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9380A - 방송 수신기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기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9380A
KR20070069380A KR1020050131413A KR20050131413A KR20070069380A KR 20070069380 A KR20070069380 A KR 20070069380A KR 1020050131413 A KR1020050131413 A KR 1020050131413A KR 20050131413 A KR20050131413 A KR 20050131413A KR 20070069380 A KR20070069380 A KR 20070069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ata service
service
list
us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1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0626B1 (ko
Inventor
최진영
박상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1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0626B1/ko
Publication of KR20070069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이 가능한 방송 수신기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현재 튜닝중인 방송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서비스 목록을 검색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검색된 데이터 서비스 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데이터 서비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데이터 서비스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MB, 데이터 서비스, 유저 인터페이스, EPG, BWS, TPEG

Description

방송 수신기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data service in broadcasting receiv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따른 DMB 수신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MB 전송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튜너 120 : 베이스 밴드부
130 : 디멀티플렉서 140 : MPEG 디코더
150 : 데이터 디코더 165 : 그래픽 엔진
170 : 표시부 180 : 메뉴화면 생성부
190 : 제어부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I : User interface)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을 수신 가능한 방송 수신기에서 데이터 서비스 수신시,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MB는 차량용 소형TV, 노트북, PDA, 휴대폰 등과 같은 소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고속 이동 중에도 동영상 및 CD 수준의 오디오,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의 안정적 수신이 가능한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으로, 세계 최초로 국내에서 서비스 표준을 정하고 기술개발을 하여 상용화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상기 DMB 표준은 현재 유럽에서 시행하고 있는 디지털 라디오방송(DAB)의 기술표준인 Eureka-147(European Research Coordination Agency Project-147)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DMB 표준은 EUREKA-147에 MPEG-4 기술을 채택하여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규격을 추가하였다. 또한, DMB 표준에서는 상기 비디오 서비스 및 오디오 서비스 외에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기술표준 규격을 제정하고 있다.
상기 DMB에서 지원 예정인 데이터 서비스로는, XML 기반 EPG 서비스, 슬라이드쇼, 방송 웹사이트 서비스(BWS; Broadcast Web Site), A/V와 연결하여 뉴스 및 날씨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BIFS(Binary Format For Scene), 교통 및 여행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s Group) 등이 있다.
상기 데이터 서비스는 기본 비디오 및 오디오 프로그램 내용과의 관련 여부에 따라 '프로그램 연동형'과 '독립형' 서비스로 구분된다. 프로그램 연동형은 기본 TV 또는 라디오 방송에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한 컨텐츠이고, 독립형은 상기 TV 또는 라디오 방송 내용과는 별도로 독립적인 내용으로 구성한 컨텐츠이다. 전술한 데이터 서비스 중 BIFS는 프로그램 연동형 서비스에 해당되고, 그 외 슬라이드쇼, BWS, EPG 서비스, TPEG 등은 독립형 데이터 서비스에 해당된다.
상기 데이터 서비스는, 기본 비디오 및 오디오 프로그램 내용과의 관련 여부에 따라, 상기 비디오 채널 및 오디오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와 다중화하여 전송하거나,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해 별도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연동형 데이터 서비스는 비디오 또는 오디오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비디오 또는 오디오 스트림에 다중화되어 전송되며, 독립형 데이터 서비스는 별도의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한편, 상기 프로그램 연동형 데이터 서비스의 경우, 시청중인 비디오 또는 오디오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서비스이므로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연동하여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독립형 데이터 서비스의 경우 각 DMB 수신기 제조업체에서 정한 규정에 따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DMB 수신기에서 독립형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제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 수신기에서 독립형 데이터 서비스 수신시,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 및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현재 튜닝중인 방송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서비스 목록을 검색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데이터 서비스 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데이터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데이터 서비스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목록 검색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서비스 목록 표시 요청이 있는 경우에 검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목록 표시 요청은, 메뉴키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목록 메뉴를 포함한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메뉴화면에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목록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목은 검색은,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전송 프레임에 포함된 FIC(Fast Information Channel)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전에, 상기 디코딩되는 상황을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로 구현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색된 데이터 서비스는, 교통 및 여행 정보를 제공하는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s Group) 서비스, 슬라이드쇼(Slide show) 서비스, XML 기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서비스 및 방송 웹 사이트(Broadcast Web Site)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따른 DMB 수신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MB 수신기는 튜너(110), 베이스 밴드부(120), 디멀티플렉서(130), MPEG 디코더(140), 데이터 디코더(150), 그래픽 엔진(165), 표시부(170), 메뉴화면 생성부(175), 프론트 패널(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튜너(110)는 상기 제어부(190)에 의해 설정된 DMB 채널 주파수에 해당 하는 방송신호를 선국하여 베이스 밴드부(120)로 출력한다. 상기 DMB 채널은 3개의 앙상블(Ensemble)을 포함한다. 여기서, 앙상블은 한 방송국에서 보내는 신호로서, 여러개의 서비스를 포함한다. 상기 각 서비스는 서비스 요소(service component)들의 집합이며, 각 서비스 요소들은 각각 서브 채널 ID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택된 앙상블을 통해 전송되는 여러 서비스 중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베이스 밴드부(120)는 상기 튜너(110)에서 선국된 DMB 반송파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한 후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복조하여 FIC 심볼과 MSC 심볼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DMB 송신측은 프레임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한다. 상기 DMB 송신측에서 송신하는 DMB 전송 프레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 채널(Synchronization Channel), FIC(Fast Information Channel) 및 MSC(Main Service Channel)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FIC는 다시 다수개의 FIB(Fast Information Block)로 구성되고, MSC는 다수개의 CIF(Common Interleaved Frame)로 구성된다.
