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5191A -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5191A
KR20110015191A KR1020090072782A KR20090072782A KR20110015191A KR 20110015191 A KR20110015191 A KR 20110015191A KR 1020090072782 A KR1020090072782 A KR 1020090072782A KR 20090072782 A KR20090072782 A KR 20090072782A KR 20110015191 A KR20110015191 A KR 20110015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l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섭
Original Assignee
(주)나르샤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르샤소프트 filed Critical (주)나르샤소프트
Priority to KR1020090072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5191A/ko
Priority to PCT/KR2010/005183 priority patent/WO2011016700A2/ko
Publication of KR20110015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1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환경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도난 및 분실시에 단말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보호하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의 도난 또는 분실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말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보안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이동통신 단말의 도난 또는 분실 신고 접수 단계; (b) 상기 분실 신고된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한 지역에 방송 채널을 통해 단말 분실 신호를 방송하는 단계; (c) 상기 단말 분실 신호를 포함한 방송을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은 이동통신 단말의 분실 여부 상태 정보가 등록된 정보보호 운영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 및 (d) 상기 정보보호 운영 서버에서 단말의 분실 여부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단말이 분실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 단말에 구비된 정보보호 수단에 미리 설정된 개인정보 보안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이동통신 단말, 개인정보, 보안처리, 방송채널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ivate information protecting service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환경에서 개인 휴대 통신 단말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보안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의 도난 및 분실시에 단말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보호하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 공학 및 통신 공학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도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즉, 무선 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화상 통신 및 동영상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급격한 보급으로 인해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상당한 양의 통신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등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대 생활에서 필수적인 통신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과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있어 단순한 통신 단말 장치가 아닌 개인용 네트워크 컴퓨터와 같은 중요한 정보 기기로 인식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사진이나 음성, 영상 등을 촬영하여 저장하며, 이동 중에도 영화나 방송을 시청하거나 게임을 즐길 수 있고, 자신의 일정을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원격지의 상대방과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차량 내에서는 네비게이션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일상생활에서의 많은 부분을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서 해결하고 있으며, 상당수의 개인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만약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난당하거나 분실하였을 경우, 경제적 손실과 더불어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도용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폰을 이용한 결재나 인터넷 뱅킹 등이 보편화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실은 심각한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종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실 시에 사용자가 해당 통신사에 연락하여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기능을 제한하도록 하는 기초적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비밀번호를 적용하여 분실된 단말기를 취득한 자가 불법적인 단말기 조작을 할 수 없도록 하는 방안도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비밀번호의 보안성이 다소 부족하여 악의적인 공격에 취약한 문제가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때마다 비밀번호를 일일이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해당 기능을 이용하지 않는 실정이다.
아울러, 위 방안들은 단말의 기능을 제한하거나 발신을 제한하기는 하지만 단말 내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는 보호할 수 없으며, 유출 및 도용 가능성의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실 또는 도난 시에도 단말기에 저장중인 개인정보의 보호 및 보안을 보장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아울러, 국내에도 USIM 등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호환이 가능해지고 있는 추세이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실 및 도난에 따른 악의적인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대폭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어, 이런 문제에 대비한 대책이 시급하게 필요한 상태이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도난이나 분실에 따른 악의적인 사고가 발생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 메모, 사진, 공인 인증서 등과 같은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이 도난 또는 분실된 지역에 단말 분실 신호를 포함한 방송 정보를 방송하여, 이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이 정보보호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단말 분실 상태 여부를 확인하고, 정보보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의 도난 또는 분실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말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보안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이동통신 단말의 도난 또는 분실 신고 접수 단계; (b) 상기 분실 신고된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한 지역에 방송 채널을 통해 단말 분실 신호를 방송하는 단계; (c) 상기 단말 분실 신호를 포함한 방송을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은 이동통신 단말의 분실 여부 상태 정보가 등록된 정보보호 운영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 및 (d) 상기 정보보호 운영 서버에서 단말의 분실 여부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단말이 