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0864A - 금속막 식각용액 - Google Patents

금속막 식각용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0864A
KR20070060864A KR1020050120988A KR20050120988A KR20070060864A KR 20070060864 A KR20070060864 A KR 20070060864A KR 1020050120988 A KR1020050120988 A KR 1020050120988A KR 20050120988 A KR20050120988 A KR 20050120988A KR 20070060864 A KR20070060864 A KR 20070060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ching
layer
metal film
forming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0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4421B1 (ko
Inventor
이준우
김성수
오금철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0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421B1/ko
Publication of KR20070060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0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00Etching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ans
    • C23F1/10Etching compositions
    • C23F1/14Aqueous compositions
    • C23F1/16Acidic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7/00Halogens; Halogen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3/00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 C09K13/04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00Etching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ans
    • C23F1/10Etching compositions
    • C23F1/14Aqueous compositions
    • C23F1/16Acidic compositions
    • C23F1/20Acidic compositions for etching aluminium or alloy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00Etching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ans
    • C23F1/10Etching compositions
    • C23F1/14Aqueous compositions
    • C23F1/16Acidic compositions
    • C23F1/26Acidic compositions for etching refractory met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막 식각용액에 관한 것으로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15중량%의 질산과;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10중량%의 할로겐 계열 첨가제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75 내지 98.9중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막 식각용액으로, 인듐산화막,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몰리브덴 및 몰리브덴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단일막 또는 다층막을 식각할 경우, 매우 양호한 식각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의 제조 시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막 식각용액을 사용하는 경우 기판의 크기가 커도 식각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고, 얼룩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금속막, 식각, 질산, 할로겐 계열 첨가제

Description

금속막 식각용액{ETCHANT FOR METAL LAYER}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막 식각용액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막 식각용액으로 몰리브덴 단일막을 식각한 후, 표면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막 식각용액으로 몰리브덴/알루미늄합금 이중막을 식각한 후, 표면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막 식각용액으로 인듐산화막을 식각한 후, 표면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5 및 도 6는 비교예2에 따른 식각용액으로 처리한 후의 몰리브덴 단일막 및 몰리브덴/알루미늄합금 이중막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7 및 도 8은 비교예3에 따른 식각용액으로 처리한 후의 몰리브덴 단일막 및 몰리브덴/알루미늄합금 이중막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판 20 : 금속층
20a : 게이트 전극 30 : 게이트 절연층
40 : 엑티브층 41 : 옴익콘텍층
50 : 소스전극 51 : 드레인전극
60 : 절연막 70 : 화소전극
본 발명은, 금속막 식각용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듐산화막,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몰리브덴 및 몰리브덴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단일막 또는 다층막을 식각할 수 있는 금속막 식각용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박막트랜지스터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 그리고 두 기판 사이에 주입되어 있는 액정층으로 이루어진 액정패널을 포함한다.
액정층은 두 기판의 가장자리 둘레에 인쇄되어 있으며 액정층을 가두는 봉인제로 결합되어 있다. 액정패널은 비발광소자이기 때문에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의 후면에는 백라이트 유닛이 위치하고 있다. 백라이트에서 조사된 빛은 액정분자의 배열상태에 따라 투과량이 조절된다.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에는 액정층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의 배선은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을 포함한다.
게이트배선은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라인과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을 포함하며, 데이터배선은 게이트배선과 절연되어 데이터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라인과 박막트랜지스터의 데이터전극을 구성하는 드레인전극과 소스전극을 포함한다. 여기서, 드레인전극을 통해 들어오는 신호는 투명한 금속으로 마련된 화소전극에 의해 직접 액정 측에 전달된다.
이러한 배선은 금속 단일층 또는 합금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각 금속 또는 합금의 단점을 보완하고 원하는 물성을 얻기 위하여 다중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배선 형성을 위해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을 많이 사용하는데, 순수한 알루미늄은 화학약품에 대한 내식성이 약하고 후속공정에서 배선 결함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알루미늄합금을 사용하거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 위에 또 다른 금속층 예를 들어 몰리브덴, 크롬, 텅스텐, 주석 등의 금속층을 적층시킨 다중층을 사용하기도 한다.
기판 소재상에 증착된 이러한 다중층은 식각을 통하여 배선으로 패터닝된다. 식각에는 건식식각과 습식식각이 있는데, 균일하게 식각되고 생산성이 높은 습식식각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습식식각에 사용되는 식각용액의 한 예로서, 인산, 질산, 아세트산 및 물을 포함하는 에칭용액을 사용하여 Mo/Al-Nd 이중층을 식각하는 기술이 본 출원인에 의해 한국등록특허 제0330582호에 제시된 바 있다.
