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1406A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1406A
KR20070071406A KR1020050134803A KR20050134803A KR20070071406A KR 20070071406 A KR20070071406 A KR 20070071406A KR 1020050134803 A KR1020050134803 A KR 1020050134803A KR 20050134803 A KR20050134803 A KR 20050134803A KR 20070071406 A KR20070071406 A KR 20070071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case
vacuum cleaner
fan uni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4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2291B1 (ko
Inventor
이제원
주재만
이준화
윤태석
홍승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4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291B1/ko
Priority to US11/475,965 priority patent/US7610654B2/en
Priority to DE602006018575T priority patent/DE602006018575D1/de
Priority to EP06013530A priority patent/EP1803381B1/en
Priority to RU2006125254/12A priority patent/RU2328963C2/ru
Priority to CNB2006101019797A priority patent/CN100544655C/zh
Publication of KR20070071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1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3Sound attenuation
    • F04D29/665Sound attenuation by means of resonance chambers or interferen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유로의 유로면적 및 유로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유로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 및 모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본체와, 송풍팬과 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유닛과, 상기 송풍팬유닛을 감싸고 내부에 내부유로가 형성된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를 둘러싸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내부유로와 연통되는 배기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유로는 상기 내부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송풍팬유닛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선회하도록 안내하는 선회유로와 복수회 절곡되도록 안내하는 절곡유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cum Air Cleaner}
도 1은 종래 진공청소기 본체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진공청소기에서 본체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진공청소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유닛 및 송풍팬유닛을 감싸는 내, 외부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일부가 조립된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Ⅱ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7은 도 5에서 Ⅲ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8은 도 5에서 Ⅳ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본체 15: 배기구
16: 배기유로 17: 선회유로
18: 절곡유로 30: 송풍팬유닛
31b: 모터 35: 내부유로
36: 연결유로 40: 내부케이스
41: 하부케이스 42: 상부케이스
45: 분기구 50: 외부케이스
51: 유출구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기유로 및 모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공기와 함께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한 후, 본체 내부에 마련된 집진장치 등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는 본체(1)와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유닛(2)과 흡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거르는 집진장치(3)를 포함하여, 송풍팬유닛(2)에서 발생시킨 흡입력으로 공기와 함께 이물질을 본체(1) 내로 흡입하여 본체(1) 내에 마련된 집진장치(3)를 통해 이물질을 거른 후 공기만을 외부로 다시 배출시킴으로써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진공청소기에 적용되는 송풍팬유닛(2)은 회전하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2a)과 송풍팬(2a)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2b)를 구비하였으며, 송풍팬(2a) 및 모터(2b)는 그 회전중심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전방측 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후방측으로 공기를 배출하고, 후방측으로 배출된 공기는 배기유로(6)에 의해 안내되어 배기필터(5)를 통과한 후 후방 상부에 위치된 배기구(4)를 통해 본체(1) 외부로 배기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진공청소기에서는 배기유로(6)의 유로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송풍팬유닛(2)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배기유로(6)를 지날 때 상당히 큰 유로저항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배기유로(6) 상에 송풍팬유닛(2)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적체되었으며 송풍팬유닛(2)의 모터(2b)는 부하를 받게 되어 큰 소음이 발생하였다.
또한, 배기유로(6)의 길이가 충분하지 않아 모터(2b)에서 발생된 소음이 배기구(4)를 통해 그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배기유로의 면적을 확보하여 배기유로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충분한 배기유로의 길이를 확보하여 모터에서 발생된 소음이 충분히 감소된 후에 배기구를 통해 유출되도록 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본체와, 송풍팬과 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유닛과, 상기 송 풍팬유닛을 감싸고 내부에 내부유로가 형성된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를 둘러싸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내부유로와 연통되는 배기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유로는 상기 내부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송풍팬유닛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선회하도록 안내하는 선회유로와 복수회 절곡되도록 안내하는 절곡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기 송풍팬유닛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송풍팬유닛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와 동일한 반지름을 가지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원통부보다 확대된 반지름을 가지는 확대부를 구비하는 상부케이스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대부의 내측에는 상기 내부유로와 배기유로를 연결하는 연결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통부의 단부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제1측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확대부의 단부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제2측단부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제2측단부 사이에는 상기 연결유로의 공기가 상기 선회유로와 상기 절곡유로로 분기되는 분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회유로는 상기 분기구로부터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형 유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곡유로는 상기 분기구와 연통되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내부케이스의 후면과 외부케이스의 후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2유로와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되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3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기구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선회유로를 따라 선회하는 제1기류와 상기 절곡유로를 따라 절곡되는 제2기류는 상기 내부케이스를 중심으로 상기 분기구의 반대측에서 합쳐져 상승하는 합성기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의 후측 상부에는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외부케이스에는 상기 제2기류가 상기 유출구로 직접적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절곡유로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1파티션과 상기 합성기류가 상기 유출구로 직접적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부케이스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파티션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된 흡입유닛(11)과 흡입유닛(11)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이 포집되는 본체(10)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10)와 흡입유닛(11) 사이에는 본체(10)에서 발생시킨 흡입력이 흡입유닛(11)에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호스(12)와 연결관(13)으로 연결되며 연결호스(12)와 연결관(13) 사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14)가 마련되어 있다.
