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8827A - 미용황토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용황토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8827A
KR20070078827A KR1020070062346A KR20070062346A KR20070078827A KR 20070078827 A KR20070078827 A KR 20070078827A KR 1020070062346 A KR1020070062346 A KR 1020070062346A KR 20070062346 A KR20070062346 A KR 20070062346A KR 20070078827 A KR20070078827 A KR 20070078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ocher
charcoal
extract
so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8941B1 (ko
Inventor
박장용
Original Assignee
박장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장용 filed Critical 박장용
Priority to KR1020070062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941B1/ko
Publication of KR20070078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9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11D13/18Shaping by extrusion or pres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26D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06Inorganic compounds
    • C11D9/18Water-insoluble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용황토비누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코코넛 수지, 솔싹추출물, 솔향, 6개월 숙성황토, 한방성분 17종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30분간 교반함으로써 미용황토비누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조성물은 단단하면서 부드러운 거품과 피부진정, 탈취, 보습, 무르는 현상을 방지하는 등의 기능과 함께, 고기능성 항균 및 항곰팡이 효능, 효과를 갖는 고형비누를 제공한다. 미용황토비누는 포화지방산 80%이상의 식물성 코코넛 수지를 사용하여, 단단하면서 부드러운 거품 장점을 갖는다. 또한, 6개월 숙성된 황토 조성물은 원적외선 방사로 자기발열과 혈액순환촉진에 의한 노폐물 배출, 세포의 활성화, 신진대사기능 효과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미용황토비누 사용이 완료된 후 배수구로 버려지는 경우에도, 조성물 중 황토는 포화지방산 및 기타 오염물질을 흡착 및 침전분해하여 오염물질을 정화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코코넛 수지, 솔싹추출물, 황토, 항균, 항곰팡이, 원적외선

Description

미용황토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HWANGTO(KOREAN LOESS)-BASED FACIAL SOAP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용황토비누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코코넛 수지와 6개월 이상 숙성시킨 황토분말 및 솔싹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영양성분인 한방추출물 17종을 소정의 비율로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인체 피부적용 시에 풍부한 거품의 세척효과와 황토분말의 원적외선 방사 및 피부질환 발생 세균을 항균, 항곰팡이 효과를 갖으며, 한방추출물 17종(백렴, 백급, 석창포, 백편두, 행인, 의이인, 애엽, 고삼, 백강잠, 은행, 만년청, 유근피, 박하, 녹두, 죽염, 천궁, 감초) 피부진정, 항염, 보습효과, 추출물 영양분이 충분히 공급되는 효과를 지니도록 한 미용황토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미용황토비누 조성물은 사용을 마친 후 배수구로 배출될 때에도 조성물 중에 포함된 황토가 하천의 오염인자를 흡착분해하여 정화하는 추가적 효과를 갖는 자연친화적인 특징을 나타낸다.
종래의 미용비누는 그 주성분의 성질에 따라 크게 세 가지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우지를 100% 함유하는 비누의 경우에는 단단하여 취급이 편리하지만 사용감이 좋지 못하다. 둘째, 식물유를 100% 함유하는 비누의 경우는 사용감은 더 좋지만 무르는 현상 때문에 취급 및 사용이 불편하다. 셋째, 우지와 식물유를 일정량 혼합사용하여 상기의 각 단점을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지만, 갈라짐이 없고 단단한 고형화 비누를 생산하는데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었다. 그 외의 종래 미용 비누는 또한 고밀도의 풍부한 거품을 위해 라우린산, 미르스틴산을 첨가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단순히 피부보호, 보습, 탄력 및 살균에 한정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복합적인 작용을 충분하게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단단하면서 부드러운 거품과 피부진정, 탈취, 항균, 항곰팡이, 물음현상방지, 보습력 등의 기능과 함께 황토의 원적외선효과, 보습효과, 영양분 공급 등의 복합적인 효과를 갖는 황토비누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코코넛 수지 93~95중량%, 6개월 숙성황토 2~4중량%, 솔싹추출물 0.5~1중량%, 한방추출물17종 0.5~1중량%, 토코페롤 0.3~1중량% 기타 첨가 성분 1~5중량%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압출 단계, 형타기 단계, 건조 단계를 거쳐 생산된 제품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화 미용황토비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미용황토비누 조성물의 성분 및 숙성에 사용되는 성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첫째, 코코넛 수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100% 식물성 코코넛 수지로 구성되며, 그 중에는 지방산 구성상 포화지방산 80%이상 함유되어 있다. 코코넛은 양질의 필리핀 산이 바람직하다. 포화지방산 함량 중 70%이상이 라우린산과 미르스틴산으로 구성되어 있어, 고밀도의 풍부한 거품 형성과 단단하면서 세척력이 좋은 비누를 생산하는 고급 원료이다.
