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3795A -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3795A
KR20070063795A KR1020050124021A KR20050124021A KR20070063795A KR 20070063795 A KR20070063795 A KR 20070063795A KR 1020050124021 A KR1020050124021 A KR 1020050124021A KR 20050124021 A KR20050124021 A KR 20050124021A KR 20070063795 A KR20070063795 A KR 20070063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ase
jog
frame
portable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4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5682B1 (ko
Inventor
김경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4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682B1/ko
Priority to US11/582,274 priority patent/US20070141379A1/en
Priority to US11/605,285 priority patent/US7812271B2/en
Publication of KR20070063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3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05D1/12Applying particulat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wi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C23C2/265After-treatment by applying solid particles to the molten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4/00Coating starting from inorganic powder
    • C23C24/02Coating starting from inorganic powder by application of pressure only
    • C23C24/04Impact or kinetic deposition of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02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nly including layers of metallic material
    • C23C28/021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nly including layers of metallic material including at least one metal alloy lay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04Direct recording or reprodu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350/00Pretreatment of the substrate
    • B05D2350/60Adding a layer before coating
    • B05D2350/65Adding a layer before coating metal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401/00Form of the coating product, e.g. solution, water dispersion, powders or the like
    • B05D2401/30Form of the coating product, e.g. solution, water dispersion, powders or the like the coating being applied in other forms than involving eliminable solvent, diluent or dispersant
    • B05D2401/32Form of the coating product, e.g. solution, water dispersion, powders or the like the coating being applied in other forms than involving eliminable solvent, diluent or dispersant applied as pow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18Pretreatment, e.g. heating the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1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mechanical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31Foil or filament smaller than 6 mils
    • Y10T428/12438Composi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535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with additional, spatially distinct nonmetal component
    • Y10T428/12556Organic component
    • Y10T428/12569Synthetic res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85Group I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92Zn-base component
    • Y10T428/12799Next to Fe-base component [e.g., galvanized]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각종 부품이 설치되며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6)와, 상기 케이스(10)의 상단에 설치되어 조작에 필요한 신호를 입력받는 복합버튼어셈블리(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합버튼어셈블리(20)는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 상면 상부를 향하거나 케이스(10)의 상면에서 후방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복합버튼어셈블리(20)가 후방 상부를 향하는 각도는 케이스(10)를 측면에서 볼 때, 케이스(10)의 상하방향에 대해 대략 45°보다 작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는 사용자가 한손으로 잡고 다양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휴대, 멀티미디어, 복합버튼어셈블리, 조그버튼, 누름버튼

Description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Portable multimedia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복합버튼어셈블리가 케이스에서 분리되어 분해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멀티미디어기기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조작하는 것을 보인 조작상태도.
도 5a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버튼체의 누름버튼부를 조작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5b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조그버튼을 조작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케이스 12: 프레임
13: 전면판 14: 배면판
16: 표시부 17: 메인기판
17': 스위치 18: 누름버튼
20: 복합버튼어셈블리 21: 버튼프레임
21': 관통부 23: 걸이리브
25: 체결편 27: 구획리브
27': 체결리브 28: 가이드편
30: 지지단 32: 회전중심핀
34: 버튼체 36,36': 제1 및 제2 버튼부
38: 탄성레그 38': 핀공
40: 안착리브 42: 조그윈도우
44: 조그기판 45: 체결공
46: 스위치 50: 조그버튼
52: 가이드리브 54: 돌기안착부
56: 걸이돌기 58: 걸이후크
110: 케이스 112: 프레임
113: 전면판 114: 배면판
116: 표시부 117: 메인기판
117': 스위치 118: 누름버튼
120: 복합버튼어셈블리 121: 버튼프레임
본 발명은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면서 멀티미디어 파일을 실행할 수 있는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외관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케이스(1)는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멀티미디어기기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1)는 전면과 배면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는데, 상기 전면에 표시부(3)가 구비된다. 상기 표시부(3)는 멀티미디어기기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실행에 따른 영상이 표시되는 부분이다.
