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2391A -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2391A
KR20070072391A KR1020060136435A KR20060136435A KR20070072391A KR 20070072391 A KR20070072391 A KR 20070072391A KR 1020060136435 A KR1020060136435 A KR 1020060136435A KR 20060136435 A KR20060136435 A KR 20060136435A KR 20070072391 A KR20070072391 A KR 20070072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irror
screen
cabinet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오이찌 히라마쯔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2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23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 구조를 경량이고 충분한 강성과 정밀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알루미늄재의 압출재로 각각 원하는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하부 프레임(11)과 좌우 사이드 프레임(12, 13)과 상부 프레임(14)을 고정 나사(10a)와 스프링 핀(10b)으로 고정하여 직사각형의 스크린(3)을 설치하는 스크린 프레임을 구성하고, 하부 프레임(11)과 좌우 사이드 프레임(12, 13)을 좌우 프레임 지지체(15, 16)로 비스듬히 고정 나사와 리벳(10c)에 의해 설치하여 프레임 구조체로 한다. 그리고, 하부 프레임(11)에 대해 스크린(3) 하부와 광학 유닛(50)을 위치 결정하고, 상부 프레임(14)에 대해 스크린(3) 상부와 투영 미러(30)를 위치 결정한다.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고정 나사, 프레임 지지체, 사이드 프레임, 스크린

Description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REAR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예에 의한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전방면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
도2는 도1 예의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를 배면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
도3은 도1 예의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전방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4는 도3 예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전방면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
도5는 도3 예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배면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닛의 프레임 구조체를 도시하고, 도5 예에서 광학 유닛, 투영 미러, 스크린을 제거하고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7a 및 도7b는 도5 예에 나타내는 투영 미러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7a는 상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 도7b는 반전하여 상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
도8은 도5 예에 나타내는 광학 유닛을 투영창의 중심으로 본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예에 의한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영된 영상의 광로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10은 도6 예의 프레임 구조체 중 스크린 프레임을 구성하는 4개의 프레임을 일부 파단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11a 내지 도11d는 도10 예에 나타내는 4개의 프레임의 압출 단면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11a는 상부 프레임, 도11b는 우측 사이드 프레임, 도11c는 좌측 사이드 프레임, 도11d는 하부 프레임의 단면도.
도12는 도6 예의 프레임 구조체에서 하부 프레임과 좌측 사이드 프레임의 위치 결정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3은 도6 예의 프레임 구조체에서 상부 프레임과 좌측 사이드 프레임의 위치 결정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4는 도6 예의 프레임 구조체에서 하부 프레임과 좌측 사이드 프레임을 비스듬히 연결하는 좌측 프레임 지지체의, 좌측 사이드 프레임과의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5는 도4 예의 스크린의 조립 부착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16은 도6 예에 나타내는 미러 고정판의 분해 사시도.
도17은 도7a 예에 나타내는 미러 보유 지지 플레이트의 외관 사시도.
도18은 도7a 예에 나타내는 투영 미러의, 상부 프레임으로의 장착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19는 도7a 예에 나타내는 투영 미러의, 상부 프레임으로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20은 도7a 예의 투영 미러를 중심으로 단면한 단면도.
도21a 내지 도21d는 도7a 및 도7b 예에 나타내는 투영 미러에 이용하는 부재의 외관 사시도로, 도21a는 지지체 피스(support piece)를 상면에서 본 도면, 도21b는 지지체 피스를 반전하여 상면에서 본 도면, 도21c는 압박 피스의 도면, 도21d는 축 피스의 도면.
도22는 도18 예의 투영 미러의, 상부 프레임으로의 장착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
도23은 도19 예의 투영 미러의 장착 상태의 주요부를 단면하여 도시하는 일부 단면 사시도.
도24는 종래의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으로의 영상을 투영하는 광로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25는 종래의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의 프레임 구조체의 예의 사시도.
도26은 종래의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의 프레임 구조체의 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스크린
10a : 고정 나사
10b : 스프링
10c : 리벳
11 : 하부 프레임
12 : 좌측 사이드 프레임
13 : 우측 사이드 프레임
14 : 상부 프레임
15 : 우측 프레임 지지체
16 : 좌측 프레임 지지체
30 : 투영 미러
50 : 광학 유닛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1-84533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9-98360호 공보
본 발명은 내부에 영상 기기, 투사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 유닛, 광원 및 미러 등이 장비되고, 전방면측에 스크린이 설치된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24는 종래의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 내 후방 하부에 배치한 프로젝터 본체(100) 내의 투영 화상 생성부로부터의 화상이 투사 렌즈에 의해 하우징 내 전방 하부에 설치된 제1 평면 미러(101), 하우징 내 배면에 설치된 제2 평면 미 러(105)를 거쳐서 되접어 투사를 행하고, 하우징 전방면에 설치된 투과 스크린(103)에 배후로부터 결상함으로써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안길이를 작게 하고 스크린을 넓게 형성할 수 있는 점에서 브라운관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보다도 대형화가 용이하기 때문에, 홈시어터에서의 영상 장치로서 많이 이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도24의 구성과 달리, 제1 평면 미러(101)를 설치하지 않고, 투사 렌즈로부터 제2 평면 미러(105)에 투사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캐비닛으로서,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2의 종래예에는 도25 및 도26에 도시하는 캐비닛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도25에 도시한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목제의 판재가 사용되고, 이 판재를 상자형으로 형성하여 본체부(102)를 구성하고, 이 본체부(102)의 전방면측에 스크린(103)이 설치된 스크린 설치부(104)를 설치하고, 배면측에 평면 미러(105)가 장비된 미러 설치부(106)를 설치하고, 또한 본체부(102)의 하부에는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영상 기기나 이를 구동하기 위한 전자 부품 등이 구비된 하부 캐비닛(107)이 설치되고, 이 하부 캐비닛(107)과 본체부(102)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26에 도시한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하부 캐비닛(107) 상에 소정 형상의 금속제의 프레임(108)을 기립 상태로 형성하고, 이 프레임(108)을 전후로부터 감싸도록 스크린(103)을 갖는 스크린 설치부(104)와 평면 미 러(105)를 갖는 미러 설치부(106)가 일체로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프레임(108)은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철제의 각진 파이프나, 철판 등의 다수의 부품을 조합 용접이나 나사 등으로 프레임 구조에 조립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1-84533호 공보(도1)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9-98360호 공보(단락 [0002], [0003], 도10, 도11)
그러나, 도25에 도시하는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캐비닛에서는 스크린 설치부(104)와 미러 설치부(106)가 목제의 판재를 상자형으로 형성한 본체부(102)에 설치되므로, 본체부(102)의 보강이 불가결이다. 즉, 본체부(102)가 경시적으로 변화되어 어긋나면, 프로젝터 본체(100)로부터 투사되는 광의 경로가 어긋나고, 스크린(103)에 있어서의 영상에 흐림이나 왜곡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본체부(102)에 충분한 강성을 갖게 하는 것이 필요해지고, 보강 구조를 취하기 위해 본체부(102) 자체가 무거워져 설치 장소를 용이하게 변경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26에 도시하는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캐비닛에서는 스크린 설치부(104)와 미러 설치부(106)가 철 등의 금속제의 각진 파이프 등으로 제작된 프레임 구조의 프레임(108)에 설치되므로, 조립 부착 후의 왜곡 발생의 우려는 적지만, 프레임 자체의 중량이 커지고, 또한 하부의 하부 캐비닛(107)에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영상 기기가 수납되므로, 프로젝터 본체(100)(도24)의 광로가 경시적 으로 변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비추어 충분한 강성과 정밀도를 갖는 프레임 구조를 구비한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캐비닛의 정면에 설치되는 스크린과,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고 미러,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 기기 및 투사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 유닛 및 광원과, 영상 기기의 구동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캐비닛 또는 스크린을 보유 지지하는 구조체를 금속 압출 가공재에 의해 형성되는 프레임과 판금재에 의한 보강체로 구성하고, 프레임은 바닥면을 이루는 하부 프레임과, 이 하부 프레임의 캐비닛의 정면측의 양단부에 세워 설치되는 좌우 사이드 프레임과, 이 좌우 사이드 프레임의 상단부에 가설되는 상부 프레임을 갖고, 보강체는 하부 프레임의 바닥면과 우측 또는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를 접속하는 프레임 지지체를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캐비닛의 골격이 하부 프레임과 좌우 사이드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좌우 사이드 프레임을, 예를 들어 비스듬히 경사 방향으로부터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프레임은 압출재에 의해 각각의 부위에 맞춘 소정 형상을 고정밀도로 균일 단면에 제작되고, 또한 압출 가공에 의한 재료의 경화에 의해 두께 감소와 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지지체에 의해 캐비닛의 골격을 견고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예를 도1 내지 도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예의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2는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3은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예에 있어서는, 이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표시 화면을, 예를 들어 50 인치로 하고, 이 안길이를, 예를 들어 30 ㎝로 얇게 제작하고 있다.
