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610B1 -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610B1
KR101358610B1 KR1020070028051A KR20070028051A KR101358610B1 KR 101358610 B1 KR101358610 B1 KR 101358610B1 KR 1020070028051 A KR1020070028051 A KR 1020070028051A KR 20070028051 A KR20070028051 A KR 20070028051A KR 101358610 B1 KR101358610 B1 KR 101358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video
video broadcast
specific
represent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6198A (ko
Inventor
김운영
이건식
박선주
황인영
심재희
김유진
신상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8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610B1/ko
Publication of KR20080086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06F16/7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F16/739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in form of a video summary, e.g. the video summary being a video sequence, a composite still image or having synthesized fr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2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by placing content in organized collections, e.g. local EPG data reposit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1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grid, e.g. sorted out by channel and broadcast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디오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에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비디오(video) 방송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방송의 수신 중,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방송을 포함하는 비디오 리스트(list)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리스트 중 특정 비디오 방송이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특정 비디오 방송을 대표하는 복수의 대표 영상들을 재생 시간의 순서대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에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방송 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방송 수신 장치, 비디오 방송, 대표 영상

Description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Representative Picture Using Sam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방송 신호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방송 수신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비디오 리스트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디오 리스트와 대표 영상들을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대표 영상들의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비디오 방송의 대 표 영상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특정 대표 영상이 선택되면 메뉴 리스트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방송국 11: 방송 수신 장치(휴대폰)
12: 방송 수신 장치(TV) 100: 방송 수신부
110: 입력부 120: 표시부
130: A/V 디코딩부 140: 메모리부
150: 제어부 160: 통신 모듈
본 발명은,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비디오 방송을 녹화(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녹화된 비디오 방송을 검색할 때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최근의 추세와 요청에 따라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녹화된 비디오 방송을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녹화된 특정 비디오 방송을 원하는 부분부터 재생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은, 비디오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에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비디오(video) 방송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방송의 수신 중,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방송을 포함하는 비디오 리스트(list)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리스트 중 특정 비디오 방송이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특정 비디오 방송을 대표하는 복수의 대표 영상들을 재생 시간의 순서대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는, 표시부; 입력부;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 수신부;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방송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방송 수신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비디오 방송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비디오 방송의 수신 중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방송의 리스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리스트 중 특정 비디오 방송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특정 비디오 방송을 대표하는 복수의 대표 영상들을 재생 시간의 순서대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은, 방송국(broadcasting station, 10), 적어도 하나의 방송 수신 장치(11, 12)를 포함한다. 방송국(10)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와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실은 방송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도 1에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예로서,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휴대폰(11)과, 텔레비젼(television, TV set, 12)이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다양한 방송 규격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방송 규격의 예를 들면, Eureka-147[ETSI EN 300 401]에 기반한 유럽의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미국의 퀄컴사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 Media FLO(Forward Link Only), 한국의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일본의 ISDB-T(Integrated Service Digital Broadcasting-Terrestrial) 등이 있다. 한국의 DMB는, Eureka-147에 기반한 T-DMB(Terrestrial-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과, 위성 통신을 이용하는 S-DMB(Satellite-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으로 분류된다. 각각의 방송 규격에 대한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방송 규격은, 전술한 이동형 디지털 방송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미국의 제니스(Zenith)사에 의해 개발된 미국식 디지털 TV 규격(ATSC)인 8-VSB, 유럽의 DVB-T(Digital Broadcasting-Terrestrial)와 같은 고정형 방송 규격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방송 신호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수신부(100), 입력부(110), 표시부(120), A/V 디코딩부(Audio/Video Decoding Unit, 130), 메모리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 요소는, 버스(bus, 17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각 구성 요소의 버스(170)에 의한 연결은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반드시 이에 의하여야 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방송 수신부(100)는, 방송국(10)으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 장 치이다. 방송 수신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방송 수신부(100)가 두 개의 서로 다른 채널을 통한 두 개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경우 두 개의 튜너(tuner)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0)는, 방송국(10)으로부터 수신한 방송 신호를 A/V 디코딩부(130) 및/또는 메모리부(140) 특히 제1 메모리(141)로 전달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장치로서, 각종 숫자키, 방향키 등을 구비하는 키 패드 혹은 터치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입력 장치의 일 예로서 터치 스크린은, 입력 기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제어부(15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이동 단말기의 상태 혹은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 장치이다.
