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8360A - 제어 회로 및 작동 장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제어 회로 및 작동 장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8360A
KR20070068360A KR1020077008134A KR20077008134A KR20070068360A KR 20070068360 A KR20070068360 A KR 20070068360A KR 1020077008134 A KR1020077008134 A KR 1020077008134A KR 20077008134 A KR20077008134 A KR 20077008134A KR 20070068360 A KR20070068360 A KR 20070068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signal
control mechanism
electrical control
bridge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게니오 매쿠아
크리스토프 리폴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070068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3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8Circuit 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for slow operation, for sequential energisation of windings, for high-speed energisation of winding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5/00Magnetostrictive devices
    • H10N35/80Constructional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2041/2068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ircuit design or special circuit elements
    • F02D2041/2072Bridge circuits, i.e. the load being placed in the diagonal of a bridge to be controlled in both dir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8Circuit 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for slow operation, for sequential energisation of windings, for high-speed energisation of windings
    • H01F7/1844Monitoring or fail-safe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부(actuated part)와 상기 작동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전기 제어 부재(10)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가 설치된 작동 장치(1)의 제어 회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상기 제어 회로는 브릿지(2)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제어 부재는 상기 브릿지에 접속되어 있다.상기 방법은,상기 브릿지(2)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상기 작동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측정 신호(15)를 생성하는 단계와,상기 전기 제어 부재(10)를 작동시키고 있는 단계의 기간 동안 저 임계치와 고 임계치 사이에서 미리 정의된 동작 존 내에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 상기 측정 신호에 따라서 상기 브릿지(2)의 하나 이상의 분기에서 전도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전도는,상기 측정 신호가 저 임계치보다 높게 되는 하나 이상의 특정 임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브릿지(2)의 2 개의 분기들을 통하여 상기 전기 제어 부재(10)를 단락 상태에 놓여지도록 하나 이상의 분기에서 차단되고 있다.

Description

제어 회로 및 작동 장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METHOD FOR MONITORING A CONTROL CIRCUIT AND ACTUATING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automobile vehicle)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내연 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의 연료 분사 제어(fuel injection control)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주입된 연료가 매우 미세한 비말(fine droplet) 형태로 미립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연료 분사 제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나 수송 차량(transport vehicle)에 설비되어 있는 내연 기관 상에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연료 분사 장치들은 개방이나 폐쇄 상태가 연속적으로 제어되는 밸브의 모델에 대하여 조작하고, 그에 따라서 분사된 연료의 비율은 개방 시간까지 직접 제어되고 있다.
그와 같은 연료 분사 시스템들은 압력 조절 장치에 의하여 흡기 매니폴드(intake manifold)에 존재하고 있는 일정한 압력 차를 나타내는 압력하에서 분배 매니폴드(distribution manifold)의 덕트(duct)를 경유해서 모든 분사기들로 공급하는 전기 연료 공급 펌프를 구비하고 있다.각각의 분사기의 흡입 밸브(inlet valve)를 작동시키고 있는 전자석(電磁石; electromagnet)을 전자적으로 제어함으 로써, 나중의 시작 및 개방 시간이 제어된 다음에, 정밀한 연료 유량(fuel flow rate)은 상기 각각의 분사기들을 위해서 결정된다. 따라서, 주입된 연료의 양은 전기 분사기의 개방 시간에만 의존한다.
그러나,가장 폭넓게 채용되고 있는 전자기 제어를 갖는 니들 밸브(needle-valve) 타입의 분사기들은 특히 공해 방지 측정(antipollution measure)에 관하여 엔진의 성능 개량을 방해하는 제한을 가지고 있다. 특히, 니들 밸브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여전히 약 1 내지 2 ms 정도로 너무 길고, 이것에 의하여 분사가 흡입 밸브의 전체 개방 시간에 걸쳐서 정확하게 분배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주입될 수 있는 연료의 최소 비율을 결정하는 최소 개방 시간은 엔진의 특정 동작 조건들에 대해서 여전히 길게 된다.
