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3723A - 전자 장치용 커서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용 커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3723A
KR20050083723A KR1020057005889A KR20057005889A KR20050083723A KR 20050083723 A KR20050083723 A KR 20050083723A KR 1020057005889 A KR1020057005889 A KR 1020057005889A KR 20057005889 A KR20057005889 A KR 20057005889A KR 20050083723 A KR20050083723 A KR 20050083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ursor
virtual screen
electronic device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하네스 바나넨
Original Assignee
마이오리고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오리고 오와이 filed Critical 마이오리고 오와이
Priority to KR1020057005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3723A/ko
Publication of KR20050083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72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상에서 커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전자 장치,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설명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의 크기는 너무 작아서 일정 가상화면의 단지 일부만이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한번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가상화면 디스플레이 부분을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상의 커서 위치와 전체 가상화면내 가상화면 디스플레이 부분사이의 상호관계가 상기 디스플레이상의 커서 위치가 전체 가상 화면에 비례하여 상기 가상화면 디스플레이 부분 위치를 반영하도록 결정된다. 다시말해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가상 데스크탑상에서,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상에서 디스플레이된 커다란 디지탈 정보내에서 신속하게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용 커서{CURSOR FOR ELECTRONIC DEVICES}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위한 신규하고 개선된 방법 그리고 실제 디스플레이보다 큰 가상 화면내 현재의 위치를 알기 위한 전자 장치에 대한 것이다.
전자 장치 세트 디스플레이 크기는 동 디스플레이상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많은 양의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는 최선의 방법이 아니다. 정보의 양이 많고 모든 정보를 동시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면 세부사항들에 대하여는 판독이 불가하게 된다. 이같은 문제의 한가지 해결책은 소위 "가상의 데스크 탑(virtual desktop)"이라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때에는 디지탈 정보의 총량이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한번에 제공되는 실제 양의 정보보다 큰 공간에서 다시 제공된다. 따라서, 가시적 면적 바깥에 다시 제공된 정보에 접근하기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이같은 실시는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위치하는 스크롤 바아를 사용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같은 적용에 있어서는 다음과같은 알림이 사용된다:
"커서"를 이용하여 테이터내 관련된 가변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로서 사용한다. 상기 커서는 마우스 또는 다른 네비게이션 도구가 가르켜져야 하는 곳, 또는 텍스트가 기록되는 때 스타디하고 있는 테이터내에 삽입되어질 곳을 나타내는 아이템(item)이 된다.
"가상 화면(virtual view)"은 상기 사용자가 일정한 주어진 시간에 네비게이트하게 되는 공간적으로 배열된 전체 데이터를 의미한다.
"가상 화면 디스플레이 부분"은 상기 가상 화면에 접근하는 때 전자 장치 디스플레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화면 부분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나타나는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면적보다 훨씬 크게되는 때, 상기 정보내의 현재 위치가 잘 파악되지 않게 된다. 가령,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와같은 전자 장치는 지도의 사용을 제공한다. 이같은 지도는 한번에 단지 1/10000의 축적이 동 전자 장치 디스플레이상에서 판독가능한 형태로 제시될 수 있는 면적으로 되어있다. 그와 같은 상세한 화면에서, 전체 지도는 100X100 이차원 메트릭스로서 상기 전자장치의 처리기에 제공된다. 상기 전자장치의 사용자는 스크롤 바아 또는 다른 유사 방법 또는 수단으로 상기 지도내에서 "이동(move)"할 수 있게된다. 그러나,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전체 지도내에서 현제 위치가 어디인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지는 못한다.
종래의 기술로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몇가지 해결책이 존재한다. 그 한가지는 사용자에게 좌표 판독을 제고하는 것이다. 공지의 또다른 해결책은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그리드(grids)를나타내는 것이다. 이같은 해결책들은 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PDA, 이동 전화, 원격 제어기등과 같은 장치에서도 사용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상기의 해결 방법들은 여러가지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좌표 판독은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알고 있어야 하는 일정한 최대값을 가지고 있다. 이같은 좌표들은 상기 디지탈 정보내의 정확한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좌표들에 대한 지식은 상기 디지탈 내용의 전체 크기가 선명하지 않으며, 상기 좌표들이 상기 디지탈 내용내에서 현재 위치에 대한 직감적인 화상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쓸모가 없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좌표가 사용되는 때,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전체 디지탈 내용상에서 자신의 상대적인 위치를 알지 못하게 된다. 대신에, 상기 좌표들은 상기 디지탈 정보의 일정한 상대적인 측정 스케일만을 나타낼 뿐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좌표들은 신속한 네비게이션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질 못한다.