분실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 단말에 구비된 정보보호 수단에 미리 설정된 개인정보 보안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의 도난 또는 분실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말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보안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이동통신 단말의 도난 또는 분실 신고를 접수하며, 이동통신 단말의 분실 여부 상태 정보를 등록 관리하고, 상기 분실 신고된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한 지역에 방송 채널을 통해 단말 분실 신호를 방송하도록 제어하는 정보보호 운영 서버; 및 방송 채널을 통해 단말 분실 신호를 포함한 방송을 수신하면 상기 정보보호 운영 서버에 접속하여 단말의 분실 여부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단말이 분실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 미리 설정된 개인정보 보안 처리를 수행 하는 정보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 분실 신고시 분실 지역으로 단말 분실 신호를 방송하여, 방송을 수신하고 분실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든 단말들에게 서버에 접속하여 분실 상태 여부를 체크하도록 하며, 분실 상태를 확인한 단말은 정보보호 시나리오에 따라 보안처리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SMS나 통화호 및 데이터호 연결이 거부되는 상태일 경우에도 해당 단말에 정보보호 처리를 제어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고 강력한 개인정보 보안 및 보호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SMS호나 통화호 등의 트래픽 채널을 이용하지 않고 방송채널을 통해 항시 방송되는 방송 정보 메시지의 특정 필드에 분실 신호를 포함하여 방송하는 것으로 단말에 분실 상태 체크를 제어하도록 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의 의존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되는 시스템은, 이동통신 네트워크(500)와 이 이동통신 네트워크(500)에 구비된 기지국(501)과 무선 접속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정보보호 수단이 구비된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들(101,102,103)과 데이터베이스(250)를 구비한 정보보호 운영서버(200)가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여기에, 고객센터(310)가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에 연결되며, 고객(400)은 상기 고객센터(310) 또는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로 도난 또는 분실 접수를 의뢰한다.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는 이동통신 단말의 분실 또는 도난 접수에 따라 해당 단말의 분실 여부 상태 정보를 분실상태 정보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하고, 단말의 분실 지역에 기지국을 통해 분실 신호 정보를 방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100)이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매개로 접속할 수 있는 서버 장치이다.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는 고객센터(310)를 통해 도난 또는 분실 사고가 접수된 후, 접수 사실을 제공받아 해당 단말의 분실 상태를 데이터베이스(250) 에 등록하고 분실 정보를 방송하게 된다. 또는 고객(400)으로부터 직접 유/무선 통신수단 및 오프라인을 통해 단말 분실 및 도난 접수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접수와 함께 해당 단말의 분실 상태 등록 및 방송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고객센터(310)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운영하는 이동통신 가입 고객에 대한 온/오프라인 서비스 센터로, 고객 서비스를 수행하며 단말 분실 및 도난 신고 접수 처리 업무도 이 서비스 중 하나에 포함된다. 상기 고객센터(310)는 분실 신고 접수 후 상기 정보보호 운영 서버(200)로 분실 사고 접수 사실을 제공하여 정보보호 운영서버(200)에서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객(400)은 본인 소유의 이동통신 단말의 분실 및 도난시에 상기 고객센터(310) 또는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로 분실 신고를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객센터(310) 또는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에서는 본인확인 및 본인 단말 여부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한 후, 분실 접수 절차를 진행한다.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의 구성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추가 도면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휴대형 통신 단말 기기이며, 정보보호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와 연동되어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치이다.
특히,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은 정보보호 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501)을 통해 방송하는 분실 신호가 포함된 방송 정보를 수신하고, 분실 신호를 인지하여 상기 운영서버(200)에 분실 상태를 조회한 후, 분실 여부에 따라 정보보안 처리를 진행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의 구성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 역시 추가 도면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정보보호 운영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보보호 운영서버(200)는, 분실등록 처리모듈(210), 위치정보 추출모듈(220), 분실신호 방송처리 모듈(230), 분실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25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분실등록 처리모듈(210)은 이동통신 단말의 분실 및 도난 신고를 접수하고, DB에 등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분실등록 처리모듈(210)은 신고 접수부(212), DB 등록부(21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신고 접수부(212)는 상기 고객센터(310)로부터 단말 도난 및 분실 신고가 접수된 정보를 제공받아 분실 신고로 접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단말 분실 신고에는 고객으로부터 직접 입력받은 단말 분실 지역의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고 접수부(212)는 고객(400)으로부터 직접 분실 및 도난 신고를 접수 처리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상기 DB 등록부(214)는 상기 신고 접수부(212)에서 접수된 단말 분실 정보를 분실상태 정보 DB(250)에 저장하여 등록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역시 고객으로부터 직접 입력된 분실 지역 정보 또는 분실 위치 정보가 포함될 경우, 해당 지역 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분실상태 정보 DB(250)에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추출모듈(220)은 상기 분실등록 처리모듈(210)에서 단말 분실 신고가 접수될 경우 해당 단말의 분실 위치를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위치정보 추출모듈(220)은 LBS 처리부(222)와 입력정보 처리부(22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LBS 처리부(222)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LBS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실된 단말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LBS 시스템은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시스템으로 단말의 위치등록시 기지국 정보 등을 이용해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이다.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224)는 단말 분실 신고 접수시에 직접 입력한 단말 분실 지역 또는 위치 정보를 조회하여 위치정보로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에 조회하는 위치정보는 상기 분실등록 처리모듈(210)에서 분실 신고 접수시에 함께 접수하여 DB에 저장 관리중인 고객이 입력한 분실 위치 및 지역 정보이다.
