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9629A - 철도선로의 선로데이터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선로의 선로데이터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9629A
KR20070069629A KR1020050131960A KR20050131960A KR20070069629A KR 20070069629 A KR20070069629 A KR 20070069629A KR 1020050131960 A KR1020050131960 A KR 1020050131960A KR 20050131960 A KR20050131960 A KR 20050131960A KR 20070069629 A KR20070069629 A KR 20070069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train
acceleration
trac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1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국
김석원
박찬경
김상수
한영재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31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9629A/ko
Priority to PCT/KR2006/005369 priority patent/WO2007074980A1/en
Publication of KR20070069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6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9/00Railway vehicle profile gauges; Detecting or indicating overheating of components; Apparatus on locomotives or cars to indicate bad track sections; General design of track recording vehicles
    • B61K9/08Measuring installations for surveying permanent 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61L25/021Measuring and recording of train spe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가 운행하는 철도선로의 구배량과 곡선부에서의 곡선반경, 균형속도, 캔트량 등의 선로 데이터를 차체에 설치된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의 가속도 센서와 차축에 설치된 속도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이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열차의 주행성능이나 제동성능, 열차 동특성 해석 등에 직접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선로의 선로데이터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철도차량의 속도와 가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변환 처리하는 시그널 컨디셔너부; 및 상기 시그널 콘디셔너부에서 처리된 신호와 차체 하중 데이터를 근거로 철도선로의 구배량 및 곡선부에서의 궤도 설계 변수를 연산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속도센서, 속도센서, 구배량, 캔트량, versine

Description

철도선로의 선로데이터 측정장치 {Apparatus for measuring a railroad track parameter}
도 1은 전형적인 철도선로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특정한 선로에서의 구배와 곡선부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의 선로데이터 측정장치의 구성도.
도 4는 철도차량이 상구배를 통과할 때의 상태도.
도 5는 철도차량이 곡선부를 통과할 때의 상태도.
도 6은 곡선부에서 0.5Hz 이상의 주파수 성분이 제거된 좌우 방향 가속도에 대한 상태 그래프.
도 7은 임의의 곡선부에서의 철도차량의 주행속도 변화에 따른 측정된 정상가속도와 계산된 정상가속도에 대한 상태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철도선로
101, 102.. 레일 103.. 침목
104.. 도상 105.. 노반
300.. 데이터 처리부 301.. 속도 센서
302, 303.. 가속도 센서 304.. 증폭부
305.. F/V 컨버터 306.. A/D 컨버터
307.. 카운터 308.. 마이크로프로세서
309.. 메모리부 310.. 시그널 콘디셔너부
320.. 센서부
본 발명은 철도선로의 선로데이터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차가 운행하는 철도선로의 구배량과 곡선부에서의 곡선반경, 균형속도, 캔트량 등의 선로 데이터를 차체에 설치된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의 가속도 센서와 차축에 설치된 속도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이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열차의 주행성능이나 제동성능, 열차 동특성 해석 등에 직접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선로의 선로데이터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도선로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배부와 곡선부를 가지는 것으로서, 지형에 따라 평탄부와 오르막부(상구배), 내리막부(하구배), 곡선부, 직선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속열차가 고속으로 주행하는 고속선로일지라도 직선의 평탄선로만으로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모든 철도선로는 상하구배와 곡선부를 가질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상하구배와 곡선부의 영향에 의해 열차의 성능이 결정되기도 한다. 즉 철도차량은 철도선로의 상하구배 정도에 따라 열차의 견인 및 제동성능이 결정되고, 곡선부에서 철도차량에 발생하는 원심력은 승객의 승차감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철도선로의 관리를 위해 전용 검측차로 철도선로의 상태를 측정한다. 