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610B1 - 사차인치오일 및 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이 포함된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사차인치오일 및 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이 포함된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610B1
KR101723610B1 KR1020160109815A KR20160109815A KR101723610B1 KR 101723610 B1 KR101723610 B1 KR 101723610B1 KR 1020160109815 A KR1020160109815 A KR 1020160109815A KR 20160109815 A KR20160109815 A KR 20160109815A KR 101723610 B1 KR101723610 B1 KR 101723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orinocense
caryodendron
ski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우
유환석
장경환
Original Assignee
리봄화장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봄화장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봄화장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9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6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차인치오일 및 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이 포함된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습효과와 수분유지력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차인치오일 및 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이 포함된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with Sacha Inchi Oil and Caryodendron Orinocense Seed Oil for Skin Moisturization}
본 발명은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차인치오일 및 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이 포함된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크게 표피, 진피, 피하 조직의 3개의 층으로 분류되며, 체내의 기관을 기온 및 습도변화, 자외선, 기타 물리적, 화학적인 외부 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피부 유형을 구분할 때 기름이 너무 적게 분비되면 건성피부, 지나치게 많이 분비되면 지성피부 그리고 적절히 분비되면 이상적인 중성피부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피부는 계절이나 주위환경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특히, 건성 유형의 피부는 기름의 분비량이 적기 때문에 피부가 건조하고 윤기가 없다. 즉, 표면이 거칠고 가늘게 벗겨지거나 부분적으로 비늘모양의 하얀 각질이 나타나며, 심하면 버짐이 생기기도 한다. 세안 후, 얼굴의 피부가 당겨지는 느낌을 받기도 하며, 입가나 외측눈구석 등에 잔주름이 잘 생기며, 저항력이 약하기 때문에 피부가 조그만 상처에도 쉽게 치유되지 않고 손상되기 쉬우며, 노화현상도 빨리 나타난다.
피부의 노화에서 건조한 피부의 보습의 유지가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에 착안하여, 피부 보습에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천연식물의 추출물이 첨가된 화장료 조성물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사차인치오일(Sacha Inchi oil)은 아프리칸 월넛(Plukenetia Volubilis)의 씨를 압착해 얻은 오일로, 잉카오일, 잉카인치 오일, 사카 잉키오일, 사차인치 오일 등의 다양한 별명으로 불리고 있다. 사차인치오일은 오메가3(48%), 오메가6(36%), 오메가9(9%)를 함유하고, 요오드와 비타민 A, E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천연 야생식물이라고 미국의 코넬 대학에서 증명하였고, 2000년부터 이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유럽과학자들과 몰리나 농업대학교의 협력으로 기술적, 상업적, 산업적, 사회적 개념 안에서 이를 재배를 위한 오메가 프로젝트도 시작되었다.
사차인치오일(Sacha Inchi OIL)에 함유된 오메가3와 비타민E는 피부 재생 효과에 탁월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 있으며, 아토피 환자에게 사차인치 오일을 적용해 증상이 개선된 사례가 속속 보고되어, 찾는 이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한편, 카카이나무 열매 카카이넛(Cacay nuts)에서 추출되는 카하이오일(kahai oil)은 ICID명으로는 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Caryodendron Orinocense Seed oil)로, 리놀렌산과 토코페롤, 레티놀, 오메가 3, 6, 9 불포화 지방산 등 피부에 유익한 성분을 가득 포함하고 있고, 피부재생과 피부보습에 탁월한 효과를 보여, 고대 아마존 사람들은 피부 자극 완화 및 화상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했다고 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6-0078691호 (공개일자 2016.07.05)에는, 사카잉키 오일 및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425031호 (등록일자 2014.07.24)에는,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4-0000882호 (공개일자 2014.01.06)에는,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사차인치오일(Sacha Inchi oil) 및 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Caryodendron Orinocense Seed oil)을 이용하여, 피부보습 효과가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사차인치오일(Sacha Inchi oil) 및 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Caryodendron Orinocense Seed oi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사차인치오일(Sacha Inchi oil) 및 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Caryodendron Orinocense Seed oil)은 천연물 유래의 오일이기 때문에, 연약한 피부의 영유아 또는 노인도 사용이 가능하며, 남녀의 구분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포함한다'라는 의미는 사차인치오일(Sacha Inchi oil) 및 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Caryodendron Orinocense seed oil) 외에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성분'은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성분을 의미하는데, 일 예로,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 기타 보조제, 그리고 담체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사차인치오일(Sacha Inchi oil) 및 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Caryodendron Orinocense seed oil)은 바람직하게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 0.01~95 중량% 첨가되는 것이 좋다. 