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1273A -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1273A
KR19990011273A KR1019970034314A KR19970034314A KR19990011273A KR 19990011273 A KR19990011273 A KR 19990011273A KR 1019970034314 A KR1019970034314 A KR 1019970034314A KR 19970034314 A KR19970034314 A KR 19970034314A KR 19990011273 A KR19990011273 A KR 19990011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rack
air conditioner
guide
in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4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현삼
최학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34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1273A/ko
Publication of KR19990011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273A/ko

Links

Landscapes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형성된 흡입구를 원활하게 개폐하도록 하여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가 실내기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공기조화기 보관시 실내기의 외관을 깨끗하게 보이도록 하여 실내와 조화가 잘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실내기(1) 내의 흡입구(5)측에 흡입구(5)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왕복이동되는 베인(101)과; 상기 베인(101)을 왕복이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한 후, 이 흡입된 더운 공기를 열교환시켜 차가운 공기로 바꾼 다음 상기 차가워진 공기를 다시 실내로 토출시켜 실내를 적정온도로 냉방하는 것으로, 크게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1)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 그리고, 상기 실내기(1)에서 실외기로 또는 실외기에서 실내기(1)로 냉매가 유동될 수 있도록 실내기(1)와 실외기를 연결시키는 연결배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럼 여기서 실내기의 구성을 참고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실내기(1)는 전면 패널(2)과; 상기 전면 패널(2)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 패널(3)과; 상기 후면 패널(3)에 설치되어 실내기(1)내로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시키고, 이 흡입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도록 회전되는 크로스 플로우 팬(4)과; 상기 전면 패널(2)에 실내의 더운 공기가 흡입되도록 설치된 흡입구(5)와; 상기 후면 패널(3)내에 설치되어 크로스 플로우 팬(4)의 회전에 의해 흡입구(5)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도록 찬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6)와; 상기 전면 패널(2)에 크로스 플로우 팬(4)의 회전력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형성된 토출구(7)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에 전원을 공급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냉방운전모드를 선택하면 실내기(1)의 후면 패널(3)내에 설치된 크로스 플로우 팬(4)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므로 흡입력이 발생되는데, 이때에는 실내기(1)의 전면 패널(2)에 그릴형상으로 설치된 흡입구(5)를 통해 실내의 더운 공기가 실내기(1)내로 흡입되어 진다.
상기 실내기(1)내로 흡입된 공기는 후면 패널(3)내에 찬냉매가 흐르는 열교환기(6)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교환이 일어나 차가워지고, 이 차가워진 공기는 계속되는 크로스 플로우 팬(4)의 회전에 따라 전면 패널(2)에 형성된 토출구(7)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어 진다.
이때, 상기 실내기(1)내로 흡입된 실내의 더운 공기는 열교환기(6)를 통과하면서 열교환기(6)내를 유동하는 찬냉매와 열교환되어 응축수가 발생되며, 상기 응축수는 실내기(1)내에 설치된 배수판에 고인 다음 상기 배수판에 결합된 배수호스를 통해 실내기(1)의 외부로 배수되어 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공기조화기는 실내기내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설치된 흡입구가 그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기조화기를 장시간 운전할 때 또는 운전이 정지되어 있을 때 상기 흡입구의 그릴부위에 먼지가 누적되므로 그릴부위를 청소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기조화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공기조화기에 커버를 씌우고, 상기 공기조화기를 사용할 때에는 커버를 벗겨낸 후 사용하여야 하므로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공기조화기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흡입구의 그릴부위에 먼지가 쌓이므로 실내기의 흡입구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흡입될 때 그릴부위에 있던 먼지도 공기와 함께 실내기내로 흡입된 후 실내기의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므로 공기의 쾌적함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실내기의 흡입구를 원활하게 개폐하도록 하여 공기조화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흡입구를 닫으므로 상기 흡입구의 그릴부위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조화기 운전시 쾌적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됨과 동시에 상기 실내기의 외관이 깨끗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실내기 내의 흡입구측에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왕복이동되는 베인과; 상기 베인을 왕복이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공기조화기의 본 발명 흡입구를 개폐하는 흡입구 개폐장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공기조화기의 본 발명 흡입구를 개폐하는 흡입구 개폐장치 구조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5a는 공기조화기의 본 발명 흡입구를 개폐하는 다른 실시예의 흡입구 개폐장치에 의해 흡입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b는 공기조화기의 본 발명 흡입구를 개폐하는 다른 실시예의 흡입구 개폐장치에 의해 흡입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도 5a의 I-I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베인 102 : 베인 가이드
103 : 래크 104 : 래크 가이드
105 : 피니언 106 : 탄성부재
107 : 가이드 홈 108 : 돌부
109 : 절곡부 110 : 스텝모터
111 : 지지대 112 : 베인 홈
113 : 돌기 114 : 강봉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3 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조화기의 구조는 종래의 구성에서 언급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구조에 한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키로 한다.