또다른 해결 방법은 작은 구별 구역이 상기 디스플레이내에 제공되는 것이다. 이같은 구별 구역은 상기 전체 디지탈 내용내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보여준다. 이같은 해결방법에서의 문제는 가령 한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때, 상기 언급된 구별구역을 위하여 분리되어질 충분한 공간이 없다는 것이다. 상기 전체 디지탈 내용내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보여주는 상기의 구별 구역이 제공된다 하여도, 그 크기는 너무 작아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가 없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커서를 이동시키므로서 커다란 가상 화면내 커서 위치 및 디스플레이 부분 위치를 할당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 부분을 이동시키므로서 커다란 가상 화면내 커서 위치 및 디스플레이 부분 위치를 할당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커다란 가상 화면내 커서 위치 및 디스플레이 부분 위치를 할당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커서의 위치를 설명하는 블럭도.
본원 발명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상에서 커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전자 장치,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설명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의 크기는 너무 작아서 일정 가상화면의 단지 일부만이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한번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가상화면 디스플레이 부분을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상의 커서 위치와 전체 가상화면내 가상화면 디스플레이 부분사이의 상호관계가 상기 디스플레이상의 커서 위치가 전체 가상 화면에 비례하여 상기 가상화면 디스플레이 부분 위치를 반영하도록 결정된다. 다시말해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가상 데스크탑상에서,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상에서 디스플레이된 커다란 디지탈 정보내에서 신속하게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오리엔테이션을 변경시키므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에서의 화면을 변경시킨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의 화면은 스크롤 바아, 마우스등을 사용하여 변경된다.
한 실시예에서, 커서 위치와 상기 가상화면 디스플레이 부분사이의 상관관계는 선형이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이같은 상관관계는 비-선형이게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상에서 부분적으로 보이게되는 커다란 디지탈 내용내 필요한 구역으로 신속하게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사용자는 상기 커서를 상기 디스플레이상의 필요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디스플레이에서의 상기 커서의 일정 위치가 상기 전체 디치탈 내용 일정 화면으로 점프하기 때문에 신속한 이동이 달성될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이동 전화 또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원격 컨드롤, 웹 테블릿, 디지탈 카메라 또는 포인팅 장치가 있는 전자 장치등이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대비하여 볼때 여러가지 장점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가상 데스크탑상에서 또는 커다란 디지탈 내용내에서 디스플레이된 부분의 정확한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커서의 위치를 보므로서 상기 커다란 가상화면상에서 자신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또한 상기 커다란 가상화면 코너를 실제 디스플레이 센터로 스크롤해야할 필요없이 상기 커서를 상기 커다란 가상화면의 코너로 이동시킬 수가 있기도 하다.
하기에서는 본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로서 본원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단계(100)와 관련하여서, 전체 가상화면의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이같은 디스플레이 부분은 상기 전체 가상 화면의 일부 일 수 있다. 단계(110)에서, 상기 커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이동된다. 상기 커서는 마우스, 커이 선택, 터치 패드, 조이 스틱 또는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기타 다른 장치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단계(120)에서, 상기 커서 위치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사이에 일정 상관 관계가 결정된다.
일정 실시예에서는 이같은 상관 관계가 원점등으로 부터의 이탈관계와 관련하여 선형이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원점등으로 부터의 이탈관계가 진행적이다. 일정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커서, 가상화면, 그리고/또는 상기 디스플레된 부분이 동일한 원점을 갖는다. 단계(130)에서 상기 커서위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부분의 위치는 상기 상관관계에 따라 변경된다.
도 2 및 단계(200)와 관련하여, 전체 가상화면의 일부가 상기 드스플레이사에 디스플레이된다. 단계(210)에서, 상기 가상화면의 디스플레이된 부분이 디스플레이상에서 이동된다. 상기 가상화면의 디스플레이되 부분은 마우스, 키이 선택, 조이스틱등에의하여 이동될 수 있다. 단계(220)에서, 일정 상관관계가 상기 커서 위치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위치사이에서 결정된다.
단계(220)에서, 사익 커서 위치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부분의 위치가 사용자의 작용에 응답하여 상기 상관관계에 따라 변경된다.
