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6384A - 렌즈 구동용 모터의 베이스와 하우징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용 모터의 베이스와 하우징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6384A
KR20070066384A KR1020050127486A KR20050127486A KR20070066384A KR 20070066384 A KR20070066384 A KR 20070066384A KR 1020050127486 A KR1020050127486 A KR 1020050127486A KR 20050127486 A KR20050127486 A KR 20050127486A KR 20070066384 A KR20070066384 A KR 20070066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housing
driving motor
lens driv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7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9660B1 (ko
Inventor
박상옥
이상희
정수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7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660B1/ko
Publication of KR20070066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렌즈 구동용 모터의 베이스와 하우징의 체결구조가 개시된다. 상기 렌즈 구동용 모터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베이스의 결합다리와 하우징의 걸림턱이 상호 걸리도록 하면, 베이스와 하우징이 균일한 체결력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다. 그러므로, 베이스와 하우징의 내부에 조립된 부품들이 손상될 우려가 전혀 없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렌즈 구동용 모터의 베이스와 하우징의 체결구조 {CONNECTING STRUCTURE OF BASE AND HOUSING OF LENS DRIVING MOTOR}
도 1은 종래의 렌즈 구동용 모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용 모터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베이스와 하우징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베이스 113 : 결합다리
114 : 지지부 115 : 걸림부
120 : 하우징 125 : 걸림턱
본 발명은 렌즈 구동용 모터의 베이스와 하우징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기기의 다기능화 추세에 따라 카메라 등이 내장된 디지털기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디지털기기에 내장된 카메라의 렌즈를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렌즈 구동용 모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렌즈 구동용 모터(10)는 상호 결합되어 내 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11)와 하우징(13)를 가진다. 베이스(11)와 하우징(13)의 내부에는 캐리어(15)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캐리어(15)에는 렌즈(미도시)가 설치되어 캐리어(15)와 동일하게 승강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렌즈 구동용 모터(10)는 베이스(11)와 하우징(13)을 복수의 볼트(17)로 결합한다. 그런데, 볼트(17)로 베이스(11)와 하우징(13)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베이스(11) 및 하우징(13)에 나사탭을 형성하여야 한다. 그런데, 베이스(11) 및 하우징(13)의 크기가 대단히 미세하므로, 나사탭을 형성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베이스(11) 및 하우징(13)에 작용하는 각 볼트(17)의 체결력이 균일하여야 내부의 부품들이 손상되지 않는데, 체결력이 균일하도록 각 볼트(17)를 체결하기가 어려우므로, 베이스(11)와 하우징(13)의 내부에 조립된 부품들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베이스와 하우징을 접착제로 본딩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는 접착제를 균일하게 도포하기 어려워 신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접착제가 흘러내려 주위의 부품들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와 하우징이 균일한 체결력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렌즈 구동용 모터의 베이스와 하우징의 체결구조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구동 모터용 모터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는 저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렌즈가 설치되는 캐리어를 구비하는 렌즈 구동용 모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는 복수의 결합다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결합다리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용 모터의 베이스와 하우징의 체결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용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구동용 모터(100)는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110)와 하우징(120)을 가진다.
하우징(120)의 내면에는 외벽(131), 내벽(134) 및 상판(137)을 가지면서 링 형상을 이루는 요크(130)가 고정되고, 요크(130)의 외벽(131) 내주면에는 링 형상의 마그네트(140)가 고정된다.
요크(130)의 내벽(134) 내측에는 캐리어(150)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캐리어(150)의 내부에는 캐리어(150)와 동일하게 승강하는 렌즈(200)가 설치된다.
캐리어(150)의 하부측 외주면에는 권선된 코일(160)이 고정된다. 이때, 코일(160)은 요크(130)의 내벽(134)과 마그네트(140) 사이에 위치되어, 마그네트(140)와 소정 간격을 가짐과 동시에 대향한다. 그리하여, 코일(160)에 전류가 공급되면, 코일(160)에서 발생하는 전기장과 마그네트(14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과의 작용에 의하여 코일(160)이 상승하고, 이로인해 캐리어(150)가 상승하면서 렌즈(200)를 상승시킨다.
요크(130)의 상측 및 하측에는 링형상의 상부스프링(171) 및 하부스프링(175)이 각각 설치된다. 상부 및 하부스프링(171,175)의 내주면측은 캐리어(150)의 상부측 및 하부측 외주면 부위에 각각 고정되고, 외주면측은 요크(130)의 상면과 하우징(120) 사이 및 요크(130)의 하면과 베이스(110) 사이에 각각 고정된다. 그리하여, 코일(160)에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면 상부 및 하부스프링(171,175)의 탄성력에 의하여 캐리어(150)가 하강한다. 이로 인해, 렌즈(200)가 하강되는 것이다.
요크(130)의 상면 및 하면에는 탄성을 가진 링 형상의 상부 및 하부스페이서(Spacer)(181,185)가 각각 설치된다. 상부 및 하부스페이서(181,185)는 신축되면서 하우징(110)의 내부에 조립되는 부품들의 치수 공차 및 조립시 발생하는 조립 오차에 의한 공차를 보상해 준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용 모터(100)는 베이스(110)와 하우징(120)이 균일한 체결력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베이스와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의 상면 모서리부에는 탄성을 구비하는 결합다리(113)가 각각 형성되고, 하우징(120)의 측면 모서리에는 결합다리(113)가 걸리는 걸림턱(125)이 각각 형성된다.
