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3615A - Housing for electronic components - Google Patents

Housing for electronic compon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3615A
KR20070073615A KR1020070000386A KR20070000386A KR20070073615A KR 20070073615 A KR20070073615 A KR 20070073615A KR 1020070000386 A KR1020070000386 A KR 1020070000386A KR 20070000386 A KR20070000386 A KR 20070000386A KR 20070073615 A KR20070073615 A KR 20070073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
tray
housing
unit
upp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3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사하루 사사끼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3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61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33Trays for ch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02Containers;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A housing for an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to transfer simultaneously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without a two-dimensional movement of the semiconductor chip by using a plurality of chip trays composed of upper and lower units. A housing(10) for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one or more chip trays and a storage tray. The chip trays(11) are used for holding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The storage tray(12) is used for storing the chip trays. The chip tray is formed by connecting a lower unit and an upper unit vertically. The upper and the lower units have the same structures. The lower unit is enclosed with the upper unit.

Description

전자 소자용 하우징{HOUSING FOR ELECTRONIC COMPONENTS}Housing for electronic device {HOUSING FOR ELECTRONIC COMPONENTS}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칩 트레이(chip trays) 및 저장 트레이(storage tray)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도시하는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a housing having chip trays and a storage tra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하우징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the housing;

도3은 칩 트레이의 필수 부품을 도시하는 확대도.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essential parts of a chip tray;

도4의 (a)는 칩 트레이의 상측 유닛을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Fig. 4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unit of the chip tray.

도4의 (b)는 칩 트레이의 하측 유닛을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Fig. 4B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unit of the chip tray.

도4의 (c)는 저장 트레이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Figure 4 (c)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orage tray.

도5는 상측 유닛의 배면을 도시하는 저면도.Fig. 5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upper unit.

도6은 도3의 A-A 선 단면도로서, 상측 유닛과 하측 유닛이 칩 트레이를 형성하도록 서로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도면.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in which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are vert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hip tray;

도7의 (a)는 도3의 A-A 선 단면도로서, 상측 유닛을 도시하는 도면.Fig. 7A is a cross 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A-A in Fig. 3, showing the upper unit.

도7의 (b)는 도3의 A-A 선 단면도로서, 하측 유닛을 도시하는 도면.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showing the lower unit.

도7의 (c)는 도3의 A-A 선 단면도로서, 저장 트레이를 도시하는 도면.FIG. 7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showing the storage tray. FIG.

도8은 도1에 도시된 칩 트레이가 구비되지 않은 저장 트레이를 도시하는 평면도.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 storage tray without a chip tray shown in FIG. 1; FIG.

도9의 (a)는 도3의 B-B 선 단면도로서, 상측 유닛을 도시하는 도면.Fig. 9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3, showing the upper unit.

도9의 (b)는 도3의 B-B 선 단면도로서, 하측 유닛을 도시하는 도면.Fig. 9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3, showing the lower unit.

도9의 (c)는 도3의 B-B 선 단면도로서, 저장 트레이를 도시하는 도면.Fig. 9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3, showing the storage tray.

도10은 칩 트레이 및 저장 트레이를 각각 구비하는 2개의 하우징이 수직방향으로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Fig. 1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wo housings each having a chip tray and a storage tray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하우징10: housing

11 : 칩 트레이11: chip tray

12 : 저장 트레이12: storage tray

14 : 상측 유닛14: upper unit

15 : 하측 유닛15: lower unit

25 : 흡수부25: absorption part

C : 칩C: chip

본 발명은 반도체 칩과 같은 전자 소자를 내부에 유지하는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using for holding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emiconductor chip therein.

본원 발명은 일본 특허 출원 제2006-771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그의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claims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6-771 as a priority,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종래에 있어서, 반도체 칩과 같은 전자 소자를 유지 및 이송하기 위해 각종 형태의 하우징이 사용되었다. 종래의 공지된 하우징 중 대표적인 예는 복수의 반도체 칩을 각각 유지하는 복수의 칩 트레이와, 상기 반도체 칩을 저장하기 위해 크기 및 두께면에서 상기 칩 트레이보다 큰 저장 트레이를 포함하도록 설계되었다. 저장 트레이는 상측 단부가 개방되고 칩 트레이를 저장하는 복수의 포켓을 구비한다. 복수의 영역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돌출부가 칩 트레이의 상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반도체 칩이 돌출부에 의해 단단히 유지되고 둘러싸여 2차원 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은 상기 복수의 영역에 유지된다. 각각 복수의 반도체 칩을 유지하는 칩 트레이는 저장 트레이의 포켓에 저장되고; 그 후, 저장 트레이는 이송된다. 이는 복수의 칩 트레이를 동시에 이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e past, various types of housings have been used to hold and transport electronic devices such as semiconductor chips. Representative examples of conventional known housings are designed to include a plurality of chip trays each holding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and a storage tray larger than the chip tray in size and thickness for storing the semiconductor chips. The storage tray has a plurality of pockets whose upper ends are open and which store chip trays.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ar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chip tray to form a plurality of regions, and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are formed in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in such a manner that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are firmly held and enclosed by the protrusions to prevent movement in two-dimensional directions. Stay in the area. Chip trays each holding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are stored in a pocket of a storage tray; Thereafter, the storage tray is transferred. This can make it possible to transfer a plurality of chip trays at the same time.

전술한 바에 있어서, 반도체 칩은 각각 칩 트레이의 상면에 간단하게 장착된다. 하우징이 이송동안 덜걱거리면, 반도체 칩은 위치 이탈되거나 그로부터 경사지도록 제 위치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반도체 칩에 대해서 바람직하지 않은 저장 조건을 야기한다.In the above, the semiconductor chips are simp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ip tray, respectively. If the housing rattles during transfer, the semiconductor chip may be moved out of position to be out of position or inclined therefrom. This causes undesirable storage conditions for semiconductor chips.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동안 반도체 칩의 원하지 않는 이동을 방지하는 안정적인 방법으로 반도체 칩을 유지할 수 있는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using that can hold a semiconductor chip in a stable manner that prevents unwanted movement of the semiconductor chip during movement.

