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4252A -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중계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중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4252A
KR20070074252A KR1020060002178A KR20060002178A KR20070074252A KR 20070074252 A KR20070074252 A KR 20070074252A KR 1020060002178 A KR1020060002178 A KR 1020060002178A KR 20060002178 A KR20060002178 A KR 20060002178A KR 20070074252 A KR20070074252 A KR 20070074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ge wireless
wireless communication
mobile communication
rela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2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2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4252A/ko
Publication of KR20070074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4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동 통신 중계 및 단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며 이동 통신 서비스의 통화 가능 지역에 배치되는 중계용 이동 통신 단말기와, 중계용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단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이격거리 이내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의 전파 음영 지역이라 할지라도 단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전용 단말기를 포함하고, 종래의 RF 중계기를 이용하는 것과 대비할 때에 코스트가 크게 절감되며, 설치가 간단하여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고,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함에 따라 기지국으로는 불필요한 신호가 송출되지 않으므로 기지국 수신단에서 유발하는 노이즈를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전파 음영 지역, 중계, 단거리 무선 통신, 블루투스

Description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중계 시스템{TRANSFER SYSTEM FOR SHORT RANGE MOBILE COMMUN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중계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중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이동 통신 단말기 117, 121 : 단거리 무선 통신부
120 : 전용 단말기 123 : 제어부
124 : 착신음 송출부 125 : 키패드
127 : 송화부 129 : 수화부
본 발명은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파음역지역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도 정보화 사회에서 필수적인 정보 통신 분야의 발전은 전세계적으로 확산 되고 있고, 이에 따라 정보 통신 분야와 관련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정보 통신 분야 중에서 이동 통신 분야의 발전은 시장이 넓을 뿐만 아니라 연구 개발도 빠르게 진척되고 있는 실정으로 전세계 각국에서 이동 통신 분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각종 유무선 통신 기술들 중 휴대용 통신기기는 사용자들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이동 중에 전화 통화를 수행함은 물론 간단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어 생활 필수품화되었다.
휴대용 통신기기는 기지국에서 무선으로 출력되는 상대방의 음성신호나 소정의 메시지를 수신하기 때문에 전파를 수신하는 현재 위치에 따라 수신 상태가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기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지상에 있을 경우에는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전파를 원활하게 수신할 수 있으나, 지하나 건물의 내부 등 전파 음영 지역에 있을 경우에는 전파의 전계 강도가 약하여 원활하게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따라서,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휴대용 통신기기의 전파가 도달하지 않는 지하 및 실내 등의 전파 음영 지역에서 무선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하는 RF 중계기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 무선중계기를 이용한 전파 음영 지역 해소 방안은 고가의 RF 중계기를 이용함에 따라 시스템의 코스트가 증대되는 것은 물론이고 아 이솔레이션(Isolation) 문제 때문에 RF 중계기를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서 전파 음영 지역을 완벽히 해소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RF 중계기의 경우에는 기지국과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해 RF 신호를 송출하는데, 이 경우 기지국 수신단에서 노이즈를 많이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단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무선 중계 기능을 부가한 중계용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화 가능 지역에 배치하고 전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중계용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단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파 음역 지역에서도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중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중계 시스템은, 이동 통신 중계 및 단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며 이동 통신 서비스의 통화 가능 지역에 배치되는 중계용 이동 통신 단말기와, 중계용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단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이격거리 이내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의 전파 음영 지역이라 할지라도 단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전용 단말기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 한다.
본 발명의 요지는, 단거리 무선 통신 및 무선 중계 기능을 가지는 중계용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화 가능 지역에 배치하고 전파 음영 지역에서 전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중계용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단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중계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중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지상의 대형건물이나 반지하 주택의 경우에는 창문 옆에서는 전파가 잘 통하는 통화 가능 지역(A)이나 창문이 없는 방이나 건물 안쪽의 깊숙한 곳은 전파가 잘 통하지 않은 전파 음역 지역(B)일 수가 있다. 따라서 단거리 무선 통신 및 무선 중계 기능을 가지는 중계용 이동 통신 단말기(110)를 충전용 거치대(115)에 장착시킨 상태로 통화 가능 지역(A)에 배치한다. 그리고 전파 음역 지역(B)에서는 전용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중계용 이동 통신 단말기(110)와의 단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한다.
중계용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단거리 무선 통신부(117)를 구비하며, 전용 단말기(120)는 단거리 무선 통신부(121), 제어부(123), 착신음 송출부(124), 키패드(125), 송화부(127), 수화부(129) 등을 포함한다. 중계용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단거리 무선 통신부(117) 및 전용 단말기(120)의 단거리 무선 통신부(121)는 블루투스 통신 인터페이스로 구현할 수 있다.
중계용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신호를 단거리 무선 통신부(117)를 통해 전용 단말기(120)로 전송하며, 전용 단말기(120)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이동 통신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전용 단말기(120)의 단거리 무선 통신부(121)는 제어부(123)의 운용 제어에 따라 중계용 이동 통신 단말기(110)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키패드(125)는 중계용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 내장된 키패드(도시 생략됨)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에게 중계용 이동 통신 단말기(11)를 사용할 때와 동일한 사용 환경을 제공한다.
착신음 송출부(124)는 기지국으로부터 중계용 이동 통신 단말기(110)가 호출될 때에 호출 신호를 단거리 무선 통신부(121)를 통해 수신하여 외부로 착신음을 송출한다.
송화부(127) 및 수화부(129)는 전용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음성을 송출 및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전용 단말기(12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 이외에도 전원공급부, 표시장치 등과 같이 단거리 휴대 통신기기로서의 기능 수행을 위한 여타의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하나 도 2의 실시 예에서는 음성 통화 기능을 위한 기본 구성요소들만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중계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중계용 이동 통신 단말기(110)를 통화 가능 지역(A)에 배치하고, 전용 단말기(120)는 휴대한 상태에서 중계용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 내장된 키패드 및 전용 단말기(120)의 키패드(125)에 구비된 복수의 버튼 중에서 기 설정된 버튼을 각기 조작하여 중계용 이동 통신 단말기(110)와 전용 단말기(120)의 단거리 중계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이후, 중계용 이동 통신 단말기(110)가 기지국으로부터 호출되면 해당 호출 신호는 단거리 무선 통신부(117)를 통해 전용 단말기(120)로 전송된다.
전용 단말기(120)의 제어부(123)는 단거리 무선 통신부(121)를 통해 호출 신호가 수신되면 호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착신음 송출부(124)가 외부로 착신음을 송출하도록 한다.
전용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키패드(125)의 기 설정된 버튼을 조작하여 통화 연결을 선택하면 중계용 이동 통신 단말기(110)와 전용 단말기(120) 사이의 통화 중계가 이루어지며, 이로써 사용자는 전파 음역 지역(B)이라도 중계용 이동 통신 단말기(110)와 전용 단말기(120)의 통신 가능 이격거리 이내이면 송화부(127) 및 수화부(129)를 통해 음성을 송출하거나 청취하여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당연히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무선 중계 기능을 부가한 중계용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화 가능 지역에 배치하고 전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중계용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단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파 음역 지역에서도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의 RF 중계기를 이용하는 것과 대비할 때에 코스트가 크게 절감되며, 설치가 간단하여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고,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함에 따라 기지국으로는 불필요한 신호가 송출되지 않으므로 기지국 수신단에서 유발하는 노이즈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이동 통신 중계 및 단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며 이동 통신 서비스의 통화 가능 지역에 배치되는 중계용 이동 통신 단말기와,
    상기 중계용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단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이격거리 이내에서 상기 이동 통신 서비스의 전파 음영 지역이라 할지라도 상기 단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전용 단말기
    를 포함하는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중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용 이동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전용 단말기간의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 인터페이스로 구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중계 시스템.
KR1020060002178A 2006-01-09 2006-01-09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중계 시스템 KR20070074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178A KR20070074252A (ko) 2006-01-09 2006-01-09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중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178A KR20070074252A (ko) 2006-01-09 2006-01-09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중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252A true KR20070074252A (ko) 2007-07-12

