크기 및 도 8과 같이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와 원거리에 위치한 경우의 가상 인식 영역(820)의 크기는 서로 동일한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와의 거리와 무관하게 포 인팅 장치(300)의 동일한 동작 범위 각도로 디스플레이 영역(210)에서의 포인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포인팅 방향에 따라 생성된 가상 영역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포인팅 방향(900)이 디스플레이 영역(210)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이 아닌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포인팅 장치(300)의 영역 감지부(310)는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영역 신호 송신부(410)로부터 송신되는 복수 개의 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영역(210)의 형태를 감지한다. 즉, 영역 감지부(310)는 영역 신호 송신부(410)에 포함된 복수 개의 신호 송신 수단과의 거리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영역(210)의 형태를 감지하는 것이다.
도 9b는 도 9a에서와 같은 포인팅 방향(900)에 따라 형성된 디스플레이 인식 영역(930) 및 가상 인식 영역(920)이 기본 인식 영역(910)에 포함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가상 인식 영역(920) 내에 존재하는 포인팅 지점(950)에 따라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에서의 포인터 좌표가 결정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포인팅 장치(300)의 영역 감지부(310)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를 이용하여 포인터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영역(210)을 감지한다(S1010). 여기서, 신호는 적외선 신호 및 초음파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데, 각 신호는 서로 다른 고유한 신호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영역 감지부(310)는 하나의 신호만을 감지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의 형태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감지된 디스플레이 영역(210)은 가상 영역 생성부(320)로 전달되고, 가상 영역 생성부(320)는 디스플레이 영역(210)의 종횡 비율에 대응하는 가상 영역을 생성한다(S1020). 여기서, 가상 영역 생성부(320)는 디스플레이 영역(210)의 중심과 가상 영역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가상 영역을 생성하는데, 가상 영역의 크기는 디스플레이 영역(210)과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고, 가상 영역의 모양은 디스플레이 영역(210)을 향하는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생성된 가상 영역을 기준으로 좌표 추출부(330)는 가상 영역 내에서 포인팅된 지점의 좌표를 추출한다(S1030). 즉, 생성된 가상 영역 내에 포함된 포인팅 지점의 좌표를 추출하는 것으로서, 좌표 추출부(330)에 의하여 추출되는 좌표는 가상 영역 내에서의 절대 좌표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포인팅 장치(300)에 의하여 인식되는 가상 영역인 가상 인식 영역의 크기는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와의 거리에 무관하므로, 좌표 추출부(330)는 가상 인식 영역에서의 절대 좌표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추출된 좌표는 좌표 변환부(340)로 전달되고, 좌표 변환부(340)는 전달된 좌표를 가상 영역의 크기에 대한 비율로 변환한다(S1040). 좌표 변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a 내지 도 6b를 통하여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변환된 좌표 비율은 좌표 비율 송신부(350)로 전달되고, 좌표 비율 송신부(350)는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좌표 비율을 송신한다(S1050). 이에 따라,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포인터의 좌표를 결정하여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영역 신호 송신부(4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 송신 수단을 이용하여 소정의 신호를 송신한다(S1110). 여기서, 신호는 적외선 신호 및 초음파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신호 송신 수단 별로 고유한 신호일 수 있다.
좌표 비율 수신부(440)는 송신된 신호에 따라 생성된 가상 영역 내에서 포인팅된 지점의 좌표를 가상 영역의 크기에 대한 비율로 변환한 좌표 비율을 수신한다(S1120). 그리고, 수신된 좌표 비율은 좌표 결정부(420)로 전달되고, 좌표 결정부(420)는 전달받은 좌표 비율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영역(210)상에서의 포인터 좌표를 결정한다(S1130). 포인터 좌표 결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a 내지 도 6b를 통하여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부(450)는 좌표 결정부(420)에 의하여 결정된 좌표에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한다(S114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가상 영역에 위치한 포인팅 지점의 좌표를 디스플레이 영역상의 좌표로 변환하여 변환된 좌표에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와 포인팅 장치간의 거리에 무관하게,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디스플레이 영역에 포인터를 위치시킬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사용자의 손떨림 현상을 감소시키는 장점도 있다.