둘째, 황토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황토는 본 출원인이 이전에 출원하여 등록된 한국 특허 제 697045호에 기재되어 있는 황토를 이용한다. 황토는 태양에너지 중 원적외선을 흡수 보관한다. 원적외선 중에서도 인체에 가장 유익한 파장(5.7~10마이크론)을 갖고 있는 원적외선은 피부의 심층(3~4cm)까지 침투하여 세포를 촉진시켜서 체온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이때 땀이 다량 방출되면서 얻어지는 탁월한 효과로 각종 유독성 물질, 노폐물등을 땀과 함께 다량으로 방출됨으로 신진대사 작용이 원활하며 혈액순환 활성화로 인하여 노화방지, 신진대사촉진, 만성피로회복 등에 효과가 있다.
또한, 황토에 살아있는 미생물로 카탈라아제, 디페놀옥시다아제, 프로테아제가 있는데, 이는 독소제거, 분해력, 비료요소, 흙정화작용을 한다. 황토 속에 미생물인 카탈라아제는 인체 대사작용과정에서 과산화지질이라는 독소가 오면 노화가 오는데, 이를 중화 희석시켜 피부 노화 방지의 작용이 있다. 프로테아제의 성분은 단백질 속의 질소가 무지화할 때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가수분해하여 부패한 세포는 분해 파괴시키며, 곪은 상처, 체내의 독소를 해독시켜주는 효소이다. 프로테아제는 인체의 부폐한 세포를 흙속에서 순식간에 분해시키는 작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황토는 산지에서 지표면으로부터 90cm 이상 부엽토를 걷 어낸 후 양질의 황토를 채취하여 선별기를 이용해서 돌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선별된 황토의 독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태양광을 이용한 자연건조를 행한다. 건조 후의 수분함량을 4%, 3.5%, 3%로 조절한다. 이때 수분함량을 조절하는 것은 숙성전의 수분함량을 3%~4%로 맞춘 경우 숙성 후 수분함량이 2%이하로 떨어질 때의 황토가 가장 바람직한 성질을 지니기 때문이다. 건조 후, 분쇄기에 의해서 200mesh~2000mesh 입도의 황토분말을 생산하여, 정제기에 의한 불순물을 제거한 후 황토분말 원료로 사용한다.
이어서, 숯, 솔싹의 추출물, 소금, 황토분말을 준비하고, 1차 정수된 물에 소금을 혼입하여 20 및 50w/v% 용액으로 한 후, 소금물 용액을 100으로 보았을 때 솔싹의 추출물을 10 및 20 중량부로 첨가한다. 위의 제조된 혼합액에 숯을 넣은 후 1일간 방치한 후 충분히 건조시킨다. 건조된 숯을 얼망얼망한 가재 수건에 싸서 상기황토분말원료와 함께 숙성시킨다. 6개월 이상 숙성을 행한 후 수분함량이 2%이하로 떨어져서 유지되는 것을 확인 후 황토원료로 사용한다.
미용황토비누 조성물인 6개월 숙성황토의 효능은, 원적외선, 항균, 항곰팡이, 탈취, 보습등이 있다. 황토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은 인체에 가장 유익한파장(5.7~10마이크론)을 방사하여 피부심층(3~4cm)까지 침투하여 세포를 촉진시켜서 체온상승 작용에 의해 노폐물 등이 다량 방출하게 한다. 또한 여드름균, 아토피균에 대해 항균작용과 더불어 탈취 및 보습효과도 있다.
셋째, 솔싹추출물에 대해서 설명한다.
