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7170A -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7170A
KR20010077170A KR1020000004774A KR20000004774A KR20010077170A KR 20010077170 A KR20010077170 A KR 20010077170A KR 1020000004774 A KR1020000004774 A KR 1020000004774A KR 20000004774 A KR20000004774 A KR 20000004774A KR 20010077170 A KR20010077170 A KR 20010077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ransceiver
wireless communication
mobile phone
hand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4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범호
Original Assignee
윤범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범호 filed Critical 윤범호
Priority to KR1020000004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7170A/ko
Priority to KR2020000002809U priority patent/KR200188087Y1/ko
Publication of KR20010077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717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0Urns with devices for keeping beverages hot or coo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상에 밧데리 팩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을 갖고 음성 및 영상신호를 무선방식을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실시할 있도록 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제 1 무선 송수신 안테나와 제 1 고주파 증폭부, 제 1 디코더, 제 1 중앙처리부 및 제 1 무선출력 증폭부로 무선 송수신기를 구성하여 상기 휴대 전화기에 연결하고, 제 2 무선 송수신 안테나와 제 2 고주파 증폭부, 제 2 디코더, 제 1 중앙처리부, 음성신호 증폭기, 이어폰, 무선출력 증폭부 및 마이크로 구성되는 별도의 핸드셋을 형성시켜 상기 휴대 전화기에 연결된 무선 송수신기를 간이 중계기로 사용하여 원격지에서도 상기 휴대 전화기가 아닌 핸드셋을 통해 상대방과의 무선통신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 전화기의 휴대에 따른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 전화기의 사용성 및 신뢰성 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ring Sets of Portable Telephone}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휴대전화기의 밧데리 팩 외부 또는 내부에 무선 송,수신기를 설치하되, 영상 및 음성신호 입출력선은 이어폰 짹 또는 데이타 콘트롤용 콘넥터를 통해 상호 연결하고, 사용자가 직접 통화할 수 있는 별도의 핸드셋은 이어폰 전화기와 같이 비교적 적은 크기로 형성시켜 해당 휴대 전화기를 휴대하지 않고 이를 간이 중계기로 활용하여 원격지에서도 핸드셋을 통해 무선 통화를 실시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Portable Telephone)라 함은 휴대용 전화기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으로, 휴대 전화기는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스캐닝 기능을 비롯한 총통화 시간표시, 자체고장점검, 통화중 기억장치, 부재중 수신표시, 수신거부, 통화중 경보음 발생, 자동 반복 다이얼, 자기전화번호표시, 비밀번호에 의한 잠금, 자동송신기능 등 각종 기능을 구사할 수 있고, 휴대가 간편하여 차내, 사무실, 건설현장 등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휴대 전화는 가장 각광받는 이동통신이라고 할 수 있으며, 최근들어 차세대 휴대용 전화기인 PCN이 실용화되면서 PCN에 데이타 통신기능과 영상기능을 부가하여 종합정보통신망(ISDN) 기능의 일부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근래 휴대 전화기, PCS망의 서비스가 발전하여 휴대 통신기기 장치 관련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서비스 지역의 확장 및 통화수신율의 향상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무선전화 서비스는 공중전화망(PSTN)과 무선망을 이용하여 가입자에게 호출신호와 음성메시지를 전달해 주는 송,수신이 가능한 서비스이며, 송, 수신에 대한 가입자의 욕구충족을 위해 아날로그 방식의 가정용 무선전화가 진보되어 옥외에서도 통신이 가능한 휴대 전화기(일명 휴대폰) 및 PCS 중심의 소형, 저출력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적인 서비스가 출현하게 되었다.
공중용 휴대폰 PCS는 착 발신이 가능한 휴대전화 서비스로서 역, 상가, 공항, 버스터미널, 거리 등 사람들의 왕래가 빈번한 건물 벽면이나 옥상 등에 기지국을 설치하고 그 기지국의 통화 반경내에서 등록된 단말기 가입자라면 누구나 통화할 수 있는 서비스이며 업무용과 가정용은 주로 건물내에 기지국을 설치한다.
