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1958A -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모터 방진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모터 방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1958A
KR20070061958A KR1020050121500A KR20050121500A KR20070061958A KR 20070061958 A KR20070061958 A KR 20070061958A KR 1020050121500 A KR1020050121500 A KR 1020050121500A KR 20050121500 A KR20050121500 A KR 20050121500A KR 20070061958 A KR20070061958 A KR 20070061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ase
annular
vibration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1050B1 (ko
Inventor
최창구
Original Assignee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1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1050B1/ko
Publication of KR20070061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8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damping or preventing mechanical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모터 방진구조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모터와 그 모터를 내장설치하는 모터 케이스의 사이에 방진 수단을 구비하되, 가능한 진동이 증폭되기 전체 방진 처리하여 진동 및 소음이 보다 더 효과적으로 예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모터케이스(11)의 내부에 마련된 고정자(12)와 그 고정자의 중앙에서 회전축(14)에 축설된 채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자(13)로 이루어지는 모터(10), 그리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연장 노출된 전방 쪽으로 조립하되, 중단에서 축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플랜지(21)가 연장된 프론트 케이스(20), 그리고 상기 모터의 모터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사이에 개입시켜 모터의 전방 진동이 상기 프론트 케이스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전방 환형 방진부재(40), 그리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노출되지 않은 후방 쪽으로 조립하되, 상기 모터의 중단과 하단을 감싸며, 축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용 환형부(31)가 구비된 리어 케이스(30), 그리고 상기 모터의 모터케이스와 상기 리어 케이스의 사이에 개입시켜 모터의 후방 진동이 상기 리어 케이스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후방 환형 방진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모터 방진구조{VIBRATION-PROOF STRUCTURE FOR AIR CONTROL SYSTEM MOTOR OF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모터 조립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모터 조립구조를 보인 조립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방 환형 방진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도 5는 후방 환형 방진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모터 11 : 모터케이스
12 : 고정자 13 : 회전자
14 : 회전축 15 : 코너부
20 ; 프론트 케이스 21 : 플랜지
22 : 안착부 22a : 돌기
30 : 리어 케이스 31 : 환형부
32 : 모서리 33 : 환형리브
40 : 전방 환형 방진부재
41 : 직선부 42 : 모떼기부
50 : 후방 환형 방진부재 51 : 직선부
52 : 플랜지부 53 : 여백부
54 : 원통부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모터 방진구조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모터를 구성하되 모터의 케이스 내부에 방진 수단을 구비하여 진동을 유발하는 로터로부터 진동이 확대되기 전에 흡수하여 효과적으로 진동/소음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는 송풍기로써 외부 공기를 강제 유입한 후, 필요에 따라 냉각수단 또는 난방수단을 통과시킨 후, 차량 실내에 공급하므로 써 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한 송풍기는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HVAC)를 이용하여 설치 고정하게 되는데 종래의 설치구조는 모터와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에 직접 연결 고정하기 때문에 모터의 회전자로부터 시작되는 진동이 그대로 모터 케이스를 통해 공기조화 장치용 케이스까지 전달되기 때문에 진동의 증폭이 발생한다.
즉, 종래의 구조에서는 플랜지와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 사이에 방진수단을 개입시킨다 하더라도 모터의 회전자로부터 모터 케이스까지 진동이 전달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진동이 전달된 후에는 모터 케이스의 플랜지가 이미 진동을 하고 있기 때문에 소음이 철저히 예방되지 못하고 증폭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그 외에도 소정의 형태를 갖는 각종 방진부재 들은 그 방진 부재들이 조립될 부분과 구조적으로 잘 맞아야 방진 효과가 극대화되는데 종래의 방진부재 들은 조립될 부분의 구조와 잘 맞지 않아서 방진 효과가 떨어지는 예가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고자 제안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모터와 그 모터를 내장설치하는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의 사이에 방진 수단을 구비하되, 가능한 진동이 증폭되기 전체 방진 처리하여 진동 및 소음이 보다 더 효과적으로 예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모터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고정자와 그 고정자의 중앙에서 회전축에 축설된 채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자로 이루어지는 모터, 그리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연장 노출된 전방 쪽으로 조립하되, 중단에서 축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플랜지가 연장된 프론트 케이 스, 그리고 상기 모터의 모터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사이에 개입시켜 모터의 전방 진동이 상기 프론트 케이스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전방 환형 방진부재, 그리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노출되지 않은 후방 쪽으로 조립하되, 상기 모터의 중단과 하단을 감싸며, 축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용 환형부가 구비된 리어 케이스, 그리고 상기 모터의 모터케이스와 상기 리어 케이스의 사이에 개입시켜 모터의 후방 진동이 상기 리어 케이스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후방 환형 방진부재를 구비하여, 상기한 모터가 상기한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 속에 조립할 때 상기한 전방 환형 방진부재 및 후방 환형 방진부재에 의해서 이격 공간을 가진 채 조립되는 것이다.