본 발명의 하우징은 복수의 반도체 칩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칩 트레이와, 상기 칩 트레이를 저장하는 저장 트레이를 포함하며, 칩 트레이는 상측 유닛과 하측 유닛을 수직하게 연결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 칩은 상측 유닛과 하측 유닛 사이에 유지된다. 칩 트레이는 적절한 크기로 형성되고, 저장 트레이의 두께 범위 내에서 저장 트레이의 내측에 완전히 보유된다. 또한, 저장 트레이는 복수의 맞물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맞물림부는 칩 트레이와의 맞물림을 실현하는 한편 상측 유닛과 하측 유닛의 수직하게 연결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측 유닛과 하측 유닛 모두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하측 유닛은 상측 유닛에 의해 덮일 수 있다.The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chip tray for holding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and a storage tray for storing the chip tray, wherein the chip tray is formed by vertically connecting an upper unit and a lower unit, and the semiconductor chip. Is held between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The chip tray is formed to an appropriate size and is completely held inside the storage tray within the thickness range of the storage tray. In addition, the storage tray has a plurality of engagement portions, which realize engagement with the chip tray while maintaining the vertically connected state of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Since both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have the same structure, the lower unit can be covered by the upper unit.

전술한 바에 있어서, 하우징이 다른 하우징과 수직하게 결합되는 경우, 복수의 반도체 칩은 하우징의 상측 유닛과 다른 하우징의 하측 유닛 사이에서 또한 유지된다. 또한, 반도체 칩은 표면 장착 패키지에 각각 캡슐화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housing is coupled vertically with the other housing,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are also held between the upper unit of the housing and the lower unit of the other housing. In addition, the semiconductor chips are each encapsulated in a surface mount packag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장 트레이에 저장되는 복수의 칩 트레이가 동시에 이송될 수 있도록 하며, 복수의 반도체 칩은 칩 트레이의 상측 유닛과 하측 유닛 사이에 유지된다. 이는 반도체 칩이 이송동안 제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고, 따라서 하우징이 이송동안 덜걱거리는 경우에도, 반도체 칩의 위치 이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반도체 칩에 대해서 안정한 저장 조건을 유지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plurality of chip trays stored in the storage tray to be simultaneously transferred, and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are held between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of the chip tray. This keeps the semiconductor chip out of position during the transfer, and therefore, even if the housing rattles during the transf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semiconductor chip, thus maintaining stable storage conditions for the semiconductor chip.

칩 트레이가 적절한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칩 트레이는 저장 트레이의 두께 범위 내에서 저장 트레이의 내측에 완전히 저장될 수 있어, 칩 트레이가 저장 트레이 내에 저장되는 경우 하우징의 전체 두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즉, 하우징에 대해서 소형 크기(compact size)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하우징이 서로 수직하게 결합되는 경우, 하우징의 이송에 요구되는 전체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Since the chip tray is formed in an appropriate size, the chip tray can be stored completely inside the storage tray within the thickness range of the storage tray, so as to prevent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housing from increasing when the chip tray is stored in the storage tray. Can be; In other words, a compact size can be realized for the housing. In particular, when a plurality of housings are ver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otal space required for the transport of the housings.

탄성을 갖는 맞물림부를 제공함으로써, 칩 트레이를 저장 트레이에 착탈식으 로 부착할 수 있다. 이는 칩 트레이가 저장 트레이로부터 예기치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측 유닛과 하측 유닛 사이의 수직하게 연결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즉, 칩 트레이 및 저장 트레이에 의해 반도체 칩의 저장 조건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By providing an elastic engagement portion, the chip tray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torage tray. This prevents the chip tray from being unexpectedly separated from the storage tray and also maintains a vertically connected state between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That is, the storage conditions of the semiconductor chip can be stabilized by the chip tray and the storage tray.

상측 유닛과 하측 유닛 모두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유닛들의 구성 부품에 대해서 공통 디자인을 활용할 수 있다. 이는 상측 유닛 및 하측 유닛에 대해서 요구되는 상이한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킨다.Since both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have the same structure, a common design can be utilized for the component parts of the units. This reduces the number of different parts required for the upper and lower units.

각각 전술된 구조를 갖는 복수의 하우징이 서로 수직하게 결합되는 경우, 복수의 반도체 칩은 일 하우징의 상측 유닛과 다른 하우징의 하측 유닛 사이에 또한 유지될 수 있다. 이는 동시 이송되는 반도체 칩의 전체 개수를 증가시킨다. 또한, 반도체 칩은 예를 들면 표면 장착 칩 패키지(surface mount chip package)에 각각 캡슐화된다.When a plurality of housings each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re ver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can also be held between the upper unit of one housing and the lower unit of the other housing. This increases the total number of semiconductor chips transferred simultaneously. In addition, the semiconductor chips are each encapsulated, for example, in a surface mount chip package.

본 발명의 이러한 및 다른 목적, 태양 및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These and other objects, aspects,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방법으로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The invention is explain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2는 하우징의 정면도이며, 도3은 도1에 도시된 하우징의 필수 부품을 도시하는 확대도이고, 도4의 (a) 내지 도4의 (c)는 하우징의 주요 부품을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 hous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housing, FIG.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essential parts of the housing shown in FIG. 1, and FIG. 4C are enlarged perspective views showing main parts of the housing.

하우징(10)은 복수의 칩(C)을 각각 유지하는 복수의 칩 트레이(11)와, 칩 트레이(11)를 유지하는 저장 트레이(1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칩(C)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지만, 도면은 칩(C)이 BGA[볼 그리드 어레이(ball grid array)] 패키지 및 CSP[칩 스케일 패키징(chip scale packaging)]와 같은 표면 장착 칩 패키지에 캡슐화되는 것을 도시하며, 각각의 칩(C)은 예를 들면 복수의 단자가 칩의 일 측을 따라서 배열되는 2차원 정사각형 형상을 갖는다.The housing 10 includes a plurality of chip trays 11 each holding a plurality of chips C, and a storage tray 12 holding the chip trays 11. This embodimen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the shape of the chip C, but the drawing shows that the chip C is such as a BGA (ball grid array) package and a CSP (chip scale packaging). Encapsulated in a surface mount chip package, each chip C has a two-dimensional square shape, for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arranged along one side of the chip.