A/V 디코딩부(130)는, 방송 수신부(100) 혹은 메모리부(140)로부터 전달되는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여 표시부(140) 및/또는 오디오 출력 장치(예를 들어, 스피커, 도면에는 미도시)를 통해 출력한다.
메모리부(140)는, 방송 수신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50)에 의해 방송 수신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메모리(141)와, 제2 메모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모리(141)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버퍼(buffer)이고, 제2 메모리(143)는 외부 명령에 의해 의도적으로 삭제되기 전까지 는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주메모리(main memory)일 수 있다. 한편 제1 메모리(141)는 전원 공급이 끊기면 데이터가 사라지는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이고, 제2 메모리(143)는 전원 공급이 끊기더라도 데이터가 보존되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일 수 있다.
제1 메모리(141)는, 방송 수신부(100)로부터 전달되는 방송 신호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제2 메모리(143)는, 비디오 저장부(143a)와 대표 영상 저장부(143b)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저장부(143a)는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방송을 저장할 수 있다. 대표 영상 저장부(143b)는, 비디오 저장부(143a)에 저장된 특정 비디오 방송을 대표하는 복수의 대표 영상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는, 통신 모듈(16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통신 모듈(160)은, 방송망을 제외한 외부 통신망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장치이다. 상기 외부 통신망의 예를 들면,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CDMA 또는 GSM 방식에 의한 이동통신망 등이 있다. 즉 통신 모듈(160)은, 인터넷 접속, 음성/영상 통화 또는 메시지/이메일(E-mail) 송수신과 같은 통신 기능을 구현하는 경우 필요한 구성 요소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비 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은, 도 2 및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50)는, 방송국(10)으로부터 방송 수신부(100)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비디오 방송을 표시부(120)에 표시한다[S400]. 도 5는, 방송 수신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참조번호 20은, 실시간으로 수신되어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비디오 방송을 나타낸다.
제어부(150)는, 상기 S400 단계의 수행 중, 비디오 저장부(143a)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방송을 포함하는 비디오 리스트(list)를 표시부(120)에 표시한다[S410].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입력부(110)에 구비된 특정 키(key)를 누름으로써 상기 S410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가 TV(12)인 경우, 사용자는 리모콘의 특정 키를 눌러서 상기 비디오 리스트가 표시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리스트는, 그 전체 또는 일부가 투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비디오 리스트를, 상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비디오 방송이 표시되는 영역 위에 겹쳐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상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비디오 방송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과, 상기 비디오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을 표시부(120)에 별개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비디오 리스트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 다. 도 6a는 상기 비디오 리스트가 상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비디오 방송이 표시되는 영역 위에 겹쳐서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입력부(110)를 통해 특정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비디오 리스트를 표시하는 팝업창(30)을 OSD(On Screen Display) 방식으로 표시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b 및 도 6c는, 상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비디오 방송이 표시되는 영역과, 상기 비디오 리스트가 표시되는 영역이 별개인 경우이다. 도 6a는, 상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비디오 방송이 표시되는 화면의 일부가 상기 비디오 리스트가 표시되는 영역에 의해 가려지는 경우이다. 도 6b는, 상기 비디오 리스트가 표시됨에 따라, 상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비디오 방송이 표시되는 화면이 소정 비율로 축소되는 경우이다. 즉 도 6a에서는, 상기 비디오 리스트가 표시됨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실시간 비디오 방송의 일부 화면을 볼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도 6b에서는, 상기 비디오 리스트가 표시되더라도, 사용자는 상기 실시간 비디오 방송의 전체 화면을 도 5의 경우보다 축소된 형태로 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비디오 리스트를 표시할 때,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방송의 제목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방송이 저장된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 내지 도 6c에서, "비디오 방송 1" ~ "비디오 방송 6"은 제목을 표시한다. 그리고 참조번호 41은, 비디오 방송 2가 저장된 시각을 나타낸다. 상기 비디오 방송의 제목은,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외부로부터 수신한 전자프로그램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를 통해 획득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디오 방송의 제목은, 해당 비디오 방송이 저장될 때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6a 내지 도 6c에서 참조번호 42는, 상기 비디오 리스트에 포함되는 비디오 방송을 해당 영역에 모두 표시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비디오 리스트가 현재 표시된 비디오 방송의 개수보다 더 많은 비디오 방송을 포함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지시자이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10)를 통해 상기 비디오 리스트 중 특정 비디오 방송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S420]. 제어부(150)는, 상기 비디오 리스트 중 특정 비디오 방송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자(40)를 표시할 수 있다. 지시자(40)는,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bar)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지시자(40)는, 특정 비디오 방송의 제목이 커지거나 하이라이트(highlight)되는 방식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비디오 방송 "가 선택된 경우를 나타낸다.