도1 내지 도3에서 부호 1은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하고,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1)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 프로젝션에 의한 스크린(3)을 전방면에 구비한 디스플레이 유닛(2)에 대해, 전방면측으로부터 외측 프레임(4)과 커버 프레임(6), 배면측으로부터 리어 커버(5)가 설치된다. 여기서, 외측 프레임(4)과 커버 프레임(6)과, 리어 커버(5)가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캐비닛(외부 상자)을 구성하고 있다.
스크린(3)은 표면이 무광택 처리되고 이면에 렌티큘러 시트가 돌출 부착된 전방면측 투명 유리 플레이트와, 배면측에 프레넬 렌즈 시트가 돌출 부착된 배면측 투명 유리 플레이트가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도록 제작된 것이다.
그리고,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면측의 스크린(3) 주위에 직사각형 프레임형의 커버 프레임(6)이 배치되고, 또한 그 주위에 가로로 긴 직사각형 프레임형의 외측 프레임(4)이 배치되고, 배면측에 리어 커버(5)가 디스플레이 유닛(2)을 덮도록 설치된다(도2 참조). 또한, 도1에서 부호 7은 디스플레이 유닛(2)의 전방 면 하측에 설치되는 다리부 커버이다.
또한,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1)의 배면측에 설치되는 리어 커버(5)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미러 조정부 덮개(5a)가 설치되는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전기 회로 유닛을 수납하는 상자형 오목부의 커버(5b)와, 디스플레이 유닛(2)의 램프 하우스(58) 내에 설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램프를 냉각하는 공랭 팬 유닛(57)에 대응하는 위치에 공랭 팬 커버(5c)가 설치된다(도5 참조). 여기서, 미러 조정부 덮개(5a)는 후술하는 투영 미러(30)의 조정 시에 개방하여 후술하는 미러 보유 지지 플레이트(34)를 노출시키는 것이다.
또한, 외측 프레임(4)과 리어 커버(5)의 좌우 사이에 형성되는 세로로 긴 영역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면측에 화장 패널을 일체로 설치한 스피커 유닛(8, 8)이 설치된다.
다음에, 도3에 도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2)을, 도4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는 디스플레이 유닛(2)을 전방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5는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6은 배면측에서 본 디스플레이 유닛(2)의 프레임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디스플레이 유닛(2)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측에 배치되는 가로로 긴 하부 프레임(11)과, 이 하부 프레임(11)의 좌우에 세워 설치되는 좌우 사이드 프레임(12, 13)과 이들 사이드 프레임(12, 13)의 상단부측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14)에 의해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 프레임에 스크린(3)이 설치되고, 빠지지 않도 록 스크린(3)의 외주를 4개의 스크린 압박부(9a, 9b, 9c, 9d)로 압박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4에서 미러 베어링(2a, 2b)은 후술하는 투영 미러(30)에 설치되는 축 피스(38)의 샤프트(38a)에 결합하는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2)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11)의 배면측에 램프 하우스(58)와 공랭 팬 유닛(57)을 포함하고, 램프의 광을 광의 삼원색인 R(적), G(녹), B(청)로 분해하여 도시하지 않은 3개의 액정 패널을 거쳐서 3색의 영상을 생성하고, 투영창(51)으로부터 투사하는 광학 유닛(50)이 설치된다. 3개의 액정 패널로서는, 본 예에 있어서는 반사형의 액정 화상 표시 패널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도5에서 부호 55는 광학 유닛(50)에 내장되는 3개의 액정 패널의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투영 제어 회로 기판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2)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배면측에서 좌측 사이드 프레임(12)과 하부 프레임(11) 사이에 좌측 프레임 지지체(16)와, 우측 사이드 프레임(13)과, 하부 프레임(11) 사이에 우측 프레임 지지체(15)가 설치되고, 또한 좌우 사이드 프레임(12, 13)과 하부 프레임(11) 사이에 광학 유닛(50)으로부터 누설된 광의 스크린(3)으로의 영향 회피와 보강을 겸한 차광판(18)이 설치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유닛(2)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사이드 프레임(12, 13)의 상단부에 구부림 가공된 판금에 의한 미러 지지체(17)가 설치된다. 이 미러 지지체(17)는 그 상면에서 본 구부림 형상이 상부 프레임(14)에 의해 다이 형상의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14)과 미러 지지체(17)의 대략 중앙에 다리형으로 미러 고정판(19)이 설치된다(도6). 또한, 이 미 러 고정판(19)에 후술하는 미러 보유 지지 플레이트(34)가 결합하고 도7에 도시하는 투영 미러(30)가 위치 결정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디스플레이 유닛(2)의 스크린(3)으로의 투영 원리를 설명한다.
도8은 광학 유닛(50) 주위에서의 도5에 도시하는 투영창(51)의 중심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상술한 3개의 액정 패널에 의해 형성된 R, G, B의 광의 영상은 합성된 후, 도8에 도시하는 종이면의 전방으로부터 내측의 평면 미러(52)를 향해 투사되고, 이 평면 미러(52)로 광로를 대략 90°구부려서 볼록면 미러(53)에 입사한다. 그리고, 광로 전체를 도시하는 도9와 같이 이 볼록면 미러(53)로 반사된 영상을 수반하는 광은 배구면 미러(54)로 더 반사되어 투영창(51)을 투과하고, 투영 미러(30)의 평면 미러(31)로 반사되어 전방면측의 스크린(3)에 투영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예의 디스플레이 유닛(2)에서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2)의 높이와, 전방면의 스크린(3)으로부터 광학 유닛(50) 내의 평면 미러(52)까지의 안길이 거리와의 비가 10 : 3 정도로, 안길이에 비해 높이가 크고 평면 미러(52)로의 투영 방향과 수평 방향이 이루는 각이 종래의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매우 크다.
이로 인해, 도6에 도시하는 프레임 구조체의 약간의 변형이 스크린(3) 상에 투영된 영상의 왜곡이나 흐림을 생기게 하므로, 본 예의 디스플레이 유닛(2)에서는 경시적으로 변화되기 어렵고 높은 위치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는 프레임 구조체로 하는 동시에, 예를 들어 운반 등의 이동 후에도 용이하게 투영 미러(30)의 각도 미세 조정을 행할 수 있는 것이 필수가 된다.
