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5438A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5438A
KR20070065438A KR1020077010880A KR20077010880A KR20070065438A KR 20070065438 A KR20070065438 A KR 20070065438A KR 1020077010880 A KR1020077010880 A KR 1020077010880A KR 20077010880 A KR20077010880 A KR 20077010880A KR 20070065438 A KR20070065438 A KR 20070065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indoor unit
air conditioner
pane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0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6056B1 (ko
Inventor
준지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35366A external-priority patent/JP381549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3536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15493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5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실내의 미관을 해칠 우려를 종래보다 저감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한다.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a)는 케이싱 본체(23)와 정면 패널(50)을 구비한다. 케이싱 본체(23)는 실내로 불어내어지는 공기가 통과하는 취출구(26)와 실내로부터 받아들여지는 공기가 통과하는 제1 흡입구(27)를 가진다. 정면 패널(50)은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폐한다. 정면 패널(50)의 중부(52)는 2 이상의 정지(靜止)한 상태로 변화하고, 제1 상태에서의 단면으로부터 본 형상의 만곡 정도가 제2 상태의 단면으로부터 본 형상의 만곡 정도와 다르다.
공기 조화기, 실내기, 정면 패널, 케이싱, 탄성중합체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INDOOR MACHINE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근년, 실내의 공기 조화를 행하는 공기 조화기가 흔히 이용되고 있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거주자 등의 시야에 들어오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실내기가 실내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실내기의 케이싱에는 실내로부터 받아들여지는 공기가 통과하는 흡입구 및 실내로 불어내어지는 공기가 통과하는 취출구가 설치되는 것이 통상이다. 실내기는 흡입구로부터 실내의 공기를 받아들이고, 취출구로부터 조화 공기를 실내로 불어내는 것에 의하여 실내의 공기 조화를 행한다. 이 흡입구 및 취출구는 실내기 케이싱의 정면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 실내 거주자 등의 눈에 띄기 쉽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취출구를 개폐하는 수평 플랩이 설치되는 것이 많다(특허 문헌 1 참조). 이 수평 플랩은 실내기의 운전 시에는 취출구를 열어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어지는 공기를 안내한다. 그리고 실내기의 운전 정지 시에는 수평 플랩이 취출구를 닫는다. 이것에 의하여, 실내기의 운전 정지 시에 취출구가 거주자 등의 시야에 들어오는 것이 방지되고, 실내의 미관을 해칠 우려가 저감한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중에는 흡입구를 개폐하는 패널을 설치하여,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정지 시에 흡입구를 닫는 것도 존재한다. 이 실내기의 경우, 실내기의 운전 정지 시에 흡입구가 거주자 등의 시야에 들어오는 것이 방지되고, 실내의 미관을 해칠 우려가 저감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공보 제3334688호 명세서
그러나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여전히 실내의 미관이 해쳐질 우려가 있다. 즉, 도 34에 도시하는 실내기(200)와 같이, 수평 플랩(201)에 의하여 취출구(202)가 닫히는 경우에서도, 정면으로부터 볼 때 수평 플랩(201)과 취출구(202)의 사이의 이음매가 나타나는 것이 많다. 또한, 흡입구를 개폐하는 패널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공기 조화기의 흡입구를 닫는 경우에서도, 정면으로부터 볼 때 흡입구와 패널의 이음매가 나타나는 것이 많다.
본 발명의 과제는 실내의 미관을 해칠 우려를 종래보다 저감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케이싱과 정면 패널을 구비한다. 케이싱은 실내로 불어내어지는 공기가 통과하는 취출구와 실내로부터 받아들여지는 공기가 통과하는 흡입구를 가진다. 정면 패널은 취출구 및 흡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폐한다. 정면 패널의 제1 부분은 2 이상의 정지(靜止)한 상태로 변화하고, 제1 상태에서의 단면으로부터 본 형상의 만곡 정도가 제2 상태의 단면으로부터 본 형상의 만곡 정도와 다르다.
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정면 패널의 제1 부분이 2 이상의 정지한 상태로 변화하고, 제1 상태에서의 단면으로부터 본 형상의 만곡 정도가 제2 상태의 단면으로부터 본 형상의 만곡 정도와 다르다. 즉, 정면 패널은 제1 부분의 단면으로부터 본 형상의 만곡 정도가 다른 정지한 상태 사이를 변화하는 것에 의하여, 취출구 및 흡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폐한다. 따라서, 이음매가 실내기의 표면에 나타날 우려를 저감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실내의 미관을 해칠 우려를 종래보다 저감할 수 있다.
덧붙여,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 있어서, 제1 부분의 만곡 정도가 제로 즉, 제1 부분이 전혀 만곡하고 있지 않는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정면 패널은 1매의 패널 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정면 패널이 1매의 패널 부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음매가 실내기의 표면에 나타날 우려를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실내의 미관을 해칠 우려를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제1 상태는 정면 패널이 열린 상태이며, 제1 부분은 제1 상태에서 S자형으로 만곡한다.
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정면 패널의 제1 부분은 정면 패널이 열린 상태에서 S자형으로 만곡한다. 이것에 의하여, 실내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제1 상태는 정면 패널이 열린 상태이며, 제1 부분은 제1 상태에서 U자형으로 만곡한다.
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정면 패널의 제1 부분은 정면 패널이 열린 상태에서 U자형으로 만곡한다. 이것에 의하여, 실내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1 발명 내지 제4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제1 부분은 정면 패널 중 제1 부분 이외의 제2 부분보다도 가요성이 높다.
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정면 패널의 제1 부분은 정면 패널 중 제1 부분 이외의 제2 부분보다도 가요성이 높다. 이 때문에, 정면 패널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가요성의 차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단순한 기구로 정면 패널의 제1 부분만을 희망하는 형상으로 만곡시킬 수 있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제1 부분은 제2 부분보다도 얇다.
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정면 패널의 제1 부분은 정면 패널의 제2 부분보다도 얇다. 즉, 단순한 구성으로 제1 부분의 가요성을 제2 부분의 가요성보다도 높게 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제1 부분은 제2 부분과 재질이 다르다.
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정면 패널의 제1 부분은 정면 패널의 제2 부분과 재질이 다르다. 즉, 단순한 구성으로 제1 부분의 가요성을 제2 부분의 가요성보다도 높게 할 수 있다.
제8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1 발명 내지 제7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제1 부분은 탄성중합체(elastomer)에 의하여 형성된다.
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정면 패널의 제1 부분은 탄성중합체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 때문에, 온기감, 소프트감 등의 탄성중합체가 가지는 질감으로부터 생기는 의장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9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1 발명 내지 제7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제1 부분은 포상(布狀) 부재에 의하여 형성된다.
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정면 패널의 제1 부분은 포상 부재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 때문에, 온기감, 소프트감 등의 포상 부재가 가지는 질감으로부터 생기는 의장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10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1 발명 내지 제9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제1 부분은 제1 상태에서의 종단면으로부터 본 형상의 만곡 정도가 제2 상태의 종단면으로부터 본 형상의 만곡 정도와 다르다.
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정면 패널의 제1 부분은 제1 상태에서의 종단면으로부터 본 형상의 만곡 정도가 제2 상태의 종단면으로부터 본 형상의 만곡 정도와 다르다. 즉, 정면 패널이 열릴 때에 정면 패널이 측면으로부터 볼 때 만곡한다.
제1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1 발명 내지 제9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제1 부분은 제1 상태에서의 횡단면으로부터 본 형상의 만곡 정도가 제2 상태의 횡단면으로부터 본 형상의 만곡 정도와 다르다.
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정면 패널의 제1 부분은 제1 상태에서의 횡단면으로부터 본 형상의 만곡 정도가 제2 상태의 횡단면으로부터 본 형상의 만곡 정도와 다르다. 즉, 정면 패널이 열릴 때에 정면 패널이 평면으로부터 볼 때 만곡한다.
제1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정면 패널은 개구부(開口部)를 가진다. 케이싱은 개구부에 대응하는 볼록부를 가진다. 제2 상태에서는 케이싱의 볼록부가 개구부에 삽입된다.
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정면 패널이 개구부를 가지고, 케이싱이 그 개구부에 대응하는 볼록부를 가지고, 제2 상태에서는 케이싱의 볼록부가 정면 패널의 개구부에 삽입된다. 즉, 제1 상태에서는 정면 패널의 개구부에 의하여 실내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경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제2 상태에서는 케이싱의 볼록부가 개구부에 삽입되어, 정면으로부터 볼 때 대체로 연속적인 면이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개구부가 실내의 미관을 해칠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실내의 미관을 해칠 우려를 종래보다 저감할 수 있다.
제13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1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제1 상태에서는 개구부가 정면으로부터 볼 때 가려진다.
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제1 상태에서의 정면 패널의 개구부가 정면으로부터 볼 때 가려진다. 즉, 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제1 상태에서 개구부가 정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하여, 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제1 상태에서 실내의 미관을 해칠 우려를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
제14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12 발명 또는 제13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제1 상태는 정면 패널이 열린 상태이다. 개구부는 제1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부분은 제1 상태에서 S자형으로 만곡한다.
