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304B1 - 어플리케이션 검색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검색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304B1
KR100710304B1 KR1020050048070A KR20050048070A KR100710304B1 KR 100710304 B1 KR100710304 B1 KR 100710304B1 KR 1020050048070 A KR1020050048070 A KR 1020050048070A KR 20050048070 A KR20050048070 A KR 20050048070A KR 100710304 B1 KR100710304 B1 KR 100710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er
application
screen
channel
television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8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6291A (ko
Inventor
윤왕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8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304B1/ko
Publication of KR20060126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6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검색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리모콘을 통해 입력되는 채널선택 명령에 따라 해당 방송채널을 선택적으로 튜닝하여 방송물을 수신하는 제 1 튜너; 제 1 튜너에 의해 해당 방송채널이 튜닝되고 있는 상태에서, 리모콘을 통해 입력되는 어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에 따라 소정의 방송채널을 튜닝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제 2 튜너; 제 1 튜너에 의해 수신된 방송물을 스크린상에 정화면으로 출력시키고, 방송물이 정화면으로 출력되는 상태에서 제 2 튜너에 의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부화면으로 출력시키는 영상 처리부; 및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여 제 1 튜너에 의해 수신된 방송물을 정화면으로 출력시키고, 리모콘을 통해 입력되는 어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에 따라 제 2 튜너에 의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부화면으로 출력시킨 후, 부화면에 출력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는 방송채널로의 채널전환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텔레비전 수상기, 제 1 튜너, 제 2 튜너, 영상 처리부, 어플리케이션, 채널전환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검색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방법{Television receiver having function of searching for application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검색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가 소정의 방송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검색 및 실행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전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가 제 1 튜너에 의해 수신된 방송물을 스크린상에 출력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가 제 2 튜너에 의해 검색된 어플리케이션을 스크린상에 출력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가 제 2 튜너에 의해 튜닝된 방송채널로의 채널전환을 수행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가 "채널선택" 메뉴가 포함된 메뉴화면을 스크린(102)상에 출력시킨 도면.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가 소정의 채널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채널 입력창을 스크린상에 출력시킨 도면.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가 입력된 채널번호에 제 1 튜너에 의해 튜닝된 방송채널을 통해 수신된 방송물을 스크린 상에 출력시킨 도면.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가 수동튜닝모드로 설정된 제 2 튜너에 의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스크린 상에 출력시킨 도면.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가 자동튜닝모드로 설정된 제 2 튜너에 의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스크린 상에 출력시킨 도면.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가 부화면으로 출력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도면.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을 수행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텔레비젼 수상기 101 : 제 1 튜너
102 : 스크린 103 : 스피커
104 : A/D 컨버터 105 : 비디오 처리부
106 : 오디오 처리부 107 : 영상 처리부
108 : 증폭기 109 : 제 2 튜너
110 : 저장부 111 : 제어부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검색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수상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정의 방송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여 해당 방송채널로의 채널전환을 수행하는 튜너를 구비한 텔레비젼 수상기 및 어플리케이션 검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학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영상이나 오디오 등 여러 형태의 정보를 결합하는 멀티미디어 분야까지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전 속에서 디지털 혁명이라고도 불리는 요즘은, 그 정보의 저장 및 존재 형태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화 되어가고 있다. 비교적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한 동영상데이터의 압축 표준인 MPEG 기술의 발달로 인해 디지털 영상데이터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작아지고 있어 컴퓨터, 방송, 가전, 통신 등 점차적으로 거의 모든 분야에 적용되어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서비스가 제공되고, 그러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디지털 기기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 중에 TV는 일상 생활에서 쉽고, 효과적인 정보 전달 매체로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디지털 기술에 힘입어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MPEG 기술로 압축하여 전송함으로써, 많은 양의 정보를 더욱 빠르고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TV의 등장으로 더욱 많은 방송을 더욱 선명한 화질, 더욱 생생한 음향으로 가정에서도 손쉽게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디지털 TV의 보급으로 시청자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그 정보들을 가지고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프로그램을 선택해서 시청할 수 있게되었다.