솔잎이 유난히 푸른빛을 띠는 것은 송진의 주성분에도 있는 정유에 함유되 어 있는 테레핀유라는 물질 때문이다. 테레핀유에는 불포화 지방산이 다량함유 되어 있다. 소나무에는 알코올, 에스테르, 페놀화합물, 글리코기닌을 포함해 페레펜틴, 비타민A. C, 글로로필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는 강장제가 있다. 이중의 알코올, 에스테르등은 노폐물을 배출시켜 한층 신진대사를 촉진시킨다. 비타민 A는 점막을 튼튼히하는 작용이 있다. 또한, 탈취효과 및 물질의 활성을 주기도 한다. 또한, 아토피균의 항균효과 및 보습효과로 화장품원료로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솔싹추출물을 진공흡열 압착 추출하여 합성향료(SOAP HP-41415) 솔향을 1:1 정량.혼합하여 고형화 비누에 사용하였다. 합성향료 제조 시 피부트러블 예방을 위하여 사용되는 알코올은 식물 및 곡물을 발효하여 얻은 주정(C2H5OH 46.07 95%)을 사용한다.
넷째, 한방추출물 17종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방추출물 17종은 백렴, 백급, 석창포, 백편두, 행인, 의이인, 애엽, 고삼, 백강잠, 은행, 만년청, 유근피, 박하, 녹두, 죽염, 천궁, 감초를 은으로 만든 증압 추출기에 1 : 1 증류수를 정량하여, 12시간이상 증압하여 얻은 추출물을 300mesh 망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냉각하여 최종 한방추출물 17종을 추출한다.
미용황토비누 조성물인 한방추출물 17종의 효능은, 피부질환개선(알레르기성 질환개선) 및 코코넛 수지의 부작용 감소 및 영양공급 등이며, 이 같은 목적으로 상기 한방 추출물을 함유한다. (표 3 참조)
다섯째, 토코페롤 및 기타첨가 물질에 대해 설명한다.
토코페롤은 비타민 E로써 유명한 연노란색 오일로서, 피부의 모세혈관을 확 대시켜 줌으로 노화방지 및 여드름, 기미등을 생기지 않게하는 작용이 있으며, 세포막의 투과성을 놓여 피로물질인 젖산등의 폐염물질을 피부밖으로 배출시켜 피부에 탄력을 준다.
기타첨가물질로는 스쿠알렌, 알로에, 호호바오일, 포도씨 오일, 글리세린을 함유한다.
스쿠알렌은 피부에 친화력이 좋고 습윤효과도 우수하다.
알로에는 보습작용, 유연작용, 세포재생작용이 있다.
호호바오일은 여드름치료, 비듬방지 효과가 있으며, 영양분을 공급해주는 효능이 뛰어나며 피부의 수분함량을 안정시키도록 도와주는 특성도 지니고 있다.
포도씨 오일은 비타민, 미네랄, 단백질이 농축되어 있으며 살균력이 강하여 모든 피부타입에 적당하다.
글리세린은 염증제거, 피부진정등 효능이 있으며, 피부에 아주 쉽게 흡수되어 피부표면을 부드럽게 해준다.
이외 성분은 살리실산, 솔향, 수분을 함유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실시예 와 항균, 항곰팡이, 탈취, 풍부한 거품력 및 세척력, 물은 현상방지, 보습력, 원적외선의 실험을 통한 조성물의 최적의 조건을 기술한다. 공인된 시험결과를 위해 한국화학시험연구원 및 원적외선 협회에 최적의 조건 조성비의 미용황토제품을 실험의뢰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다음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나타난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제조예 1
(코코넛 수지 성분 제조)
100% 필리핀산 식물성 코코넛 수지로 준비하였다. 코코넛 수지 중에는 지방산 구성상 포화지방산 80%이상 함유되어 있었다. 포화지방산 함량 중 70%이상이 라우린산과 미르스틴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황토 성분 제조)
황토 산지에서 지표면으로부터 90cm 이상 부엽토를 걷어낸 후 양질의 황토를 채취하여 선별기를 이용해서 돌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선별된 황토의 독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태양광을 이용한 자연건조를 행하였다. 건조 후의 수분함량을 4%, 3.5%, 3%로 조절하였다. 건조 후, 분쇄기에 의해서 200mesh~2000mesh 입도의 황토분말을 생산하여, 정제기에 의한 불순물을 제거한 후 황토분말 원료로 사용하였다.