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정면 패널의 개구부가 정면 패널의 제1 부분에 형성되고, 그 정면 패널의 제1 부분이 정면 패널이 열린 상태에서 S자형으로 만곡한다. 이것에 의하여, 실내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정면 패널이 제1 부분의 단면으로부터 본 형상의 만곡 정도가 다른 정지한 상태 사이를 변화하는 것에 의하여, 취출구 및 흡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폐한다. 따라서, 이음매가 실내기의 표면에 나타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실내의 미관을 해칠 우려를 종래보다 저감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정면 패널이 1매의 패널 부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음매가 실내기의 표면에 나타날 우려를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실내의 미관을 해칠 우려를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정면 패널의 제1 부분은 정면 패널이 열린 상태에서 S자형으로 만곡한다. 이것에 의하여, 실내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정면 패널의 제1 부분은 정면 패널이 열린 상태에서 U자형으로 만곡한다. 이것에 의하여, 실내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정면 패널의 제1 부분은 정면 패널 중 제1 부분 이외의 제2 부분보다도 가요성이 높다. 정면 패널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가요성의 차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단순한 기구로 정면 패널의 제1 부분만을 희망하는 형상으로 만곡시킬 수 있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정면 패널의 제1 부분은 정면 패널의 제2 부분보다도 얇다. 즉, 단순한 구성으로 제1 부분의 가요성을 제2 부분의 가요성보다도 높게 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정면 패널의 제1 부분은 정면 패널의 제2 부분과 재질이 다르다. 즉, 단순한 구성으로 제1 부분의 가요성을 제2 부분의 가요성보다도 높게 할 수 있다.
제8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정면 패널의 제1 부분은 탄성중합체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 때문에, 온기감, 소프트감 등의 탄성중합체가 가지는 질감으로부터 생기는 의장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9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정면 패널의 제1 부분은 포상 부재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 때문에, 온기감, 소프트감 등의 포상 부재가 가지는 질감으로부터 생기는 의장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10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정면 패널의 제1 부분은 제1 상태에서의 종단면으로부터 본 형상의 만곡 정도가 제2 상태의 종단면으로부터 본 형상의 만곡 정도와 다르기 때문에 측면으로부터 볼 때 만곡하는 정면 패널에 적합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다.
제1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정면 패널의 제1 부분은 제1 상태에서의 횡단면으로부터 본 형상의 만곡 정도가 제2 상태의 횡단면으로부터 본 형상의 만곡 정도와 다르기 때문에 평면으로부터 볼 때 만곡하는 정면 패널에 적합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다.
제1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정면 패널이 취출구 및 흡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폐하므로, 이음매가 실내기의 표면에 나타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나아가, 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제1 상태에서는 정면 패널의 개구부에 의하여 실내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경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제2 상태에서는 케이싱의 볼록부가 개구부에 삽입되어, 정면으로부터 볼 때 대체로 연속적인 면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하여, 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실내의 미관을 해칠 우려를 종래보다 저감할 수 있다.
제13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제1 상태에서 정면 패널의 개구부가 정면으로부터 볼 때 가려지기 때문에 개구부가 정면으로부터 볼 때 나타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하여, 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제1 상태에서 실내의 미관을 해칠 우려를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
제14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정면 패널의 개구부가 정면 패널의 제1 부분에 형성되고, 그 정면 패널의 제1 부분이 정면 패널이 열린 상태에서 S자형으로 만곡한다. 이것에 의하여, 실내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구성 및 냉매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내기의 운전 정지 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내기의 운전 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내기의 변형예의 운전 정지 시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내기의 변형예의 운전 시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내기의 운전 정지 시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내기의 운전 시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3 실시예에 관련되는 정면 패널의 운전 정지 시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XIII-XIII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예에 관련되는 정면 패널의 운전 시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XV-XV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4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내기의 운전 정지 시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XVII-XVII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4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내기의 운전 시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XIX-XIX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5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내기의 운전 정지 시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XXI-XXI 단면도이다.
도 22는 제5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내기의 운전 시의 정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XXIII-XXIII 단면도이다.
도 24는 제6 실시예에 관련되는 정면 패널의 운전 정지 시의 정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XXV-XXV 단면도이다.
도 26은 제6 실시예에 관련되는 정면 패널의 운전 시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XXVII-XXVII 단면도이다.
도 28은 다른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내기의 운전 정지 시의 종단면도이다.
도 29는 다른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내기의 운전 정지 시의 종단면도이다.
도 30은 다른 실시예에 관련되는 정면 패널의 운전 정지 시의 횡단면도이다.
도 31은 다른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내기의 운전 정지 시의 종단면도이다.
도 32는 다른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내기의 운전 정지 시의 종단면도이다.
도 33은 다른 실시예에 관련되는 정면 패널의 운전 정지 시의 횡단면도이다.
도 34는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a, 2b, 2c, 2d, 2e, 2f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3 : 케이싱
26 : 취출구
27 : 제1 흡입구
50, 60, 90, 150, 160, 190 : 정면 패널
51, 151 : 상부 (제2 부분)
52, 152 : 중부 (제1 부분)
53, 153 : 하부 (제2 부분)
71, 171 : 상부 (제2 부분)
72, 172 : 중부 (제1 부분)
73, 173 : 하부 (제2 부분)
91, 191 : 최좌부 (제2 부분)
92, 192 : 좌부 (제1 부분)
93, 193 : 중부 (제2 부분)
94, 194 : 우부 (제1 부분)
95, 195 : 최우부 (제2 부분)
500, 700, 900, 902 : 개구부
501, 701, 901, 903 : 볼록부
<제1 실시예>
〔공기 조화기의 전체 구성〕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1)의 구성 및 냉매 회로의 개략을 설명한다.
본 공기 조화기(1)는 실내의 벽면 등에 장착되는 실내기(2a)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3)를 구비하고 있다.
본 공기 조화기(1)의 냉매 회로는 주로 실내 열교환기(20),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31), 압축기(32), 사방 전환 밸브(33), 실외 열교환기(30) 및 전동 팽창 밸브(34)를 구비한다.
실내기(2a)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 열교환기(20)는 접촉하는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한다. 또한, 실내기(2a)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 열교환기(20)에 통과시키고 열교환이 행해진 후의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실내 팬(21)이 설치되어 있다. 실내 팬(21)은 실내기(2a) 내에 설치되는 실내 팬 모 터(22)에 의하여 회전 구동된다. 실내기(2a)의 상세한 구성 및 동작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실외기(3)에는 압축기(32)와, 압축기(32)의 토출(吐出) 측에 접속되는 사방 전환 밸브(33)와, 압축기(32)의 흡입 측에 접속되는 어큐뮬레이터(31)와, 사방 전환 밸브(33)에 접속된 실외 열교환기(30)와, 실외 열교환기(30)에 접속된 전동 팽창 밸브(34)가 설치되어 있다. 전동 팽창 밸브(34)는 필터(35) 및 액 폐쇄 밸브(36)를 통하여 배관(41)에 접속되어 있고, 이 배관(41)을 통하여 실내 열교환기(20)의 일단과 접속된다. 또한, 사방 전환 밸브(33)는 가스 폐쇄 밸브(37)를 통하여 배관(42)에 접속되어 있고, 이 배관(42)을 통하여 실내 열교환기(20)의 타단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실외기(3)에는 실외 열교환기(30)에서의 열교환 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실외 팬(3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실외 팬(38)은 실외 팬 모터(39)에 의하여 회전 구동된다.
〔실내기의 구성〕
도 2 ~ 도 5를 참조하여 실내기(2a)의 구성을 설명한다.
실내기(2a)는 실내의 측벽에 설치되는 벽걸이형 실내기이며, 케이싱 본체(23)와 정면 패널(50)을 구비한다.
(케이싱 본체)
케이싱 본체(23)는 정면으로부터 볼 때 폭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측면으로부터 볼 때 높이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케이싱 본체(23)는 폭(W), 높이(H), 깊이(D)를 가진다. 케이싱 본체(23) 내에는 상술한 실 내 열교환기(20), 실내 팬(21), 도시하지 않는 실내 팬 모터(22) 등이 구비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으로부터 볼 때 실내 팬(21)이 케이싱 본체(23)의 중앙에 배치되고, 역V자형 형상을 가지는 실내 열교환기(20)가 실내 팬(21)의 상반분(上半分) 및 전방(前方)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 본체(23)에는 흡입구(25)와 취출구(26)가 설치되어 있다.
흡입구(25)는 실내 팬(21)에 의하여 실내로부터 케이싱 본체(23) 내로 받아들여지는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이고, 제1 흡입구(27) 및 제2 흡입구(28)로 이루어진다. 제1 흡입구(27)는 정면으로부터 볼 때 폭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고, 그 길이는 케이싱 본체(23)의 폭(W)보다도 약간 작다. 제1 흡입구(27)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 본체(23)의 정면에 설치되고, 실내 열교환기(20) 정면 측의 면과 대향하고 있다. 제2 흡입구(28)는 케이싱 본체(23)의 폭 방향으로 긴 복수의 슬릿으로서 설치되어 있고, 케이싱 본체(23)의 천면(天面)에 설치되어 있다.
취출구(26)는 실내 팬(21)에 의하여 실내 열교환기(20)를 통과하여 실내로 불어내어지는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이다. 취출구(26)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고, 그 길이는 케이싱 본체(23)의 폭(W)보다도 약간 작다. 또한, 취출구(26)는 케이싱 본체(23)의 하부 근방에 있어서 케이싱 본체(23)의 정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취출구(26) 근방에는 수평 플랩(29)이 설치되어 있다. 수평 플랩(29)은 실내기(2a)의 폭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는 판상(板狀) 부재이며, 취출구(26) 로부터 불어내어지는 공기를 안내한다. 수평 플랩(29)은 실내기(2a)의 폭 방향으로 평행한 회전축(R1)을 가지고 있고, 도 3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5에 도시하는 상태로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공기의 안내 방향을 변경한다.
