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3873A - 플루케네티아 볼루빌리스 속에 속하는 식물의 추출물 및그의 미용 용도 - Google Patents

플루케네티아 볼루빌리스 속에 속하는 식물의 추출물 및그의 미용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3873A
KR20070073873A KR1020077010129A KR20077010129A KR20070073873A KR 20070073873 A KR20070073873 A KR 20070073873A KR 1020077010129 A KR1020077010129 A KR 1020077010129A KR 20077010129 A KR20077010129 A KR 20077010129A KR 20070073873 A KR20070073873 A KR 20070073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extract
mixture
proteins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0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필리쁘 모제
올가 프레이스
베로니끄 길롱
루이 다누
Original Assignee
코그니스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그니스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코그니스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70073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87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45Proteins of vegetable orig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7Euphorbiaceae (Spurge family), e.g. Ricinus (castorbe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heu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포비에이시에 (Euphorbiaceae) (바람직하게는 플루케네티아 속에 속함) 과에 속하는 식물의 추출물의 미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는 단백질 또는 단백질의 혼합물의 미용 용도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단백질 또는 상기 단백질의 혼합물은 유포비에이시에 과 (바람직하게는 플루케네티아 속에 속함) 에 속하는 식물로부터 추출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 또는 상기 단백질 또는 상기 단백질의 혼합물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추출물 또는 단백질 또는 상기 단백질의 혼합물은, 예를 들어, 가교, 그라프팅 (grafting)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화학적으로 또는 효소학적으로 개질되었다.

Description

플루케네티아 볼루빌리스 속에 속하는 식물의 추출물 및 그의 미용 용도 {AN EXTRACT OF A PLANT BELONGING TO THE GENUS PLUKENETIA VOLUBILIS AND ITS COSMETIC USE}
본 발명은 유포비에이시에 (Euphorbiaceae) (바람직하게는 플루케네티아 (Plukenetia) 속에 속함) 과에 속하는 식물의 추출물의 미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는 단백질 또는 단백질의 혼합물의 미용 용도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단백질 또는 상기 단백질의 혼합물은 유포비에이시에 과 (바람직하게는 플루케네티아 속에 속함) 에 속하는 식물로부터 추출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약제로서의 용도를 위한 상기 추출물 또는 상기 단백질 또는 상기 단백질의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 또는 상기 단백질 또는 상기 단백질의 혼합물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추출물 또는 단백질 또는 상기 단백질의 혼합물은, 예를 들어, 가교, 그라프팅 (grafting)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화학적으로 또는 효소학적으로 개질되었다.
FR-A 2 701 847 은 약학 용도, 및 특히 피부학 또는 미용학 용도를 위한 조성물을 개시하며, 하나 이상의 기타 활성 성분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 알부민을 활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단백질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발명은 알부민이 식 물 원천이며, 조성물 중, 그의 천연 상태로, 비(非)-염수 수성 상으로, 4 내지 7 의 pH 에서 가용성 단백질의 형태로 존재하며, 가용성 단백질 함량은 건조 단백질 분획의 25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알부민은 콩과의 유성인 곡물 종자 중 선택된 종자로부터 수득된다.
FR-A 2 761 264, WO 98/42305, EP-A 0 973 495 및 출원 번호 01967142.9 의 유럽 특허 출원은 유사한 주제에 관련된다.
식물 단백질, 예를 들어, 알부민을 타이트닝 (tightening) 효과를 위해 화장품에서 사용하는 것은 당업계의 현기술이다.
즉각적인 피부 타이트닝 효과를 갖는 활성 성분 또는 피부-타이트닝 효과를 제공하는데 유용한 미용 조성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개시하는 당업계의 현기술의 문헌이 있다.
WO 02/28360 은 즉각적인 피부 타이트닝 효과를 갖는 활성 성분을 수득하는 방법을 개시하며,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곡물 프레스 케이크 (press cake) 를, 50 내지 500 g/l 의 양으로 수성상에 용해시킴, 효소의 존재 하에서 40 내지 80℃ 에 포함되는 온도 및 산성 pH 에서 보통의 효소성 가수분해, 가용성 및 불용성 상들의 분리 및 효소 반응의 중단을 위한 배지의 불활성화, 중합 개시제의 첨가에 의한 체류 단백질의 중합, 중합 단백질의 분리.
WO 2003/063816 은 가수분해된 단백질, 부분-가수분해된 단백질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내의 하나 이상의 유기 분말 (여기서 담체는 에멀젼의 형태임) 을 포함하는 피부-타이트닝 효과를 제공하는데 유용한 외용 퍼스널 케어 (personal care) 조성물을 개시한다.
EP-A 1 038 519 는 폴리실록산 부분 및 비-실리콘 유기 사슬로 구성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그라프트된 실리콘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2 개의 부분 중 하나가 중합체의 주사슬을 구성하고 다른 하나가 상기 주사슬에 그라프트됨) 을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타이트닝제 (tightening agent) 로 유용한 조성물 및 피부 노화의 징후를 제거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을 개시한다.
US-A 6 284 233 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배지 중, 108 내지 1010 N/m2 범위의 영 계수 (Young's modulus) 를 갖는, 수증기가 투과될 수 있는 필름을 형성할 수 있고, 물 중 7% 의 농도에서 적용 후 건조하고, 40% 의 상대 습도 및 30℃ 의 온도에서 1% 초과의 단리된 각질층의 수축, 및 말단 히드록실 관능기를 갖는 수지상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포함하는 필름-형성 중합체성 시스템의 분산물을 포함하는 주름방지 미용 또는 피부학 조성물을 개시한다.
US-A 879 684 는 타이트닝 트리트먼트를 위해, 물, 분산된 미세 입자성 식물 기재 토트닝 (tautening) 또는 텐서제 (tensor agent), 중합체성 겔화제, 액체 탄화수소 분산 보조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조합으로부터 피부 토트닝 수성 젤을 개시한다.
