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436B1 -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 및 이를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 및 이를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436B1
KR101158436B1 KR1020060055868A KR20060055868A KR101158436B1 KR 101158436 B1 KR101158436 B1 KR 101158436B1 KR 1020060055868 A KR1020060055868 A KR 1020060055868A KR 20060055868 A KR20060055868 A KR 20060055868A KR 101158436 B1 KR101158436 B1 KR 101158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onal information
digital
digital broadcasting
digital broadcast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5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1171A (ko
Inventor
이진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5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436B1/ko
Priority to EP07110546A priority patent/EP1871102A3/en
Priority to US11/766,015 priority patent/US20070300281A1/en
Priority to CNA2007101280194A priority patent/CN101094373A/zh
Publication of KR20070121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4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additional data with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e.g. of EPG data or interactive icon with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및 상기 디지털 방송과 관련된 부가 정보의 동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과 상기 부가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의 출력 속도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부가 정보의 출력 속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방송과 이와 관련된 부가 정보와의 동기를 수신단에서 제어할 수 있으므로 편리한 장점이 있다.
디지털 방송, 오디오 방송, 부가 정보, 텍스트, 동기(synchronism)

Description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Method of Controlling Synchronization of Digital Broadcast and Additional Information and Digital Broadcast Terminal for Embody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Eureka-147에 따른 DAB 오디오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를 제어하는 화면의 일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방송과 이와 관련된 부가 정보와의 동기를 수신단에서 제어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 다.
최근 통신 및 방송 기술의 융합 및 발전에 힘입어, 고정된 장소 및 정해진 시각 뿐만 아니라, 이동 중 혹은 시청을 원하는 시각에 디지털 방송을 즐길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였다. 특히, 한국에서는, 2005년 5월부터 위성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S-DMB)이 시작되는 등, 향후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방식의 디지털 방송이 서비스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이동형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디지털 방송의 형태는 크게 비디오 방송, 오디오 방송 및 데이터 방송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는 단지 편의를 위한 것이고 상기의 세 가지 디지털 방송이 별개로 서비스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비디오 방송과 오디오 방송에는 관련되는 부가 정보를 데이터 방송의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가수의 노래를 오디오 방송의 형태로 제공하면서 그 가수의 사진과 함께 노래 가사를 부가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주로 텍스트로 제공되는 노래 가사와 스피커를 통해 흘러나오는 가수의 노래의 동기(synchronism)가 맞지 않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시각적 정보인 텍스트 정보(노래 가사)와 청각적 정보인 오디오 정보(노래)의 시간적 갭(gap)이 발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보의 혼란을 초래하거나 불편함을 안겨주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원인으로는, 채널 환경이 수시로 변화함에 따라 단말기의 데이터 수집 속도가 시간에 따라 가변적인 점, 현재 출시되고 있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마다 디지털 방송망으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의 처리 속도가 서로 다른 점,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마다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채택하고 있는 점 등이 있다. 예를 들어, 노래 가사를 텍스트 정보로서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때, 텍스트 정보를 스크롤하면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와 소정의 길이를 갖는 텍스트 정보를 한 번씩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 오디오 정보와 텍스트 정보와의 시간적 갭이 서로 달라진다. 즉,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는 방송국은, 사용자의 가독성(可讀性)을 무시한 채 정보를 지속적으로 전송하므로, 사용자의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의 동기가 맞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사용자로서는, 듣고 있는 노래와 보고 있는 노래 가사가 서로 불일치하게 되면, 많은 불편함을 느낄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수신단에서 디지털 방송과 이와 관련되는 부가 정보의 동기를 제어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단에서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를 제어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수동 제어 방법과, 디지털 방송망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이용한 자동 제어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를 위한 다양한 선택 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디 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은,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및 상기 디지털 방송과 관련된 부가 정보의 동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과 상기 부가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의 출력 속도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부가 정보의 출력 속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은,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과, 상기 디지털 방송과 함께 수신되고 상기 디지털 방송의 내용에 따라 변경되는 부가 정보의 동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부가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의 출력에 따라, 상기 출력되는 디지털 방송에 부합하는 부가 정보를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읽어와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의 출력 속도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부가 