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906B1 -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906B1
KR101690906B1 KR1020160023684A KR20160023684A KR101690906B1 KR 101690906 B1 KR101690906 B1 KR 101690906B1 KR 1020160023684 A KR1020160023684 A KR 1020160023684A KR 20160023684 A KR20160023684 A KR 20160023684A KR 101690906 B1 KR101690906 B1 KR 101690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magnets
upper spring
bobbi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0151A (ko
Inventor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3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906B1/ko
Publication of KR20160030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0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렌즈 구동용 모터가 개시된다. 상기 렌즈 구동용 모터는 베이스에 요크가 직접 결합되고, 베이스와 요크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부품들이 설치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렌즈 구동용 모터가 가지는 상부캡과 프레임이 필요 없으므로, 부품수가 줄어들고 조립공정이 간편해져, 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베이스의 걸림공과 요크의 걸림돌기에 의하여 베이스와 요크가 밀폐 결합된다. 즉, 상호 결합된 베이스와 요크의 측면에는 틈이 존재하지 않고, 요크의 출입공측은 렌즈에 의하여 밀폐되며, 베이스의 관통공측에는 미설명한 제품의 PCB가 결합되어 밀폐되므로, 베이스와 요크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물질에 의한 부품의 손상이 없다. 또한, 각기둥의 마그네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링형상의 마그네트에 비하여 제조원가가 절감되므로, 더욱 경제적이다.