JP-A 100 07 518 은 피부에 대해 타이트닝 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로션을 개시한다. 상기 피부 로션은 활성 성분으로서, 콩과 식물로서 루피누스 알부스 L. (Lupinus albus L.) 의 종자로부터의 추출물 및 꿀풀과 식물로서 티머스 불가리스 L. (Thymus vulgaris L.) 로부터의 추출물을 함유한다. 루피누스 알부스 L. 에 함유된 고도로 중합화된 단백질은 피부에 대한 타이트닝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에 막을 형성하여 피부의 표면을 매끄럽게 한다.
본 발명의 근원적인 문제는 미용 및/또는 의학 적용에 유용한 새로운 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유포비에이시에 과에 속하는 식물의 추출물, 특히 플루케네티아 속에 속하는 식물의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플루케네티아 볼루빌리스 (Plukenetia volubilis) 식물의 종자의 추출물은 다소 낮은 분자량의 단백질을 포함하며, 이는 실험에서 인간 피부에 타이트닝 효과를 나타내었다. 주요 단백질은 타이트닝 단백질로서 표준인 동물 알부민 (60000 Da) 에 가까운 분자량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추출물은 동일한 단백질 농도에서 "글리신 소야 (대두) 단백질" (INCI 명칭) (Laboratoires Serobiologiques (LS), Division de Cognis France 로부터 구입가능한 활성 성분) 과 동일한 타이트닝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추출물은 인간 피부에 타이트닝 효과 및 지속성 (substantivity) 효과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낸다.
"잉카 땅콩" 또는 "잉카 인치" 또는 "사샤 인케" 로도 불리는 플루케네티아 볼루빌리스 L. 은 남미의 안데스 지방의 고지 다우림 원산의 식물이다. "잉카 땅콩" 이란 속칭에도 불구하고, 이는 본래의 땅콩 (아라키스 히포게아 (Arachis hypogea) L-과 파베이시에 (Fabaceae)) 과와 동일한 식물과에 속하지 않고, 유포비 에이시에 과에 속한다. 이는 와인으로 성장하며 백색 자엽 및 경질 갈색 종자 껍질을 갖는 하나의 종자를 포함하는 소실을 갖는 4구형 (tetraglobular) 열매를 생성한다.
지금까지 재배 곡물이 아니었지만, 야생에서 수집되는 종자는 칸카스 (Chancas) 인디안 및 안데스 지방의 기타 토착 부족의 음식의 구성 요소였다. 이는 볶거나, 빻고 옥수수 가루 및 고추와 혼합하여 섭취된다. 이 식물의 종자는 그의 높은 오일 및 단백질 함량 때문에 가치 있으며, 볶은 종자는 옥수수 가루 및 고추와 혼합하여, 또는 단독으로 섭취된다. 페루에서, 식용 오일의 추출 및 소 먹이로 사용되는 양호한 영양가의 단백질이 풍부한 잔류 케이크를 위해 현재 장려되는 듯하다.
플루케나티아 볼루빌리스 오일은 피부에 생기회복 및 젊음을 부여하기 위한 특수 크림을 만들기 위해 마요루나 (Mayorunas), 차이유휴이타스 (Chayuhuitas), 캄파스 (Campas), 휴이토타스 쉽피바스 (Huitotas Shipibas), 야구아스 (Yaguas) 및 Bora (보라스) 여성들에 의해 밀가루와 혼합된다.
플루케나티아 볼루빌리스의 종자 낟알은 오일이 풍부하며 (35 내지 60%): 이 오일은 불포화 지방산의 높은 함량을 특징으로 한다 (높은 영양가를 갖는, 약 37% 의 리놀레산 및 50% 의 알파-리놀렌산).
낟알은 대두의 단백질 함량 (28%) 에 가까운, 높은 단백질 함량 (27 내지 31%) 을 갖는다. 탈지 종자 가루의 단백질 함량은 53% 에 도달한다 (HAMAKER B.R., VALLES C., GILMAN R., HARDMEIER R.M, CLARK D. et al. Amino Acid and Fatty Acid profiles of the lnca peanut (Plukenetia volubilis L.): Cereal Chem., 1992, volume 69(4): pages 461- 463).
당업계에 플루케네티아 낟알의 함량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다. 최근의 연구는 알부민 분획이, 주로 총 종자 단백질의 실질적인 부분을 차지하는 단일 저장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나타내었다 (SATHE S.K., HAMAKER B.R., SZE-TAO K.W., VENKATACHALAM M., Isolation, purificat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 novel water soluble protein from lnca peanut (Plukenetia volubilis L.): J. Agric. Food Chem., 2002, volume 50(17): pages 4906-4908).
상기 단백질은 추출에 의한 단리 후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되었다. 저자들은 잉카 땅콩으로부터의 상기 수용성 알부민 (IPA 로 칭함 = 잉카 땅콩 알부민) 이 탈지 종자 가루 중량의 약 25 중량% 를 나타내는 것을 보였다. IPA 는 각각 32800 및 34800 Da 의 분자량을 갖는 2 글리코실화 폴리펩티드로 구성된 3S 타입의 이량체성 저장 단백질이다. 이는 FAO/WHO 권고되는 아미노산 패턴과 비교하여 모든 필수 아미노산을 충분한 양으로 함유하는 염기성 단백질 (약 9.4 의 등전점) 이다.
하기 문단은 본 발명의 구현예 또는 바람직한 구현예를 개시한다:
- 피부, 입술, 모발 또는 손발톱을 위한 미용 또는 피부학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추가의 활성 성분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또는 단백질의 혼합물의 활성 성분으로서의 용도.
- 본 발명에 따른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또는 단백질의 혼합물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탈지된 전체 종자 또는 낟알 (낟알은 탈피된 종자임) 로부터 수득가능하다.