이어서, 숯, 솔싹의 추출물, 소금, 황토분말을 준비하고, 1차 정수된 물에 소금을 혼입하여 20 및 50w/v% 용액으로 한 후, 소금물 용액을 100으로 보았을 때 솔싹의 추출물을 10 및 20 중량부로 첨가하였다. 위의 제조된 혼합액에 숯을 넣은 후 1일간 방치한 후 충분히 건조시켰다. 건조된 숯을 얼망얼망한 가재 수건에 싸서 상기 황토분말 원료와 함께 숙성시켰다. 6개월 이상 숙성을 행한 후 수분함량이 2%이하로 떨어져서 유지되는 것을 확인 후 황토원료로 사용하였다.
(솔싹추출물 제조)
솔싹추출물을 진공흡열 압착 추출하여 합성향료(SOAP HP-41415) 솔향을 1:1 정량,혼합하여 고형화 비누에 사용하였다. 합성향료 제조 시 피부트러블 예방을 위 하여 사용되는 알코올은 식물 및 곡물을 발효하여 얻은 주정(C2H5OH 46.07 95%)을 사용하였다.
(한방추출물 17종의 제조)
한방추출물 17종은 백렴, 백급, 석창포, 백편두, 행인, 의이인, 애엽, 고삼, 백강잠, 은행, 만년청, 유근피, 박하, 녹두, 죽염, 천궁, 감초를 은으로 만든 증압 추출기에 별첨4. 1 : 1 증류수를 정량하여, 12시간이상 증압하여 얻은 추출물을 300mesh 망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냉각하여 최종 한방추출물 17종을 추출하였다.
(미용황토비누의 제조)
상기 방법에 의하여 준비된 코코넛 수지 93중량%, 6개월 숙성황토 2 또는 3중량%, 솔싹추출물 1중량%, 한방추출물17종 1 또는 2 중량%, 토코페롤 0.5중량% 스쿠알렌, 알로에, 호호바오일, 포도씨 오일 및 글리세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소량 (1% 미만으로)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압출한 후, 비누 형타기를 사용하여 형태를 만든 후 건조시켜 본 발명의 미용황토비누를 제조하였다.
대조구 1, 2,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성분 조성은 아래 표 1과 같다.
대조구 1, 2와 비교예 1, 2도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구성 성분에 있어서, 대조구의 경우는 주성분의 일부를 포함하지 않도록 제조하였고, 비교예의 경우는 코코넛 수지 함량을 낮추고 황토나 다른 성분의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 나는 경우의 예이다.
대조구 1 대조구2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고
순번 성분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중량(%)
1 코코넛 수지 97 98 95 93 90 83 표 2
2 황토 1 2 3 4 1 5
3 솔싹추출물 0 0 0.5 1 2 4
4 한방추출액 0 0 0.5 0.5 5 6 표 3
5 그레이프씨드오일 0.5 0 0.2 0.4 0.5 0.5
6 호호(조조)바오일 0.3 0 0.2 0.2 0.3 0.3
7 토코페롤 0.5 0 0.2 0.4 0.5 0.5
8 알란토인 0.3 0 0.2 0.1 0.3 0.3
9 알로에베라 0.2 0 0.1 0.2 0.2 0.2
10 기타 0.2 0 0.1 0.2 0.2 0.2
이와 같이 대조구 및 본 발명의 조성물인 실시 예 1 내지 2, 비교 예 1 내지 2의 성분과 조성비에 따른 시험과 분석 결과, 다음의 표 4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표 2는 비누의 원료가 되는 각각의 유지의 탄화수소의 탄소사슬 분포를 나타내는 표이다.