여기서, 에칭용액의 인산, 질산 및 아세트산의 조성비를 특정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상부 몰리브덴층이 하부 알루미늄합금층의 외부로 돌출되는 단면을 갖게 되는 불량한 프로파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추가의 건식 식각이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우수한 프로파일을 수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금속층이 증착되는 기판의 크기가 점차 대형화됨에 따라, 이러한 기존의 식각용액으로 대형 기판 상에 증착된 금속층을 식각하게 되면, 전체적인 균일성 저하로 얼룩이 발생될 수 있어, 적합하지 않으므로, 본 출원인은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새로운 특성을 갖는 금속막 식각용액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막 식각 시 매우 양호한 식각특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의 제조 시 기판의 크기가 커도 식각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고, 얼룩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금속막 식각용액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15중량%의 질산과;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10중량%의 할로겐 계열 첨가제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75 내지 98.9중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막 식각용액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할로겐 계열 첨가제는 HF, (NH4)F, (NH4)HF2, KF, NaF, MgF2, AlF3, HCl, (NH4)Cl, KCl, NaCl, MgCl2, FeCl3, AlCl3, HBr, (NH4)Br, KBr, NaBr, MgBr2, AlBr3, HI, (NH4)I, KI, NaI, MgI2 및 AlI3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각조절제, 계면활성제, 금속 이온 봉쇄제, 부식 방지제 및 pH 조절 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TFT-LCD의 게이트전극, 소스전극, 드레인전극 및 화소전극 형성용 다층 또는 단일 금속막의 식각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a)기판 상에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b)상기 금속층을 식각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c)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게이트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d)상기 게이트 절연층 상에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e)상기 반도체층 상에 소스 및 드레인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f)상기 소스 및 드레인전극 상에 화소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단계, (e)단계 및 (f)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한 단계에서는 상기 금속막 식각용액으로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의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b)단계에서 상기 금속층은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몰리브덴 및 몰리브덴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단일막 또는 다층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소스 및 상기 드레인전극은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몰리브덴 및 몰리브덴합금 중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단일막 또는 다층막을 상기 금속막 식각용액으로 식각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f)단계에서 상기 화소전극은 인듐산화막을 상기 금속막 식각용액으로 식각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막 식각용액은, TFT-LCD의 화소전극용으로 사용되는 인듐산화막, TFT-LCD의 게이트전극, 소스전극, 드레인전극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 , 알루미늄합금, 몰리브덴 및 몰리브덴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단일막 또는 다층막을 식각하기 위한 용액이다.
여기서,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몰리브덴 및 몰리브덴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단일막 또는 다층막으로는 그 형태가 다양하며, Al, Mo, Al-Nd 및 Mo-W 등의 단일막과; Mo/Al-Nd, Mo-W/Al 등의 이중막과; Mo/Al/Mo, Mo/Al-Nd/Mo 및 Mo-W/Al/Mo-W 등의 삼중막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알루미늄합금 이나 몰리브덴합금은 알루미늄이나 몰리브덴을 주성분으로 하여 Nd, W, Ti, Cr, Ta, Hf, Zr, Nb 및 V 등의 다른 금속을 포함하는 합금 형태와; 몰리브덴이나 알루미늄의 질화물, 규화물, 탄화물 형태와; 알루미늄합금이나 몰리브덴합금의 질화물, 규화물, 탄화물 형태 등 다양할 수 있다.
또한, 화소전극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인듐산화막의 예로서 인듐아연산화물(Indium Zinc Oxide, 이하 'IZO'로 칭함)막, 인듐주석산화물(Indium Tin Oxide, 이하 'ITO'로 칭함)막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IZO 는 In2O3 와 ZnO 가 적정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산화물이고, ITO 는 In2O3 와 SnO2 가 적정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산화물이며, ITO의 경우 스퍼터링 및 어닐링 방법에 따라 결정질과 비결정질로 구분된다.