-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다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또는 단백질의 혼합물의 활성 성분의 함량은 크로마토그래피 (예를 들어,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친화도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막 분리 (예를 들어, 한외 여과, 투석 또는 역 삼투압) 또는 침전 (용매, 염, 온도) 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이들 기법은 정제 단계의 예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제" 란 용어는 상기 기법을 포함하나 그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또는 단백질의 혼합물은, 예를 들어 가교, 그라프팅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화학적으로 또는 효소적으로 개질될 수 있다 (효소적 가수분해는 프로테아제 또는 글리코시다아제 또는 리파아제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들 기법은 변형 단계의 예이며, 즉, 본 발명에 따라 "개질" 이란 용어는 상기 기법을 포함하나, 그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또는 단백질의 혼합물은 피부, 입술, 모발 또는 손발톱의 전반적인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또는 단백질의 혼합물은 기계적 제한에, 피부, 더욱 특히 각질층의 강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또는 단백질의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인간 피부에, 주름 방지 또는 노화 방지 효과를 초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또는 단백질의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인간 피부에, 항염증 효과를 초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또는 단백질의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인간 피부 또는 입술에 보습 효과를 초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또는 단백질의 혼합물은 항-프로테아제 효과를 초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또는 단백질의 혼합물은 인간 피부, 입술 또는 모발에 컨디셔닝 효과를 초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또는 단백질의 혼합물은 60000 Da (+- 5000 Da) 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또는 단백질의 혼합물은 30000 Da (+- 5000 Da) 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또는 단백질의 혼합물의 임의의 처리는 정제 또는 개질일 수 있으며,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 용매로 추출된 식물 물질 (예를 들어, 종자) 의 존재 또는 부재 중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에서의 단백질의 농축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모든 방 법, (이들 방법은 "정제"의 구현예임), 예를 들어 막여과 테크놀로지 (예를 들어, 한외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예를 들어, 이온 교환, 친화도, 흡착, 소수성), 염 침전, pH 개질, 용매 침전, 초음파, 글리코시다아제 효소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단백질 및/또는 추출물은, 예를 들어 실시예에 기술된 바와 같이, 그들의 천연 형태, 또는 개질된 형태 (하기 기법은 "개질" 의 구현예임) 로 사용될 수 있다: 화학적 또는 효소적 가수분해, 가교-결합 (예를 들어, 화학적 또는 효소적 가교-결합), 지질 또는 당으로의 개질.
다수의 추출물 및/또는 단백질로부터 기대될 수 있는 특성은 (인간 피부에 대한 효과) 타이트닝 효과, 주름 방지 효과, 보습 효과, 지속성 효과 (염기성 등전점에 기인함) 및 최종적 노화 방지 효과를 위한 피부 세포 대사의 촉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과 동일한 식물의 오일의 관련은 보습, 영양, 재생 활성을 위한 더블 세럼 (double serum) 과 같은 미용 및/또는 피부학 제품에 있어서 중요하다.
% 는 중량% 를 의미한다.
I: 플루케네티아 볼루빌리스 종자의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
원료는 플루케네티아 볼루빌리스의 전체 종자로 구성되어 있다. 갈색 종자 껍질은 손으로 벗겨 백색 낟알을 수득하였다. 이후, 낟알을 분쇄하고 가루 를 헥산으로 추출하여 탈지 낟알 가루를 수득하였다.
- 반응기 내에 100 g 의 탈지 낟알 가루 케이크를 도입하였다.
- 1 리터의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 NaOH 4N 으로 진탕 하에서 용액의 pH 를 7.0 로 조절하였다.
- pH 7.0 에서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진탕 하, 추출을 수행하였다.
- 5000 g 에서 원심분리를 15 분간 수행하였다.
- 상청액을 수집한 후, 0.45㎛ 까지 여과하여 백색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 상기 추출물을 최종적으로 동결-건조하였다 (또는 분무-건조할 수 있음).
실시예 2
원료는 실시예 1 의 것과 다르며, 낟알 (종자 껍질 제거됨) 로부터의 플루케네티아 볼루빌리스 오일의 냉 추출물 (프레스에 의함) 로부터 생성되었다. 케이크를 헥산으로 탈지하여 잔류 오일을 제거하였다.
- 반응기 내에 200 g 의 탈지 케이크 가루를 도입하였다.
- 2 리터의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 추출을 실시예 1 에서와 같이 수행하였다.
2 개의 추출물의 특성이 하기 표에 열거된다.
원료 실시예 2 에 따름 실시예 1 에 따름
탈지 가루의 함량 55% 56.3%
최종 용액의 건조된 추출물 2.91% 3.39%
수득된 동결건조물의 중량 44.2g 20.8g
추출물/탈지 가루 수율 (건조 중량 기초) 22.1% 20.8%
동결건조물의 단백질 함량 (질소 x 6.25) 62.7% 66.9%
추출된 단백질/탈지 가루 내의 단백질의 수율 25.7% 20.8%
추출물 내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분자량은 겔 전기영동으로 측정하였다.
비환원 조건 하에서의 SDS 페이지는 약 60 000 Da 및 30 000 Da 의 분자량에 상응하는 2 개의 주요 단백질 밴드를 나타내었다.
전기영동을 환원 조건 하에서 수행하였다 (머캅토에탄올에 의한 디술피드 결합의 절단은 30 000 Da 의 밴드만을 남김). 이는 60 000 Da 에서의 밴드는 디술피드 결합으로 연결된 약 30 000 Da 의 2 서브-유닛으로 구성된 이량체성 단백질임을 의미한다. 60 000 Da 단백질에서 이온 교환에 의해 농축된 추출물에 수행된 등전집속은 또한 상기 단백질의 그의 등전점이 염기성인 것을 나타내었다: 상기 밴드는 당업계에 기술된 IPA 에 확실히 상응한다.