도4의 (a) 및 도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 트레이(11)는 상측 유닛(14)과 하측 유닛(15)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유닛들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측 유닛(14)과 하측 유닛(15) 모두는 칩(C)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동일한 구조의 동일한 트레이 부재를 이용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하기의 설명은 상측 유닛(14)에 대해서 주로 이루어졌으며, 상측 유닛(14)의 부품과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되고, 그의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의해 생략되었다.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chip tray 11 is formed by the upper unit 14 and the lower unit 15, and the units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Both the upper unit 14 and the lower unit 15 can be formed using the same tray member of the same structure that allows the chip C to be mounted thereon. For this reaso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mainly made for the upper unit 14, and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upper unit 14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as necessary.

상측 유닛(14)은 수지로 이루어진 일체식으로 성형된 부재를 이용해 형성된다. 도3, 도4의 (a) 내지 도4의 (c), 도5, 도6 및 도7의 (a) 내지 도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유닛(14)은 평면도에 있어서 정사각형 형상을 갖는 메인 부품(17)과; 평면도에 있어서 각각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메인 부품(17)의 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며, 그들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2차원 방식으로 배열된(도3 참조), 복수의 제1 돌출부(18)와; 평면도에 있어서 십자형 형상을 각각 갖고, 메인 부품(17)의 배면에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도5 참조), 복수의 제2 돌출 부(19)와; 평면도에 있있어서 정사각형 형상을 각각 갖고, 메인 부품(17)의 배면의 주연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정사각형 리브(20)를 포함한다.The upper unit 14 is formed using an integrally molded member made of resin. As shown in Figs. 3, 4 (a) to 4 (c), 5, 6 and 7 (a) to 7 (c), the upper unit 14 is shown in plan view. A main part (17) having a square shape;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8 each having a rectangular shape in a plan view, projecting upward from the surface of the main part 17 and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manner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etween (see FIG. 3). Wow; A plurality of second projecting portions 19 each having a cross-shaped shape in the plan view and projecting down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part 17 (see FIG. 5); It includes a plurality of square ribs 20 each having a square shape in the plan view and projecting down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part 17.

도7의 (a) 및 도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부품(17)의 주연부 영역(17A)은 메인 부품(17)의 다른 영역과 비교해 단차부(step portion)(17B)만큼 하강되어 있다. 복수의 리세스(22)는 우측면 및 좌측면 모두에 있어서 그리고 상측면 및 하측면 모두에 있어서 소정의 부분에 형성된다(도3 및 도5 참조). 메인 부품(17)의 4개 모서리 중, 일 모서리(K)(즉, 도3에서 아래쪽 좌측 모서리)는 테이퍼 형상을 가져서, 조작자 또는 작업자가 상측 유닛(14)의 주연 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periphery region 17A of the main component 17 is a step portion 17B compared with other regions of the main component 17. Figs. As much as descending. The plurality of recesses 22 are formed in predetermined portions on both the right side and the left side and on both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see Figs. 3 and 5). Of the four corners of the main part 17, one corner K (ie, the lower left corner in FIG. 3) has a tapered shape, allowing the operator or operator to recognize the peripheral direction of the upper unit 14. .

제1 돌출부(18)는 칩(C)이 그들 사이의 소정의 공간에 배열될 수 있도록 2차원 방식으로 메인 부품(17)의 표면에 배열되며, 따라서 4개의 제1 돌출부(18)는 각각의 칩(C)의 4개 측면을 따라서 위치된다. 즉, 각각의 단일 칩(C)은 서로 인접해 위치되어 칩(C)의 2차원 운동을 방지하는 4개의 제1 돌출부(18)에 의해 형성되는 칩 보관 영역에 유지된다.The first protrusions 18 are arrang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part 17 in a two-dimensional manner so that the chips C can b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space therebetween, so that the four first protrusions 18 are each It is located along the four sides of the chip (C). That is, each single chip C is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is held in a chip storage area formed by four first protrusions 18 that prevent two-dimensional movement of the chip C.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돌출부(19)는 그들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두고서 2차원 방식으로 메인 부품(17)의 배면에 배열된다. 특히, 십자형 형상을 갖는 각각의 제2 돌출부(19)는 각각의 칩(C)을 메인 부품(17)의 표면에 유지시키기 위한 칩 유지 영역의 배면에 위치된다. 도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부품(17)의 배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제2 돌출부(19)의 높이(h1)는 메인 부품(17)의 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제1 돌출부(18)의 높이(h2)보다 작다.As shown in Fig. 5, the second protrusions 19 are arrang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part 17 in a two-dimensional manner with a predetermined space therebetween. In particular, each second projection 19 having a cross shape is located on the back of the chip holding area for holding each chip C on the surface of the main part 17. As shown in FIG. 7A, the height h1 of the second protrusion 19 projecting down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part 17 is the first projecting upward from the surface of the main part 17. It is smaller than the height h2 of the protrusion 18.

하측 유닛(15)은 상측 유닛(14)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즉, 도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돌출부(18)는 메인 부품(17)의 표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제2 돌출부(19)는 메인 부품(17)의 배면에 형성된다.The lower unit 15 is formed similarly to the upper unit 14. That is, as shown in FIG. 7B,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8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part 17,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19 is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part 17. Is formed.