더욱이, 공지된 니들 밸브 분사기들은 전체 하중 하에서 및 고속으로의 엔진 조작을 위해서 필요한 양의 연료가 흐르도록 하기 위하여 비교적 큰 직경의 분사 오리피스(injection orifice)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큰 직경 비말들을 나타내는 연료 제트(fuel jets)를 생성하는데, 이는 연료의 증발(과 그에 따라 공기 연료 혼합의 형성)을 방해하고 "측벽 습윤(sidewall wetting)" 현상을 촉진할 수 있다.
이 효과는 직접 분사 모드 내에서 흡기 덕트(intake duct)나 연소실(combustion chamber)의 측벽 위에 증발되지 않은 연료가 증착되는 경향 때문에 발생한다. 그러한 증착은 대응하는 연소실에 효과적으로 주입되는 연료의 양에 관한 지식의 부족에 의해 과도 단계 중에 특히 심각하게 비례하는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측벽 습윤 현상은 엔진의 급시동(cold start) 중에 오염 물질의 대량 배출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또한,종래의 니들 밸브 분사기를 사용하여 밸브 니들의 개방시에 나중에 좌석을 벗어나기 시작하고, 니들이 완전히 상승되어 있을 때에 사라지는 액체의 거품이 형성되고, 그 후에 유체의 흐름은 정상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유체 흐름의 특성 변화는 분사기의 순간 흐름의 어떤 정밀한 제어를 불가능하게 한다.
일부 연구 그룹들은 니들의 개방 및 폐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니들 밸브를 조작하도록 압전 액추에이터를 사용하는 분사기들을 개발함으로써 이러한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데에 노력하고 있지만, 밸브 원리에 따라 여전히 동작하는 상기한 시스템들은 특히 분사기 노즐의 출구로의 연료 제트에 있어서 비말의 크기에 영향을 주고 있는 중요한 확산과 관련된 심각한 결점들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전술한 모든 문제점들은 연소실 내에서 공기 연료 혼합이 준비되어 있을 때, 부정확한 공기 연료 비율에 의해 불완전하고 균일하지 않게 될 수 있는 연료의 증발이 발생되고, 그 결과 대량의 오염 가스의 형성과 엔진의 효율을 변경하는 절력 결핍이 발행하는 불완전 연소를 초래하고 있었다.
참조 문헌 FR-A-2 801 346호에는 분사 오리피스(injection orifice)가 있는 종단부에서 연료를 공급하는 노즐과, 전자 엔진 제어 시스템에 의하여 기간 및 강도가 제어되는 트랜스듀서와 같은 노즐의 주기적인 진동 수단, 및 상기 노즐의 종단부에 대하여 탄성 수축 수단에 의하여 수축된 차단 수단(shuttering means)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수축 수단은 상기 분사 오리피스에 대하여 대향 단부에 위치되 는 공동(cavity)에 이르기까지 상기 분사기의 몸체를 관통하는 로드(rod)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로드는 상기 공동 내에 수용되는 웨이트(weight) 및 댐핑 수단(damping means)과 협력하고, 상기 노즐 및 차단 수단의 진동은 사전 결정된 양의 연료의 배출을 제공하는 분사기가 설비된 내연 기관용 연료 분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참조 문헌 FR-A-2 846 808호에는, 액추에이터에 적합한 작동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액추에이터 제어 전자 위상 기하학(topology)은 제1 회로 단자와 제2 회로 단자 사이에 DC 전원을 갖는 브릿지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제3 회로 단자와 제4 회로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1 및 제3 단자 사이에 접속된 스위치와 제2 및 제4 단자 사이에 접속된 스위치를 가지고 있다.또한, 브릿지 회로는 제1 및 제4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1 다이오드와 제2 및 제3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작동 장치는 비교적 간단하지만, 위치 제어의 정밀도에 있어서 개량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회로의 제어 방법은, 작동부(actuated part)와 상기 작동부의 변위를 제어하는 전기 제어 메카니즘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가 설비된 작동 장치용으로 설계된 구동 회로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구동 회로는 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제어 메카니즘은 상기 브릿지에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동 회로의 제어 방법은,
- 상기 브릿지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 상기 작동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측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 상기 전기 제어 메카니즘의 활성화 단계(activation phase)의 기간 동안 하위 임계치(lower threshold)와 상위 임계치(upper threshold) 사이에서 미리 정의된 동작 영역 내에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 상기 측정 신호의 함수로서 상기 브릿지의 하나 이상의 분기에서 전도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는, 상기 측정 신호가 하위 임계치보다 높게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전 결정된 임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브릿지의 2 개의 분기들에 의하여 상기 전기 제어 메카니즘을 단락 상태에 놓이게 