도 3과 단계(300)과 관련하여, 전체 가상화면의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이같이 디스플레이된 부분은 상기 전체 가상화면의 어느 일부일 수 있다. 단계(320)에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킴에 응답하여 상기 가상화면 디스플레이된 부분이 상기 커서와 같은 방향으로 같거나 상이한 속도로 스크롤된다. 단계(330)에서, 상기 커서 이동 방향이 가령 사용자 작용에 응답하여 변경된다. 이에 응답하여 상기 가상화면 디스플레이된 부분의 스크롤링 방향은 상기 커서의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변경된다. 이때의 이동 속도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커서 또는 디스플레이된 부분의 이동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컨트롤하여서 이에의하여 본 발명에 따라 다른 하나의 이동을 컨트롤할 수 있음이 자명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단계(100),(110),(120),(130),(200),(210),(220),(230),(300),(310),(320),(330) 및/또는 단계(340)등이 교환가능하며, 따라서 다른 순서로 실행이 가능하다.
도 4와 관련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20)는 한번에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편리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문자, 그림, 선, 링크, 비디오 또는 필셀들을 위해 필용한 그리고 이들과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계산하고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가상화면의 일부분만이 디스플레이(40)상에 한번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화면 컨트롤 수단(50)이 제공된다. 화면 컨트롤 수단(50)은 가령 다양한 이동 센서와 같은 이동 컨트롤 수단을 의미하는 것이나, 상대적인 이동 및/또는 오리엔테이션을 결정하기위해 사용되는 다른 포인팅 장치와 같은 공지의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및 오리엔테이션을 결정하기 위한 여러 가지각색의 센서, 가령 가속 센서, 자이로스코프 그리고 위치 분석 비디오 영상등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화면 컨트롤 수단(50)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기울임 이동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처리기(10)가 측정결과를 수신하고 이들을 인터럽트한다. 상기 이동 센서는 가령 압전 또는 용량성 아날로그 전압으로서, 상기 가속 팩터에 비례하게 된다. 상기 이동 센서로 일차, 이차 또는 삼차의 가속을 측정함이 가능하다. 상기 기울임 이동의 측정은 최고의 가속이 중력에 대응한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의 오리엔테이션은 지구(the earth)와의 관계하에서 규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의 오리엔테이션을 측정하기 위한 여러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자이로스코프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도 하다. 상기 측정된 양은 가령 기울임 각과 가속의 크기이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40)에서의 화면은 상기 전자장치가 기울어지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의 일정 오리엔테이션이 상기 디스플레이(40)에서의 전체 가상화면과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기도 하다. 따라서, 상기 화면의 변화를 조정하는 것은 매우 용이하며 논리적이다. 상기 화면 컨트롤 수단(50)은 스크롤 바아 또는 마우스의 사용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40) 그리고 처리기(10)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어뎁터로 구성될 수 있기도 하다. 처리기(10)를 갖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뎁터는 상기 디스플레이(40)를 컨트롤한다. 디스플레이-관련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메모리(20a)를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어뎁터는 상기 디스플레이(40)상에서 디스플레이되어질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또한 브라우즈 로크(80)를 포함하기도 하며, 이같은 로크로 상기 브라우징이 실행되는 때 신호가 발생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우즈 로크는 푸시 버튼을 의미한다. 상기 화면 컨트롤 수단(50)과 함께 상기 브라우즈 로크가 상기 커서 또는 디스플레이된 부분을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키기위한 수단(70)을 형성시킨다. 다시말해서, 상기 브라우즈 로크가 오프인때,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는 상기 커서를 상기 디스플레이된 부분이 안정적인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상의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상기 전자 장치 디스플레이(40)상에서의 상기 커서(60)의 위치를 설명한다. 실제 디스플레이(10)에서의 상기 커서(60)의 실제 위치는 상기 실제의 디스플레이(40) 센터 포인트가 스크롤링하는 동안 상기 커다란 가상 화면(64)과 관계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동일하거나 동일한 텐던시(tendency)를 뒤따른다. 다시말해서, 상기 디스플레이(40)상에서의 상기 커서(60)의 위치와 상기 전체 가상 화면내의 가상화면(64) 디스플레이 부분(62) 위치사이의 상관관계는 상기 디스플레이(40)상에서의 커서(60) 위치가 상기 전체 가상 화면(64)에 비례하여 상기 가상 화면 디스플레이 부분(62) 위치를 반영할 수 있도록 결정된다. 상기 스크롤링을 컨트롤하는 동일한 사용자 방법이 같은 시간에 마찬가지로 상기 커서(60)를 컨트롤할 수 있다. 도 5에서, 마크 'x'는 커서(60)를 나타낸다. 그러나, 다른 형태의 커서가 사용될 수 있음이 당연하며, 이같은 커서(60)의 사용 실시상태는 본 발명에 따라 매우 가변적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제의 디스플레이(10)보다 커다란 가상화면(64)을 스크롤링하는 때 스크롤링 동작(스크롤링 볼, 이동 컨트롤, 마우스등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을 어떻게 커서(60)의 이동과 결합할 수 있겠는가에 대한 물음에 대한 해결책을 설명하는것이며, 동시에 사용이 직관적일 수 있겠는가 하는 것에 대한 답변인 것이다.
