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3113A - 광학 시트 고정부재가 구비된 하부 섀시 및 이를 채용한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시트 고정부재가 구비된 하부 섀시 및 이를 채용한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3113A
KR20070073113A KR1020060000660A KR20060000660A KR20070073113A KR 20070073113 A KR20070073113 A KR 20070073113A KR 1020060000660 A KR1020060000660 A KR 1020060000660A KR 20060000660 A KR20060000660 A KR 20060000660A KR 20070073113 A KR20070073113 A KR 20070073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hassis
optical sheet
fixing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0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일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0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3113A/ko
Publication of KR20070073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 B32B13/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서 광학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광학 시트 고정부재가 구비된 하부 섀시, 그를 채용한 액정 표시 장치 및 광학 시트 고정부재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광학 시트 고정부재가 구비된 하부 섀시는 상기 하부 섀시의 적어도 측벽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절개 내측 영역부를 절곡시켜 형성된, 상기 하부 섀시의 상부면의 소정 위치까지 연장된 돌기 베이스와 상기 돌기 베이스의 선단에서 상향 돌출 형성된 고정용 돌기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 광학 시트, 하부 섀시, 절개, 측벽, 절곡, 헤밍, 벤딩

Description

광학 시트 고정부재가 구비된 하부 섀시 및 이를 채용한 액정 표시 장치 {BOTTOM CHASSIS WITH OPTICAL SHEETS FIXTUR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시트 고정부재가 구비된 하부 섀시가 채용된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은 도 1의 선 VI-VI을 따라 취한 하부 섀시 및 그에 고정된 광학 시트의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광학 시트 고정부재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하부 섀시에 확산판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하부 섀시에 광학 시트가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시트 고정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액정 표시 패널 21: 램프 유닛
24: 확산판 27: 반사판
200: 백라이트 어셈블리 250: 광학 시트
250h: 고정용 구멍 500: 하부 섀시
520: 상부면 540: 돌기 베이스
560, 580: 고정용 돌기 570: 광학 시트 고정부재
A: 절개 내측 영역부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의 하부 섀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 표시 장치에서 광학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광학 시트 고정부재가 구비된 하부 섀시 및 이를 채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에서 하부 섀시는 4개의 측벽 중에서 길이가 긴 측벽의 하나에 형성되는 상부면 상에 광학 시트가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상기 하부 섀시의 측벽 상부면에는 광학 시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로서 핀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고정용 돌기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광학 시트의 일측면에도 상기 고정용 돌기가 끼워지는 고정용 구멍이 그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용 돌기에 상기 광학 시트의 고정용 구멍이 끼워지기 전에 상기 고정용 돌기의 측면에는 확산판의 일측면이 먼저 안내되어 상기 고정용 돌기의 내측에 배치된 다음, 상기 확산판 상부에 광학 시트가 놓여지면서 상기 고정용 구멍이 고정용 돌기에 끼워진다.
이와 같은 고정용 돌기를 상기 하부 섀시의 상부면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통상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 하부 섀시의 상부면에 구멍을 천공하고 상기 구멍에 핀(pin) 또는 스터드(stud)를 아래에서 위로 억지 끼워 맞춤과 같은 방식으로 고정 형성한다. 이와 같은 고정용 돌기는 통상 하부 섀시의 프레스 가공 공정에서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천공 및 억지 끼워 맞춤과 같은 공정들이 별도의 지그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는 공정의 수를 증가시키고 많은 작업 인원을 요구하며,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상기 하부 섀시의 측벽 상부면에 확산판과 광학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핀 형상의 고정용 돌기를 대신하여 2단 엠보싱 형태의 고정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2단 엠보싱 형태의 고정부재는 평탄한 상부면을 갖는 제1 엠보싱이 상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엠보싱의 상부 중심부에는 원기둥 형상의 제2 엠보싱이 상향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 엠보싱의 측면은 확산판의 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확산판의 측면을 안내하고 그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제2 엠보싱에는 상기 광학 시트의 고정용 구멍이 끼워져 광학 시트가 고정된다.