하는 방식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분기에서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에 따라, 사인파에 근접한 형태를 갖는 전류는 상기 전기 제어 메카니즘에서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제어 메카니즘은 상기 측정 신호가 상기 사전 결정된 임계치에 도달되거나 이를 초과하는 경우에 단락 상태에 놓여 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제어 메카니즘은 상기 측정 신호가 상기 사전 결정된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에 단락 상태에 놓여 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제어 메카니즘은 상기 측정 신호가 상위 임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 단락 상태에 놓여 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제어 메카니즘은 상기 측정 신호가 상위 임계치와 하위 임계치 사이에 위치되는 중간 임계치를 통과하는 경우에 단락 상태에 놓여 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도는 타임베이스 신호의 함수로서 하나 이상의 분기에서 차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도는 상기 측정 신호가 하위 임계치 아래에 위치되고 타임베이스 신호가 하나의 시간 단위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측정 신호가 동작 영역에 복귀하도록 전원을 상기 전기 제어 메카니즘의 단자들에 인가하는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분기에서 차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도는 상기 측정 신호가 동작 영역 내에 위치되고, 타임베이스 신호가 하나의 시간 단위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측정 신호가 하위 임계치에 복귀하도록 전원을 상기 전기 제어 메카니즘의 단자들에 인가하는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분기에서 차단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예시되고 이들 실시예로서 제한하지 않는 일부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판독함으로써 더욱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작동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플롯 대 변위 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가 다양한 신호들의 타이밍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작동 장치의 상태 흐름도이다.
도 5는 액추에이터에서 플롯 대 전류 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간소화된 구조와 제어 시스템에 의하여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전자 위상 기하학을 갖는 작동 장치를 제공한다. 1 개 또는 2 개의 역 바이어스 다이오드들이 브릿지 회로 내에 사용되고, 이 브릿지 회로의 사용에 의해 능동 스위치들의 수의 축소와 그 제어의 단순화를 초래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장치(1)는 브릿지 회로(2)와, 제어 장치(3) 및 검출 어셈블리(4)를 포함하고 있다.
브릿지 회로(2)는 4 개의 단자들(5, 6, 7, 8)과,DC 전압 전원(9),예를 들면 배터리 또는 AC/DC 전력 컨버터로 이루어지고 있고,상기 AC/DC 전력 컨버터는 브릿지 회로(2)의 제1 단자(5)와 제2 단자(6)에 접속되어 DC 전압을 전달한다. 일 변형예로서, 그것은 정전류를 전달하도록 전원(9)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전기 제어 메카니즘(10)은 브릿지 회로(2)의 제3 단자(7)와 제4 단자(8) 사이에 접속되어 액추에이터가 구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기 용어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제어 메카니즘(10)은 인덕터와 등가이다. 제1 스위치(11)는 제1 단자(5)와 제3 단자(7) 사이에 접속되며, 제2 스위치(12)는 제2 단자(6)와 제4 단자(8)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브릿지 회로(2)는 MOS 타입의 트랜지스터가 배치된 집적 회로의 형태로서, 스위치들(11, 12)이 사용될 수 있다. 스위치들의 다른 타입으로는 IGBT 트랜지스터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들(11, 12)의 조작은 상기 스위치들(11, 12)의 제어 단자들이 접속되어 있는 제어 장치(3)에 의하여 제어된다. 브릿지 회로(2)는 또한 제1 다이오드(13)와 제2 다이오드(14)를 가지고 있다. 제1 다이오드(13)는 제2 단자(6)와 제3 단자(7) 사이에 접속되어 있고, 이 제1 다이오드(13)의 캐소드는 제3 단자(7)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다이오드(14)는 제1 단자(5)와 제4 단자(8) 사이에 접속되어 있고, 이 제2 다이오드(14)의 캐소드는 제1 단자(5)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및 제2 다이오드(13, 14)의 사용은 스위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3)와 프로세스의 구조를 간소화한다. 상기 제1 및 제2 다이오드(13, 14)는 임의의 적합한 타입이 될 수 있다. 다이오드로서 구성된 MOS 트랜지스터들은 제어 전자 위상 기하학의 통합을 용이하게 하고 그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있다.