상기 표시부(3)의 하부에 해당되는 케이스(1)의 저면 하부에는 조그버튼(5)이 구비된다. 상기 조그버튼(5)는 그 움직이는 방향 및 움직인 정도 등에 따라 원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움직이지 않고 정중앙에 위치된 상태에서 눌러짐에 의해서도 원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누름버튼(7)이 설치된다. 상기 누름버튼(7)들은 각각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것, 동작모드를 바꾸는 것 등이 있다. 상기 케이스(1)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연결잭(9)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잭(9)을 통해서는 외부기기와의 연결이 수행된다. 예를 들면, 이어폰, 마이크, 리모콘 등이 각각의 연결잭(9)에 연결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는 사용자가 한손으로 잡고 손가락들을 사용하여 상기 조그버튼(5)이나 누름버튼(7) 등을 조작하면서 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조그버튼(5)을 조작하도록 엄지손가락을 케이스(1)의 전면에 두고, 검지손가락은 케이스(1)의 측면에 구비되는 누름버튼(7)을 조작하고, 나머지 3개의 손가락과 손바닥의 일부를 사용하여 케이스(1)를 잡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엄지손가락으로 조그버튼(5)을 조작하고 검지손가락으로 측면의 누름버튼(7)을 조작하는 경우 케이스(1)를 나머지 손가락과 손바닥 일부만으로 지지하여 잡아야 하므로 멀티미디어기기를 안정적으로 잡을 수 없어 조작중에 멀티미디어기기를 놓쳐 낙하되어 파손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네 손가락과 손바닥을 이용하여 케이스(1)를 지지하여 잡고, 엄지손가락을 움직여 조그버튼(5)과 누름버튼(7)을 조작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엄지손가락의 동선이 길어 조작에 상대적으로 시간이 많이 걸리는 불편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버튼을 모아서 구성된 복합버튼어셈블리를 사용자가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 은 내부에 각종 부품이 설치되며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설치되어 조작에 필요한 신호를 입력받는 복합버튼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합버튼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상면 상부를 향하거나 케이스의 상면에서 후방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복합버튼어셈블리가 후방 상부를 향하는 각도는 케이스를 측면에서 볼 때, 케이스의 상하방향에 대해 대략 45°보다 작다.
상기 복합버튼어셈블리는 내부를 관통하여 관통부가 형성되고 구획리브에 의해 상기 관통부가 구획되어 구성되는 버튼프레임과, 상기 버튼프레임에 중간부 양측이 지지되어 설치되고 양단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버튼부가 탄성변형가능하게 상기 버튼프레임에 지지되어 스위치의 조작을 수행하는 버튼체와, 상기 버튼체의 중간부분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버튼프레임에 적어도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별도의 스위치의 조작을 수행하는 조그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튼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구획리브의 면에는 구획리브와 평행하게 걸이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조그버튼의 이동을 안내하는데, 상기 걸이리브와 구획리브의 사이에는 상기 조그버튼의 하면 양단에 구비되는 가이드리브가 위치된다.
상기 걸이리브의 상단과 상기 조그버튼의 하면은 서로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버튼체의 제1 및 제2 버튼부의 선단 하면 양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와 나란히 연장되게 탄성레그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레그의 선단에 각각 형성 된 핀공에는 상기 버튼프레임의 관통부 내면에 형성된 회전중심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의 탄성변형 기준점이 된다.
상기 버튼체의 중간부 양단에는 안착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프레임의 관통부 내면 양측에는 상기 안착리브가 안착되는 지지단이 더 구비된다.