(정면 패널)
정면 패널(50)은 1매의 패널 부재로 이루어지고, 정면으로부터 볼 때의 케이싱 본체(23)의 폭(W)과 대략 같은 폭과, 케이싱 본체(23)의 높이(H)와 대략 같은 높이를 가진다. 또한, 정면 패널(50)은,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 대략 평탄한 면을 형성하고, 정면으로부터 볼 때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를 덮는다. 또한, 정면 패널(50)은 이동 기구(10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고, 운전 시에 있어서,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를 연다.
정면 패널(50)은 상방(上方)으로부터 하방(下方)으로 차례로 배열되는 상부(51), 중부(52) 및 하부(53)를 가진다. 상부(51)와 중부(52)의 경계를 경계선(이점쇄선, 54)으로, 중부(52)와 하부(53)의 경계를 경계선(이점쇄선, 55)으로 도시한다. 중부(52)는 정면 패널(50)이 열린 상태에서 만곡하는 부분이고, 상부(51) 및 하부(53)는 정면 패널(50)이 열린 상태에서도 거의 만곡하지 않는 부분이다. 정면 패널(50)은 탄성중합체에 의하여 형성되어, 온기감, 소프트감이라는 질감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상부(51), 하부(53)는 각각 두께(t1), 두께(t3)를 가지고, 중부(52)는 두께(t1) 및 두께(t3) 중 어느 것보다도 얇은 두께(t2)를 가진다. 따라서, 중부(52)는 상부(51) 및 하부(53) 중 어느 것보다도 가요성이 높게 되어 있 다. 덧붙여, 도 2 ~ 도 5에서 상부(51), 중부(52) 및 하부(53)가 경계선(54, 55)에 의하여 구별되어 도시되어 있지만, 상부(51), 중부(52) 및 하부(53)는 같은 재료에 의하여 일체(一體) 형성되어 있어, 정면으로부터 볼 때 그것들의 경계를 구별할 수 없다. 즉, 상부(51)와 중부(52)의 사이 및 중부(52)와 하부(53)의 사이에 이음매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동 기구(100)는 정면 패널(50)의 상부(51)에 고정된 로드(rod, 101), 정면 패널(50)의 하부(53)에 고정된 도시하지 않는 부재, 도시하지 않는 모터 및 기어 등으로 구성된다. 이동 기구(100)는 도 2 및 도 4에서 파선(波線)으로 도시되지만, 실제로는 정면으로부터 볼 때 정면 패널(50)에 가려져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다. 이 이동 기구(100)는 정면 패널(50)의 상부(51)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것과 함께, 그 이동에 연동시켜 정면 패널(50)의 하부(53)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실내기의 동작〕
다음으로,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a)가 공조(空調) 운전을 행하는 경우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내기(2a)가 정지하고 있는 경우, 정면 패널(5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를 닫은 상태로 되어 있다. 이때에는, 중부(52)는 만곡하고 있지 않은 정지한 상태로 있다.
실내기(2a)가 운전을 행하는 경우, 정면 패널(50)이 이동하여,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가 열린다. 이것에 의하여, 실내기(2a)로 받아들여지는 공기의 풍량이 확보되는 것과 함께, 공기의 취출이 행해진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 패널(50) 중 하부(53)가 이동 기구(100)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취출구(26)가 열린다. 또한, 이 하부(53)의 이동에 연동하여, 정면 패널(50) 중 상부(51)가 이동 기구(100)에 의하여 전방으로 거리(d1)만큼 평행하게 밀어내어진다. 이것에 의하여, 제1 흡입구(27)가 열린다. 이때, 중부(52)의 가요성이 상부(51) 및 하부(53)의 가요성보다도 높기 때문에 중부(52)가 측면으로부터 볼 때 S자형으로 만곡한다. 즉, 실내기(2a)가 운전을 행하고 있을 때에 중부(52)는 S자상으로 만곡하여 정지한 상태로 된다.
정면 패널(50)이 이동하여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가 열린 후, 수평 플랩(29)이 설정된 운전 모드에 대응한 취출 각도로 되도록 회전 이동한다.
운전 시에는, 이상과 같이 실내기(2a)의 정면 패널(50)이 열린다.
실내기(2a)가 운전을 정지하는 경우, 정면 패널(50)이 이동하여, 실내기(2a)는 취출구(26)와 제1 흡입구(27)가 닫힌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 경우, 정면 패널(50) 중 상부(51)가 이동 기구(100)에 의하여 후방으로 거리(d1)만큼 평행하게 되밀린다. 이것에 의하여 취출구(26)가 닫힌다. 또한, 이 상부(51)의 이동에 연동하여, 정면 패널(50) 중 하부(53)가 이동 기구(100)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취출구(26)가 닫힌다. 이때, 운전 시에 S자로 만곡하고 있던 중부(52)는 대략 평탄한 면으로 되돌아간다.
운전 정지 시에는, 이상과 같이 실내기(2a)의 정면 패널(50)이 닫힌다.
〔특징〕
(1)
본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a)에서는,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 정면 패널(50)이 실내기(2a)의 정면 전체를 덮는다. 그리고 정면 패널(50)은 대략 평탄한 면을 형성한다. 이 때문에, 실내기(2a)의 운전 정지 시에는, 정면으로부터 볼 때 거주자 등의 시야에는 대략 평탄한 정면 패널(50)만이 나타난다. 나아가, 정면 패널(50)이 1매의 패널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 정면으로부터 볼 때 이음매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본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a)에서는 실내기(2a) 단체(單體)의 정면으로부터 볼 때의 뛰어난 미관을 확보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정면으로부터 볼 때의 실내기(2a)의 운전 정지 시의 외관과 실내의 벽면이 조화하여, 실내의 미관이 향상된다.
(2)
또한, 종래의 실내기에는, 운전 시에 있어서, 정면 패널(50)이 복수의 패널로 분할되고, 분할된 복수의 패널이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이음매가 생기는 것이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a)에서는, 운전 시에 있어서, 정면 패널(50)이 만곡하여 제1 흡입구(27) 및 취출구(26)를 개폐한다. 즉, 본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a)에서는, 운전 시에 있어서, 이음매가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거주자 등의 시야에 여분의 이음매에 대신하여 만곡에 의한 매끄러운 음영이 들어올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a)에서는, 운전 시에 있어서, 미감이 향상된다.
(3)
본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a)에서는, 정면 패널(50)에 탄성중합체가 사용 된다. 따라서, 실내기(2a)의 정면으로부터 볼 때 온기감, 소프트감 등의 탄성중합체가 가지는 질감으로부터 생기는 의장 가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4)
본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a)에서는, 정면 패널(50)의 중부(52)의 가요성은 상부(51) 및 하부(53)의 가요성보다도 높다. 따라서, 운전 시에 하부(53)를 상방으로, 상부(51)를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만으로, 중부(52)는 자연스럽게 만곡한다. 즉, 운전 시에 정면 패널(50)을 만곡시키기 위해서는 평행 이동과 같은, 상부(51) 및 하부(53)의 간단한 이동을 행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이것에 의하여, 정면 패널(50)을 만곡시키는 이동 기구(100)를 단순하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5)
일반적으로, 벽걸이형 실내기는 실내의 벽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정면 부분이 거주자 등의 시야에 들어오기 쉽다. 또한, 실내기 정면 부분의 면적이 큰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운전 정지 시 및 운전 시에 정면으로부터 볼 때의 실내의 미관이 향상되는 본 발명이 특히 유효하다.
(6)
본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a)에서는, 운전 시에 있어서, 정면 패널(50)의 상부(51) 및 하부(53)가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가 열린다. 이 때문에, 실내기(2a)로의 공기의 흡입과 실내기(2a)로부터의 공기의 취출을 충분히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취출구(26)와 제1 흡입구(27)가 열릴 때에는 정면 패널(50)의 하부(53)가 상방으로 약간 이동하고, 상부(51)가 전방으로 약간 이동하면 충분하다. 이 때문에, 운전 시에 있어서의 실내기(2a) 두께(도 5 참조)의 증대 치수(거리(d1))가 작다. 이 때문에, 본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a)에서는, 운전 시의 실내기(2a)를 조밀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변형예〕
제1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정면 패널(50)은, 운전 시에 있어서, 중부(52)의 만곡 형상이 U자형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정면 패널(50)은 도 6 및 도 7과 같이 만곡한다.
또한,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로서 정면 패널(50)이 복수의 패널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정면 패널(50)을 구성하는 패널의 수가 적을수록 정면 패널(50)에 나타나는 이음매가 적어지기 때문에 정면 패널(50)을 구성하는 패널의 수는 적은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면 패널(50)을 구성하는 복수의 패널은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정면으로부터 볼 때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음매가 나타나지 않아, 일반적으로 실내의 미관이 향상된다.
<제2 실시예>
도 8 ~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b)를 설명한다.
정면 패널(60)은 제1 패널(70) 및 제2 패널(80)로 이루어진다. 제1 패 널(70)은 제1 흡입구(27)를 개폐하고, 제2 패널(80)은 취출구(26)를 개폐한다. 제1 패널(70)은 정면으로부터 볼 때의 케이싱 본체(23)의 폭(W)과 대략 같은 폭을 가지고, 제2 패널(80)은 정면으로부터 볼 때의 케이싱 본체(23)의 폭(W)과 대략 같은 폭을 가지고, 나아가, 제1 패널(70)의 높이(H1)와 제2 패널(80)의 높이(H2)의 합이 케이싱 본체(23)의 높이(H)와 대략 같아지게 된다.
