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8937A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8937A
KR20070068937A KR1020050131046A KR20050131046A KR20070068937A KR 20070068937 A KR20070068937 A KR 20070068937A KR 1020050131046 A KR1020050131046 A KR 1020050131046A KR 20050131046 A KR20050131046 A KR 20050131046A KR 20070068937 A KR20070068937 A KR 20070068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main body
blowing fan
fan unit
discharg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1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경
주재만
이준화
윤태석
홍승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1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8937A/ko
Publication of KR20070068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9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구의 충분한 배출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배출유로를 길게함으로써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집진장치와, 상기 집진장치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송풍팬과 모터를 포함하는 송풍팬유닛과, 상기 송풍팬유닛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안내되는 배출유로와, 상기 배출유로를 통해 안내된 공기가 상기 본체 외부로 2갈래로 분할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후방 상부 양측에 마련되는 배기구를 포함하며, 배출유로는 상기 집진장치와 상기 송풍팬유닛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집진장치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도 1은 종래 진공청소기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 본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 본체의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본체 10a: 집진실
10b: 흡입실 15: 배기구
16: 배출유로 20: 집진장치
30: 송풍팬유닛 31: 송풍팬
32: 모터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출구의 토출면적 확대와 토출유로의 변경을 통하여 모터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공기와 함께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한 후, 본체 내부에 마련된 집진장치 등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걸러냄으로써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는 본체(1)와 본체의 내부에 흡입력 및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유닛(2)과 흡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거르는 집진장치(3)를 포함하여, 송풍팬유닛(2)에서 발생한 흡입력으로 공기와 함께 먼지 등의 이물질을 본체(1) 내로 흡입하여 본체(1) 내에 마련되어 있는 집진장치(3)를 통해 이물질을 거른 후 공기만을 외부로 다시 배출함으로써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진공청소기에 적용되는 송풍팬유닛(2)은 회전하며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2a)과 송풍팬(2a)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2b)를 포함한 것으로, 송풍팬(2a) 및 모터(2b)는 그 회전중심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전방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후방측으로 공기를 배출하고, 후방측으로 배출된 공기는 후방 상부에 위치된 배기구(4)를 통해 빠져 나가도록 되어 있었다.
이러한 진공청소기에서 소음의 발생원인으로 여러 가지가 있으나 모터(2b)에서 발생한 소음과 본체(1)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가 필터(5)를 빠져 나올 때 발생하는 소음과 본체 내부에서 공기가 흐를 때 유로(6)와의 마찰로 생기는 소음이 가장 큰 원인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진공청소기에서는 본체(1)의 후방 상부에 마련된 하나의 배기구(4)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구조였으므로 배기구(4)의 충분한 면적을 확보하기 어려웠으며, 이에 따라 본체(1)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한 소음을 감소시키기 어려웠다.
또한, 송풍팬유닛(2)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배기구(4)에 이르기까지의 배출유로(6)의 길이가 짧아 모터(2b)에서 발생한 소음이 충분히 저감되지 않은 채 본체(1)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의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배기구 면적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본체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공청소기의 배출유로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모터에서 발생한 소음을 충분히 감소시켜 토출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집진장치와, 상기 집진장치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송풍팬과 모터를 포함하는 송풍팬유닛과, 상기 송풍팬유닛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안내되는 배출유로와, 상기 배출유로를 통해 안내된 공기가 상기 본체 외부로 2갈래로 분할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후방 상부 양측에 마련되는 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집진장치와 상기 송풍팬유닛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진장치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원심력을 이용하여 먼지를 분리하는 사이클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집진장치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풍팬유닛의 배출구로부터 상기 배기구에 이르는 유로는 그 중도가 복수회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된 흡입체(11)와 흡입체(11)에 의해 흡입된 먼지가 포집되는 본체(10)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10)와 흡입체(11) 사이에는 본체(10)에서 발생한 흡입력이 흡입체(11)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연결호스(12)와 연결관(13)이 구비되며 연결호스 (12)와 연결관(13) 사이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14)가 마련되어 있다. 연결호스(12)는 신축 가능한 주름관 등으로 형성되며 그 일단이 본체(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손잡이(14)에 연결되어 흡입체(11)가 본체(10)를 중심으로 일정반경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하며, 연결관(13)은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그 일단이 흡입체(11)에 연결되고 타단이 손잡이(14)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서 있는 상태에서 바닥의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게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전방측에 연결호스(12)가 연결되어 흡입된 공기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후방 상부 양측에는 내부에서 집진장치(20)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가 다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배기구(15)가 구비되어있다. 또한, 본체(10)의 내부는 집진장치(20)가 설치되는 집진실(10a), 송풍팬유닛(30) 및 배출유로(16)가 마련되어 있는 흡입실(10b), 각종 전장부품(22) 및 전원코드(미도시)가 마련되는 코드실(10c)로 구획된다.
집진실(10a)에는 연결호스(12)를 통해 집진실(10a)로 흡입된 먼지를 모으는 집진장치(20)가 설치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집진장치(20)로 공기중의 먼지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사이클론장치를 사용하였으나, 먼지를 모으는 먼지봉투 등도 사용될 수 있다.
흡입실(10b)에는 진공청소기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유닛(30)이 설치되는데, 송풍팬유닛(30)은 흡입력 및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31)과 송풍팬 (31)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32)를 내부에 내장한 것으로, 송풍팬(31)이 설치되는 송풍부(30a)와, 모터(32)가 설치되는 구동부(30b)로 구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송풍팬유닛(30)은 송풍팬(31)이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송풍팬(31)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구동부(30b) 내부를 통과하며 모터(32)를 냉각한 후 모터(32)를 감싸는 모터케이스(33)의 외주면에 마련된 다수개의 토출구(34)를 통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토출된다.
또한 집진실(10a)에 마련되는 집진장치(20)의 토출측과 흡입실(10b)에 마련되는 송풍팬유닛(30)의 흡입측은 연결배관(17)에 의해 연결된다.
송풍팬유닛(30)의 토출측으로 토출된 공기는 송풍팬유닛(30)을 감싸는 케이스(40) 내부에 형성된 유로(41)를 통해 송풍팬유닛(30)의 하부에 형성된 토출구(42)를 통해 토출되고, 이러한 공기는 배출유로(16)를 경유하여 배기구(15)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유로(16)상에는 배기구(15)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18)가 설치된다.
배출유로(16)는 종래 집진장치(20)와 송풍팬유닛(3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활용한 유로이다. 배출유로(16)는 집진장치(20)가 원통형상을 가지는 사이클론 장치이기 때문에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흡입실(10b)의 양측 공간에 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배출유로(16)는 도 5에 도시된 본체(10)의 후방 상부 양측에 마련된 배기구(15)와 연통되어있다. 이와 같이 집진장치(20)와 송풍팬유닛(30) 사이의 공간을 배출유로(16)로 활용하여 송풍팬유닛(30)의 토출구(34)로부터 배기구(15)까지 의 유로길이를 늘임으로써, 모터(32)에서 발생한 소음이 충분히 감소된 후에 본체(10) 외부로 배출되므로 모터(32)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기구(15)를 본체(10)의 후방 상부 양측에 마련한 이유는 배기구(15)를 본체(10)의 양측에 형성함으로써 배기구(15)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배출유로(16)를 통해 상부로 안내된 공기가 다시 후방으로 향하게 되고 후방으로 안내된 공기가 직접 본체(1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본체(10)의 후방의 경사면(19)에 부딪힌 후 본체(10)의 양측에 형성된 배기구(15)를 통해 배출되므로 배출되는 공기의 운동에너지를 저감할 수 있어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유로(16)는 주로 흡입실(10b)의 양측으로 넓은 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배출유로(16)를 통한 공기가 원활하게 본체의 후방 상부 양측에 마련된 배기구(15)를 통해 분배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에 의하면 본체의 양측에 배기구를 마련함으로써 배기구의 충분한 배출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모터실에서 토출구까지의 배출유로의 길이를 길게함으로써 모터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충분히 감소되므로 모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Claims (5)