상기 버튼프레임의 구획리브에는 체결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조그버튼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가 실장된 조그기판이 체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는 사용자가 한손으로 잡고 다양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복합버튼어셈블리가 케이스에서 분리된 상태의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케이스(10)는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케이스(10)는 전면과 배면이 대략 장방형으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진다. 상기 케이스(10)의 양측면은 평면으로 되나, 상면과 하면은 소정의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된다.
상기 케이스(10)는 프레임(12), 전면판(13) 및 배면판(14)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2)은 케이스(10)의 골격과 양측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판(13)은 상기 프레임(12)에 장착되고 케이스(10)의 전면과 하면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배면판(14)은 상기 프레임(12)에 장착되고 케이스(10)의 배면과 하면 일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전면판(13)과 배면판(14)의 하단부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10)의 구성이 반드시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케이스(10)는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이면 되고, 예를 들어 하면이 반드시 곡면으로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는 표시부(16)가 구비된다. 상기 표시부(16)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예를 들면 액정패널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면판(13)의 일부가 투명하게 되어 상기 액정패널에 표시된 내용이 케이스(10)의 전면으로 보이도록 된 것이다. 상기 표시부(16)에는 멀티미디어 기기의 동작상태나 멀티미디어 파일의 실행에 따른 영상 등이 표시된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메인기판(17)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기판(17)은 상기 전면판(13) 및 배면판(14)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2)에 직접 고정되거나 상기 액정패널에 고정되어 프레임(12)에 장착된다. 상기 메인기판(1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 및 제2 버튼부(36,36')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17')가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10)의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누름버튼(18)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누름버튼(18)은 멀티미디어 기기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누름버튼(18)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도 상기 메인기판(17)에 실장 된다.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을 구성하도록 복합버튼어셈블리(20)가 구비된다. 상기 복합버튼어셈블리(20)는 상기 케이스(10)의 상단에 구비되어 멀티미디어 기기의 동작수행을 위한 각종 명령을 입력받게 된다. 상기 복합버튼어셈블리(20)의 구성을 도 3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버튼프레임(21)은 복합버튼어셈블리(20)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버튼프레임(21)은 물론 상기 케이스(1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버튼프레임(21)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내부를 관통하여 관통부(21')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0)의 상단에 장착된다.
상기 버튼프레임(21)을 케이스(10)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을 살펴본다. 상기 버튼프레임(21)에는 상기 전면판(13)과 대응되는 부분에 걸이리브(23)가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걸이리브(23)는 상기 전면판(13)의 상단 배면에 걸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걸이리브(23)의 선단에는 걸이턱(23')이 구비된다. 물론, 상기 전면판(13)에는 걸이턱(23')이 걸어지는 구성이 구비된다.
상기 버튼프레임(21)중 상기 프레임(12)의 후단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또 다른 걸이리브(24)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리브(24)는 상기 프레임(12)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버튼프레임(21)중 상기 배면판(14)과 대응되는 부분에 체결편(25)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체결편(25)은 상기 배면판(14)을 프레임(12)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나사(도시되지 않음)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관통부(21')를 구획하도록 구획리브(27)가 구비된다. 상기 구획리브 (27)는 두 개가 상기 관통부(21')를 3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한다. 상기 구획리브(27)에는 각각 체결리브(27')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리브(27')는 상기 구획리브(27)의 서로 마주보지 않는 면에 형성된다.
상기 구획리브(27)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가이드편(28)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편(28)은 각각 상기 구획리브(27)와 나란히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편(28)은 그 하단부가 상기 구획리브(27)에 일체로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구획리브(27)와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편(28)의 상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그버튼(5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버튼프레임(21)의 내면중 상기 구획리브(27)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서로 마주보게 지지단(30)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단(30)은 아래에서 설명될 버튼체(34)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버튼프레임(21)의 내면중 상기 구획리브(27)와 버튼프레임(21)의 양단부 사이에는 각각 상기 구획리브(27)에 인접하여 회전중심핀(32)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중심핀(32)은 상기 버튼프레임(21)의 내면에 서로 마주보게 돌출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총 4개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중심핀(32)은 아래에서 설명될 버튼체(34)의 탄성변형 기준점이 된다.