이러한 2단 엠보싱 형태의 고정부재는 하부 섀시를 프레스 가공할 때 함께 형성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2단 엠보싱 형태의 고정부재는 하부 섀시의 상부면 상에 형성된 제1 엠보싱의 평탄한 상부면이 충분한 공간을 가져야 그 위에 제2 엠보싱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섀시의 상부면은 핀 형상의 고정부재가 형성된 하부 섀시의 경우보다 큰 공간을 요구한다. 또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는 제1 및 제2 엠보싱의 높이를 원하는 만큼 구현하는 데 한계가 있다. 즉 제1 및 제2 엠보싱의 측벽에 확산판과 광학 시트의 두께 이상의 직선 구간이 각각 요구되나 이를 구현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부재는 확산판이 제1 엠보 싱의 상부를 올라타거나, 광학 시트가 제2 엠보싱에서 빠지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 섀시의 제작 공정을 단순화하면서, 큰 공간을 요구하지 않는 광학 시트 고정부재가 구비된 하부 섀시 및 이를 채용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확산판 및 광학 시트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광학 시트 고정부재가 구비된 하부 섀시 및 이를 채용한 액정 표시 장치를제공하는 것이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광학 시트 고정부재가 구비된 하부 섀시는 상기 하부 섀시의 적어도 측벽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절개 내측 영역부를 절곡시켜 형성된, 상기 하부 섀시의 상부면의 소정 위치까지 연장된 돌기 베이스와 상기 돌기 베이스의 선단에서 상향 돌출 형성된 고정용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절개된 절개 내측 영역부는 상기 하부 섀시의 상부면과 외측벽이 만나는 모서리를 한 변으로 하는 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하부 섀시의 외측벽을 절개하되 상기 상단 모서리를 제외한 나머지 변을 절개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 베이스는 하부 섀시의 측벽에서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용 돌기의 하단면은 하부 섀시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 베이스는 상기 하부 섀시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헤밍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용 돌기는 폭이 넓은 하부 영역과 폭이 좁은 상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고, 광학 시트, 확산판 및 램프 유닛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광학 시트 및 확산판을 지지하는 광학 시트 고정부재가 구비된 하부 섀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섀시의 적어도 측벽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절개 내측 영역부를 절곡시켜 형성된, 상기 하부 섀시의 상부면의 소정 위치까지 연장된 돌기 베이스와 상기 돌기 베이스의 선단에서 상향 돌출 형성된 고정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시트에는 상기 고정용 돌기에 대응하는 고정용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용 돌기에 상기 고정용 구멍이 끼워진다.
상기 하부 섀시는 상기 제1 태양에 따른 하부 섀시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고정용 돌기의 내측면의 높이는 적어도 상기 광학 시트의 최상면보다 높거나 같게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확산판과 하부 섀시의 상부면 사이에는 반사판의 상측 단부가 개재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시트 고정부재를 갖는 하부 섀시 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시트 고정부재를 갖는 하부 섀시가 채용된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은 도 1의 선 VI-VI을 따라 취한 하부 섀시 및 그에 고정된 광학 시트의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광학 시트 고정부재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하부 섀시에 확산판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하부 섀시에 광학 시트가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시트 고정부재를 갖는 하부 섀시가 채용된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10)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10)의 하부에 배치된 백라이트 어셈블리(200)와, 상기 액정 표시 패널(10)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를 지지 및 보유하기 위한 몰드 프레임(30)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10)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200) 상부의 소정 영역 및 측부를 감싸기 위한 상부 섀시(40)와, 상기 몰드 프레임(30)이 결합되는 하부 섀시(500)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 표시 패널(1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에 대응하는 컬러 필터 기판(12)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과 컬러 필터 기판(12) 사이에 주입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컬러 필터 기판(12) 상부면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 하부면에는 그에 대응하는 편광판(미도시)이 부착된다.
상기 액정 패널(10)의 하부 및 측부 가장자리 외부에는 데이터 및 게이트 인쇄 회로 기판(14, 15)이 배치된다. 상기 데이터 및 게이트 인쇄 회로 기판(14, 15)과 상기 액정 패널(10)은 이들 상호 간의 통신을 위하여 가요성 케이블(flexible cable)(16)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화상을 표현하기 위한 광을 발생시키는 램프 유닛(21)과, 상기 램프 유닛(21) 하부에 배치되어 하향하는 광을 상향 반사시켜 광효율을 높이기 위한 반사판(27)과, 상기 램프 유닛(21) 상부에 배치된 확산판(24)과, 상기 확산판(24)의 상부에 안착된 하나 이상의 광학 시트(250)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 유닛(21)은 병렬로 배치된 다수의 막대형 램프(21a)와, 램프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램프 고정부(21b)와, 다수의 램프 고정부(21b)가 설치된 램프 지지부(21c)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학 시트(250)는 액정 표시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여러 장이 사용된다.