II : 생체외 타이트닝 효과
원리: 원리는 피부 표면 (인간 피부의 샘플) 에 평행으로 적용된 작은 사인함수의 힘에 반응하는 피부 변위를 측정하는 것이다. 조사된 매개변수는 동력 스프링율 (dynamic spring rate) (DSR) (힘/변위 비율) 이다. DSR 은 힘을 변위로 나눈 비율이다. 힘 및 변위의 단위는, 평가가 항상 상대적인 방식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상기 경우에 중요하지 않다. 상기 비율을 각 분마다 지속적으로 계산하고, 결과를 0 시간 (= 처리 전) 에 대해 DSR 개질의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단위는 g/mm 또는 N/m 등일 수 있다. 상기 비율은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계산되었고 힘 및 변위는 mV 이다 (평가가 상대적인 방식으로 수행되고 DSR 이 % 로 계산되기 때문에 단위는 중요하지 않다). 적절한 활성 성분으로의 처리로 인한 피부의 연화는 DSR 의 감소로 나타나며, 한편 피부의 타이트닝 또는 퍼밍 (firming) 은 DSR 의 증가로 나타난다.
방법의 상세한 설명: 피부를 유리 현미경 슬라이드에 고정시켰다. 고정시킨 피부를 제어된 습도 (상대 습도, RH) 및 온도 T (T = 20℃, RH = 33%) 의 대기 하에서 2 시간 동안 평형화하였다. 기계적 특성은 하기 5 개의 조건 하에서 시험하였다:
1. 처리 없는 대조군
2. 플라시보 (placebo) 로 처리한 피부: Sepigel 1% (Sepigel 305, Seppic 사로부터 구입가능함: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이소파라핀 (및) 라우레트-7)
3. 플라시보 중 0.75 중량% 으로 실시예 2 에 따른 플루케네티아 추출물로 처리된 피부: 단백질 함량에 기초하여 4,7 g/l 의 단백질을 의미함.
4. 플라시보 중 1,5 중량% 으로 실시예 2 에 따른 플루케네티아 추출물로 처리된 피부: 단백질 함량에 기초하여 9,4 g/l 의 단백질을 의미함.
5. INCI 명칭: 글리신 소야 (대두) 단백질 (플라시보 중 10% 로 희석됨) 의 Cognis 활성 성분으로 처리된 피부, 단백질 함량에 기초하여 4,7 내지 5 g/l 의 단백질을 의미함.
결과는 180 분 후에 DSR 매개변수의 전개로 표현된다.
표 1: 플라시보 제형 중 0. 75% 에서의 플루케네티아 추출물의 타이트닝 활성
180 분 후의 DSR 값 (%) 평균 SEM (표준 오차 평균) 통계
대조군 108.71 3.18
플라시보 125.53 4.27
플라시보 제형 중 0.75% (w/v) 에서의 실시예 2 에 따른 플루케네티아 추출물 179.8 14.2 **
플라시보 제형 중 10% 에서의 INCI 명칭: 글리신 소야 (대두) 단백질의 Cognis (=LS) 활성 성분 179.66 16.94 **
180 분에서의 플라시보에 관한 DSR 의 증가 % (%) 평균 SEM
플라시보 제형 중 0.75% (w/v) 에서의 실시예 2 에 따른 플루케네티아 추출물 43.54 11.20
플라시보 제형 중 10% 에서의 INCI 명칭: 글리신 소야 (대두) 단백질의 Cognis (=LS) 활성 성분 42.22 9.40
표: 플라시보 제형 중 1. 5% 에서의 플루케네티아 추출물의 타이트닝 활성
180 분 후의 DSR 값 (%) 평균 SEM 통계
대조군 104.18 0.56
플라시보 134.41 11.71
플라시보 제형 중 1.5% (w/v) 에서의 실시예 2 에 따른 플루케네티아 추출물 262.16 43.47 ***
플라시보 제형 중 10% 에서의 INCI 명칭: 글리신 소야 (대두) 단백질의 LS 활성 성분 187.13 20.44 **
180 분에서 플라시보에 관한 DSR 의 증가 % (%) 평균 SEM
플라시보 제형 중 1.5% (w/v) 에서의 실시예 2 에 따른 플루케네티아 추출물 91.00 19.11
플라시보 제형 중 10% 에서의 INCI 명칭: 글리신 소야 (대두) 단백질의 Cognis (=LS) 활성 성분 39.18 11.18
**: 플라시보 및 대조군에 관해 유의함.
***: 플라시보 및 대조군 및 0.75% 에서의 플루케네티아 추출물에 관해 유의함.
0.75% (~5 g/L 의 단백질) 에서의 플루케네티아 추출물의 타이트닝 효과는 플라시보 및 대조군에 관해 유의하였고 5 g/l 단백질에서 INCI 명칭: 글리신 소야 (대두) 단백질의 LS 활성 성분만큼 효과적이다: 1.5% 에서 플루케네티아 추출물로 용량-효과 활성을 관찰하였다.
III : 생체내 타이트닝 효과
생체내 타이트닝 효과를 코니오스피노미터 (corneospinometer) 로 평가하였다. 상기 장치는 미세비틀림 (microtorsion) 하에서 각질층의 움직임의 평가를 허용한다. 앵귤러 피부 변형 (angular skin deformation) 은, 작은 바늘 (바늘의 지름 0.8 mm) 로 구성된 프로브에 의한 피부 표면에 적용된 기계적 토크 (torque) 에 따라 측정하였다. 접촉 부분은 0.2 mm 미만이었고 평가는 각질층에 제한되었다. 특수한 테크놀로지는 피부가 프로브의 축에 접촉될 때까지 바늘을 낮추도록 하여, 오로지 바늘의 중량이 피부에 적용되고 기생 마찰이 감소되게 하였다. 장치는 2 가지의 기능을 갖는 코일을 포함하였다. 첫째로, 상기는 바늘에 주기적 토크를 적용하였다. 둘째로, 상기는 바늘의 앵귤러 포지셔닝 (angular positioning) 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동적 스프링율 (DSR) 로 나타내었으며, 이는 기계적 토크 (상수인 사인성 진폭) 와 앵귤러 피부 변형 (변수) 간의 비율이다.
DSR 의 증가는 각질층에 대한 타이트닝 효과에 상응한다.