연결호스(12)는 신축 가능한 주름관 등으로 형성되며 그 일단이 본체(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손잡이(14)에 연결되어 흡입유닛(11)이 본체(10)를 중심으로 일정반경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하며, 연결관(13)은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그 일단이 흡입유닛(11)에 연결되고 타단이 손잡이(14)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서 있는 상태에서 바닥의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게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전방에 연결호스(12)가 연결되어 흡입된 공기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후방 상부에는 내부에서 집진장치(20)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가 다시 본체(10)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배기구(15)가 마련되어있다.
또한, 본체(10)의 전방에는 집진장치(20)가 설치되는 집진실(10a)이 형성되며 본체(10)의 후방에는 송풍팬유닛(30) 및 배기유로(16)가 마련되어 있는 흡입실(10b)이 형성된다.
이하, 흡입실(10b)에 마련되는 송풍팬유닛(30) 및 배기유로(16)의 구조에 대해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흡입실(10b)에 마련되는 송풍팬유닛(3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31a)이 설치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부(30a)과 송풍팬(31a)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31b)가 설치되는 모터부(30b)로 이루어진다.
송풍팬유닛(30)은 송풍팬(31a)이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고 송풍팬(31a)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모터(31b)를 냉각한 후 모터부(30b)의 외주면에 마련된 다수개의 토출구(32)를 통해 반경방향으로 토출된다.
송풍팬유닛(30)은 대략 원통형의 내부케이스(40)에 의해 감싸지는데, 내부케이스(40)와 모터부(31b)사이에는 송풍팬유닛(30)의 토출구(32)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이동하는 내부유로(35)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케이스(40)는 외부케이스(50)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내부케이스(40)의 외측과 외부케이스(50) 내측 사이의 공간에는 내부케이스(40)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본체(10)에 형성된 배기구(15)까지 안내하는 배기유로(16)가 형성된다.
내부케이스(40)는 상부가 개방되며 송풍팬유닛(3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케이스(41)와 하부가 개방되어 송풍팬유닛(30)의 상부를 덮는 상부케이스(42)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하부케이스(41)는 전방을 지지하는 전방지지부(44a)와 후방을 지지하는 후방지지부(44b)에 의해 외부케이스(50)에 지지된다.
하부케이스(41)는 송풍팬유닛(30)의 회전축(33)을 중심으로 하는 반원통 형상을 가진다. 하부케이스(41)와 결합하는 상부케이스(42)는 송풍팬유닛(30)의 회전축(33)을 중심으로 편심된 반원통 형상을 가지며, 하부케이스(41)와 동일한 반지름을 가지는 원통부(42a)와 원통부(42a)로부터 연장되며 원통부(42a)보다 확대된 반지름을 가지는 확대부(42b)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확대부(42b)의 내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유로(35)와 배기유로(16)를 연결하는 연결유로(36)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부케이스(42)에서 원통부(42a)의 단부는 하부케이스(41)의 제1측단부(41a)와 결합되고, 상기 확대부(42b)의 단부는 외부케이스(50)의 일측면(50a)에 결합된다. 따라서, 하부케이스(41)의 제2측단부(42b)와 상기 상부케이스 (42) 확대부(42b)의 단부(42b) 사이에는 연결유로(36)의 공기가 배기유로(16)를 형성하는 선회유로(17)와 절곡유로(18)로 분기되는 분기구(45)가 형성된다.