또한, 디지털 TV의 보급은 기존의 아날로그 TV보다 몇 십 배 되는 다양한 어 플리케이션, 예를 들면 교통정보, 뉴스정보, 날씨정보, 증권정보 및 예능정보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함으로써 시청자로 하여금 자신의 안방에서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일예로 특허출원번호 제 2002-0076235호에는 데이터 방송 중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정보 표시 마크와 함께 활성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미리보기 화면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국내특허출원 발명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면, (a) 디지털 방송 중 오디오 및 비디오 정보와 함께 어플리케이션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함을 표시하는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b) 메타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미리보기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마크가 선택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텍스트 정보와 함께 미리보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d) 상기 미리보기 이미지를 확인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어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방법의 경우, 튜너에 의해 튜닝되는 방송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해서는 검색이 가능하나 다른 방송채널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검색할 수 없었다.
즉, 다른 방송채널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기 위해서는 해당 방송채널로의 채널을 변환해야만 가능하였고, 이에 의해 시청자는 자신이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없어 자신이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수신중인 방송채널 이외의 다수의 방송채널을 튜닝하는 튜너를 부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다수의 방송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통해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수신중인 방송채널 이외의 다수의 방송채널을 튜닝하는 튜너에 의해 검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는 방송채널로의 채널변환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텔레비젼 수상기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송국별로 할당된 다수의 방송채널을 튜닝하고, 튜닝된 방송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물 및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스크린상에 출력시키는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리모콘을 통해 입력되는 채널선택 명령에 따라 해당 방송채널을 선택적으로 튜닝하여 방송물을 수신하는 제 1 튜너; 제 1 튜너에 의해 해당 방송채널이 튜닝되고 있는 상태에서, 리모콘을 통해 입력되는 어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에 따라 소정의 방송채널을 튜닝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제 2 튜너; 제 1 튜너에 의해 수신된 방송물을 스크린상에 정화면으로 출력시키고, 방송물이 정화면으로 출력되는 상태에서 제 2 튜너에 의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부화면으로 출력시키는 영상 처리부; 및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여 제 1 튜너에 의해 수신된 방송물을 정화면으로 출력시키고, 리모콘을 통해 입력 되는 어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에 따라 제 2 튜너에 의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부화면으로 출력시킨 후, 부화면에 출력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는 방송채널로의 채널전환을 실시간으로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방송국별로 할당된 다수의 방송채널을 튜닝하고, 튜닝된 방송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물과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튜너 및 제 2 튜너를 구비한 텔레비젼 수상기의 어플리케이션 검색 방법에 있어서, 리모콘을 통해 입력되는 채널선택 명령에 따라, 텔레비전 수상기가 제 1 튜너에 의해 수신된 방송물을 스크린상에 정화면으로 출력하는 제 1 단계; 방송물이 정화면으로 출력되는 상태에서 리모콘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 검색명령이 입력되면, 텔리비전 수상기가 제 2 튜너에 의해 검색된 어플리케이션을 스크린상에 부화면으로 출력하는 제 2 단계; 및 리모콘으로부터 부화면에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텔레비전 수상기가 제 2 튜너를 제어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는 방송채널로의 채널전환을 수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전송되는 방송채널을 튜닝하기 위한 별도의 튜너를 구비한 텔레비젼 수상기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텔레비젼 수상기(100)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된 복합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아날로그 영상신호와 소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1 튜너(101)와,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스크린(102)과, 소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03)와, 제 1 튜너(101)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터(104)와, A/D 컨버터(104)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스크린(102)에 적합한 신호형태로 만들어 주는 비디오 처리부(105)와, 튜너(101)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신호를 스피커(103)에 적합한 신호로 만들어 주는 오디오 처리부(106)와, 비디오 처리부(105)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스크린(102)에 출력시키기 위한 영상 처리부(107)와, 오디오 처리부(106)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신호를 증폭시켜 스피커(103)로 출력하는 증폭기(108)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텔레비젼 수상기(100)는, 제 1 튜너(101)에 의해 해당 방송채널이 튜닝되고 있는 상태에서, 리모콘을 통해 입력되는 어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에 따라 소정의 방송채널을 튜닝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제 2 튜너(109); 제 2 튜너에 의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과 텔레비전 수상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구동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110); 및 영상 처리부(107)를 제어하여 제 1 튜너(101)에 의해 수신된 방송물을 정화면으로 출력시키고, 리모콘을 통해 입력되는 어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에 따라 제 2 튜너(109)에 의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부화면으로 출력시킨 후, 부화면에 출력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는 방송채널로의 채널전환을 실시간으로 수행하는 제어부(111)를 구비한다.