탄소 사슬 분포 (중량 %)
코코넛 수지 올리브유 대두유 우지 돼지지방
결과 결과 결과 결과 결과
C10 1 MAX 0.5
C12 45-55 47.5 미량
C14 15-25 17.5 미량 0.5 2-8 1-4
C16 10-20 15.4 9 7-11 25-33 20-28
C18 4-6 5 2.3 2-6 14-29 5-14
C18:1 10-15 11.2 82.5 15-33 39-50 41-51
C18:2 5 MAX 2.9 6 43-56 1-5 2-15
아래 표 3에서는 본 발명의 미용황토비누에 사용되는 한방 추출액의 각 성분의 작용을 요약한 표이다.
한방추출액 작용(㎖=g)
주요성분 함량(%) 작용 주요성분 함량(%) 작용
백렴 2 인화작용, 수렴작용 백강잠 4 수렴작용, 표백작용
백급 7 수렴작용, 살균작용 은행 4 노화방지. 혈액순환
석창포 10 유분공급 만년청 3 알레르기 개선
백편두 2 미백작용 유근피 2 보습. 세척력 촉진
행인 7 기미, 여드름. 항염효과 박하 5 살균작용. 항염작용
의이인 5 기미, 주근깨, 미백효과 녹두 10 피부병. 여드름 개선
애엽 3 보습. 진정작용 죽염 3 살균. 염증. 여드름 개선
고삼 10 소염. 수렴작용 천궁 3 피부진정. 미백작용
감초 20 독소제거. 미백.항염작용
순번 시험항목 시험방법 대조구 1 대조구 2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1 탈취 KFIA-FI-1004 35% 73% 74% 61% 42% 77%
2 항균 KFIA-FI-1002 58% 99.9% 99.9% 94% 82% 70%
3 항곰팡이 ASTM G-21 성장 성장인지 못함 성장인지 못함 성장인지 못함 성장 성장
4 원적외선 KFIA-FI-1005 0 0.905 3.63*10*2 0.905 3.64*10*2 0.901 3.61*10*2 0.901 3.61*10*2 0.908 3.67*10*2
5 단단함 HARDNESS 기기 사용 5 5 5 5 3 1
6 거품력 피부접촉 육안테스트 4명 10명 20명 15명 0명 0명
7 갈라짐 용질 침전 후 건조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있음 있음
8 보습력 피부접촉 사용감 2 1 4 4 1 1
상기 표4은 아래에서 기재하는 시험예의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시험예 1: 탈취 시험
KFIA-KI-1004에 의거하여 탈취시험을 행했다. 암모니아를 시험가스로 사용하였으며, 가스검진관을 사용해서 가스농도를 측정하였다.
표4에 기재된 시험결과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황토함량이 가장 높은 비교 예 2가 탈취율이 가장 좋았으나, 표4의 시험 이외 테스트 결과 황토의 함량이 5%이상이 되면 비누의 갈라짐과 보습력 저하로 품질이 저하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시험예 2: 항균
KFIA-FI-1002에 의거하여 항균시험을 행했다. 사용균주 대장균, 녹농균, 일반세균, 황색포도상구균, 살모넬라균을 배지에 배양한 후 대조구 1 내지 2,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고형화 비누를 희석하여 도포한 후 24시간이 경과한 결과를 평균하여 측정하였다.
표4에 기재된 시험결과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황토함량 3%이상 함유 시 항균율은 99.9%이었으며, 황토함량이 3%이하 일수록 항균력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2는 황토함량이 5%임에도 불구하고 항균력이 저하된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비교예 2가 한방성분을 다량으로 함유한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시험예 3: 항곰팡이
ASTM G-21에 의거하여 항균시험을 행했다. 곰팡이 균주
Aspergillus niger ATCC 9642, Penicillium pinophilum ATCC 11797,
Chaetomium globosum ATCC 6205를 대조구 1 내지 2,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시료에 균을 접종하여 4주 경과 후 균의 성장을 확인하여 백분율을 측정하였다.
표4에 기재된 시험결과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황토 3%이상 함유 시 항곰팡이 시험결과 곰팡이가 성장할 수 없는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2의 경우에는 황토함량이 5%임에도 불구하고 곰팡이가 성장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비교예 2가 한방성분을 다량으로 함유한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시험예 4: 원적외선
KFIA-FI-1005에 의거하여 원적외선 시험을 행하였다. 본 시험은 37℃ 및 40℃에서 각 2번 시험하였으며, FT-IR Spectrometer를 이용한 BLACK BODY대비 측정하여 평균 산정하였다.