상기 MSC 내의 CIF들은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와 같은 실제 데이터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FIC 내의 FIB들은 이러한 데이터들의 구조를 알려주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FIC는 서비스 제목, 채널 정보 등을 포함하는 SI(Service Information), Paging, TMC(Traffic Message Channel)와 같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이용되는 FIDC(Fast Information Data Channel), 상기 MSC의 서비스 종류, 위 치, 형태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MCI(Multiples Configuration Infrormation), 특정 서비스를 인증된 가입자에게만 제공하기 위하여 정보열을 암호화하는 데 사용되는 CA(Conditional Access)로 구성된다.
디멀티플렉서(130)는 상기 베이스 밴드부(120)에서 출력되는 FIC 심볼 및 MSC 심볼을 각각 역다중화하는 FIC 디멀티플렉서(132)와 MSC 디멀티플렉서(134)로 구성된다.
상기 MSC 디멀티플렉서(134)는 베이스 밴드부(120)에서 출력되는 MSC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DMB 서비스를 위한 비디오 데이터, DAB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데이터 및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 데이터로 분리한다. 상기 MSC 디멀티플렉서(134)는 상기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분리한 데이터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에 해당하는 데이터들만 해당 디코더로 출력한다.
상기 DAB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디코더(미도시)로 출력되고, 상기 DMB 서비스를 위한 비디오 데이터는 MPEG 디코더(140)로 출력되며,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 데이터는 데이터 디코더(150)로 출력된다.
상기 MPEG 디코더(140)는 TP 디멀티플렉서(142), MPEG-2 시스템 디코더(144) 및 MPEG-4 오디오/비주얼 디코더(146)를 포함한다.
상기 TP 디멀티플렉서(142)는 MSC 디멀티플렉서(134)에서 출력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TS 스트림을 출력한다.
상기 MPEG-2 시스템 디코더(144)는 TS 디멀티플렉서(142)에서 출력되는 TS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A/V 스트림과 BIFS(Binary Format for Scene) 스트림 으로 분 리한다.
상기 MPEG-4 오디오/비주얼 디코더(146)는 상기 MPEG-2 시스템 디코더(144)에서 출력되는 A/V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그래픽 엔진(165)으로 출력한다. 상기 MPEG-4 오디오/비주얼 디코더(146)에서 출력되는 A/V 데이터는 그래픽 엔진(165)에 의해 신호 처리된 후 표시부(17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상기 데이터 디코터(150)는 MOT 디코더(152), EPG 엔진(153), JPEG 디코더(154), BWS 엔진(155), 및 TPEG 엔진(156)을 포함한다.
상기 MOT 디코더(152)는 상기 MSC 디멀티플렉서(134)에서 출력되는 부가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EPG 서비스를 위한 EPG 데이터, 슬라이드 쇼 서비스를 JPEG 파일, 방송 웹 사이트 서비스(BWS : Broadcast Website Service) 위한 웹사이트 관련 파일,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s Group)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로 분리한다.
상기에서 EPG 서비스는 DMB 방송과 관련된 프로그램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고, 슬라이드 쇼 서비스는 일련의 그림파일들을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하는 서비스이다. 그리고, BWS 서비스는 인터넷 웹 서비스와 유사한 형태의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이며, TPEG 서비스는 교통 및 여행 등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이다.