제 1 튜너(101)는 방송국별로 설정된 방송채널 중에서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특정 방송채널에 대한 튜닝을 수행하고, 튜닝된 방송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방 송물이 포함된 방송신호를 구성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와 소리신호를 분리하여 A/D 컨버터(104)와 오디오 처리부(106)로 각각 출력한다.
스크린(102)은 영상 처리부(107)에 의해 소정 형태로 출력 처리된 방송물과 어플리케이션을 정화면 또는 부화면 형태로 출력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영상 처리부(107)가 제 1 튜너(101)에 의해 튜닝된 방송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물을 정화면으로 처리하여 출력시키면, 스크린(102)은 영상 처리부(107)에 의해 처리된 방송물을 정화면 형태로 출력한다. 이때, 영상 처리부(107)가 제 1 튜너(101)에 의해 수신된 방송물을 부화면 처리하여 출력시키면, 스크린(102)은 영상 처리부(107)에 의해 처리된 방송물을 부화면상에 PIP(Picture In Picture) 형태나 팝업(Pop Up) 형태로 출력할 수 도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107)가 제 2 튜너(109)에 의해 튜닝된 다수의 방송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정화면으로 처리하여 출력시키면, 스크린(102)은 영상 처리부(107)에 의해 출력 처리된 어플리케이션을 정화면 형태로 출력한다. 이때, 영상 처리부(107)가 제 2 튜너(109)에 의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부화면 처리하여 출력하면, 스크린(102)은 영상 처리부(107)에 의해 처리된 어플리케이션을 부화면 상에 PIP(Picture In Picture) 형태나 팝업(Pop Up) 형태로 출력할 수 도 있다.
A/D 컨버터(104)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제 1 튜너(101) 및 제 2 튜너(109)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비디오 처리부(105)로 출력한다.
비디오 처리부(105)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A/D 컨버터(104)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스크린(102)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 처리부(107)로 출력한다.
오디오 처리부(106)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제 1 튜너(101) 및 제 2 튜너(102)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103)에 적합한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증폭부(108)로 출력한다. 이때, 증폭부(108)에 의해 소정 크기로 증폭된 음성신호는 스피커(103)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영상 처리부(107)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비디오 처리부(105)로부터 출력되는 제 1 튜너(101)에 의해 튜닝된 방송채널을 통해 수신된 방송물을 스크린(102) 상에 정화면 형태로 출력시킨다.
이때, 리모콘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영상 처리부(107)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비디오 처리부(105)로부터 출력되는 제 2 튜너(109)에 의해 튜닝된 방송채널을 통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스크린(102) 상에 PIP방식 또는 팝업 방식을 통해 부화면 형태로 출력시킨다.
제 2 튜너(109)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제 1 튜너(101)에 의해 현재 튜닝되는 방송채널을 제외한 소정의 방송채널에 대한 튜닝을 수행하고, 튜닝된 소정의 방송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 방송신호를 구성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와 소리신호를 분리하여 A/D 컨버터(104)와 오디오 처리부(106)로 각각 출력한다.
