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6081A -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6081A
KR20070066081A KR1020050126835A KR20050126835A KR20070066081A KR 20070066081 A KR20070066081 A KR 20070066081A KR 1020050126835 A KR1020050126835 A KR 1020050126835A KR 20050126835 A KR20050126835 A KR 20050126835A KR 20070066081 A KR20070066081 A KR 20070066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substrate
crystal panel
crystal display
mol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1959B1 (ko
Inventor
조용구
황현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6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959B1/ko
Priority to PCT/KR2006/005626 priority patent/WO2007073100A1/en
Priority to CNA2006800483710A priority patent/CN101341437A/zh
Priority to US12/097,972 priority patent/US8045087B2/en
Publication of KR20070066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제 1 기판,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이 포함된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이 안착되는 몰드 프레임;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몰드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충격흡수재;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이 안착되는 몰드 프레임과,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몰드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충격흡수재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외부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수단; 상기 통신 수단 및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영상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충격으로부터 액정패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습기나 먼지가 액정패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obile station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에 따라 절단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액정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일반적인 액정패널의 기판에 크랙 오리진(crack origin)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B-B'에 따라 절단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11... 제 1 편광판 13, 113... 제 1 기판
15, 115... 제 2 기판 17, 117... 제 2 편광판
19, 119... 구동 IC 21, 121... 몰드 프레임
31, 131... 광학시트 33, 133... 도광판
141... 충격흡수재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화상 정보를 화면에 나타내는 화면 표시 장치들 중에서 브라운관 표시 장치(혹은 CRT:Cathode Ray Tube)가 지금까지 가장 많이 사용되어 왔는데, 이것은 표시 면적에 비해 부피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따랐다.
이에 따라, 표시 면적이 크더라도 그 두께가 얇아서 어느 장소에서든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박막형 평판 표시 장치가 개발되었고, 점점 브라운관 표시 장치를 대체하고 있다. 특히, 액정표시장치는 표시 해상도가 다른 평판 표시 장치보다 뛰어나고, 동화상을 구현할 때 그 품질이 브라운관에 비할 만큼 반응 속도가 빠른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원리는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과 분극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액정은 구조가 가늘고 길기 때문에 분자 배열에 방향성과 분극성을 갖고 있는 액정 분자들에 인위적으로 전기장을 인가하여 분자 배열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배향 방향을 임의로 조절하면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에 의하여 액정 분자의 배열 방향에 따라 빛을 투과 혹은 차단시킬 수 있게 되어, 색상 및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휴대전화기, 카메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소형 기기에 적용되는 액정표시장치는 기기 전체의 박형화, 경량화를 위하여 액정패널을 이루는 기판의 두께를 더욱 얇게 형성한다. 예를 들어 액정패널을 형성하는 기판은 0.3mm~0.5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도 1은 종래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 따라 절단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액정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종래 액정표시장치는 제 1 기판(13), 제 2 기판(15)을 구비하는 액정패널과 몰드 프레임(21)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기판(13) 위에는 제 1 편광판(11)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기판(15) 아래에는 제 2 편광판(17)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 1 기판(13)은 상기 제 2 기판(15)에 비하여 그 크기가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기판(15) 위에는 상기 액정패널을 구동시키는 구동 IC(1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편광판(11)과 상기 제 2 편광판(17)은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기판(13)과 제 2 기판(15)에 비하여 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편광판(11) 및 제 2 편광판(17)은 상기 액정패널의 영상표시영역에 비하여 좀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몰드 프레임(21)에는 상기 제 1 기판(13), 상기 제 2 기판(15), 광학시트(31), 도광판(33)이 결합된다. 상기 도광판(33)과 상기 광학시트(31)는 광원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입사받고, 그 입사된 빛을 상기 액정패널에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는 기기가 극도로 박형화, 경량화되면서 기기의 취급, 휴대시 기계적인 뒤틀림, 충격 등에 의해 액정패널이 파손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화살표는 외부로부터 액정표시장치에 충격이 인가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외부충격은 상기 몰드 프레임(21)에 인가되게 되고, 그 인가 된 충격은 상기 몰드 프레임(21)에서 완전하게 흡수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몰드 프레임(21)에 흡수되지 않은 충격은 상기 액정패널로 전파되게 된다.
