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1664A - 와이어링 고정클립 - Google Patents

와이어링 고정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1664A
KR20070061664A KR1020050121306A KR20050121306A KR20070061664A KR 20070061664 A KR20070061664 A KR 20070061664A KR 1020050121306 A KR1020050121306 A KR 1020050121306A KR 20050121306 A KR20050121306 A KR 20050121306A KR 20070061664 A KR20070061664 A KR 20070061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ad
link
pad
fixing clip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철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1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1664A/ko
Publication of KR20070061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6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링 고정클립에 관한 것으로, 차체에 형성된 조립홀에 대해 와이어링을 다양한 각도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여 와이어링의 차체 고정작업이 용이해져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른 부품과의 간섭도 적절히 회피하면서 와이어링의 지지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차체에 형성된 조립홀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되는 클립부를 구비한 제1링크패드와, 이 제1링크패드에 일단이 회전방지핀을 매개로 연결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결합되는 제2링크패드, 이 제2링크패드에 상기 회전방지핀을 매개로 연결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결합되는 제3링크패드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와이어링 고정클립{Wiring fixing clip}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고정클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고정클립이 차체 패널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고정클립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고정클립의 회전방지핀의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고정클립의 작동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고정클립에 와이어링이 안착되어 지지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클립부 12-제1링크패드
13-제2링크패드 14-회전방지핀
15-제3링크패드 16-차체
17-와이어링 18-테이프
본 발명은 와이어링 고정클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와이어링을 차체 패널에 형성된 조립홀에 대해 여러 가지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와이어링 고정클립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에서 각종 전장 부품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와이어나 혹은 케이블은 차체를 따라서 연장되어 차체나 주변 부품들의 적절한 부위에 클립을 매개로 고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와이어링 고정클립은 대체로 직사각 블록 형상을 한 앵커부에 와이어를 끼워서 고정할 수 있는 밴드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앵커부는 차체에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조립홀의 가장자리 면에 안착되는 플랜지와, 상기 조립홀에 삽입되어 걸려지는 걸림턱을 각각 구비하거나 혹은 삼각형상의 클립날개와 상기 조립홀 가장자리 면에 안착되는 플랜지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밴드부에 와이어링을 묶거나 끼워서 조정한 상태에서 상기 앵커부를 차체의 조립홀에 삽입하여 와이어링을 차체에 고정시킬 때에 상기 밴드부가 차체와 간섭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는 데, 상기 밴드부는 앵커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체의 조립홀에 대해 와이어링의 고정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링이 차체와 간섭을 일으킬 경우에 와이어링을 차체에 고정시킬 수 없으므로 와이어링의 차체 고정부위를 변경해야 하는 바, 이는 차체에 조립홀을 형성시키는 금형을 수정 및 변경해야 하므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게 되고, 와이어링의 고정 부위를 변경시킬 경우에 와이어링의 지지강성이 약화되어 와이어링이 다른 부품과 간섭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체에 형성된 조립홀에 대해 와이어링을 다양한 각도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여 와이어링의 차체 고정작업이 용이해져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른 부품과의 간섭도 적절히 회피하면서 와이어링의 지지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와이어링 고정클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에 형성된 조립홀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되는 클립부를 구비한 제1링크패드와, 이 제1링크패드에 일단이 회전방지핀을 매개로 연결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결합되는 제2링크패드, 이 제2링크패드에 상기 회전방지핀을 매개로 연결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결합되는 제3링크패드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1링크패드의 한쪽 선단부에는 폭이 좁은 돌기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돌기부에는 그 폭을 따라서 관통하는 조립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패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2개의 플랜지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각 플랜지에는 관통하는 조립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3링크패드의 한쪽 선단부에는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돌기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돌기부에는 그 폭을 따라서 관통하는 조립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링크패드의 조립홀과 상기 제2링크패드의 2개의 플랜지에 형성된 각각의 조립홀을 관통해서 상기 회전방지핀이 끼워지고, 상기 제3링크패드의 돌기부에 형성된 조립홀과 상기 제2링크패드의 2개 의 플랜지에 형성된 각각의 조립홀을 관통해서 회전방지핀이 끼워져서 제1,2,3링크패드들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링크패드의 조립홀의 일부 내주면에는 스플라인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패드의 