제1 패널(70)은 도시하지 않는 이동 기구(10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고, 제1 흡입구(27)를 개폐한다. 제1 패널(70)은 1매의 패널 부재로 이루어지고,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 대략 평탄한 면을 형성한다. 제1 패널(70)은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차례로 배열되는 상부(71), 중부(72) 및 하부(73)를 가진다. 상부(71)와 중부(72)의 경계를 경계선(이점쇄선, 74)으로, 중부(72)와 하부(73)의 경계를 경계선(이점쇄선, 75)으로 도시한다. 중부(72)는 제1 패널(70)이 열린 상태에서 만곡하는 부분이고, 상부(71) 및 하부(73)는 제1 패널(70)이 열린 상태에서도 거의 만곡하지 않는 부분이다. 제1 패널(70)은 탄성중합체에 의하여 형성되어, 온기감, 소프트감이라는 질감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상부(71), 하부(73)는 각각 두께(t1), 두께(t3)를 가지고, 중부(72)는 두께(t1) 및 두께(t3) 중 어느 것보다도 얇은 두께(t2)를 가진다. 따라서, 중부(72)는 상부(71) 및 하부(73) 중 어느 것보다도 가요성이 높게 되어 있다.
제2 패널(80)은 도시하지 않는 이동 기구(10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고, 취출구(26)를 개폐한다. 제2 패널(80)은 1매의 패널 부재로 이루어진다. 제2 패널(80)은 제1 패널(70)과 마찬가지로 탄성중합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정면으로부 터 볼 때 실내기(2b)의 인상이 통일되는 것에 의하여 실내의 미관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운전 시의 실내기(2b)가 공조 운전을 행하는 경우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내기(2b)가 정지하고 있는 경우, 제1 패널(70) 및 제2 패널(80)은, 도 8 및 도 9와 같이,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가 닫힌 상태로 되어 있다. 이때에는, 중부(72)는 만곡하고 있지 않은 정지한 상태로 있다.
실내기(2b)가 운전을 행하는 경우, 제1 패널(70) 및 제2 패널(80)이 이동하여,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가 열린다. 이것에 의하여, 실내기(2b)로 받아들여지는 공기의 풍량이 확보되는 것과 함께, 공기의 취출이 행해진다. 이 경우,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패널(70) 중 하부(73)가 도시하지 않는 이동 기구(100)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 하부(73)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1 패널(70) 중 상부(71)가 도시하지 않는 이동 기구(100)에 의하여 전방으로 거리(d1)만큼 평행하게 밀어내어진다. 이것에 의하여, 제1 흡입구(27)가 열린다. 이때, 중부(72)의 가요성이 상부(71) 및 하부(73)의 가요성보다도 높기 때문에 중부(72)가 측면으로부터 볼 때 S자형으로 만곡한다. 즉, 실내기(2b)가 운전을 행하고 있을 때에 중부(72)는 S자상으로 만곡하여 정지한 상태로 된다. 이 제1 패널(70)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2 패널(80)은 설정된 운전 모드에 대응한 취출 각도로 되도록 회전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취출구(26)가 열린다.
실내기(2b)가 운전을 정지하는 경우, 제1 패널(70) 및 제2 패널(80)이 이동하여, 실내기(2b)는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가 닫힌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 경우, 제1 패널(70) 중 상부(71)가 도시하지 않는 이동 기구(100)에 의하여 후방으로 거리(d1)만큼 되밀린다. 또한, 이 상부(71)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1 패널(70) 중 하부(73)가 도시하지 않는 이동 기구(100)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운전 시에 S자로 만곡하고 있던 중부(72)는 대략 평탄한 면으로 되돌아간다. 이것에 의하여, 제1 흡입구(27)가 닫힌다. 나아가, 이 제1 패널(70)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2 패널(80)이 회전 이동하고, 취출구(26)가 닫힌다.
다른 구성 및 동작에 관해서는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내기(2a)와 동일하다.
〔특징〕
본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b)에서는, 제1 흡입구(27)를 개폐시키는 제1 패널(70)과 취출구(26)를 개폐시키는 제2 패널(80)이 독립적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제1 흡입구(27) 및 취출구(26)의 개폐 상태를 독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예〕
제2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정면 패널(60)은 제1 패널(70) 및 제2 패널(80) 이외의 한층 더 패널을 가지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정면 패널(60)을 구성하는 패널의 수가 적을수록 정면 패널(60)에 나타나는 이음매가 적어지기 때문에, 정면 패널(60)을 구성하는 패널의 수는 적은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면 패널(60)을 구성하는 복수의 패널은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정면으로부터 볼 때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음매가 나타나지 않아, 실내의 미관이 향상된다.
또한, 제2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로서, 제2 패널(80)은 제1 패널(70)과 다른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제3 실시예>
도 12 ~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c)를 설명한다.
정면 패널(90)은 1매의 패널 부재로 이루어지고, 정면으로부터 볼 때의 케이싱 본체(23)의 폭(W)과 대략 같은 폭과, 케이싱 본체(23)의 높이(H)와 대략 같은 높이를 가진다. 케이싱 본체(23)에 설치된 제1 흡입구(27) 및 취출구(26)는 도 12에서 파선으로 도시되지만, 실제로는 정면으로부터 볼 때 정면 패널(90)에 가려져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다. 또한, 케이싱 본체(23)에 설치된 제1 흡입구(27) 및 취출구(26)는 대략 같은 폭(W1)을 가진다. 또한, 정면 패널(90)은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 대략 평탄한 면을 형성하고, 정면으로부터 볼 때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를 덮는다. 또한, 정면 패널(90)은 도시하지 않는 이동 기구(10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고, 운전 시에 있어서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를 연다.
정면 패널(90)은 좌로부터 우로 차례로 배열되는 최좌부(最左部, 91), 좌부(92), 중부(93), 우부(94) 및 최우부(最右部, 95)를 가진다. 최좌부(91)와 좌부(92)의 경계를 경계선(이점쇄선, 96)으로, 좌부(92)와 중부(93)의 경계를 경계선(이점쇄선, 97)으로, 중부(93)와 우부(94)의 경계를 경계선(이점쇄선, 98)으로, 우부(94)와 최우부(95)의 경계를 경계선(이점쇄선, 99)으로 도시한다. 중부(93)는 제1 흡입구(27) 및 취출구(26)의 폭(W1)과 대략 같은 폭을 가지고,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 제1 흡입구(27) 및 취출구(26)를 덮는다. 도 15를 참조하여, 좌부(92) 및 우부(94)는 정면 패널(90)이 열린 상태에서 만곡하는 부분이고, 최좌부(91), 중부(93) 및 최우부(95)는 정면 패널(90)이 열린 상태에서도 거의 만곡하지 않는 부분이다. 정면 패널(90)은 탄성중합체에 의하여 형성되어, 온기감, 소프트감이라는 질감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최좌부(91), 중부(93), 최우부(95)는 각각 두께(t1), 두께(t3), 두께(t5)를 가지고, 좌부(92), 우부(94)는 각각 두께(t1), 두께(t3) 및 두께(t5) 중 어느 것보다도 얇은 두께(t2), 두께(t4)를 가진다. 따라서, 좌부(92) 및 우부(94)는 최좌부(91), 중부(93) 및 최우부(95) 중 어느 것보다도 가요성이 높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c)가 공조 운전을 행하는 경우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내기(2c)가 정지하고 있는 경우, 정면 패널(90)은,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를 닫은 상태로 되어 있다. 이때에는, 좌부(92) 및 우부(94)는 만곡하고 있지 않은 정지한 상태로 있다.
실내기(2c)가 운전을 행하는 경우, 정면 패널(90)이 이동하고,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가 열린다. 이것에 의하여, 실내기(2c)로 받아들여지는 공기의 풍량이 확보되는 것과 함께, 공기의 취출이 행해진다. 이 경우, 정면 패널(90)의 최좌부(91)와 좌부(92)의 경계선(96)이 제1 흡입구(27) 또는 취출구(26)의 좌(左) 경계선에 가까워지도록 최좌부(91)가 우(右)로 평행 이동한다. 한편, 정면 패널(90)의 우부(94)와 최우부(95)의 경계선(99)이 제1 흡입구(27) 및 취출구(26)의 우(右) 경계선에 가까워지도록 최우부(95)가 좌(左)로 평행 이동한다. 이 최좌부(91) 및 최우부(95)의 이동에 따라 중부(93)가 전방으로 거리(d1)만큼 평행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흡입구(27) 및 취출구(26)가 열린다. 이때, 좌부(92) 및 우부(94)의 가요성이 최좌부(91), 중부(93) 및 최우부(95)의 가요성보다도 높기 때문에 좌부(92) 및 우부(94)가 평면으로부터 볼 때 S자형으로 만곡한다. 즉, 실내기(2c)가 운전을 행하고 있을 때, 좌부(92) 및 우부(94)는 S자상으로 만곡하여 정지한 상태로 된다.
이상과 같이, 실내기(2c)의 운전이 행해진다.