검출 어셈블리(4)는 제4 단자(8)와 전기 제어 메카니즘(10)의 사이에 배치된 전선에 설치된 전류 프로브(15)를 포함하고 있다. 전류 프로브(15)는 물론 제3 단자(7)와 전기 제어 메카니즘(10)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검출 어셈블리(4)는 예를 들어 연산 증폭기들의 형태로 3 개의 비교기(16, 17, 18)를 포함하며, 이들 비교기들의 각각은 전류 프로브(15)의 출력단에 접속된 제1 입력단과, 제어 장치(3)의 전용 입력단에 접속된 출력단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비교기(16, 17, 18)의 제2 입력단은 각각 전용의 기준 전압(19, 20, 21)에 접속되어 있고, 이들의 각각은 하이 레벨,로우 레벨, 및 매우 낮은 레벨의 기준 전압을 공급하고 있다.
내연 기관 분사기로의 방법의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를 위한 제어 시퀀스가 분사기의 폐쇄된 위치와 분사 설정치 위치 사이에서 시간의 함수로서 실행되는 것은 특히 바람직하게 된다. 니들 밸브는 최대 진폭에 의하여 분사 설정치 위치로 상기 폐쇄된 위치로부터 초기에 변위될 수 있고,그 후에 주기적인 방법으로 저 진폭(dalt)에 의하여 교대로 변위될 수 있다. 나중에, 니들은 폐쇄된 위치로 복귀될 수 있거나 또는 분사 설정치 위치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교대로 일어나는 변위가 분사 설정치 위치를 향해서 즉시 변위가 계속되고 있지 않고,니들 밸브가 분사 설정치 위치에 일정 기간 동안 유지되고 있는 것이 도모되고 있을 수 있다.
상기한 시퀀스는 분사 시퀀스이거나 또는 분사 전의 시퀀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분사 설정치 위치는 특히 교대로 일어나는 변위가 분사 중에 사용되는 경우 중에서 니들 밸브의 개방 위치가 될 수 있다. 분사 설정치 위치가 폐쇄된 위치이고, 주사 설정치 위치에 대하여 교대로 일어나는 변위가 니들 밸브의 개방 전에 곧 발생되는 것이 또한 도모되고 있을 수 있다.
도 3은 제어 장치(3)에 의해 인가된 다양한 제어 신호들 및 전기 제어 메카니즘(10)의 단자들에 인가된 신호들의 타이밍도를 설명한다. 상기 전기 제어 메카니즘(10)은 인덕터와 전기적으로 등가이다. DC 전압 전원(9)은 DC 전위를 인가한다. 스위치들(11, 12)을 형성하고 있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압 레벨은 그 스위치들의 전환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제1 단계 중에,스위치들(11, 12)은 개방되고,전기 제어 메카니즘(10)에 있어서의 전류는 제로(0)이다. 제2 단계에서, 기동 명령(신호 F)이 있고, 스위치 들(11, 12)은 대응하는 트랜지스터를 도통시키는 것에 의하여 폐쇄된다. 그때 전류는 상승을 시작한다. 제3 단계에서, 비교기(18)는 상당히 매우 낮은 임계치에 도달되는 것을 검출한다. 제3 단계에서, 스위치들(11, 12)은 폐쇄된 상태가 유지되고, 비교기(17)는 저 전류 임계치에 도달되는 것을 검출한다. 전류는 실질적으로 선형 방식으로 상승을 계속한다. 다음 단계에서, 비교기(16)는 고 전류 임계치가 도달되는 것을 검출한다. 제어 장치(3)는 다이오드(13)를 도통시키기 위해 스위치(11)를 개방하도록 명령한다. 전기 제어 메카니즘(10)에 있어서 전류는 천천히 감소한다. 다음 단계에서, 제어 장치(3)는 클록 신호(H)를 수신하여, 스위치(12)를 개방하도록 명령하고, 이에 따라 다이오드들(13, 14)을 통하여 전류를 흐르도록 해야만 하는 전류(I)의 급격한 감소가 발생한다.