상측 유닛(14)과 하측 유닛(15)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수직하게 결합되는 경우, 하측 유닛(15)의 제1 돌출부(18)의 팁 단부(tip end)는 상측 유닛(14)의 메인 부품(17)의 배면과 접촉하고; 상측 유닛(14)의 제2 돌출부(19)의 팁 단부는 하측 유닛(15)의 메인 부품(17)의 표면과 접촉한다. 이는 상측 유닛(14)과 하측 유닛(15) 사이에서 제1 돌출부(18)와 제2 돌출부(19)에 의해 칩(C)을 단단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upper unit 14 and the lower unit 15 are ver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6, the tip end of the first protrusion 18 of the lower unit 15 is the upper unit 14. Contact the back side of the main part 17 of the head; The tip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19 of the upper unit 14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main part 17 of the lower unit 15. This makes it possible to firmly hold the chip C by the first protrusion 18 and the second protrusion 19 between the upper unit 14 and the lower unit 15.

정사각형 리브(20)는 상기 리브의 내측면이 단차부(17B)의 약간 외측으로 위치되는 방식으로 메인 부품(17)의 배면의 주연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다. 즉, 상측 유닛(14)과 하측 유닛(15)이 서로 수직하게 결합되는 경우, 상측 유닛(14)의 정사각형 리브(20)는 단차부(17B) 및 상기 단차부(17B)에 인접해 위치된 제1 돌출부(18)와 맞물린다. 이는 상측 유닛(14)과 하측 유닛(15)을 서로 확실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square rib 20 protrudes downwardly from the periphery of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part 17 in such a manner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rib is located slightly outward of the step portion 17B. That is, when the upper unit 14 and the lower unit 15 are ver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the square ribs 20 of the upper unit 14 are positioned adjacent to the step 17B and the step 17B. Meshes with the first protrusion 18. This makes it possible to securely connect the upper unit 14 and the lower unit 15 to each other.

저장 트레이(12)의 구조에 어떠한 공간적인 제약도 부과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는 저장 트레이(12)가 ABS 수지와 같은 적절한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일체식으로 성형된 부재로서 형성되도록 설계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트레이(12)는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트레이(24)와, 트레이(24)의 중앙에 형성된 흡수부와, 칩 트레이(11)를 각각 저장하는 8개의 저장부(26)[즉, 좌측에 형성된 4개 의 저장 공간과, 우측에 형성된 4개의 저장 공간]와, 트레이(24)의 주연부에 형성된 프레임(27)을 포함한다.Although no spatial constraints are imposed on the structure of the storage tray 12, this embodiment is designed such that the storage tray 12 is formed as an integrally molded member constituted by a suitable resin such as an ABS resin. As shown in FIG. 8, the storage tray 12 includes a tray 24 having a long rectangular shape, an absorbing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of the tray 24, and eight storage portions for storing the chip tray 11, respectively. (Ie, four storage spaces formed on the left side and four storage spaces formed on the right side) and the frame 27 formed at the periphery of the tray 24.

흡수부(25)는 정사각형 영역을 형성하는 프레임 형상의 리브(29)에 의해 둘러싸이는 평평한 표면이고, 하우징(10)의 이송에 이용되는 흡수 그리드에 의해서 흡수된다. 프레임 형상의 리브(29)의 상측 단부는 트레이(24)의 상측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며, 따라서 흡수부(25)는 트레이(24)의 상측면 아래에 위치되는 한편 상기 트레이(24)의 상측면과 평행하게 위치된다. 또한, 프레임 형상의 리브(29)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의 복수의 그리드 리브(30)가 프레임 형상의 리브(29)의 주변 영역에 형성된다.The absorbing portion 25 is a flat surface surrounded by frame-shaped ribs 29 forming a square region and is absorbed by the absorbing grid used for conveying the housing 10. The upper end of the frame-shaped rib 29 is located in substantially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ide of the tray 24, so that the absorbing portion 25 is located below the upper side of the tray 24 while the tray 24 It is located parallel to the upper side of). Further, a plurality of grid ribs 30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frame-shaped ribs 29 are formed in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frame-shaped ribs 29.

도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26)는 상측 유닛(14)보다 약간 크며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입구/출구 리세스(32)를 포함한다. 이는 입구/출구 리세스(32)의 개방부에 의해 칩 트레이(11)가 저장부(26)에 부착되거나 또는 저장부(26)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또한, 저장부(26)는 원주벽 사이에 직사각형 공간을 형성하도록 입구/출구 리세스(32)의 개방부로부터 바닥까지 연장하는 4개의 주연벽(33)과; 원주벽(33)의 하측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고 맞물림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플랜지(34)와; 평면도에 있어서 입구/출구 리세스(32) 위치에서 서로 대향하며, 2개의 주연벽(33)을 따라서 놓이는 맞물림부를 형성하는(도3 참조), 복수의 로크 요소(36)와; 입구/출구 리세스(32) 위치에서 나머지 2개의 주연벽을 따라서 위치되는 복수의 위치설정 돌출부(37)를 포함한다. 여기서, 플랜지(34)의 내측은 개방된다.As shown in Fig. 4C, the reservoir 26 includes an inlet / outlet recess 32 that is slightly larger than the upper unit 14 and has a rectangular shape. This allows the chip tray 11 to be attached to or separated from the reservoir 26 by the opening of the inlet / outlet recess 32. The storage section 26 also includes four peripheral walls 33 extending from the opening of the inlet / outlet recess 32 to the floor to form a rectangular space between the circumferential walls; A plurality of flanges 34 which project in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wall 33 and form an engagement portion; A plurality of lock elements 36 facing each other at the inlet / outlet recess 32 position in the plan view, forming an engagement portion lying along the two peripheral walls 33 (see FIG. 3); And a plurality of positioning protrusions 37 located along the other two peripheral walls in the inlet / outlet recess 32 position. Here, the inside of the flange 34 is open.

로크 요소(36)와 관련된 다른 2개의 주연벽(33)을 따라서 복수의 절단부(cutouts)(38)가 형성된다. 도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절단부(38)는 트레이(24)의 상측면으로부터 플랜지(34)까지 수직하게 연장되고, 로크 요소(36)를 절단부 내에서 둘러싸는 적절한 크기로 형성된다.A plurality of cutouts 38 are formed along the other two peripheral walls 33 associated with the lock element 36. As shown in Fig. 4C, each cut 38 extends vertical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tray 24 to the flange 34, and has a suitable size to surround the lock element 36 within the cut. Is formed.