정보의 출력 속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은,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망을 통해, 디지털 방송과, 상기 디지털 방송과 관련되고 출력 속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부 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방송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속도에 관한 정보에 부합하는 속도로 상기 부가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는, 표시부 및 음향 출력부; 디지털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고, 오디오 방송과 이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신호를 파싱(parsing)하여, 상기 오디오 방송을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부가 정보의 출력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된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부가 정보의 출력 속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는, 표시부 및 음향 출력부; 디지털 방송망을 통해, 오디오 방송과 상기 오디오 방송의 내용과 관련되고 출력 속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신호를 파싱(parsing)하여, 상기 오디오 방송을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출력 속도에 관한 정보에 부합하는 속도로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방송의 예를 들면, Eureka-147에 기반한 유럽의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와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미국의 퀄컴사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 Media FLO(Forward Link Only), 한국의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일본의 ISDB-T(Integrated Service Digital Broadcasting-Terrestrial) 등이 있다. 한국의 DMB는, Eureka-147에 기반한 T-DMB(Terrestrial-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와, 위성 통신을 이용하는 S-DMB(Satellite-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으로 분류된다. 각각의 디지털 방송의 세부적인 규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에는 주로 이동형 디지털 방송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방송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고정형 디지털 방송에도 적용될 수 있다. 고정형 디지털 방송 규격의 예를 들면, 미국의 제니스(Zenith)사에 의해 개발된 미국식 디지털 TV 규격(ATSC)인 8-VSB, 유럽의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등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이동형 디지털 방송 뿐만 아니라 고정형 디지털 방송 모두에 적용될 수 있 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100), 이동통신 모듈(110), 프로세서(120), 입력부(130), 주 메모리(main memory, 143)와 버퍼(buffer, 145)를 포함하는 메모리부(140), 표시부(150) 및 음향 출력부(160)를 포함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부(100)는, 디지털 방송망을 통해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동통신 모듈(110)은, 이동통신망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로서, 본 발명의 구현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장치로서, 각종 숫자키, 방향키 등을 구비하는 키 패드 혹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부(140)는 주 메모리(143)와 버퍼(1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 메모리(143)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프로세서(120)에 의해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버퍼(145)는, 디지털 방송망을 통해 수신된 부가 정보를 출력하기 전에, 상기 수신된 부가 정보를 임시로 저장한다. 표시부(150)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의 상태 혹은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 장치이다. 음향 출력부(160)는, 음성 등 각종 오디오 정보를 출 력하기 위한 음향 출력 장치이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고,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특히, 프로세서(120)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100)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방송신호에 포함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각 신호를 각 신호의 특성에 부합하는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는 표시부(150)를 통해 출력하고,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는 음향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은, 디지털 방송망을 통해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를 참조하여, 프로세서(120)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Eureka-147에 따른 DAB 오디오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를 제어하는 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의 제1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지털 방송망으로부터 디지털 방송 수신부(100)를 통해 디지털 방송 및 상기 디지털 방송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한다[S20]. 상기 디지털 방송은 오 디오 방송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디지털 방송은 비디오 방송까지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의 내용과 관련되는 이미지 정보 혹은 텍스트 정보를 포함한다. S20 단계의 예를 들면, 음악 방송(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면서, 상기 음악 방송에 관련되는 가수의 사진 정보 혹은 앨범의 사진 정보와 같은 이미지 정보(부가 정보)와 가사와 같은 텍스트 정보(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는 서버에 의해 상기 디지털 방송과 동기화된 후 전송될 수 있다. Eureka-147에 따른 DAB 오디오 프레임을 이용하여 부가 정보를 전송하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X-PAD(Extended Programme Associated Data, 30)는, 텍스트, 관련 정보 등 오디오 정보와 함께 청취자에게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필드이다. X-PAD(30)의 길이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선택된다. 즉, Eureka-147에 따라 DAB 오디오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 X-PAD(30)에 가수의 사진이나 앨범 사진과 같은 부가적인 이미지 정보, 노래에 대한 설명이나 노래 가사와 같은 부가적인 텍스트 정보 등을 실어 보낼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120)는 상기 수신된 부가 정보를 단말기에 구비된 저장 수단에 저장한다[S21]. 상기 저장 수단은 버퍼(145)와 같은 임시 메모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에서 상기 부가 정보의 출력 속도를 조절(S23 및 S24 참조)하여야 하는데, S20 단계에서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속도와 상기 단말기에 서 부가 정보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속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이를 완충하기 위해 상기 저장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다.