상기 하부 섀시(500)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는 소정 깊이의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섀시(500)는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가 수납 및 지지되는 바, 상기 하부 섀시(500)의 수납 공간에는 램프 유닛(21) 및 반사판(27)이 안착되고, 상기 하부 섀시(500)의 상부면에는 확산판(24), 반사판(27)의 상측 단부 및 광학 시트(250)가 설치된다. 상기 반사판(27)의 상측 단부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산판(24)과 하부 섀시(500)의 상부면(520) 사이에 개재되는 경우와 달리, 반사판(27)이 하부 섀시(500)의 상부면(520) 사이에 개재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하부 섀시(500)의 상부면에 확산판(24) 및 광학 시트(250) 만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 섀시(500)는 섀시 바닥면과, 섀시 바닥면으로부터 각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돌출 연장된 섀시 측벽을 포함한다. 상기 섀시 측벽은 통상 이중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섀시 측벽 중 외측벽은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며, 내측벽은 상기 수납 공간의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게 형성되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들 외측벽 및 내측벽 사이에는 상부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섀시(500)의 4개의 측벽 중에서 길이가 긴 측벽의 하나에 형성되는 상부면(520)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상기 광학 시트(250)가 고정된다. 즉, 상기 하부 섀시(500)의 상부면(520)에는 상향 돌출된 고정용 돌기(560)를 갖는 광학 시트 고정부재(570)가 형성되어, 광학 시트(250)에 형성된 고정용 구멍(250h)이 상기 고정용 돌기(560)에 끼워져 상기 상부면(520)에 상기 광학 시트(250)가 고정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고자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부면(520)에 상기 광학 시트(250)를 고정하기 위한 광학 시트 고정부재(570)의 제조 공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섀시(500)의 외측벽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선의 내측인 절개 내측 영역부(A)를 상부면(520)까지 절곡(bending) 가공, 구체적으로는 판재의 끝단을 접어서 포개는 작업인 헤밍(hemming) 가공을 한 후 그 선단부를 절곡(bending)하여 상향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광학 시트 고정부재(570)를 형성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섀시(500)의 상부면과 외측벽이 만나는 외측벽의 상단 모서리를 한 변으로 하는 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하부 섀시(500)의 외측벽을 절개하되, 상기 상단 모서리를 제외한 나머지 변을 절개한다.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된 사각 형상의 절개 내측 영역부(A) 를 헤밍 가공하여, 상기 절개 내측 영역부(A)의 외측면은 상기 하부 섀시(500)의 상부면(520)과 밀착하게 되고 그의 내측면은 외부를 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측벽에는 사각 구멍(530)이 형성된다.
그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 내측 영역부(A)의 선단부를 상향으로 절곡하면, 상기 절개 내측 영역부(A)는 상기 하부 섀시(500)의 상부면(520)의 소정 위치까지 연장된 돌기 베이스(540)와 상기 돌기 베이스(540)의 선단에서 상향 돌출 형성된 고정용 돌기(560)로 형성되어, 광학 시트 고정부재(57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절개 내측 영역부(A)에서 상기 하부 섀시(500)의 상부면(520)과 밀착된 부분은 돌기 베이스(540)가 되고, 절곡된 선단부인 상향으로 돌출된 고정용 돌기(560)가 된다. 이때, 헤밍 공정과 절곡 공정은 순서를 서로 바꾸어서 하거나,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절개, 헤밍 및 절곡 가공은 프레스 가공 공정 중에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섀시(500)를 제조하는 프레스 공정에서 상기 광학 시트 고정부재(570)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섀시(500)의 측벽에서 절개된 사각 형상의 절개 내측 영역부(A)를 헤밍 가공에 의해 그를 하부 섀시(500)의 상부면(520)과 밀착시켰으나, 그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더욱이, 상기 돌기 베이스(540)는 상기 상부면(520)에서 소정 높이 이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이격된 소정 높이는 상기 확산판(24) 및 반사판(27)의 두께보다 작아야 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반사판(27)이 하부 섀시(500)의 상부면(520) 사이에 개재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의 두께는 고려하 지 않아도 된다.
