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0657A -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와 이를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와 이를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0657A
KR20070060657A KR1020050120539A KR20050120539A KR20070060657A KR 20070060657 A KR20070060657 A KR 20070060657A KR 1020050120539 A KR1020050120539 A KR 1020050120539A KR 20050120539 A KR20050120539 A KR 20050120539A KR 20070060657 A KR20070060657 A KR 20070060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mman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0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7803B1 (ko
Inventor
심창식
조재환
윤영철
Original Assignee
(주)팜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팜미디어 filed Critical (주)팜미디어
Priority to KR1020050120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803B1/ko
Publication of KR20070060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0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30Network data restoration; Network data reliability; Network data fault tole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으로서, 정보 삭제 명령을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 삭제 명령에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삭제 대상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시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주요 정보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해서 삭제하여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정보 보호, 삭제, SMS, 세션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와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METHOD FOR PROTECTING USER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EVICE US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THEREON A PROGRAM PERFORMING FUNCTION EMBODY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시 사용자의 대처 방안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장치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사용자 정보 보호 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명령 해석부 130: 정보 관리부
140: 정보 저장부 1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00: 사용자 정보 보호 장치 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20: 정보 삭제 명령 생성부 230: 통신 인터페이스부
240: 정보 저장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와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시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주요 정보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해서 삭제하여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와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종래의 음성 통화 위주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양한 기능이 복합적으로 구현된 제품이 출시되어 보편화하고 있다. 예컨대 이동 개인 일정 관리, 연락처 관리,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송수신,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송수신, 내장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 촬영, 음악 다운로드, 신용카드 또는 은행 이체 등의 금융 처리, 메모리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등의 기능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융합되는 추세이며, 또한 예컨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휴대용 정보처리 단말기 역시 이동통신 기능이 부가되어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명세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이외에 PDA 또는 PMP(portable media player) 등의 휴대용 단말기에 이동통신 기능이 부가된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용어이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는 정보의 예는 예컨대 지인들의 연락처, 개인 일정, 촬영한 사진, 금융 결제에 사용되는 은행 계좌 번호 또는 카드 번호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분실하는 경우 사용자는 개인 정보를 잃어버리게 되며 또한 다른 사람들이 습득하는 경우 중요한 개인 정보의 누출 가능성이 존재한다. 매일경제신문 2005년 9월 5일자 기사에 따르면, 2004년 한해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 건수는 대략 458만건으로써, 1999년의 150만건, 2003년의 350만건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실로 인한 피해는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가 금융 결제 수단 등의 부가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예측하지 못한 피해를 줄 가능성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시 사용자의 대처 방안의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분실한 경우(S110),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를 하게 된다(S120). 이 경우, 다행이 습득한 사람과의 전화 통화 등을 통하여 연락이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회수할 수 있게 된다(S130). 그러나 전화 통화 등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용자는 이동통신 회사에 분실 신고 및 위치 추적 서비스를 신청하게 된다(S140). 이 경우 발신 정지 등의 부가 서비스를 신청할 수도 있다.
이동통신 회사는 친구 찾기 서비스 등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추적을 수행한다. 이 때 전원이 켜져 있는지를 확인한 후(S150), 전원이 오프(off)이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찾지 못하며(S160), 전원이 온(on)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전화 통화 또는 메시지 전송을 시도한다(S170). 이 때 통화 또는 메시지 전송을 통하여 단말기를 습득한 사람과 연락이 되면 휴대폰을 찾게 되며(S180), 연락이 되지 않는 경우 다시 전원을 확인한 후(S150), 연락을 시도한다(S170).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시 대처방안은 주로 단말기를 회수하기 위한 차원에서 접근이 이루어졌을 뿐이며,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저장된 정보의 보호 차원에서는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저장된 정보의 관리 역시 주로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 또는 새로운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새로 개인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이기 위한 측면에서 접근되어 왔다.