사용자가 상기 커다란 가상화면(64)를 우측으로(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40)상의 영상이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스크롤하는 때, 상기 디스플레이(40)상의 커서(60)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여러 실시예에서, 상기 커서(60)는 상기 디스플레이(40)상에서 항상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와같은 방향으로 사용자는 커다란 가상화면(64)을 스크롤한다. 이들이동간의 상관관계는 선형이거나 비-선형일 수 있다. 다음에서는, 상기 선형의 경우가 설명된다.
하기 실시예에서, 좌표 시스템은 이차원이다. 다음의 파라미터가 규정된다.
커다란 화상 센터 포인트=(0,0)
커다란 화상 상측 좌측 코너=(-vxmax, -vymax)
커다란 화상 하측 우측 코너=(vxmax, vymax)
실제 디스플레이 센터 포인트=(0,0)
실제 디스플레이 상측 좌측 코너=(-pxmax, -pymax)
실제 디스플레이 하측 우측 코너=(-pxmax, -pymax)
커다란 화면상의 실제 디스플레이 센터 포인트 위치=(vx,vy)
실제 디스플레이상의 커서 위치=(x,y)
상기 실제 디스플레이(40)에서, 커다란 가상 화면 좌표내 한 단계는 실제 디스플레이(40) 좌표 시스템내 한 단계와 동일하다. 다음의 공식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1;1 줌 팩터 및 선형 알고리즘이 사용된다.
상기 커다란 가상화면에서의 커서 위치는 다음과 같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서(60)는 직관적으로 그리고 논리적으로 일정 순간에 상기 디스플레이(40)상에서 보이는 부분을 나타내는 것이다. 화면(62)은 한번에 상기 디스플레이(40)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커다란 가상화면(64) 가시 부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장점은 상기 커서의 위치를 보므로서 보다 커다란 가상 화면에서 자신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보다 큰 화면 코너를 실제 디스플레이의 센터로 움직일 필요없이 상기 커서를 보다 큰 가상화면의 코너로 이동할 수 있다.

Claims (21)

  1.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상에서 커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한번에 가상화면의 일부만이 상기 전자 장치 디스플레이상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상기의 방법이
    사용자 작용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가상화면의 디스플레이 부분을 변경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한 커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상기 디스플레이상의 커서 위치와 상기 전체 가상화면내 가상 화면의 디스플레이된 부분 위치사이의 상관관계를 결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상의 커서위치가 상기 전체 가상화면내 가상화면의 디스플레이된 부분 위치에 상관될 수 있도록 함을 더욱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서 디스플레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가 상기 가상화면이 스크롤되는 때 같은 방향으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서 디스플레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관계가 선형 또는 비-선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서 디스플레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상기 커서를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상의 가상화면 해당 부분을 디스플레이함을 더욱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서 디스플레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오리엔테이션을 변경하는 것이 상기 디스플레이상의 화면을 변경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상기 가상 화면의 디스플레이된 부분, 그리고/또는 상기 가상 화면이 동일한 원점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커서 디스플레이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를 상기 가상 화면 디스플레이된 부분 센터로 부터 이탈시킴이 상기 가상 화면 원점으로 부터 디스플레이된 부분을 이탈시킴에 비례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서 디스플레이 방법
  8. 처리기(10);
    상기 처리기(10)에 결합되며, 전자장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적합하 가상 화면을 포함하는 메모리(20);
    상기 처리기(1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40);
    상기 디스플레이(10)상의 화면이 변경되도록 하는 화면 컨트롤 수단(50);
    상기 디스플레이(10)상의 커서(60)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디스플레이상에 커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상의 커서(60)위치가 상기 전체 가상화면내 가상화면 디스플레이된 부분 위치와 관련을 맺을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40)상의 커서(60)위치와 상기 전체 가상화면내 가상 화면 디스플레이된 부분 위치사이의 상관 관계를 더욱더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커서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컨트롤 수단(50)은 이동 컨트롤 수단, 스크롤 바아 또는 마우스임을 특징으로하는 커서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커서(60)를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키기위한 수단(70) 그리고 상기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40)상의 가상 화면 해당 부분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서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이동 전화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서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원격 컨트로 , 게임 콘솔, 웹 테블릿, 무선 장치, 이동 카메라 또는 인터넷 응용장치임을 특징으로하는 커서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가상 화면 디스플레이된 부분 및/또는 가상 화면이 같은 원점을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서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화면 디스플레이된 부분의 센터로 부터 상기 커서의 이탈이 상기 가상 화면 원점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된 부분의 이탈과 비례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서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15.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서 실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판독가능 메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단계로 실행하여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상에 커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며, 한번에 한 가상 화면의 일부만이 상기 전자 장치 디스플레이상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방법이