  1. 외관을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집진장치와, 상기 집진장치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송풍팬과 모터를 포함하는 송풍팬유닛과, 상기 송풍팬유닛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안내되는 배출유로와, 상기 배출유로를 통해 안내된 공기가 상기 본체 외부로 2갈래로 분할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후방 상부 양측에 마련되는 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집진장치와 상기 송풍팬유닛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원심력을 이용하여 먼지를 분리하는 사이클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집진장치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유닛의 배출구로부터 상기 배기구에 이르는 유로는 그 중도가 복수회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20050131046A 2005-12-27 2005-12-27 진공청소기 KR200700689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046A KR20070068937A (ko) 2005-12-27 2005-12-27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046A KR20070068937A (ko) 2005-12-27 2005-12-27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937A true KR20070068937A (ko) 2007-07-02

Family

ID=38504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1046A KR20070068937A (ko) 2005-12-27 2005-12-27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89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311B1 (ko) 진공청소기
KR101212291B1 (ko) 진공청소기
EP2403390B1 (en) Cleaning appliance
JP4947161B2 (ja) サイクロン分離装置並びに電気掃除機
EP1632163B1 (en) Vacuum Cleaner with cyclone filter
JP4964314B2 (ja) 消音化装置
JP2004321777A (ja) 真空掃除機用サイクロン集塵装置
RU2367331C2 (ru) Пылесос
EP1842473A2 (en) Electric motor housing for a vacuum cleaner fan assembly
KR20060122521A (ko) 진공청소기
JP2012106087A (ja) サイクロン分離装置並びに電気掃除機
US20060257269A1 (en) Motor assembly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CN211484334U (zh) 吸尘装置及吸尘设备
KR20070068937A (ko) 진공청소기
CN110840326A (zh) 吸尘装置及吸尘设备
KR100634790B1 (ko) 진공청소기
KR100437370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20150002179A (ko) 층류 생성을 통한 소음 저감 및 흡입력 증강 기능을 갖는 유로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CN220344292U (zh) 集尘结构及吸尘设备
KR100677878B1 (ko) 진공청소기
KR200192862Y1 (ko)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배기부구조
KR101014704B1 (ko)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모터 냉각구조
KR20070048875A (ko) 진공 청소기
KR20240045905A (ko) 집진 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기
CN116711992A (zh) 集尘结构及吸尘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