실내기(2c)가 운전을 정지하는 경우, 정면 패널(90)이 이동하여,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취출구(26)와 제1 흡입구(27)가 닫힌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 경우, 정면 패널(90)의 최좌부(91)와 좌부(92)의 경계선(96)이 제1 흡입구(27) 또는 취출구(26)의 좌 경계선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최좌부(91)가 좌로 평행 이동한다. 나아가, 정면 패널(90)의 우부(94)와 최우부(95)의 경계선(99)이 제1 흡입구(27) 및 취출구(26)의 우 경계선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최우부(95)가 우로 평행 이동한다. 이 최좌부(91) 및 최우부(95)의 이동에 따라 중부(93)가 후방으로 거리(d1)만큼 평행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가 닫힌다.
다른 구성 및 동작에 관해서는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내기(2a)와 동일하다.
〔특징〕
본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c)에서는, 정면 패널(90)은, 운전 시에 있어 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 만곡한다. 즉, 본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c)에서는, 정면 패널(90)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 만곡하는 정면 패널에 적합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다.
〔변형예〕
제3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정면 패널(90)은 복수의 패널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정면 패널(90)을 구성하는 패널의 수가 적을수록 정면 패널(90)에 나타나는 이음매가 적어지기 때문에 정면 패널(90)을 구성하는 패널의 수는 적은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면 패널(90)을 구성하는 복수의 패널은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정면으로부터 볼 때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음매가 저감하여, 실내의 미관이 향상된다.
<제4 실시예>
도 16 ~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d)를 설명한다.
실내기(2d)는 실내의 측벽에 설치되는 벽걸이형 실내기이고, 케이싱 본체(23)와 정면 패널(150)을 구비한다.
(케이싱 본체)
케이싱 본체(23)는 정면으로부터 볼 때 폭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측면으로부터 볼 때 높이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케이싱 본체(23)는 폭(W), 높이(H), 깊이(D)를 가진다. 케이싱 본체(23) 내에는 상술한 실내 열교환기(20), 실내 팬(21), 도시하지 않는 실내 팬 모터(22) 등이 구비되어 있 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으로부터 볼 때 실내 팬(21)이 케이싱 본체(23)의 중앙에 배치되고, 역V자형 형상을 가지는 실내 열교환기(20)가 실내 팬(21)의 상반분 및 전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 본체(23)에는 흡입구(25)와 취출구(26)가 설치되어 있다.
흡입구(25)는 실내 팬(21)에 의하여 실내로부터 케이싱 본체(23) 내로 받아들여지는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이고, 제1 흡입구(27) 및 제2 흡입구(28)로 이루어진다. 제1 흡입구(27)는 정면으로부터 볼 때 폭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고, 그 길이는 케이싱 본체(23)의 폭(W)보다도 약간 작다. 제1 흡입구(27)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 본체(23)의 정면에 설치되고, 실내 열교환기(20) 정면 측의 면과 대향하고 있다. 제2 흡입구(28)는 케이싱 본체(23)의 폭 방향으로 긴 복수의 슬릿으로서 설치되어 있고, 케이싱 본체(23)의 천면에 설치되어 있다.
취출구(26)는 실내 팬(21)에 의하여 실내 열교환기(20)를 통과하여 실내로 불어내어지는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이다. 취출구(26)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고, 그 길이는 케이싱 본체(23)의 폭(W)보다도 약간 작다. 취출구(26)는 케이싱 본체(23)의 하부 근방에 있어서 케이싱 본체(23)의 정면에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 본체(23)의 정면에는 제1 흡입구(27)와 취출구(26)의 사이에 폭 방향으로 긴 형상의 볼록부(50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취출구(26) 근방에는 수평 플랩(29)이 설치되어 있다. 수평 플랩(29)은 실내기(2d)의 폭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는 판상 부재이며, 취출구(26)로부터 불어내어지는 공기를 안내한다. 수평 플랩(29)은 실내기(2d)의 폭 방향으로 평행한 회전축(R1)을 가지고 있고, 도 17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19에 도시하는 상태로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공기의 안내 방향을 변경한다.
(정면 패널)
정면 패널(150)은 1매의 패널 부재로 이루어지고, 정면으로부터 볼 때의 케이싱 본체(23)의 폭(W)과 대략 같은 폭과, 케이싱 본체(23)의 높이(H)와 대략 같은 높이를 가진다. 또한, 정면 패널(150)은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 대략 평탄한 면을 형성하고, 정면으로부터 볼 때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를 덮는다. 또한, 정면 패널(150)은 이동 기구(10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고, 운전 시에 있어서,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를 연다.
정면 패널(150)은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차례로 배열되는 상부(151), 중부(152) 및 하부(153)를 가진다. 상부(151)와 중부(152)의 경계를 경계선(이점쇄선, 154)으로, 중부(152)와 하부(153)의 경계를 경계선(이점쇄선, 155)으로 도시한다. 중부(152)는 정면 패널(150)이 열린 상태에서 만곡하는 부분이고, 상부(151) 및 하부(153)는 정면 패널(150)이 열린 상태에서도 거의 만곡하지 않는 부분이다. 정면 패널(150)은 탄성중합체에 의하여 형성되어, 온기감, 소프트감이라는 질감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상부(151), 하부(153)는 각각 두께(t1), 두께(t3)를 가지고, 중부(152)는 두께(t1) 및 두께(t3) 중 어느 것보다도 얇은 두께(t2)를 가진다. 따라서, 중부(152)는 상부(151) 및 하부(153) 중 어느 것보다도 가요성이 높게 되어 있다. 덧붙여, 도 16 ~ 도 19에서 상부(151), 중부(152) 및 하부(153)가 경계 선(154, 155)에 의하여 구별되어 도시되어 있지만, 상부(151), 중부(152) 및 하부(153)는 같은 재료에 의하여 일체 형성되어 있어, 정면으로부터 볼 때 그것들의 경계를 구별할 수 없다. 즉, 상부(151)와 중부(152)의 사이 및 중부(152)와 하부(153)의 사이에 이음매는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중부(152)에는 케이싱 본체(23)에 설치된 볼록부(501)보다도 한층 큰, 폭 방향으로 긴 형상의 개구부(50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구부(500)는 정면 패널(150)의 운전 시에 실내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경로의 일부로 된다. 정면 패널(150)이 닫힌 상태에서는 이 개구부(500)에 케이싱 본체(23)에 설치된 볼록부(501)가 끼워져, 정면 패널(150)과 볼록부(501)가 연속적인 면을 형성한다. 또한, 정면 패널(150)이 열린 상태에서는 이 개구부(500)는 실내기(2d)의 정면으로부터 볼 때 가려진다.
이동 기구(100)는 정면 패널(150)의 상부(151)에 고정된 로드(101), 정면 패널(150)의 하부(153)에 고정된 도시하지 않는 부재, 도시하지 않는 모터 및 기어 등으로부터 구성된다. 이동 기구(100)는 도 16 및 도 18에서 파선으로 도시되지만, 실제로는 정면으로부터 볼 때 정면 패널(150)에 가려져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다. 이 이동 기구(100)는 정면 패널(150)의 상부(151)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것과 함께, 그 이동에 연동시켜 정면 패널(150)의 하부(153)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또한, 이 이동 기구(100)는 정면 패널(150) 전체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실내기의 동작〕
다음으로,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d)가 공조 운전을 행하는 경우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내기(2d)가 정지하고 있는 경우, 정면 패널(150)은, 도 16 및 도 17과 같이,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를 닫은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중부(152)는 만곡하고 있지 않은 정지한 상태로 있다. 이때, 정면 패널(150)에 설치된 개구부(500)에는 케이싱 본체(23)에 설치된 볼록부(501)가 끼워져, 정면 패널(150)과 볼록부(501)가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고 있다.
실내기(2d)가 운전을 행하는 경우, 정면 패널(150)이 이동하여,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가 열린다. 이것에 의하여, 실내기(2d)로 받아들여지는 공기의 풍량이 확보되는 것과 함께, 공기의 취출이 행해진다. 이 경우, 정면 패널(150) 전체가 전방으로 약간 이동하고, 개구부(500)로부터 케이싱 본체(23)의 볼록부(501)가 빠진다. 다음으로, 정면 패널(150) 중 하부(153)가 이동 기구(100)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취출구(26)가 열린다. 또한, 이 하부(153)의 이동에 연동하여, 정면 패널(150) 중 상부(151)가 이동 기구(100)에 의하여 한층 더 전방으로 거리(d1)만큼 평행하게 밀어내어진다. 이것에 의하여, 제1 흡입구(27)가 열린다. 이때, 중부(152)의 가요성이 상부(151) 및 하부(153)의 가요성보다도 높기 때문에 중부(152)가 측면으로부터 볼 때 S자형으로 만곡한다. 즉, 실내기(2d)가 운전을 행하고 있을 때에 중부(152)는 S자상으로 만곡하여 정지한 상태로 된다. 나아가, 중부(152)에 설치된 개구부(500)는 정면으로부터 볼 때 가려진 위치로 이동한다. 실내로 흡입되는 공기는, 도 19에 화살표 A1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 패널(150)의 상단과 케이싱 본체(23)의 상단 사이에 생긴 간극으로부터 제1 흡입구(27)를 통과하던 지, 화살표 A2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 본체(23) 천면의 제2 흡입구(28)를 통과하던 지, 또는, 화살표 A3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 패널(150)의 개구부(500)으로부터 제1 흡입구(27)를 통과하여 실내기(2d) 내로 받아들여진다.