그 후, 프로세서(120)는,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을 출력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의 출력에 따라 상기 출력되는 디지털 방송에 부합하는 부가 정보를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읽어와 출력한다[S22]. 도 4는, S22 단계에서 오디오 방송 및 부가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부가 정보는, 출력되는 오디오 방송과 관련된 가수의 이미지 정보(40)와 가사 정보(42)이다. 상기 오디오 방송은, 음향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 부가 정보 중 텍스트 정보는 표시부(150)의 소정의 위치에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스크롤되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텍스트 정보로서 가사 정보(42)가 표시부(150)의 하단에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스크롤되면서(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그 후, 프로세서(120)는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의 출력 속도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한다[S23]. 예를 들어, S22 단계에서 가사 정보(42)의 스크롤 속도가 음향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방송의 속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방향키(50)를 이용하여 가사 정보(42)의 스크롤 속도를 변경하기 위한 명령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가사 정보(42)의 스크롤 속도와 오디오 방송의 출력 속도와의 동기(synchronism)와는 상관없이, 자신의 기호에 맞게 가사 정보(42)의 스크롤 속도를 조절하고 싶은 경우도 있을 것이다.
그 후, 프로세서(120)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부가 정보의 출력 속 도를 변경한다[S24]. 예를 들어, S23 단계에서 사용자가 가사 정보(42)의 스크롤 속도를 높이기 위해 상(上) 방향이 할당된 버튼(50a)을 누른 경우, 프로세서(120)는 가사 정보(42)의 스크롤 속도를 높임으로써, 가사 정보(42)의 출력 속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예를 들어, S23 단계에서 사용자가 하(下) 방향이 할당된 버튼(50b)를 누른 경우, 프로세서(120)는 가사 정보(42)의 스크롤 속도를 낮춤으로써, 가사 정보(42), 즉 부가 정보의 출력 속도를 감소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지털 방송망으로부터 디지털 방송 수신부(100)를 통해 디지털 방송 및 상기 디지털 방송과 관련되고 출력 속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수신한다[S50]. 상기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에 관한 세부적인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단,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은, 상기 부가 정보가 출력 속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과 다르다.
상기 출력 속도에 관한 정보는, 상기 디지털 방송과 상기 부가 정보의 동기화를 위해,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에서 상기 부가 정보가 출력되어야 하는 속도에 관한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DAB 오디오 프레임의 특정 구역에, X-PAD에 포함된 부가 정보의 출력 속도에 관한 정보 구역을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정보 구역에 0~7 중 어느 하나의 값을 실어 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할당된 정보 구역에 포함된 값이 0이면, 전송되는 DAB 오디오 방송이 매우 느린 템포의 음악이므로, 단말기에서는 수신하는 부가 정보의 출력 속도를 늦추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할당된 정보 구역에 포함된 값이 7이면, 전송되는 DAB 오디오 방송이 매우 빠른 템포의 음악이므로, 단말기에서는 수신하는 부가 정보의 출력 속도를 높이게 된다.