즉, 리모콘을 통해 제 1 튜너(101)에 의해 튜닝되는 방송채널을 제외한 소정 의 방송채널을 튜닝하기 위한 "수동튜닝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제 2 튜너(109)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리모콘을 통해 입력되는 방송채널에 대한 튜닝을 수행하고, 튜닝된 방송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리모콘을 통해 제 1 튜너(101)에 의해 튜닝되는 방송채널을 제외한 소정의 방송채널을 튜닝하기 위한 "자동튜닝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제 2 튜너(109)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방송채널에 대한 튜닝을 자동으로 수행하고, 튜닝된 방송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역할을 또한 수행한다.
저장부(110)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로서, 램(RAM)이나 이이프롬(EEPROM) 등과 같은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버(HDD : Hard Disc Dr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저장부(110)에는 제 2 튜너(109)에 의해 튜닝된 방송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방송채널과 연동하여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111)는 리모콘을 통해 입력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신호에 연동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는 방송채널로의 채널전환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리모콘을 통해 소정의 방송채널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11)는 제 1 튜너(101)를 제어하여 선택된 방송채널에 대한 튜닝을 수행하여 방송물을 수신한 후, 영상 처리부(107)를 제어하여 수신된 방송물을 스크린(102) 상에 정화면 으로 출력시킨다.
이때, 리모콘을 통해 소정의 방송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기 위해 제 2 튜너(109)를 수동채널모드로 설정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11)는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제 2 튜너(109)를 수동채널모드로 설정한다.
이후, 리모콘을 통해 소정의 방송채널에 대한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11)는 수동채널모드로 설정된 제 2 튜너(109)를 제어하여 선택된 방송채널에 대한 튜닝을 수행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한 후, 영상 처리부(107)를 제어하여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스크린(102) 상에 부화면으로 출력시킨다.
그러나, 리모콘을 통해 소정의 방송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기 위해 제 2 튜너(109)를 자동채널모드로 설정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11)는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제 2 튜너(109)를 자동채널모드로 설정한다.
이후, 제어부(111)는 자동채널모드로 설정된 제 2 튜너(109)에 의해 튜닝된 방송채널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한 후, 영상 처리부(107)를 제어하여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스크린(102) 상에 부화면으로 출력시킨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이 출력되는 부화면은 영상 처리부(107)에 의해 PIP방식 또는 팝업 방식을 통해 스크린상의 소정 영역에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동채널모드 또는 자동채널모드로 설정된 제 2 튜너(109)를 통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스크린(102) 상에 부화면으로 출력시킨 상태에서 리모콘을 통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11)는 제 1 튜너(101)에 의해 튜닝되고 있는 방송채널을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는 소정의 방송채널로의 채널전환을 수행한다.
이후, 리모콘을 통해 채널 전환된 방송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1)는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기능을 갖는 본 발명의 텔레비져 수상기가 채널의 수신신호 세기에 따라 채널을 자동으로 전환하는 과정에 대해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가 소정의 방송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검색 및 실행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전체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가 제 1 튜너에 의해 수신된 방송물을 스크린상에 출력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가 제 2 튜너에 의해 검색된 어플리케이션을 스크린상에 출력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는 방송채널로의 채널전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이다.
먼저,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인 제 1 튜너에 의해 튜닝된 방송채널을 통해 수신된 방송물을 스크린 상에 정화면으로 출력시킨다(S100).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리모콘을 통해 메뉴키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S101),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방송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선택" 메뉴가 포함된 메뉴화면을 스크린(102)상에 출력시킨다(S102).
이때, 사용자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을 통해 "채널선택" 메뉴를 선택한 후 소정의 방송채널을 입력하면(S103),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선택된 방송채널을 튜닝하기 위해 제 1 튜너(101)를 채널튜닝모드로 설정한다(S104).
이후, 제 1 튜너(101)에 의해 튜닝된 방송채널로부터 전송되는 방송물을 수신한 후(S105),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부(107)에 의해 출력 처리된 소정의 방송물을 스크린(102) 상에 정화면으로 출력시킨다(S106).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튜너에 의해 수신된 방송물을 정화면으로 출력시킨 후,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튜너(109)에 의해 튜닝된 방송채널을 통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스크린(102) 상에 부화면으로 출력시킨다(S200).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방송물이 정화면으로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제 2 튜너(102)를 소정의 채널튜닝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S201),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입력된 선택신호가 제 2 튜너(109)를 수동튜닝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선택신호인지 또는 자동튜닝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선택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2).