결합다리(113)는 베이스(11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사각판 형상을 가지는 지지부(114)와 지지부(114)의 상단부 내면에서 베이스(110)의 내측으 로 연장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걸림부(115)를 가진다. 그리고, 하우징(120)의 측면 모서리부에는 지지부(114)와 대응되는 형상의 함몰부(123)가 형성되고, 함몰부(123)의 바닥면에 걸림턱(125)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하여, 걸림부(115)의 저면이 걸림턱(125)의 상면에 걸려서, 베이스(110)와 하우징(120)이 상호 결합되는 것이다.
베이스(110)를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하우징(120)의 함몰부(123) 하측이 걸림부(115)와 대향되게 하우징(120)을 위치시킨 다음, 하우징(120)을 하측으로 누르면, 걸림부(115)의 하면이 돌출턱(125)의 상면에 걸려서, 베이스(110)와 하우징(120)이 상호 결합되는 것이다.
베이스(110)와 하우징(120)을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걸림부(115)의 상면은 베이스(110)의 내측으로 갈수록 더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함몰부(125)의 바닥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하우징(120)의 내측으로 더 함몰된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함몰부(125)의 하부측 바닥면이 하우징(120)의 내측으로 더 함몰되어 있으므로, 함몰부(125)의 하부측에 결합다리(113)의 걸림부(115)를 용이하게 삽입하여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115)의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하우징(120)의 하강에 의하여 걸림턱(125)의 저면이 걸림부(115)의 상면에 접촉되어도, 하우징(120)은 용이하게 하강할 수 있다.
베이스(110)에 형성된 결합다리(113)의 걸림부(115)의 높이와 하우징(120)에 형성된 걸림턱(125)의 높이는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호 걸린다. 그러므로, 걸림부 (115)의 저면과 걸림턱(125)의 상면이 상호 걸리도록 하면, 베이스(110)와 하우징(120)은 균일한 체결력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는 것이다.
걸림턱(125)의 저면이 걸림부(115)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하우징(120)이 더 하강하면, 결합다리(113)의 지지부(114)는 외측으로 벌어졌다가 탄성력에 의하여 최초의 상태로 복귀된다. 이때, 지지부(114)가 변형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베이스(110)에 리브(117a,117b)가 형성된다.
리브(117a)는 베이스(110) 및 결합다리(113)의 지지부(114)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리브(117b)는 베이스(110) 및 결합다리(113)의 지지부(114)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구동 모터용 모터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베이스의 결합다리와 하우징의 걸림턱이 상호 걸리도록 하면, 베이스와 하우징이 균일한 체결력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다. 그러므로, 베이스와 하우징의 내부에 조립된 부품들이 손상될 우려가 전혀 없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6)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는 저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렌즈가 설치되는 캐리어를 구비하는 렌즈 구동용 모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는 복수의 결합다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결합다리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용 모터의 베이스와 하우징의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다리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 모서리부에서 상측으로 각각 연장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베이스의 내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하면이 상기 걸림턱의 상면에 걸리는 걸림부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 모서리부에는 상기 지지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함몰부에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용 모터의 베이스와 하우징의 결합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면이 상기 베이스의 내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 지게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더 함몰된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용 모터의 베이스와 하우징의 결합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결합다리를 지지하는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용 모터의 베이스와 하우징의 결합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결합다리의 지지부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용 모터의 베이스와 하우징의 결합구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결합다리의 지지부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용 모터의 베이스와 하우징의 결합구조.
KR1020050127486A 2005-12-22 2005-12-22 렌즈 구동용 모터의 베이스와 하우징의 체결구조 KR101209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486A KR101209660B1 (ko) 2005-12-22 2005-12-22 렌즈 구동용 모터의 베이스와 하우징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486A KR101209660B1 (ko) 2005-12-22 2005-12-22 렌즈 구동용 모터의 베이스와 하우징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384A true KR20070066384A (ko) 2007-06-27
KR101209660B1 KR101209660B1 (ko) 2012-12-07

Family

ID=38365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486A KR101209660B1 (ko) 2005-12-22 2005-12-22 렌즈 구동용 모터의 베이스와 하우징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6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797B1 (ko) * 2008-12-15 2011-08-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프링리스 렌즈 구동용 모터
KR20160000729A (ko) * 2014-06-25 2016-01-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1424B2 (ja) 2004-01-30 2006-11-01 京セラ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797B1 (ko) * 2008-12-15 2011-08-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프링리스 렌즈 구동용 모터
KR20160000729A (ko) * 2014-06-25 2016-01-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9660B1 (ko) 201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117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KR100862303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US8630048B2 (en) Motor for driving lens
KR20080068774A (ko) 렌즈 구동용 모터
KR20070057595A (ko) 렌즈 구동 모터용 탄성부재 및 렌즈 구동용 모터
TW201830792A (zh) 電連接器組件及其下保護蓋
KR101117958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KR100862304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KR101566783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KR101209660B1 (ko) 렌즈 구동용 모터의 베이스와 하우징의 체결구조
KR20080054837A (ko) 렌즈 구동용 모터
KR101283208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KR101448815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KR101551114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KR101449347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JP2006339206A (ja) 基板対基板接続コネクタの保持装置
KR101806751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KR102023390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KR102417165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KR101526819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KR20090004287A (ko) 렌즈 구동용 모터의 베이스와 하우징의 결합구조
KR101690906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KR101470147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카메라, 디지털 기기
KR20070075458A (ko) 렌즈 구동용 모터
KR102242100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