제어부(150)는, 상기 특정 비디오 방송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선택된 특정 비디오 방송에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메뉴 리스트를 표시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메뉴 리스트는, 재생하는 메뉴(PLAY), 처음부터 다시 재생하는 메뉴(RESUME), 화면 이동하는 메뉴(MOVE), 복사하는 메뉴(COPY), 제목을 바꾸는 메뉴(RENAME), USB와 같은 외부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메뉴(USB BACK-UP) 및 삭제하는 메뉴(CANCE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된 특정 비디오 방송을 대표하는 복수의 대표 영상 들(43)을 재생 시간의 순서대로 표시부(120)에 표시한다[S430]. 한편, 제어부(150)는, 상기 S410 단계를 수행할 때, 디폴트로 선택되는 특정 비디오 방송을 대표하는 복수의 대표 영상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복수의 대표 영상들(43)은, 1부터 8까지의 숫자로 구분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정지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대표 영상들은, 상기 특정 비디오 방송의 총 재생 구간을 대표할 수도 있고, 일부 재생 구간을 대표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대표 영상들이 상기 특정 비디오 방송의 일부 재생 구간을 대표하는 경우, 상기 특정 비디오 방송을 대표하는 대표 영상들이 더 존재함을 알리기 위한 지시자(44)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대표 영상들은, 상기 특정 비디오 방송을 구성하는 영상 프레임들 중, 소정의 재생 시간 간격마다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 내지 도 6c에서, "비디오 방송 2"의 총 재생 시간이 32분인 경우, 상기 복수의 대표 영상들(32)은, 4분 간격으로 0분("1"), 4분("2"), 8분("3"), 12분("4"), 16분("5"), 20분("6"), 24분("7"), 28분("8")에 해당하는 대표 영상들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대표 영상들이, 상기 특정 비디오 방송을 구성하는 영상 프레임들로부터 추출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대표 영상들은, 대표 영상 저장부(143b)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S420 단계에서 상기 특정 비디오 방송이 선택될 때, 제어부(150)는, 대표 영상 저장부(143b)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선택된 특정 비디오 방송을 대표하는 복수의 대표 영상들을 호출하여 표시부(120)에 표시할 수 있 다. 상기 특정 비디오 방송이 비디오 저장부(143a)에 저장될 때, 소정 방식에 의해 상기 복수의 대표 영상들이 추출되어 대표 영상 저장부(143b)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대표 영상들의 위치 정보 또는 시간 정보가, 상기 복수의 대표 영상들과 함께 대표 영상 저장부(143b)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또는 시간 정보는, 상기 각 대표 영상이 상기 특정 비디오 방송의 총 재생 구간에서 어디쯤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상기 복수의 대표 영상들은, 상기 S420 단계에서 상기 특정 비디오 방송이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특정 비디오 방송으로부터 추출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녹화된 비디오 방송을 검색할 때 상기 복수의 대표 영상들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특정 비디오 방송의 내용과 전반적인 줄거리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녹화된 비디오 방송을 검색할 때 비디오 방송의 제목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대표 영상들에 의해 대략적인 내용을 알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표시된 복수의 대표 영상들 중 특정 대표 영상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S440]. 제어부(150)는, 특정 대표 영상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자(4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지시자(45)는, 하이라이트 방식으로 표시된다. 한편, 제어부(150)는, 현재 선택된 특정 대표 영상을 나머지 대표 영상들보다 크게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10)에 구비된 방향키를 조작하여 특정 대표 영상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자(45)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입력부(110)에 구비된 숫자키를 이용하여 특정 대표 영상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자(45)를 이동시키거나 특정 대표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서 사용자가 입력부(110)에 구비된 숫자키 "3"을 누르면, 지시자(45)가 상기 복수의 대표 영상들(43) 중 왼쪽에서 세 번째에 위치하는 대표 영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디오 리스트와 대표 영상들을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는, "Shrek"이라는 비디오 방송이 선택되어 있고, "Shrek"을 대표하는 복수의 대표 영상들 중 좌측에서 6번째의 대표 영상이 선택된 경우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대표 영상들의 예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조작함으로써 대표 영상(45)을 지시하는 지시자(47)를 도 8(a)의 상태에서 도 8(b) 및 도 8(c)의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된 특정 대표 영상부터 상기 특정 비디오 방송을 재생한다[S450]. 이때 제어부(150)는, 상기 S450 단계의 수행을 위해, 상기 특정 비디오 방송의 전체 구간 중에서 상기 선택된 특정 대표 영상을 탐색할 수 있다. 상기 탐색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대표 영상들이 위치 정보 또는 시간 정보와 함께 대표 영상 저장부(143b)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위치 정보 또는 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특정 대표 영상을 상기 특정 비디오 방송의 전체 구간 중에서 탐색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비디오 방송에 대해 예약 녹화를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광고 화면이 녹화될 수 있다. 사용자가 예약 녹화가 완료된 비디오 방송을 재생할 때 상기 광고 화면을 스킵(skip)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복수의 대표 영상들 중 특정 대표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은, 도 2 및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과의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과 비교하면, 도 9의 S900 단계 내지 S940 단계는, S400 단계 내지 S440 단계와 동일하다.