전용 검측차는 검측차에 설치된 변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선로의 3점을 동시에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로의 버사인(versine:“원의 중심에서 호까지의 길이”로 부터 “원의 중심에서 현까지의 길이”를 뺀 길이)을 측정하여 사용하며, 대부분의 궤도의 관리는 이 버사인을 이용하여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철도선로에 의하여 철도차량이 받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선로의 버사인을 실제의 선로 데이타, 즉 불규칙도, 곡선반경, 상하구배, 캔트 등으로 변환하여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수반되는 오차로 인해 실제 철도선로의 형상에 근접하는 정확한 선로 데이터를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선로에 의한 철도차량에 대한 영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용 검측차는 고가의 장비이기 때문에 유지 보수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철도선로에 대한 버사인을 측정할 때 저속으로 운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운행노선의 버사인을 측정하는 데에 많은 시간이 투자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열차가 운행하는 철 도선로의 구배량과 곡선부에서의 곡선반경, 균형속도, 캔트량 등의 선로 데이터를 차체에 설치된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의 가속도 센서와 차축에 설치된 속도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이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열차의 주행성능이나 제동성능, 열차 동특성 해석 등에 직접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선로의 선로데이터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의 선로데이터 측정장치는, 철도차량의 속도와 가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변환 처리하는 시그널 컨디셔너부; 및 상기 시그널 콘디셔너부에서 처리된 신호와 차체 하중 데이터를 근거로 철도선로의 구배량 및 곡선부에서의 궤도 설계 변수를 연산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궤도 설계 변수에는, 곡선부에서의 캔트량과 곡선반경 그리고 균형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는, 열차의 전후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전후방향 가속도 센서; 열차의 좌우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좌우방향 가속도 센서; 및 열차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센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그널 컨디셔너부는, 상기 전후, 좌우 방향 가속도 센서의 센싱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 상기 속도센서의 측정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F/V 컨버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F/V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 하는 A/D 컨버터; 상기 속도센서의 센싱신호를 열차위치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카운터; 및 상기 A/D 컨버터와 카운터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와 사전에 설정된 차체 하중을 이용하여 철도선로의 구배량과 곡선부에서의 캔트량 및 곡선반경을 연산하는 마이크로프세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우방향 가속도 센서는, 1Hz 미만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의 선로데이터 측정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의 선로데이터 측정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철도차량이 상구배를 통과할 때의 상태도이며, 도 5는 철도차량이 곡선부를 통과할 때의 상태도이고, 도 6은 곡선부에서의 좌우 방향 가속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0.5Hz 이상의 주파수 성분이 제거된 상태도이고, 도 7은 임의의 곡선부에서의 철도차량의 주행속도 변화에 따른 측정된 정상가속도와 계산된 정상가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의 선로데이터 측정장치는, 철도차량이 운행되는 철도선로의 구배량과 곡선부에서의 곡선반경, 균형속도, 캔트량 등의 선로 데이터를 차체(201)에 설치된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의 가속도 센서와 차축에 설치된 속도센서를 이용하여 간단히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부설되어 있는 전형적인 철도선로(100)의 단면 개략도를 나타낸 것으 로서, 철도선로(100)는 한쌍의 좌우 레일(101, 102),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침목(103), 자갈이나 콘크리트로 부설되어 있는 도상(104) 및 성토, 절토, 교량 또는 터널로 구성된 노반(105)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쌍의 레일(101, 102)은 노반, 도상에 위해 지지되어 있는 침목에 설치되어 있으며, 열차에서 레일(101, 102)에 전달된 하중은 침목(103)과 도상(104)을 통해 노반(105)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실제로 열차가 주행하는 한쌍의 레일(101, 102)은 노반(105)에 의해 평탄선로와 상구배와 하구배, 곡선부, 직선부 등을 형성하게 된다.
도 2는 실제 부설되어 있는 특정한 선로의 구배와 곡선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철도선로(100)는 상구배 및 하구배가 반복되며, 임의의 선로위치에서는 곡선부가 존재함을 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의 선로데이터 측정장치에 대한 하드웨어적인 구성도로서, 차축(203)에 설치된 속도센서(301)와 차체(201)에 설치된 가속도 센서(302, 303)로 구성된 센서부(320), 증폭기(304)와 F/V(frequency-voltage) 컨버터(305)로 구성된 시그널 콘디셔너부(310), 그리고 A/D 컨버터(306), 카운터(307), 마이크로프로세서(308), 메모리부(309)로 구성된 데이터 처리부(300)로 구성되게 된다.