한쪽 플랜지에만 상기 스플라인부에 상응하는 스플라인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링크패드의 조립홀의 일부 내주면에는 스플라인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핀은 상기 각 링크패드의 스플라인부와 스플라인 결합되게 일단부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스플라인부와 원형의 핀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방지핀의 타단에는 상기 각 링크패드에 형성된 조립홀보다 직경이 큰 조작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돌기에는 그 직경을 축소시킬 수 있도록 절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립부는 사각 블록 형상을 하고서 차체의 조립홀에 관통되게 삽입되어 조립홀의 하면 주변 가장자리에 걸려져서 이탈을 방지하는 2개의 걸림턱과, 상기 조립홀의 상면 주변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링크패드에 와이어링이 안착되어 테이프나 끈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고정클립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즉 차체에 형성된 조립홀에 관통해서 삽입되어 걸려지는 클립부(11)가 하면에 일체로 장착된 제1링크패드(12)의 선단부에 제2링크패드(13)의 일단이 회전방지핀(14) 을 매개로 결합되고, 상기 제2링크패드(13)의 타단에는 제3링크패드(15)의 일단이 상기 회전방지핀(14)을 매개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클립부(11)는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사각 블록 형상을 하고서 차체(16)의 조립홀에 관통되게 삽입되어 조립홀의 하면 주변 가장자리에 걸려져서 이탈을 방지하는 2개의 걸림턱(11a)과, 상기 조립홀의 상면 주변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플랜지부(11b)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클립부의 형상이 사각 블록 형상을 하고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삼각 형상을 하여도 무방하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클립의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즉 상기 제1링크패드(12)의 한쪽 선단부에는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돌기부(12a)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12a)에는 그 폭을 따라서 관통하는 조립홀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조립홀의 일부 내주면에는 스플라인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링크패드(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2개의 플랜지(13a,13b)가 형성되고, 상기 각 플랜지(13a,13b)에는 관통하는 조립홀이 형성됨과 더불어 한쪽 플랜지(13a)에만 상기 스플라인부(12b)에 상응하는 스플라인부(13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링크패드(15)의 한쪽 선단부에는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돌기부(15a)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15a)에는 그 폭을 따라서 관통하는 조립홀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조립홀의 일부 내주면에는 스플라인부(15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링크패드의 돌기부(12a)에 형성된 조립홀과 상기 제2링크패드 의 2개의 플랜지(13,13b)에 형성된 각각의 조립홀을 관통해서 회전방지핀(14)이 끼워지고, 상기 제3링크패드의 돌기부(15a)에 형성된 조립홀과 상기 제2링크패드의 2개의 플랜지에 형성된 각각의 조립홀을 관통해서 회전방지핀(14)이 끼워져서 제1,2,3링크패드들을 서로 연결시키게 되는 데, 상기 회전방지핀(14)은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일측 선단부에는 상기 각 링크패드의 스플라인부와 상응하는 스플라인부(14a)가 원주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플라인부(14a)를 제외한 부위는 원형의 핀축(14b)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회전방지핀(14)의 타단에는 조작돌기(14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돌기(14c)는 상기 각 링크패드에 형성된 조립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데, 상기 조작돌기에는 적절한 크기의 절개홀(14d)이 형성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상기 조작돌기(14c)를 예컨대 손으로 잡고서 눌러주게 되면 상기 조작돌기의 직경이 상기 각 링크패드의 조립홀의 직경보다 작게되어 상기 조작돌기를 상기 조립홀 속에 삽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와 도 6에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고정클립의 조작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즉 상기 회전방지핀(14)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링크패드와 제2,3링크패드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결합되면, 회전방지핀(14)의 스플라인부(14)가 제2링크패드의 한쪽 플랜지(13a)에 형성된 스플라인부(13c)와 제1링크패드의 스플라인부(12b)에 각각 스플라인 결합되면 제1링크패드와 제2링크패드는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서 상대 회전이 방지되게 되고, 상기 제2,3링크패드의 경우에도 회전방지핀의 스플라인부(14a)가 제2링크패드의 한쪽 플랜지(13a)에 형성된 스플라인 부(13c)와 제3링크패드의 스플라인부(15b)에 각각 스플라인 결합되면 제2링크패드와 제3링크패드는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서 상대 회전이 방지되게 되며, 상기 회전방지핀의 조작돌기(14b)는 각 링크패드의 측면으로 돌출해서 회전방지핀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각 링크패드들의 연결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회전방지핀의 조작돌기를 눌러서 그 직경을 축소시킨 다음에 상기 회전방지핀을 밀어주면, 상기 회전방지핀의 스플라인부가 제1,3링크패드의 스플라인부와 제2링크패드의 한쪽 플랜지의 스플라인부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이에 따라 제1,2,3링크패드들은 단지 회전방지핀의 원형 핀축(14b)으로만 서로 연결된 상태가 되므로 서로에 대해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제1링크패드에 대한 제2링크패드의 연결 각도를 조절한 다음에 상기 회전방지핀을 다시 반대방향으로 밀어서 회전방지핀의 스플라인부와 제1,2링크패드들의 스플라인부를 서로 결합시키고, 제2링크패드에 대한 제3링크패드의 연결각도를 조절한 다음에 상기 회전방지핀을 다시 반대방향으로 밀어서 회전방지핀의 스플라인부와 제2,3링크패드의 스플라인부를 서로 결합시키면, 제1,2,3스플라인부의 상대 연결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상기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링크패드들의 각도가 조절된 후에 각 링크패드 위에 와이어링(17)을 안착시킨 다음에 테이프(18)나 끈 등을 이용해서 와이어링을 링크패드와 함께 감아주면 와이어링이 고정클립의 링크패드 위에 고정되 게 된다.