이하, 본 예의 디스플레이 유닛(2)의 프레임 구조와 미러의 설치 및 조정을 위한 구조를 순서에 따라서 설명한다.
처음에, 본 예의 디스플레이 유닛(2)에서의 프레임 구조체를 도1, 도4, 도6, 도10 내지 도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0은 도6에 도시하는 프레임 구조체 중, 하부 프레임(11)과 좌우 사이드 프레임(12, 13)과 상부 프레임(14)을 일부 생략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11a 내지 도11d는 프레임의 단면 형상을 도시하고, 도11a는 상부 프레임(14), 도11b는 우측 사이드 프레임(13), 도11c는 좌측 사이드 프레임(12), 도11d는 하부 프레임(11)의 단면도이다.
이들 프레임(11, 12, 13, 14)은 알루미늄 등의 합금을 단면 형상이, 도10 및 도11a 내지 도1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균일해지도록 금형으로부터 압출하여 막대형 혹은 판자형으로 형성한 것이고, 여기서 좌우 사이드 프레임(12, 13)은 동일한 금형에 의한 압출재이다.
하부 프레임(11)은, 도1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L자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측에 구획벽에 의해 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인 4개의 공간 영역(A 내지 D)을 마련하고, 대략 L자의 수직 상승면에 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인 1개의 공간 영역(E)을 마련한다. 그리고, 도11d에 도시하는 4군데에 후술하는 고정 나사(10a)용의 내면이 대략 원통면을 이루는 나사 삽입 통과 홈(11a, 11b, 11c, 11d)을 일체로 마련한다. 또한, 하부 프레임(11)의 도11d에 도시하는 공간 영역(E)의 상부의 면(11-1)에 판형 돌기(11e)가 종이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면(11-1)과 판형 돌기(11e)의 면(11-2)에 스크린(3)이 적재된다.
또한, 하부 프레임(11)의 단면의 구획벽에는 두꺼운부(11h, 11i)가 형성되고, 또한 하부 프레임(11)의 도11d에 도시하는 좌측에 판형부(11f)가 연장 설치된다. 또한, 이 두꺼운부(11h, 11i)에는 사이드 프레임(12, 13)을 위치 결정하기 위한 후술하는 스프링 핀(10b)이 세워 설치되고, 판형부(11f)는 다리부를 이루는 것으로 도1에 도시하는 다리부 커버(7)에 의해 덮이게 된다.
좌측 사이드 프레임(12)은, 도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인 통의 대략 중앙에 구획벽에 의해 2개의 공간 영역(F, G)을 마련하고, 영역(F)의 측에 오목이 되는 홈(12b)을 형성하고, 영역(G)의 외벽에 내면이 대략 원통면을 이루는 홈(12b)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사이드 프레임(12)의 상부에 2개의 고정 나사(10a)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과 2개의 스프링 핀(10b)의 삽입 통과 구멍이 마련되고, 하부에 3개의 고정 나사(10a)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과 2개의 스프링 핀(10b)의 삽입 통과 구멍이 마련된다.
여기서, 좌측 사이드 프레임(12)의 상부에 설치되는 2개의 고정 나사(10a)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은 후술하는 상부 프레임(14)의 나사 삽입 통과 홈(14b, 14c)에 대응하는 위치에, 또한 2개의 스프링 핀(10b)의 삽입 통과 구멍은 후술하는 상부 프레임(14)의 두꺼운부(14d, 14e)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도11a 참조).
또한, 하부에 마련되는 3개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은 하부 프레임(11)의 나 사 삽입 통과 홈(11b, 11c, 11d)과 대응하는 위치에, 또한 2개의 스프링 핀(10b)의 삽입 통과 구멍은 하부 프레임(11)의 두꺼운부(11h, 11i)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도11d 참조).
마찬가지로, 우측 사이드 프레임(13)도 도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인 통의 대략 중앙에 구획벽에 의해 2개의 공간 영역(F', G')을 마련하고, 영역(F')의 측에 오목이 되는 홈(13a)을 형성하고, 영역(G')의 외측에 홈(13b)을 형성한다. 그리고, 총 5개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과 총 4개의 스프링 핀의 삽입 통과 구멍이 소정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좌우 사이드 프레임(12, 13)의 홈(12a, 13a)은 상술한 도4에 도시하는 좌우 스크린 압박부(9b, 9c)의 길이 방향의 1변에 설치되는 절곡부가 장착되고, 홈(12b, 13b)은 유연한 발포성 수지 폼에 의한 밀봉재를 장착하기 위해 이용된다(도15 참조).
상부 프레임(14)은, 도10 및 도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역L자형으로 형성되고, 대략 수평으로 보유 지지되는 측의 하면의 2군데에 내면이 대략 원통면을 이루는 고정 나사(10a)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14b, 14c)을 일체로 마련한다. 또한, 상부 프레임(14)의 도11a에 도시하는 좌측의 수직 하강면(14-1)의 하측에 이 수직 하강면(14-1)과 직교하도록 면(1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면(14-2)에 대해 직교하는 면(14-3)을 갖는 단면이 대략 역삼각형인 돌기(14f)가 종이면에 수직 방향에 형성되고, 돌기(14f)의 면(14-3)에 접촉하도록 스크린(3)이 배치된다.
또한, 상부 프레임(14)에는 두꺼운부(14d, 14e)가 형성되고, 상부 프레임(14)의 도11a에 도시하는 돌기(14f)의 상측에 원통면 오목홈(14a)이 형성된다. 또한, 원통면 오목홈(14a)은 투영 미러(30)의 회전의 미끄럼 이동면이 되고, 두꺼운부(14d, 14e)에는 사이드 프레임(12, 13)을 위치 결정하기 위한 스프링 핀(10b)이 세워 설치된다. 또한, 상부 프레임(14)에는 밀봉 장착 홈(14g)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레임(11, 12, 13, 14)은, 우선 도10에 도시하는 하부 프레임(11)의 단부 측면부에 마련된 나사 삽입 통과 홈(11b, 11c, 11d)에 좌우 사이드 프레임(12, 13)의 하부에 마련된 각각 3개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을 거쳐서 고정 나사(10a)를 나사 삽입하고, 하부 프레임(11)과 좌우 사이드 프레임(12, 13)을 임시 고정한다(도12 참조). 그리고, 상부 프레임(14)의 단부 측면부에 마련된 나사 삽입 통과 홈(14b, 14c)에 좌우 사이드 프레임(12, 13)의 상부에 마련된 각각 2개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을 거쳐서 고정 나사(10a)를 나사 삽입하고, 상부 프레임(14)을 좌우 사이드 프레임(12, 13)에 임시 고정한다(도13 참조).
그리고,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11)과 우측 사이드 프레임(13) 사이에 비스듬히 우측 프레임 지지체(15)를 고정 나사(10a)로 임시 고정하고, 하부 프레임(11)과 좌측 사이드 프레임(12) 사이에 좌측 프레임 지지체(16)를 고정 나사(10a)로 임시 고정한다(도14 참조).
여기서, 우측 프레임 지지체(15)와 좌측 프레임 지지체(16)는 디스플레이 유닛(2)의 상측에서 볼 때 상부 프레임(14)에 대해, 예를 들어 대략 45°를 이루도록 하부 프레임(11)과의 사이에서 비스듬히 설치되고, 본고정 후에, 도5에 도시하는 x 방향의 변형력과 y방향의 변형력에 대한 강성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스크린(3)이 설치되고, 프레임(11, 12, 13, 14)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직사각형의 스크린 프레임이 형성되고, 이 스크린 프레임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좌우 프레임 지지체(15, 16)에 의한 프레임 구조체가 형성된다.