버튼체(34)는 상기 버튼프레임(21)의 관통부(21')에 안착된다. 상기 버튼체(34)는 측면에서 볼 때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되도록 형상이 만들어진다. 상기 버튼체(34)에는 그 양단에 제1버튼부(36)와 제2버튼부(36')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버튼부936)와 제2버튼부(36')는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들 버튼부(36,36')는 각각 사용자가 눌러 상기 스위치(17')를 조작하는 부분이다.
상기 버튼부(36,36')의 선단부 하단 양측에는 각각 탄성레그(38)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레그(38)는 상기 버튼부(36,36')의 선단부에서 반대쪽 버튼부(36',36)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탄성레그(38)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가능한 것이다. 상기 탄성레그(38)의 각각의 선단에는 상기 회전중심핀(32)이 관통하는 핀공(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공(38')에 상기 회전중심핀(32)이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부(36,36')가 눌러지면 상기 탄성레그(38)가 탄성변형되면서 버튼부(36,36')가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상기 스위치(17')를 눌러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핀공(38')에 삽입된 상기 회전중심핀(32)을 기준으로 상기 버튼체(34)의 버튼부(36,36')의 탄성변형이 만들어진다. 즉, 상기 회전중심핀(32)에서 시작해서 상기 버튼체(34) 양단부의 상기 버튼부(36,36')의 탄성변형이 일어난다. 다시 말해 상기 회전중심핀(32)은 일측 단부의 버튼부(36,36')가 눌러져 탄성변형되었을 때, 타측 단부의 버튼부(36',36)측이 탄성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상기 안착리브(40)와 함께 수행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제1버튼부(36)가 눌러져 탄성변형될 때 제2버튼부(36')측의 회전중심핀(32)은 제2버튼부(36')가 버튼프레임(21)의 통공부(21')에서 지나치게 돌출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튼체(34)의 중간 하단 양측에는 상기 버튼프레임(21)의 지지단(30)에 안착되는 안착리브(40)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리브(40)는 상기 버튼체(34)가 상기 버튼프레임(21)에 지지된 상태에서 일측 버튼부(36,36')가 눌러지더라도 타측 버튼부(36,36')가 탄성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튼체(34)의 중앙에는 조그윈도우(42)가 형성된다. 상기 조그윈도우(42)는 상기 버튼체(34)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것으로 대략 사각형상으로 된다. 상기 조그윈도우(42)는 상기 버튼프레임(21)의 구획리브(27) 사이의 공간과 연통된다. 하지만, 상기 조그윈도우(42)는 상기 구획리브(27)사이의 공간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가진다. 즉, 구획리브(27)와 버튼프레임(21)의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가장자리를 둘러쌀 수 있도록 조그윈도우(42)의 형상과 면적이 결정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그버튼(50)이 상기 조그윈도우(4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면서도 조그윈도우(42)를 통해 탈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조그기판(44)은 상기 버튼프레임(21)에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조그기판(44)의 양단에는 체결공(45)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체결공(45)은 상기 버튼프레임(21)의 체결리브(27')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그기판(44)상에는 스위치(46)가 실장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46)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그버튼(50)에 의해 조작된다. 상기 조그기판(45)은 체결나사(48)에 의해 상기 버튼프레임(21)의 체결리브(27')에 체결된다. 참고로, 상기 조그기판(44)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상기 메인기판(17)에 스위치(46)를 실장할 수도 있다.