    사용자 작용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상기 가상 화면의 디스플레이된 부분을 변경시키며;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한 커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상기 디스플레이상의 커서위치가 상기 전체 가상화면내 가상화면 디스플레이된 부분 위치와 관련을 맺을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40)상의 커서위치와 상기 전체 가상화면내 가상 화면 디스플레이된 부분 위치사이의 상관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욱더 포함하도록 함을 특징으로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가 사이 가상 화면이 스크롤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관계가 선형 또는 비-선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컴퓨터 프로그램
    상기 커서를 한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상의 가상 화면 해당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욱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오리엔테이션을 변경하는 것이 상기 디스플레이상의 화면을 변경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화면의 디스플레이 부분 및/또는 상기 가상 화면이 동일한 원점을 갖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1.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화면 디스플레이된 부분의 센터로 부터 상기 커서의 이탈이 상기 가상 화면 원점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된 부분의 이탈과 비례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057005889A 2005-04-06 2002-10-07 전자 장치용 커서 KR200500837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5889A KR20050083723A (ko) 2005-04-06 2002-10-07 전자 장치용 커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5889A KR20050083723A (ko) 2005-04-06 2002-10-07 전자 장치용 커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723A true KR20050083723A (ko) 2005-08-26

Family

ID=37269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889A KR20050083723A (ko) 2005-04-06 2002-10-07 전자 장치용 커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37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2560B2 (en) 2006-02-01 2011-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inting device for display presentation and method and pointer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2560B2 (en) 2006-02-01 2011-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inting device for display presentation and method and pointer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8436813B2 (en) 2006-02-01 2013-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inting device and method and pointer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8017B2 (en) Viewing images with tilt control on a hand-held device
US10095316B2 (en) Scrolling and zooming of a portable device display with device motion
US9519350B2 (en) Interfac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orce
US6424355B2 (en) Digital map display zooming method, digital map display zoom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digital map display zooming program
FI115258B (fi) Menetelmä ja elektroninen laite graafisessa käyttöliittymässä navigoimiseksi
JP4093823B2 (ja) 視野移動操作方法
US6624824B1 (en) Tilt-scrolling on the sunpad
US9250799B2 (en)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input device, information input device, program therefor,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therefor
US6288704B1 (en) Motion detection and tracking system to control navigation and display of object viewers
US6400376B1 (en) Display control for hand-held data processing device
US7044372B2 (en) Guid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program
US20070038955A1 (en) Pen-based computer system having first and second windows together with second window locator within first window
US20110221776A1 (en) Display input device and navigation device
JP2012514786A (ja) モバイルデバイスのため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US20080150921A1 (en) Supplementing and controlling the display of a data set
CN103988159A (zh) 显示控制装置、显示控制方法以及计算机程序
KR100667853B1 (ko) 휴대용 기기의 화면 스크롤 장치 및 방법과 그 방법을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US20140098053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viewing desktop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medium
EP2767801A1 (en) Navigation device
CN110377214B (zh) 角度侦测方法和角度侦测装置
JP4126045B2 (ja) 電子装置、カーソルを表示する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60176294A1 (en) Cursor for electronic devices
KR20050083723A (ko) 전자 장치용 커서
JPH0212516A (ja) 実寸表示方式
JP7177029B2 (ja) 表示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