정면 패널(150)이 이동하여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가 열린 후, 수평 플랩(29)이 설정된 운전 모드에 대응한 취출 각도로 되도록 회전 이동한다.
운전 시에는, 이상과 같이 실내기(2d)의 정면 패널(150)이 열린다.
실내기(2d)가 운전을 정지하는 경우, 정면 패널(150)이 이동하여, 실내기(2d)는 취출구(26)와 제1 흡입구(27)가 닫힌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 경우, 정면 패널(150) 중 상부(151)가 이동 기구(100)에 의하여 후방으로 거리(d1)만큼 평행하게 되밀린다. 이 상부(151)의 이동에 연동하여, 정면 패널(150) 중 하부(153)가 이동 기구(100)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운전 시에 S자로 만곡하고 있던 중부(152)는 대략 평탄한 면으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정면 패널(150) 전체가 후방으로 되밀리고, 이것에 의하여, 제1 흡입구(27) 및 취출구(26)가 닫힌다. 이때, 정면 패널(150)의 개구부(500)에 케이싱 본체(23)의 볼록부(501)가 끼워져, 정면 패널(150)과 볼록부(501)가 연속적인 면을 형성한다.
운전 정지 시에는, 이상과 같이 실내기(2d)의 정면 패널(150)이 닫힌다.
다른 구성 및 동작에 관해서는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내기(2a)와 동일하다.
〔특징〕
(1)
본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d)에서는, 운전 시에 있어서, 정면 패널(150)의 개구부(500)가 실내로부터 받아들여지는 공기가 통과하는 경로의 일부로 된다. 이 때문에, 충분한 풍량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d)에서는 정면 패널(150)에 개구부(500)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복수의 각도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에 대한 공기 흐름의 편향을 저감할 수 있다. 나아가, 이 개구부(500)는, 운전 시에 있어서, 정면으로부터 볼 때 가려져 있기 때문에 실내의 미관이 해쳐질 우려가 최소화된다.
(2)
또한, 본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d)에서는,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 정면 패널(150)이 실내기(2d)의 정면 전체를 덮어 대략 평탄한 면을 형성한다. 나아가,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 케이싱 본체(23)의 볼록부(501)가 정면 패널(150)의 개구부(500)에 끼워져, 정면 패널(150)과 볼록부(501)가 연속적인 면을 형성한다. 한편, 정면 패널(150)은 1매의 패널 부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면 패널(150)의 정면으로부터 볼 때에는 개구부(500)와 볼록부(501)의 이음매 이외의 이음매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본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d)에서는, 실내기(2d) 단체의 정면으로부터 볼 때의 뛰어난 미관을 확보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정면으로부터 볼 때의 실내기(2d)의 운전 정지 시의 외관과 실내의 벽면이 조화하여, 실내의 미관이 향상된다.
(3)
본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d)에서는, 정면 패널(150)의 중부(152)의 가요성은 상부(151) 및 하부(153)의 가요성보다도 높다. 따라서, 운전 시에 정면 패널(150) 전체를 전방으로 이동한 후, 하부(153)를 상방으로, 상부(151)를 한층 더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만으로, 중부(152)는 자연스럽게 만곡한다. 즉, 운전 시에 정면 패널(150)을 만곡시키기 위해서는 평행 이동과 같은, 상부(151) 및 하부(153)의 간단한 이동을 행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이것에 의하여, 정면 패널(150)을 만곡시키는 이동 기구(100)를 단순하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4)
본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d)에서는, 취출구(26)와 제1 흡입구(27)가 열릴 때에는 정면 패널(150) 전체가 전방으로 약간 이동한 후, 정면 패널(150)의 하부(153)가 상방으로, 상부(151)가 한층 더 전방으로 조금씩 이동하면 충분하다. 이 때문에, 운전 시에 있어서의 실내기(2d)의 두께(도 19 참조)의 증대 치수(거리(d1))가 작다. 이 때문에, 본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d)에서는, 운전 시의 실내기(2d)를 조밀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변형예〕
제4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정면 패널(150)이 복수의 패널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정면 패널(150)을 구성하는 패널의 수가 적을수록 정면 패널(150)에 나타나는 이음매가 적어지기 때문에 정면 패널(150)을 구성하는 패널의 수는 적은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면 패널(150)을 구성하는 복수의 패널은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정면으로부터 볼 때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음매가 나타나지 않아, 일반적으로 실내의 미관이 향상된다.
<제5 실시예>
도 20 ~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e)를 설명한다.
정면 패널(160)은 제1 패널(170) 및 제2 패널(180)로 이루어진다. 제1 패널(170)은 제1 흡입구(27)를 개폐하고, 제2 패널(180)은 취출구(26)를 개폐한다. 제1 패널(170)은 정면으로부터 볼 때의 케이싱 본체(23)의 폭(W)과 대략 같은 폭을 가지고, 제2 패널(180)은 정면으로부터 볼 때의 케이싱 본체(23)의 폭(W)과 대략 같은 폭을 가지고, 나아가, 제1 패널(170)의 높이(H1)와 제2 패널(180)의 높이 방향의 높이(H2)의 합이 케이싱 본체(23)의 높이(H)와 대략 같게 된다.
제1 패널(170)은 도시하지 않는 이동 기구(10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고, 제1 흡입구(27)를 개폐한다. 제1 패널(170)은 1매의 패널 부재로 이루어지고,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 대략 평탄한 면을 형성한다. 제1 패널(170)은 상방에서부터 하방으로 차례로 배열되는 상부(171), 중부(172) 및 하부(173)를 가진다. 상부(171)와 중부(172)의 경계를 경계선(이점쇄선, 174)으로, 중부(172)와 하부(173)의 경계를 경계선(이점쇄선, 175)으로 도시한다. 중부(172)는 제1 패널(170)이 열린 상태에서 만곡하는 부분이고, 상부(171) 및 하부(173)는 제1 패널(170)이 열린 상태에서도 거의 만곡하지 않는 부분이다. 제1 패널(170)은 탄성중합체에 의하여 형성되어, 온기감, 소프트감이라는 질감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중부(172)에는 케이싱 본체(23)에 설치된 볼록부(701)보다도 한층 큰, 폭 방향으로 긴 형상의 개구부(70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구부(700)는 제1 패널(170)의 운전 시에 실내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경로의 일부로 된다. 제1 패널(170)이 닫힌 상태에서는 이 개구부(700)에 케이싱 본체(23)에 설치된 볼록부(701)가 끼워져, 제1 패널(170)과 볼록부(701)가 연속적인 면을 형성한다. 또한, 제1 패널(170)이 열린 상태에서는 이 개구부(700)는 실내기(2e)의 정면으로부터 볼 때 가려진다.
또한, 상부(171), 하부(173)는 각각 두께(t1), 두께(t3)를 가지고, 중부(172)는 두께(t1) 및 두께(t3) 중 어느 것보다도 얇은 두께(t2)를 가진다. 따라서, 중부(172)는 상부(171) 및 하부(173) 중 어느 것보다도 가요성이 높게 되어 있다.
제2 패널(180)은 도시하지 않은 이동 기구(10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고, 취출구(26)를 개폐한다. 제2 패널(180)은 1매의 패널 부재로 이루어진다. 제2 패널(180)은 제1 패널(170)과 마찬가지로 탄성중합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정면으로부터 볼 때 실내기(2e)의 인상이 통일되는 것에 의하여 실내의 미관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운전 시의 실내기(2e)가 공조 운전을 행하는 경우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내기(2e)가 정지하고 있는 경우, 제1 패널(170) 및 제2 패널(180)은, 도 20 및 도 21과 같이,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가 닫힌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중부(172)는 만곡하고 있지 않은 정지한 상태로 있다. 이때, 제1 패널(170)에 설치된 개구부(700)에는 케이싱 본체(23)에 설치된 볼록부(701)가 끼워져, 제1 패널(170)과 볼록부(701)는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고 있다.
실내기(2e)가 운전을 행하는 경우, 제1 패널(170) 및 제2 패널(180)이 이동하여,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가 열린다. 이것에 의하여, 실내기(2e)에 받아들여지는 공기의 풍량이 확보되는 것과 함께, 공기의 취출이 행해진다. 이 경우, 제1 패널(170) 전체가 전방으로 약간 이동하고, 개구부(700)로부터 케이싱 본체(23)의 볼록부(701)가 빠진다. 다음으로, 제1 패널(170) 중 하부(173)가 도시하지 않는 이동 기구(100)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 하부(173)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1 패널(170) 중 상부(171)가 도시하지 않는 이동 기구(100)에 의하여 한층 더 전방으로 거리(d1)만큼 평행하게 밀어내어진다. 이것에 의하여, 제1 흡입구(27)가 열린다. 이때, 중부(172)의 가요성이 상부(171) 및 하부(173)의 가요성보다도 높기 때문에 중부(172)가 측면으로부터 볼 때 S자형으로 만곡한다. 즉, 실내기(2e)가 운전을 행하고 있을 때에 중부(172)는 S자상으로 만곡하여 정지한 상태로 된다. 나아가, 중부(52)에 설치된 개구부(700)는 정면으로부터 볼 때 가려진 위치로 이동한다. 실내로 흡입되는 공기는, 도 23에 화살표 A1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패널(170)의 상단과 케이싱 본체(23)의 상단의 사이에 생긴 간극으로부터 제1 흡입구(27)를 통과하던 지, 화살표 A2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 본체(23) 천면의 제2 흡입구(28)를 통과하던 지, 또는, 화살표 A3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패널(170)의 개구부(700)로부터 제1 흡입구(27)를 통과하여 실내기(2e) 내로 받아들여진다. 이 제1 패널(170)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2 패널(180)은 설정 된 운전 모드에 대응한 취출 각도로 되도록 회전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취출구(26)가 열린다.