표4에 기재된 시험결과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황토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방사율(5~20㎛), 방사에너지(W/㎡·㎛,40℃ OR 37℃)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5: 경도(단단한 정도)
HARDNESS 시험기기 및 물에 융해 정도를 평가하여 경도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 평가 기준은 5단계를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매우 무름 <- 1 5 -> 매우단단함
표4에 기재된 시험결과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코코넛 수지 함량 98~93%에서는 매우 단단하였으나 93%이하로 함유하는 경우에는 무르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시험예 6: 거품 형성 정도
20~40대 직원 40명을 대상으로 거품 형성 피부접촉 육안 테스트를 행하였다.
표4에 기재된 시험결과 및 다른 시험결과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황토를 4%이하로 함유 시 산화물질 등에 의한 작용으로 거품 형성이 좋아짐을 알 수 있었으며, 4%이상 함유 시에는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7: 갈라짐
PH 7 보정된 증류수를 이용하여 1일간 방치 후 3일간 건조하여 갈라짐 시험을 행하였다.
표4에 기재된 시험결과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코코넛 수지 함량이 93%이하 시 또는 한방성분 1%이상 함유하는 경우 갈라짐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황토의 함량이 5% 이상으로 되는 때에도 갈라짐 현상이 발생하였다.
시험예 8: 보습력
20대로만 구성된 평가 패널 10명을 대상으로 보습력을 피부접촉 후 사용감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매우 당김 <- 1 5 -> 매우촉촉함
표4에 기재된 시험결과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한방추출물의 함량이 증가 할 수록 매우촉촉하다 시험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황토의 함량이 증가 할수록 황토의 피지흡착등에 의한 건조증상도 발생하였다.
상기의 표4의 최종시험 결과를 종합하면, 코코넛 수지 함량이 93%이하인 경우에는 갈라짐, 거품 형성, 경도(단단한 정도)에 품질저하를 가져왔으며, 황토의 함량을 3%로 함유했을 때, 탈취, 항균, 항곰팡이, 원적외선 방사율, 갈라짐 방지, 거품 형성의 향상 등에서 최적의 상태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황토의 함량을 5%이상으로 하면 갈라짐현상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솔싹 추출물, 한방추출액 등을 일정량 함유하는 경우 보습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솔싹 추출물은 고형화 비누 생산 시 증발 및 화학반응에 의한 탈취, 항균력이 감소되어 효능이 발생하지는 않았으나 보습유지에 도움을 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이 제공하는 미용황토비누 조성물의 비율은 실시 예1이 가장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미용비누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은 원료를 사용함으로써 비누화 화학성분의 피부 부작용 및 단순 피부보호, 보습, 탄력 및 세균에 한정된 비누에서 복합적인 미용황토비누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단하면서 부드러운 거품과 피부진정, 탈취, 항균, 항곰팡이, 원적외선, 물음현상방지, 보습력을 갖는 복합적인 효과를 갖는 황토비누 조성물을 실시 예1를 발명 할 수 있었다.
비누 사용 후 배수구로 배출될 때에도 황토는 한천의 오염 성분에 흡착하여 분해하는 추가적인 정화 효과를 나타내는 자연친화적인 제품의 특징을 나타낸다.

Claims (3)

  1. 정수된 물에 소금을 혼입하여 20-50w/v% 용액으로 한 후, 상기 소금물 용액 100에 대하여 10-20 중량부의 솔싹 추출물을 첨가하는 단계;
    상기 용액에 숯을 넣어 1일 방치 후 숯을 꺼내 자연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숯과 황토를 함께 천으로 싸서 6개월간 숙성시켜 숙성 황토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숙성 황토 2-4중량%에 코코넛 수지 93-95중량%, 솔싹추출물 0.5-1중량%, 한방추출물0.5-1중량%, 토코페롤 0.3-1중량%, 및 스쿠알렌, 알로에, 호호바오일, 포도씨 오일 및 글리세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 1-5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은 압출하여 형 타기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용황토 비누의 제조방법.