그런데, 종래의 모든 휴대 전화기는 그 자체를 직접 들고 무선통화를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운전중 통화가 불편하고, 공공장소에서 통화 및 휴대가 불편하다는 점이 최대 단점으로 지적되면서 여러 가지 보완방법이 강구되고 있다.
그 일례로 최근에는 휴대 전화기의 이어폰 짹을 연결시켜 통화를 실시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 있으나, 이는 상기한 휴대 전화기와 이어폰이 유선으로 연결시켜야만 되므로 결국 휴대 전화기 자체를 손으로 직접 잡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을 뿐 실제 휴대폰을 휴대하거나 근접거리에 존제해야만 무선통화가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휴대 전화기의 밧데리팩 외부 또는 내부에 송수신기를 부착 또는 내장시키고 신호선은 이어폰 짹이나 데이타 콘트롤용 콘넥터에 연결시키고 상기 무선 송수신기와 양방향 통신을 실시할 수 있는 핸드셋은 이어폰 전화기와 같이 매우 작게 제작하여휴대 전화기로 직접 통화하지 않고 원거리에서 간단한 단말기인 핸드셋을 통해 무선통신을 실시할 수 있는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상에 밧데리 팩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을 갖고 음성 및 영상신호를 무선방식을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실시할 있도록 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제 1 무선 송수신 안테나와 제 1 고주파 증폭부, 제 1 디코더, 제 1 중앙처리부 및 제 1 무선출력 증폭부로 무선 송수신기를 형성시켜 상기 휴대 전화기와 연결하고, 제 2 무선 송수신 안테나와 제 2 고주파 증폭부, 제 2 디코더, 제 1 중앙처리부, 음성신호 증폭기, 이어폰, 무선출력 증폭부 및 마이크로 구성되는 별도의 핸드셋을 형성시켜 상기 휴대 전화기에 연결된 무선 송수신기를 간이 중계기로 사용하여 원격지에서도 상기 휴대 전화기가 아닌 핸드셋을 통해 상대방과의 무선통신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 자체는 특정 장소에 설치하거나 재치 또는 보관한 상태에서 이어폰 전화기와 같이 작게 제작한 핸드셋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실시할 수 있어 휴대 전화기의 휴대에 따른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휴대 전화기와 비교적 먼거리 떨어진 원격지에서도 핸드셋을 통해 무선통신을 실시할 수 있어 휴대 전화기의 사용성이 대폭 향상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가 실시된 휴대 전화기의 측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휴대 전화기 본체 2 : 밧데리 팩
3 : 무선 송수신기 4 : 핸드셋
11 : 이어폰 짹 12 : 데이타 콘트롤용 콘넥터
31 : 제 1 무선 송수신 안테나 32 : 제 1 고주파 증폭부
33 : 제 1 디코더 34 : 제 1 중앙처리부
35 : 제 1 무선출력 증폭부 36 : 송수신용 신호선
41 : 제 2 무선 송수신 안테나 42 : 제 2 고주파 증폭부
43 : 제 2 디코더 44 : 제 2 중앙처리부
45 : 제 2 무선출력 증폭부 46 : 음성신호 증폭부
47 : 이어폰 스피커 48 : 마이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장치가 실시된 휴대 전화기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체(1)상에 밧데리 팩(2)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을 갖고 음성 및 영상신호를 무선방식을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실시할 있도록 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핸드셋(4)으로 부터 송출되어 오는 무선 통신데이타를 포착함과 동시에 휴대전화기를 통해 수신된 각종 무선통신 데이타를 핸드셋(4)측으로 송출하는 제 1 무선 송수신 안테나(31)와; 상기 제 1 무선 송수신 안테나(31)를 통해 수신되는 RF 무선통신 데이타를 고주파 증폭시키는 제 1 고주파 증폭부(32)와; 상기 제 1 고주파 증폭부(32)를 통해 증폭된 무선수신 데이터내에서 원하는 음성 및 영상 데이타만을 추출해내는 제 1 디코더(33)와; 자체내에 기억된 소정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핸드셋(4)으로 부터 수신한 각종 무선통신 데이타는 휴대 전화기측으로 출력하고 휴대 전화기 본체(1)로 부터 전송되어 오는 각종 무선통신 데이타는 제 1 무선출력 