실내기(2e)가 운전을 정지하는 경우, 제1 패널(170) 및 제2 패널(180)이 이동하여, 실내기(2e)는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가 닫힌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 경우, 제1 패널(170) 중 상부(171)가 도시하지 않는 이동 기구(100)에 의하여 후방으로 거리(d1)만큼 되밀린다. 이 상부(171)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1 패널(170) 중 하부(173)가 이동 기구(100)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운전 시에 S자로 만곡하고 있던 중부(172)는 대략 평탄한 면으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제1 패널(170) 전체가 후방으로 되밀리고, 이것에 의하여, 제1 흡입구(27)가 닫힌다. 이때, 제1 패널(170)의 개구부(700)에 케이싱 본체(23)의 볼록부(701)가 끼워져, 제1 패널(170)과 볼록부(701)가 연속적인 면을 형성한다. 이 제1 패널(170)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2 패널(180)이 회전 이동하고, 취출구(26)가 닫힌다.
다른 구성 및 동작에 관해서는 제4 실시예와 관련되는 실내기(2d)와 동일하다.
〔특징〕
본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e)에서는, 제1 흡입구(27)를 개폐시키는 제1 패널(170)과 취출구(26)를 개폐시키는 제2 패널(180)이 독립적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제1 흡입구(27) 및 취출구(26)의 개폐 상태를 독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예〕
제5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정면 패널(160)은 제1 패널(170) 및 제2 패널(180) 이외의 한층 더 패널을 가지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정면 패널(160)을 구성하는 패널의 수가 적을수록 정면 패널(160)에 나타나는 이음매가 적어지기 때문에 정면 패널(160)을 구성하는 패널의 수는 적은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면 패널(160)을 구성하는 복수의 패널은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정면으로부터 볼 때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음매가 나타나지 않아, 실내의 미관이 향상된다.
또한, 제5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로서 제2 패널(180)은 제1 패널(170)과 다른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제6 실시예>
도 24 ~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와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f)를 설명한다.
정면 패널(190)은 1매의 패널 부재로 이루어지고, 정면으로부터 볼 때의 케이싱 본체(23)의 폭(W)과 대략 같은 폭과, 케이싱 본체(23)의 높이(H)와 대략 같은 높이를 가진다. 케이싱 본체(23)에 설치된 제1 흡입구(27) 및 취출구(26)는 도 24에서 파선으로 도시되지만, 실제로는 정면으로부터 볼 때 정면 패널(190)에 가려져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다. 또한, 케이싱 본체(23)에 설치된 제1 흡입구(27) 및 취출구(26)는 대략 같은 폭(W1)을 가진다. 또한, 정면 패널(190)은,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 대략 평탄한 면을 형성하고, 정면으로부터 볼 때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를 덮는다. 또한, 정면 패널(190)은 도시하지 않는 이동 기구(100)에 의 하여 지지되어 있고, 운전 시에 있어서,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를 연다.
정면 패널(190)은 좌로부터 우로 차례로 배열되는 최좌부(191), 좌부(192), 중부(193), 우부(194) 및 최우부(195)를 가진다. 최좌부(191)와 좌부(192)의 경계를 경계선(이점쇄선, 196)으로, 좌부(192)와 중부(193)의 경계를 경계선(이점쇄선, 197)으로, 중부(193)와 우부(194)의 경계를 경계선(이점쇄선, 198)으로, 우부(194)와 최우부(195)의 경계를 경계선(이점쇄선, 199)으로 도시한다. 중부(193)는 제1 흡입구(27) 및 취출구(26)의 폭(W1)과 대략 같은 폭을 가지고,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 제1 흡입구(27) 및 취출구(26)를 덮는다. 도 27을 참조하여, 좌부(192) 및 우부(194)는 정면 패널(190)이 열린 상태에서 만곡하는 부분이고, 최좌부(191), 중부(193) 및 최우부(195)는 정면 패널(190)이 열린 상태에서도 거의 만곡하지 않는 부분이다. 정면 패널(190)은 탄성중합체에 의하여 형성되어, 온기감, 소프트감이라는 질감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 본체(23)의 정면에는 높이 방향으로 긴 형상의 볼록부(901, 903)가 설치되어 있다. 정면 패널(190)의 좌부(192)에는 볼록부(901)보다도 한층 큰, 높이 방향으로 긴 형상의 개구부(900)가 설치되어 있고, 정면 패널(190)의 우부(194)에는 볼록부(903)보다도 한층 큰, 높이 방향으로 긴 형상의 개구부(90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개구부(900, 902)는 정면 패널(190)의 운전 시에 실내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경로로 된다. 정면 패널(190)이 닫힌 상태에서 이들 개구부(900, 902)에 케이싱 본체(23)에 설치된 볼록부(901, 903)가 각각 끼워져, 정면 패널(190)과 볼록부(901, 903)가 연속적인 면을 형성한다. 또한, 이들 개구 부(900, 902)는 정면 패널(190)이 열린 상태에서 실내기(2f)의 정면으로부터 볼 때 가려진다.
또한, 최좌부(191), 중부(193), 최우부(195)는 각각 두께(t1), 두께(t3), 두께(t5)를 가지고, 좌부(192), 우부(194)는 각각 두께(t1), 두께(t3) 및 두께(t5) 중 어느 것보다도 얇은 두께(t2), 두께(t4)를 가진다. 따라서, 좌부(192) 및 우부(194)는 최좌부(191), 중부(193) 및 최우부(195) 중 어느 것보다도 가요성이 높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f)가 공조 운전을 행하는 경우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내기(2f)가 정지하고 있는 경우, 정면 패널(190)은, 도 24 및 도 25와 같이,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를 닫은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좌부(192) 및 우부(194)는 만곡하고 있지 않은 정지한 상태로 있다. 이때, 정면 패널(190)에 설치된 개구부(900, 902)에는 케이싱 본체(23)에 설치된 볼록부(901, 903)가 각각 끼워져, 정면 패널(190)과 볼록부(901, 903)가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고 있다.
실내기(2f)가 운전을 행하는 경우, 정면 패널(190)이 이동하고,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가 열린다. 이것에 의하여, 실내기(2f)에 받아들여지는 공기의 풍량이 확보되는 것과 함께, 공기의 취출이 행해진다. 이 경우, 정면 패널(190) 전체가 전방으로 약간 이동하고, 정면 패널(190)의 개구부(900)로부터 케이싱 본체(23)의 볼록부(901)가 빠지고, 정면 패널(190)의 개구부(902)로부터 케이싱 본체(23)의 볼록부(903)가 빠진다. 다음으로, 정면 패널(190)의 최좌부(191)와 좌 부(192)의 경계선(196)이 제1 흡입구(27) 또는 취출구(26)의 좌 경계선에 가까워지도록 최좌부(191)가 우로 평행 이동한다. 한편, 정면 패널(190)의 우부(194)와 최우부(195)의 경계선(199)이 제1 흡입구(27) 및 취출구(26)의 우 경계선에 가까워지도록 최우부(195)가 좌로 평행 이동한다. 이 최좌부(191) 및 최우부(195)의 이동에 따라 중부(193)가 전방으로 거리(d1)만큼 평행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흡입구(27) 및 취출구(26)가 열린다. 이때, 좌부(192) 및 우부(194)의 가요성이 최좌부(191), 중부(193) 및 최우부(195)의 가요성보다도 높기 때문에 좌부(192) 및 우부(194)가 평면으로부터 볼 때 S자형으로 만곡한다. 즉, 실내기(2f)가 운전을 행하고 있을 때에 좌부(192) 및 우부(194)는 S자상으로에 만곡하여 정지한 상태로 된다. 나아가, 좌부(192)에 설치된 개구부(900) 및 우부(194)에 설치된 개구부(902)는 정면으로부터 볼 때 가려진 위치로 이동한다. 실내로 흡입되는 공기는 정면 패널(190)의 상단과 케이싱 본체(23)의 상단의 사이에 생긴 간극으로부터 제1 흡입구(27)를 통과하던 지, 케이싱 본체(23)의 천면의 제2 흡입구(28)를 통과하던 지, 또는, 도 27에 화살표 A3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 패널(190)의 개구부(900, 902)로부터 제1 흡입구(27)를 통과하여 실내기(2f) 내로 받아들여진다.
이상과 같이, 실내기(2f)의 운전이 행해진다.
실내기(2f)가 운전을 정지하는 경우, 정면 패널(190)이 이동하고, 도 24 및 도 25와 같이, 취출구(26)와 제1 흡입구(27)가 닫힌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 경우, 정면 패널(190)의 최좌부(191)와 좌부(192)의 경계선(196)이 제1 흡입구(27) 또는 취출구(26)의 좌 경계선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최좌부(191)가 좌로 평행 이동한다. 나아가, 정면 패널(190)의 우부(194)와 최우부(195)의 경계선(199)이 제1 흡입구(27) 및 취출구(26)의 우 경계선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최우부(195)가 우로 평행 이동한다. 이 최좌부(191) 및 최우부(195)의 이동에 따라 중부(193)가 후방으로 거리(d1)만큼 평행 이동한다. 다음으로, 정면 패널(190) 전체가 후방으로 약간 이동하고, 정면 패널(190)의 개구부(900)에 케이싱 본체(23)의 볼록부(901)가 끼워지고, 정면 패널(190)의 개구부(902)에 케이싱 본체(23)의 볼록부(903)가 끼워진다. 이것에 의하여, 취출구(26) 및 제1 흡입구(27)가 닫힌다.