조그버튼(50)은 상기 스위치(46)를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버튼프레임(21)과 버튼체(34)의 사이에 설치되고, 그 일부가 상기 조그윈도우(42)를 통해 외 부로 노출된다. 상기 조그버튼(50)의 하면 양단에는 가이드리브(52)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52)는 상기 구획리브(27)와 가이드편(28)의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조그버튼(50)은 대략 곡면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특히 그 하면은 상기 가이드편(28) 상단의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조그버튼(50)은 상기 버튼체(34)에 대해 상기 케이스(10)의 전면과 후면 방향으로 움직이고, 중앙에서 눌러져 상기 스위치(46)를 조작하여 소정의 동작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조그버튼(50)이 상기 버튼체(34)에 대해 4방(전면방향, 후면방향 및 양측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46)도 이와 같은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상기 조그버튼(50)의 상면에는 돌기안착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안착부(54)는 상기 조그버튼(50)의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돌기안착부(54)에는 걸이돌기(56)가 설치된다. 상기 걸이돌기(56)는 사용자가 상기 조그버튼(50)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걸이돌기(56)는 그 양단 하면에 걸이후크(58)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후크(58)는 상기 걸이돌기(56)를 상기 돌기안착부(54)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상기 걸이돌기(56)를 상기 조그버튼(5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복합버튼어셈블리(20)가 상기 표시부(16)가 구비되는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 대해 수직한 상면에 구비되었으나, 도 6 및 도 7에는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100단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편의를 위해 요부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서는 복합버튼어셈블리(120)가 케이스(110)의 전면에 대해 수직한 상면에서 케이스(110)의 배면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져 설치된다. 즉, 상기 케이스(110)를 측방향에서 볼 때, 상기 복합버튼어셈블리(120)의 버튼체(134)와 조그버튼(150)이 케이스(110)의 후방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케이스(110)에 설치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복합버튼어셈블리(120)는 그 내부 구성이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동일하고, 단지 그 설치방향이 케이스(110)의 후방 상부를 향하도록 된 것이다. 즉,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비해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복합버튼어셈블리(120)가 치우쳐서 설치된다. 대체로 상기 복합버튼어셈블리(120)가 후방 상부를 향하는 각도는 케이스(110)를 측면에서 볼 때, 케이스(110)의 상하방향에 대해 대략 45°보다 작은 각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보다 상기 케이스(110)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케이스(110)의 크기가 커서 사용자의 손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려면, 상기 케이스(110)의 상단이 검지의 끝부분에 가까운 위치에 있게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합버튼어셈블리(120)가 케이스(110)의 후방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있게 되면, 사용자가 검지를 많이 굽히지 않고도 상기 복합버튼어셈블리(120)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복합버튼어셈블리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복합버튼어셈블리(20)가 조립되는 것을 설명한다. 스위치(46)가 실장된 조그기판(44)을 상기 버튼프레임(21)의 하면에 체결한다. 즉, 상기 조그기판(44)의 체결공(45)을 관통한 체결나사(48)가 상기 버튼프레임(21)의 체결리브(27')에 체결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버튼프레임(21)상에 상기 조그버튼(50)을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조그버튼(50)의 하면에 구비되는 요입홈(도시되지 않음)에 상기 스위치(46)의 가동부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조그버튼(50) 양단에 구비되는 가이드리브(52)가 상기 구획리브(27)와 가이드편(28)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편(28) 상단의 곡면이 상기 조그버튼(50) 하면의 곡면에 대응되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조그버튼(50)의 돌기안착부(54)에는 상기 걸이돌기(56)가 이미 결합된 상태이거나 나중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그버튼(50)이 조립된 상태의 버튼프레임(21)에 상기 버튼체(34)를 결합한다. 즉, 상기 버튼프레임(21)의 상부에서 상기 버튼체(34)가 상기 버튼프레임(21)의 통공부(21')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버튼체(34)의 탄성레그(38)에는 상기 회전중심핀(32)이 연결되도록 한다. 즉, 상기 탄성레그(38)의 핀공(38')에 상기 회전중심핀(32)이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버튼체(34)의 안착리브(40)는 또한 상기 버튼프레임(21)의 지지단(30)에 안착된다.
