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2170A - 피스톤 핀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피스톤 핀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2170A
KR20070062170A KR1020050121931A KR20050121931A KR20070062170A KR 20070062170 A KR20070062170 A KR 20070062170A KR 1020050121931 A KR1020050121931 A KR 1020050121931A KR 20050121931 A KR20050121931 A KR 20050121931A KR 20070062170 A KR20070062170 A KR 20070062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pin
piston
mounting rod
pin
assembl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1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2170A/ko
Publication of KR20070062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21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3/00Pistons 
    • F02F3/0076Pistons  the inside of the pistons being provided with ribs or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 F16J1/10Connection to driving members
    • F16J1/14Connection to driving members with connecting-rods, i.e. pivotal connections
    • F16J1/16Connection to driving members with connecting-rods, i.e. pivotal connections with gudgeon-pin; Gudgeon-pins
    • F16J1/18Securing of gudgeon-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stons, Piston Rings, And Cylin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스톤 홀에 설치되는 피스톤 핀의 내부에 삽입부재를 설치하여 엔진 작동시에 피스톤 핀에 작용하는 면압의 증대가 가능한 피스톤 핀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피스톤에 관통 형성된 피스톤 홀에 설치되는 피스톤 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핀 내부에 설치되며 피스톤 핀 내부에 작용하는 허용 면압이 증대 가능하도록 삽입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핀의 조립구조를 제공한다.
피스톤, 피스톤 핀, 삽입부재, 장착봉

Description

피스톤 핀의 조립구조{The Structure Of Piston Pi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피스톤 핀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피스톤 4 : 피스톤 핀
10 : 삽입부재 12 : 장착봉
14 : 밀착편
본 발명은 피스톤 홀에 설치되는 피스톤 핀의 내부에 삽입부재를 설치하여 엔진 작동시에 피스톤 핀에 작용하는 면압의 증대가 가능한 피스톤 핀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엔진은 내연 기관으로서, 연소실에서의 폭발력을 피스톤으로 전달하고, 상기한 폭발력을 전달받은 피스톤의 커넥팅로드가 작동되어 구동력을 발생시켜 차량이 움직이게된다.
상기한 피스톤은 실린더 내에 설치되어 12~13m/sec의 고속으로 왕복운동을 한다. 상기 피스톤은 폭팔 행정에서 고온,고압 가스의 압력을 받아 커넥팅로드를 통하여 크랭크 축에 전달하며, 상기 크랭크축은 피스톤에서 전달받은 압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피스톤은 엔진의 부품 중에서 가장 많은 운동량과 격심한 온도변화와 함께 높은 압력을 받는 차량 부품이다.
최근에는 승용디젤엔진 차량의 출시와 함께 상기 승용디젤엔진의 고출력화를 위해 연소 폭발 압력이 160bar를 넘어 170~180bar 수준으로 증대되고 있으며, 최근에 출시되는 디젤엔진들은 상기한 연소 폭발 압력에 대응하기 위한 구조로 변경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에는 피스톤에 관통 형성된 피스톤홀 내부에 피스톤 부쉬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피스톤 부쉬의 내부에 피스톤 핀이 삽입되며, 상기 피스톤 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냅링을 추가로 설치하여 사용해 왔다.
상기 피스톤 부쉬는 제질이 스틸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피스톤 부쉬 자체의 중량과 피스톤의 무게가 합해져서 상기 피스톤 부쉬를 포함한 피스톤이 엔진(미도시) 내부에서 왕복 운동시에 상기 피스톤 전체의 관성 중량이 커지게 되며, 상기 관성 중량에 의한 전체적인 구동력의 손실이 발생 됨으로써 차량의 연비 저하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에 피스톤에 설치되었던 피스톤 부쉬 및 스냅링의 삭제가 가능하며 연소 압력에 의한 피스톤의 면압을 저감 시킬 수 있는 피스톤 핀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 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스톤 핀 내부에 설치되며 피스톤 핀 내부에 작용하는 허용 면압이 증대 가능하도록 삽입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핀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피스톤 핀 내부에 구비되는 장착봉, 상기 장착봉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 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밀착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봉의 양단부는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피스톤 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피스톤 핀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피스톤 핀(4) 내부에 설치되며 피스톤 핀 내부에 작용하는 허용 면압이 증대 가능하도록 삽입부재(10)가 설치된다.
상기 삽입부재(10)는 상기 피스톤 핀(4) 내부에 구비되는 장착봉(12)과, 상기 장착봉(12)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 핀(4)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밀착편(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봉(12)의 양단부는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피스톤 핀(4)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피스톤 핀의 조립 구조에 대하여 도면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에 관통 형성된 피스톤 홀(3)에 피스톤 핀(4)이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 핀(4) 내부에 삽입부재(10)를 압입 설치한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삽입부재(10)의 장착봉(12)에 설치된 밀착편(14)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 핀(4)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2) 작동시 피스톤 홀(도 1참조)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장착봉(12)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된다.
상기 장착봉(12)의 양단부는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어 피스톤 핀(4)의 외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실린더 라이너(6)와 면접촉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삽입부재(10)는 기존의 피스톤(2)에 설치되었던 스냅링의 조립부 길이 만큼 피스톤 핀(4)의 길이가 증대되어 상기 피스톤(2)이 고속으로 왕복 운동할 때 상기 피스톤 핀(4)에 작용하는 허용 면압이 증대된다.
한편, 본 발명은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 핀의 조립구조는 연소압력에 의한 피스톤 핀에 작용하는 허용 면압이 증대되며, 피스톤 핀의 길이 증대로 인해 외경 축소가 가능하여 경량화 설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 피스톤에 설치되었던 부쉬 및 스냅링이 필요하지 않게되어 원 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피스톤에 관통 형성된 피스톤 홀에 설치되는 피스톤 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핀(4) 내부에 설치되며 피스톤 핀 내부에 작용하는 허용 면압이 증대 가능하도록 삽입부재(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핀의 조립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10)는 상기 피스톤 핀(4) 내부에 구비되는 장착봉(12), 상기 장착봉(12)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 핀(4)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밀착편(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핀의 조립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봉(12)의 양단부는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피스톤 핀(4)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핀의 조립구조.
KR1020050121931A 2005-12-12 2005-12-12 피스톤 핀의 조립구조 KR200700621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931A KR20070062170A (ko) 2005-12-12 2005-12-12 피스톤 핀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931A KR20070062170A (ko) 2005-12-12 2005-12-12 피스톤 핀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170A true KR20070062170A (ko) 2007-06-15