이러한 금속막 등을 식각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막 식각용액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15중량%의 질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10중량%의 할로겐 계열 첨가제 및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75 내지 98.9중량%의 물을 포함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소량의 식각조절제, 계면활성제, 금속 이온 봉쇄제, 부식 방지제 및 pH 조절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질산은 주산화제로서, 1중량% 미만인 경우 식각력이 부족하여 충분한 식각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식각력이 과다하여 식각된 금속막이 전극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할로겐 계열 첨가제는 식각개시제 및 식각도움제로서, 주산화제에 의해 식각이 일어날 수 있도록 금속막의 표면을 활성화시켜주며, 식각이 일어나는 과정 중에서 일부 부족한 식각력을 보완하여 잔사 및 불량한 프로파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여기서, 할로겐 계열 첨가제는 무기할로겐화물로서, 할로겐족원소인 F-, Cl-, Br-, I- 를 포함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HF, (NH4)F, (NH4)HF2, KF, NaF, MgF2, AlF3, HCl, (NH4) Cl, KCl, NaCl, MgCl2, FeCl3, AlCl3, HBr,(NH4)Br, KBr, NaBr, MgBr2, AlBr3, HI ,(NH4)I, KI, NaI, MgI2 및 AlI3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탈이온수가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의 비저항 값(즉, 물속에 이온이 제거된 정도)이 18㏁/㎝이상인 탈이온수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 내지 실시예8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9
몰리브덴(Mo) 단일막, Mo/Al-Nd이중막, 비결정질 ITO단일막 기판을 준비하였다. 질산, KF 및 잔량의 물을 표 1에 기재된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한 조성비로 함유하는 식각액을 180 k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분사식 식각 방식의 실험장비 (KDNS사 제조, 모델명: ETCHER(TFT)) 내에 제조된 식각액을 넣고 온도를 40℃로 세팅하여 가온한 후, 온도가 40±0.5℃에 도달하면 식각 공정을 수행하였다.  O/E(Over Etch)를 패드부분의 EPD(End Point Detection)를 기준으로 하여 30%를 주어 실시하였다.  기판을 넣고 분사를 시작하여 식각이 종료되면 꺼내어 탈이온수로 세정한 후, 열풍건조장치를 이용하여 건조하고, 포토 레지스트(PR) 박리기(stripper)를 이용하여 포토 레지스트를 제거하였다.  세정 및 건조 후 주사전자현미경 (SEM ; HITACHI사 제조, 모델명: S-4700)을 이용하여 식각 프로파일을 경사각, 사이드 식각 CD (critical dimension) 손실, 식각 잔류물 등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표1>
실시예 조성(중량%) (질산/KF/물) Mo Mo/Al-Nd 비결정질 ITO
1 5/0.1/94.9
2 5/0.5/94.5
3 5/1/94.0
4 10/0.1/89.9
5 10/0.5/89.5
6 10/1/89.0
7 15/0.1/84.9
8 15/0.5/84.5
9 15/1/84.0
* ◎ : 우수 / ○ : 양호 / △ : 보통 / X: 불량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 내지 실시예9에 따른 금속막 식각용액을 사용하여 식각하면, 양호한 식각특성을 제공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막 식각용액으로 몰리브덴 단일막을 식각한 후 표면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도 2a, 도 2b참조)과,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막 식각용액으로 몰리브덴/알루미늄합금 이중막을 식각한 후 표면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도 3a, 도 3b참조)과,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막 식각용액으로 인듐산화막을 식각한 후 표면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도 4a, 도 4b 참조)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즉, 기판 전체에서 몰리브덴 단일막의 중심부와 말단부, 몰리브덴/알루미늄합금 이중막의 중심부와 말단부 및 인듐산화막의 중심부와 말단부를 각각 관찰한 결과 도 2a 내지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식각프로파일이 균일한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인산, 질산, 초산의 화합물로 구성된 종래의 식각액의 경우 인산의 함량이 높아 점도가 크고, 이로 인해 식각액의 유동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기판의 크기가 크면 기판 상부에 식각액이 고르게 퍼지지 못하여 일부분에 모여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막 식각용액은 인산이 포함되지 않고 점도가 낮아 식각용액의 유동성이 좋으며, 이에 따라 기판 전체에 고르게 퍼질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따라서 식각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식각 불균일에 의한 얼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 내지 실시예9와 대비되는 비교예1 내지 비교예 3의 식각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비교예1 내지 비교예3은 실시예1 내지 실시예9과 동일한 방식으로 식각공정을 수행하였다.