한편, 액정패널은 제조되는 공정에서 스크라이빙(scribing) 공정 및 브레이킹(breaking) 공정을 통하여 마더 기판(mother substrate)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리적인 스크라이빙(scribing) 공정 및 브레이킹(breaking) 공정이 수행되면서, 기판에 미세한 크랙 오리진(crack origin)이 생성된다. 도 4는 종래 액정패널의 기판에 크랙 오리진(crack origin)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와 같은 미세한 크랙 오리진(crack origin)은 액정패널에 뒤트림, 충격 등이 가해지게 되는 경우에 파손되기 시작하는 출발점으로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박형, 경량의 소형 기기에 적용되는 액정표시장치는 더욱 내충격성을 갖출 것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액정패널을 보호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제 1 기판,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이 포함된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이 안착되는 몰드 프레임;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몰드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충격흡수재;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이 안착되는 몰드 프레임과,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몰드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충격흡수재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외부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수단; 상기 통신 수단 및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영상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충격으로부터 액정패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습기나 먼지가 액정패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에 따라 절단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기판(113)과 제 2 기판(115)을 구비하는 액정패널, 몰드 프레임(121), 충격흡수재(141)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기판(113)과 제 2 기판(115) 사이에는 액정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기판(113)의 위에는 제 1 편광판(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기판(115)의 아래에는 제 2 편광판(1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액정패널은 상기 몰드 프레임(121)에 안착되어 있으며, 상기 충격흡수재(141)는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몰드 프레임(121)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재(141)는 상기 제 1 기판(113)의 외부면에 형성된 상기 제 1 편광판(111)과 상기 몰드 프레임(121)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기판(115)의 외부면에 형성된 상기 제 2 편광판(117)과 상기 몰드 프레임(12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113)은 상기 제 2 기판(115)에 비하여 더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기판(115) 위에는 상기 액정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IC(11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115)은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가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일 수 있으며, 상기 제 1 기판(113)은 컬러필터가 형성된 컬러필터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재(141)는 플렉서블(flexible)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재(141)는 실리콘,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폴리우레탄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몰드 프레임(121)에는 광학시트(131), 도광판(133)이 결합된다. 상기 도광판(133)과 상기 광학시트(131)는 광원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입사받고, 그 입사된 빛을 상기 액정패널에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몰드 프레임(121) 사이에 상기 충격흡수재(14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은 상기 충격흡수재(141)에 의하여 모두 흡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이 상기 액정패널에 전파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액정패널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정패널 제조시에 물리적인 스크라이빙(scribing) 공정 및 브레이킹(breaking) 공정이 수행되면서, 상기 제 1 기판(113)과 상기 제 2 기판 (115)에 생성된 미세한 크랙 오리진(crack origin)이 외부의 충격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상기 액정패널이 파손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1 기판(113)과 상기 제 2 기판(115)의 외곽 테두리부에는 상기 충격흡수재(141)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충격흡수재(141)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며, 외부의 습기나 먼지가 액정패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재(141)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먼지, 습기가 상기 액정패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충격흡수재(141)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먼지, 습기가 상기 광학시트(131)와 상기 도광판(133)에 영향을 미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는 상기 액정패널의 상부 및 하부에 광학필름으로서 편광판이 형성된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액정패널의 하부 또는 상부에는 편광판 외에도 위상차 보상판, 휘도향상필름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휘도향상필름의 예로는 DBEF(Dual Brightness Enhanced Film)가 있다. 상기 광학필름은 상기 액정패널을 이루는 제 1 기판의 외부면과 상기 제 2 기판의 외부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에 부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휴대전화기, 카메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에서 설명된 액정표시장치와, 외부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 및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영상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 및 기능에 대해서는 이미 많이 알려져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외부 충격으로부터 액정패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습기나 먼지가 액정패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제 1 기판,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이 포함된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이 안착되는 몰드 프레임;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몰드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충격흡수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광학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재는 상기 광학필름과 상기 몰드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은 편광판, 위상차 보상판, 휘도향상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재는 플렉서블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재는 실리콘,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물질 중에서 선택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이 안착되는 몰드 프레임과,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몰드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충격흡수재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외부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수단;
    상기 통신 수단 및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영상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을 형성하는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광학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재는 플렉서블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재는 실리콘,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물질 중에서 선택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50126835A 2005-12-21 2005-12-21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11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835A KR100811959B1 (ko) 2005-12-21 2005-12-21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PCT/KR2006/005626 WO2007073100A1 (en) 2005-12-21 2006-12-21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CNA2006800483710A CN101341437A (zh) 2005-12-21 2006-12-21 液晶显示器件及具有该液晶显示器件的移动通信终端
