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957Y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957Y1
KR200339957Y1 KR20-2003-0035490U KR20030035490U KR200339957Y1 KR 200339957 Y1 KR200339957 Y1 KR 200339957Y1 KR 20030035490 U KR20030035490 U KR 20030035490U KR 200339957 Y1 KR200339957 Y1 KR 2003399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casing
unit
guide bracket
swit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4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일
강병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54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9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9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9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싱의 외부로 돌출된 노브유닛(knob unit)을 통해 디스플레이부의 각종 동작기능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케이싱(40)과; 케이싱(40) 내에 마련되며, 케이싱(40)의 개방된 부위와 대응 위치하는 복수의 노브삽입홀(52)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브래킷(50)과; 가이드브래킷(50) 상에 설치되며, 노브삽입홀(52)과 대응 위치하는 복수의 스위치(62)를 갖는 인쇄회로기판(60)과; 가이드브래킷(50)의 노브삽입홀(52) 각각에 개별적으로 삽입되어 케이싱(40)의 개방된 부위로 돌출되며, 복수의 스위치(62) 중 2개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복수의 노브유닛(70)과; 가이드브래킷(50)의 상측에 결합되며, 하부면에는 노브유닛(70)을 지지하는 지지부(82)가 형성되어 있는 브래킷커버(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노브유닛의 사용성 및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노브유닛의 잦은 조작에 의한 동작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APPARATUS}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싱의 외부로 돌출된 노브유닛(knob unit)을 통해 디스플레이부의 각종 동작기능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는 브라운관 면에 문자나 도형의 형식을 이용하여 데이터(data)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여러 종류의 장치들을 포괄하여 일컫는 말이다. 특히, 평판형 표시장치의 일종인 액정표시장치(LCD)는 컴퓨터용 모니터, TV 등에 이르기까지 그 적용범위가 점점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며, 그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최근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기능성 및 사용성이 보다 향상된 여러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케이스(2)의외부로 돌출된 노브유닛(4)을 통해 스위치(미도시)를 작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의 동작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노브유닛(4)은 프런트케이스(2)의 외부로 돌출되어, 누름동작에 의해 전·후진되는 조작부(3)와; 프런트케이스(2)의 내벽면상에 설치되어, 조작부(3)의 전·후진에 의해 연동되어 스위치(미도시)를 작동시키는 작동부(5)를 포함한다. 특히, 작동부(5)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조작부(3)의 누름동작에 의해 탄력적으로 전진하여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이에 해당하는 기능이 수행되며, 조작부(3)에서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작동부(5)는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노브유닛(4)의 작동부(5)가 여러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복수 개 설치되는 조작부(3)를 모두 커버하기 위해 도 2에서와 같이 장방향의 일체형 구조를 가짐으로써 작동부(5)의 일부에서만 동작불량이 발생되더라도 부분적인 보수가 어려워 작동부(5)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작부(3)의 잦은 작동 및 장기간 사용에 의해 작동부(5)의 복원력(반발력)이 저하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으며, 이는 동작불량을 유발하는 하나의 주된 원인이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노브유닛의 구조를 단순화시킴과 동시에 동작불량을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의 노브유닛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의 노브유닛 작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노브유닛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6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노브유닛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디스플레이부 20 : 스탠드부
30 : 디스플레이패널 40 : 케이싱
50 : 가이드브래킷 52 : 노브삽입홀
60 : 인쇄회로기판 62 : 스위치
70 : 노브유닛 72 : 조작부
74 : 접촉부 76 : 플랜지부
78 : 핀삽입홀 80 : 브래킷커버