도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그 요소(36)는 절단부(38)의 내측에 배열된다. 도6 및 도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요소(36)는 각각 수직하게 직립한 위치에 위치되고, 입구/출구 리세스(32)의 공간 내로 내측으로 돌출하는 소형 돌출부(40)는 로크 요소(36)의 상측 단부에 형성된다. 소형 돌출부(40) 각각은 그의 단면도에 있어서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따라서 칩 트레이(11)가 저장부(26)에 저장될 때, 소형 돌출부(40)는 상측 유닛(14)의 메인 부품(17)의 외주연부와 맞물린다. 복수의 상호결합 요소(41)는 로크 요소(36)의 하측 단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고, 절단부(38)의 내부 표면에 상호결합된다. 여기서, 로크 요소(36)의 상측부는 상호결합 요소(41)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및 로크 요소(36)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약간 이동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C, the log element 36 is arranged inside the cut portion 38. Figs. As shown in Figs. 6 and 7 (c), the lock elements 36 are each located in a vertically upright position and protrude inwardly into the space of the inlet / outlet recess 32.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ock element 36. Each of the small protrusions 40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in its cross-sectional view, so that when the chip tray 11 is stored in the storage 26, the small protrusions 40 are the main part 17 of the upper unit 14. Mesh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The plurality of interconnecting elements 41 extend horizont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lock element 36 and are inter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ut 38. Here, the upper portion of the lock element 36 can be moved slightly by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coupling element 41 and by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lock element 36.

2쌍의 위치설정 돌출부(37)는 입구/출구 리세스(32)의 2개의 주연벽(33) 각각을 따라서 위치된다. 위치설정 돌출부(37)는, 칩 트레이(11)가 저장부(26)에 저장될 때, 상기 위치설정 돌출부(37)가 칩 트레이(11)의 리세스(22)의 내측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위치설정된다. 따라서, 칩 트레이(11)가 도3에 도시된 소정의 위치에서 90°만큼 원주방향으로 회전되어 저장부(26)내로 밀어넣어진 경우에도, 위치설정 돌출부(37)는 칩 트레이(11)의 메인 부품(17)의 주연부 영역(17A)과 간섭하 고, 그에 따라 칩 트레이(11)가 저장부(26)내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칩 트레이(11)는 위치설정 돌출부(37)가 주연부 영역(17A)과 간섭하지 않는 방식으로 저장 트레이(12)의 저장부(26)에 저장되어야만 하며, 칩 트레이(11)는 소정 위치[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진 모서리(K)가 위치되는 위치] 또는 다른 위치[도3의 도면과 비교해 칩 트레이(11)가 180°만큼 회전된 위치]에서 저장부(26)의 내측에 정확하게 위치된다.Two pairs of positioning protrusions 37 are located along each of the two peripheral walls 33 of the inlet / outlet recess 32. The positioning protrusion 37 is provided in such a manner that when the chip tray 11 is stored in the storage 26, the positioning protrusion 37 is received inside the recess 22 of the chip tray 11. Is positioned. Thus, even when the chip tray 11 is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90 °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shown in Fig. 3 and pushed into the storage portion 26, the positioning projection 37 is formed in the chip tray 11. It interferes with the periphery region 17A of the main component 17 and thereby prevents the chip tray 11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reservoir 26. That is, the chip tray 11 must be stored in the storage portion 26 of the storage tray 12 in such a manner that the positioning protrusion 37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eriphery region 17A, and the chip tray 11 has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inside of the storage part 26 at the position where the tapered edge K is located as shown in FIG. 3 or another position (the position where the chip tray 11 is rotated by 180 ° as compared to the figure of FIG. 3). It is located exactly at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26)의 깊이는 [상측 유닛(14)과 하측 유닛(15)이 서로 수직하게 연결된] 칩 트레이(11)가 저장 트레이(12)의 두께 범위내에서 저장부(26)의 내측에 완전히 저장되는 방식으로 규정된다. 도6에 도시된 상태에 있어서, 상측 유닛(14)의 제1 돌출부(18)의 팁 단부는 트레이(24)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며, 하측 유닛(15)의 정사각형 리브(20)의 팁 단부는 프레임(27)의 하측부 위에 위치되고 프레임(27)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6, the depth of the storage portion 26 is such that the chip tray 11 (the upper unit 14 and the lower unit 15 are vert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s within the thickness range of the storage tray 12. It is defined in such a way that it is stored completely inside the storage 26. In the state shown in FIG. 6, the tip end of the first protrusion 18 of the upper unit 14 is located in substantially the same plane as the surface of the tray 24, and the square rib 20 of the lower unit 15 is located. The tip end of φ is located above the bottom of the frame 27 and does not extend outward from the frame 27.

프레임(27)은 트레이(24)의 주연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트레이(24)의 상측면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의 단차부(27A)는 프레임(27)의 상측 단부상에 형성된다. 복수의 하우징(10)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수직하게 결합되는 경우, 하나의 하우징(10)의 저장 트레이(12)의 프레임(27)의 하측 단부는 다른 하우징(10)의 저장 트레이(12)의 프레임(27)의 단차부(27A)에 장착된다. 도2 및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가 하방으로 향하는 한쌍의 리세스(43)는 프레임(27)의 배면에 형성된다. 또한, 한쌍의 후크(44)가 프레임(27)의 양 측면에 상호결합된 다.The frame 27 extends down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tray 24, and a step 27A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upper side of the tray 24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rame 27. When the plurality of housings 10 are ver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10, the lower end of the frame 27 of the storage tray 12 of one housing 10 is the storage tray of the other housing 10. It is attached to the step part 27A of the frame 27 of (12). As shown in Figs. 2 and 1, a pair of recesses 43 with openings directed downward are formed on the back of the frame 27. Figs. In addition, a pair of hooks 44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rame 27.