분기구(45)를 통해 배출된 공기를 배기구(15)까지 안내하는 배기유로(16)는 분기구(45)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선회하도록 안내하는 선회유로(17)와 복수회 절곡되도록 안내하는 절곡유로(18)로 분기되는데, 이하에서는 도 5를 Ⅱ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인 도 6, 도 5에서 Ⅲ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인 도 7, 도 5에서 Ⅳ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인 도 8을 참조하여 배기유로(16)를 형성하는 선회유로(17) 및 절곡유로(18)에 대해 설명한다.
선회유로(1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구(45)로부터 내부케이스(40)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형 유로이다. 이와 같은 선회유로(17)가 형성될 수 있는 이유는 상부케이스(42)는 편심된 원통으로 형성되며 하부케이스(41)의 하부는 전방지지부(44a)와 후방지지부(44b)에 의해 지지되어 외부케이스(50)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기 때문이다.
절곡유로(18)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구(45)와 연통되며 송풍팬유닛(30)의 회전축(33)과 평행하게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유로(18a)와 제1유로(18a)와 연통되며 내부케이스(40)의 후단과 외부케이스(50)의 후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2유로(18b)와 제2유로(18b)와 연통되며 송풍팬유닛(30)의 회전축(33)과 평행하게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3유로(18c)를 포함한다.
선회유로(17)와 절곡유로(18)가 상기와 같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기구(45)로부터 분기되어 선회유로(17)를 따라 선회하는 제1기류(A)와 절곡유로(18)를 따라 절곡되는 제2기류(B)는 내부케이스(40)를 중심으로 분기구(45)의 반대측에서 합쳐져 상승하는 합성기류(C)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기구(45)로부터 분기된 공기는 배기유로(16)를 이루는 선회유로(17)와 절곡유로(18)로 분산되어 배출되기 때문에 배기유로(16)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의 유로저항은 훨씬 줄어들게 된다.
배기유로(16)를 따라 안내되는 공기는 외부케이스(50)의 후측 상부에 마련된 유출구(51)를 거쳐 최종적으로 본체(10)의 배기구(15)를 통해 배기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50)에는 절곡유로(18)를 따라 흐르는 제2기류(B)가 제1기류(A)와 합쳐져 합성기류(C)를 형성하기 이전에 상측으로 상승하여 유출구(51)를 통해 직접적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유로(18b)의 상부에는 제1파티션(52)이 설치된다.
또한, 제1기류(A)와 제2기류(B)가 합쳐져 형성된 합성기류(C)가 유출구(51)로 직접적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케이스(40)의 상부에는 제2파티션(53)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1파티션(52)과 제2파티션(53)이 설치됨으로써 분기구(45)에서 본체(10)의 배기구(15)에 이르는 배기유로(16)의 길이는 더욱 늘어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기유로(16)를 형성하는 선회유로(17)는 나선형태로 형성되고 절곡유로(18)는 복수회 절곡되어 형성되므로 배기유로(16)의 길이는 길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모터(31b)에서 발생한 소음이 충분히 저감된 후에 본체(10)의 배기구(15)를 통해 유출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에 의하면 선회유로 및 절곡유로를 포함하는 배기유로가 형성됨으로써 배기유로의 충분한 유로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유로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있다.
또한, 배기유로의 길이가 충분히 길게 형성됨으로써 모터에서 발생된 소음이 충분히 저감된 후에 배기구로 유출된다.