<표2>
비교예 조성(중량%) (질산/KF/물) Mo Mo/Al-Nd 비결정질 ITO
1 5/0.05/94.95 식각안됨 식각안됨
2 20/0.1/79.9 X X
3 25/0.1/74.9 X X
이와 같이, 표 2를 통해 비교예1 내지 비교예3에 따른 식각용액은 충분히 식각을 수행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비교예2에 따른 식각용액으로 식각을 한 후의 몰리브덴 단일막과, 몰리브덴/알루미늄합금 이중막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도 5 및 도 6참조) 및 비교예3에 따른 식각용액으로 식각을 한 후의 몰리브덴 단일막과, 몰리브덴/알루미늄합금 이중막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도 7 및 도 8 참조)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도 5 및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몰리브덴 단일막은 식각면이 지저분하고 직선을 유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도 6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몰리브덴/알루미늄합금 이중막은 상부 몰리브덴 식각이 과하여 몰리브덴층과 알루미늄합금층의 단차가 심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막 식각용액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제조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막 식각용액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제조방법은 (a)기판 상에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b)금속층을 식각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c)게이트 전극 상에 게이트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d)게이트 절연층 상에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e)반도체층 상에 소스 및 드레인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f) 소스 및 드레인전극 상에 화소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a 내지 도 1f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상에 스퍼터링법으로 금속층(20)을 증착한 후,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막 식각용액으로 식각하여,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전극(20a)을 형성한다. 여기서, 기판상(10)에 증착되는 금속층(20)은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몰리브덴 및 몰리브덴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단일막 또는 다층막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 금속층(20)을 기판(10) 상에 형성하는 방법으로 스퍼터링법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 상에 형성된 게이트전극(20a) 상부에 질화실리콘(SiNX)을 증착하여 게이트 절연층(30)을 형성한다. 여기서, 게이트 절연층(30)을 질화실리콘(SiNx)으로 형성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산화실리콘(SiO2)을 포함하는 각종 무기절연물질중에서 선택된 물질을 사용하여 게이트 절연층(30)을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30) 상에 화학증기증착(CVD)방법을 이용하여 반도체층(40,41)을 형성한다. 즉, 순차적으로 엑티브층 (active layer)(40)과 옴익콘텍층 (ohmic contact layer)(41)을 형성한 후, 건식식각을 통해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을 형성한다.
여기서, 엑티브층(40)은 일반적으로 순수한 비정질 실리콘 (a-Si:H)으로 형성하고, 옴익콘텍층(41)은 불순물이 포함된 비정질 실리콘 (n+a-Si:H)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엑티브층(40)과 옴익콘텍층(41)을 형성할 때 화학증기증착(CVD)방법을 이용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옴익콘텍층(41) 위에 스퍼터링법을 통해 금속층을 증착하고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막 식각용액으로 식각하여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전극(50)과 드레인전극(51)을 형성한다. 여기서, 금속층은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몰리브덴 및 몰리브덴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단일막 또는 다층막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스 전극(50)과 드레인 전극(51)이 형성된 기판(10) 전면에 질화 실리콘(SiNx)과 산화실리콘(SiO2)을 포함하는 무기절연그룹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CB)과 아크릴(acryl)계 수지(resin)를 포함한 유기절연물질 그룹 중 선택하여 단층 또는 이중층으로 절연막(60)을 형성한 후, 절연막(60)이 형성된 기판(10)의 전면에 스퍼터링법을 통해 인듐산화막[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과 같은 투명한 도전물질을 증착하고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막 식각용액으로 식각하여,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전극(7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막 식각용액을 사용하는 경우 기판(10)의 크기가 커도 식각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어, 얼룩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막 식각용액으로, 인듐산화막,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몰리브덴 및 몰리브덴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단일막 또는 다층막을 식각할 경우, 매우 양호한 식각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의 제조 시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막 식각용액을 사용하는 경우 기판의 크기가 커도 식각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고, 얼룩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15중량%의 질산과;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10중량%의 할로겐 계열 첨가제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75 내지 98.9중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막 식각용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겐 계열 첨가제는 HF, (NH4)F, (NH4)HF2, KF, NaF, MgF2, AlF3, HCl, (NH4)Cl, KCl, NaCl, MgCl2, FeCl3, AlCl3, HBr, (NH4)Br, KBr, NaBr, MgBr2, AlBr3, HI, (NH4)I, KI, NaI, MgI2 및 AlI3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막 식각용액.
  3. 제1항에 있어서,
    식각조절제, 계면활성제, 금속 이온 봉쇄제, 부식 방지제 및 pH 조절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막 식각용액.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FT-LCD의 게이트전극, 소스전극, 드레인전극 및 화소전극 형성용 다층 또는 단일 금속막의 식각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막 식각용액.