또한, 도12에서 다리부 플레이트(25)는 하부 프레임(11)의 판형부(11f)의 하부에 설치되고, 도1에 도시하는 다리부 커버(7)를 설치하기 위해 설치되는 판금이다.
이와 같이 임시 고정된, 프레임(11, 12, 13, 14)과 좌우 프레임 지지체(15, 16)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구조체의 스크린 프레임은,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조립 지그 등에 의해 하부 프레임(11)의 도6에 도시하는 면(11-3)에 대해 좌우 사이드 프레임(12, 13)이 수직이고, 하부 프레임(11)의 도11d에 도시하는 면(11-2)과, 좌측 사이드 프레임(12)의 도11b에 도시하는 면(12-1)과, 우측 사이드 프레임(13)의 도11c에 도시하는 면(13-1)과, 상부 프레임(14)의 도11a에 도시하는 면(14-1)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고정 나사(10a)로 본고정한다.
그리고, 이 본고정 상태를 고정 나사(10a)의 헐거움이 생겨도 유지할 수 있도록 좌우 사이드 프레임(12, 13)의 각각의 상하측에 마련된 총 4개의 스프링 핀(10b)의 삽입 통과 구멍의 측으로부터 드릴 등으로 하부 프레임(11)의 두꺼운부(11h, 11i)와 상부 프레임(14)의 두꺼운부(14d, 14e)에 본래의 삽입 통과 구멍보다 큰 구멍을 천공한다.
그리고, 이 두꺼운부(11h, 11i, 14d, 14e)의 구멍에 세워 설치한 스프링 핀(10b)에 의해 좌우 사이드 프레임(12, 13)에 대해 하부 프레임(11)과 상부 프레임(14)이 헐거움 없이 위치 결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스프링 핀(10b)을 세워 설치하는 구멍의 천공 시, 드릴의 직경은 본래의 스프링 핀 삽입 통과 구멍보다 큰 것을 이용하여, 가공 후의 스프링 핀(10b)의 삽입 통과 구멍의 구멍 직경과 두꺼운부(11h, 11i, 14d, 14e)의 구멍 직경이 동일해지도록 하고, 이 구멍에 세워 설치한 스프링 핀(10b)과 좌우 사이드 프레임(12, 13)에 덜걱거림이 없도록 한다.
그리고, 좌우 프레임 지지체(15, 16)에 대해서는 프레임 전체에 대해 큰 힘이 가해져도 약간의 변형에 그칠 수 있도록 도14에 도시하는 리벳(10c) 등에 의해 고정하여 보강한다. 여기서, 좌우 프레임 지지체(15, 16)의 보강을 나사로 행하지 않는 것은 좌우 프레임 지지체(15, 16)의 고정이 압출재에 의한 좌우 사이드 프레임(12, 13)과 하부 프레임(11)의 비교적 얇은 측벽면에 대해 행해지므로, 큰 변형력에 비해 충분한 나사에 의한 체결 강도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프레임(11, 12, 13, 14)으로 이루어지는 스크린 프레임의 하부에, 도6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으로의 누설된 광을 차광하고, 스크린 프레임의 도시한 화살표 방향의 변형을 억제하는 보강판을 겸하는 차광판(18)을 설치한다. 여기서, 차광판(18)은 비교적 얇은 판금으로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원 오목부가 복수 형성되고, 상하에는 되접은 구부림 가공이 실시된다.
또한, 좌우 사이드 프레임(12, 13)의 상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러 지지체(17)가 고정되고, 상부 프레임(14)과의 사이에 미러 고정판(19)이 설치된다.
이상에서 본 예의 디스플레이 유닛(2)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조체가 조립되고,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충 시트(3a)가 주연에 설치된 스크린(3)이 좌우 사이드 프레임(12, 13)과 스크린 압박부(9b)로 끼움 지지 및 고정된다.
다음에, 프레임측의 투영 미러(30)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를 도16 내지 도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미러 고정판(19)은 분해 사시도인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 등의 판금의 구부림 가공에 의해 대략 선대칭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이고, 직사각형의 일단부측의 횡단면이 역ㄷ자형을 이루고, 직사각형의 중앙부에 대해서는 횡단면이 역ㄷ자인 단부 모서리에 절곡부를 설치한 형상을 이루도록 구부림 가공된다. 또한, 미러 고정판(19)의 타단부측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개방 구멍(19c)이 마련되고,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 가공된다.
그리고, 직사각형의 일단부측에 상부 프레임(14)과 고정하기 위한 3개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19a)을 마련하고, 대략 중앙에서 직사각형의 길이 방향의 중심선 상에 비교적 큰 폭의 슬릿 구멍(19b)과, 긴 구멍(19f)과, 나사 구멍(19g)을 마련하고,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슬릿 구멍(19d)의 양측에 2개의 슬릿 구멍(19e)을 마련하고, 타단부측의 구부림 가공부에 미러 지지체(17)와 고정하기 위한 6개의 나사 구멍(19b)을 마련한다.
도16에서 부호 20은 스테인리스강 등의 탄성을 갖는 판금의 구부림 가공으로 제작되는 임시 지지체를 나타내고, 이 임시 지지체(20)에는 결합 갈고리(20a)와, 큰 구멍(20b)과 작은 구멍(20c)과 2개의 되접힘부(20d)가 설치된다. 여기서, 2개 의 되접힘부(20d)는 미러 고정판(19)의 2개의 슬릿 구멍(19e)의 삽입 부착 가능한 크기로 제작되고, 되접힘부(20d)의 삽입 부착 상태이고, 큰 구멍(20b)이 긴 구멍(19f)과, 작은 구멍(20c)이 나사 구멍(19g)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큰 구멍(20b)의 직경은 후술하는 조정 나사(21)가 미러 고정판(19)의 긴 구멍(19f) 내에서 이동해도 조정 나사(21)의 플랜지부(21a)와 간섭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고, 작은 구멍(20c)은 고정 나사(23)의 나사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도16에서 부호 21은 조정 나사를 나타내고, 이 조정 나사(21)는, 예를 들어 육각 구멍 볼트의 나사 머리부에 원형의 플랜지부(21a)가 일체로 형성된 형상을 이루고, 플랜지부(21a)의 직경과 두께가, 임시 지지체(20)의 큰 구멍(20b)의 직경보다 작고, 임시 지지체(20)의 판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이 조정 나사(21)는 가는 나사가 되고, 그 나사 피치는, 예를 들어 0.2 ㎜가 된다.
또한, 도16에서 부호 22는 임시 지지체(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플레이트를 나타내고, 이 고정 플레이트(22)에는 대소 2개의 구멍(22a, 22b)과 일단부에 종단면이 대략 Z자형이 되는 절곡부(22c)가 형성된다. 그리고, 대소의 구멍(22a, 22b)은 임시 지지체(20)의 대소 구멍(20b, 20c)과 대응하는 위치이고, 큰 구멍(22a)은 조정 나사(21)의 머리부의 직경보다 크고, 작은 구멍(22b)은 고정 나사(23)의 나사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미러 고정판(19)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4)과 미러 지지체(17)의 대략 중앙에 다리형으로 설치된다(도6). 그리고, 미러 고정판(19)은,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19a)이 마련된 측 이 하방으로부터 나사 삽입된 3개의 고정 나사(29)에 의해 상부 프레임(14)과 고정되고, 개방 구멍(19c)과 6개의 나사 구멍(19b)이 마련된 측이 미러 지지체(17)와 6개의 나사(32)로 고정된다.