상기 절개된 사각 형상의 절개 내측 영역부(A)를 헤밍하는 대신 다수회 절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용 돌기(560)의 하단면은 상기 하부 섀시(500)의 상부면(520)과 밀착하거나 또는 상기 확산판(24)의 두께(경우에 따라서는 반사판(27)까지 포함한 두께)보다 작은 간격을 갖고 상기 하부 섀시(500)의 상부면(520)에서 이격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절개된 사각 형상의 절개 내측 영역부(A)의 길이는 상기 외측벽의 상단 모서리에서 고정용 돌기(560)의 내향 측면까지의 거리와 상기 고정용 돌기(560)의 높이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상기 공정에 의하면, 상기 거리 및 높이는 절개된 사각 형상의 절개 내측 영역부(A)의 길이와 절곡되는 상기 절개 내측 영역부(A)의 선단부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거리 및 높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하고자 한다.
더욱이, 절개 내측 영역부(A)를 헤밍 또는 절곡할 때, 절개 내측 영역부(A)의 일부, 즉 돌기 베이스(540)의 기단측이 하부 섀시(500)의 외측벽에서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하부 섀시(500)에 몰드 프레임(30)이 결합될 때, 몰드 프레임(30)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이를 위하여 상기 하부 섀시(500)의 외측벽을 절개할 때 하부 섀시(500)의 상부면(520)의 일부를 더 절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광학 시트 고정부재(570)에는 상기 확산판(24)과 광학 시트(250)가 보유 및 고정된다. 한편, 상기 광학 시트(250)의 일측면에 형성된 고정 용 구멍(250h)은 상기 광학 시트 고정부재(570)의 고정용 돌기(560)가 끼워지도록 그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음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확산판(24) 및 광학 시트(250)가 하부 섀시(500)에 보유 및 고정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고정용 돌기(560)에 상기 광학 시트(250)의 고정용 구멍(250h)이 끼워지기 전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용 돌기(560)의 내향 측면에는 확산판(24)의 일측면이 먼저 안내되어 상기 고정용 돌기(560)의 내측에 확산판(24)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확산판(24)과 고정용 돌기(560)의 내향 측면 사이는 소정 간격이 요구된다. 상기 소정 간격은 확산판(24)이 그의 하부에 배치된 램프 유닛(21)에서 방출되는 광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확산판(24)이 열팽창할 때, 이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산판(24) 상부에 광학 시트(250)가 놓여지면서 상기 고정용 구멍(250h)이 고정용 돌기(560)에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고정용 돌기(560)에는 광학 시트(250)가 끼워지고, 그에 따라 상기 확산판(24)도 고정용 돌기(560)의 측면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보유된다. 이때에도, 상기 고정용 돌기(560)의 높이는 확산판(24)과 광학 시트(250)의 두께(경우에 따라서는 반사판(27)까지 포함한 두께)를 고려하여 이들 확산판(24)과 광학 시트(250)가 상기 고정용 돌기(560)에서 빠지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즉, 상기 외측벽의 상단 모서리에서 고정용 돌기(560)의 내향 측면까지의 거리는, 즉 상기 고정용 돌기(560)의 위치는, 상기 확산판(24)이 하부 섀시(500)의 상부면(520) 상에 항상 안착되고 열팽창시 고정용 돌기(560)의 내향 측면까지 팽창 하여 그를 가압하지 않을 정도로, 결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고정용 돌기(560)의 높이는 그의 내향 측면의 높이가 상기 확산판(24)과 광학 시트(250)의 전체 두께(경우에 따라서는 반사판(27)까지 포함한 두께)보다 적어도 높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용 돌기(560)는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었으나, 상기 폭은 확산판(24)을 안내하는 부분과 광학 시트(250)의 고정용 구멍(250h)이 끼워지는 부분의 폭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돌기(580)는 확산판(24)을 안내하는 부분인 하부 영역(582)의 폭을 전술된 실시예의 고정용 돌기(560)의 폭과 동일하게 하고, 고정용 구멍이 끼워지는 부분인 상부 영역(584)의 폭을 좁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기술에 사용된 둥근 고정용 구멍(25h)이 형성된 광학 시트(25)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광학 시트 고정부재가 구비된 하부 섀시는 하부 섀시를 제조하는 프레스 가공 공정 중에 광학 시트 고정부재가 함께 형성될 수 있으므로, 광학 시트 고정부재의 제조 공정이 단순해진다. 또한, 광학 시트 고정부재의 고정용 돌기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서, 확산판과 광학 시트가 광 학 시트 고정부재에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확산판 및/또는 반사판과 광학 시트의 크기 및 두께에 따라서, 광학 시트 고정부재의 고정용 돌기의 위치 및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확산판 및/또는 반사판과 광학 시트, 그리고 다양한 두께 및 매수의 광학 시트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액정 표시 장치의 광학 시트 고정부재가 구비된 하부 섀시로서,
    상기 하부 섀시의 적어도 측벽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절개 내측 영역부를 절곡시켜 형성된, 상기 하부 섀시의 상부면의 소정 위치까지 연장된 돌기 베이스와 상기 돌기 베이스의 선단에서 상향 돌출 형성된 고정용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섀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개된 절개 내측 영역부는 상기 하부 섀시의 상부면과 외측벽이 만나는 모서리를 한 변으로 하는 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하부 섀시의 외측벽을 절개하되 상기 상단 모서리를 제외한 나머지 변을 절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섀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돌기의 하단면은 하부 섀시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섀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기 베이스는 상기 하부 섀시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헤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섀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돌기는 폭이 넓은 하부 영역 과 폭이 좁은 상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섀시.