상기한 가속도 센서(302, 303)는 차체(20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후방향 가속도 센서(302)와 좌우방향 가속도 센서(303)로 구분할 수 있는데, 상기 전후방향 가속도 센서(302)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가속도계(측정범위 1Hz - 100Hz)를 사 용해도 무방하지만, 상기 좌우방향 가속도 센서(303)는 1Hz 미만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계를 사용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방향 가속도 센서(303)가 1Hz 미만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없게 되면 아주 낮은 주파수인 곡선부에서의 좌우방향 가속도를 측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한 속도센서(301)는 차축(203)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 속도센서(301)에 의해 대차(202)의 하부에 설치되는 차축(203)에서 측정된 속도는 1회전당 펄스 수로 표현되며, 이 펄스 수를 속도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F/V 컨버터(305)를 통해 전압신호로 변환한 후 전송하고, 열차의 이동거리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펄스 수를 카운터(307)를 통해 전송한다. 이는 열차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고, 만일 F/V 컨버터(305)를 이용하여 구해진 속도신호의 적분을 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누적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센서부(320)와 시그널 컨디셔너부(31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근거로 데이터 처리부(300)의 마이크로프세서(308)는 철도선로의 구배량과 곡선부에서의 곡선반경, 균형속도, 캔트량 등의 선로데이터를 계산하게 된다.
도 4는 열차가 상구배를 통과할 때의 차량 1량의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열차의 차륜과 레일(102)은 구름마찰이 존재하고, 열차는 열차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공기저항을 크게 받기 때문에 하가의 수학식1과 같은 주행저항을 받게 된다.
Figure 112005077322606-PAT00001
여기서, V는 열차의 주행속도[km/h]이고 상수 a, b, c는 타행시험을 통해 미리 알고 있는 계수이다. 속도의 제곱항은 공력저항에 의한 효과이고 나머지는 구름마찰에 의한 효과이다.
도 4에서 차량에 작용하는 힘의 평형방정식은 뉴톤의 제2법칙에 의해 하기의 수학식2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5077322606-PAT00002
여기서, F는 열차의 관성력, m은 열차 질량, R 은 열차의 주행저항, θ는 선로구배 +는 상구배, -는 하구배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상기 수학식2로부터 구배량은 하기의 수학식3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5077322606-PAT00003
이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열차가 자체의 관성력만으로 주행되는 타행조건에서 가속도가 측정되어야 한다. 만일 열차가 견인이나 제동시의 경우에는 전후방향의 가속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선로의 구배량을 구할 수 없다. 또한, 열차의 주행저항과 열차의 질량을 미리 알고 있기 때문에 타행상태에서는 선로의 상하 구배량을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열차가 곡선부를 통과할 때의 차량의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곡선부에서는 열차의 주행속도에 따라 하기의 수학식4와 같은 원심력이 생기는데, 이 원심력은 열차에 타고 있는 승객에게 불쾌감을 주기 때문에 원심력을 상쇄하기 위해 좌우 레일에 캔트(C)를 부가하여 하기의 수학식5와 같은 구심력에 의해 열차가 안쪽으로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설치된 캔트에 의한 구심력과 임의의 열차 주행속도에서 발생된 원심력이 같을 때에 캔트량과 열차의 주행속도를 균형캔트 및 균형속도라고 하며, 이 균형속도에서는 열차가 평탄선로에서 운행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Figure 112005077322606-PAT00004
여기서, Fc는 원심력[kN], W는 열차 하중[ton], R 은 곡선반경[m], V는 열차 운행속도[km/h]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5077322606-PAT00005
여기서, Fw는 구심력[kN], C는 캔트량[mm], G는 레일간격[mm], Vc는 열차 균형속도[km/h]를 각각 나타낸다.
도 6은 열차가 곡선부를 주행할 때에 발생되는 좌우 방향 가속도로서, 0.5Hz 이상의 주파수 성분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좌우 방향 가속도는 열차의 주행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며, 이는 열차의 주행속도가 균형속도(원심력과 구심력이 같을 때 즉, 정상가속도가 ‘0’이 될 때에 열차 주행속도)보다 작은 캔트초과(cant over) 상태임을 말해준다.