상기 분실신호 방송처리 모듈(230)은 단말 분실 신고 접수에 따라 해당 단말의 분실 지역으로 분실신호 정보를 포함한 방송정보를 방송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분실신호 방송처리 모듈(230)은 상기 분실등록 처리모듈(210)에서 단말 분실 신고가 접수되면, 상기 위치정보 추출모듈(220)에서 추출된 단말의 분실 지역으로 분실 신호를 방송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분실신호 방송처리 모듈(230)은 기지국 선택부(232)와 방송정보 합성 제어부(23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지국 선택부(232)는 단말이 분실된 지역으로 분실 신호를 방송할 기지국을 선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단말의 분실 위치정보 및 지역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지역을 커버하는 기지국을 선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에는 이동통 신 시스템과 연동 또는 연계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기지국을 선택한다.
상기 방송정보 합성 제어부(234)는 선택된 기지국을 통해 방송 채널로 방송되는 방송 정보 메시지에 분실 신호를 추가하여 포함시키도록 합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방송 정보 메시지에는 다양한 정보가 예약된 필드에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분실 신호는 이 필드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다. 상기 분실 신호는 방송 채널의 방송 정보 메시지 중 예약되지 않은 특정 필드에 기록되도록 합성 처리한다. 또한, 이 특정 필드는 정보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100)과 서로 약속되도록 한다. 즉, 해당 특정 필드에 분실 신호가 기록된다는 정보를 정보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과 약속한다. 아울러, 예약되지 않은 특정 필드에 분실 신호를 기록하는 이유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운용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일반 이동통신 단말 즉, 정보보호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이동통신 단말은 해당 필드를 인식할 수 없고, 해당 필드에 분실 신고가 기록되더라고 아무런 상관을 받지 않도록 한다.
상기 분실상태 정보 DB(250)는, 단말 분실 여부 상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이다. 상기 분실상태 정보 DB(250)에는 단말 식별 정보와 이에 대응하여 분실 여부 상태 정보가 저장되며, 추가로 분실 지역 및 위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분실 상태가 해소되거나 고객으로부터 분실 해제 신청이 접수될 경우에는 역시 상기 분실상태 정보 DB(250)에 해당 단말의 분실 상태 정보를 정상으로 기록하여 저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100)은,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저장된 저장모듈(120)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의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있으며, 여기에 추가로 정보보호 모듈(1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정보보호 모듈(110)은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 분실 신호를 포함한 방송을 수신하고,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보호 운영서버(200)와 연동하여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단이다. 상기 정보보호 모듈(110)은 단말 내에 구비되어 구동되는 클라이언트 또는 에이전트 구조의 수단이다. 아울러, 상기 정보보호 모듈(11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의 구동과 함께 항시 구동되어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정보보호 모듈(110)은 방송 수신부(111), 분실신호 판별부(112), 서버접속 처리부(113), 분실여부 판별부(114), 보안 처리부(115)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송 수신부(111)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을 통해 방송채널로 방송되는 방송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방송 수신부(111)는 주변 지역의 기지국에서 방송되는 정보를 항상 수신하는 일방향 수신 채널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실신호 판별부(112)는 수신한 방송 정보 메시지에서 단말 분실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에는 방송 정보 메시지에서 미리 약속된 특정 필드를 참조하여 해당 필드에 분실 신호가 기록되었는지 여부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특정 필드에 기록되는 분실 신호는 정상 상태와 분실 상태 두 종류를 나타내는 플래그 신호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서버 접속 처리부(113)는 상기 분실신호 판별부(112)에서 분실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에 접속하여 정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접속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서버 접속 처리부(113)는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로의 접속 주소 및 접속 프로토콜 등을 구비하여 접속 처리시 서버로의 원활한 접속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실 여부 판별부(114)는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50)를 조회하여 현재의 단말이 분실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분실여부 판별부(114)는 상기 서버접속 처리부(113)를 통해 접속된 운영서버(200)에서 단말이 분실 상태로 등록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해당 단말이 분실 상태로 등록된 경우에는 이를 후술할 보안 처리부(115)에 알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보안 처리부(115)는 단말이 분실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 단말에 저장된 개인정보에 대한 보안처리를 진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보안 처리부(115)는 상기 분실여부 판별부(114)에서 분실 상태로 확인되면, 미리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개인정보 보안처리를 진행하게 된다.