이때, 시차인치오일(Sacha Inchi oil) 및 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Caryodendron Orinocense seed oil) 외에 다른 성분이 첨가되어 전체로써 100 중량%를 채우게 된다. 또한, 사차인치오일(Sacha Inchi oil) 및 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Caryodendron Orinocense seed oil) 간의 혼합 비율은 특별한 비율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사차인치오일(Sacha Inchi oil) 1 중량부에 대해 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Caryodendron Orinocense seed oil)이 0.5~1.5 중량부의 비율로 조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 예로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 유화물의 형태의 화장품 제형인 것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형이 상기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 유화물의 형태로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화장수류, 유액류, 크림류, 팩류, 비누류, 햇빛을 막는 화장료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택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사차인치오일(Sacha Inchi oil) 및 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Caryodendron Orinocense seed oil)이 복합적으로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효과와 수분유지력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 또는 실험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실시예 1~3 및 비교예 1: 수중유형 유화물의 제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사차인치오일(Sacha Inchi oil), 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Caryodendron Orinocense seed oil)이 포함된 수중유형 유화물 1 kg을 하기 표 1의 배합비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수상과 유상을 75℃까지 항온수조에 가온 후 유상을 수상에 서서히 첨가하여 호모믹서 3,000rpm으로 5분간 유화시킨 후 실온까지 냉각시켜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의 유화물에 포함된 원료의 구체적인 함량은 하기 표 1과 같았다.
원료명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1.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2.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3.온천수 1.00 1.00 1.00 1.00
4.알란토인 0.15 0.15 0.15 0.15
5.알지닌 0.15 0.15 0.15 0.15
6.프로판디올 2.00 2.00 2.00 2.00
7.글리세린 5.27 5.27 5.27 5.27
8.하이드롤라이즈드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 0.23 0.23 0.23 0.23
9.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1% sol.) 5.00 5.00 5.00 5.00
10.디프로필렌글라이콜 3.00 3.00 3.00 3.00
11.카보머 0.15 0.15 0.15 0.15
12.디메치콘 0.30 0.30 0.30 0.30
13.사이클로펜타실록산 2.55 2.55 2.55 2.55
14.디메치콘올 0.45 0.45 0.45 0.45
15.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0 0.10 0.10 0.10
16.세테아릴알코올 4.30 4.30 4.30 4.30
17.폴리소르베이트60 1.00 1.00 1.00 1.00
18.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1.10 1.10 1.10 1.10
19.소르비탄올리베이트 0.60 0.60 0.60 0.60
20.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34 0.34 0.34 0.34
21.C12-16알코올 0.33 0.33 0.33 0.33
22.팔미틱애씨드 0.33 0.33 0.33 0.33
23.쉐어버터 2.00 2.00 2.00 2.00
24.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0.33 0.33 0.33 0.33
25.이소헥사데칸 0.33 0.33 0.33 0.33
26.폴리소르베이트80 0.33 0.33 0.33 0.33
27.향,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28.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 8.00 - 4.00 -
29.사차인치오일 - 8.00 4.00 -
합계 100 100 100 100
[ 실험예 1: 수분 보유능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수중유형 유화물의 피부 보습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수중유형 유화물을 각각 피부에 정량 도포한 후 각질층의 수분 보유량을 측정하고 이를 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측정 기기로는 A-One Smart 안면인식기(BOMTECH 社)의 장치인 P-Sensor를 이용하였고, 피험자의 피부에 도포 직후와 도포 후 1시간부터 4시간까지 피부의 수분도를 측정하여 보습 효과를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수분도(AU)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도포 직후 39 40 42 33
도포 1시간 후 36 35 39 31
도포 2시간 후 35 33 37 31
도포 4시간 후 32 33 37 31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3이 비교예 1에 비해 수분 보유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났다.
다만, 실시예 3의 수중유형 유화물은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수중유형 유화물에 비해 도포 직후부터 도포 4시간 후까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수분도 감소률이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서와 같이 사차인치오일(Sacha Inchi oil), 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Caryodendron Orinocense seed oil)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였을 때, 보습 효과와 수분유지력이 각각을 별개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2: 안정도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수중유형 유화물을 제조한 후, 45℃로 온도가 설정된 인큐베이터에서 물성 안정도 변화를 체크하였다.