증폭부(35)측으로 전송시켜 주는 제 1 중앙처리부(34)와; 상기 제 1 중앙처리부(34)로 부터 입력받은 무선통신 데이타를 소정레벨로 증폭시켜 상기 제 1 무선 송수신 안테나(31)를 통해 공중으로 송출시켜 주는 제 1 무선출력 증폭부(35)로 무선 송수신기(3)를 구성하여 송수신용 신호선(36)을 통해 상기 휴대 전화기와 상호 연결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기(3)로 부터 송출되어 오는 무선 통신데이타를 포착함과 동시에 마이크(48)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무선 송수신기(3)측으로송출하는 제 2 무선 송수신 안테나(41)와; 상기 제 2 무선 송수신 안테나(41)를 통해 수신되는 RF 무선통신 데이타를 고주파 증폭시키는 제 2 고주파 증폭부(42)와; 상기 제 2 고주파 증폭부(42)를 통해 증폭된 무선수신 데이터내에서 원하는 음성 및 영상 데이타만을 추출해내는 제 2 디코더(43)와; 자체내에 기억된 소정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무선 송수신기(3)로 부터 수신한 각종 무선통신 데이타는 음성신호 증폭부(46)측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제 2 무선출력 증폭부(45)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중앙처리부(44)와; 상기 제 2 중앙처리부(44)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 2 디코더(43)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시켜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이어폰 스피커(47)를 통해 출력시켜 주는 음성신호 증폭부(46)와; 상기 제 2 중앙처리부(44)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48)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중앙처리부(44)에서 출력되는 각종 무선통신 데이타를 소정레벨로 증폭시켜 상기 제 2 무선 송수신 안테나(41)를 통해 공중으로 송출시켜 주는 제 2 무선출력 증폭부(45)로 핸드셋(4)을 구성하여 상기 휴대 전화기에 연결된 무선 송수신기(3)를 간이 중계기로 사용하여 원격지에서도 상기 핸드셋(4)을 통해 상대방과의 무선통신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무선 송수신기(3)의 송수신용 신호선(36)은 상기 휴대폰 전화기 본체(1)의 일측면부에 설치된 이어폰 짹(11)이나, 본체(1) 저면부에 설치되어 있는 데이타 콘트롤용 콘넥터(12) 중 어느하나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 송수신기(3)는 상기 밧데리 팩(2)의 외부에 부착하거나, 그내부에 삽입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동관계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기존의 휴대 전화기와 별도로 무선 송수신기(3)와 이어폰형 핸드셋(4)을 별도로 형성시켜 휴대 전화기 본체는 물론이거니와 핸드셋(4)을 통해 무선 통신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무선 송수신기(3)는 휴대 전화기의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밧데리 팩(2)의 외부에 부착 설치하거나, 그 내부에 아예 삽입 설치하되, 상기 무선 송수신기(3)와 휴대 전화기 본체(1)를 유선을 통해 상호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무선 송수신기(3) 자체 또는 밧대리 팩(2)의 일측으로 돌출된 송수신용 신호선(36)은 상기 휴대폰 전화기 본체(1)의 일측면부에 기 설치되어 있는 이어폰 짹(11)이나, 본체(1) 저면부에 설치되어 있는 데이타 콘트롤용 콘넥터(12) 중 어느 하나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무선 송수신기(3)는 휴대 전화기의 본체(1) 내부나, 상기 본체(1)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밧데리 팩(2)의 내부에 삽입 설치하되, 상기 무선 송수신기(3)가 휴대 전화기 본체(1) 내부에 설치된 경우는 상기 무선 송수신기(3)의 송수신용 신호선(36)을 본체내에서 상호 연결시키고, 밧데리 팩(2)의 내부에 설치된 경우는 상기 밧대리 팩(2)의 일측으로 돌출된 송수신용 신호선(36)은 상기 휴대폰 전화기 본체(1)의 일측면부에 기 설치되어 있는 이어폰 짹(11)이나, 본체(1) 저면부에 설치되어 있는 데이타 콘트롤용 콘넥터(12) 중 어느하나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 중 