이에 의해, 미러 고정판(19)은 상부 프레임(14)과 미러 지지체(17)에 대해 고정되는 동시에, 판금의 절곡 가공에 의한 미러 지지체(17)의 변형을 억제하는 보강 부재의 역할도 담당하는 것이 된다.
그런데, 상술한 임시 지지체(20), 조정 나사(21), 고정 플레이트(22), 고정 나사(23)는 투영 미러(30)를 상부 프레임(14)과 미러 지지체(17)에 조립할 때에 소정의 순서로 이용된다. 여기서, 미러 고정판(19)으로의 각 부품의 조립 상태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즉,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임시 지지체(20)의 되접힘부(20d, 20d)를 미러 고정판(19)의 슬릿 구멍(19e, 19e)에 삽입 부착한 후 조정 나사(21)를 긴 구멍(19f)에 삽입 통과시킨다. 이때, 조정 나사(21)의 플랜지부(21a)는 임시 지지체(20)의 큰 구멍(20b) 내에서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다음에, 고정 플레이트(22)의 절곡부(22c)를, 그 절곡부가 미러 고정판(19)의 슬릿 구멍(19d)에 걸리도록 장착한 후 고정 나사(23)를 구멍(22b, 20c)에 삽입 통과하여 미러 고정판(19)의 나사 구멍(19g)에 나사 삽입하고, 조정 나사(21)의 플랜지부(21a)를 고정 플레이트(22)로 압박하여 조정 나사(21)가 헐겁지 않도록 고정한다.
다음에, 투영 미러(30)를, 도5, 도7a 및 도7b, 도17 내지 도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7a는 투영 미러(30)를 상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7b는 투영 미러(30)를 반전하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17은 미러 보유 지지 플레이트(34)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18은 도7에 도시하는 투영 미러의 상부 프레임으로의 장착 직전의 상태, 도19는 투영 미러의 설치 상태에서 투영 미러(30)의 중심축에서 단면한 단면도이다. 도20은 도7a에 도시하는 투영 미러(30)를 중심축에서 단면한 단면도이다. 도21a는 좌측 지지체 피스의 상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21b는 좌측 지지체 피스를 반전하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21c는 압박 피스, 도21d는 축 피스의 사시도이다.
투영 미러(30)는, 도7a 및 도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면(31-1)을 갖는 유리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평면 미러(31)와, 장단 2개의 보유 지지 프레임(32, 33)과, 미러 보유 지지 플레이트(34)와, 좌우 지지체 피스(35, 36)와, 4개의 압박 피스(37) 및 3개의 축 피스(38, 38, 39), 띠형의 미러 보호 시트(32a, 33a)(도20 참조) 등으로 구성된다.
평면 미러(31)는, 도7a 및 도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립형 직사각형의 대향하는 2개의 긴 변 중 한 변이고, 이 하나의 긴 변의 2개의 짧은 변측의 2개의 구석부에 직각 삼각형 절결부를 마련한 형상을 갖는 유리 플레이트이고, 이 유리 플레이트의 한쪽 면에 반사막이 형성된다. 여기서, 반사막은 유리 플레이트에 대해,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증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긴 보유 지지 프레임(32)은, 도20의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역ㄷ자형을 이루고, 홈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 등에 의한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프레 임이고, 길이가 평면 미러(31)의 긴 변과 대략 동일하고, 홈 폭이 평면 미러(31)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소정 위치에 도시하지 않은 나사 구멍이 마련된다.
또한, 짧은 보유 지지 프레임(33)은 알루미늄 합금 등에 의한 압출재로 이루어지고, 도20의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y자형을 이루고 대소 2개의 홈(33a, 33b)을 갖는 프레임이고, 길이가 평면 미러(31)의 긴 변에 대향하는 절결부측의 변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고, 큰 홈(33a)의 홈 폭이 평면 미러(31)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소정 위치에 도시하지 않은 나사 구멍이 마련된다. 또한, 작은 홈(33b)의 2개의 측벽(33-1, 33-2)은 보유 지지 프레임(33)의 강성을 크게 하여 변형되기 어렵게 하기 위한 보강 리브로서 형성된다.
미러 보유 지지 플레이트(34)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보유 지지 프레임(32, 33)을 그 대략 중앙에서 고정하는 것이다. 이 미러 보유 지지 플레이트(34)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대칭의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요철 형상을 갖는 복잡한 형상이고,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얇은 구조를 갖기 때문에, 다이캐스트법에 의한 알루미늄 합금 등의 주물로 성형한 후, 그 소정 부위를 최종 마무리 가공하여 제작된다.
미러 보유 지지 플레이트(34)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2개의 가늘고 긴 상자를 옆으로 나란히 하여 평행으로 늘어 세우고, 이 2개의 상자의 상부 모서리부에 대해 안길이가 상자의 긴 변보다 크게 형성되고, 폭이 옆으로 나란한 2개의 상자의 상부 모서리부에서의 최외폭과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그 상측에 면(34-4)을 이루는 평판을 일체로 설치하고, 2개의 상자의 바닥면을 노 출시키도록 한다. 이때, 면(34-4)의 도17에 도시하는 내측에 돌출부(34p)와, 전방측에 평면부(34o, 34o)를 형성한다.
그리고, 미러 보유 지지 플레이트(34)는 도17에 도시하는 전방측 절반의 외주 모서리가 상방으로 더 연장 설치되어 측벽이 형성되고, 면(34-4)의 2개의 상자 사이의 영역(S)으로 이어지는 도17에 도시하는 전방측에 경사면(34-3)이 형성된 형상이 된다.
미러 보유 지지 플레이트(34)의 상면측에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선 상에서 경사면(34-3) 상에 설치되는 대략 원통형의 스프링 가이드(34d)와, 이 스프링 가이드(34d)의 원통형부의 중심축에 대해 마련되는 나사 구멍(34e)과,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개방 구멍(34h)과, 그 결합부(34f)가 배치된다. 또한, 선대칭의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도17에 도시하는 돌출부(34p)에는 단면이 삼각형을 이루는 보강 돌기부(34g)가 마련되고, 스프링 가이드(34d)를 사이에 두고 양 측면의 상측에 대략 직사각형이고 블레이드형의 손잡이(34c, 34c)가 설치된다.
여기서, 스프링 가이드(34d)의 중심축은,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 미러(31)에 대해 약간 경사져 설치되고, 이때 경사각은 중심축이 도19에 도시하는 투영 미러(30)의 설치 상태에서 미러 고정부(19)의 상면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각도로 설정된다. 또한, 개방 구멍(34h)은 상술한 임시 지지체(20)의 결합 갈고리(20a)가 자유자재로 삽입 발출할 수 있는 폭이 되고, 피결합부(34f)는 결합 갈고리(20a)가 도19에 도시하는 장입 상태로 하는 과정에서 결합 갈고리(20a)의 선단부와 접촉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미러 보유 지지 플레이트(34)의 도17에 도시하는 돌출부(34p)는 그 하면(34-2)이 평면 마무리 가공되고, 나사 삽입 통과 구멍(34b, 34b)이 마련된다. 또한, 미러 보유 지지 플레이트(34)의 피결합부(34f)와, 평면부(34o, 34o)가 형성되는 측은, 평면부(34o, 34o)의 하면(34-1)이 평면 마무리 가공되고, 나사 삽입 통과 구멍(34a, 34a)이 마련된다.