Claims (22)

  1.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를 이용하여 포인터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감지하는 영역 감지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며 동일한 종횡비를 갖는 가상 영역을 생성하는 가상 영역 생성부;
    상기 가상 영역 내에서 포인팅된 지점의 좌표를 상기 가상 영역의 크기에 대한 비율로 변환하는 좌표 변환부; 및
    상기 비율을 송신하는 좌표 비율 송신부를 포함하는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는 적외선 신호 및 초음파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는 서로 다른 고유한 신호를 포함하는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감지부는 상기 서로 다른 고유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감지하는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영역 생성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심과 상기 가상 영역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상기 가상 영역을 생성하는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영역의 크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의 거리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영역의 모양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향하는 방향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
  8.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 송신 수단을 이용하여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는 영역 신호 송신부;
    상기 송신된 신호에 따라 생성된 가상 영역 내에서 포인팅된 지점의 좌표를 상기 가상 영역의 크기에 대한 비율로 변환한 좌표 비율을 수신하는 좌표 비율 수신부;
    상기 좌표 비율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상에서의 포인터 좌표를 결정하는 좌표 결정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포인터 좌표에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는 적외선 신호 및 초음파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신호 송신부는 상기 신호 송신 수단 별로 고유한 신호를 송신하는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결정부는 상기 좌표 비율에 포함된 가로 비율 및 세로 비율을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로 크기 및 세로 크기에 각각 적용하여 상기 포인터 좌표를 결정하는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
  12.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를 이용하여 포인터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며 동일한 종횡비를 갖는 가상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상 영역 내에서 포인팅된 지점의 좌표를 상기 가상 영역의 크기에 대한 비율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비율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는 적외선 신호 및 초음파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는 서로 다른 고유한 신호를 포함하는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서로 다른 고유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심과 상기 가상 영역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상기 가상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방법.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영역의 크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의 거리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방법.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영역의 모양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향하는 방향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방법.
  19.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 송신 수단을 이용하여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된 신호에 따라 생성된 가상 영역 내에서 포인팅된 지점의 좌표를 상기 가상 영역의 크기에 대한 비율로 변환한 좌표 비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좌표 비율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상에서의 포인터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포인터 좌표에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터 디스플레이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는 적외선 신호 및 초음파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터 디스플레이 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송신 수단 별로 고유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터 디스플레이 방법.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좌표 비율에 포함된 가로 비율 및 세로 비율을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로 크기 및 세로 크기에 각각 적용하여 상기 포인터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터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060009751A 2006-02-01 2006-02-01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포인팅 방법 및 포인터 디스플레이 방법 KR101261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751A KR101261550B1 (ko) 2006-02-01 2006-02-01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포인팅 방법 및 포인터 디스플레이 방법
US11/580,094 US7952560B2 (en) 2006-02-01 2006-10-13 Pointing device for display presentation and method and pointer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13/064,868 US8436813B2 (en) 2006-02-01 2011-04-21 Pointing device and method and pointer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751A KR101261550B1 (ko) 2006-02-01 2006-02-01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포인팅 방법 및 포인터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210A true KR20070079210A (ko) 2007-08-06
KR101261550B1 KR101261550B1 (ko) 2013-05-06

Family

ID=38321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751A KR101261550B1 (ko) 2006-02-01 2006-02-01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포인팅 방법 및 포인터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7952560B2 (ko)