상기 개인정보 보안처리는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이 보안 처리 시나리오의 예를 들면, 삭제 처리, 백업 처리, 암호화 처리, 분실 위치 전송 처리, 주변 정보 전송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삭제 처리는 단말의 저장 모듈(120)에 저장된 개인정보(121)를 삭제하여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하는 처리이다. 상기 백업 처리는 개인정보를 접속 중인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로 전송 처리한 후, 삭제하는 처리로 정보 백업후 유출을 방지하는 처리이다. 상기 암호화 처리는 접속 중인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로부터 암호키를 전송받아 저장 모듈(120)에 저장 중인 개인정보를 암호화 처리한 후, 재저장 처리하는 처리이다. 여기서, 암호키는 처음부터 단말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분실된 단말을 되찾았을 경우에는 이 암호키에 해당하는 복호화키를 전송받아 개인정보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
그외에 상기 분실 위치 전송 처리는 위 보안 처리 시나리오로 개인정보를 보호한 후,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접속중인 서버로 전송하는 처리이다. 또한, 주변정보 전송 처리는 단말의 카메라를 구동하여 주변 환경의 정보를 촬영하여 접속중인 서버로 전송하는 처리이다. 이러한 처리들은 분실된 단말을 되찾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된다.
상기 저장 모듈(120)은 단말 내부의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기록 수단이다. 상기 저장 모듈(120)에는 개인정보(121)가 저장 관리된다. 단말에 저장되는 상기 개인정보(121)의 예로는 전화번호부, 통화기록, 문자메시지, 일정 정보, 메모, 사진 데이터, 음악 데이터, 기념일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를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먼저, 정보보호 서비스 서버에서 단말을 분실한 고객으로부터 단말의 분실 신고를 접수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이때에는, 정보보호 서비스 서버에서 직접 고객으로부터 분실 신고를 접수할 수도 있고, 이동통신 시스템의 고객센터로부터 분실 신고 접수된 정보를 제공받아 분실 접수를 처리할 수도 있다. 아울러, 분실 신고 접수와 함께 분실된 위치의 정보나 지역의 정보도 함께 접수될 수 있다.(S10)
다음으로, 단말 분실 신고가 접수되면, 단말의 분실 상태를 분실상태 정보 DB에 등록 저장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이때 역시, 분실 지역 정보나 분실 위치정보가 함께 접수될 경우, 해당 DB에 이 위치나 지역 정보도 함께 등록 저장하게 된다.(S20)
이와 같이, 분실 신고 후에는 분실 상태를 등록하고 이와 동시에 분실 단말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이때에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LBS 시스템을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정보를 추출한다. 또는, 분실상태 정보 DB에 분실된 단말의 위치정보나 지역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정보를 추출하여 이용한다.(S30)
이렇게 추출된 지역으로 단말의 분실을 알리는 분실 신호를 방송 채널을 통해 방송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이때에는, 추출된 분실 단말의 지역에 해당하는 기지국으로 방송 정보 메시지 송출시에 메시지의 특정 필드에 약속된 분실 신호를 포함하여 송출하도록 제어한다.(S40)
이와 같이, 단말이 분실된 지역으로 분실 신호가 포함된 방송이 송출되면, 해당 지역에 위치하는 이동통신 단말들은 방송을 수신하게 된다. 이렇게 방송을 수신한 단말들 중 정보보호 수단이 구비된 단말들은 수신한 방송 정보 메시지에서 약속된 특정 필드를 조회하게 되고, 해당 필드에 분실 신호가 기록되었음을 확인하 고, 정보보호 운영서버로 접속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즉, 정보보호 수단이 구비되어 구동중인 단말들만이 방송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분실 신호를 인지할 수 있으며, 이를 인지한 단말은 정보보호 운영 서버로 접속을 하게 된다.(S50)
정보보호 운영서버에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들은 서버에 구비된 분실상태 정보 DB를 조회하여 분실 여부 상태를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즉, 자신의 단말 식별정보를 통해 DB를 조회하여 분실 상태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S60)
분실 여부 확인 결과 자신의 단말은 분실 상태가 아닌 정상 상태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의 일반적인 정상 동작을 유지하도록 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S70,S75)
반면에, 분실 상태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에는 단말에 구비된 정보보호 수단을 통해 개인정보 보안 처리가 활성화되는 절차가 진행된다. 이는, 자신의 단말이 분실된 상태를 인지하여 저장된 개인정보에 대한 보안 처리를 시작하도록 하는 절차이다.(S80)
개인정보 보안 처리가 활성화되면, 정보 보안 처리가 수행되어 개인정보의 삭제, 백업, 암호화 등과 같은 미리 설정된 시나리오대로 저장된 개인정보 데이터의 보안 처리가 수행되는 절차를 진행한다.(S9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라 실제 분실 단말의 정보보호 처리가 이루어지는 절차를 각 노드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실제 분실 단말의 정보보호 처리가 이루어지는 절차를 설 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한 이번 실시예에서는 단말 #003이 정보보호 수단이 구비되고 실제 분실된 상태의 단말인 것으로 가정하고, 단말 #002는 정보보호 수단이 구비된 단말로, 단말 #001은 정보보호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일반 단말인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고객 센터에서 정보보호 운영서버(이하, 서버로 칭함)로 단말의 분실 신고를 접수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이때, 고객으로부터 직접 분실 신고가 서버로 접수될 수도 있다.(1)
서버에서는 분실 신고를 접수하여 분실상태 정보 DB에 해당 단말의 분실상태를 등록하는 절차가 진행된다.(2)