또한, 하면(34-2)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32)이 고정되고, 하면(34-1)을 기준으로 하여 상술한 보유 지지 프레임(33)이 고정된다.
서로 대칭 형상을 이루는 좌우 지지체 피스(35, 36)는, 도7a 및 도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보유 지지 프레임(32)의 좌우 단부에 설치되고, 평면 미러(31)가 보유 지지 프레임(32)의 홈으로부터 빠져 떨어지지 않도록 보유 지지하는 것이다.
지지체 피스를, 좌측 지지체 피스(35)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좌측 지지체 피스(35)는, 도2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성형에 의해 상면(35-1)에 보강 리브(35f)가 복수 형성되고, 도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35-2)이 대략 평탄해지고, 이 면(35-2)에 대해 측벽(35a)이 세워 설치되고, 측벽(35a)으로부터 면(35-2)으로 평행하게 직사각형 부재(35c)가 더 돌출 설치된다. 또한, 나사 삽입 통과 구멍(35b, 35b)이 마련되는 대략 직사각형 부재(35d, 35d)와, 직사각형 부재(35c)의 도21b에 도시하는 상측의 면이 면(35-2)에 대해 단차를 갖도록 돌출 설치된다.
그리고, 이 도21b에 도시하는 면(35-2)의 측이 상술한 평면 미러(31)의 유리 면(31-2)측과 소정의 간극을 갖고 대향하도록 보유 지지된다.
압박 피스(37)는, 도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 프레임(32, 33)의 각각에 2개씩 설치되는 것으로, 평면 미러(31)가 보유 지지 프레임(32, 33)의 홈 내에서 큰 덜걱거림이 생기지 않고 보유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압박 피스(37)는, 도2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수지 등에 의해 복수의 리브를 설치하여 경량이고 비교적 변형되기 어려운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압박 피스(37)의 도21c에 도시하는 전방의 대략 삼각형의 보강 리브(37b)가 설치되는 측의 하면(37-1)과, 나사 삽입 통과 구멍(37c)과 삼각형의 보강 돌기부(37a)가 마련되는 내측의 하면(37-2)이 단차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 단차는, 도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 피스(37)가 보유 지지 프레임(32, 33)에 나사 고정되었을 때에, 도7a에 도시하는 상측에 노출되는 평면 미러(31)의 유리면(31-2)과, 면(37-1)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생기는 수치로 형성된다.
축 피스(38, 38, 39)는, 도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영 미러(30)의 평면 미러(31)의 반사면(31-1)측의 보유 지지 프레임(32)에 설치되고, 보유 지지 프레임(32)의 대략 중앙에 축 피스(39), 양단부에 축 피스(38, 38)가 설치된다.
축 피스(38, 39)는, 도2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반원 기둥 형상을 이루고 원기둥 측면부에 3개의 스폿 페이싱 붙이 나사 삽입 통과 구멍(38b)이 마련된다. 그리고, 축 피스(38)에서는 프레임의 일단부측에서 반원의 중심에 가늘고 긴 샤프트(38a)가 돌출 설치된다(도21d).
이와 같이 구성된 투영 미러(30)는, 우선 보유 지지 프레임(32)에 도7b에 도 시하는 축 피스(38, 38, 39)와 좌측 지지체 피스(35)를 나사 고정한 것 중, 이 보유 지지 프레임(32)을 미러 보유 지지 플레이트(34)에 나사 고정한다. 이때, 미러 보유 지지 플레이트(34)의 중심선과 보유 지지 프레임(32)의 길이 방향이 직교하도록 고정한다.
다음에, 평면 미러(31)의 긴 변의 단부 모서리에 미러 보호 시트(32a)(도20)를 배치한 상태에서 보유 지지 프레임(32)의 역ㄷ자 홈에 평면 미러(31)를 끼워 넣는 동시에, 좌측 지지체 피스(35)에 평면 미러(31)의 짧은 변측의 일단부를 접촉시킨다. 이때, 미러 보유 지지 플레이트(34)의 측에 유리면(31-2)을 배치하도록 한다.
다음에, 긴 변과 평행한 변의 단부 모서리에 미러 보호 시트(33a)(도20)를 배치한 상태의 평면 미러(31)에 보유 지지 프레임(32)의 홈 폭이 큰 쪽의 홈을 끼워 넣고, 이 보유 지지 프레임(32)과 미러 보유 지지 플레이트(34)를 나사로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우측 지지체 피스(36)를, 평면 미러(31)의 짧은 변측의 타단부를 접촉시키도록 하고, 우측 지지체 피스(36)를 보유 지지 프레임(32)에 나사로 고정한다.
이에 의해, 도7a 및 도7b에 도시하는 투영 미러(30)가 조립된다.
다음에, 이 도7a 및 도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된 투영 미러(30)의 프레임 구조체로의 조립 부착을 순서에 따라서 설명한다.
우선, 투영 미러(30)의 상부 프레임(14)으로의 설치 수단을 설명한다.
처음에, 도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영 미러(30)의 미러 보유 지지 플레이트(34)의 측을 위로 하고, 긴 보유 지지 프레임(32)의 측을 전방을 향하게 하여 미러 보유 지지 플레이트(34)의 2개의 손잡이(34c)를 손으로 파지한다.
그리고, 미러 보유 지지 플레이트(34)를 파지한 상태에서, 도18에 도시하는 화살표와 같이, 우선 화살표 A의 경사 상방에 투영 미러(30)를 들어올려 전진시키고, 전방에 배치되는 긴 보유 지지 플레이트(32)의 아래에 설치되는 축 피스(38, 38, 39)가 상부 프레임(14)의 수직 하강면(14-1) 이측의 두꺼운부(14c)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한다. 다음에, 투영 미러(30)를 화살표 A의 방향으로 더 이동시켜 축 피스(38, 38, 39)를 두꺼운부(14e)의 상면부를 넘어가게 하고, 그 중 화살표 B와 같이 하강시켜 축 피스(38, 38, 39)를 상부 프레임(14)의 원통면 오목홈(14a)에 장착한다.
이에 의해, 투영 미러(30)는 평면 미러(31)의 반사면(31-1)이 하방을 향하게 되고, 또한 그 보유 지지 프레임(32)의 측이 상부 프레임(1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게 된다.
다음에, 투영 미러(30)의 미러 고정판(19)으로의 설치와 이때의 위치 조정에 대해, 도6, 도16, 도19, 도22, 도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미러 고정판(19)에 일부 파단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의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시 지지체(20)(도16 참조)를 적재한다. 그리고, 투영 미러(30)의 보유 지지 프레임(32)측을 상부 프레임(14)의 원통면 오목홈(14a)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 도2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미러 보유 지지 플레이트(34)의 스프링 가 이드(34d)에 압축 코일 스프링(40)을 장착한다.
다음에, 손잡이(34c, 34c)를 보유 지지하면서 투영 미러(30)를 회전하고, 미러 보유 지지 플레이트(34)의 대략 직사각형의 개방 구멍(34h)에 임시 지지체(20)의 결합 갈고리(20a)를 삽입하도록 한다(도19 참조). 이때, 미러 보유 지지 플레이트(34)의 피결합부(341)가 임시 지지체(20)의 결합 갈고리(20a)로 걸리므로, 미러 보유 지지 플레이트(34)의 손잡이(34c, 34c)로부터 손을 떼어도 투영 미러(30)가 소정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다음에, 조정 나사(21)를 임시 지지체(20)의 구멍(20b)과 미러 고정판(19)의 긴 구멍(19f)을 삽입 통과하여 미러 보유 지지 플레이트(34)의 스프링 가이드(34d)에 마련되는 나사 구멍(34e)에 나사 삽입한다(도16, 도19, 도22 참조).