다른 구성 및 동작에 관해서는 제4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내기(2d)와 동일하다.
〔특징〕
본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f)에서는, 정면 패널(190)은, 운전 시에 있어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 만곡한다. 즉, 본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f)에서는, 정면 패널(190)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 만곡하는 정면 패널에 적합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다.
〔변형예〕
제6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정면 패널(190)은 복수의 패널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정면 패널(190)을 구성하는 패널의 수가 적을수록 정면 패널(190)에 나타나는 이음매가 적어지기 때문에 정면 패널(190)을 구성하는 패널의 수는 적은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면 패널(190)을 구성하는 복수의 패널은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정면으로부터 볼 때 높이 방 향으로 연장되는 이음매가 저감하여, 실내의 미관이 향상된다.
<기타 실시예>
(A)
제1 실시예로부터 제6 실시예에서는, 정면 패널(50, 60, 90, 150, 160, 190)에 탄성중합체가 이용되고 있지만, 정면 패널(50, 60, 90, 150, 160, 190)에 포상 부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온기감, 소프트감이라는 질감을 연출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시원한 인상을 주고 싶은 경우에는 정면 패널(50, 60, 90, 150, 160, 190)에 금속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정면 패널(50, 60, 90, 150, 160, 190)은 정면 패널(50, 60, 90, 150, 160, 190)이 열린 상태에서 만곡하는 부분(52, 72, 92, 94, 152, 172, 192, 194)이 적절히 만곡할 수 있는 임의의 재료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B)
제1 실시예로부터 제6 실시예에서는, 정면 패널(50, 60, 90, 150, 160, 190)이 열린 상태에서 만곡하는 부분(52, 72, 92, 94, 152, 172, 192, 194)과 열린 상태에서 거의 만곡하지 않는 부분(51, 53, 71, 73, 91, 93, 95, 151, 153, 171, 173, 191, 193, 195)에 다른 재료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열린 상태에서 만곡하는 부분(52, 72, 92, 94, 152, 172, 192, 194)과 열린 상태에서도 거의 만곡하지 않는 부분(51, 53, 71, 73, 91, 93, 95, 151, 153, 171, 173, 191, 193, 195)에 가요성의 차이를 두어도 무방하다.
(C)
제1 실시예로부터 제6 실시예에서는,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 케이싱 본체(23)의 정면 및 정면 패널(50, 60, 90, 150, 160, 190)이 대략 평탄한 면을 형성하지 않고, 도 28 ~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만하게 만곡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D)
제4 실시예로부터 제6 실시예에서는, 정면 패널(150, 160, 190)에는 한층 더 개구부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개구부의 위치는 열린 상태에서 만곡하는 부분(152, 172, 192, 194)뿐만이 아니라, 열린 상태에서도 거의 만곡하지 않는 부분(151, 153, 171, 173, 191, 193, 195)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실내의 미관을 해칠 우려를 종래보다 저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로서 유용하다.

Claims (14)

  1. 실내로 불어내어지는 공기가 통과하는 취출구(26)와 실내로부터 받아들여지는 공기가 통과하는 흡입구(27)를 가지는 케이싱(23)과,
    상기 취출구(26) 및 상기 흡입구(2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폐하는 정면 패널(50, 60, 90, 150, 160, 190)
    을 구비하며,
    상기 정면 패널(50, 60, 90, 150, 160, 190)의 제1 부분(52, 72, 92, 94, 152, 172, 192, 194)은 2 이상의 정지(靜止)한 상태로 변화하고, 제1 상태에서의 단면으로부터 본 형상의 만곡 정도가 제2 상태의 단면으로부터 본 형상의 만곡 정도와 다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a, 2b, 2c, 2d, 2e, 2f).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패널(50, 90, 150, 190)은 1매의 패널 부재로 이루어지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a, 2c, 2d, 2f).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정면 패널(50, 60, 90, 150, 160, 190)이 열린 상태이며,
    상기 제1 부분(52, 72, 92, 94, 152, 172, 192, 194)은 상기 제1 상태에서 S자형으로 만곡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a, 2b, 2c, 2d, 2e, 2f).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정면 패널(50, 60, 90)이 열린 상태이며,
    상기 제1 부분(52, 72, 92, 94)은 상기 제1 상태에서 U자형으로 만곡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a, 2b, 2c).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52, 72, 92, 94, 152, 172, 192, 194)은 상기 정면 패널(50, 60, 90, 150, 160, 190) 중 상기 제1 부분(52, 72, 92, 94, 152, 172, 192, 194) 이외의 제2 부분(51, 53, 71, 73, 91, 93, 95, 151, 153, 171, 173, 191, 193, 195)보다도 가요성이 높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a, 2b, 2c, 2d, 2e, 2f).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52, 72, 92, 94, 152, 172, 192, 194)은 상기 제2 부분(51, 53, 71, 73, 91, 93, 95, 151, 153, 171, 173, 191, 193, 195)보다도 얇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a, 2b, 2c, 2d, 2e, 2f).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52, 72, 92, 94, 152, 172, 192, 194)은 상기 제2 부분(51, 53, 71, 73, 91, 93, 95, 151, 153, 171, 173, 191, 193, 195)과 재질이 다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a, 2b, 2c, 2d, 2e, 2f).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52, 72, 92, 94, 152, 172, 192, 194)은 탄성중합체(elastomer)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a, 2b, 2c, 2d, 2e, 2f).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52, 72, 92, 94, 152, 172, 192, 194)은 포상(布狀)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a, 2b, 2c, 2d, 2e, 2f).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52, 72, 152, 172)은 상기 제1 상태에서의 종단면으로부터 본 형상의 만곡 정도가 제2 상태의 종단면으로부터 본 형상의 만곡 정도와 다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a, 2b, 2d, 2e).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92, 94, 192, 194)은 상기 제1 상태에서의 횡단면으로부터 본 형상의 만곡 정도가 제2 상태의 횡단면으로부터 본 형상의 만곡 정도와 다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c, 2f).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패널(150, 160, 190)은 개구부(開口部, 500, 700, 900, 902)를 가지고,
    상기 케이싱(23)은 상기 개구부(500, 700, 900, 902)에 대응하는 볼록부(501, 701, 901, 903)를 가지며,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상기 케이싱(23)의 볼록부(501, 701, 901, 903)가 상기 개구부(500, 700, 900, 902)에 삽입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d, 2e, 2f).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상기 개구부(500, 700, 900, 902)가 정면으로부터 볼 때 가려지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d, 2e, 2f).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정면 패널(150, 160, 190)이 열린 상태이며,
    상기 개구부(500, 700, 900, 902)는 상기 제1 부분(152, 172, 192, 194)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부분(152, 172, 192, 194)은 상기 제1 상태에서 S자형으로 만곡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d, 2e, 2f).
KR1020077010880A 2004-11-19 2005-10-25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856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35366A JP3815492B2 (ja) 2004-11-19 2004-11-19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JP-P-2004-00335366 2004-11-19
JPJP-P-2004-00335367 2004-11-19
JP2004335367A JP3815493B2 (ja) 2004-11-19 2004-11-19 空気調和機の室内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438A true KR20070065438A (ko) 2007-06-22
KR100856056B1 KR100856056B1 (ko) 2008-09-02

Family

ID=36406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880A KR100856056B1 (ko) 2004-11-19 2005-10-25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047288A1 (ko)
EP (1) EP1826500A1 (ko)
KR (1) KR100856056B1 (ko)
AU (1) AU2005307619B2 (ko)
WO (1) WO20060544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8582A (ko) * 2012-01-31 2013-08-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2494A1 (fr) * 2007-02-12 2008-08-15 Fabrizio Testa Dispositif de camouflage d'unite interieur de systeme de climatisation et pompe a chaleur
JP5817815B2 (ja) * 2013-11-26 2015-11-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室内機
CN107923651B (zh) 2015-08-24 2020-10-09 三菱电机株式会社 空气调节机的室内机
US10914490B2 (en) * 2016-02-08 2021-02-0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oor unit of an air-condition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3136U (ko) 1985-11-12 1987-05-27
GB2270154B (en) * 1992-08-26 1996-08-28 Toshiba Kk Air conditioner
JPH10227475A (ja) * 1997-02-14 1998-08-25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機
US6692223B2 (en) * 2000-09-29 2004-02-1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ir conditioner
KR20030037558A (ko) * 2001-11-06 2003-05-1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그릴 개폐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8582A (ko) * 2012-01-31 2013-08-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6056B1 (ko) 2008-09-02
WO2006054428A1 (ja) 2006-05-26
AU2005307619A1 (en) 2006-05-26
EP1826500A1 (en) 2007-08-29
US20080047288A1 (en) 2008-02-28
AU2005307619B2 (en) 200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23547B2 (e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JP3714354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85605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3815492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3050282A (ja) 空調室内機
AU2004278587B8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3614167B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3815493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US7832226B2 (e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N114060922A (zh) 壁挂式空调室内机
JP3841094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3807426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77954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3807427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5098683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AU2007209835B2 (e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KR19990011273A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20100086309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