Claims (8)

  1. 본체와, 송풍팬과 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유닛과, 상기 송풍팬유닛을 감싸고 내부에 내부유로가 형성된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를 둘러싸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내부유로와 연통되는 배기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유로는 상기 내부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송풍팬유닛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선회하도록 안내하는 선회유로와 복수회 절곡되도록 안내하는 절곡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기 송풍팬유닛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송풍팬유닛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와 동일한 반지름을 가지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원통부보다 확대된 반지름을 가지는 확대부를 구비하는 상부케이스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부의 내측에는 상기 내부유로와 배기유로를 연결하는 연결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의 단부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제1측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확대부의 단부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제2측단부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제2측단부 사이에는 상기 연결유로의 공기가 상기 선회유로와 상기 절곡유로로 분기되는 분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유로는 상기 분기구로부터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형 유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유로는 상기 분기구와 연통되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내부케이스의 후면과 외부케이스의 후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2유로와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되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3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구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선회유로를 따라 선회하는 제1기류와 상기 절곡유로를 따라 절곡되는 제2기류는 상기 내부케이스를 중심으로 상기 분기구의 반대측에서 합쳐져 상승하는 합성기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후측 상부에는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외부케이스에는 상기 제2기류가 상기 유출구로 직접적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절곡유로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1파티션과 상기 합성기류가 상기 유출구로 직접적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부케이스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파티션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20050134803A 2005-12-30 2005-12-30 진공청소기 KR101212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803A KR101212291B1 (ko) 2005-12-30 2005-12-30 진공청소기
US11/475,965 US7610654B2 (en) 2005-12-30 2006-06-28 Vacuum cleaner
DE602006018575T DE602006018575D1 (de) 2005-12-30 2006-06-29 Staubsager
EP06013530A EP1803381B1 (en) 2005-12-30 2006-06-29 Vacuum cleaner
RU2006125254/12A RU2328963C2 (ru) 2005-12-30 2006-07-13 Пылесос (варианты)
CNB2006101019797A CN100544655C (zh) 2005-12-30 2006-07-17 真空吸尘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803A KR101212291B1 (ko) 2005-12-30 2005-12-30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1406A true KR20070071406A (ko) 2007-07-04
KR101212291B1 KR101212291B1 (ko) 2012-12-12

Family

ID=37564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4803A KR101212291B1 (ko) 2005-12-30 2005-12-30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10654B2 (ko)
EP (1) EP1803381B1 (ko)
KR (1) KR101212291B1 (ko)
CN (1) CN100544655C (ko)
DE (1) DE602006018575D1 (ko)
RU (1) RU2328963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9758A (ko) * 2005-06-13 2006-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
US8032977B2 (en) * 2007-07-18 2011-10-11 Richard Coombs Air mov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KR101457162B1 (ko) * 2007-11-16 2014-11-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101566203B1 (ko) * 2009-04-21 2015-11-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팬 모터 장치
US8813306B2 (en) 2011-03-03 2014-08-26 G.B.D. Corp. Openable side compartments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739359B2 (en) 2011-03-03 2014-06-03 G.B.D. Corp. Configuration of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769767B2 (en) 2011-03-03 2014-07-08 G.B.D. Corp. Removable cyclone chamber and dirt collection assembly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739357B2 (en) * 2011-03-03 2014-06-03 G.B.D. Corp Filter construction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101252B2 (en) 2011-03-03 2015-08-11 G.B.D. Corp. Configuration of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763202B2 (en) 2011-03-03 2014-07-01 G.B.D. Corp. Cyclone chamber and dirt collection assembly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973214B2 (en) 2011-03-03 2015-03-10 G.B.D. Corp. Cyclone chamber and dirt collection assembly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978198B2 (en) 2011-03-03 2015-03-17 G.B.D. Corp. Filter housing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973212B2 (en) 2011-03-03 2015-03-10 G.B.D. Corp. Filter housing construction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869345B2 (en) 2011-03-03 2014-10-28 G.B.D. Corp. Canister vacuum cleaner