그와 함께, 해당 분실 단말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 이때에는 신고 접수시 고객이 입력한 분실 위치, 지역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고, 이동통신 시스템의 LBS 시스템을 통해서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3)
위치정보가 추출되면, 해당되는 지역을 커버하여 방송을 송출할 수 있는 기지국을 선택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도면의 예시에서는 기지국 A가 선택되었다.(4)
기지국이 선택되면, 해당 기지국 A로 방송되는 방송 정보 메시지에 분실 신호를 실어서 방송을 송출하도록 요청하는 절차가 진행된다.(5)
이렇게 분실 신호를 포함한 방송 요청에 따라 선택된 해당 기지국A에서는 분실 신호가 포함된 방송 정보 메시지를 방송하는 절차가 진행된다.(6)
기지국 A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은 기지국 A 주변에 위치한 단말들(단말#001, 단말#002, 단말#003)에게로 수신된다. 이 중, 정보보호 수단을 구비한 단말인 단말#002와, 단말 #003만이 분실 신호를 판독하고 인지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즉, 정보보호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단말 #001은 방송은 수신하나 방송에 포함된 분실 신호는 인식할 수 없게 된다.(7)
이렇게 분실 신호를 인지한 단말들(단말#002, 단말#003)은 서버로 접속 처리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8)
서버에 접속한 이후에는 분실상태 정보 DB를 조회하여 자신의 단말이 분실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9)
분실 상태 확인 결과 단말 #003이 단말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고, 단말 #003은 분실 상태인 것을 인지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10)
분실 상태를 인지한 단말 #003은 정보보호 수단을 통해 개인정보 보안 처리를 활성화하고, 시나리오대로 보안 처리를 수행하는 절차가 진행된다.(11)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정보보호 운영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를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라 실제 분실 단말의 정보보호 처리가 이루어지는 절차를 각 노드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2,103 : 이동통신 단말 200 : 정보보호 운영서버
310 : 고객센터 500 : 이동통신 네트워크
501 : 기지국

Claims (12)

  1. 이동통신 단말의 도난 또는 분실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말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보안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이동통신 단말의 도난 또는 분실 신고 접수 단계;
    (b) 상기 분실 신고된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한 지역에 방송 채널을 통해 단말 분실 신호를 방송하는 단계;
    (c) 상기 단말 분실 신호를 포함한 방송을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은 이동통신 단말의 분실 여부 상태 정보가 등록된 정보보호 운영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 및
    (d) 상기 정보보호 운영 서버에서 단말의 분실 여부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단말이 분실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 단말에 구비된 정보보호 수단에 미리 설정된 개인정보 보안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1) 상기 분실 신고된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2) 상기 추출된 단말의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에 방송 채널을 통해 단말 분실 신호를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1) 상기 분실 신고시 함께 접수된 단말 분실 지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2) 상기 추출된 분실 지역 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에 방송 채널을 통해 단말 분실 신호를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1) 상기 분실 신고된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한 지역의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 및
    (2) 상기 선택된 기지국에서 방송 채널을 통해 방송하는 정보에 단말 분실 신호를 포함시켜 방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단말 분실 신호는, 방송 채널의 방송 정보 메시지 중 예약되지 않은 특 정 필드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필드는, 정보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과 약속된 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정보보호 수단이 구비되어 구동중인 이동통신 단말에서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2) 상기 수신한 방송 정보 메시지에서 약속된 특정 필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c-3) 확인 결과 단말 분실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의 분실 여부 상태 정보가 등록된 정보보호 운영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도난 또는 분실 신고가 접수되면, 상기 정보보호 운영 서버에 단말 분실 상 태가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개인정보 보안 처리는,
    단말의 저장수단에 저장된 개인정보의 삭제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개인정보 보안 처리는,
    단말의 저장수단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상기 접속된 정보보호 운영 서버로 전송하고 삭제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개인정보 보안 처리는,