US12/097,972 US8045087B2 (en) 2005-12-21 2006-12-21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835A KR100811959B1 (ko) 2005-12-21 2005-12-21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081A true KR20070066081A (ko) 2007-06-27
KR100811959B1 KR100811959B1 (ko) 2008-03-10

Family

ID=38188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835A KR100811959B1 (ko) 2005-12-21 2005-12-21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45087B2 (ko)
KR (1) KR100811959B1 (ko)
CN (1) CN101341437A (ko)
WO (1) WO2007073100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8618A2 (en) * 2007-07-06 2009-01-15 Lg Innotek Co., Ltd Display device
KR20130122148A (ko) * 2012-04-30 2013-1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장치
US8760599B2 (en) 2010-02-03 2014-06-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69719B1 (ko) * 2013-06-27 2014-12-05 (주)넥스디스플레이 편광판을 통한 방수구조를 실현한 lcd 모듈
KR101603267B1 (ko) * 2015-12-01 2016-03-14 림피아디스플레이(주)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lcd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
KR101616479B1 (ko) * 2015-12-01 2016-04-29 림피아디스플레이(주)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lcd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854B1 (ko) * 2008-03-18 2010-03-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82266B1 (ko) 2009-11-17 2012-09-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수납 부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325913B1 (ko) * 2010-04-27 2013-1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77121B1 (ko) * 2010-07-28 2017-09-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20120071751A (ko) * 2010-12-23 2012-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EP2804046B1 (en) * 2011-07-27 2016-10-19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870324B1 (ko) * 2011-09-19 2018-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6088339B2 (ja) * 2013-04-23 2017-03-01 京セラ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N112666743A (zh) * 2016-11-22 2021-04-16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US20180350787A1 (en) * 2017-01-27 2018-12-0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isplay uni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uni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0515A (ja) * 1995-02-13 1996-08-30 Canon Inc 液晶表示装置
JPH0922000A (ja) * 1995-07-06 1997-01-21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2839085B2 (ja) * 1996-07-25 1998-12-16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H10153785A (ja) * 1996-09-26 1998-06-09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KR200160830Y1 (ko) 1997-04-28 1999-11-15 윤종용 박막트랜지스터용 액정표시소자 모듈 구조
JP4659291B2 (ja) * 2001-07-27 2011-03-30 富士通東芝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KR100442365B1 (ko) * 2001-11-13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장치
US7015989B2 (en) * 2003-05-12 2006-03-21 Lg.Philips Lcd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dual light unit
KR20060022164A (ko) * 2004-09-06 200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수납용기, 상기 수납용기를 갖는 액정 표시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1131268B1 (ko) * 2004-12-29 2012-03-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8618A2 (en) * 2007-07-06 2009-01-15 Lg Innotek Co., Ltd Display device
WO2009008618A3 (en) * 2007-07-06 2009-03-12 Lg Innotek Co Ltd Display device
US8350982B2 (en) 2007-07-06 2013-01-08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8467011B2 (en) 2007-07-06 2013-06-18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8760599B2 (en) 2010-02-03 2014-06-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122148A (ko) * 2012-04-30 2013-1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101469719B1 (ko) * 2013-06-27 2014-12-05 (주)넥스디스플레이 편광판을 통한 방수구조를 실현한 lcd 모듈
KR101603267B1 (ko) * 2015-12-01 2016-03-14 림피아디스플레이(주)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lcd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
KR101616479B1 (ko) * 2015-12-01 2016-04-29 림피아디스플레이(주)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lcd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1959B1 (ko) 2008-03-10
US8045087B2 (en) 2011-10-25
US20080297680A1 (en) 2008-12-04
CN101341437A (zh) 2009-01-07
WO2007073100A1 (en) 200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959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U201230517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urved-surface display
AU201230510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urved-surface display
US10684502B2 (en) Display panel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804983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U2011302924A1 (en) Method for fabrication of curved-surface display panel
KR20080020565A (ko) 편광판,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120100475A (ko) 액정 표시 장치
JP2005266284A (ja)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その製造方法で製造した電気光学装置を搭載した電子機器、および偏光板
KR20120132961A (ko) 액정표시장치
US20080020150A1 (en)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74799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78951B1 (ko) 액정표시장치용 액정패널
KR20080073060A (ko) 액정 표시 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KR101601267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66082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66083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28919B1 (ko) 충격강도가 개선된 액정표시장치
JP2013104969A (ja) 表示装置
KR20080036676A (ko)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80007153A (ko) 곡면형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21164A (ko) 액정 표시 모듈
KR20070046425A (ko) 편광판과 편광판 제조 방법 및 편광판을 포함한 액정 표시패널
KR101126924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78973A (ko)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