무선 송수신기(3)는 휴대 전화기의 밧데리 팩(2) 자체를 생산할 당시 그 내부에 도 1의 가상선과 같이 내장하거나, 기 제작된 휴대 전화기의 밧데리 팩(2)의 외부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때 상기 밧데리 팩(2) 또는 무선 송수신기(3) 자체의 일측으로 송수신용 신호선(36)을 돌출시켜 상기 휴대폰 전화기 본체(1)의 일측면부에 기 설치되어 있는 이어폰 짹(11)이나, 본체(1) 저면부에 설치되어 있는 데이타 콘트롤용 콘넥터(12)에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기 휴대 전화기의 가입자는 무선 송수신기(3)가 내장된 밧데리 팩(2)과 핸드셋(4)을 구입하거나, 무선 송수신기(3) 자체와 핸드셋(4)을 구입하여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 무선 송수신기(3)는 휴대 전화기에 일체로 설치된 구성을 갖는 상태에서 음성 및 영상 데이타 입출력 신호선인 송수신용 신호선(36)을 통해 휴대 전화기 내부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핸드셋(4)은 상기 휴대 전화기 본체와 별도로 형성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휴대 전화기를 통해 상대방과 직접 무선통신을 실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핸드셋(4)을 통해서도 특정 상대방과 무선통화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무선 송수신기(3)는 휴대 전화기 본체(1)와 핸드셋(4) 사이에서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간이 중계기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 본체(1)를 특정 장소에 보관, 설치 또는 재치시켜 놓고핸드셋(4)만을 휴대하고 다니다가 원격지에서도 특정인과 무선통신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휴대 전화기를 직접 휴대하고 다녀야함에 따른 불편함이 해결됨은 물론 휴대 전화기 자체의 사용성과 신뢰성 및 품위가 대폭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특정인과 핸드셋(4)을 통해 무선통화를 실시할시 휴대 전화기 본체(1)의 밧데리 팩(2)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송수신기(3)내의 제 1 중앙처리부(34)에서는 상대방으로 부터 무선으로 송출되어 휴대 전화기를 통해 전송되어오는 각종 무선 데이타를 제 1 무선출력 증폭부(35)를 통해 소정레벨로 증폭시켜 제 1 무선 송수신 안테나(31)를 통해 공중으로 송출하게 되므로 핸드셋(4)에 설치되어 있는 제 2 무선 송수신 안테나(41)를 통해 제 2 고주파 증폭부(42)에서 이를 입력받아 소정레벨로 고주파 증폭시킨 후 제 2 디코더(43)로 출력시켜 주게 되므로 제 2 중앙처리부(44)의 제어를 받는 상기 제 2 디코더(43)에서 수신된 무선 데이터내에서 원하는 음성 및 영상 데이타만을 추출해내어 음성신호 증폭부(46)로 보내게 되어, 상기 제 2 중앙처리부(44)의 제어를 받는 제 2 음성신호 증폭부(46)에서 상기 제 2 디코더(43)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시켜 이어폰 스피커(47)로 출력시켜 주게 되므로 사용자가 상대방의 음성을 들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핸드셋(4)을 들고 통화를 실시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중앙처리부(44)에서 출력되는 각종 무선통신 데이타는 제 2 무선출력 증폭부(45)를 통해 소정레벨로 증폭된 후 제 2 무선 송수신 안테나(41)를 통해 공중으로 송출되므로, 상기 무선 송수신기(3)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무선 송수신 아테나나(31)를 통해 제 1 고주파 증폭부(32)에서 이를 입력받아 소정레벨로 고주파 증폭시킨 다음 제 1 디코더(33)로 출력시켜 주게 되므로 제 1 중앙처리부(34)의 제어를 받는 상기 제 1 디코더(33)에서 핸드셋(4)으로 부터 수신된 무선 데이터내에서 원하는 음성 및 영상 데이타만을 추출해내어 제 1 중앙처리부(34)로 보내게 되므로, 상기 제 1 중앙처리부(34)에서 이 데이타를 휴대 전화기내의 메인회로부로 전송하여 무선신호로 공중에 발사시키도록 하게 되어 상대방이 이를 무선 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전화기 본체의 특정 부위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무선 송수신기를 설치하고 이 무선 송수신기와 양방향 무선통신을 실시할 수 있는 별도의 핸드셋을 형성시켜 주므로써, 휴대 