방법/실험 조건:
1 명의 지원자
- 아래팔 내면
- 면적 3 x 3 cm2
- 적용된 용량은 3 mg/cm2
- 50 번의 측정 평균
- 결과는 T0 에 관한 10 분에서의 DSR 의 증가% 로 나타냄.
- 피부는 하기로 처리됨:
- 프라시보: 물 중 20% 의 Emulgade® CM: INCI 명칭: 세테아릴 이소노나노에이트 (및) 세테아레트-20 (및) 세테아릴 알코올 (및)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및) 글리세린 (및) 세테아레트-12 (및) 세틸 팔미테이트
- Emulgade® CM (4.5-5g/l 의 단백질) 중 10 중량% 의 농도에서의, INCI 명칭: 글리신 소야 (대두) 단백질의 LS 활성 성분.
실시예 1 및 2 에 따른 플루케네티아 추출물을 100 g/l (w/v) 의 농도에서 물에 용해화시키고 용액을 0.8 ㎛ 에서 여과하였다.
이후, 용액을 Emulgade® CM 에 희석하여, 4.7 - 5.4 g/l 의 단백질을 의미하는 최종 추출물 농도 0.8% (w/v) 를 수득하였다.
시험된 제품 % DSR 의 증가 % (T10/T0) 에세이 1
플라시보 (Emulgade® CM) -18.31%
INCI 명칭: 글리신 소야 (대두) 단백질 (Emulgade® CM 중 10%) 의 LS 활성 성분 25.99%
Emulgade® CM 중 0.8% (w/v) 의 실시예 2 에 따른 플루케네티아 추출물 16.91%
Emulgade® CM 중 0.8% (w/v) 의 실시예 1 에 따른 플루케네티아 추출물 29.75%
0.8% (w/v) 의 플루케네티아 볼루빌리스의 추출물 모두, 즉, 물 중 20% 의 Emulgade® CM 중 4.5 -5.4 g/l 의 단백질은 T0 에 비해 10 분에서 DSR 의 증가에 의해 나타나는 바와 같이, 즉각의 타이트닝 효과를 나타내었다. 동일한 단백질 농도 범위에서, 플루케네티아 추출물을 INCI 명칭: 글리신 소야 (대두) 단백질의 LS 활성 성분과 대략 동일한 타이트닝 효과를 나타내었다.
IV : 서브틸리신 ( subtilisin ) A 로의, 플루케네티아 볼루빌리스 종자로부터의 가수분해물 제조
실시예 3
이 실시예에서 사용된 효소는 NOVO 사 에 의해 시판되는 서브틸리신 (알칼라아제 2.4 L) 이다. 출발 물질은 플루케네티아 볼루빌리스 낟알로부터의 오일의 냉 프레스 추출 후 수득되는 케이크이다 (잔여 오일 13.5%). 케이크를 분쇄하여 케이크 가루를 수득하였다. 실험은 하기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 반응기에 75 g 의 케이크 가루를 도입함.
- 750 ml 의 증류수를 첨가함.
- 균질화 후, 소듐 히드록시드로 혼합물의 pH 를, 진탕 하에서 8.2 로 조절함.
- 혼합물을 55℃ 로 가열함.
- 혼합물에 1.9 ml 의 효소 (케이크 가루의 단백질 함량에 기초하여 5%) 를 첨가함 .
- pH = 8.0-8.2 및 55℃ 에서 2 시간 동안 가수분해함.
- pH 를 7.0 으로 조절하고 혼합물을 90℃ 에서 10 분간 가열하여 효소를 불활성화함.
- 실온으로 식히고 5000 g 에서 원심분리함.
- 상청액 수집 후, 0.45 마이크론까지 여과함.
- 가수분해물을 최종적으로 분무건조하여 66% 의 단백질 함량 (질소 측정에 기초함)을 갖는 17 그램의 분말 (분무건조의 수율 = 80%) 을 수득함.
V: 파파야로부터의 프로테아제로의, 플루케네티아 볼루빌리스로부터의 가수분해물 제조
시험의 연속 중, 사용된 효소는 BIOZYM 사에 의해 시판되는 파파야로부터의 프로테아제의 혼합물이었다.
실시예 4
출발 물질은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하다. 실험은 하기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 반응기에 75 g 의 케이크 가루를 도입함.
- 750 ml 의 증류수를 첨가함.
- 균질화 후, 소듐 히드록시드로 혼합물의 pH 를, 진탕 하에서 7.5 로 조절함.
- 혼합물을 50℃ 로 가열함.
- 혼합물에 6g 의 효소 분말 (케이크 가루의 단백질 함량에 기초하여 15%) 을 첨가함 .
- pH 7.5 및 50℃ 에서 2 시간 동안 가수분해함.
- 혼합물을 90℃ 에서 10 분간 가열하여 효소를 불활성화함.
- 실온으로 식히고 5000 g 에서 원심분리함.
- 상청액 수집 후, 0.22 마이크론까지 여과함.
- 가수분해물을 최종적으로 분무건조하여 61% 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13 그램의 분말 (분무건조의 수율 = 62%) 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출발 물질은 플루케네티아 볼루빌리스 낟알로부터의 오일의 냉 프레스 추출 및 탈지 낟알 가루를 수득하기 위한 헥산에 의한 탈지 (잔여 오일 < 0.3%) 후 수득된 케이크이다. 실험은 하기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 반응기에 40 g 의 탈지 낟알 가루를 도입함.
- 360 ml 의 증류수를 첨가함.
- 균질화 후, 황산으로 혼합물의 pH 를, 진탕 하에서 5.5 로 조절함.
- 혼합물을 50℃ 로 가열함.
- 혼합물에 2.18 g 의 효소 분말 (탈지 낟알 가루의 단백질 함량에 기초하여 8%) 을 첨가함.
- pH 5.5 및 50℃ 에서 4 시간 동안 가수분해함.
- 혼합물을 90℃ 에서 10 분간 가열하여 효소를 불활성화함.