  6.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액정 표시 패널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고, 광학 시트, 확산판 및 램프 유닛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광학 시트 및 확산판을 지지하는 광학 시트 고정부재가 구비된 하부 섀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섀시의 적어도 측벽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절개 내측 영역부를 절곡시켜 형성된, 상기 하부 섀시의 상부면의 소정 위치까지 연장된 돌기 베이스와 상기 돌기 베이스의 선단에서 상향 돌출 형성된 고정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시트에는 상기 고정용 돌기에 대응하는 고정용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용 돌기에 상기 고정용 구멍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돌기의 내측면의 높이는 적어도 상기 광학 시트의 최상면보다 높거나 같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확산판과 하부 섀시의 상부면 사이에는 반사판의 상측 단부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60000660A 2006-01-03 2006-01-03 광학 시트 고정부재가 구비된 하부 섀시 및 이를 채용한액정 표시 장치 KR20070073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660A KR20070073113A (ko) 2006-01-03 2006-01-03 광학 시트 고정부재가 구비된 하부 섀시 및 이를 채용한액정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660A KR20070073113A (ko) 2006-01-03 2006-01-03 광학 시트 고정부재가 구비된 하부 섀시 및 이를 채용한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113A true KR20070073113A (ko) 2007-07-10

Family

ID=38507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660A KR20070073113A (ko) 2006-01-03 2006-01-03 광학 시트 고정부재가 구비된 하부 섀시 및 이를 채용한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311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690B1 (ko) * 2006-09-30 2008-04-11 (주)엔티에프에스 메모리카드를 복구하는 메모리카드 리더기
KR100820691B1 (ko) * 2006-09-30 2008-04-11 (주)엔티에프에스 데이터 복구기능을 가지는 메모리 카드 리더기
KR20130075955A (ko) * 2011-12-28 2013-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9583775B2 (en) 2012-10-24 2017-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uel cell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690B1 (ko) * 2006-09-30 2008-04-11 (주)엔티에프에스 메모리카드를 복구하는 메모리카드 리더기
KR100820691B1 (ko) * 2006-09-30 2008-04-11 (주)엔티에프에스 데이터 복구기능을 가지는 메모리 카드 리더기
KR20130075955A (ko) * 2011-12-28 2013-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9583775B2 (en) 2012-10-24 2017-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uel cell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05286B (ko)
US781098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container module with a novel structure
EP1764643B1 (en) Backlight devic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backlight device
JP4321191B2 (ja) 液晶表示装置
JP4134072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WO2005012787A1 (ja) 面光源装置
EP2006729A2 (en) Liquid crystal module
JP4872696B2 (ja) 曲面型面状光源装置と曲面型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7722229B2 (en) Frame design and backlight system using the same
KR20070073113A (ko) 광학 시트 고정부재가 구비된 하부 섀시 및 이를 채용한액정 표시 장치
KR100576121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JP2005078832A (ja) バックライト装置
EP2006730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backlight assembly
JP2012053119A (ja) 液晶モジュール
WO2010070950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2011118209A (ja) 液晶ユニット
JP2010282856A (ja) 液晶モジュール
JP5050876B2 (ja) 液晶モジュール
JP4316979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組立方法
JP2010175705A (ja) 液晶モジュール
JP4670845B2 (ja) 面光源装置
JP2008204842A (ja) バックライト装置
WO2015194648A1 (ja) シャーシ、バックライトシャーシ、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JP4534552B2 (ja) 液晶表示装置
JP4660321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