Description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MOTOR FOR DRIVING LENS, CAMERA AND DIGITAL APPARATUS HAVING THE MOTOR FOR DRIVING LENS}
본 발명은 렌즈 구동용 모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기기의 다기능화 추세에 따라 카메라 및 MP3 플레이어 등이 내장된 디지털기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디지털기기에 내장된 카메라의 렌즈를 자동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렌즈 구동용 모터가 디지털기기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렌즈 구동용 모터를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종래의 렌즈 구동용 모터의 단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프레임 및 요크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캡(11a) 및 하부캡(11b)이 마련된다. 상부캡(11a)과 하부캡(11b) 사이에는 프레임(13)이 설치되고, 프레임(13)의 내측에는 링형상을 이루는 요크(15)가 고정된다.
요크(15)는 내측벽(15a), 외측벽(15b) 및 내측벽(15a)과 외측벽(15b)을 일체로 연결하는 상판(15c)을 가진다.
요크(15)의 외측벽(15b) 내주면에는 마그네트(17)가 고정되고, 내측벽(15a) 내주면에는 캐리어(Carrier)(19)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캐리어(19)의 외주면에는 코일(21)이 고정되는데, 코일(21)은 요크(15)의 내측벽(15a)과 외측벽(15b) 사이에 위치되어 마그네트(17)와 대향한다.
그리하여, 코일(21)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21)에서 발생하는 전기장과 마그네트(17)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작용에 의하여 캐리어(19)가 상승하고, 캐리어(19)의 상승에 의하여 캐리어(19)의 내주면에 설치된 렌즈(30)도 상승된다.
상부캡(11a)과 프레임(13) 사이 및 하부캡(11b)과 프레임(13) 사이에는 코일(21)에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면, 캐리어(19)를 최초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스프링(23)이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렌즈 구동용 모터는 요크(15)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부캡(11a)과 프레임(13) 및 하부캡(11b)이 필요하다. 이로인해, 부품수가 증가하고 조립공정이 복잡하여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프레임(13)의 측면에는 복수의 개방부(13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방부(13a)를 통하여 이물질이 유입되어 부품들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렌즈 구동용 모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의 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렌즈 구동용 모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구동용 모터는, 베이스; 상면에는 출입공이 형성되고 하면은 개방되며 측면은 밀폐되어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결합된 요크; 상기 요크의 내측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출입공을 출입하며, 렌즈가 결합된 보빈; 상기 요크의 내주면에 고정된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되게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고정된 코일; 상기 보빈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코일의 작용에 의하여 상승된 상기 보빈을 최초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상부 및 하부스프링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구동용 모터는 베이스에 요크가 직접 결합되고, 베이스와 요크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부품들이 설치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렌즈 구동용 모터가 가지는 상부캡과 프레임이 필요 없으므로, 부품수가 줄어들고 조립공정이 간편해져, 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베이스의 걸림공과 요크의 걸림돌기에 의하여 베이스와 요크가 밀폐 결합된다. 즉, 상호 결합된 베이스와 요크의 측면에는 틈이 존재하지 않고, 요크의 출입공측은 렌즈에 의하여 밀폐되며, 베이스의 관통공측에는 미설명한 제품의 PCB가 결합되어 밀폐되므로, 베이스와 요크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물질에 의한 부품의 손상이 없다.
또한, 각기둥의 마그네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링형상의 마그네트에 비하여 제조원가가 절감되므로, 더욱 경제적이다.
도 1a는 종래의 렌즈 구동용 모터의 단면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프레임 및 요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용 모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요크에 마그네트 및 코일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베이스와 요크의 일부 절개 결합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용 모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용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요크에 마그네트 및 코일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용 모터는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110)와 금속제의 요크(120)를 가진다.
베이스(110)는 원판형 또는 다각판형으로 마련되며 중앙부에 관통공(111)이 형성된다. 요크(120)는 베이스(110)와 대응되는 형상의 케이스 형태로 마련되는데, 상면에는 후술할 렌즈(200)가 출입하는 출입공(121)이 형성되고, 하면은 개방되어 베이스(110)의 상면과 접촉하며, 측면은 밀폐된다.
요크(120)의 내측에는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출입공(121)을 출입하는 링형상의 보빈(130)이 설치되고, 보빈(130)의 내주면에는 렌즈(200)가 결합된다. 보빈(130)의 외면은 요크(120)과 대응되게 원형 또는 각형으로 형성되고, 내면은 렌즈(200)의 외면과 대응되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크(120)의 내주면에는 마그네트(140)가 고정되고, 보빈(130)의 외주면에는 마그네트(140)와 대향되게 코일(150)이 권선되어 고정된다.
마그네트(140)는 요크(120)와 대응되는 원형 또는 각형으로 마련되는데,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120)가 다각형의 케이스 형태일 경우에는 마그네트(140)는 각기둥 형태로 복수개 마련되어, 요크(120)의 내주면에 접촉 지지된다.
코일(150)은 보빈(130)의 외주면에 권선되므로, 보빈(130)의 외면과 대응되는 원형 또는 각형으로 마련된다. 코일(150)이 각형일 경우 마그네트(140)가 원형이면, 코일(150)과 마그네트(140) 사이의 거리가 불균해지므로, 코일(150)이 각형일 경우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140)가 각기둥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코일(150)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150)에서 발생하는 전기장과 마그네트(14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작용에 의하여 코일(150)이 상승하면서 보빈(130)을 상승시킨다. 그러면, 보빈(130)에 결합된 렌즈(200)도 상승하는 것이다.
코일(150)에 인가된 전류가 차단되면, 상승된 보빈(130)이 하강하여야 한다. 보빈(130)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보빈(130)의 상측 및 하측에는 상승된 보빈(130)을 최초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코일 형태의 판형 상부 및 하부스프링(161,165)이 설치된다.
이때, 상부스프링(161)의 외면측은 요크(120)와 마그네트(140) 상면 사이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상부스프링(161)은 내면측은 보빈(130)의 상단면에 형성된 제 1 지지돌기(131)가 관통한다. 이로인해, 상부스프링(161)이 회전 및 유동하지 않는 것이다.
하부스프링(165)의 내면측은 보빈(130)의 외면에 사출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외면측은 후술할 스페이서(Spacer)(170)의 하면과 베이스(110) 사이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보빈(130)의 하단면에는 베이스(110)에 형성된 관통공(111)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제 2 지지돌기(133)가 형성된다. 제 2 지지돌기(133)는 보빈(130)이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정확하게 승강운동하도록 지지한다.
마그네트(140) 하측의 베이스(110) 부위에는 스페이서(170)가 설치되고, 스페이서(170)의 하면과 베이스(110) 사이에는 하부스프링(165)의 외면이 삽입되어 지지된다. 즉, 하부스프링(165)은 외면측은 스페이서(170)와 베이스(110) 사이에서 지지되고, 내면측은 보빈(130)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하부스프링(165)이 회전 및 유동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스페이서(170)의 견고한 결합 및 유동방지를 위하여 스페이서(170)에는 삽입돌기(171)가 형성되고, 베이스(110)에는 삽입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지지공(173)이 형성된다.
요크(120)의 상면 및 스페이서(170)에는 단면(段面)(120a,170a)(도 3참조)이 형성된다. 단면(120a,170a)은 상부 및 하부스프링(161,165)의 내면측과 외면측을 연결하는 중간부위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준다.
베이스(110)와 요크(120)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요크와 베이스의 일부 절개 결합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의 외면에는 복수의 돌출판(115)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돌출판(115)에는 걸림돌기(117)가 형성된다. 그리고, 요크(120)의 측면에는 걸림돌기(117)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공(127)이 형성된다.
걸림돌기(117)와 걸림공(127)에 의하여 베이스(110)와 요크(120)가 견고하게 밀폐 결합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110 : 베이스 120 : 요크
130 : 보빈 140 : 마그네트
150 : 코일 161,165 : 상부,하부스프링
170 : 스페이서

Claims (20)

