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103B1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5103B1 KR102095103B1 KR1020180039886A KR20180039886A KR102095103B1 KR 102095103 B1 KR102095103 B1 KR 102095103B1 KR 1020180039886 A KR1020180039886 A KR 1020180039886A KR 20180039886 A KR20180039886 A KR 20180039886A KR 102095103 B1 KR102095103 B1 KR 1020951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air
- filter
- suction hol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진공청소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집진유닛의 제1케이스의 내부에서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과 제1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필터부의 길이 방향이 평행을 이루고, 필터부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모터유닛의 제2케이스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게 하기 위한 흡입공이 제2케이스에 형성된다. 그리고, 집진유닛의 제1케이스에 형성된 흡입관과 모터유닛의 제2케이스에 형성된 흡입공이 상대적으로 가장 먼 거리에 위치된다. 그러면, 흡입관을 통하여 제1케이스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제1케이스의 내면을 따라 선회할 때, 상대적으로 먼 거리를 선회하면서, 필터부를 통과한다. 즉, 공기가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 동안 제1케이스의 내면을 선회한다. 그러므로, 필터부에 집진되는 이물질의 집진효율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필터부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흡입공이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므로, 제1케이스의 내부에 별도의 원심분리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공기가 제1케이스의 내면을 따라 선회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집진 효율을 향상시킨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진공청소기 내부의 압력을 외부의 압력 보다 낮게 감압한 후, 압력차를 이용하여 진공청소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오늘날, 집진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원심분리식 집진장치를 이용한 진공청소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원심분리식 집진장치란, 공기와 함께 이물질을 진공청소기의 내부로 흡입한 다음, 이물질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가라 앉혀서 제거하고, 공기는 필터를 통과시켜 배출하는 방식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6916호(2011년 09월 29일)에 개시된 종래의 진공 청소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한국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흡입관(14) 및 원심분리장치(18)를 가지는 본체(12)를 포함한다. 쓰레기 및 먼지를 포함한 공기는 흡입관(14)으로 흡입되고, 원심분리장치(18)는 흡입관(14)을 통하여 본체(12)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 중의 쓰레기 및 먼지를 분리한다. 원심분리장치(18)는 상류 사이클론(20)과 하류 사이클론(22)을 포함한다.
본체(12)의 일측면 상측 부위에는 모터와 팬 형태로 마련되어 기류를 생성하는 기류생성기(36)가 설치되고, 기류생성기(36)의 하측에는 손잡이(28)가 설치된다. 그리고, 손잡이(28)의 하측에는 기류생성기(36)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32)이 설치된다.
그리하여, 기류생성기(36)에 의하여 흡입관(14)을 통하여 본체(12)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중의 쓰레기 및 먼지는 상류 사이클론(20) 및 하류 사이클론(22)에서 분리되고, 쓰레기 및 먼지가 제거된 공기는 기류생성기(36)측에 형성된 배출 벤트(26)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상류 사이클론(20)에서 하류 사이클론(22)으로 흐르는 공기의 경로와 하류 사이클론(22)에서 기류생성기(36)측으로 흐르는 공기의 경로가 수직한다. 그러므로, 흡입관(14)을 통하여 본체(12)로 유입된 공기가 본체(12)의 내부에서 선회하기 위해서는 상류 사이클론(20)과 하류 사이클론(22)을 포함한 원심분리장치(18)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공기의 이동 경로 상에 기류발생기를 설치한 진공청소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집진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의 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케이스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 상기 제1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케이스의 길이 방향과 평행을 이루며, 상기 제1케이스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통과시키고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통과시키지 않는 필터부를 가지는 집진유닛; 상기 제1케이스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케이스의 일면에 위치된 일면에는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는 복수의 흡입공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상기 흡입공으로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된 제2케이스,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축을 가지는 모터,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에 의하여 회전하며, 상기 흡입관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케이스의 내부에서 선회시킨 다음, 상기 흡입공으로 흡입시켜 상기 배출공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기류를 발생하는 팬을 가지는 모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공은 상기 필터부의 길이 방향 중심선 외측의 상기 제2케이스의 일면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공은 상기 필터부의 길이 방향 중심선 외측의 상기 제2케이스의 일면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필터부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필터부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수직한 평면상, 상기 흡입공과 상기 흡입관은 상기 필터부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집진유닛의 제1케이스의 내부에서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과 제1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필터부의 길이 방향이 평행을 이루고, 필터부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모터유닛의 제2케이스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게 하기 위한 흡입공이 제2케이스에 형성된다. 그리고, 집진유닛의 제1케이스에 형성된 흡입관과 모터유닛의 제2케이스에 형성된 흡입공이 상대적으로 가장 먼 거리에 위치된다. 