90 : 스크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마련되며,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부위와 대응 위치하는 복수의 노브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브래킷과; 상기 가이드브래킷 상에 설치되며, 상기 노브삽입홀과 대응 위치하는 복수의 스위치를 갖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가이드브래킷의 노브삽입홀 각각에 개별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부위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2개의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복수의 노브유닛과; 상기 가이드브래킷의 상측에 결합되며, 하부면에는 상기 노브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브래킷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복수의 노브유닛 각각은 상기 가이드브래킷의 노브삽입홀을 통해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부위로 돌출되는 조작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스위치와 인접하도록 상기 조작부의 하단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의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를 누름으로써 시소 원리에 의해 상기 2개의 스위치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부 및 상기 접촉부 사이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브래킷의 노브삽입홀에 지지됨으로써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래킷커버의 지지부는 핀 형상을 가지며, 상기 노브유닛에는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는 핀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브유닛은 상기 케이싱의 상단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노브유닛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10)와; 디스플레이부(10)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부(10)를 지지하는 스탠드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10)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패널(30)과; 디스플레이패널(30)의 외측부를 둘러싸고 설치되며,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케이싱(40)과; 케이싱(40) 내에 마련되며, 케이싱(40)의 개방된 부위와 대응 위치하는 복수의 노브삽입홀(52)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브래킷(50)과; 가이드브래킷(50) 상에 설치되며, 노브삽입홀(52)과 대응 위치하는 복수의 스위치(62)를 갖는 인쇄회로기판(60)과; 가이드브래킷(50)의 노브삽입홀(52) 각각에 개별적으로 삽입되어 케이싱(40)의 개방된 부위로 돌출되며, 복수의 스위치(62) 중 2개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복수의 노브유닛(70)과; 가이드브래킷(50)의 상측에 결합되며, 하부면에는 노브유닛(70)을 지지하는 지지부(82)가 형성되어 있는 브래킷커버(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스플레이패널(30)의 화면상태는 인쇄회로기판(60) 상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62) 각각의 작동에 의해 제어되며, 스위치(62)는 디스플레이부(10)의 동작기능 분류에 따라 그 수를 적절히 조절 가능하다.
케이싱(40)은 디스플레이부(10)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측면에는 가이드브래킷(50) 및 브래킷커버(80)와 대응 결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보스부(42)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브래킷(50)은 노브유닛(7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케이싱(40)의 제1보스부(42)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보스부(54)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브래킷(50)의 구조는 노브유닛(7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가이드브래킷(50)에 형성되어 있는 노브삽입홀(52)은 적용되는 노브유닛(70)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복수의 노브유닛(70)은 디스플레이부(10)의 각종 동작기능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복수의 노브유닛(70) 각각은 가이드브래킷(50)의 노브삽입홀(52)을 통해 케이싱(40)의 개방된 부위로 돌출되는 조작부(72)와; 인쇄회로기판(60)의 스위치(62)와 인접하도록 조작부(72)의 하단 양측에 형성되며, 조작부(72)의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를 누름으로써 시소 원리에 의해 2개의 스위치(62)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부(74)를 포함한다. 스위치(62)는 조작부(72)의 하단에마련되는 2개의 접촉부(74)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누름스위치가 주로 사용된다.
그리고 노브유닛(70)은 접촉부(74)의 접촉 여부에 따라 스위치(62)가 작동되어, 각종 동작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조작부(72) 및 접촉부(74)의 형상은 시소 원리에 의해 스위치(62)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노브유닛(70)은 조작부(72) 및 접촉부(74) 사이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며, 가이드브래킷(50)의 노브삽입홀(52)에 지지됨으로써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부(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브유닛(70)은 필요에 따라 그 설치위치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나 외관 및 사용성을 감안하여 케이싱(40)의 모서리부, 특히 상단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래킷커버(80)의 지지부(82)는 핀 형상을 가지며, 노브유닛(70)에는 브래킷커버(80)의 지지부(82)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부(82)가 삽입되는 핀삽입홀(78)이 형성되어 있다. 핀삽입홀(78)은 노브유닛(70)의 평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노브유닛(70)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노브유닛(70)은 브래킷커버(80)의 지지부(82)에 의해 지지되어 평상시에는 평행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의 조작시에는 누름동작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스위치(62)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이 완료되면 다시 원상태로 복귀된다.