이때의 상기한 전방 환형 방진부재는 환형으로 형성하되, 모터 케이스의 모양을 따라 회전 방지를 위한 직선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한 프론트 케이스는 상기 전방 환형 방진부재용 안착부를 구성하고, 이 안착부에는 2개 이상의 돌기를 형성하여 안착 된 전방 환형 방진부재(4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전방 환형 방진부재는 환형으로 형성하되, 그 단면 모양을 사각형으로 하면서 각각의 모서리를 모떼기부 또는 라운드부 중에서 어느 하나로 가공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한 전방 환형 방진부재는 환형으로 형성하되, 그 내경이 모터 케이스 외경보다 작게 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한 후방 환형 방진부재는 환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리어 케이스의 단턱 모서리와, 상기 모터케이스의 단턱 코너부에 개입시키기에 적당하도록 원통부와 플랜지부가 ㄱ자형 단면을 갖는 것이다.
상기한 후방 환형 방진부재는 환형으로 형성하되, 플랜지부의 일부 구간에 볼트 통과용 여백부를 마련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한 후방 환형 방진부재는 환형으로 형성하되, 플랜지부가 리어 케이스의 내면에 형성된 환형 리브의 사이에 꼭 끼이도록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한 후방 환형 방진부재는 환형으로 형성하되, 조립시 그 원통부가 모터 케이스의 끝단 보다 더 연장되어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한 후방 환형 방진부재는 환형으로 형성하되, 모터 케이스의 모양을 따라 회전 방지를 위한 직선부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터 조립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모터 조립구조를 보인 조립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터(10)를 프론트 케이스(20)와 리어 케이스(30) 속에 내장하되, 그 전, 후 부분을 각각의 전방 환형 방진부재(40)와, 후방 환형 방진부재(50)로써 방진 시키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20) 및 리어 케이스(30)로써 차체에 설치 고정하는 데 있다.
특히, 상기한 모터가 상기한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 속에 조립할 때 상기한 전방 환형 방진부재 및 후방 환형 방진부재에 의해서 이격 공간(G)을 가진 채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모터케이스(11)의 내부에 마련된 고정자(12)와 그 고정자의 중앙에서 회전축(14)에 축설된 채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자(13)로 이루어지는 모터(10)를 조립하되,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연장 노출된 전방 쪽으로 조립되고 중단에서 축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플랜지(21)가 연장된 프론트 케이스(20)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노출되지 않은 후방 쪽으로 조립하되, 상기 모터의 중단과 하단을 감싸며, 축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용 환형부(31)가 구비된 리어 케이스(30)를 사용하여 내장한다.
이때, 상기 모터의 모터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사이에는 전방 환형 방진부재(40)를 개입시켜 모터의 전방 진동이 상기 프론트 케이스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모터의 모터케이스와 상기 리어 케이스의 사이에는 후방 환형 방진부재(50)를 개입시켜 모터의 후방 진동이 상기 리어 케이스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전방 환형 방진부재(40)와 후방 환형 방진부재(50)는 다음과 같은 각각의 새로운 구성들을 갖는 것이다.
먼저, 전방 환형 방진부재(4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터 케이스(11)의 모양을 따라 회전 방지를 위한 직선부(41)를 구비한다.
이는 모터 케이스(11) 자체가 직선부를 갖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그에 따라 이 전방 환형 방진부재 자체도 회전하지 않도록 배려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 전방 환형 방진부재(40)는 환형으로 형성하면서도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단면 모양을 원형으로 하여 프론트 케이스(20)와 모터(10)의 사이에 개입시킬 때 주변부에 간섭이나 무리 없이 잘 개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단면 모양을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하면서 각각의 모서리를 모떼기부(42)로 또는 라운드부로 가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완전한 사각 단면을 갖는 것보다는 모서리가 제거된 것이 그 상, 하면 밀착효과가 향상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 전방 환형 방진부재(40)는 환형으로 형성했을 때, 그 내경이 모터의 케이스(11) 외경보다 약간 작게 하여 방진부재가 가지는 자체 탄성으로 늘어나면서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탄성을 가진 방진부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며 약간 작게 한다고 했을 때의 치수는 탄성 정도에 따라 달라질 것이므로 자세한 예시는 생략한다.