도 3은 공기조화기의 본 발명 흡입구를 개폐하는 흡입구 개폐장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공기조화기의 본 발명 흡입구를 개폐하는 흡입구 개폐장치 구조를 나타낸 횡단면도로써, 본 발명은 실내기(1)의 흡입구(5)를 개폐하는 베인(10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인(101)의 양측면에 래크(103)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베인(101)과 래크(103)를 왕복이동시키도록 회전되는 피니언(105)이 래크(103)와 맞물려 있고, 상기 피니언(105)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력이 발생되는 스텝모터(110)가 일측의 피니언(105)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래크(103)와 피니언(105)은 실내기(1)내의 상, 하로 즉, 실내기(1)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양측의 피니언(105)을 연결시켜 동시에 회전시키도록 피니언(105) 사이에 강봉(11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베인(101)과 래크(103)는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베인(101)이 흡입구(5)를 개폐할 때 발생되는 단차를 없애도록 힌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조화기를 사용할 때에는 실내기(1)의 흡입구(5)를 열으므로 상기 흡입구(5)를 통해 실내의 더운 공기가 실내기(1)내로 흡입되도록 하여 열교환기(6)를 통과하면서 차가워진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여 실내를 적정온도로 냉방하도록 하고, 공기조화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흡입구(5)를 막으므로 실내기(1)내로 실내의 더운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그릴형상으로 형성된 흡입구(5)의 그릴부위에 먼지가 쌓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흡입구(5)의 전면에 설치된 베인(101)을 왕복이동시키면서 상기 흡입구(5)를 개폐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조화기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실내기(1)내에 설치된 스텝모터(110)가 회전되므로 상기 실내기(1)내의 양측에 설치되어 스텝모터(110)와 결합된 피니언(105)이 스텝모터(110)를 따라 회전되는데, 상기 피니언(105)은 스텝모터(110)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일측의 피니언(105)이 스텝모터(110)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각 피니언(105)은 피니언(105) 사이에 형성된 강봉(114)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텝모터(110)의 구동력이 강봉(114)에 의해 일측의 피니언(105)에서 타측의 피니언(105)으로 전달되므로 양측의 피니언(105)이 동시에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피니언(10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각 피니언(105)과 맞물려 있는 각 래크(103)는 피니언(105)이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되므로 상기 래크(103)와 결합되어 있는 베인(101)도 상기 래크(103)와 같이 이동되어 실내기(1)의 흡입구(5)가 열리게 되며, 상기 열려진 흡입구(5)를 통해 실내의 더운 공기가 크로스 플로우 팬(4)의 회전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실내기(1)내로 흡입된다.