  1. 베이스;
    상기 베이스 위에 배치되고, 상판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측면판을 포함하는 요크;
    상기 요크의 내부에 배치된 보빈;
    상기 요크에 결합된 복수의 마그네트;
    상기 보빈의 외주면 둘레에 권선되며,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되게 배치된 코일;
    상기 보빈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 스프링;
    상기 보빈의 하부에 결합된 하부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스프링은 상기 요크 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스프링은 내면측, 외면측, 상기 내면측과 상기 외면측을 연결하는 중간부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스프링의 외면측이 상기 요크의 상판과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스프링의 내면측이 상기 보빈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스프링의 중간부위는 상기 요크의 상판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요크의 상판은 단차 영역을 포함하여, 상기 단차 영역은 상기 상부 스프링의 외면측에서 상기 요크의 상판까지 거리보다 상기 상부 스프링의 중간부위에서 상기 요크의 상판까지 거리가 더 큰 렌즈 구동용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프링의 중간부위는 상기 요크의 상판 아래에서 상기 상부 스프링의 외면측에 비해 더 높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렌즈 구동용 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측면판의 내면이 상기 마그네트의 일부 영역과 결합된 렌즈 구동용 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용 모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는 상기 걸림돌기가 결합되는 걸림공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용 모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마그네트는 각 기둥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코일은 각형으로 제공된 렌즈 구동용 모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마그네트는 상기 요크의 모서리에 배치된 렌즈 구동용 모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마그네트는 상기 요크를 대면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용 모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를 대면하는 상기 코일의 각 면은 평면 형상인 렌즈 구동용 모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8 개의 외주 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는 4 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4 개의 마그네트는 상기 코일의 상기 8 개의 외주 면 중에서 4 개의 외주 면과 대면되는 렌즈 구동용 모터.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프링의 상기 외면측이 상기 요크의 단차 영역과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 배치된 렌즈 구동용 모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는 4 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4 개의 마그네트 각각은 4 개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각 마그네트의 4 개의 측면 중에서 하나는 상기 코일에 대면되고, 상기 4 개의 측면 중에서 다른 3 개의 측면은 상기 요크에 대면되는 렌즈 구동용 모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에 대면되는 상기 각 마그네트의 상기 3 개의 측면은 상기 요크의 내면에 결합된 렌즈 구동용 모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프링은 상기 보빈의 상부에 제공된 지지돌기에 삽입되고 결합된 렌즈 구동용 모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프링의 중간부위와 상기 요크의 상판의 하부면이 수직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어 배치된 렌즈 구동용 모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프링의 내면측과 상기 요크의 상판의 하부면이 수직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어 배치된 렌즈 구동용 모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프링의 외면측이 상기 요크의 상기 단차 영역에 의하여 지지되는 렌즈 구동용 모터.
  19. 제1항 내지 제10항, 제12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 구동용 모터;
    상기 렌즈 구동용 모터의 상기 보빈에 결합된 렌즈;
    를 포함하는 카메라.
  20. 제19항에 기재된 카메라를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
KR1020160023684A 2016-02-26 2016-02-26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KR101690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684A KR101690906B1 (ko) 2016-02-26 2016-02-26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684A KR101690906B1 (ko) 2016-02-26 2016-02-26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972A Division KR101601592B1 (ko) 2015-02-27 2015-02-27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5357A Division KR101806751B1 (ko) 2016-12-21 2016-12-21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0151A KR20160030151A (ko) 2016-03-16
KR101690906B1 true KR101690906B1 (ko) 2017-01-09

Family

ID=55649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684A KR101690906B1 (ko) 2016-02-26 2016-02-26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9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9537A (ja) * 2001-11-13 2003-05-21 Shicoh E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JP2005234404A (ja) * 2004-02-23 2005-09-02 Shicoh E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KR100548869B1 (ko) 2004-12-10 2006-02-08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카메라장치
JP2006074990A (ja) * 2004-08-05 2006-03-16 Mitsumi Electric Co Ltd オートフォーカス用アクチュエー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9537A (ja) * 2001-11-13 2003-05-21 Shicoh E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JP2005234404A (ja) * 2004-02-23 2005-09-02 Shicoh E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JP2006074990A (ja) * 2004-08-05 2006-03-16 Mitsumi Electric Co Ltd オートフォーカス用アクチュエータ
KR100548869B1 (ko) 2004-12-10 2006-02-08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카메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0151A (ko) 201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117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KR101283208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KR20070075459A (ko) 렌즈 구동용 모터
KR101209956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KR101551114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KR101449347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KR101806751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KR101526819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KR101895457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KR101690906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KR101448815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KR102417165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KR101500269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KR101470147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카메라, 디지털 기기
KR102242100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KR101601592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KR102023390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KR102662746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KR101210165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KR20140056208A (ko) 렌즈 구동용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KR20070075458A (ko) 렌즈 구동용 모터
KR20140066150A (ko) 렌즈 구동용 모터, 카메라 및 이들을 구비한 디지털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