KR (1) KR1012615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2664A (ko) * 2010-01-12 2011-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7119536A1 (ko) * 2016-01-08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8775A2 (en) * 2004-08-12 2006-02-23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display
EP2089869A2 (en) * 2006-11-27 2009-08-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mote control pointing technology
KR20090123545A (ko) * 2008-05-28 2009-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EP2140917B1 (en) * 2008-06-30 2018-01-03 Nintendo Co., Ltd. Orientation calcul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having orientation calculation program stored therein
EP2140915B1 (en) 2008-06-30 2019-03-06 Nintendo Co., Ltd. Orientation calculation apparatus, storage medium having orientation calculation program stored therein, gam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having game program stored therein
EP2140916B1 (en) * 2008-06-30 2018-10-31 Nintendo Co., Ltd. Coordinate calcul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having coordinate calculation program stored therein
EP2140919B1 (en) * 2008-06-30 2018-09-05 Nintendo Co., Ltd. Orientation calculation apparatus, storage medium having orientation calculation program stored therein, gam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having game program stored therein
US20110227825A1 (en) * 2008-07-01 2011-09-22 Hillcrest Laboratories, Inc. 3D Pointer Mapping
KR20100028352A (ko) * 2008-09-04 2010-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디스플레이 패널을 원격제어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시스템에서의 원격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EP2228109B1 (en) 2009-03-09 2021-03-24 Nintendo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orage medium hav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display range control method
JP2010282408A (ja) * 2009-06-04 2010-12-16 Sony Corp 制御装置、入力装置、制御システム、ハンドヘルド装置及び制御方法
WO2011061975A1 (ja) * 2009-11-19 2011-05-2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
TWI446218B (zh) * 2010-06-30 2014-07-21 Pixart Imaging Inc A method of switching the range of interactive pointing devices and a handover fetch for interactive pointing devices
TWI436241B (zh) * 2011-07-01 2014-05-01 J Mex Inc 遙控裝置及將其用於校正螢幕的控制系統及方法
US9600091B2 (en) * 2012-01-05 2017-03-21 Seiko Epson Corporation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10241638B2 (en) * 2012-11-02 2019-03-26 Athe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three dimensional interface
US9952684B2 (en) 2013-05-09 201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apparatus, pointing apparatus, method for displaying pointer, and recordable medium
JP2015018319A (ja) * 2013-07-09 2015-01-29 船井電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50117018A (ko) * 2014-04-09 2015-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팅 장치, 컴퓨팅 장치 제어 방법 및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08388383B (zh) * 2018-02-08 2020-10-30 深圳市志凌伟业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安装的电容传感器及其电极结构
US11273367B1 (en) * 2019-09-24 2022-03-15 Wayne Hughes Beckett Non-CRT poin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6465A (en) 1993-06-18 1995-08-29 Diefes; Debra L. Satellite location and pointing system for use with global positioning system
GB2289756B (en) * 1994-05-26 1998-11-11 Alps Electric Co Ltd Space coordinates detecting device and input apparatus using same
US5926168A (en) * 1994-09-30 1999-07-20 Fan; Nong-Qiang Remote pointers for interactive televisions
US6100874A (en) * 1995-11-17 2000-08-08 Immersion Corporation Force feedback mouse interface
JP3313610B2 (ja) 1997-04-24 2002-08-12 エヌイーシーシステム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ウィンドウ画面表示位置制御装置と方法
US6252579B1 (en) * 1997-08-23 2001-06-26 Immersion Corporation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cursor control with force feedback
KR19990061762A (ko) 1997-12-31 1999-07-26 윤종용 가상 화면 스크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컴퓨터 및 화면 스크롤제어회로
US6424410B1 (en) * 1999-08-27 2002-07-23 Maui Innovative Peripherals, Inc. 3D navigation system using complementary head-mounted and stationary infrared beam detection units
US6727885B1 (en) * 1999-09-07 2004-04-27 Nikon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position or attitude detector
FR2814026A1 (fr) * 2000-09-14 2002-03-15 Yves Jean Paul Guy Reza Dispositif de pilotage d'un curseur
GB0123352D0 (en) * 2001-09-28 2001-11-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Image display
CA2468904C (en) * 2001-12-21 2009-06-30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Device and method for calculating a location on a display