전화기 자체는 특정 장소에 설치하거나 재치 또는 보관한 상태에서 이어폰 전화기와 같이 작게 제작한 핸드셋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실시할 수 있어 휴대 전화기를 직접 휴대함에 따른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 전화기와 비교적 멀리 떨어진 원격지에서도 핸드셋을 통해 무선통신을 실시할 수 있어 휴대 전화기의 사용성과 신뢰성 및 품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본체(1)상에 밧데리 팩(2)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을 갖고 음성 및 영상신호를 무선방식을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실시할 있도록 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핸드셋(4)으로 부터 송출되어 오는 무선 통신데이타를 포착함과 동시에 휴대 전화기를 통해 수신된 각종 무선통신 데이타를 핸드셋(4)측으로 송출하는 제 1 무선 송수신 안테나(31)와; 상기 제 1 무선 송수신 안테나(31)를 통해 수신되는 RF 무선통신 데이타를 고주파 증폭시키는 제 1 고주파 증폭부(32)와; 상기 제 1 고주파 증폭부(32)를 통해 증폭된 무선수신 데이터내에서 원하는 음성 및 영상 데이타만을 추출해내는 제 1 디코더(33)와; 자체내에 기억된 소정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핸드셋(4)으로 부터 수신한 각종 무선통신 데이타는 휴대 전화기측으로 출력하고 휴대 전화기 본체(1)로 부터 전송되어 오는 각종 무선통신 데이타는 제 1 무선출력 증폭부(35)측으로 전송시켜 주는 제 1 중앙처리부(34)와; 상기 제 1 중앙처리부(34)로 부터 입력받은 무선통신 데이타를 소정레벨로 증폭시켜 상기 제 1 무선 송수신 안테나(31)를 통해 공중으로 송출시켜 주는 제 1 무선출력 증폭부(35)로 무선 송수신기(3)를 구성하여 송수신용 신호선(36)을 통해 상기 휴대 전화기와 상호 연결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기(3)로 부터 송출되어 오는 무선 통신데이타를 포착함과 동시에 마이크(48)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무선 송수신기(3)측으로송출하는 제 2 무선 송수신 안테나(41)와; 상기 제 2 무선 송수신 안테나(41)를 통해 수신되는 RF 무선통신 데이타를 고주파 증폭시키는 제 2 고주파 증폭부(42)와; 상기 제 2 고주파 증폭부(42)를 통해 증폭된 무선수신 데이터내에서 원하는 음성 및 영상 데이타만을 추출해내는 제 2 디코더(43)와; 자체내에 기억된 소정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무선 송수신기(3)로 부터 수신한 각종 무선통신 데이타는 음성신호 증폭부(46)측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제 2 무선출력 증폭부(45)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중앙처리부(44)와; 상기 제 2 중앙처리부(44)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 2 디코더(43)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시켜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이어폰 스피커(47)를 통해 출력시켜 주는 음성신호 증폭부(46)와; 상기 제 2 중앙처리부(44)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48)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중앙처리부(44)에서 출력되는 각종 무선통신 데이타를 소정레벨로 증폭시켜 상기 제 2 무선 송수신 안테나(41)를 통해 공중으로 송출시켜 주는 제 2 무선출력 증폭부(45)로 핸드셋(4)을 구성하여 상기 휴대 전화기에 연결된 무선 송수신기(3)를 간이 중계기로 사용하여 원격지에서도 상기 핸드셋(4)을 통해 상대방과의 무선통신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기(3)는 밧데리 팩(2)의 외부에 부착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기(3)는 밧데리 팩(2)의 내부에 삽입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기(3)의 송수신용 신호선(36)은 상기 휴대폰 전화기 본체(1)의 일측면부에 설치되어 있는 이어폰 짹(11)에 연결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기(3)의 송수신용 신호선(36)은 상기 휴대폰 전화기 본체(1)의 저면부에 설치되어 있는 데이타 콘트롤용 콘넥터(12)에 연결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