Family

ID=38508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2178A KR20070074252A (ko) 2006-01-09 2006-01-09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중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42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3819A1 (en) * 2010-12-22 2012-06-28 Beijing Green Stone Technology Limited Short-range wireless mobile terminal method and system
US9020417B2 (en) 2008-05-09 2015-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relay terminal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0417B2 (en) 2008-05-09 2015-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relay terminals
WO2012083819A1 (en) * 2010-12-22 2012-06-28 Beijing Green Stone Technology Limited Short-range wireless mobile terminal method and system
CN102571153A (zh) * 2010-12-22 2012-07-11 北京格林思通科技有限公司 短距离无线移动终端方法和系统
CN102571153B (zh) * 2010-12-22 2014-06-04 深圳市云通时代科技开发有限公司 短距离无线移动终端及用于该终端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12926A (zh) 用于无线通信信号的协同分集接收的方法和装置
KR20070074252A (ko)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중계 시스템
EP1111886A1 (en) Telephone apparatus
JP2007135154A (ja) リピータ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
JP2003070058A (ja) 携帯電話システム及び携帯電話端末装置の利用制限方法
JPH1051846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2003224511A (ja) 近距離無線機能付き携帯情報端末とその通信システム
JP3584248B2 (ja) 移動通信端末の受け台
JPH07154850A (ja) 携帯電話の屋内サービス方式
JP2014140122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送信電力制御方法
KR100373502B1 (ko) 단말기간 직접 통신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
JP2012175387A (ja) 着信モード制御システム、着信モード制御方法、着信モード制御装置、及び携帯端末
KR200188087Y1 (ko)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
KR200187431Y1 (ko)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
JPH11243362A (ja) 無線電話装置,無線電話中継装置および無線電話システム
JPH10155176A (ja) 構内通信システムおよびこの構内通信システムに用いる無線中継機
KR20010090626A (ko) 특정영역을 인식하여 휴대폰의 작동모드변환방식과 이를이용한 이동통신기기
KR100548355B1 (ko) 착신 모드 자동 전환 방법 및 시스템
JP2001103549A (ja) 携帯端末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6180409A (ja) 無線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無線制御装置、無線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無線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KR200202227Y1 (ko) 휴대 전화기의 착신호 무선 확인장치
JPH08331043A (ja) 通信装置、携帯端末及び携帯電話システム
KR20010077170A (ko)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
KR10049500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정장치
JP2006157582A (ja) 通信情報変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