단계(S202)의 판단결과 제 2 튜너(109)를 수동튜닝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선택신호인 경우,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입력된 선택신호에 연동하여 제 2 튜너 (109)를 수동튜닝모드로 설정한다(S203).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튜너(109)를 수동튜닝모드로 설정한 상태에서 리모콘을 통해 소정의 방송채널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S204),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제 2 튜너(109)를 제어하여 선택된 방송채널에 대한 튜닝을 수행하고(S205), 제 2 튜너(109)에 의해 튜닝된 방송채널을 통해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한다(S206).
이후,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튜닝모드로 설정된 제 2 튜너(109)에 의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스크린(102) 상에 PIP 방식 또는 팝업 방식을 통해 부화면으로 출력시킨다(S207).
그러나, 단계(S202)의 판단결과 제 2 튜너(109)를 자동튜닝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선택신호인 경우,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입력된 선택신호에 연동하여 제 2 튜너(109)를 자동튜닝모드로 설정한다(S208).
이때,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자동튜닝모드로 설정되 제 2 튜너(109)를 제어하여 소정의 방송채널에 대한 튜닝을 수행하고(S209), 제 2 튜너(109)에 의해 튜닝된 소정의 방송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한다(S210).
이후,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튜닝모드로 설정된 제 2 튜너(109)에 의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스크린(102) 상에 PIP 방식 또는 팝업 방식을 통해 부화면으로 출력시킨다(S211).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튜너(109)에 의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스크린(102) 상에 부화면으로 출력시킨 후,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는 방송채널로의 채널변경을 수행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S300).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2 튜너(109)에 의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이 부화면으로 출력된 상태에서 리모콘을 통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S301),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스크린(102) 상에 정화면으로 출력되는 방송채널을 튜닝하는 제 1 튜너(101)의 튜닝을 중단시킨 후(S302), 제 2 튜너(109)의 튜닝을 제어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는 방송채널로의 채널전환을 실시간으로 수행한다(S303).
이후, 리모콘을 통해 제 2 튜너(109)에 의해 채널전환 된 방송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명령이 입력되면(S304), 텔레비전 수상기(10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실행명령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을 수행한다(S305).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현재 수신중인 방송채널 이외의 다수의 방송채널을 튜닝하는 튜너를 부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다수의 방송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수신중인 방송채널 이외의 다수의 방송채널을 튜닝하는 튜너에 의해 검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는 방송채널로의 채널변환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2)

  1. 방송국별로 할당된 다수의 방송채널을 튜닝하고, 튜닝된 방송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물 및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스크린상에 출력시키는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리모콘을 통해 입력되는 채널선택 명령에 따라 해당 방송채널을 선택적으로 튜닝하여 방송물을 수신하는 제 1 튜너;
    상기 제 1 튜너에 의해 상기 방송채널이 튜닝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을 통해 입력되는 소정의 채널튜닝모드에 따라 소정의 방송채널을 튜닝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제 2 튜너;
    상기 제 1 튜너에 의해 수신된 방송물을 스크린상에 정화면으로 출력시키고, 상기 방송물이 정화면으로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튜너에 의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부화면으로 출력시키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튜너에 의해 수신된 방송물을 정화면으로 출력시키고, 상기 리모콘을 통해 입력되는 어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에 따라 상기 제 2 튜너에 의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부화면으로 출력시킨 후, 상기 부화면에 출력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튜너의 튜닝을 중단시키고, 상기 제 2 튜너를 채널튜닝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 2 튜너의 튜닝을 제어하여 선택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수신되는 방송채널로의 채널전환을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튜너에 의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구동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입력된 실행명령에 연동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검색을 위한 수동튜닝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튜너를 제어하여 리모콘을 통해 입력되는 채널번호에 대응하는 방송채널에 대한 튜닝을 수동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검색을 위한 자동튜닝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2 튜너를 제어하여 기 설정된 소정의 방송채널에 대한 튜닝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 2 튜너에 의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PIP 방식 또는 팝업 방식을 통해 스크린상에 부화면으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7. 방송국별로 할당된 다수의 방송채널을 튜닝하고, 튜닝된 방송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물과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튜너 및 제 2 튜너를 구비한 텔레비젼 수상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에 있어서,