KR1020000004774A 2000-01-31 2000-01-31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 KR2001007717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774A KR20010077170A (ko) 2000-01-31 2000-01-31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
KR2020000002809U KR200188087Y1 (ko) 2000-01-31 2000-02-01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774A KR20010077170A (ko) 2000-01-31 2000-01-31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809U Division KR200188087Y1 (ko) 2000-01-31 2000-02-01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170A true KR20010077170A (ko) 2001-08-17

Family

ID=19643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4774A KR20010077170A (ko) 2000-01-31 2000-01-31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71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5631A (zh) * 2018-11-30 2019-04-19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挂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5631A (zh) * 2018-11-30 2019-04-19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挂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75809B2 (ja) 携帯型テレビ無線電話
KR20190046453A (ko) 디지털 무전기 기능을 갖는 스마트워치
KR20190039360A (ko) 디지털 무전기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및 블루투스 이어셋
KR200188087Y1 (ko)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
KR200187431Y1 (ko)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
KR20010077170A (ko)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
JPH0533094Y2 (ko)
KR200202227Y1 (ko) 휴대 전화기의 착신호 무선 확인장치
JP3584248B2 (ja) 移動通信端末の受け台
KR100678108B1 (ko) 유선망/무선망을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및 그 동작 방법
KR200178691Y1 (ko) 이동 통신 단말기용 프리웨이 스피커 폰 장치
KR100266275B1 (ko)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핸드 프리 장치
KR20070074252A (ko)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중계 시스템
JP3104614B2 (ja) Phsを採用した簡易リピータ
KR100242430B1 (ko) 차세대 디지털 무선전화기에서 자동 기지국 스캔방법
KR100323283B1 (ko) 이동전화 수신기
KR100545646B1 (ko) 이동통신기지국의 단말기 상태정보 전송방법
KR100373502B1 (ko) 단말기간 직접 통신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
JP2956622B2 (ja) 無線電話装置及び無線電話システム
KR200179198Y1 (ko) 핸즈프리 및 송수화기를 구비한 개인용 중계기
KR10049500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정장치
KR10032963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송/수신제어장치
KR100267863B1 (ko) 무선호출기를가지는디지탈무선전화기에서음성메시지확인방법.
KR20020045927A (ko) 데이터통신과 음성통신을 지원해주는 블루투스 방식의전화기 세트와 이를 이용한 통신방법
KR100784327B1 (ko) 유무선통합 서비스를 위한 일반전화기의 벨소리 발생 조절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