수중유형 유화물 45℃ 안정도(분리)
구분 1주 2주 3주 4주
실시예1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실시예2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실시예3 없음 없음 없음 없음
비교예1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수중유형 유화물은 고온에서 1주에서 4주까지 보관하였을 때, 분리현상 없이 안정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4)

  1. 사차인치오일(Sacha Inchi oil) 및 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Caryodendron Orinocense seed oil)을 포함하며,
    상기 사차인치오일 및 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은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차인치오일(Sacha Inchi oil) 및 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Caryodendron Orinocense seed oil)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 0.01~95 중량%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 유화물의 형태의 화장품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09815A 2016-08-29 2016-08-29 사차인치오일 및 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이 포함된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23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815A KR101723610B1 (ko) 2016-08-29 2016-08-29 사차인치오일 및 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이 포함된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815A KR101723610B1 (ko) 2016-08-29 2016-08-29 사차인치오일 및 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이 포함된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3610B1 true KR101723610B1 (ko) 2017-04-07

Family

ID=58583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815A KR101723610B1 (ko) 2016-08-29 2016-08-29 사차인치오일 및 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이 포함된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6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9550A (ko) 2022-02-07 2023-08-1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건강식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3873A (ko) * 2004-11-03 2007-07-10 코그니스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플루케네티아 볼루빌리스 속에 속하는 식물의 추출물 및그의 미용 용도
KR20140000882A (ko) 2012-06-26 2014-01-06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425031B1 (ko) 2013-08-13 2014-08-01 엄익현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27061B1 (ko) * 2013-05-16 2015-06-09 이성희 화장료 조성물
KR20160078691A (ko) 2014-12-24 2016-07-0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카잉키 오일 및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3873A (ko) * 2004-11-03 2007-07-10 코그니스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플루케네티아 볼루빌리스 속에 속하는 식물의 추출물 및그의 미용 용도
KR20140000882A (ko) 2012-06-26 2014-01-06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527061B1 (ko) * 2013-05-16 2015-06-09 이성희 화장료 조성물
KR101425031B1 (ko) 2013-08-13 2014-08-01 엄익현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78691A (ko) 2014-12-24 2016-07-0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카잉키 오일 및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metic Science, Vol. 21, pages 151-158. (1999)* *
서울경제신문) 아마존의 보물, 카하이 오일 기사 (2015.02.2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9550A (ko) 2022-02-07 2023-08-1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건강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16390A (zh) 一种角质调理型美白双层卸妆液及其制备方法
KR101913808B1 (ko) 말린 꽃잎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EP3285739B1 (en) Composition of butter, oil and starch
KR102286908B1 (ko)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크림 화장용 조성물
KR20090041886A (ko)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및 이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
CN108553341A (zh) 一种抑痘杀菌的组合物
KR102220534B1 (ko) 수딩 크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54160B1 (ko) 두피노화 예방 및 완화, 및 탈모방지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CN109700675A (zh) 一种细胞复活草霜及其制备方法
KR101723610B1 (ko) 사차인치오일 및 카리오덴드론오리노켄세씨오일이 포함된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6915048B2 (ja) アルブツス・ウネドの果実抽出物の化粧品としての使用
RU2657777C1 (ru) Косметический крем по уходу за чувствительной кожей детей с успокаивающим эффектом
KR101677546B1 (ko) Msm 및 달팽이 점액여과물을 포함하는 도포 타입의 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30187A (ko)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67182B1 (ko) 오소리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건조증 개선용 화장료
RU2602474C1 (ru) Косметический крем по уходу за чувствительной кожей детей с успокаивающим эффектом
KR101605517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RU2571273C1 (ru)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интенсивного увлажнения и лифтинг-эффекта кожи
KR102076179B1 (ko) 타래붓꽃과 참취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타민 c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7420B1 (ko) 야생얌뿌리, 참깨, 눈연꽃 및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22850B1 (ko) 박하잎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13904A (ko) 피부보호 조성물
CN111973502A (zh) 一种清透气垫cc霜及其制备方法
KR20160068303A (ko)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5107953A (ja) 植物エキスを含有するトイレタリー製品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