    리모콘을 통해 입력되는 채널선택 명령에 따라, 텔레비전 수상기가 상기 제 1 튜너에 의해 수신된 방송물을 스크린상에 정화면으로 출력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리모콘을 통해 상기 제 2 튜너의 채널튜닝모드에 대한 선택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기 상기 제 2 튜너에 의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스크린상에 부화면으로 출력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부화면 상에 출력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는 방송채널로의 채널전환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스크린상에 부화면으로 출력한 상태에서,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리모콘을 통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제 3-1 단계;
    소정의 어플리케니션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상기 제 1 튜너의 튜닝을 중단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 2 튜너를 채널튜닝모드로 설정하는 제 3-2 단계; 및
    상기 제 2 튜너를 채널튜닝모드로 설정한 후,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상기 제 2 튜너의 튜닝을 제어하여 선택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수신되는 방송채널로의 채널전환을 수행하는 제 3-3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검색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튜너에 의해 채널전환 된 방송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에 대한 실행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시간으로 실행시키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어플리케이션 검색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리모콘을 통해 채널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상기 제 1 튜너를 채널튜닝모드로 설정하여 해당 방송채널에 대한 튜닝을 수행하는 제 1-1 단계;
    채널튜닝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상기 제 1 튜너에 의해 튜닝된 방송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물을 수신하는 제 1-2 단계;
    상기 제 1 튜너에 의해 방송물을 수신한 후,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상기 수신된 방송물을 스크린상에 정화면으로 출력시키는 제 1-3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검색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제 2 튜너를 소정의 채널튜닝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입력된 선택신호가 상기 제 2튜너를 수동 또는 자동튜닝모드 중 어느 튜닝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선택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제 2-1 단계;
    상기 제 2-1 단계의 판단 결과 수동튜닝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선택신호인 경 우,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상기 제 2 튜너를 수동튜닝모드로 설정하는 제 2-2 단계;.
    수동튜닝모드로 설정한 상태에서 소정의 방송채널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상기 제 2 튜너를 제어하여 선택된 방송채널에 대한 튜닝을 수행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제 2-3 단계;
    수동채널모드로 설정된 제 2 튜너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한 후,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스크린상에 부화면으로 출력시키는 제 2-4 단계;
    상기 제 2-1 단계의 판단 결과 자동튜닝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선택신호인 경우,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상기 제 2 튜너를 자동튜닝모드로 설정하는 제 2-5 단계;
    상기 제 2 튜너를 자동튜닝모드로 설정한 후,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상기 제 2 튜너에 의해 튜닝된 소정의 방송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제 2-5 단계; 및
    자동튜닝모드로 설정된 상기 제 2 튜너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한 후,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스크린상에 부화면으로 출력시키는 제 2-6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검색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튜너에 의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은 PIP 방식 또는 팝업 방식을 통해 스크린상에 부화면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검색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스크린상에 부화면으로 출력한 상태에서,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리모콘을 통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제 3-1 단계;
    소정의 어플리케니션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상기 제 1 튜너의 튜닝을 중단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 2 튜너를 채널튜닝모드로 설정하는 제 3-2 단계; 및
    상기 제 2 튜너를 채널튜닝모드로 설정한 후,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가 상기 제 2 튜너의 튜닝을 제어하여 선택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수신되는 방송채널로의 채널전환을 수행하는 제 3-3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검색 방법.