그 후,비교기(17)는 전류가 저 레벨 임계치에 도달되는 것을 검출한다. 그때, 제어 장치(3)는 전기 제어 메카니즘(10)에서의 전류의 느린 감소를 일으키도록 하기 위해 스위치(12)를 폐쇄하도록 명령한다. 느린 감소의 2개의 단계들은 유사한 하강 경사도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 단계에서, 제어 장치(3)는 클록 신호(H)을 수신하여, 전류(I)의 상승을 일으키도록 하기 위해 스위치(11)를 폐쇄하도록 명령한다. 비교기(17)는 전류가 저 레벨 임계치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검출한다. 비교기(16)는 전류가 고 레벨 임계치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검출한다. 그때 제어 장치(3)는 스위치(11)를 개방하도록 명령한다.
다음에, 4 개의 최종 단계들은 특정 횟수의 시간이 반복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작동 제어 명령의 종료는 전류가 전기 제어 메카니즘(10) 에서 감소하고, 스위치(11)가 개방되며, 스위치(12)가 폐쇄되는 단계에서 발생하고 있다. 작동 명령의 종료를 수신하면, 제어 장치(3)는 다이오드(14)가 도통하며 다이오드(13)가 역시 도통을 실시하도록 하기 위해서 스위치(12)를 개방하도록 명령한다. 다음에, 전기 제어 메카니즘(10)에서의 전류는 급격하게 하강한다. 비교기(17)는 전류가 저 레벨 임계치 이하로 하강하는 때를 검출한다. 다음에,비교기(18)는 전류가 매우 낮은 레벨의 임계치 이하로 하강하는 때를 검출한다.
장치의 다양한 상태들을 도 4에서 설명하고 있다. 상태 0에서,스위치들(11, 12)은 개방된다. 장치는 전원 공급시에 상태 1로 진행한다. 에러가 검출되면, 명령은 장치를 상태 7로 보낸다. 상태 1에서, 스위치들(11, 12)은 폐쇄된다. 턴 오프되면, 장치는 상태 6으로 진행한다. 에러 또는 클록 신호(H)의 경우에, 장치는 상태 7로 진행한다. 저 임계치 DSB 이상의 상승을 검출하는 경우에, 장치는 상태 2로 진행한다. 상태 2에서, 스위치들(11, 12)은 폐쇄된다. 턴 오프되면, 장치는 상태 6으로 진행한다. 에러 또는 클록 신호(H)의 경우에, 장치는 상태 7로 진행한다. 고 임계치 DSH 이상의 상승을 검출하는 경우에, 장치는 상태 3으로 진행한다. 상태 3에서, 스위치(11)는 개방되고, 스위치(12)는 도통을 실시하고 있다. 턴 오프되면, 장치는 상태 6으로 진행한다.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에, 장치는 상태 7로 진행한다. 클록 신호(H)의 경우에, 장치는 상태 4로 진행한다.
상태 4에서, 스위치들(11, 12)은 개방된다. 저 레벨 임계치 DSB 이하의 하강 검출의 경우에, 장치는 상태 5로 진행한다. 턴 오프되면, 장치는 상태 6으로 진행한다. 에러 발생의 경우에, 장치는 상태 7로 진행한다. 클록 신호(H)의 경우에, 장 치는 상태 2로 복귀한다. 상태 5에서, 스위치(11)는 개방되고, 스위치(12)는 도통 상태에 있다. 턴 오프되면, 장치는 상태 6으로 진행한다. 에러 발생의 경우에, 장치는 상태 7로 진행한다. 클록 신호(H)의 경우에, 장치는 상태 1로 복귀한다.
상태 6에서, 스위치들(11, 12)은 개방된다.매우 낮은 임계치 DSTB의 이하로 하강을 검출하는 경우에, 장치는 상태 0으로 진행한다. 에러 발생의 경우에, 장치는 상태 7로 진행한다.