즉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에 의하면, 특정 대표 영상이 선택되면[S440, S940],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된 특정 대표 영상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메뉴 리스트를 표시한다[S950].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특정 대표 영상이 선택되면 메뉴 리스트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메뉴 리스트(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특정 대표 영상을 메모리부(140)에 저장하는 메뉴, 상기 선택된 특정 대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메뉴 및 상기 선택된 특정 대표 영상부터 상기 특정 비디오 방송을 재생하는 메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뉴 리스트(50)는, 상기 선택된 특정 대표 영상들을 처리하기 위한 다른 메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10)를 통해 상기 메뉴 리스트 중 특정 메뉴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S960].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조작하여 메뉴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자(51)를 상기 메뉴 리스트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지시자(510)가 현재 지시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특정 메뉴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선택된 특정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S970].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10에 도시된 메뉴 리스트(50) 중 "1. 저장"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150)는 대표 영상 "6"을 메모리부(140)의 특정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10에 도시된 메뉴 리스트(50) 중 "2. 외부 전송"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150)는 대표 영상 "6"을 통신 모듈(160)을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대표 영상 "6"은, 단문메시지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또는 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에 의한 메시지, 또는 이메일(E-mail)에 첨부되어 통신 모듈(160)을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녹화된 비디오 방송을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녹화된 특정 비디오 방송을 원하는 부분부터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비디오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에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비디오(video) 방송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방송의 수신 중,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방송을 포함하는 비디오 리스트(list)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리스트 중 특정 비디오 방송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특정 비디오 방송을 구성하는 영상 프레임 중 설정된 시간마다 추출된 복수의 대표 영상들을 재생 시간의 순서대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복수의 대표 영상들 중 특정 대표 영상이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특정 대표 영상의 추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비디오 방송의 전체 재생 구간 중 상기 특정 대표 영상의 재생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에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화면은,
    상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비디오 방송을 표시하기 위한 제1 영역과, 상기 비디오 리스트 및 상기 복수의 대표 영상들을 표시하기 위한 제2 영역을 별개로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에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방송의 제목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방송이 저장된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에 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방송의 제목은,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외부로부터 수신한 전자프로그램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를 통해 획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에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리스트 및 상기 복수의 대표 영상들은,
    상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비디오 방송이 표시되는 화면 위에 겹쳐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에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표 영상들은,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고, 상기 특정 비디오 방송이 선택될 때 상기 저장부에서 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에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대표 영상부터 상기 특정 비디오 방송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에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대표 영상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메뉴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에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리스트는,
    상기 특정 대표 영상을 저장하는 메뉴, 상기 특정 대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메뉴 및 상기 특정 대표 영상부터 상기 특정 비디오 방송을 재생하는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에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
  11. 표시부;
    입력부;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 수신부;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방송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방송 수신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비디오 방송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비디오 방송의 수신 중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방송의 리스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리스트 중 특정 비디오 방송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특정 비디오 방송을 구성하는 영상 프레임 중 설정된 시간마다 추출된 복수의 대표 영상들을 재생 시간의 순서대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표시된 복수의 대표 영상들 중 특정 대표 영상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특정 대표 영상의 추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비디오 방송의 전체 재생 구간 중 상기 특정 대표 영상의 재생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비디오 방송을 표시하기 위한 제1 영역과, 상기 리스트 및 상기 복수의 대표 영상들을 표시하기 위한 제2 영역을 상기 표시부에 별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스트를 표시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방송의 제목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방송이 저장된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방송의 제목은,