또 한, 상기 전방 환형 방진부재(40)는 상기한 프론트 케이스(20) 안쪽에 안착부(22)를 마련하여 자리 잡기 좋게 한다. 그리고 이때의 상기 안착부(22)에는 2개 이상의 돌기(22a)를 형성하여 안착 된 전방 환형 방진부재(4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후방 환형 방진부재(50)는 환형으로 형성하되, 원통부(54)와 플랜지부(52)가 ㄱ자형 단면을 갖는 것으로 하면서 상기한 플랜지부(52)의 일부 구간에는 여백부(53)를 형성한다.
ㄱ자형 단면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리어 케이스의 단턱 모서리(32)와, 상기 모터케이스의 단턱 코너부(15)에 개입시키기에 적당하도록 배려한 것이며, 상기한 여백부(53)는 모터 체결용 장봉 볼트(도시하지 않았음)가 통과하기에 간섭이 없도록 배려한 것이다.
또, 이 후방 환형 방진부재(50)는 상기한 플랜지부(52)가 리어 케이스(30)의 내면에 형성된 환형리브(33)의 사이에 꼭 끼이도록 형성하고, 아울러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원통부(54)가 모터의 리어 케이스보다 더 연장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플랜지부(52)가 모터(10)와 환형리브(33)와의 사이에 꼭 끼이게 하는 것은 진동 흡수 효과를 상승시키고자하는 것은 물론 자체적으로 흔들림이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원통부(54)가 모터 케이스(11)의 끝단(11a) 보다 더 연장되도록 하는 것은 모터가 쳐지거나 간혹 치수 불량 상태가 되더라도 모터 케이스가 리어 케이스에 먼저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또, 이 후방 환형 방진부재(50)도 환형으로 형성하되, 모터 케이스의 모양을 따라 직선부(5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전방 환형 방진부재(40)와 같이 회전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모터(10)가 내장된 프론트 케이스(20) 및 리어 케이스(30)가 가지는 플랜지(21)와 환형부(31)를 이용하여 공기조화장치의 케이 스(HVAC)(도시하지 않았음)에 설치하게 된다.
설치된 상태에서 모터(10)가 구동되면, 고정자(12)를 상대로 회전자(13)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진동이 모터케이스(11)를 통해 전달되기 시작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모터케이스(11)와 프론트 케이스(20)의 사이에 전방 환형 방진부재(40)가 개입되어 있고, 모터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30)의 사이에 후방 환형 방진부재(50)가 개입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이 가급적 빨리 전달된다.
즉, 모터의 회전자(13)로부터 시작하는 진동이 모터 케이스를 내장하는 프론트 케이스(20) 및 리어 케이스(30)까지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진동이 증폭되지 않는다.
따라서 진동은 물론 진동에 따른 소음이 사전에 차단되어 매우 효과적인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모터와 그 모터케이스를 내장설치하는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의 사이에 이격 공간을 가진 채 미리 방진 수단을 구비하였기 때문에 가능한 진동이 증폭되기 전체 방진 처리되는 장점이 있다.
이는 종래의 일반적인 구성에 비하여 진동 발원지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서 방진을 시작하는 것이고, 진동 및 소음이 보다 더 효과적으로 예방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전방 환형 방진부재 및 후방 환형 방진부재 들이 갖는 외부 모양과 단면모양들이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의 각각의 밀착 부분에 잘 맞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방진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이다.