그 후, 프로세서(120)는,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을 출력하고[S51], 상기 출력 속도에 관한 정보에 부합하는 속도로 상기 수신된 부가 정보를 출력한다[S52].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수신된 부가 정보의 출력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방송망으로부터 수신한 출력 속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부가 정보의 출력 속도가 조절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주로 오디오 방송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오디오 방송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비디오 방송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 채널을 통해 비디오 방송을 제공함과 동시에 관련되는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이다. 외국에서 수입된 영화를 서비스할 때 자막을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라 부가 정보에 해당하는 자막의 출력 속도를 조절 혹은 변경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키 조작 등을 통해 자막의 출력 속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비디 오 방송의 제공자가 미리 자막의 출력 속도에 관한 정보를 실어 보낸 경우, 단말기에서 상기 자막의 출력 속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 자막의 출력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방송의 전송단에서의 동기화와는 별도로 수신단에서 디지털 방송과 이와 관련되는 부가 정보의 동기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단에서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를 제어함으로써, 방송망의 채널 특성의 변화, 단말기의 기종,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상관없이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수동 제어 방법과, 디지털 방송망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이용한 자동 제어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를 위한 다양한 선택 모드를 제공할 수 있 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및 상기 디지털 방송과 관련된 부가 정보의 동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의 출력과 상기 부가 정보의 출력이 서로 동기화 되어, 상기 디지털 방송과 상기 부가 정보를 제 1 속도로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의 출력 속도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방송의 출력과 상기 부가 정보의 출력 간의 동기화가 해제되어, 상기 디지털 방송을 제 1 속도로 출력하되 상기 부가 정보를 제 1 속도와는 다른 제 2 속도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
  2.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과, 상기 디지털 방송과 함께 수신되고 상기 디지털 방송의 내용에 따라 변경되는 부가 정보의 동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부가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을 제 1 속도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의 출력에 따라, 상기 출력되는 디지털 방송에 동기화된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읽어와 제 1 속도로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의 출력 속도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방송의 출력과 상기 부가 정보의 출력 간의 동기화가 해제되어, 상기 디지털 방송을 제 1 속도로 출력하되 상기 부가 정보를 제 1 속도와는 다른 제 2 속도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은
    오디오 방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는 서버에 의해 상기 디지털 방송과 동기화된 후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디지털 방송의 내용과 관련된 텍스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정보는,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표시 수단의 소정의 위치에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스크롤되면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
  8. 삭제
  9. 삭제
  10. 표시부 및 음향 출력부;
    디지털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고, 오디오 방송과 이와 동기화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신호를 파싱(parsing)하여, 상기 오디오 방송을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해 제 1 속도로 출력하고, 상기 오디오 방송과 동기화된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제 1 속도로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부가 정보의 출력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된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오디오 방송의 출력과 상기 부가 정보의 출력 간의 동기화가 해제되어, 상기 오디오 방송을 제 1 속도로 출력하되 상기 부가 정보를 제 1 속도와는 다른 제 2 속도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기 전에 상기 부가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버퍼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된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버퍼에 저장되는 상기 부가 정보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기능을 갖 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13. 삭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오디오 방송을 제공하는 서버에 의해 상기 오디오 방송과 동기화된 후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오디오 방송의 내용과 관련된 텍스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정보는,
    상기 표시부의 소정의 위치에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스크롤되면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17. 삭제
KR1020060055868A 2006-06-21 2006-06-21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 및 이를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KR101158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868A KR101158436B1 (ko) 2006-06-21 2006-06-21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 및 이를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EP07110546A EP1871102A3 (en) 2006-06-21 2007-06-19 Digital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and method of reproducing digital broadcast thereof
US11/766,015 US20070300281A1 (en) 2006-06-21 2007-06-20 Digital broadcast receving terminal and method of reproducing digital broadcast thereof
CNA2007101280194A CN101094373A (zh) 2006-06-21 2007-06-21 数字广播接收终端及其再现数字广播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868A KR101158436B1 (ko) 2006-06-21 2006-06-21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 및 이를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171A KR20070121171A (ko) 2007-12-27
KR101158436B1 true KR101158436B1 (ko) 2012-06-22

Family

ID=38578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868A KR101158436B1 (ko) 2006-06-21 2006-06-21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 및 이를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300281A1 (ko)