    상기 방송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전자프로그램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해 획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스트 및 상기 복수의 대표 영상들을, 상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비디오 방송이 표시되는 영역 위에 겹쳐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6. 삭제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표 영상들은,
    상기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고, 상기 특정 비디오 방송이 선택되면 상기 메모리부에서 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표시된 복수의 대표 영상들 중 특정 대표 영상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특정 대표 영상부터 상기 특정 비디오 방송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표시된 복수의 대표 영상들 중 특정 대표 영상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특정 대표 영상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메뉴 리스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리스트는,
    상기 특정 대표 영상을 저장하는 메뉴, 상기 특정 대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메뉴 및 상기 특정 대표 영상부터 상기 특정 비디오 방송을 재생하는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KR1020070028051A 2007-03-22 2007-03-22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제공 방법 KR101358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051A KR101358610B1 (ko) 2007-03-22 2007-03-22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051A KR101358610B1 (ko) 2007-03-22 2007-03-22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198A KR20080086198A (ko) 2008-09-25
KR101358610B1 true KR101358610B1 (ko) 2014-02-05

Family

ID=40025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051A KR101358610B1 (ko) 2007-03-22 2007-03-22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6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689B1 (ko) * 2013-04-30 2015-01-12 주식회사 엠오디 숫자정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탐색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5953A (ko) * 1998-10-13 2000-05-06 구자홍 재생리스트 화면 표시방법
KR20040097522A (ko) * 2003-05-12 2004-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녹화 목록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20060039567A (ko) * 2004-11-03 2006-05-09 주식회사 휴맥스 디지털 방송 레코더에서의 챕터 자동 설정장치 및 방법
JP2007036575A (ja) * 2005-07-26 2007-02-08 Fuji Xerox Co Ltd 電子メール送信装置、方法、プログラム、インターネットファックス送信装置、スキャン画像開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5953A (ko) * 1998-10-13 2000-05-06 구자홍 재생리스트 화면 표시방법
KR20040097522A (ko) * 2003-05-12 2004-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녹화 목록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20060039567A (ko) * 2004-11-03 2006-05-09 주식회사 휴맥스 디지털 방송 레코더에서의 챕터 자동 설정장치 및 방법
JP2007036575A (ja) * 2005-07-26 2007-02-08 Fuji Xerox Co Ltd 電子メール送信装置、方法、プログラム、インターネットファックス送信装置、スキャン画像開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198A (ko) 200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4649B2 (en) Method of performing time-shift function and television receiver using the same
KR100883106B1 (ko) 비디오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CA2583331C (en) Method for playback of broadcast data in receiver
EP2007138A1 (en) Channel selection device and method
KR20080028437A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콘텐츠 표시 방법
US7546627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nd recording apparatus
JP4594890B2 (ja) 自動録画再生装置及び自動録画再生装置の制御方法
JP2007104679A (ja) Dmbサービス中におけるdmbデータの再生のためのdmb端末機及び方法
JPH11102550A (ja) 放送情報記録装置
US7822317B2 (en) Broadcast program recording apparatus and program for executing a broadcast program reproducing process
KR101358610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제공 방법
KR100937690B1 (ko) 가상 채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235341B1 (ko)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 데이터 재생 방법
KR100710304B1 (ko) 어플리케이션 검색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방법
KR101362576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제공 방법
KR100710265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735188B1 (ko) 디지털 티브이의 epg 표시 방법
KR101295553B1 (ko) 방송 채널 전환 기능을 갖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및 이를 이용한 방송 채널 전환 방법
KR101242758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녹화상태 확인방법
JP4595006B2 (ja) 記録制御装置及び記録制御装置の制御方法
JP2008104093A (ja) テレビ受信装置およびビデオ録画再生装置並びにこれらを備えたビデオ録画再生システム
US200801206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in portable terminal
US20080104641A1 (en) Broadcast terminal and method of reproducing broadcast data
JP5383975B2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放送表示方法
EP17862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improved selection of a media cha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