예컨대 주식회사 컴슨에 의해서 2000년 5월 12일자로 출원되고 2001년 11월 24일자로 공개된 "무선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를 백업 서비스하는 방법"이라는 명칭의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01-0101401호 또는 다인마트닷컴 주식회사에 의해서 2000년 9월 20일자로 출원되고 2002년 3월 27일자로 공개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정보 관리시스템"은 이러한 종래의 개인 정보 관리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개인 정보 관리 기술들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는 연락처 등의 정보를 미리 별도의 서버 등에 저장하여 놓고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분실하는 경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교체하는 경우 별도의 서버에서 미리 저장되어 있던 정보를 새로운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을 뿐이며,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를 보호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실시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 특히 개인 정보를 보호하여 사생활 침해를 줄이고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금융 정보를 이용한 타인의 금융 거래 등의 예상치 못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시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주요 정보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해서 삭제하여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시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주요 정보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해서 삭제하여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시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주요 정보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해서 삭제하여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으로서, 정보 삭제 명령을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 삭제 명령에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삭제 대상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 신고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내의 정보를 삭제하라는 정보 삭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 삭제 명령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 삭제 명령에 대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장치로서, 이동통신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한 정보 삭제 명령을 해석하는 명령 해석부와, 삭제 대상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와, 상기 정보 삭제 명령에 따라서 상기 삭제 대상 정보를 삭제하는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장치로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 신고를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수신된 분실 신고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내의 정보를 삭제하라는 정보 삭제 명령을 생성하는 정보 삭제 명령 생성부와, 상기 정보 삭제 명령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정보 삭제 명령에 따른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와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의 흐름도이다.
우선 사용자에 의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실 신고가 접수되면 이를 이동통신 회사의 정보 보호 서버 측에서 수신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삭제 대상 정보를 삭제하라는 정보 삭제 명령을 생성한다(S210).
정보 삭제 명령은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저장된 연락처 등의 사용자 정보를 삭제하라는 명령이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분실하는 경우 등에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서 생성된다. 이러한 정보 삭제 요청은 별도의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는 서버, 예컨대 이동통신 가입자 관리 서버 등에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되며, 정보 보호 서버에서는 정보 삭제 명령을 생성하여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된다.
이 경우 삭제 대상 정보를 삭제하기 전에 미리 백업(backup)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삭제 대상 정보를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정보 백업 명령을 추가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하 정보 삭제 명령을 위주로 설명한다. 또한 정보 삭제 명령에 정보 백업 명령을 포함하여 정보 삭제 명령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생성된 정보 삭제 명령은 이후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을 시도한다(S220).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S230)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온(on)인 경우 정보 삭제 명령을 전송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off)인 경우 재전송 규약 등을 통하여 다시 단계(S220)를 통하여 전송을 시도한다.
정보 삭제 명령의 전송 시도는 바람직하게는 SMS 메시지를 통하여 전송된다. 이러한 SMS 메시지를 이용하여 정보 삭제 명령의 전송을 시도하는 것은 SMS 메시지의 속성에서 유효 날짜, 재전송 규칙 등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SMS를 전송할 시점에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off)인 경우에도 이후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전원이 온(on)으로 되는 경우 재전송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동통신 회사의 정보 보호 서버 측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통신이 연결되면, 이동통신 회사의 정보 보호 서버 측에서 생성된 정보 삭제 명령을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서 수신한다(S240).
정보 삭제 명령은 여러 가지 형태로 이동통신 회사의 정보 보호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SMS 메시지를 통하여 전송된다. 즉 SMS 메시지의 헤더 부분이나 메시지 내용에 미리 지정된 명령 코드를 삽입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SMS 메시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수신된 SMS 메시지가 일반적인 SMS가 아니라 정보 삭제 명령을 포함하는 경우 이를 추출한다.