EP (1) EP1871102A3 (ko)
KR (1) KR101158436B1 (ko)
CN (1) CN1010943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18867B2 (en) * 2012-05-30 2015-08-25 John M. McCary Digital radio producing, broadcasting and receiving songs with lyrics
US20160249091A1 (en) * 2015-02-20 2016-08-25 Spotify Ab Method and a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 media stream
CN105869617A (zh) * 2016-03-25 2016-08-17 北京海尔集成电路设计有限公司 一种基于中国数字音频广播的卡拉ok装置
US10459620B2 (en) * 2018-02-09 2019-10-29 Nedelco, Inc. Caption rate control
FR3140504A1 (fr) * 2022-09-29 2024-04-05 Orange Gestion de la lecture d’un contenu multimédi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563A (ko) * 1998-09-30 2000-04-25 전주범 텔레비젼에서의 자막 표시 제어 방법
KR20000057469A (ko) * 1996-12-19 2000-09-15 크리트먼 어윈 엠 텍스트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조절된 스크롤링 속도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KR20000072951A (ko) * 1999-05-03 2000-12-05 구자홍 학습용 티브이의 표시제어장치 및 방법
KR20010003237A (ko) * 1999-06-22 2001-01-15 구자홍 티브이 방송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과 방송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7470A (ja) * 1990-07-06 1992-03-03 Pioneer Electron Corp 情報記憶装置及び情報再生装置
JPH07203396A (ja) * 1993-12-28 1995-08-04 Sony Corp 字幕データ復号化装置
JPH08322046A (ja) * 1995-03-20 1996-12-03 Sony Corp データ符号化/復号化方法および装置、および符号化データ記録媒体
US5936618A (en) * 1996-04-19 1999-08-10 U.S. Philips Corporation Information display device with adaptive scroll speed
JP3374771B2 (ja) * 1998-12-16 2003-02-10 株式会社デンソー 通信端末装置
US7308697B1 (en) * 1999-07-14 2007-12-11 Scientific-Atlant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media messaging in a cable or satellite subscriber system
US20030181159A1 (en) * 2002-03-22 2003-09-25 Paul Heinerscheid Combination of multiple regional beams and a wide-area beam provided by a satellite system
US20040022231A1 (en) * 2002-07-30 2004-02-05 John Morrish Time diversity techniques
AU2003263732A1 (en) * 2002-10-11 2004-05-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programme-associated data to generate relevant visual displays for audio contents
JP4128916B2 (ja) * 2003-08-15 2008-07-30 株式会社東芝 字幕制御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20050097621A1 (en) * 2003-11-03 2005-05-05 Wallace Michael W. Method and apparatus for synopsizing program content during presentation
GB0404728D0 (en) * 2004-03-03 2004-04-07 Pace Micro Tech Plc System for adaptation of received digital data
KR100636198B1 (ko) * 2004-11-26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방송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데이터 방송컨텐츠 수신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7469A (ko) * 1996-12-19 2000-09-15 크리트먼 어윈 엠 텍스트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조절된 스크롤링 속도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KR20000021563A (ko) * 1998-09-30 2000-04-25 전주범 텔레비젼에서의 자막 표시 제어 방법
KR20000072951A (ko) * 1999-05-03 2000-12-05 구자홍 학습용 티브이의 표시제어장치 및 방법
KR20010003237A (ko) * 1999-06-22 2001-01-15 구자홍 티브이 방송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과 방송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71102A2 (en) 2007-12-26
KR20070121171A (ko) 2007-12-27
EP1871102A3 (en) 2011-07-06
US20070300281A1 (en) 2007-12-27
CN101094373A (zh) 200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9924B2 (en) Multi-scre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broadcast receiver
KR100754676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관리 장치 및 방법
US8588588B2 (en) Television receiver and program data reception method
EP2611051B1 (en) Method for synchronizing media services
AU2007201003B2 (en) Method for playback of broadcast data in receiver
US20060274201A1 (en) Method of converting digtial broadcast contents and digital broadcast terminal having function of the same
US20070074248A1 (en) Remote controller for portabl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101158436B1 (ko) 디지털 방송과 부가 정보의 동기 제어 방법 및 이를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US8509589B2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for receiving broadcast program
JP5394248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EP1763245B1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outputt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therefor
KR101462279B1 (ko) Iptv에서의 시청 예약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0790626B1 (ko) 방송 수신기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제공 방법
KR101358610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제공 방법
KR101362576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제공 방법
KR20070121425A (ko)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방송 수신기와방송 시스템
KR20080035308A (ko)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 데이터 재생 방법
KR100609161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컨텐츠 이용방법
KR20070118810A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KR20070118811A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JP2008178026A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放送表示方法
KR20080058677A (ko)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 데이터 재생 및 저장방법
JP2008167033A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放送表示方法
KR20070098306A (ko) 방송 신호의 재생/녹화 장치, 이 장치를 가지는 휴대용단말기
KR20070071844A (ko) 인터넷 접속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