그러면, 흡입관을 통하여 제1케이스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제1케이스의 내면을 따라 선회할 때, 상대적으로 먼 거리를 선회하면서, 필터부를 통과한다. 즉, 공기가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 동안 제1케이스의 내면을 선회한다. 그러므로, 필터부에 집진되는 이물질의 집진효율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필터부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흡입공이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므로, 제1케이스의 내부에 별도의 원심분리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공기가 제1케이스의 내면을 따라 선회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집진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모터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모터유닛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1하우징을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필터부와 제2케이스의 일부 절개 결합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개략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사용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집진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모터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모터유닛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1하우징을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필터부와 제2케이스의 일부 절개 결합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개략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사용예를 보인 사시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또는 제3항목"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설치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된다, 결합된다,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별도로 마련되어 형성되거나, 결합되거나, 설치된 것 뿐만 아니라,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하나의 몸체인 일체로 된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집진유닛(100), 모터유닛(200), 전원유닛(300) 및 손잡이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집진유닛(100)은 공기와 함께 이물질이 흡입되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집진할 수 있고, 모터유닛(200)은 집진유닛(100)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기류를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유닛(300)은 모터유닛(200)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손잡이유닛(400)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위이다.
이하, 구성요소들의 방향 및 면을 지칭함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 및 상면", "하측 및 하면", "좌측 및 좌측면", 그리고 "우측 및 우측면"이라 한다.
집진유닛(10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집진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유닛(100)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대략 원통 형상의 제1케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케이스(110)의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과 평행을 이룰 수 있다. 제1케이스(110)는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몸체(111)와 몸체(111)의 개방된 하단면(下端面)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몸체(111)의 하면을 개폐하는 커버(11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케이스(110)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이룬다.
제1케이스(110)의 좌측면 일측에는 먼지 및 쓰레기 등과 같은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관(120)이 설치될 수 있다. 흡입관(120)의 좌단부측은 제1케이스(110)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우단부는 제1케이스(11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흡입관(120)을 통하여 제1케이스(110)의 내부로 흡입된다.
제1케이스(110)의 몸체(111)의 내부에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필터부(13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필터부(130)는 제1케이스(11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하여 제1케이스(110)의 내부에 착탈될 수 있다. 필터부(130)의 길이 방향은 제1케이스(110)의 길이 방향과 평행을 이룰 수 있으며,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즉, 필터부(130)는 제1케이스(1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통과시키고,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통과시키지 않으면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필터부(130)는 필터케이스(131)와 필터(135)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케이스(131)는 상하면이 개방되며, 소정 길이를 가지는 원형의 중공체(中空體)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케이스(131)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지지테(132a)가 형성될 수 있고, 몸체(111)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지지테(132a)가 걸리는 걸림턱(112)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케이스(131)에는 공기 및 소정 크기 이하의 이물질이 통과하는 복수의 통공(132b)이 형성될 수 있고, 필터케이스(131)의 길이 방향은 제1케이스(110)의 길이 방향과 평행을 이룰 수 있다.
필터(135)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중공체(中空體)로 형성되어 필터케이스(131)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필터(135)의 길이 방향은 필터케이스(131)의 길이 방향과 평행을 이룰 수 있으며, 공기는 통과시키고,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통과시키지 않는다.
그리하여,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관(120)을 통하여 제1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되면, 소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은 필터케이스(131)의 외면에 부딪혀서 제거되고, 필터케이스(131)를 통과한 이물질은 필터(135)에 부딪혀서 제거된다. 따라서, 공기만이 필터(135)를 통과한다.