칩(C)을 하우징(10)내에 저장하기 위해서, 각각의 칩(C)은 그의 4개의 측면이 하측 유닛(15)의 대응하는 4개의 제1 돌출부(18)와 대향해 위치되는 방식으로 하측 유닛(15)의 메인 부품(17)에 장착된다. 다음으로, 단차부(17B) 및 하측 유닛(15)의 단차부(17B)를 따라서 놓이는 제1 돌출부(18)가 상측 유닛(14)의 정사각형 리브(20)와 맞물리는 방식으로 상측 유닛(14)과 하측 유닛(15)은 서로 수직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측 유닛(14)의 제2 돌출부(19)는 하측 유닛(15)에 저장된 칩(C)의 바로 위에 정확하게 위치된다. 이는 칩(C)이 제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즉, 하측 유닛(15)은 상측 유닛(14)에 의해 덮이고 폐쇄된다. 저장 트레이(12)의 저장부(26)의 위치설정 돌출부(37)가 상측 유닛(14) 및 하측 유닛(15)의 리세스(22)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칩(C)을 포함하는 상측 유닛(14)과 하측 유닛(15)에 의해 구성되는] 칩 트레이(11)는 정확하게 위치되고; 그 후, 칩 트레이(11)는 저장부(26) 내로 밀어 넣어진다. 이때, 상측 유닛(14) 및 하측 유닛(15)의 주연부 영역(17A)은 저장부(26)의 로크 요소(36)의 소형 돌출부(40)를 따라 활주하고, 따라서 로크 요소(36)는 그의 탄성에 의해 약간 외측으로 경사진다. 하측 유닛(15)의 주연부 영역(17A)의 하측면이 저장부(26)의 플랜지(34)에 장착되어 접촉하는 경우, 로크 요소(36)는 초기 위치로 복원되고, 따라서 로크 요소(36)의 소형 돌출부(40)는 상측 유닛(14)의 주연부 영역(17A)의 상측면과 맞물리게 된다. 즉, 칩 트레이(11)는 플랜지(34) 및 로크 요소(36)의 소형 돌출부(40)에 의해서 수직하게 유지된다. 이는 칩 트레이(11)의 수직방향 운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 측 유닛(14)과 하측 유닛(15)의 수직하게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칩 트레이(11)를 저장 트레이(12)의 저장부(26)에 단단히 저장할 수 있다.In order to store the chip C in the housing 10, each chip C is lowered in such a way that its four sides are positioned opposite the corresponding four first protrusions 18 of the lower unit 15. It is mounted to the main part 17 of the unit 15. Next, the upper unit 14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projection 18 lying along the step 17B of the step unit 17B and the lower unit 15 meshes with the square rib 20 of the upper unit 14. ) And the lower unit 15 are vert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us, the second protrusion 19 of the upper unit 14 is located exactly above the chip C stored in the lower unit 15. This prevents the chip C from moving out of position. That is, the lower unit 15 is covered and closed by the upper unit 14. [The upper side including the chip C] in such a manner that the positioning protrusion 37 of the storage portion 26 of the storage tray 12 is accommodated in the recess 22 of the upper unit 14 and the lower unit 15. The chip tray 11 constituted by the unit 14 and the lower unit 15 is correctly positioned; Thereafter, the chip tray 11 is pushed into the storage 26. At this time, the periphery region 17A of the upper unit 14 and the lower unit 15 slides along the small protrusion 40 of the lock element 36 of the storage 26, so that the lock element 36 is It is slightly inclined outward by elasticity. When the lower side of the periphery region 17A of the lower unit 15 is mounted and contacts the flange 34 of the reservoir 26, the lock element 36 is restored to its initial position, and thus the lock element 36 The small protrusion 40 of is in engagement with the upper side of the periphery region 17A of the upper unit 14. That is, the chip tray 11 is held vertically by the small protrusion 40 of the flange 34 and the lock element 36. This prevent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hip tray 11. Therefore, the chip tray 11 can be firmly stored in the storage 26 of the storage tray 12 while maintaining the vertically connected state of the upper unit 14 and the lower unit 15.

마찬가지로, 칩(C)을 유지하는 다른 칩 트레이(11)가 저장 트레이(12)의 다른 저장부에 저장되며; 따라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우징(10)의 완전 적재 상태(fully loaded state)를 실현할 수 있다.Similarly, another chip tray 11 holding the chip C is stored in another storage portion of the storage tray 12; Thus, a fully loaded state of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 1 can be realized.

하측 유닛(15)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칩(C)은 상측 유닛(14)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2개의 하우징(10)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수직하게 결합되는 경우, 상측 유닛(14)에 유지된 칩(C)은 하측 유닛(15)에 의해 덮인다. 즉, 상측 유닛(14)에 칩(C)이 유지되어 있는 하나의 하우징(10)이 다른 하우징(10)과 수직하게 결합하여 덮이는 경우, 다른 하우징(10)의 하측 유닛(15)의 제2 돌출부(19)는 하나의 하우징(10)의 상측 유닛(14)에 유지된 칩(10)의 바로 위에 정확하게 위치된다.Like the lower unit 15, the plurality of chips C may be held by the upper unit 14. When the two housings 10 are ver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10, the chip C held in the upper unit 14 is covered by the lower unit 15. That is, when one housing 10 in which the chip C is held in the upper unit 14 is coupled to and covered with the other housing 10 vertically, the lower unit 15 of the other housing 10 The second protrusion 19 is located precisely above the chip 10 held in the upper unit 14 of one housing 10.