상기 EPG 엔진(153)은 내장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파서(parser)를 이용하여 상기 MOT 디코더(152)에서 출력되는 EPG 데이터에서 SI(Service Information)정보, PI(Program Information) 등을 파싱(parsing)하고, EPG DB(160) 저장된 EPG 테이블의 해당 필드에 삽입하여 EPG 정보를 구성한다.
상기 JPEG 디코더(154)는 상기 MOT 디코더(152)에서 출력되는 JPEG 파일을 디코딩하여 그래픽 엔진(165)으로 출력한다.
상기 BWS 엔진(155)은 상기 MOT 디코더(152)에서 출력되는 웹사이트 관련 파일들을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정보를 이용하여 BWS 서비스를 위한 웹 페이지를 구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TPEG 엔진(156)은 상기 MOT 디코더(152)에서 출력되는 TPEG 서비스 관련 데이터들을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TPEG 서비스를 위한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메뉴화면 생성부(175)는 상기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데이터 서비스 안내를 위한 메뉴 화면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프론트 패널(18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서, 사용자로부터 DMB 수신기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설정 또는 선택하기 위한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190)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프론트 패널(180)은 각종 기능키, 방향키, 숫자키 등이 마련된 키 입력부(182)와, 리모콘(미도시)으로부터 송출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광부(184)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프론트 패널(180)로부터 인가되는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DMB 수신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90)는 DMB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서비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도록 디멀티플렉서(130)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를 출력하고 있는 중에,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 목록 표시를 요청하면 현재 튜닝중인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서비스를 검색하여 표시부(170)에 표시한다. 본 실시 예에따른 데이터 서비스란 독립형 데이터 서비스로, 전술한 바와 같이, XML 기반 EPG 서비스, 슬라이드 쇼 서비스, BWS 서비스, 및 TPEG 서비스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a 내지 도 4f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DMB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복수의 방송 서비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를 디스플레이 하고 있는 중에(S210),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서비스 목록 표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S220), 제어부(190)는 상기 DMB 채널에 포함된 3개의 앙상블을 통해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 서비스를 검색한다(S230).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목록 표시 요청은, 상기 키 입력부(182) 또는 리모콘에 마련된 데이터 서비스 목록 버튼(미도시)을 선택하거나, 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70)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에서 데이터 목록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 목록 메뉴를 포함한 메뉴 화면은 상기 키 입력부(182) 또는 리모콘에 마련된 메뉴키(미도시) 선택시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상기 DMB 채널에 포함된 3개의 앙상블을 통해 어떤 데이터 서비스가 전송되는지의 여부는 상기 FIC 디멀티플렉서(132)에서 출력되는 FIC 데이터를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230 단계를 통해 검색한 데이터 서비스 목록을 상기 표시부(170)의 화면 소정 영역에 OSD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처리한다(S240). 이에 따라 표시부(170)의 화면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된 데이터 서비스 목록을 나타내는 OSD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표시부(170)의 화면상에 표시된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목록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서비스(예컨대, TPEG 서비스)가 선택되면(S250), 상기 제어부(190)는 MSC 디멀티플렉서(134)에서 분리 출력되는 부가 데이터 중 상기 TPEG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코딩하도록 데이터 디코더(150)를 제어한다(S260).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TPEG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디코딩 완료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기 전에, 상기 디코딩되는 상황을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로 구현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메뉴화면 생성부(175)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표시부(170)의 화면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가 포함된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사용자는 상기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를 통해 상기 선택된 데이터 서비스 화면이 표시부(170)에 디스플레이 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선택된 데이터 서비스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기전 까지는 이전에 시청 중이던 DMB 방송을 계속해서 시청할 수 있도록 처리한 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선택된 TPEG 서비스 관련 데이터의 디코딩이 완료되면(S270),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로 TPEG 서비스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부(170)에 디스플레이 한다(S280). 이에 따라 표시부(170)의 화면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TPEG 서비스 화면으로 전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데이터 서비스 화면과 관련된 메뉴를 별도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데이터 서비스 화면을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TPEG 메뉴 선택시,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정보와 맵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하위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하위 메뉴 선택시 그 하위 메뉴에 포함된 메뉴를 제공한다. 즉, 도 4e에서 'Bridge' 메뉴 선택시 표시부(170)의 화면에는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강 대교의 교통상황을 나타내는 TPEG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된다.