다음에, 예를 들어 임시 지지체(20)의 결합 갈고리(20a)에 마련된 눈금을 목표로 하면서 조정 나사(21)의 나사 삽입량을 초기의 개략 위치로 조정한다(도19, 도23 참조). 이 나사 삽입량의 조정에서는 투영 미러(30)의 상부 프레임(14)의 원통면 오목 홈(14a) 주위의 회전량의 미세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조정 나사(21)가 압축 코일 스프링(40)을 거쳐서 미러 보유 지지 플레이트(34)의 나사 구멍(34e)에 나사 삽입되어 있으므로, 투영 미러(30)의 미러 지지체(17)측을 들어올리면 스프링 가이드(34d)가 미러 고정판(19)과 대략 접촉할 때까지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단계에서의 조정은, 대략적인 것으로 좋고, 최종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유닛(2)이 조립되었을 때나, 사용자에 있어서의 설치 장소에서 행해진다.
다음에, 고정 플레이트(22)를 미러 고정판(19)에 조립하고 고정 나사(23)를 고정 플레이트(22)의 구멍(22b), 임시 지지체(20)의 구멍(20c)에 삽입 통과하여 미러 고정판(19)의 나사 구멍(19g)에 나사 삽입한다. 이에 의해, 도19 및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22)와 미러 고정판(19)이 조정 나사(21)의 플랜지부(21a)(도16)를 끼움 지지하여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한다.
또한, 도23은 투영 미러(30)의 설치 완료 상태인 도19에 있어서의 조정 나사(21)가 설치되는 주요부의 평면 미러(31)를 제거하여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이상에서, 투영 미러(30)의 미러 보유 지지 플레이트(34)가, 도6 및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4)과 미러 지지체(17)를 연결하는 미러 고정판(19)에 대해 위치 조정 및 고정되고, 투영 미러(30)의 평면 미러(31)의 경사 각도가 소정의 것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유닛(2)은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처음에, 도6에 도시하는 프레임 구조체에 대해,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11)에 마련되어 있는 위치 결정 구멍(11-4)을 기준으로 하여 광학 유닛(50)이 적재되고, 한편, 상부 프레임(14)의 도11a에 도시하는 원통면 오목홈(14a) 내에서 도7b에 도시하는 축 피스가 회전 미끄럼 이동 가능해지는 도7a에 도시하는 투영 미러(30)가 미러 고정판(19)에서 소정의 회전 각도로 설치된다. 이때, 투영 미러(30)는 그 축 피스(38, 38)의 샤프트(38a, 38a)와, 좌우 사이드 프레 임(12, 13)의 상부에 장착된 도4에 도시하는 미러 베어링(2a, 2b)이 결합하여 회전 가능해진다.
그리고, 프레임(11, 12, 13, 14)으로 이루어지는 스크린 프레임의 도5에 도시하는 내측에 스크린(3)이 적재되고, 도4에 도시하는 4개의 스크린 압박부(9a, 9b, 9c, 9d)에 의해 스크린(3)의 4 주변부가 억제된다.
또한, 복수의 층구조를 갖는 스크린(3)의 도4에 도시하는 좌우 압박부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사이드 프레임(12, 13)의 면(12-1, 13-1)측에 탄성을 갖는 완충 시트(3a)를 거쳐서 배치되고, 이 스크린(3)을 좌우 스크린 압박부(9b, 9c)에 의해 스크린(3)에 변형을 주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하 스크린 압박부(9a, 9d)에서도 마찬가지로 스크린(3)에 변형을 주지 않도록 고정된다(도4 참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유닛(2)은, 배면측에서 보면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한 전방면측에서 보면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유닛(2)의 전방면측으로부터 하부 프레임(11)의 판형부(11f)로 고정된 다리부 플레이트(25)에 다리부 커버(7)가 설치되고,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프레임(4)과 커버 프레임(6)이 배치된 상태에서, 배면측으로부터 리어 커버(5)로 광학 유닛(50) 등을 덮도록 하고 외측 프레임(4)에 나사로 고정한다. 이 커버 프레임(6)의 외측 프레임과의 고정 시에, 본 예의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도2에 도시하는 스피커 유닛(8, 8)이 설치된다.
이때, 도2에 도시하는 리어 커버(5)의 상부에 설치되는 미러 조정부 덮개(5a)를 개방하면, 도16에 도시하는 미러 고정판(19)이 노출되게 되므로, 고정 나 사(23)를 헐겁게 하고 조정 나사(21)를 회전시켜 투영 미러(30)의 경사 각도의 미세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예의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프레임 구조체에서는 알루미늄 합금 등에 의한 금속의 압출재에 의한 단면 형상이 균일하고, 경량이고 또한 고강성인 하부 프레임(11), 좌우 사이드 프레임(12, 13), 상부 프레임(14)을 이용하여 스크린(3)을 고정하는 스크린 프레임을 구성한다. 이때, 하부 프레임(11)과 상부 프레임(14)의 단면에 마련된 고정 나사용 나사 삽입 통과 홈(11a 내지 11d)과 두꺼운부(11h, 11i)에 대해 고정 나사(10a)와 스프링 핀(10b)이 삽입 통과되어 스크린 프레임이 헐거움 없이 고정밀도로 조립된다.
그리고, 이 스크린 프레임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 좌우 프레임 지지체(15, 16)가 하부 프레임(11)과 좌우 사이드 프레임(12, 13)을 비스듬히 배치하여 프레임 구조체를 견고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스크린 프레임을 구성하는 하부 프레임(11)의 면(11-1, 11-2)(도11d)과 상부 프레임(14)의 면(14-3)(도11a)에서 위치 결정되도록 스크린 압박부(9a, 9b, 9c, 9d)로 압박하여 스크린(3)이 설치된다.
또한, 스크린 프레임의 상부에는 투영 미러(30)의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해, 좌우 사이드 프레임(12, 13)에 대해 대략 중앙에 미러 고정판(19)(도6)을 갖는 미러 지지체(17)가 설치되어 강성이 확보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14)에 일체로 마련된 원통면 오목 홈(14a)(도11a)에서 투영 미러(30)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고, 타단부가 투영 미러(30)의 미러 보유 지지 플레이트(34)(도7)에 서 소정의 경사 각도를 갖도록 조립된다.
또한, 광학 유닛(50)은 하부 프레임(11)의 위치 결정 구멍(11-4)(도6 참조)에 설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위치 결정 핀으로 위치 결정된다.
이와 같이, 본 예의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하부 프레임(11)에 대해 스크린(3) 하부와 광학 유닛(51)이 위치 결정되고, 상부 프레임(14)에 대해 스크린(3) 상부와 투영 미러(50)가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프레임(11, 12, 13, 14)과 좌우 프레임 지지체(15, 16)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구조체의 강성이 크기 때문에 광학 유닛(51), 투영 미러(50), 스크린(3)의 당초의 위치 정밀도를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할 수 있고, 광학 유닛(51)으로부터 투영 미러(50)로의 투사각이 커도 안정된 영상을 스크린(3)에 투영할 수 있다.