  5. (a)기판 상에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b)상기 금속층을 식각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c)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게이트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d)상기 게이트 절연층 상에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e)상기 반도체층 상에 소스 및 드레인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f)상기 소스 및 드레인전극 상에 화소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단계, (e)단계 및 (f)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한 단계에서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금속막 식각용액으로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금속층은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몰리브덴 및 몰리브덴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단일막 또는 다층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소스 및 상기 드레인전극은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몰리브덴 및 몰리브덴합금 중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단일막 또는 다층막 을 상기 금속막 식각용액으로 식각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에서 상기 화소전극은 인듐산화막을 상기 금속막 식각용액으로 식각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의 제조방법.
KR1020050120988A 2005-12-09 2005-12-09 금속막 식각용액 KR101264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988A KR101264421B1 (ko) 2005-12-09 2005-12-09 금속막 식각용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988A KR101264421B1 (ko) 2005-12-09 2005-12-09 금속막 식각용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864A true KR20070060864A (ko) 2007-06-13
KR101264421B1 KR101264421B1 (ko) 2013-05-14

Family

ID=38356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0988A KR101264421B1 (ko) 2005-12-09 2005-12-09 금속막 식각용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42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5915A2 (ko) * 2009-11-03 2011-05-1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식각액 조성물
CN102597163A (zh) * 2009-11-03 2012-07-18 东友Fine-Chem股份有限公司 蚀刻液组成物
KR101403069B1 (ko) * 2007-11-29 2014-06-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CN107227461A (zh) * 2016-03-25 2017-10-03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铟氧化膜及钼膜用蚀刻组合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942B1 (ko) * 2015-01-22 2021-11-0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인듐산화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3772A (ja) 1982-12-27 1984-07-17 Toppan Printing Co Ltd アルミニウム系金属用エツチング液
KR100271769B1 (ko) 1998-06-25 2001-02-01 윤종용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이를 위한 반도체소자 제조용 식각액조성물 및 반도체소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069B1 (ko) * 2007-11-29 2014-06-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WO2011055915A2 (ko) * 2009-11-03 2011-05-1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식각액 조성물
WO2011055915A3 (ko) * 2009-11-03 2011-09-0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식각액 조성물
CN102597163A (zh) * 2009-11-03 2012-07-18 东友Fine-Chem股份有限公司 蚀刻液组成物
CN107227461A (zh) * 2016-03-25 2017-10-03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铟氧化膜及钼膜用蚀刻组合物
CN107227461B (zh) * 2016-03-25 2019-10-29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铟氧化膜及钼膜用蚀刻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4421B1 (ko) 201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195B1 (ko) 은 박막의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 패턴의 형성방법
KR101348474B1 (ko) 은 박막의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 패턴형성방법
KR101391074B1 (ko)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KR20120081764A (ko)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KR101406362B1 (ko) 은 박막의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 패턴형성방법
KR101926199B1 (ko) 은 박막의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 패턴의 형성방법
KR101293387B1 (ko) 금속배선 형성을 위한 저점도 식각용액
KR20140063283A (ko) 은 박막의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 패턴의 형성방법
KR101264421B1 (ko) 금속막 식각용액
KR20090081566A (ko) 은 박막의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 패턴형성방법
KR101391023B1 (ko)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KR101294968B1 (ko)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각방법
KR101302827B1 (ko) 은 또는 은합금의 배선 및 반사막 형성을 위한 식각용액
KR20140082186A (ko) 은 박막의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 패턴의 형성방법
KR101348515B1 (ko) 금속배선 형성을 위한 저점도 식각용액
KR101342051B1 (ko) 금속배선 형성을 위한 저점도 식각용액
KR20080045854A (ko) 액정표시장치용 tft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KR101353123B1 (ko) 금속막 식각용액
KR101347446B1 (ko) 금속배선 형성을 위한 저점도 식각용액
KR20090112112A (ko)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KR101284390B1 (ko)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KR20080009865A (ko) 고 식각속도 인듐산화막 식각용액
KR20080107502A (ko) 몰리브덴늄-티타늄 합금막 및 인듐 산화막 식각액 조성물,이를 이용한 식각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의제조방법
KR101151952B1 (ko) 인듐산화막의 식각용액 및 그 식각방법
KR20190002381A (ko) 은 박막의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 패턴의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