Claims (10)

  1. 모터케이스(11)의 내부에 마련된 고정자(12)와 그 고정자의 중앙에서 회전축(14)에 축설된 채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자(13)로 이루어지는 모터(10),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연장 노출된 전방 쪽으로 조립하되, 중단에서 축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플랜지(21)가 연장된 프론트 케이스(20),
    상기 모터의 모터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사이에 개입시켜 모터의 전방 진동이 상기 프론트 케이스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전방 환형 방진부재(40),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노출되지 않은 후방 쪽으로 조립하되, 상기 모터의 중단과 하단을 감싸며, 축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용 환형부(31)가 구비된 리어 케이스(30),
    상기 모터의 모터케이스와 상기 리어 케이스의 사이에 개입시켜 모터의 후방 진동이 상기 리어 케이스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후방 환형 방진부재(50)를 구비하여, 상기한 모터가 상기한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 속에 조립할 때 상기한 전방 환형 방진부재 및 후방 환형 방진부재에 의해서 이격 공간(G)을 가진 채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모터 방진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방 환형 방진부재(40)는 환형으로 형성하되, 모터 케이스의 모양을 따라 회전 방지를 위한 직선부(41)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모터 방진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프론트 케이스(20)는 상기 전방 환형 방진부재용 안착부(22)를 구성하고, 이 안착부(22)에는 2개 이상의 돌기(22a)를 형성하여 안착 된 전방 환형 방진부재(4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모터 방진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방 환형 방진부재(40)는 환형으로 형성하되, 그 단면 모양을 사각형으로 하면서 각각의 모서리를 모떼기부(42) 또는 라운드부 중에서 어느 하나로 가공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모터 방진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방 환형 방진부재(40)는 환형으로 형성하되, 그 내경이 모터 케이스 외경보다 크지 않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모 터 방진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후방 환형 방진부재(50)는 환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리어 케이스의 단턱 모서리(32)와, 상기 모터케이스의 단턱 코너부(15)에 개입시키기에 적당하도록 원통부(54)와 플랜지부(52)가 ㄱ자형 단면을 갖는 것으로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모터 방진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한 후방 환형 방진부재(50)는 환형으로 형성하되, 플랜지부(52)의 일부 구간에 볼트 통과용 여백부(53)를 마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모터 방진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후방 환형 방진부재(50)는 환형으로 형성하되, 플랜지부(52)가 리어 케이스(30)의 내면에 형성된 환형리브(33)의 사이에 꼭 끼이도록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모터 방진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후방 환형 방진부재(50)는 환형으로 형성하되, 조립시 그 원통부(54)가 모터 케이스(11)의 끝단(11a) 보다 더 연장되어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모터 방진구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후방 환형 방진부재(50)는 환형으로 형성하되, 모터 케이스의 모양을 따라 회전 방지를 위한 직선부(51)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모터 방진구조.
KR1020050121500A 2005-12-12 2005-12-12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모터 방진구조 KR100731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500A KR100731050B1 (ko) 2005-12-12 2005-12-12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모터 방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500A KR100731050B1 (ko) 2005-12-12 2005-12-12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모터 방진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958A true KR20070061958A (ko) 2007-06-15
KR100731050B1 KR100731050B1 (ko) 2007-06-22

Family

ID=38357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500A KR100731050B1 (ko) 2005-12-12 2005-12-12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모터 방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10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187A (ko) * 2018-10-17 2020-04-27 뉴모텍(주) 온수 순환 펌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639B1 (ko) * 2005-07-28 2009-05-22 마이크로 모우션, 인코포레이티드 저 질량 구동 시스템을 갖는 저 질량 코리올리 질량 유량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187A (ko) * 2018-10-17 2020-04-27 뉴모텍(주) 온수 순환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1050B1 (ko) 200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5354B2 (ja) 電動モータのためのデカップリング装置および電動モータを製作する方法
US5133617A (en) Motor mount assembly
US20050254975A1 (en) Integrally molded sound housing for blower motor
JPS638700B2 (ko)
JP5934917B2 (ja) ファンモータ、このファンモータを用いた車載用空調装置およびファンモータの組立方法
US20110101800A1 (en) Apparatus for holding an electrical machine such that it is decoupled from vibration
JP4128889B2 (ja) ブロワモータ支持構造
US9985495B2 (en) Apparatus for mounting a motor such that vibrations are decoupled
JP2000027799A (ja) ファン装置
KR100731050B1 (ko)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용 모터 방진구조
JP4238093B2 (ja) モータの支持構造
EP3657025B1 (en) Cross-flow impeller device and cooling fan
KR101833146B1 (ko) 진동 저감을 위한 모터 고정브라켓
JP4039285B2 (ja) ファンモータ取付構造および空調装置
JP2011072124A (ja) 駆動モータ
JP2011074886A (ja) ファンモータ支持部材と空気調和機
JPH0674491A (ja) ファンモータの支持装置
KR101354055B1 (ko) 진동 저감을 위한 모터 고정브라켓
JPH0921399A (ja) 送風機
KR100526113B1 (ko) 모터용 댐퍼
US20090039718A1 (en) Method for Accomodating an Electric Motor
US7550888B2 (en) Blower motor for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WO2018225636A1 (ja) 緩衝部材および緩衝部材を備えた送風装置
JP2865315B2 (ja) ファンモータの取付装置
JPH04262098A (ja) 羽根車の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