필터케이스(131)의 상측 부위 내면에는 걸림테(132c)가 형성될 수 있고, 필터(135)의 상단부측 외주면은 걸림테(132c)에 탑재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테(132c) 상측의 필터케이스(131)의 내면과 필터(135)의 상단부측 외면에는 상호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돌기(132d)와 걸림홈(136)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케이스(131)의 개방된 상단면(上端面)은 후술할 모터유닛(200)의 제2케이스(210)(도 7 참조)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으며, 필터케이스(131)의 개방된 상단면 내측에 후술할 모터유닛(200)의 제2케이스(210)에 형성된 흡입공(212)(도 7 참조)이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제2케이스(210)의 하면측에 위치된 필터케이스(131)의 상측 부위 측면 및 필터(135)의 상측 부위 측면으로 공기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케이스(131)의 상측 부위 측면 및 필터(135)의 상측 부위 측면은 폐쇄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한다.
모터유닛(20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모터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모터유닛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1하우징을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유닛(200)은 집진유닛(100)의 제1케이스(110)의 개방된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2케이스(210), 모터(220), 팬(230) 및 하우징(24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모터유닛(200)은 흡입관(120)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제2케이스(210)의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기류를 발생할 수 있다. 흡입관(120)을 통하여 제1케이스(1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제1케이스(110)의 내면을 따라 선회(旋回)할 수 있도록 흡입관(120)은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제2케이스(210)는 제1케이스(110)과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케이스(110)의 개방된 상단면(上端面)에 하면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2케이스(210)의 하면은 제1케이스(110)의 개방된 상면에 위치되어, 제1케이스(110)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할 수 있다.
제2케이스(210)의 하면에는 복수의 흡입공(212)이 형성될 수 있고, 측면에는 복수의 배출공(214)이 형성될 수 있다. 흡입관(120)을 통하여 제1케이스(1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흡입공(212)을 통하여 제2케이스(210)의 내부로 흡입된 다음, 배출공(214)을 통하여 제2케이스(21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1케이스(1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제1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선회(旋回)하면서 필터(135)를 통과한 후, 흡입공(212)을 통하여 제2케이스(210)의 내부로 흡입된다. 이는 후술한다.
모터(220)는 제2케이스(2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하는 회전축을 가진다. 이때, 상기 회전축은 제1케이스(110)에서 흡입공(212)을 통하여 제2케이스(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룬다.
팬(230)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기류를 생성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팬(230)은 흡입관(120)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제1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시킨 다음, 제1케이스(110)의 내부에서 공기를 선회시켜서 필터부(130)를 통과시킨 다음, 흡입공(212)으로 흡입시켜 배출공(214)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기류를 발생한다. 팬(230)은 흡입공(212)의 상부 외측에 위치되는데, 이는 후술한다.
모터유닛(200)에서 발생된 기류에 의하여 공기가 흡입되어 배출되는 구조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필터부와 제2케이스의 일부 절개 결합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케이스(210)의 하면에 형성된 흡입공(212)은 필터부(130)의 길이 방향 중심선(ℓ-ℓ) 외측에 위치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흡입공(212)은 필터부(130)의 필터케이스(131)의 상단면 우측 부위와 테두리와 대응되는 제2케이스(210)의 우측 단부측에 형성되고, 흡입관(120)은 제1케이스(110)의 좌측면에 형성되어, 필터(135)의 길이 방향 중심선(ℓ-ℓ)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흡입관(120)과 흡입공(212)은 가장 멀리 이격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제1케이스(110)에서 제2케이스(210)로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 방향과 수직되게 상기 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에 설치된 팬(230)은 흡입공(212)의 상부 좌측에 위치된다.
팬(230)이 회전하면, 흡입관(120)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제1케이스(110)의 내면을 따라 선회하면서 필터부(130)를 통하여 제2케이스(210)의 흡입공(212)으로 흡입된 후, 배출공(214)으로 배출된다. 그런데, 흡입관(120)과 흡입공(212)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길므로, 제1케이스(110)의 내면을 따라 선회하는 공기의 선회 거리가 상대적으로 길다. 그러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대적으로 더욱 많이 필터부(130)에 집진될 수 있다.
흡입공(212)을 통과하여 공기가 제2케이스(210)의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되어야, 제1케이스(110)의 내면을 따라 공기가 원활하게 선회할 수 있다. 흡입공(212)을 통하여 제1케이스(110)의 공기가 제2케이스(210)로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240)이 마련되며, 하우징(240)의 내부는 흡입공(212)과 연통되고 제2케이스(210)의 내부와 구획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우징(240)은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밀폐 공간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241)과 제2하우징(245)을 포함한다. 이때, 제1하우징(241)은 팬(230)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고, 제2하우징(245)은 흡입공(212)의 수직 상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2하우징(245)의 내부 공간은 흡입공(212)과 연통된다. 그러면, 하우징(240)의 내부 공간이 제2케이스(210)의 내부 공간 보다 좁으므로, 팬(230)이 회전하면 하우징(240)의 내부가 신속하게 더욱 저압 상태로 감압될 수 있다. 그러므로, 흡입공(212)을 통하여 제1케이스(110)의 공기가 하우징(240)의 내부로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다.