상태 7에서, 스위치들(11, 12)은 개방된다. 장치는 리셋 신호를 수신하면 상태 0으로 복귀한다. 매우 낮은 임계치의 검출은 코일 내의 전류가 장치 개시 명령의 종료 후에 제로(0)가 되는 순간을 정확하게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매우 낮은 전류 임계치가 나중에 장치를 재기동하기 위해서 가로지를 때까지 대기하는 데에 충분하다. 따라서, 오 조작은 피할 수 있고, 이는 장치의 신뢰성과 견고성을 강화한다.
본 발명은 분사기의 경우에 있어서 더욱 양호하게 분할된 연료 제트와 분사 중에 개선된 연료 미립화(fuel atomization)를 허용하는 정밀한 방법으로 제어되는 액추에이터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5에는 전류(I)의 파형을 3 개의 레벨, 즉 하이, 로우 및 중간 전류 제어에 의해 설명하고 있다. 도 1에서 점선에 의해 표시되고 있는 추가의 비교기(19)는 중간 전류 임계치를 검출하기 위해서 제공되고 있다. 이때, 그 전류의 파형은 사인파 곡선에 근접하고 있다.

Claims (8)

  1. 작동부(actuated part)와 상기 작동부의 변위를 제어하는 전기 제어 메카니즘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가 설비된 작동 장치의 구동 회로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구동 회로는 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제어 메카니즘은 상기 브릿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인, 구동 회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 상기 브릿지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 상기 작동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측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 상기 전기 제어 메카니즘의 활성화 단계(activation phase)의 기간 동안 하위 임계치(lower threshold)와 상위 임계치(upper threshold) 사이에서 미리 정의된 동작 영역 내에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 상기 측정 신호의 함수로서 상기 브릿지의 하나 이상의 분기에서 전도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는, 상기 측정 신호가 하위 임계치보다 높게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전 결정된 임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브릿지의 2 개의 분기들에 의하여 상기 전기 제어 메카니즘을 단락 상태에 놓이게 하는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분기에서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제어 메카니즘은 상기 측정 신호가 상기 사전 결 정된 임계치에 도달하거나 이를 초과하는 경우에 단락 상태에 놓이게 되는 것인 구동 회로의 제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제어 메카니즘은 상기 측정 신호가 상기 사전 결정된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에 단락 상태에 놓이게 되는 것인 구동 회로의 제어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제어 메카니즘은 상기 측정 신호가 상기 상위 임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 단락 상태에 놓이게 되는 것인 구동 회로의 제어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제어 메카니즘은 상기 측정 신호가 상위 임계치와 하위 임계치 사이에 위치되는 중간 임계치를 통과하는 경우에 단락 상태에 놓이게 되는 것인 구동 회로의 제어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는 타임베이스 신호의 함수로서 하나 이상의 분기에서 차단되는 것인 구동 회로의 제어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는 상기 측정 신호가 하위 임계치 아래에 위치되고 타임베이스 신호가 하나의 시간 단위를 나타내는 경 우에 상기 측정 신호가 동작 영역으로 복귀하도록 전원을 상기 전기 제어 메카니즘의 단자들에 인가하는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분기에서 차단되는 것인 구동 회로의 제어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는 상기 측정 신호가 동작 영역 내에 위치되고 타임베이스 신호가 하나의 시간 단위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측정 신호가 하위 임계치로 복귀하도록 전원을 상기 전기 제어 메카니즘의 단자들에 인가하는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분기에서 차단되는 것인 구동 회로의 제어 방법.