RU2563787C1 (ru) * 2012-10-09 2015-09-2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Вытяжная решетка
EP3189759A3 (en) * 2014-03-07 2017-08-09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Surface cleaning apparatus
GB2523815A (en) * 2014-03-07 2015-09-09 Techtronic Floor Care Tech Ltd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2195707B1 (ko) * 2014-04-30 2020-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KR101684796B1 (ko) * 2015-08-18 2016-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흡입 유닛
US11166607B2 (en) 2016-03-31 2021-11-09 Lg Electronics Inc. Cleaner
WO2017171496A1 (ko) 2016-03-31 201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TWI743104B (zh) 2016-03-31 2021-10-21 南韓商Lg電子股份有限公司 吸塵器
WO2017171495A1 (ko) 2016-03-31 201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KR102560970B1 (ko) 2016-03-31 2023-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WO2017171499A1 (ko) 2016-03-31 201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CN109715021A (zh) 2016-08-08 2019-05-03 卡库堤克斯科技咨询有限公司 用于容纳吸尘器的鼓风机马达单元的降低噪音的罩壳以及吸尘器
CN107212809B (zh) * 2017-07-28 2021-05-28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垃圾桶式吸尘器
KR102095103B1 (ko) * 2018-04-05 2020-03-30 구병회 진공청소기
EP3698696A1 (en) * 2019-02-20 2020-08-26 Koninklijke Philips N.V. Fan aggregate suspension
DE102019105086A1 (de) * 2019-02-28 2020-09-03 Alfred Kärcher SE & Co. KG Sauggerät mit Kanalstück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0245A (en) 1980-02-19 1981-07-28 Shop-Vac Corporation Sound dome for electric vacuum cleaner
DE3225258C2 (de) 1982-07-06 1985-11-28 Guido Oberdorfer Wap-Maschinen, 7919 Bellenberg Schmutzsauger
JPH01305916A (ja) 1988-06-06 1989-12-11 Hitachi Ltd 電気掃除機
SU1602442A1 (ru) 1988-06-08 1990-10-30 Киевское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Электробытприбор" Пылесос
SU1743579A1 (ru) 1989-11-13 1992-06-30 Киевское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Веста" Пылесос
DE4100858A1 (de) 1991-01-14 1992-07-16 Siemens Ag Staubsauger mit einem geblaeseaggregat
KR930001867A (ko) * 1991-07-26 1993-02-22 배순훈 저소음 진공청소기
US5513417A (en) * 1993-07-19 1996-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lenc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KR970009718A (ko) * 1995-08-31 1997-03-27 배순훈 진공 청소기의 배기 유로를 길게한 흡음방
WO1997013443A1 (en) * 1995-10-10 1997-04-17 Nilfisk A/S A silencer for a suction cleaner
KR100190684B1 (ko) * 1996-05-17 1999-06-01 전주범 진공청소기용 흡음방
KR0136300Y1 (ko) 1996-09-10 1999-02-01 최진호 진공청소기용 모터의 소음감쇠구조
JPH1132947A (ja) * 1997-06-30 1999-02-09 Daewoo Electron Co Ltd 真空掃除機の吸音装置
JP4203633B2 (ja) 1999-09-27 2009-01-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3968626B2 (ja) 2000-05-19 2007-08-29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EP1188405A3 (en) * 2000-09-19 2003-01-29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with improved cooling
AU2003233786A1 (en) 2002-06-04 2003-12-19 Nilfisk Advance A/S A sound damping arrangement for a vacuum cleaner
DE10336827A1 (de) 2003-08-11 2005-03-10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Staubsauger mit einer Gebläsekaps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03381B1 (en) 2010-12-01
EP1803381A2 (en) 2007-07-04
DE602006018575D1 (de) 2011-01-13
US7610654B2 (en) 2009-11-03
RU2006125254A (ru) 2008-01-20
KR101212291B1 (ko) 2012-12-12
CN1989889A (zh) 2007-07-04
US20070151072A1 (en) 2007-07-05
CN100544655C (zh) 2009-09-30
EP1803381A3 (en) 2007-11-28
RU2328963C2 (ru) 2008-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291B1 (ko) 진공청소기
KR101353311B1 (ko) 진공청소기
CN110074718B (zh) 手持式吸尘器
CN215777744U (zh) 真空吸尘器
US6719541B2 (en) Fan assembly with application to vacuum cleaners
RU2367331C2 (ru) Пылесос
US20060257269A1 (en) Motor assembly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GB2363975A (en) Reflux vacuum cleaner with motor cooling portion
KR20060122521A (ko) 진공청소기
GB2436787A (en) Electric motor housing
KR100386259B1 (ko) 배기순환 진공청소기
KR20110067764A (ko) 진공 청소기의 유동 소음 감소 구조
KR101025954B1 (ko) 진공 청소기
KR20070021763A (ko) 무배기 로봇청소기
KR102081942B1 (ko) 청소기
KR100445651B1 (ko) 사이클론식 진공청소기
KR20020071622A (ko) 다중 싸이클론 집진장치
KR102570849B1 (ko) 차량용 청소장치
KR100386256B1 (ko) 배기순환 진공청소기
KR100634790B1 (ko) 진공청소기
KR102095103B1 (ko) 진공청소기
KR20070068937A (ko) 진공청소기
KR200192862Y1 (ko)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배기부구조
KR20240048008A (ko) 흡음벽을 구비한 휴대용 진공 청소기
KR20240045905A (ko) 집진 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