하우징(10)의 저장 트레이(12)의 저장부(26)에 유지된 칩 트레이(11)로부터 칩(10)을 취출하기 위해서는, 칩 트레이(11)와 로크 요소(36)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하기 위해 외력이 칩 트레이(11)에 강제적으로 가해지고, 그에 따라 저장부(26)의 입구/출구 리세스(32)의 개구부로부터 칩 트레이(11)를 취출한다. 그 후, 칩(C)을 노출시키기 위해 상측 유닛(14)은 하측 유닛(15)으로부터 분리되고, 따라서, 칩은 개별적으로 취출될 수 있다.In order to take out the chip 10 from the chip tray 11 held in the storage portion 26 of the storage tray 12 of the housing 10, the engagement between the chip tray 11 and the lock element 36 is released. To this end, an external force is forcibly applied to the chip tray 11, thereby taking the chip tray 11 out of the opening of the inlet / outlet recess 32 of the storage unit 26. Then, the upper unit 14 is separated from the lower unit 15 to expose the chip C, so that the chips can be taken out individually.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칩(C)이 상측 유닛(14)과 하측 유닛(15) 사이에 유지되도록 설계되었다. 이는 저장 트레이(12)에 의해 유지된 복수의 칩 트 레이(11)를 집합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며, 이송동안 칩(C)이 예기치않게 제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is embodiment is designed such that the chip C is held between the upper unit 14 and the lower unit 15. This makes it possible to collectively transport the plurality of chip trays 11 held by the storage tray 12, and to prevent the chip C from unexpectedly leaving and being displaced during the transfer.

또한, 저장부(26)의 플랜지(34) 및 로크 요소(36)에 의해 칩 트레이(11)의 수직방향 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저장 트레이(12)를 뒤집음으로써 칩 트레이(11)는 저장부(26)로부터 용이하게 뒤집어져 취출될 수 있다. 이는 칩(C)의 양 측면에 대해서 대전 검사(electrification inspection)와 같은 시험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hip tray 11 can be prevented by the flange 34 and the lock element 36 of the reservoir 26. By flipping the storage tray 12, the chip tray 11 can be easily flipped out of the storage 26 and taken out. This makes it possible to quickly carry out tests such as electrification inspection on both sides of the chip (C).

복수의 하우징(10)이 서로 수직하게 결합되는 경우, 하나의 하우징(10)의 상측 유닛(14)에 의해 유지되는 칩(C)은 다른 하우징(10)의 하측 유닛(15)에 의해 덮이며, 따라서 칩(C)을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When the plurality of housings 10 are ver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the chip C held by the upper unit 14 of one housing 10 is covered by the lower unit 15 of the other housing 10. Therefore, the chip C can be held reliably.

본 발명은 반드시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전술된 요소 및 부품의 형상, 위치 및 방향과 관련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수정될 수 있다.The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and the invention is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 regard to the shap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elements and components describ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Can be.

예를 들면, 각각의 저장부(26)가 적어도 하나의 칩 트레이(11)를 저장하도록 설계되는 한, 저장 트레이(12)에 형성되는 저장부(26)의 개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시각적인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칩 트레이(11) 및 저장 트레이(12)에 상이한 색상을 도포할 수 있다. 이는 칩 트레이(11)를 저장 트레이(12)에 순조롭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칩 트레이(11)를 저장 트레이(12)로부터 순조롭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칩(C)의 치수 및 칩(C)의 개수에 따라 상측 유닛(14)과 하측 유닛(15)에 대해서 각종 설계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 다.For example, as long as each storage unit 26 is designed to store at least one chip tray 11, the number of storage units 26 formed in the storage tray 12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In order to improve visual recognition, different colors may be applied to the chip tray 11 and the storage tray 12. This makes it possible to smoothly attach the chip tray 11 to the storage tray 12 and also to detach the chip tray 11 from the storage tray 12 smoothly. Of course, various design changes may be made to the upper unit 14 and the lower unit 15 according to the dimensions of the chip C and the number of the chips C. FIG.

또한, 저장 트레이(26)에 유지된 칩 트레이(11)의 수직방향 운동이 확실하게 확보될 수 있는 한, 로크 요소(36)의 개수 및 로크 요소(36)의 위치를 적절히 수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s long a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hip tray 11 held in the storage tray 26 can be securely ensured, the number of the lock elements 36 and the position of the lock elements 36 can be appropriately modified.

로크 요소(36)는 그의 상측 단부에서 소형 돌출부(40)를 구비하도록 반드시 설계되지는 않는다. 즉, 로크 요소(36)는 소형 돌출부(40)가 로크 요소(36)의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 모두에 형성되는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다. 이러한 수정에 있어서, 로크 요소(36)의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에 형성된 소형 돌출부(40)는 각각 상측 유닛(14) 및 하측 유닛(15)과 맞물린다. 이는 안정한 저장 조건을 보장한다. 또한, 상측 유닛(14)만이 저장부(26)에 유지되는 경우조차도, 상측 유닛(14)과 로크 요소(36)의 소형 돌출부(40) 사이의 맞물림을 확실히 달성할 수 있어, 상측 유닛(14)의 수직방향 운동을 방지할 수 있다.The lock element 36 is not necessarily designed to have a small protrusion 40 at its upper end. That is, the lock element 36 can be modified in such a way that the small protrusion 40 is formed at bot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ock element 36. In this modification, the small protrusions 40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ock element 36 are engaged with the upper unit 14 and the lower unit 15, respectively. This ensures stable storage conditions. In addition, even when only the upper unit 14 is retained in the storage portion 26, the engagement between the upper unit 14 and the small protrusion 40 of the lock element 36 can be reliably achieved, so that the upper unit 14 Can prevent vertical movement.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이 이송동안 덜걱거리는 경우에도, 반도체 칩의 위치 이동을 방지할 수 있어 반도체 칩에 대해서 안정한 저장 조건을 유지시키고; 하우징에 대해서 소형 크기를 실현할 수 있고, 복수의 하우징이 서로 수직하게 결합되는 경우에는, 하우징의 이송에 요구되는 전체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측 유닛 및 하측 유닛에 대해서 요구되는 상이한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키고; 동시 이송되는 반도체 칩의 전체 개수를 증가시킨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housing rattles during the transfer,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semiconductor chip can be prevented to maintain stable storage conditions for the semiconductor chip; Compact size can be realiz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nd when a plurality of housings are ver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otal space required for conveyance of the housing; Reduce the number of different parts required for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Increase the total number of semiconductor chips transferred simultaneously.