그러므로, 작업자가 차체에 형성된 조립홀에 대한 와이어링의 고정각도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와이어링을 차체에 고정시킬 때에 주변 부품들과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고정클립에 의하면, 와이어링을 차체에 형성시킨 조립홀에 클립을 매개로 고정시킬 때에 와이어링의 조립홀에 대한 고정 각도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어서 와이어링의 차체 고정작업이 타 부품들과의 간섭을 회피해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와이어링의 차체 고정 작업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6)

  1. 차체에 형성된 조립홀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되는 클립부를 구비한 제1링크패드와, 이 제1링크패드에 일단이 회전방지핀을 매개로 연결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결합되는 제2링크패드, 이 제2링크패드에 상기 회전방지핀을 매개로 연결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결합되는 제3링크패드를 구비한 와이어링 고정클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패드의 한쪽 선단부에는 폭이 좁은 돌기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돌기부에는 그 폭을 따라서 관통하는 조립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패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2개의 플랜지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각 플랜지에는 관통하는 조립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3링크패드의 한쪽 선단부에는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돌기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돌기부에는 그 폭을 따라서 관통하는 조립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링크패드의 조립홀과 상기 제2링크패드의 2개의 플랜지에 형성된 각각의 조립홀을 관통해서 상기 회전방지핀이 끼워지고, 상기 제3링크패드의 돌기부에 형성된 조립홀과 상기 제2링크패드의 2개의 플랜지에 형성된 각각의 조립홀을 관통해서 회전방지핀이 끼워져서 제1,2,3링크패드들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고정클립.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패드의 조립홀의 일부 내주면에는 스플라인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패드의 한쪽 플랜지에만 상기 스플라인부에 상응하는 스 플라인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링크패드의 조립홀의 일부 내주면에는 스플라인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핀은 상기 각 링크패드의 스플라인부와 스플라인 결합되게 일단부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스플라인부와 원형의 핀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고정클립.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핀의 타단에는 상기 각 링크패드에 형성된 조립홀보다 직경이 큰 조작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돌기에는 그 직경을 축소시킬 수 있도록 절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고정클립.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는 사각 블록 형상을 하고서 차체의 조립홀에 관통되게 삽입되어 조립홀의 하면 주변 가장자리에 걸려져서 이탈을 방지하는 2개의 걸림턱과, 상기 조립홀의 상면 주변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고정클립.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링크패드에 와이어링이 안착되어 테이프나 끈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고정클립.
KR1020050121306A 2005-12-10 2005-12-10 와이어링 고정클립 KR200700616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306A KR20070061664A (ko) 2005-12-10 2005-12-10 와이어링 고정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306A KR20070061664A (ko) 2005-12-10 2005-12-10 와이어링 고정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664A true KR20070061664A (ko) 2007-06-14

Family

ID=38357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306A KR20070061664A (ko) 2005-12-10 2005-12-10 와이어링 고정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16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527Y1 (ko) * 2011-12-23 2013-02-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서포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527Y1 (ko) * 2011-12-23 2013-02-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서포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0863B2 (ja) リヤホルダ一体型コネクタ
KR20070061664A (ko) 와이어링 고정클립
KR102127162B1 (ko) 밴드 케이블
JP2733431B2 (ja) 結束具
JP3707654B2 (ja) 車両用部品の車体取付機構
JP2005133925A (ja) 固定具
KR101956200B1 (ko) 와이어 하네스 지그장치
JP2004052856A (ja) 固定具
JP2005114124A (ja) 固定具
US20070010129A1 (en) Positioning member of device assembly
JPH07282654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組立用支持具
JP3925277B2 (ja) コネクタ挿入用カバー
JP2001231126A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線経路規制部材および配線経路規制方法
JP2002181138A (ja) ロープの環状部保持金具
JP2004128018A (ja) 接続コード係止構造
KR102043986B1 (ko) 핫멜트 고정용 커넥터
JPH11123992A (ja) 自動車用ワイヤハーネスのボデー取付構造
JP2007150061A (ja) ノイズ吸収装置
JP2007149979A (ja) 部品取付用誘導部を備えるプリント基板
JP2007185057A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クランプ
JP2004076859A (ja) クリップ及びクリップの固定構造
JP2003273474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テッドサーキットの保持構造
JP4791440B2 (ja) クリップ
JP4734189B2 (ja) 配線固定具
JP2001160450A (ja) コネクタの連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