이와 같은 복합버튼어셈블리(20)의 조립은 메인 조립라인에 투입되기 전에 미리 수행된다. 따라서, 메인 조립라인에서는 복합버튼어셈블리(20)를 상기 케이스(10)의 상단에 장착하기만 하면 된다.
즉, 상기 버튼프레임(21)의 걸이리브(23)가 상기 전면판(13)의 배면 상단에 걸어지도록 하고, 상기 체결편(25)은 상기 배면판(14)이 프레임(12)에 체결될 때, 함께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되면 복합버튼어셈블리(20)의 제1버튼부(36)와 제2버튼부(36')는 상기 메인기판(17)의 스위치(17')를 조작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에 장착이 완료된 복합버튼어셈블리(20)를 조작하는 것을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복합버튼어셈블리(20)는 특히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에 채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전체가 사용자의 한손에 잡힐 수 있는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케이스(10)의 절반 정도를 손바닥으로 지지하고 검지손가락으로 복합버튼어셈블리(20)를 조작하고, 엄지손가락으로 누름버튼(18)들을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검지손가락은 상기 버튼체(24)의 제1 및 제2 버튼부(36,36')를 눌러 상기 스위치(17')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36,36')가 눌러지는 방향은 도 5a에 화살표 a와 b로 잘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버튼부(36,36')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버튼부(36,36')를 사용자가 누르면, 상기 버튼부(36,36')의 선단이 눌러지면서, 상기 탄성레그(38)도 함께 눌러져 변형된다.
하지만, 상기 탄성레그(38)의 선단에는 상기 회전중심핀(32)이 끼워져 있어 상기 탄성레그(38)는 상기 회전중심핀(32)을 중심으로 상기 버튼체(34)와 연결되어 있는 부분이 탄성변형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변형은 상기 버튼부(36,36')가 상기 스위치(17')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36,36')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버튼부(36,36')와 탄성레그(38)는 원형으로 복원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체(34)는 그 중간부분의 안착리브(40)가 상기 버튼프레임(21)의 지지단(30)에 안착된다. 따라서, 일측 버튼부(36,36')가 탄성변형될 때, 타측 버튼부(36,36')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특히, 각각의 버튼부(36,36')에 구비되는 상기 탄성레그(38)의 탄성변형 중심이 각각 별개로 되어 있어 더욱 그러하다.
한편, 상기 검지손가락은 상기 버튼체(24)의 조그윈도우(42)를 통해 노출된 조그버튼(50)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조그버튼(50)은 도 5b에 화살표 c와 d로 표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전면방향과 후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그버튼(50)의 이동은 상기 조그버튼(50)이 상기 버튼프레임(21)에 있는 상기 가이드편(28)에 의해 안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스위치(46)의 가동부가 그와 같은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한편, 상기 조그버튼(50)은 상기 스위치(46)를 수직하방으로 누르는 방향(도 5b의 화살표 e방향)으로도 동작된다. 즉, 상기 조그버튼(50)의 상면을 사용자가 눌러주면 상기 스위치(46)의 가동부를 상기 조그버튼(50)이 직접 눌러주도록 동작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복합버튼어셈블리(120)를 조작하는 것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다. 단지 복합버튼어셈블리(120)가 케이스(110)의 후방 상부를 향하도록 되어 있어, 케이스(110)가 상대적으로 크더라도 사용자의 검지가 쉽게 복합버튼어셈블리(120)에 접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합버튼어셈블리를 케이스의 상단에 설치함에 있어, 케이스의 크기에 따라 케이스의 상면에서 상방을 향하거나, 케이스의 상면에서 후방 상부를 향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멀티미디어기기를 한 손에 안정되게 지지한 상태에서 각종 버튼을 검지와 엄지를 사용하여 조작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내부에 각종 부품이 설치되며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설치되어 조작에 필요한 신호를 입력받는 복합버튼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합버튼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상면 상부를 향하거나 케이스의 상면에서 후방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버튼어셈블리가 후방 상부를 향하는 각도는 케이스를 측면에서 볼 때, 케이스의 상하방향에 대해 대략 45°보다 작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버튼어셈블리는,
    내부를 관통하여 관통부가 형성되고 구획리브에 의해 상기 관통부가 구획되어 구성되는 버튼프레임과,
    상기 버튼프레임에 중간부 양측이 지지되어 설치되고 양단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버튼부가 탄성변형가능하게 상기 버튼프레임에 지지되어 스위치의 조작을 수행하는 버튼체와,