또는 정보 삭제 명령을 세션 연결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SMS 메시지에는 단순히 세션 연결을 위한 정보, 예컨대 서버의 URL 등의 정보만을 포함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제 정보 삭제 명령의 수신은 정보 삭제 명령을 전송할 정보 보호 서버와의 세션 연결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정보 삭제 명령에 따라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삭제 대상 정보를 삭제한다(S250).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휘발성 메모리 등에 저장된 연락처, 금융 정보, 사진 등의 정보를 삭제하는 것이다. 이러한 삭제 대상 정보는 사전에 사용자에 의해서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서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삭제 대상 정보를 삭제하기 이전에 이를 외부로 저장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260). 즉 이후에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새로 구입하거나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찾는 경우 삭제된 정보를 복원하기 위함이다. 즉 연락처 등의 정보를 재입력하는 것은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상당히 번거로운 일이며, 또한 사진 이미지 등의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서 삭제되면 복 원할 방법이 없으므로 이러한 삭제 대상 정보를 미리 백업하는 것이다. 외부의 저장장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서버 형태로 구현된다. 이 경우에도 삭제 대상 정보의 전송은 외부의 저장 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세션 연결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외부의 보호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정보 보호 서버와 동일하지만, 별도의 서버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후 추가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정보 보호 서버로 정보 삭제 명령에 대한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S270).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의 연락처 등을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하여 습득자가 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연락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시되듯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장치는, 크게 이동통신 서비스 회사 쪽에 배치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보호 장치(200)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배치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보호장치(100)로 구성된다. 이하 본원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서비스 회사 쪽에 배치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보호 장치(200)는 정보 보호 서버(200)로 지칭된다.
도 3을 참조로 우선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보호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되듯이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보호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110)와, 명령 해석부(120)와, 정보 관리부(130)와, 정보 저장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즉 정보 보호 서버(200) 또는 이동통신 망에 연결된 다른 장치들과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한다.
명령 해석부(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수신한 정보 삭제 명령을 해석한다. 정보 삭제 명령은 바람직하게는 SMS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명령 해석부(120)는 따라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우선 정보 보호 서버(200)로부터 SMS 메시지를 통하여 정보 삭제 명령이 직접 전송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명령 해석부(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정보 삭제 명령을 포함하는 SMS 메시지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SMS 분석부(도시되지 않음)와, SMS 메시지로부터 정보 삭제 명령을 추출하는 명령 추출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SMS 메시지는 단순히 정보 삭제 명령을 포함하는 정보 보호 서버(200)의 위치가 기록된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명령 해석부(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정보 삭제 명령을 포함하는 서버(200)의 위치가 기록된 SMS 메시지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SMS 분석부(도시되지 않음)와, SMS 메시지의 상기 위치에 대응되는 서버(200)와 세션 연결을 설정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정보 삭제 명령을 수신하는 세션 연결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저장부(140)는 삭제 대상 정보를 저장한다. 정보 저장부(140)는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정보 관리부(130)는 정보 삭제 명령에 따라서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된 삭제 대상 정보를 삭제한다. 또한 정보 관리부(130)는 삭제 대상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외부의 저장 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전송하는 정보 백업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를 일단 삭제하면 이를 복원하기가 어려우므로 미리 외부의 저장 장치로 전송하여 저장한 후,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찾거나 새로 마련하는 경우 해당 단말기에 복원하기 위해서 외부의 저장 장치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를 위하여 또는 독립적으로 정보 삭제 명령은 이동통신 단말기 내의 정보를 백업하라는 정보 백업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보호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예컨대 사용자가 삭제 대상 정보를 설정하거나 백업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3을 참조로 정보 보호 서버(200)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되듯이 정보 보호 서버(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와, 정보 삭제 명령 생성부(220)와,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를 포함한다. 또한 정보 저장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 신고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즉 사용자는 예컨대 이동통신 회사의 가입자 관리 시스템에 전화를 걸어서 또는 웹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단말기 분실을 신고하게 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는 이러한 사용자의 분실 신고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정보 삭제 명령 생성부(220)는 수신된 분실 신고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 내의 정보를 삭제하라는 정보 삭제 명령을 생성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는 정보 삭제 명령을 사용자의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또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정보 삭제 명령에 따른 처리 결과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정보 삭제 명령의 전송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우선 정보 삭제 명령이 SMS 형태로 생성되는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SMS 서비스를 담당하는 서버를 통하여 정보 삭제 명령을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한다.