그리고, 공기조화기에 전원을 차단시키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스텝모터(110)가 회전되어 상기 스텝모터(110)에 결합된 피니언(105)도 스텝모터(110)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각 피니언(105)과 맞물려 있는 각 래크(103)는 피니언(105)의 회전방향에 따라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상기 래크(103)와 결합된 베인(101)도 래크(103)를 따라 같이 이동되므로 상기 베인(101)에 의해 실내기(1)의 흡입구(5)가 닫혀 실내기(1)내로 실내의 더운 공기가 흡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실내기(1)의 양측에 피니언(105)과 래크(10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베인(101)의 상, 하 단차를 없앨 수 있고, 상기 강봉(114)에 의해 양측의 피니언(105)이 연결되므로 상기 피니언(105)은 동일한 회전중심으로 가지며 회전될 뿐만 아니라 베인(101)의 상, 하가 비틀어 지는 비틀림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5a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기(1)의 흡입구(5)를 개폐하도록 셔터 타입(SHUTTER TYPE)의 베인(10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인(101)을 작동시키기 위해 베인(101)과 래크(103)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래크(103)를 이동시키도록 회전되는 피니언(105)이 래크(103)와 맞물려 있고, 상기 래크(103)와 피니언(105)은 실내기(1)내의 상, 하에 즉, 실내기(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105)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력이 발생되는 스텝모터(110)가 일측의 피니언(105)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양측의 피니언(105)을 연결시켜 동시에 피니언(105)을 회전시키도록 피니언(105) 사이에 강봉(11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베인(101)의 상단에 베인(101)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베인 가이드(10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인(101)의 일측에 지지대(1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111)에 베인 홈(1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인 가이드(102)의 적정위치에 왕복이동하는 베인(101)이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베인(101)과 래크(103)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절곡부(10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래크(103)의 일측부에 베인 홈(112)과 결합되도록 돌기(1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래크(103)의 상부에 래크(103)가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래크(103)를 안내하는 래크 가이드(104)가 실내기(1)의 내면에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래크(103)의 상단부에 돌부(10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래크 가이드(104)의 안내에 따라 래크(103)가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래크(103)의 돌부(108)가 삽입결합되도록 래크 가이드(104)에 가이드 홈(10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인(101)의 단차를 없애기 위해 베인(101)과 래크(103) 사이에 탄성부재(106)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조화기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스텝모터(110)가 회전되므로 상기 스텝모터(110)에 결합된 피니언(105)이 스텝모터(110)를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이때 실내기(1)내의 양측에 설치된 피니언(105)의 양측은 강봉(114)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일측의 피니언(105)에 결합된 스텝모터(110)의 구동력이 일측의 피니언(105)에서 타측의 피니언(105)에 전달되므로 양측의 피니언(105)이 동시에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피니언(105)이 회전되면 상기 피니언(105)과 맞물려 있는 래크(103)는 피니언(105)의 회전방향에 따라 래크 가이드(104)이 안내를 받으면서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상기 우측으로 이동되는 래크(103)와 결합되어 있는 베인(101)도 베인 가이드(102)의 안내를 받으면서 래크(103)와 같이 이동되므로 실내기(1)의 흡입구(5)가 열리게 되며, 상기 열려진 흡입구(5)를 통해 실내의 더운 공기가 크로스 플로우 팬(4)의 회전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실내기(1)내로 흡입된다.
그리고, 공기조화기에 전원을 차단시키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스텝모터(110)가 회전되어 상기 스텝모터(110)에 결합된 피니언(105)도 스텝모터(110)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피니언(105)과 맞물려 있는 래크(103)가 래크 가이드(104)의 안내를 받으면서 피니언(105)의 회전방향에 따라 도면상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래크(103)를 따라 베인(101)도 베인 가이드(102)의 안내를 받으면서 좌측으로 이동되므로 상기 베인(101)에 의해 실내기(1)의 흡입구(5)가 닫혀 실내기(1)내로 실내의 더운 공기가 흡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스텝모터(110)에 의해 회전되는 실내기(1)의 양측에 설치된 피니언(105)은 상기 양측 피니언(105) 사이에 설치된 강봉(114)에 의해 동일한 회전중심을 갖고 양측의 피니언(105)이 회전될 뿐만 아니라 베인(101)의 상, 하가 비틀어지는 비틀림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105)과 래크(103)가 실내기(1)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피니언(105)과 래크(103)에 의해 베인(101)의 상, 하가 동시에 이동되므로 상기 베인(101)의 상, 하 단차를 없앨 수 있다.
상기 베인(101)의 상단에 베인(101)의 이동경로와 동일한 베인 가이드(10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베인(101)은 베인 가이드(102)에 의해 정확한 경로를 따라 안내되고, 상기 래크(103)의 상부에 래크 가이드(104)가 실내기(1)내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래크(103)는 래크 가이드(104)의 안내에 따라 원활하게 왕복이동된다.