    상기 버튼체의 중간부분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버튼프레임에 적어도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별도의 스위치의 조작을 수행하는 조그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구획리브의 면에는 구획리브와 평행하게 걸이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조그버튼의 이동을 안내하는데, 상기 걸이리브와 구획리브의 사이에는 상기 조그버튼의 하면 양단에 구비되는 가이드리브가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리브의 상단과 상기 조그버튼의 하면은 서로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체의 제1 및 제2 버튼부의 선단 하면 양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와 나란히 연장되게 탄성레그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레그의 선단에 각각 형성된 핀공에는 상기 버튼프레임의 관통부 내면에 형성된 회전중심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의 탄성변형 기준점이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체의 중간부 양단에는 안착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프레임의 관통부 내면 양측에는 상기 안착리브가 안착되는 지지단이 더 구 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프레임의 구획리브에는 체결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조그버튼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가 실장된 조그기판이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KR1020050124021A 2005-11-30 2005-12-15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KR101195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021A KR101195682B1 (ko) 2005-12-15 2005-12-15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US11/582,274 US20070141379A1 (en) 2005-12-15 2006-10-16 Powder-coated spinning wi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11/605,285 US7812271B2 (en) 2005-11-30 2006-11-29 Complex button assembly and portable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021A KR101195682B1 (ko) 2005-12-15 2005-12-15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795A true KR20070063795A (ko) 2007-06-20
KR101195682B1 KR101195682B1 (ko) 2012-10-30

Family

ID=38173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4021A KR101195682B1 (ko) 2005-11-30 2005-12-15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141379A1 (ko)
KR (1) KR1011956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8817B2 (ja) * 2007-09-05 2013-05-15 矢崎総業株式会社 着色電線の製造方法
CN102963057A (zh) * 2012-11-22 2013-03-13 南通贝思特科技咨询有限公司 海缆用特厚镀层锌钢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5682B1 (ko) 2012-10-30
US20070141379A1 (en) 200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9291B2 (en) Touch pad device for portable computer
US8199476B2 (en) Notebook computer
US6972946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housing
US6219038B1 (en) Water resistant touch pad for an electronic apparatus
US4949080A (en) Computer keyboard control accessory
US7812271B2 (en) Complex button assembly and portable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US7551160B2 (en) Touch pad apparatus for a portable computer
KR20050103840A (ko) 휴대용 컴퓨터의 래치장치
JP5337279B1 (ja) 電子機器
GB2542246A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7188311A (ja) 電子機器
KR101195682B1 (ko)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KR100632738B1 (ko) 휴대용 컴퓨터
KR100745787B1 (ko)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복합버튼어셈블리
TW201630015A (zh) 鍵盤裝置及鍵盤用面板
JPH11175186A (ja) 取り外し可能なキーボードを有する携帯形情報機器
EP2157844B1 (en) Attachment structure for control key unit
US20170192463A1 (en) Electronic device
CN213845095U (zh) 边框结构及电子设备
CN215932502U (zh) 笔记本电脑
JPH08120806A (ja) 情報入力装置付きパーティション
CN112445359B (zh) 触控模块
KR200339957Y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06272A (ko) 엘씨디 윈도우를 이용한 키버튼 장치
JP2522782Y2 (ja) 制御機器の前部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