- 실온으로 식힘
- 5000 g 에서 원심분리한 후, 상청액을 수집 후, 0.22 마이크론까지 여과 함.
- 가수분해물을 최종적으로 동결건조하여 질소 측정에 기초하여 50% 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6.5 그램의 분말을 수득함.
VI : 배양액 중 인간 섬유아세포에 대한 재생성 및 생기회복 효과
2. 수행된 실험의 목적 :
이들 실험의 목적은 시험관 내에서 배양된 인간 섬유아세포에 대한 추출물의 생기회복 및 재생성 활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3. 사용된 방법 :
재생성 및 성장인자-형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간 섬유아세포에 대한 성장 효율 실험을 수행하였다. 생존 효능 실험을 인간 섬유아세포에 수행하여, 재생성 및 생기회복 활성을 평가하였다. 세포수 및 세포 생존력을 하기 매개변수를 기록하여 측정하였다:
- DNA 수준은 Hoechst 33258 로 불리는 형광 프로브로 평가하였다 (DESAULN IERS D., LEINGARTNER K., ZACHAREWSKI T. and FOSTER W.G.: Optimisation of an MCF7-E3 cell proliferation assay and effects of environmental pollutants and industrial chemicals: Toxic. In vitro, 1998, volume 12(4): pages 409-422).
- ATP 또는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는 에너지가 풍부한 화합물이며, 주로 마이토콘트리아로부터 제조된다. 세포는 세포뼈대, 이온 채널, 영양분 흡수, 및 기타 많은 생물학적 과정을 제어하는 여러 효소의 활성을 위해 ATP 를 필요로 한다 (VASSEUR P., AERTS C: Appreciation de Ia cytotoxicit[epsilon] par Ia mesure de I'ATP, J. Francais Hydrol., 1981, volume 9, pages 149-156).
- 단백질 수준을 브래드포드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BRADFORD M.M.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1976, volume 72: pages 248-254).
- 글루타티온 (GSH) 은 산화 스트레스 또는 수은 또는 납과 같은 특정 오염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기 위해 제조되는 펩티드이다. GSH 의 환원 형태로 관련된 3 개의 아미노산은 ATP 를 사용하는 특정 세포질 효소에 의해 연결된다. GSH 는 Hissin 의 방법 (HISSIN P.J., HILF R. A fluoro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oxidized and reduced glutathione in tissues: Anal. Biochem., 1976, volume 74 : pages 214-226) 으로 평가된다.
결과는 표준 범위에 대해 계산한 후, 대조군 (생성물 없는 세포 배양 배지) 에 대한 백분율로 계산한 후, 최종적으로, 전형적으로 3중의 1 또는 2 개의 애세이로부터의 평균으로 나타낸다.
결과 (%/대조군):
표 1a: 가수분해된 플루케네티아 볼루빌리스 추출물의 재생성 효과
단백질을 가수분해하기 위한 효소 용량 (%, w/v) 단백질
대조군 / / 100
실시예 4 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 파파인 0.1 167
상기 자료 (표 1a) 는 파파인 가수분해된 플루케네티아 볼루빌리스 추출물이 세포 성장을 개선시키고 피부 재생을 촉진시키고 피부 노화를 지연시키는 양호한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을 보여준다.
표 1b: 가수분해된 플루케네티아 볼루빌리스 추출물의 재생성 및 생기회복 효과
제조 동안 단백질 추출물을 가수분해하기 위해 사용되는 효소 용량 (%, w/v) DNA ATP 단백질 GSH/단백질
대조군 / 100 100 100 100
실시예 3 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 알칼라아제 0.03 105 127 133 113
0.1 120 144 157 123
실시예 4 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 파파인 0.03 112 132 129 125
0.1 129 182 162 145
실시예 5 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 파파인 0.03 105 141 128 124
0.1 129 161 153 115
상기 자료 (표 1) 은 가수분해된 플루케네티아 볼루빌리스 추출물이 세포성 단백질 합성 및 에너지 방출을 촉진하는 것을 나타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이 글루타티온의 비율을 증가시킴에 따라 산화 스트레스 및 오염물에 대한 세포의 방어 능력을 향상시켰다.
가수분해된 플루케네티아 볼루빌리스 추출물은 피부 세포의 대사를 촉진하고 노화된 피부를 재생하기 위한 양호한 후보이다. 추가적으로, 상기는 산화 스트레스 및 오염물에 대항할 수 있는 피부 세포 능력을 개선한다.
VII : 모발에 대한 지속성 효과
4. 수행된 실험의 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탈색 및 퍼머넌트 웨이브로 손상된 인간 모발에 대한 지속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생성물의 지속성은 케라틴에 흡착 및 부착되고 물 헹굼을 견딜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모발에 흡착되는 지속성 제 품의 양은 하기 2 가지의 상이한 조건 하에서의 탈착 후 플루오레스카민 (1차 아민의 존재) 과의 반응으로 평가한다: 고온 (50℃) 및 높은 이온 강도 (0.5 NaCl). (MINTZ GR, REINHART GM, LENT B: Relationship between collagen hydrolyzate molecular weight and peptide substantivity to hair. J. Soc. Cosmet. Chem. 1991, volume 42: pages 35-44).
5. 사용된 방법 :
6. A: 손상된 모발 단 (탈색 및 퍼밍됨) 의 제조
12 개의 모발 단 (1g) 을, 30℃ 에서 중성 pH 의 5% 과산화 수소와 30 분간 접촉한 후, 조심스럽게 세척하였다. 그 후, 머릿단을 환원제 (5% 소듐 티오글리콜레이트) 에 20 분간 담그고, 물세척한 후, 중성화 용액 (3% 과산화수소) 에 10 분간 담궜다. 최종적으로, 탈색 및 퍼밍된 모발을 5%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 용액으로 세척한 후, 헹구고 오븐에서 45℃ 에서 건조하였다.