도 7은 임의의 곡선부에서 열차의 주행속도 변화에 따라 측정된 정상가속도(stationary lateral acceleration)의 변화와 하기의 수학식6과 수학식7을 이용하여 구해진 캔트와 곡선반경을 이용해 계산된 정상가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5077322606-PAT00006
여기서, asta는 측정된 정상가속도, +는 캔트초과, -는 캔트부족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5077322606-PAT00007
측정된 정상가속도가 양수(+)에서 음수(-)로 변환하는 점이 임의의 곡선부에서의 균형속도가 된다. 임의 곡선부의 곡선반경은 정상가속도와 구해진 균형속도를 이용하여 상기의 수학식6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으며, 부설된 선로의 캔트는 상기의 수학식7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의 선로데이터 측정장치는, 철도선로의 구배량과 곡선부에서의 궤도 설계 변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이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열차의 주행성능이나 제동성능, 열차 동특성 해석 등에 직접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열차가 운행하는 철도선로의 구배량과 곡선부에서의 곡선반경, 균형속도, 캔트량 등의 선로 데이터를 차체에 설치된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의 가속도 센서와 차축에 설치된 속도센서를 이용하여 간단히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된 선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열차의 주행성능이나 제동성능, 열차 동특성 해석 등에 직접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용 검측차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운행노선에서의 속도와 가속도를 측정하여 철도선로의 설계에 필요한 각종 선로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철도차량의 속도와 가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변환 처리하는 시그널 컨디셔너부; 및
    상기 시그널 콘디셔너부에서 처리된 신호와 차체 하중 데이터를 근거로 철도선로의 구배량 및 곡선부에서의 궤도 설계 변수를 연산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선로의 선로데이터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부에서의 궤도 설계 변수에는, 캔트량과 곡선반경 그리고 균형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선로의 선로데이터 측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열차의 전후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전후방향 가속도 센서;
    열차의 좌우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좌우방향 가속도 센서; 및
    열차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센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선로의 선로데이터 측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 컨디셔너부는,
    상기 전후, 좌우방향 가속도 센서의 센싱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
    상기 속도센서의 측정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F/V 컨버터;를 구비하여 철도선로의 선로데이터 측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F/V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상기 속도 센서의 센싱신호를 열차위치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카운터; 및
    상기 A/D 컨버터와 카운터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와 사전에 설정된 차체 하중을 이용하여 철도선로의 구배량과 궤도 설계 변수를 연산하는 마이크로프세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선로의 선로데이터 측정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방향 가속도 센서는,
    1Hz 미만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선로의 선로데이터 측정장치.
KR1020050131960A 2005-12-28 2005-12-28 철도선로의 선로데이터 측정장치 KR2007006962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960A KR20070069629A (ko) 2005-12-28 2005-12-28 철도선로의 선로데이터 측정장치
PCT/KR2006/005369 WO2007074980A1 (en) 2005-12-28 2006-12-11 Apparatus for measuring railroad track paramet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960A KR20070069629A (ko) 2005-12-28 2005-12-28 철도선로의 선로데이터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629A true KR20070069629A (ko) 2007-07-03

Family

ID=38218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1960A KR20070069629A (ko) 2005-12-28 2005-12-28 철도선로의 선로데이터 측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70069629A (ko)
WO (1) WO2007074980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851B1 (ko) * 2007-12-13 2010-03-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의 선로 분기 검지 시스템 및 그 분기 검지 방법
KR101026350B1 (ko) * 2008-12-15 2011-04-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관성센서를 이용한 궤도의 수평 틀림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673606A (zh) * 2012-05-07 2012-09-19 陈�峰 高速铁路轨道质量随车高智能检测监测预警系统
KR101250228B1 (ko) * 2010-06-09 2013-04-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가속도계를 이용한 궤도 틀림 검측 시스템 및 검측 방법
KR101364717B1 (ko) * 2012-08-27 2014-02-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실시간 주행선로의 구배 값 취득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기철도 차량 시스템
KR20150086070A (ko) * 2014-01-17 2015-07-2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열차 제어 시스템 및 열차 제어 방법