Family

ID=38357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931A KR20070062170A (ko) 2005-12-12 2005-12-12 피스톤 핀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21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416B1 (ko) * 2007-10-31 2014-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피스톤 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416B1 (ko) * 2007-10-31 2014-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피스톤 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39414B1 (en) A gasket for a valve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5715321B (zh) 复合凸轮托架
EP3051092B1 (en) Cooling of pre-chamber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9190389A (ja) 内燃機関
JPH09502244A (ja) 高負荷される内燃機関のための軽金属ピストン
US7086371B2 (en) Engine
JP2015121145A (ja) 内燃機関および内燃機関のカバー取付構造
KR20070062170A (ko) 피스톤 핀의 조립구조
JP2013133717A (ja) 副室式火花点火内燃機関の点火プラグ冷却構造
EP3550182B1 (en) A gasket with an improved heat dissipation capacity for a valv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2746622B1 (en) Emergency guiding element for piston pin
KR100657692B1 (ko) 피스톤 부쉬
US2818843A (en) Push rod
US8549989B2 (en) Piston apparatus for engine
US5357918A (en) Valve operating mechanism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EP3530893A1 (en) Oil supply structure for timing chain system
CN103925096A (zh) 发动机一体式机体
JP2014084735A (ja) ポンプハウジングの振動低減構造
KR100590350B1 (ko) 자동차용 피스톤 핀의 장착 구조
KR100307956B1 (ko) 엔진의크랭크샤프트기어
RU2009105947A (ru)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пальца и способ ремонта изноше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крепления пальца
KR0125572Y1 (ko) 피스톤 핀보스의 이중보강구조
JP2005315115A (ja) シリンダブロック
KR960003787Y1 (ko) 자동차용 크랭크 샤프트
KR20230020679A (ko) 캠샤프트용 캠부싱의 조립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