B: 모발 단으로부터 단백질/펩티드의 흡수 및 제거
흡수: 각 단을 플루케네티아 볼루빌리스 추출물 (0.75%) 의 용액 또는 증류수 (10 ml) 중 어느 하나에 25℃ 에서 적셨다. 이후, 특이적으로 결합되지 않은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해 머릿단을 따뜻한 흐르는 물에 세척하였다.
모발에 흡착된 추출물의 탈착: 결합된 단백질/펩티드의 탈착을 2개의 연속적인 단계로 수행하였다:
1. 각 머릿단을 2 시간 동안 50℃ 의 물-욕조 내의 증류수 10 ml 에 놓았다 (=열 침지).
2. 이후 각 머릿단을 25℃ 의 NaCl 용액 (0.5 M) 의 10 ml 에 16 시간 동안 담궜다 (=고염 (high salt) 침지).
C: 펩티드의 용량
탈착된 단백질/펩티드의 조제는 추출 액체 중 수행하였다 (열 및 고염 침지). NH2 기의 존재는 플루오레스카민과의 반응 후 측정하였다. 상대 형광을 측정하였다. 여기 및 방출 파장을 각각 390 nm 480 nm 에 설정하였다. 모발로부터의 볼루케네티아 볼루빌리스 추출물의 탈착된 양을, 동일한 조건의 표준 보정에 따라 측정하였다.
결과
표 2: 플루케네티아 볼루빌리스 추출물 또는 증류수 (대조군) 로의 처리에 기인한, 탈색 및 퍼밍된 모발로부터의 단백질/펩티드의 총 탈착 ( mg 의 단백질/ g 의 모발)
추출물의 농도 % (w/v) 단백질의 농도 g/l 총 탈착 (mg 의 단백질/g 의 모발)
대조군 비처리된 모발 0 0 9.8 ± 0.5
실시예 1 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된 모발 0.75 5 17.8 ± 0.4 (**)
실시예 2 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된 모발 0.8 5 19.5 ± 0.5 (**)
통계:
평균 10 번의 측정 ± SEM
1원 분산 분석; Fisher 의 PLSD
**: p<0.0001 (유의함/대조군 모발)
플루케네티아 볼리빌리스 추출물의 지속성은 처리된 모발로부터 단백질성/펩 티드성 물질의 향상된 탈착을 특징으로 한다 (9.8 ± 0.5 mg/g 모발과 비교하여 17.8 ± 0.4 mg/g 모발 및 19.5 ± 0.5 mg/g 모발). 상기 증가는 실시예 1 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에 대해 +87% 및 실시예 2 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에 대해 +105% 를 나타낸다.

Claims (14)

  1. 유포비에이시에 (Euphorbiaceae) 과 (바람직하게는 플루케네티아 (Plukenetia) 속에 속함) 에 속하는 식물의 추출물의 미용 용도.
  2. 단백질 또는 단백질의 혼합물의 미용 용도로서, 상기 단백질 또는 상기 단백질의 혼합물이 유포비에이시에 과 (바람직하게는 플루케네티아 속에 속함)에 속하는 식물로부터 추출가능한 미용 용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인간 피부 또는 인간 모발의 미용 처리를 위한 미용 용도.
  4. 제 3 항에 있어서, 인간 피부 타이트닝 (tightening) 또는 인간 피부에 노화 방지 효과 초래 또는 인간 모발 또는 인간 피부에 지속성 (substantivity) 효과를 초래하기 위한 미용 용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이 플루케네티아 볼루빌리스 (Plukenetia volubilis) 식물인 미용 용도.
  6.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추출물이 상기 식물의 종자의 추출물이거나,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또는 상기 단백질의 혼합물이 상기 식물의 종자로부터 추출가능한 미용 용도.
  7.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추출물이 상기 식물의 종자의 낟알 (바람직하게는 종자의 탈지 낟알) 의 추출물이거나,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또는 상기 단백질의 혼합물이 상기 식물의 종자의 낟알 (바람직하게는 종자의 탈지 낟알) 로부터 추출가능한 미용 용도.
  8. 제 1 항 또는 제 3 항 내지 제 7 항에 있어서, 추출물이 하기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하거나:
    a) 1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의 알코올, 1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의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와 1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의 알코올의 에스테르, 1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의 케톤, 헥산, 2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의 글리콜, 물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상기 식물 또는 상기 종자 또는 상기 낟알을 추출하여 추출물 및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수득함, 및
    b) 상기와 같이 수득된 혼합물로부터 용매를 제거함,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또는 상기 단백질의 혼합물이 a) 및 b)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추출가능한 미용 용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하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미용 용도:
    c) 용매 제거 전 또는 용매 제거 후, 추출물 또는 단백질 또는 단백질의 혼합물을 처리하며, 여기서 상기 처리가 정제 및 개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용매가 물인 미용 용도.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물 또는 단백질 또는 단백질의 혼합물이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의 오일 (바람직하게는 식물의 종자의 오일,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물의 종자의 낟알의 오일) 과 함께 또는 조합으로 사용되는 미용 용도.
  12. 약제로서의 사용을 위한,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추출물 또는 단백질 또는 단백질의 혼합물.
  13. 염증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추출물 또는 단백질 또는 단백질의 혼합물의 용도.
  14. 처리가 개질인, 제 9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추출물 또는 단백질 또는 단백질의 혼합물.