이와 같이, 선택된 데이터 서비스에 부가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부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구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부가 기능을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 화면을 원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현재 튜닝중인 채널에서 수신 가능한 데이터 서비스의 목록을 알려주고, 상기 서비스 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데이터 서비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데이터 서비스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해 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데이터 서비스 관련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쉽게 선택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 서비스 중 디스플레이하기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되는 데이터 서비스에 대해서는, 해당 서비스를 제공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사용자가 예측할 수 있도록 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 동안 이전에 시청중인던 프로그램을 계속해서 시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Claims (6)

  1. 현재 튜닝중인 방송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서비스 목록을 검색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데이터 서비스 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데이터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데이터 서비스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방송 수신기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목록 검색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서비스 목록 표시 요청이 있는 경우에 검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목록 표시 요청은,
    메뉴키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목록 메뉴를 포함한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메뉴화면에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목록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목은 검색은,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전송 프레임에 포함된 FIC(Fast Information Channel)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전에,
    상기 디코딩되는 상황을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로 구현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데이터 서비스는, 교통 및 여행 정보를 제공하는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s Group) 서비스, 슬라이드 쇼(Slide show) 서비스, XML 기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서비스 및 방송 웹 사이트(Broadcast Web Site)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에서 데이터 서비스 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20050131413A 2005-12-28 2005-12-28 방송 수신기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제공 방법 KR100790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413A KR100790626B1 (ko) 2005-12-28 2005-12-28 방송 수신기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413A KR100790626B1 (ko) 2005-12-28 2005-12-28 방송 수신기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380A true KR20070069380A (ko) 2007-07-03
KR100790626B1 KR100790626B1 (ko) 2008-01-02

Family

ID=38505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1413A KR100790626B1 (ko) 2005-12-28 2005-12-28 방송 수신기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06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366B1 (ko) * 2006-07-07 2009-0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에서 통합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dmb 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6472A (ko) * 1997-12-29 1999-07-15 전주범 위성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제어 방법
KR100577173B1 (ko) * 1999-03-13 2006-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 방법
KR100319869B1 (ko) * 1999-06-28 2002-01-10 윤종용 방송 신호 선택방법
KR100757396B1 (ko) * 1999-10-18 2007-09-11 가부시키가이샤 덴츠 텔레비전 방송 방법, 텔레비전 방송 장치, 수신 장치 및매체
KR100514817B1 (ko) * 2003-01-17 2005-09-14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대화형 디지털 텔레비전용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366B1 (ko) * 2006-07-07 2009-0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에서 통합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dmb 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0626B1 (ko) 200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4171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receiver using the method
KR100744210B1 (ko) 방송송신장치와, 이의 방송신호 송신방법 및방송수신장치와, 이의 예약녹화방법
KR100744284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148935A (ja) 放送用端末機の番組検索装置及び番組検索方法
US8055220B2 (en) Broadcast receiver for and method of providing broadcast channel information
JP5185798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番組予約システムおよび番組予約方法
WO2007094637A1 (en) Broacast reeciving apparatus, method of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and digital television signal
JP2009111765A (ja) デジタル放送の受信装置および受信制御方法、デジタル放送送信装置
KR101158436B1 (ko)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 및 이를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KR100790626B1 (ko) 방송 수신기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제공 방법
KR100810238B1 (ko)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듀얼 튜너를 이용하여수신기능을 향상시키는 dmb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744385B1 (ko) 방송 미리보기 서비스 제공을 위한 dmb 단말기 및 방법
KR100698753B1 (ko) Dmb 단말기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자동 실행 방법 및 예약 저장 방법
KR20070020634A (ko)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 정보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멀티미디어 방송 자동 접속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 및멀티미디어 방송 자동 접속 방법
KR101414389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전자서비스 가이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KR100633984B1 (ko) 화면의 부분 확대가 가능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타송출 및 수신 방법
KR20070016008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시의 서비스 맵 구현 방법 및이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KR20060105186A (ko) 방송프로그램 시작알림 장치 및 방법
KR101241878B1 (ko) 프로그램 안내를 위한 데이터 구조, 방법, 그리고 방송수신기
KR101227492B1 (ko) 프로그램 안내를 위한 데이터 구조, 방법, 그리고 방송수신기
KR100750471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재생 방법
KR20070070953A (ko) 프로그램 안내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이동형 방송 수신기
KR20060099964A (ko) 이동멀티미디어방송 서비스 도중 무선인터넷 접속 시스템및 그 방법
JP2002344839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8167050A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放送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