DE10228103A1 (de) 2002-06-24 2004-01-15 Bayer Cropscience Ag Fungizide Wirkstoffkombinationen
JP2004078323A (ja) 2002-08-09 2004-03-11 Canon Inc 座標入力装置及び座標演算方法
CN100437446C (zh) * 2002-10-07 2008-11-26 米厄里戈有限公司 用于电子设备的光标
US20040095317A1 (en) * 2002-11-20 2004-05-20 Jingxi Zhang Method and apparatus of universal remote pointing control for home entertainment system and computer
JP2004318823A (ja) * 2003-03-28 2004-11-11 Seiko Epson Corp 情報表示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ポインティング装置および情報表示システムにおけるポインタマーク表示方法
US7038661B2 (en) * 2003-06-13 2006-05-02 Microsoft Corporation Pointing device and cursor for use in intelligent computing environments
US7420540B2 (en) * 2003-12-01 2008-09-02 Olbrich Craig A Determining positioning and/or relative movement of graphical-user interface element based on display images
US7755608B2 (en) * 2004-01-23 2010-07-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of interfacing with a machine
US20050229200A1 (en) * 2004-04-08 2005-10-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a display based on user distance from display device
US7852317B2 (en) * 2005-01-12 2010-12-14 Thinkoptics, Inc. Handheld device for handheld vision based absolute pointing system
KR20050083723A (ko) 2005-04-06 2005-08-26 마이오리고 오와이 전자 장치용 커서
US8610664B2 (en) * 2005-07-11 2013-12-17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of controlling a control point position on a command area and method for control of a device
US9285897B2 (en) * 2005-07-13 2016-03-15 Ultimate Pointer, L.L.C. Easily deployable interactive direct-pointing system and calibration method therefor
US7486274B2 (en) * 2005-08-18 2009-02-03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for stabilizing and precisely locating pointers generated by handheld direct pointing devices
US8308563B2 (en) * 2005-08-30 2012-11-13 Nintendo Co., Ltd. Game system and storage medium having game program stored thereon
JP4773170B2 (ja) * 2005-09-14 2011-09-14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US20070070034A1 (en) * 2005-09-29 2007-03-29 Fanning Michael S Interactive entertainment system
US8913003B2 (en) * 2006-07-17 2014-12-16 Thinkoptics, Inc. Free-space multi-dimensional absolute pointer using a projection marker system
JP2010282408A (ja) * 2009-06-04 2010-12-16 Sony Corp 制御装置、入力装置、制御システム、ハンドヘルド装置及び制御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2664A (ko) * 2010-01-12 2011-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7119536A1 (ko) * 2016-01-08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KR20170083328A (ko) * 2016-01-08 2017-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US10360792B2 (en) 2016-01-08 2019-07-23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76899A1 (en) 2007-08-02
US8436813B2 (en) 2013-05-07
US7952560B2 (en) 2011-05-31
US20110199300A1 (en) 2011-08-18
KR101261550B1 (ko) 2013-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1550B1 (ko) 가상 영역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 포인터 디스플레이 장치,포인팅 방법 및 포인터 디스플레이 방법
US1094895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able, display control method, program, portable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090027048A (ko) 움직임을 인식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818990B1 (ko) 움직임 신호를 변환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348346B1 (ko) 포인팅 장치, 포인터 제어 장치, 포인팅 방법 및 포인터제어 방법
KR100689849B1 (ko) 원격조정제어장치, 영상처리장치, 이를 포함하는 영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10080337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120238A1 (en) Light control method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WO2007098697A1 (en) Remote control, imaging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the same
US1143585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30113725A1 (en)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731317B (zh) 导航装置及影像显示系统
KR20140057150A (ko) 터치 명령 및 특이 터치를 이용한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 및 방법
JP2015511791A (ja) 表示装置の操作方法、システム及び関連装置
US9223386B2 (en) Interactive pointing device capable of switching capture ranges and method for switching capture ranges for use in interactive pointing device
US20100066673A1 (en) Laser pointer capable of detecting a gesture associated therewith and representing the gesture with a function
KR20120070320A (ko) 스테레오 카메라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치검출 방법
KR20010004860A (ko) 원격 포인팅시스템
KR20090010356A (ko) 발광 및 수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포인팅 시스템
CN104238828A (zh) 显示装置操作方法及系统
JP200706605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guiの切り換え方法
CN109799911A (zh) 一种按摩椅手势控制装置及控制方法
CN100447724C (zh) 基于空间位置测量的指点方法和系统
US9582120B2 (en) Display device,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790818B1 (ko) 손 동작을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