상호 대향하는 제1하우징(241)의 우측면과 제2하우징(245)의 좌측면에는 상호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241a)와 결합공(245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하우징(241)의 외면에는 함몰 형성된 함몰로(241b) 및 함몰로(241b)의 단부측에 형성된 걸림홈(241c)이 형성될 수 있고, 제2하우징(245)에는 함몰로(241b)에 삽입되어 걸림홈(241c)에 걸리는 후크(245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하우징(245)의 하면은 제2케이스(210)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고, 제2하우징(245)의 하면과 제2케이스(210)의 하면 사이는 실링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하우징(245)의 하면에는 흡입공(212)을 감싸면서 흡입공(212)과 연통하는 연통공(245c)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하우징(241)의 좌측면에는 팬(230)에 의하여 하우징(24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하우징(24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공이 형성될 수 있고, 배출공(214)측에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2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모터(220)와 팬(230)은 제2케이스(210) 외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팬(230)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 하우징(240)측과 흡입공(212)측을 별도의 배관을 통하여 연통시킬 수 있다.
전원유닛(300)은 모터유닛(200)의 우측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모터유닛(200)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손잡이유닛(400)은 집진유닛(100)의 우측면 및 전원유닛(300)의 하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공기의 이동 방향과 필터부(130)의 길이 방향이 평행을 이루고, 필터부(130)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공기가 통과하는 흡입공(2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집진유닛(100)의 제1케이스(110)에 형성된 흡입관(120)과 모터유닛(200)의 제2케이스(210)에 형성된 흡입공(212)이 상대적으로 가장 먼 거리에 위치된다. 그러면, 흡입관(120)을 통하여 제1케이스(1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제1케이스(110)의 내면을 따라 선회할 때, 상대적으로 먼 거리를 선회하면서, 필터부(130)를 통과한다. 즉, 공기가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 동안 제1케이스(110)의 내면을 선회한다. 그러므로, 필터부에 집진되는 이물질의 집진효율이 상승될 수 있다.
또한, 필터부(130)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흡입공(212)이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므로, 제1케이스(110)의 내부에 별도의 원심분리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공기가 제1케이스(110)의 내면을 따라 선회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사용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집진유닛(100)의 흡입관(120)에는 다양한 형태 또는 다양한 용도의 보조유닛(50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조유닛(500)은 바닥 등과 접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집진유닛
200: 모터유닛
300: 전원유닛
400: 손잡이유닛
200: 모터유닛
300: 전원유닛
400: 손잡이유닛
Claims (7)
- 소정 길이를 가지는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의 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케이스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 상기 제1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케이스의 길이 방향과 평행을 이루며, 상기 제1케이스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통과시키고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통과시키지 않는 필터부를 가지는 집진유닛;
상기 제1케이스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케이스의 일면에 위치된 일면에는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는 복수의 흡입공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상기 흡입공으로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된 제2케이스,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축을 가지는 모터,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에 의하여 회전하며, 상기 흡입관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필터부의 사이를 선회시킨 다음, 상기 흡입공으로 흡입시켜 상기 배출공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기류를 발생하는 팬을 가지는 모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공은 상기 필터부의 길이 방향 중심선 외측의 상기 제2케이스의 일면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필터부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필터부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수직한 평면상, 상기 흡입공과 상기 흡입관은 상기 필터부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고,
상기 필터부는 일면이 개방된 중공체(中空體)로 형성되어 개방된 일단면(一端面)이 상기 제2케이스의 일면과 접촉하고,
상기 흡입공은 상기 필터부의 개방된 일단면 테두리부측 부위와 대응되는 상기 제2케이스의 일면 부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케이스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케이스의 길이 방향과 평행을 이루며, 소정 크기 이하의 이물질 및 공기가 통과하는 필터케이스;