KR1020077010129A 2004-11-03 2005-10-26 플루케네티아 볼루빌리스 속에 속하는 식물의 추출물 및그의 미용 용도 KR200700738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292611.3 2004-11-03
EP04292611 2004-11-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873A true KR20070073873A (ko) 2007-07-10

Family

ID=34931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129A KR20070073873A (ko) 2004-11-03 2005-10-26 플루케네티아 볼루빌리스 속에 속하는 식물의 추출물 및그의 미용 용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264221A1 (ko)
EP (1) EP1807038A1 (ko)
JP (1) JP2008518987A (ko)
KR (1) KR20070073873A (ko)
WO (1) WO20060481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610B1 (ko) * 2016-08-29 2017-04-07 리봄화장품 주식회사 사차인치오일 및 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이 포함된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31762A1 (de) 2006-07-05 2008-01-10 Lancaster Group Gmbh Kosmetische Zubereitung mit einem Hautpflegekomplex mit Anti-Alterungswirkung
US8906397B2 (en) 2011-02-07 2014-12-09 Professional Compounding Centers of America, Ltd Permeation enhancers for topical formulations
US8871811B2 (en) * 2011-02-07 2014-10-28 Professional Compounding Centers of America, Ltd Permeation enhancers for topical formulations
US20130323332A1 (en) * 2012-05-31 2013-12-05 Sherry May Raymond-Coblantz Hand and body moisturizing serum
JP6625364B2 (ja) * 2014-08-05 2019-12-25 学校法人東京農業大学 熱中症予防剤、及び熱中症予防用食品
US10052357B2 (en) 2016-02-25 2018-08-21 Michael William GRAY Topical healing and scar treatment composition
US20180280287A1 (en) * 2017-04-04 2018-10-04 TRI-K Industries,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a sacha inchi perennial plant extract based health and beauty aid
CN108450961A (zh) * 2018-01-24 2018-08-28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美藤果小分子肽粉及其制备方法
CN108450963A (zh) * 2018-01-24 2018-08-28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美藤果蛋白粉及其制备方法
JP7364351B2 (ja) * 2019-03-28 2023-10-18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一重項酸素消去剤及び皮膚外用剤
CN112220706B (zh) * 2020-11-06 2022-10-25 泉后(广州)生物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抗衰老组合物、面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7009A (en) * 1991-08-26 1994-05-31 New York University Anti-HIV proteins GAP 31, DAP 30 and DAP 32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JPH05345720A (ja) * 1992-02-03 1993-12-27 Nippon Shinyaku Co Ltd 美白化粧料組成物
FR2701847B1 (fr) * 1993-02-23 1995-05-05 Coletica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et cosmétiques à base d'albumine végétale, préparations contenant de telles compositions et procédé de préparation.
CA2145979A1 (en) * 1994-03-31 1995-10-01 Chika Hanzawa Composition for the head
JPH0987136A (ja) * 1995-07-13 1997-03-31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FR2761264B1 (fr) * 1997-03-26 1999-10-15 Serobiologiques Lab Sa Utilisation d'extrait(s) de graines de pois bambara dans une composition cosmetique et composition cosmetique correspondante
AUPQ801700A0 (en) * 2000-06-07 2000-06-29 Peplin Research Pty Ltd Enzyme and viral activation
FR2814676B1 (fr) * 2000-10-02 2002-12-20 Silab Sa Procede d'obtention d'un principe actif a effet tenseur immediat de la peau et principe actif obtenu
US20030147830A1 (en) * 2002-01-30 2003-08-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pical skin and/or hair compositions containing protein
CA2436650A1 (en) * 2003-08-06 2005-02-06 Naturia Inc. Conjugated linolenic acid (clnatm) compositions: synthesis, purification and uses
GB0320990D0 (en) * 2003-09-08 2003-10-08 Unilever Plc Food composition
US20070020216A1 (en) * 2005-07-25 2007-01-25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Compositions for Treating Keratinous Surfa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610B1 (ko) * 2016-08-29 2017-04-07 리봄화장품 주식회사 사차인치오일 및 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이 포함된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18987A (ja) 2008-06-05
EP1807038A1 (en) 2007-07-18
WO2006048158A1 (en) 2006-05-11
US20070264221A1 (en)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73873A (ko) 플루케네티아 볼루빌리스 속에 속하는 식물의 추출물 및그의 미용 용도
Samarakoon et al. Bio-functionalities of proteins derived from marine algae—A review
US8674072B2 (en) Cosmetic and/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peptidic hydrolyzate that can reinforce the barrier function
US8546335B2 (en) Peptidic hydrolyzate proteasome activator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KR101729209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활용한 스킨케어 제품 조성물
WO2009043991A2 (fr) Utlisation d&#39;un principe actif issu du lin dans une composition destinee a activer le cytochrome c
CN101172095A (zh) 含有蜂王浆的蛋白水解物的化妆材料
FR2915380A1 (fr) Utilisateur d&#39;un principe actif issu du riz (oryza sativa l) pour preparer une composition destinee a activer le cytochrome c
EP2911680A1 (fr) Utilisation d&#39;un extrait de lin provenant de l&#39;hydrolyse des protéines de lin, en tant qu&#39;agent actif antimicrobien
KR20010006358A (ko) 오크라 종자에서 추출된 단백질 분획물이 화장품으로 사용되는 용도
US20130029917A1 (en) Use of a peptide hydrolysate of pea as moisturizing active agent
JP2015074623A (ja) コラーゲン産生作用を有する新規な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283230A (zh) 一种抗氧化肽及其应用
EP2419439A1 (fr) Composition cosmétique et/ou pharmaceutique comprenant un hydrolysat peptidique apaisant
KR20200054590A (ko) 미강 발효 고형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WO2014029948A2 (fr) Extrait de lin et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ledit extrait pour augmenter le niveau de coenzyme q10 intracellulaire
FR3006588A1 (fr) Extrait peptidique de soja et son utilisation cosmetique pour renforcer la structure du cheveu
FR2944795A1 (fr) Hydrolysats peptidiques activateurs du proteasome et compositions les contenant
KR20120049045A (ko) 바지락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제 조성물
KR20120049042A (ko) 홍합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제 조성물
FR2944527A1 (fr) Composition cosmetique et/ou pharmaceutique comprenant un hydrolysat peptidique capable de renforcer la fonction barriere
WO2023175531A1 (en) Protein hydrolysates of azuki beans and cosmetic uses thereof
CA2284667A1 (en) Use of bambara nut seed extract(s) in a cosmetic composition
CN110256529A (zh) 一种抗氧化肽及其应用
KR20220147192A (ko) 클로렐라 프로토테코이데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