한편, 브래킷커버(80)에는 케이싱(40) 및 가이드브래킷(50) 각각에 형성되어있는 제1,2보스부(42,54)와 대응되는 관통홀(84)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84)을 통해 스크류(90)를 체결시킴으로써 가이드브래킷(50)을 케이싱(4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노브유닛 작동상태도로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스위치를 표시하는 참조번호 62를 62a와 62b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4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평행을 유지하고 있는 노브유닛(70)의 일측 단부를 누르면, 도 6a와 같이 시소 원리에 의해 노브유닛(70)이 힘을 받는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어 인쇄회로기판(60) 상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62a)를 작동시키고, 노브유닛(70)으로부터 외력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노브유닛(70)의 타측 단부를 누르면, 도 6b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동작원리에 의해 스위치(62b)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미설명 참조번호 50은 노브유닛(70)이 관통 삽입되는 가이드브래킷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노브유닛이 시소원리에 의해 동작됨으로써 사용성 및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잦은 조작에 의한동작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노브유닛이 각각 단품으로 제작됨으로써 작동상의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기존에 비해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그에 따른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마련되며,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부위와 대응 위치하는 복수의 노브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브래킷과;
    상기 가이드브래킷 상에 설치되며, 상기 노브삽입홀과 대응 위치하는 복수의 스위치를 갖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가이드브래킷의 노브삽입홀 각각에 개별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부위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2개의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복수의 노브유닛과;
    상기 가이드브래킷의 상측에 결합되며, 하부면에는 상기 노브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브래킷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브유닛 각각은 상기 가이드브래킷의 노브삽입홀을 통해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부위로 돌출되는 조작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스위치와 인접하도록 상기 조작부의 하단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의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를 누름으로써 시소 원리에 의해 상기 2개의 스위치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 및 상기 접촉부 사이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브래킷의 노브삽입홀에 지지됨으로써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커버의 지지부는 핀 형상을 가지며,
    상기 노브유닛에는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는 핀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유닛은 상기 케이싱의 상단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3-0035490U 2003-11-13 2003-11-13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399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490U KR200339957Y1 (ko) 2003-11-13 2003-11-13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490U KR200339957Y1 (ko) 2003-11-13 2003-11-13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957Y1 true KR200339957Y1 (ko) 2004-01-31

Family

ID=49342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490U KR200339957Y1 (ko) 2003-11-13 2003-11-13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9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4780A (en) Virtual touch screen switch
KR100721693B1 (ko) 전자 장치 및 그 안에 사용되는 버튼 장치의 전동 장치
US7127776B2 (en) Dual display type portable comput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7964808B2 (en) Button apparatus and mobile appliance having the same
JPH0620570A (ja) 表示装置付き押釦スイッチ
US8102081B2 (en) Electronic apparatus
US20100163386A1 (en) Image push-button assembly structure
JP2004079322A (ja) キーボード及びそれを有する電子機器
KR200339957Y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330160B1 (ko) 포인팅 디바이스를 갖는 휴대형 컴퓨터
US7786399B2 (en) Apparatus comprising a button formed with a panel and flat panel display
KR20050115148A (ko) 펜의 착탈에 따라 표시모드를 자동 전환하는휴대용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US20100163387A1 (en) Switch structure having display and playback device
JP3751974B2 (ja) 両面操作可能なキーボードを有する情報処理装置
US20100213038A1 (en) Image push-button assembly structure
KR2005010931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95682B1 (ko)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JPH0883379A (ja) 電子機器
CN219456842U (zh) 一种便拆触摸屏
JPH08263207A (ja) 携帯型端末用入出力装置
JP3141685U (ja) 表示と再生装置を有するスイッチ構造
KR200339956Y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222655Y1 (ko) 전자제품의 컨트롤러부
KR100745787B1 (ko)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의 복합버튼어셈블리
JP2522782Y2 (ja) 制御機器の前部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