KR1020077008134A 2004-10-18 2005-10-18 제어 회로 및 작동 장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KR200700683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11007A FR2876741B1 (fr) 2004-10-18 2004-10-18 Procede de pilotage d'un circuit de commande et dispositif d'actionnement
FR0411007 2004-10-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360A true KR20070068360A (ko) 2007-06-29

Family

ID=34951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134A KR20070068360A (ko) 2004-10-18 2005-10-18 제어 회로 및 작동 장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47376B2 (ko)
EP (1) EP1805404A1 (ko)
JP (1) JP4689676B2 (ko)
KR (1) KR20070068360A (ko)
FR (1) FR2876741B1 (ko)
WO (1) WO20060429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82804A (zh) * 2014-06-03 2015-12-23 Ap系统股份有限公司 光照射方法和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9046B1 (fr) * 2004-12-08 2007-10-26 Renault Sas Procede de commande d'un circuit de pilotage pour des actionneurs piezostrictifs ou magnotostrictifs
DE102005007327B4 (de) * 2005-02-17 2010-06-1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Injektoranordnung
DE102017210503B4 (de) 2017-06-22 2019-05-0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Notlauf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r Kraftstoffpump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23490B (sv) * 1979-06-13 1982-05-10 Bofors Ab Anordning for att pa avstand overvaka tendfunktionen hos snabba sleckningssystem
US4395621A (en) * 1980-04-10 1983-07-26 Parker Randall W Timing control apparatus and circuit
FR2647981B1 (fr) * 1989-05-30 1991-08-16 Thomson Tubes Electroniques Dispositif d'excitation pour actionneur electromagnetique
JP2564644Y2 (ja) * 1992-04-24 1998-03-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磁式燃料噴射弁の駆動制御装置
DE19926173A1 (de) * 1999-06-09 2000-12-21 Bosch Gmbh Robert Bustreiberschaltung für ein Zweileiter-Bussystem
FR2801346B1 (fr) 1999-11-19 2002-10-31 Renault Dispositif d'injection de carburant pour moteur a combustion interne
FR2841403B1 (fr) * 2002-06-21 2004-10-15 Renault Sa Procede de pilotage electronique d'un dispositif de commande d'un actuateur piezo-electrique ultrasonore
DE10232742A1 (de) * 2002-07-19 2004-02-05 Ina-Schaeffler Kg Treiberstufe für ein Solenoidventil
US6850394B2 (en) * 2002-08-23 2005-02-01 Cheil Electric Wiring Devices Co.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mis-wiring in a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FR2846808B1 (fr) 2002-11-04 2005-06-24 Renault Sa Dispositif d'actionnement muni d'une topologie electronique de pilota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82804A (zh) * 2014-06-03 2015-12-23 Ap系统股份有限公司 光照射方法和设备
KR101877399B1 (ko) * 2014-06-03 2018-07-12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광 조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47376B2 (en) 2010-06-29
EP1805404A1 (fr) 2007-07-11
FR2876741B1 (fr) 2007-03-02
US20080262696A1 (en) 2008-10-23
JP2008517200A (ja) 2008-05-22
FR2876741A1 (fr) 2006-04-21
WO2006042998A1 (fr) 2006-04-27
JP4689676B2 (ja)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2998B1 (en) Piezoelectric fuel injection system with rate shape control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10634083B2 (en) Drive device for fuel injection device
US7578280B2 (en) Fuel injection system designed to enhance uniformity of size of atomized particles of fuel
CA130021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olenoid operated fuel injector
CN106917692B (zh) 利用开启持续时间的喷射器控制方法
JP5572604B2 (ja) 燃料噴射弁の制御装置
US6409094B2 (en) Structure of fuel injector adjustable in fuel jet characteristic
WO1997008452A1 (fr) Dispositif d'injection de carburant du type a accumulation
JP3827717B2 (ja) 電磁的負荷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CN107304727A (zh) 用于电磁启动致动器的最佳驱动信号控制的方法和装置
JPH0735005A (ja) 電磁負荷を駆動する方法と装置
US7747376B2 (en) Method for monitoring a control circuit and actuating device
KR20080087170A (ko) 주입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1965064A2 (en) Fuel-injector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 methods of controlling fuel-injector, electronic control unit for fuel-injector, and fuel injection system for direct fuel-injection engine
US4612597A (en) Circuit for controlling and indicating fuel injector operation
JPH03275957A (ja) 電磁弁駆動回路
WO2021131777A1 (ja) 燃料噴射制御装置
JP3044876B2 (ja) 内燃機関用電子制御燃料噴射装置
JPH02188664A (ja) 燃料噴射弁
EP1647693B1 (fr) Procédé de pilotage d'un circuit de commande et dispositif d'actionnement
JPH06105062B2 (ja) 燃料噴射弁の制御装置
KR100205109B1 (ko) 자동차의 연료인젝터 제어방법
JP2023172738A (ja) 燃料噴射制御装置及び燃料噴射制御方法
CN117222801A (zh) 燃料喷射控制装置
JPH09310652A (ja) インジェクタ駆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