    단말의 저장수단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상기 접속된 정보보호 운영 서버에서 제공받은 암호키로 암호화하고 재저장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12. 이동통신 단말의 도난 또는 분실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말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보안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이동통신 단말의 도난 또는 분실 신고를 접수하며, 이동통신 단말의 분실 여부 상태 정보를 등록 관리하고, 상기 분실 신고된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한 지역에 방송 채널을 통해 단말 분실 신호를 방송하도록 제어하는 정보보호 운영 서버; 및
    방송 채널을 통해 단말 분실 신호를 포함한 방송을 수신하면 상기 정보보호 운영 서버에 접속하여 단말의 분실 여부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단말이 분실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 미리 설정된 개인정보 보안 처리를 수행하는 정보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90072782A 2009-08-07 2009-08-07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15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782A KR20110015191A (ko) 2009-08-07 2009-08-07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CT/KR2010/005183 WO2011016700A2 (ko) 2009-08-07 2010-08-06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782A KR20110015191A (ko) 2009-08-07 2009-08-07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191A true KR20110015191A (ko) 2011-02-15

Family

ID=43774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782A KR20110015191A (ko) 2009-08-07 2009-08-07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51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764B1 (ko) * 2012-09-03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중요 정보 원격 삭제 장치 및 방법
WO2024095484A1 (ja) * 2022-11-04 2024-05-10 株式会社Nttドコモ 制御装置、及び通信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764B1 (ko) * 2012-09-03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중요 정보 원격 삭제 장치 및 방법
US9081969B2 (en) 2012-09-03 2015-07-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deleting critical information
WO2024095484A1 (ja) * 2022-11-04 2024-05-10 株式会社Nttドコモ 制御装置、及び通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3901B2 (e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ser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463234B2 (en) Method for providing security services by using mobile terminal password and mobile terminal thereof
KR100898055B1 (ko) Uicc의 개인 정보 보호 시스템 및 방법
US20080090548A1 (en) Method for track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2144381A (zh) 在电话网络中验证语音邮件参与者的真实性
JP2003250183A (ja) Icカード、端末、通信端末、通信局、通信機器及び通信制御方法
JP5658611B2 (ja) 認証サーバ装置、認証方法及び認証プログラム
CN108347730B (zh) 一种无线通信处理方法及装置
US20120144470A1 (en) User authentication method using location information
US20120108217A1 (en) Communication terminal, telephone directory resistering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handling method
CN1980457A (zh) 一种网络侧实现报警的方法
KR20110015191A (ko)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18022A (ko) 임시번호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방법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시스템
JP2006039728A (ja)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KR101124585B1 (ko)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11097B1 (ko) 무선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 장치 및 그 방법과 원격제어를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383050B1 (ko)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발신번호 변경 기기
CN111835692A (zh) 一种信息分发管理系统和方法
CN112637219B (zh) 基于数字化会议的安全管控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18047203A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locking a lost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1592223B1 (ko) 휴대 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정보보안 서버 및 그의 운영방법
KR102543497B1 (ko) 스미싱 전화 번호 자동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168489A (zh) 一种智能电视的数据保护方法、服务器及智能电视
KR100584239B1 (ko) 메시지에 의하여 입출력장치의 작동을 제한 할 수 있는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출력장치작동 제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699575B1 (ko) 이동 화상 전화를 이용한 신원 조회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