상기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필터케이스의 길이 방향과 평행을 이루며, 공기는 통과시키고,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통과시키지 않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흡입관과 상기 흡입공은 상호 반대 방향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의 개방된 일단면 내측에 상기 흡입공이 위치되며,
상기 필터부의 개방된 일단면측 측면 부위는 폐쇄되어 공기가 통과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케이스에서 상기 흡입공을 통하여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팬을 감싸고, 상기 흡입공과 연통되며, 내부에 밀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팬을 감싸며 통공이 형성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흡입공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된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9886A KR102095103B1 (ko) | 2018-04-05 | 2018-04-05 | 진공청소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9886A KR102095103B1 (ko) | 2018-04-05 | 2018-04-05 | 진공청소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6824A KR20190116824A (ko) | 2019-10-15 |
KR102095103B1 true KR102095103B1 (ko) | 2020-03-30 |
Family
ID=68209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9886A KR102095103B1 (ko) | 2018-04-05 | 2018-04-05 | 진공청소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5103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64640B2 (ja) * | 1992-03-11 | 2000-07-12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電気掃除機 |
KR100562112B1 (ko) * | 2003-07-09 | 2006-03-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 청소기의 필터 구조 |
KR101212291B1 (ko) * | 2005-12-30 | 2012-12-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진공청소기 |
WO2017109360A1 (fr) * | 2015-12-23 | 2017-06-29 | Seb S.A. | Geometrie d'un circuit aeraulique pour un aspirateur a main |
WO2018036126A1 (en) * | 2016-08-26 | 2018-03-01 |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 Handheld vacuum cleaner |
CN107997674A (zh) | 2018-01-23 | 2018-05-08 | 苏州爱普电器有限公司 | 手持式吸尘器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3194B1 (ko) * | 2010-11-19 | 2013-04-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 청소기 |
KR20160034041A (ko) * | 2014-09-19 | 2016-03-29 | 최상훈 | 핸디형 청소기 |
KR102202268B1 (ko) * | 2014-12-17 | 2021-01-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 청소기용 집진장치 |
-
2018
- 2018-04-05 KR KR1020180039886A patent/KR10209510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64640B2 (ja) * | 1992-03-11 | 2000-07-12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電気掃除機 |
KR100562112B1 (ko) * | 2003-07-09 | 2006-03-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 청소기의 필터 구조 |
KR101212291B1 (ko) * | 2005-12-30 | 2012-12-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진공청소기 |
WO2017109360A1 (fr) * | 2015-12-23 | 2017-06-29 | Seb S.A. | Geometrie d'un circuit aeraulique pour un aspirateur a main |
WO2018036126A1 (en) * | 2016-08-26 | 2018-03-01 |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 Handheld vacuum cleaner |
CN107997674A (zh) | 2018-01-23 | 2018-05-08 | 苏州爱普电器有限公司 | 手持式吸尘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6824A (ko) | 2019-10-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328961C1 (ru) | Пылесос (варианты) | |
KR101542185B1 (ko) | 분리할 수 있는 집진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 |
JP5306968B2 (ja) | 電気掃除機 | |
US8782850B2 (en) | Vacuum cleaner | |
US10363565B2 (en) | Portable cyclone dust separator and corresponding dedusting system | |
KR20060125952A (ko) | 집진 유니트 | |
KR102074288B1 (ko) | 청소기 | |
JP2011160828A (ja) | サイクロン分離装置並びに電気掃除機 | |
JP2011156345A (ja) | 真空掃除機のブラシ組立体 | |
KR20160015621A (ko) | 청소기 | |
KR102178458B1 (ko) | 진공 청소기 | |
KR101411175B1 (ko) |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한 먼지 분리 장치 | |
KR102095103B1 (ko) | 진공청소기 | |
KR102344069B1 (ko) | 청소기 | |
CN205548457U (zh) | 手持旋风式吸尘装置 | |
KR20060125955A (ko) | 집진 유니트 | |
JP4078154B2 (ja) | 電気掃除機 | |
KR102081942B1 (ko) | 청소기 | |
JP2010000120A (ja) | 電気掃除機 | |
KR20060125956A (ko) | 집진 유니트 | |
JP2008272021A (ja) |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 |
KR100565574B1 (ko) | 진공청소기용 싸이클론 집진장치 | |
JP3841064B2 (ja) | 電気掃除機 | |
KR20120054223A (ko) | 진공 청소기 | |
KR20020071624A (ko) | 다중 싸이클론 집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