본 예의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광학 유닛(51), 투영 미러(50), 스크린(3)의 위치를 높은 정밀도로 낼 수 있고, 세트 자체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1, 12, 13, 14)의 소재에 알루미늄 합금 등의 압출재를 사용함으로써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도와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압출재를 이용함으로써 복잡한 형상을 일부품 구성할 수 있으므로, 부품 수가 적어져 가공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고, 그 밖의 다양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광학계로서 반사형의 액정 화상 표시 패널을 사용한 예로 하였지만, 투과형의 액정 화상 표시 패널을 사용한 구성으 로 해도 좋다. 혹은, DLP(Digital Light Processing)형 표시 패널과 같은 미소한 미러를 제어하는 소자를 사용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 보강체인 사이드 지지체는 좌우로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좌우 어느 한쪽에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좋다.
본 발명의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캐비닛의 골격을 적은 부재로 고정밀도이고 또한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Claims (7)

  1. 캐비닛의 정면에 설치되는 스크린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고 투영 미러,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 기기 및 투사 렌즈를 구비하는 광학 유닛 및 광원과, 상기 영상 기기의 구동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이 설치되는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스크린을 보유 지지하는 구조체를 금속 압출 가공재에 의해 형성되는 프레임과 판금재에 의한 보강체로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은 바닥면을 이루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기 캐비닛의 정면측의 양단부에 세워 설치되는 좌우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좌우 사이드 프레임의 상단부에 가설되는 상부 프레임을 갖고,
    상기 보강체는 적어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기 바닥면과 상기 우측 사이드 프레임 사이, 또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기 바닥면과 상기 좌측 사이드 프레임 사이를 접속하는 프레임 지지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좌우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을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 가공에 의해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프레임끼리의 고정을,
    한쪽 상기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설치한 두꺼운부와 나사 삽입 통과 홈의 각각에 위치 결정 구멍과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다른 쪽 상기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설치한 위치 결정 핀과 고정 나사의 삽입 통과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위치 결정 핀을 상기 한쪽 프레임의 위치 결정 구멍에 세워 설치하고, 상기 한쪽 프레임에 대해 상기 다른 쪽 프레임을 위치 결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기 압출 가공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면 중, 상기 캐비닛의 정면측에 배치되는 상기 면을 기준으로 상기 스크린의 하면과 하부 배면을 위치 결정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기 압출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면 중, 상기 캐비닛의 바닥부에 배치되는 상기 면 상에 상기 광학 유닛 및 광원을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기 캐비닛의 정면측에서 상기 스크린의 배면에,
    상기 좌우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으로 고정되는 차광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압출 가공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면 중, 상기 캐비닛의 정면측에 배치되는 상기 면을 기준으로 상기 스크린의 상부 배면을 위치 결정하고,
    상기 압출 가공에 의해 상기 캐비닛의 내측부에 형성된 곡면 오목 홈에서 상기 투영 미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내측이 되는 상기 좌우 사이드 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투영 미러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형상의 미러 지지체를 설치하고,
    상기 미러 지지체에 상기 투영 미러의 위치 결정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60136435A 2005-12-29 2006-12-28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723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80625A JP2007183301A (ja) 2005-12-29 2005-12-29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ディスプレイ装置
JPJP-P-2005-00380625 2005-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2391A true KR20070072391A (ko) 2007-07-04

Family

ID=37944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435A KR20070072391A (ko) 2005-12-29 2006-12-28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177063A1 (ko)
EP (1) EP1804118A2 (ko)
JP (1) JP2007183301A (ko)
KR (1) KR20070072391A (ko)
CN (1) CN1010267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753B1 (ko) * 2010-10-11 2010-12-23 (주)하이브시스템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3302A (ja) * 2005-12-29 2007-07-19 Sony Corp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1007940A (ja) * 2009-06-24 2011-01-13 Mitsubishi Electric Corp 投写型表示装置
JP5499813B2 (ja) 2010-03-23 2014-05-21 三菱電機株式会社 投射型画像表示装置
CN102253582A (zh) * 2010-05-18 2011-11-23 极品影视设备科技(深圳)有限公司 可减少运输体积的框架结构投影幕
JP5950179B2 (ja) 2011-11-04 2016-07-1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投影装置
CN103442191A (zh) * 2013-08-19 2013-12-11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视机铝合金拼接面框
TWI608393B (zh) * 2016-05-27 2017-12-11 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投影系統及其光幕產生裝置
CN107463059B (zh) * 2016-06-02 2021-06-15 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投影系统及其光幕产生装置
US10101632B1 (en) 2017-05-22 2018-10-16 Sony Corporation Dual layer eScreen to compensate for ambient lighting
US10186178B2 (en) 2017-05-22 2019-01-22 Sony Corporation Tunable lenticular screen to control luminosity and pixel-based contrast
US10574953B2 (en) 2017-05-23 2020-02-25 Sony Corporation Transparent glass of polymer window pane as a projector screen
US10613428B2 (en) 2017-05-30 2020-04-07 Sony Corporation Wallpaper-based lenticular projection screen
US10429727B2 (en) 2017-06-06 2019-10-01 Sony Corporation Microfaceted projection screen
US10795252B2 (en) 2017-07-21 2020-10-06 Sony Corporation Multichromic filtering layer to enhance screen gain
US10798331B2 (en) 2017-07-21 2020-10-06 Sony Corporation Multichromic reflective layer to enhance screen gain
US10634988B2 (en) 2017-08-01 2020-04-28 Sony Corporation Tile-based lenticular projection screen
CN108681201B (zh) * 2018-03-19 2020-11-10 青岛海信激光显示股份有限公司 投影屏幕及投影显示系统
CN108388074A (zh) 2018-03-19 2018-08-10 青岛海信激光显示股份有限公司 投影屏幕及投影系统
CN112000022B (zh) * 2020-08-25 2023-12-19 湖南方彦半导体有限公司 智能家居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1174B1 (en) * 2000-01-27 2005-07-26 Thomson Licensing, S.A. Projection television cabinet having a one-piece reference structure
JP2003274314A (ja) * 2002-03-13 2003-09-26 Seiko Epson Corp リアプロジェ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425673A1 (en) * 2002-04-15 2003-10-15 Kurt Hoffmeister Portable light projector un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753B1 (ko) * 2010-10-11 2010-12-23 (주)하이브시스템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04118A2 (en) 2007-07-04
US20070177063A1 (en) 2007-08-02
JP2007183301A (ja) 2007-07-19
CN101026717A (zh)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72391A (ko)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US7850313B2 (en)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apparatus
US8002417B2 (en) Projection-type image display apparatus
US6962418B2 (en) Projection apparatus panel assembly
EP1413914A2 (en) Flat display monitor and flat display panel fix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0132279A (ja) 携帯用コンピュ―タ用平板表示装置
JP2010113114A (ja) 背面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4279315B2 (ja) 投写装置及びそのキャビネット
US20120194761A1 (en) Liquid crystal module and display device
KR20050046146A (ko) 프로젝션 텔레비젼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72405A (ko)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0058907A (ko)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구조 및 구조의 형성 방법
US20070070257A1 (en) Integrated optical assembly and method for projection displays
JP2007240980A (ja)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40021788A (ko) 프로젝션 장치
KR200355015Y1 (ko) 조립성이 개선된 백라이트 어셈블리
JPH05130541A (ja) プロジエクシヨンテレビ
JP2007240979A (ja)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7206358A (ja)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422698B1 (ko) 미러 고정 장치
US20060023169A1 (en) Projection television
JP2004151281A (ja) 画像表示装置
JPH0749534A (ja) プロジェクター
KR20010068358A (ko) 투사장치의 램프체결장치
MXPA04010510A (es) Metodo y aparato para un recinto ligero para televisiones de proyecc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