KR1020050048070A 2005-06-04 2005-06-04 어플리케이션 검색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방법 KR100710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070A KR100710304B1 (ko) 2005-06-04 2005-06-04 어플리케이션 검색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070A KR100710304B1 (ko) 2005-06-04 2005-06-04 어플리케이션 검색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6291A KR20060126291A (ko) 2006-12-07
KR100710304B1 true KR100710304B1 (ko) 2007-04-23

Family

ID=37730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070A KR100710304B1 (ko) 2005-06-04 2005-06-04 어플리케이션 검색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3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120B1 (ko) * 2007-01-17 2014-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장치 및 그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64723B1 (ko) * 2007-02-08 2008-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방송수신장치
KR100847531B1 (ko) * 2007-03-22 2008-07-21 주식회사 드리머 디지털 방송 애플리케이션 스위칭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979909B1 (ko) 2008-04-10 2010-09-03 드리머 디지털 방송의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7410A (ja) * 1993-09-30 1995-04-21 Sanyo Electric Co Ltd 子画面表示機能付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8242414A (ja) * 1994-12-28 1996-09-17 Lg Electron Inc テレビジョン自動チャンネル探索方法
KR970024964A (ko) * 1995-10-30 1997-05-30 배순훈 타채널 프로그램 안내기능을 갖춘 텔레비젼 수상기
JP2000152116A (ja) 1998-11-13 2000-05-30 Victor Co Of Japan Ltd 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方法及び電子番組ガイド表示システム
KR20050046986A (ko) * 2003-11-15 2005-05-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2 튜너를 구비한 방송 수신 장치의 장르별 채널 검색 장치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7410A (ja) * 1993-09-30 1995-04-21 Sanyo Electric Co Ltd 子画面表示機能付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8242414A (ja) * 1994-12-28 1996-09-17 Lg Electron Inc テレビジョン自動チャンネル探索方法
KR970024964A (ko) * 1995-10-30 1997-05-30 배순훈 타채널 프로그램 안내기능을 갖춘 텔레비젼 수상기
JP2000152116A (ja) 1998-11-13 2000-05-30 Victor Co Of Japan Ltd 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方法及び電子番組ガイド表示システム
KR20050046986A (ko) * 2003-11-15 2005-05-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2 튜너를 구비한 방송 수신 장치의 장르별 채널 검색 장치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6291A (ko) 200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8887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channel map in a digital TV
KR100686093B1 (ko) 영상기기 및 그의 채널 운용 방법
KR20060104811A (ko) 영상표시기기의 화질 조정장치 및 방법
JP2008118219A (ja) デジタル放送選局装置、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選局方法
KR20080029088A (ko) 티브이 및 이를 이용한 선호 채널 제공 방법
US20090147140A1 (en) Image apparatus for processing plurality of imag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546627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nd recording apparatus
KR100710304B1 (ko) 어플리케이션 검색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방법
KR20100029537A (ko)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의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KR100747858B1 (ko) 디스플레이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539515B1 (ko) 티브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TV Electro n i c P r o gram Guide)의 프로그램간 이동방법
KR101408407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276833B1 (ko)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데이터 방송을 시청하는 방법
KR101102394B1 (ko) 선호채널 저장을 위한 텔레비젼 수상기 및 방법
KR100720556B1 (ko) 녹화물에 채널번호 설정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채널번호 설정 방법
KR101102392B1 (ko) 시청률 정보를 이용한 텔레비젼의 튜닝 시스템 및 방법
KR100279119B1 (ko) 디지털텔레비젼수상기의채널선국방법및장치
KR100869008B1 (ko) 디스플레이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060128179A (ko) 사용자의 선호채널 목록 및 프로그램 목록이 포함된시작화면을 제공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방법
KR101377940B1 (ko)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데이터 방송을 시청하는 방법
KR101358610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제공 방법
KR100727150B1 (ko) 채널 설정 과정에서 채널 출력을 위한 텔레비젼 수상기 및방법
KR20060122079A (ko) 광고방송 중에 채널 탐색을 위한 텔레비젼 수상기 및 방법
KR100727120B1 (ko) 영상신호의 오프셋과 게인의 자동 처리를 위한 텔레비젼수상기 및 방법
KR100722033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편집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