또는 정보 삭제 명령은 세션 연결을 통하여 전송되고 다만 정보 보호 서버(200)의 위치, 예컨대 URL 형태의 위치 정보만이 SMS 메시지를 통하여 전송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는 정보 삭제 명령을 포함하는 서버(200)의 위치가 기록된 SMS 메시지를 사용자의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세션 연결을 수행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정보 삭제 명령을 전송한다.
또한 정보 삭제 명령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 내의 정보를 백업하라는 정보 백업 명령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찾는 경우 또는 새로운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경우 삭제된 정보를 복원할 수 있도록 구 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위해서, 정보 보호 서버(200)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저장부(240)에 저장되는 정보는 정보 삭제 명령에 의해서 삭제되는 정보들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대한 설명은 도 2 또는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장치와 중복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비록 본 발명이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를 통하여 정하여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시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주요 정보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해서 삭제하여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2)

  1.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으로서,
    정보 삭제 명령을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 삭제 명령에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삭제 대상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삭제 명령을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삭제 명령을 포함하는 SMS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SMS 메시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상기 정보 삭제 명령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삭제 명령을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삭제 명령을 포함하는 서버의 위치가 기록된 SMS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SMS 메시지의 상기 위치에 대응되는 서버와 세션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세션을 통하여 상기 정보 삭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삭제 명령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내의 정보를 백업하라는 백업 명령을 포함하는 것인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 대상 정보를 외부의 저장 장치로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6.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 신고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내의 정보를 삭제하라는 정보 삭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 삭제 명령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 삭제 명령에 대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삭제 명령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온(on)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온(on)이면 상기 정보 삭제 명령을 전송하고, 오프(off)이면 재전송 규격에 따라서 상기 정보 삭제 명령을 재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삭제 명령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삭제 명령을 SMS 메시지 형태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삭제 명령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삭제 명령을 포함하는 서버의 위치가 기록된 SMS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정보 삭제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삭제 명령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내의 정보를 백업하라는 정보 백업 명령을 포함하는 것인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내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12.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장치로서,
    이동통신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한 정보 삭제 명령을 해석하는 명령 해석부와,
    삭제 대상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와,
    상기 정보 삭제 명령에 따라서 상기 삭제 대상 정보를 삭제하는 정보 관리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부는,
    상기 삭제 대상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의 저장 장치로 전송하는 정보 백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해석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정보 삭제 명령을 포함하는 SMS 메시지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SMS 분석부와,
    상기 SMS 메시지로부터 상기 정보 삭제 명령을 추출하는 명령 추출부
    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해석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정보 삭제 명령을 포함하는 서버의 위치가 기록된 SMS 메시지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SMS 분석부와,
    상기 SMS 메시지의 상기 위치에 대응되는 서버와 세션 연결을 설정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정보 삭제 명령을 수신하는 세션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장치.
  17.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장치로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 신고를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수신된 분실 신고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내의 정보를 삭제하라는 정보 삭제 명령을 생성하는 정보 삭제 명령 생성부와,
    상기 정보 삭제 명령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정보 삭제 명령에 따른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SMS 메시지 형태로 상기 정보 삭제 명령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인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정보 삭제 명령을 포함하는 서버의 위치가 기록된 SMS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세션 연결을 수행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정보 삭제 명령을 전송하는 것인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삭제 명령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내의 정보를 백업하라는 정보 백업 명령을 포함하는 것인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내의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장치.