Claims (6)

하우징이며,Housing, 복수의 반도체 칩을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칩 트레이와,At least one chip tray holding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상기 하나 이상의 칩 트레이를 저장하는 저장 트레이를 포함하고,A storage tray for storing the one or more chip trays; 칩 트레이는 상측 유닛과 하측 유닛을 수직하게 연결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이 상측 유닛과 하측 유닛 사이에 유지되는 하우징.A chip tray is formed by vertically connecting an upper unit and a lower unit, wherein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are held between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제1항에 있어서, 칩 트레이는 적절한 크기로 형성되고, 저장 트레이의 두께 범위 내에서 저장 트레이의 내측에 완전히 보유되는 하우징.The housing of claim 1, wherein the chip tray is formed in an appropriate size and is fully retained inside the storage tray within a thickness range of the storage tra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저장 트레이는 복수의 맞물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맞물림부는 칩 트레이와의 맞물림을 실현하는 한편 상측 유닛과 하측 유닛의 수직하게 연결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하우징.The housing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torage tray has a plurality of engagement portions, and the engagement portion realizes engagement with the chip tray while maintaining the vertically connected state of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측 유닛과 하측 유닛 모두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하측 유닛은 상측 유닛에 의해 덮이는 하우징.The housing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both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have the same structure, so that the lower unit is covered by the upper uni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이 다른 하우징과 수직하게 결합되는 경우, 복수의 반도체 칩은 하우징의 상측 유닛과 다른 하우징의 하측 유닛 사이에서 또한 유지되는 하우징.The housing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when the housing is vertically coupled with the other housing,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are also held between the upper unit of the housing and the lower unit of the other housing.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반도체 칩은 표면 장착 칩 패키지(surface mount chip package)에 각각 캡슐화될 수 있는 하우징.The housing of claim 1 or 2, wherein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can each be encapsulated in a surface mount chip package.
KR1020070000386A 2006-01-05 2007-01-03 Housing for electronic components KR2007007361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00771A JP2007182237A (en) 2006-01-05 2006-01-05 Storage container
JPJP-P-2006-00000771 2006-0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615A true KR20070073615A (en) 2007-07-10

Family

ID=38252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386A KR20070073615A (en) 2006-01-05 2007-01-03 Housing for electronic components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163920A1 (en)
JP (1) JP2007182237A (en)
KR (1) KR20070073615A (en)
CN (1) CN1997269A (en)
TW (1) TW20080415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359B1 (en) * 2010-11-04 2018-07-09 베시 네덜란드 비.브이. Carrier for separated electronic components and method for visual inspection of separated electronic compone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5816B1 (en) * 2004-06-03 2009-01-13 Rochelo Donald R Protective case for a plurality of different sized memory cards
JP5113507B2 (en) * 2007-12-25 2013-01-09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Heat sink storage tray
GB0801820D0 (en) * 2008-02-01 2008-03-05 Univ Coventry Container for 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WO2010036790A1 (en) * 2008-09-25 2010-04-01 Illinois Tool Work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handling microelectronic assemblies
KR101067818B1 (en) * 2009-08-14 2011-09-27 (주)아이콘 A tray clamp device
US8887920B2 (en) * 2011-10-11 2014-11-18 Sunlink Corporation Photovoltaic module carrier
US8844732B2 (en) * 2012-08-03 2014-09-30 Nanya Technology Corporation Cassette tray and carrier module
JP6852434B2 (en) * 2017-02-09 2021-03-31 凸版印刷株式会社 Chip tray, semiconductor chip storage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torage body
CN109677749B (en) * 2019-02-18 2020-07-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Tray, bearing equipment and bear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4541A (en) * 1968-07-22 1970-08-18 Collins Radio Co Package for small and delicate devices
US6082547A (en) * 1998-03-27 2000-07-04 Fluoroware, Inc. Adapter jig
US5957293A (en) * 1998-05-04 1999-09-28 Advanced Micro Devices, Inc. Tray to ship ceramic substrates and ceramic BGA packages
US20010027933A1 (en) * 1998-11-26 2001-10-11 Keiichi Sasamura Accommodation container, accommodation container for accommodating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 of carrying semiconductor devices
JP2001261089A (en) * 2000-03-16 2001-09-26 Toshiba Corp Electronic component tray
US6877194B2 (en) * 2003-07-14 2005-04-12 Peak Plastic & Metal Products (International) Ltd. Open frame tray clip
US20050072714A1 (en) * 2003-10-06 2005-04-07 Eleveld Martin J. Standard tray carrier for aligning trays
US20050072715A1 (en) * 2003-10-06 2005-04-07 Pylant James D. Self aligning tray and carrier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359B1 (en) * 2010-11-04 2018-07-09 베시 네덜란드 비.브이. Carrier for separated electronic components and method for visual inspection of separated electronic compon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97269A (en) 2007-07-11
US20070163920A1 (en) 2007-07-19
JP2007182237A (en) 2007-07-19
TW200804153A (en) 200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73615A (en) Housing for electronic components
JP3771084B2 (en) Tray for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US5400904A (en) Tray for ball terminal integrated circuits
KR100685348B1 (en) Integrated circuit tray
US11061449B2 (en) Memory devices
TWI465375B (en) A wafer container with elasticity module
JP4429823B2 (en) Tray for semiconductor device
JPH11105920A (en) Carrier tape
TWI383930B (en) Panel box
KR100480936B1 (en) Tray for semiconductor device
JP3148984U (en) Carrier tape
JPH0539104Y2 (en)
JP4506532B2 (en) Chip storage structure
KR960001605B1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heat radiating fin assembly and the
JP4417397B2 (en) Tray for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JP2002019909A (en) Magazine for semiconductor device
JP2009179354A (en) Tray for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accommodated therein
KR100574222B1 (en) Tray for chip scale package
JP4607138B2 (en) Tray for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200171774Y1 (en) Carrier for carrying semiconductor package
JP2010018299A (en) Storing container
CN115136747A (en) Base plate tray
JP2004306992A (en) Tray for ic package
JP2023180017A (en) Carrier tape and packing body using the same
JP5530412B2 (en) Electronic component wrapping b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