KR20170024651A (ko) 2015-08-25 2017-03-08 동우기술(주) 철도 모의주행을 위한 가상선로 생성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상선로 생성방법 및 가상선로 생성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CN107200040A (zh) * 2016-03-17 2017-09-26 斯凯孚公司 用于确定轨道表面的垂直轮廓的方法和系统
KR102203412B1 (ko) * 2019-07-18 2021-01-18 주식회사 코암테크 곡선 구간 선로 안정성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5663B2 (ja) * 2015-01-13 2019-04-03 株式会社東芝 列車制御装置、列車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83654B2 (ja) 2021-02-03 2023-11-20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レール破断の検知装置及びレール破断の検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5099A (en) * 1994-12-22 1997-02-25 Pandrol Jackson, Inc. Maintenance vehicle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maintaining the level of a railroad track
US6064428A (en) * 1996-08-05 2000-05-16 National Railroad Passenger Corporation Automated track inspection vehicle and method
US6804621B1 (en) * 2003-04-10 2004-10-12 Tata Consultancy Services (Division Of Tata Sons, Ltd) Methods for aligning measured data taken from specific rail track sections of a railroad with the correct geographic location of the sections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851B1 (ko) * 2007-12-13 2010-03-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의 선로 분기 검지 시스템 및 그 분기 검지 방법
KR101026350B1 (ko) * 2008-12-15 2011-04-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관성센서를 이용한 궤도의 수평 틀림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0228B1 (ko) * 2010-06-09 2013-04-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가속도계를 이용한 궤도 틀림 검측 시스템 및 검측 방법
CN102673606A (zh) * 2012-05-07 2012-09-19 陈�峰 高速铁路轨道质量随车高智能检测监测预警系统
KR101364717B1 (ko) * 2012-08-27 2014-02-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실시간 주행선로의 구배 값 취득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기철도 차량 시스템
KR20150086070A (ko) * 2014-01-17 2015-07-2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열차 제어 시스템 및 열차 제어 방법
KR20170024651A (ko) 2015-08-25 2017-03-08 동우기술(주) 철도 모의주행을 위한 가상선로 생성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상선로 생성방법 및 가상선로 생성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CN107200040A (zh) * 2016-03-17 2017-09-26 斯凯孚公司 用于确定轨道表面的垂直轮廓的方法和系统
CN107200040B (zh) * 2016-03-17 2022-10-28 斯凯孚公司 用于确定轨道表面的垂直轮廓的方法和系统
KR102203412B1 (ko) * 2019-07-18 2021-01-18 주식회사 코암테크 곡선 구간 선로 안정성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74980A1 (en) 200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9629A (ko) 철도선로의 선로데이터 측정장치
Heirich et al.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rain motion and railway track characteristics with inertial sensors
KR101157752B1 (ko) 자기 유도 차량의 이동을 측정하는 장치
KR101870482B1 (ko) 철도 차량의 횡력 추정장치 및 추정방법
RU2640313C2 (ru) Способ оценки скорост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11032459B (zh) 用于确定轨道车辆的制动相关的实际值的方法和装置
KR20130133414A (ko) 열차 주행속도 보정장치
CZ282525B6 (cs) Způsob zjišťování provozního stavu železničních tratí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WO2013092956A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von raddurchmessern an schienenfahrzeugen
CN108959176A (zh) 一种基于自适应容积卡尔曼滤波的分布式车速估计方法
KR101259088B1 (ko) 철도차량의 주행 안정성 분석 시스템
KR102203412B1 (ko) 곡선 구간 선로 안정성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RU2722513C1 (ru) Способ выявления схода с рельс на основе сигналов о числе оборотов колеса
JP5901557B2 (ja) 走行体速度計測方法及び装置
CN103158718B (zh) 基于油门踏板位置和车速的道路纵向坡度检测装置及方法
KR20110124054A (ko) 철도차량 하중 측정장치 및 방법
KR100799330B1 (ko) 철도차량의 견인력 및 제동력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ES2224343T3 (es) Procedimiento destinado a apreciar la velocidad de un vehiculo o de una asociacion de vehiculos.
US20090094848A1 (en) Track Twist Monitoring
KR20110130073A (ko) 차축 가속도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철도차량 속도 측정 시스템 및 속도 측정 방법
KR101563352B1 (ko) 지피에스를 통한 주행저항 측정방법
KR100651195B1 (ko) 철도차량의 승차감 종합측정시스템
JP5982072B2 (ja) 走行体速度計測方法及び装置
JP7402594B2 (ja) 橋梁の共振検出方法とその共振検出装置及び橋梁の共振検出プログラム
Nakatsuji et al. Inverse estimation of friction coefficients of winter road surfaces: new considerations of lateral movements and angular mov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