  2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50120539A 2005-12-09 2005-12-09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와 이를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기록매체 KR100737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539A KR100737803B1 (ko) 2005-12-09 2005-12-09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와 이를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539A KR100737803B1 (ko) 2005-12-09 2005-12-09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와 이를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657A true KR20070060657A (ko) 2007-06-13
KR100737803B1 KR100737803B1 (ko) 2007-07-10

Family

ID=38356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0539A KR100737803B1 (ko) 2005-12-09 2005-12-09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와 이를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780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9972A3 (en) * 2007-11-29 200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method for destructive readout of data in case of mobile theft
KR20120004679A (ko) * 2010-07-07 2012-01-13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분실 단말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24585B1 (ko) * 2009-08-07 2012-03-15 (주)나르샤소프트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4107037A1 (ko) * 2013-01-03 2014-07-10 주식회사 안랩 모바일 기기의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US9351163B2 (en) 2012-12-26 2016-05-24 Mcafee, Inc. Automatic sanitization of data on a mobile device in a network environment
KR20180071073A (ko) * 2016-12-19 2018-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신체 정보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311A (ko) * 2003-11-17 2005-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를 통한 사용자 정보관리 방법
JP2005191936A (ja) 2003-12-25 2005-07-14 Seishin Kk 携帯型通信器の機能停止装置
JP2005202644A (ja) 2004-01-15 2005-07-28 Nec Corp 携帯情報端末
KR100600960B1 (ko) * 2004-04-06 2006-07-1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보호 방법
KR100620734B1 (ko) 2005-07-18 2006-09-0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분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정보 보호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9972A3 (en) * 2007-11-29 200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method for destructive readout of data in case of mobile theft
US8244210B2 (en) 2007-11-29 2012-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estructive readout of data in case of mobile theft
KR101124585B1 (ko) * 2009-08-07 2012-03-15 (주)나르샤소프트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04679A (ko) * 2010-07-07 2012-01-13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분실 단말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US9351163B2 (en) 2012-12-26 2016-05-24 Mcafee, Inc. Automatic sanitization of data on a mobile device in a network environment
WO2014107037A1 (ko) * 2013-01-03 2014-07-10 주식회사 안랩 모바일 기기의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80071073A (ko) * 2016-12-19 2018-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신체 정보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7803B1 (ko) 200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0353B2 (en) SIM messaging client
KR100898055B1 (ko) Uicc의 개인 정보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10073780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와 이를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기록매체
JP2015507894A (ja) 携帯電話のための盗難防止保護方法およびデバイス
JP6126751B2 (ja) 電話発信識別方法、電話発信識別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2447772A (zh) 移动设备通信中的保密
CN102955904A (zh) 防止移动通讯设备泄密的方法和系统
CN105393523B (zh) 隐私保护的方法、装置和用户终端
CN105979062A (zh) 通讯事件处理方法及装置
JP4750180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機器
US20120108217A1 (en) Communication terminal, telephone directory resistering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handling method
WO2016095646A1 (zh) 一种无痕通讯的方法、装置和存储介质
JP2009211236A (ja) データ管理方法及び装置
KR101162974B1 (ko)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 및 시스템
WO2016112569A1 (zh) 用于终端的联系人管理方法及管理装置和终端
CN106033517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0610352B1 (ko) 분실된 휴대전화기에 저장된 개인정보 보호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CN110324794A (zh) 失物招领的方法、装置、服务器及可读存储介质
CN109040480A (zh) 一种防诈骗查询实名登记信息的方法、装置
KR101124585B1 (ko)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032364B1 (k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개인 정보 삭제 장치 및 방법
KR102156905B1 (ko) 메신저 피싱 예방을 위한 사용자 확인 방법
CN107977558A (zh) 一种用于功能终端的应用程序加密方法及加密系统
KR20110015191A (ko)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016648B1 (ko) 통신 단말에서의 통신 목록 자동 백업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