이때, 베인(101)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대(111)의 베인홈(112)에 상기 래크(103)의 일측부에 형성된 돌기(113)가 삽입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래크(103)가 이동시 베인(101)도 래크(103)와 함께 이동되며, 상기 래크(103)의 상단부에 형성된 돌부(108)가 상기 래크 가이드(104)에 형성된 가이드 홈(107)에 삽입결합되므로 상기 래크 가이드(104)에 결합된 래크(103)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베인(101)의 적정위치에 절곡부(10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인(101)과 래크(103) 사이에 탄성부재(10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절곡부(109)를 따라 이동되는 셔터 타입(SHUTTER TYPE)의 베인(101)이 흡입구(5)를 개폐시 탄성부재(106)의 탄성력에 의해 베인(101)이 눌려지므로 절곡부(109)를 통과하는 베인(101)의 단차를 없앨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기의 흡입구를 베인이 왕복이동하면서 개폐하므로 공기조화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흡입구를 막아 상기 흡입구를 통해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그릴형상의 흡입구에 먼지가 쌓이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실내기의 흡입구에 먼지 쌓이지 않으므로 공기조화기를 운전시 실내의 공기가 실내기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후 실내기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므로 상기 토출되는 공기의 쾌적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실내기 외관이 깨끗하고 미관상 보기좋은 효과도 있다.
그리고, 공기조화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베인에 의해 실내기의 흡입구가 닫혀 있어 상기 흡입구에 먼지가 적게 쌓이므로 먼지제거 및 청소하기가 용이한 효과도 있다.

Claims (8)

  1. 실내기 내의 흡입구측에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왕복이동되는 베인과;
    상기 베인을 왕복이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수단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스텝모터와;
    상기 스텝모터와 결합되어 회전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고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왕복이동되도록 베인과 결합된 래크와;
    상기 베인의 상단에 설치되어 베인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베인 가이드와;
    상기 래크의 하단부에 래크의 이동방향으로 안내하는 래크 가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래크와 피니언을 실내기내의 상, 하에 각각 설치하고, 상기 양측 피니언을 연결하도록 양측 피니언 사이에 강봉을 설치하여 상기 양측 피니언이 동일한 회전중심을 갖고 동시에 회전되므로 베인의 상, 하의 비틀림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베인의 상, 하 단차를 없애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베인과 래크가 일체형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베인의 일측에 지지대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에 베인 홈을 형성하고, 상기 베인 홈에 삽입결합되도록 래크의 일측부에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베인과 래크를 연결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래크의 측면부에 돌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부가 삽입결합되도록 래크 가이드에 가이드 홈을 형성하여 상기 래크 가이드에 의해 래크가 일정한 방향으로 안내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결합된 돌부에 의해 래크가 래크 가이드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베인 가이드의 소정위치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베인 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베인과 래크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8. 제 2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베인과 래크 사이에 탄성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절곡부를 따라 이동되는 베인의 단차를 없애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1019970034314A 1997-07-22 1997-07-22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199900112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4314A KR19990011273A (ko) 1997-07-22 1997-07-22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4314A KR19990011273A (ko) 1997-07-22 1997-07-22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273A true KR19990011273A (ko) 1999-02-18

Family

ID=66039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4314A KR19990011273A (ko) 1997-07-22 1997-07-22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12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50500A2 (en) Air conditioner
KR10054147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US7587908B2 (en) Integral type air conditioner with air filtration
KR19990011273A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100737318B1 (ko) 공기조화기
KR10077071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상부 공기 토출 플랩 구동장치
KR20090000520U (ko) 공기조화기
KR20060020591A (ko) 스탠드형 에어컨의 공기청정기 구조
KR101086612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100277954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9990017254U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개폐장치
KR20050087664A (ko) 분리형 에어컨의 흡입구 자동개폐장치
KR100239493B1 (ko) 공기조화기
JP4369352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541476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9990018602U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0136092Y1 (ko) 공기조화기
KR100398633B1 (ko) 보조커버를 구비한 에어컨 실내기
KR101158114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19990041499A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00705079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100232130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00293793B1 (ko) 공기조화기의흡입그릴개폐장치
KR100249201B1 (ko) 공기조화기의토출구개폐장치
KR100541475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캐비넷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