  2. 중량비 코코넛 수지 93-95중량%, 숙성 황토 2-4중량%, 솔싹추출물 0.5-1중량%, 한방추출물0.5-1중량%, 토코페롤 0.3-1중량%, 및 스쿠알렌, 알로에, 호호바오일, 포도씨 오일 및 글리세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 1-5중량%를 포함하는 미용황토 비누 조성물로서, 상기 숙성황토는 정수된 물에 소금을 혼입하여 20-50w/v% 용액으로 한 후, 상기 소금물 용액 100에 대하여 10-20 중량부의 솔싹 추출물을 첨가하는 단계; 상기 용액에 숯을 넣어 1일 방치 후 숯을 꺼내 자연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숯과 황토를 함께 천으로 싸서 6개월간 숙성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황토 비누 조성물.
  3. 황토를 6개월간 숙성시킨 원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비누.
KR1020070062346A 2007-06-25 2007-06-25 미용황토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18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346A KR100918941B1 (ko) 2007-06-25 2007-06-25 미용황토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346A KR100918941B1 (ko) 2007-06-25 2007-06-25 미용황토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827A true KR20070078827A (ko) 2007-08-02
KR100918941B1 KR100918941B1 (ko) 2009-09-25

Family

ID=38599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346A KR100918941B1 (ko) 2007-06-25 2007-06-25 미용황토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9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902B1 (ko) * 2009-07-27 2010-04-16 주식회사 동양이앤피 숙성된 솔잎 성분이 함유된 화장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86664B1 (ko) 2018-04-11 2019-06-10 조영희 큰송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천연 비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153B1 (ko) 2010-03-15 2012-04-09 백우현 황토와 기능성분의 혼합 숙성물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황토비누
KR102219016B1 (ko) * 2019-12-18 2021-02-22 송선미 콘스타치와 센텔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비누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천연비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928A (ko) * 2005-04-25 2006-10-31 주식회사오라월드 파이레이 유황비누제조방법
KR100697045B1 (ko) * 2005-11-02 2007-03-20 박장용 황토솔림욕 이미용제(얼굴용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902B1 (ko) * 2009-07-27 2010-04-16 주식회사 동양이앤피 숙성된 솔잎 성분이 함유된 화장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86664B1 (ko) 2018-04-11 2019-06-10 조영희 큰송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천연 비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8941B1 (ko) 200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354B1 (ko) 식물생약재를 이용한 기능성 미용비누의 제조방법
KR100710421B1 (ko) 비누조성물
KR20140060882A (ko)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27258B1 (ko)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비누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조성물
KR101025330B1 (ko) 해양심층수 및 해양콜라겐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KR102460827B1 (ko) 진피-메밀 복합 발효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천연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KR102288724B1 (ko) 항균, 살균, 항염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피부 면역력의 강화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애완동물용 복합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 방법
KR101209189B1 (ko) 항균 기능을 갖는 약초비누
KR101812675B1 (ko) 천연 비누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18941B1 (ko) 미용황토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28822B1 (ko) 갈대 숯과 갈대 초액을 이용한 비누 및 세제용 조성물
KR20110110995A (ko) 초정 광천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KR20130058877A (ko) 퍼머약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29672A (ko) 기능성바이오세라믹과 107가지 산야초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기능성 피부건강미용제
KR100952902B1 (ko) 숙성된 솔잎 성분이 함유된 화장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58782A (ko) 천연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KR101926080B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101554598B1 (ko) 한방약초농축액을 이용한 천연 한방 바디클렌저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천연 한방 바디클렌저 조성물
CN104946434A (zh) 一种纯天然护肤香皂及其制备方法
KR101134153B1 (ko) 황토와 기능성분의 혼합 숙성물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황토비누
KR102137752B1 (ko) 순지트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KR100433380B1 (ko) 솔림욕 이미용제(황솔팩)와 입욕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00144A (ko) 라벤더오일 분말이 포함된 목초액 혼합분말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목초수액패치
KR101228498B1 (ko) 잣송이 겉껍질 미분을 이용한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0951115B1 (ko) 해초 및 야생화를 이용한 기능성 천연비누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