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585B1 -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585B1
KR101124585B1 KR1020090072781A KR20090072781A KR101124585B1 KR 101124585 B1 KR101124585 B1 KR 101124585B1 KR 1020090072781 A KR1020090072781 A KR 1020090072781A KR 20090072781 A KR20090072781 A KR 20090072781A KR 101124585 B1 KR101124585 B1 KR 101124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5190A (ko
Inventor
김봉섭
Original Assignee
(주)나르샤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르샤소프트 filed Critical (주)나르샤소프트
Priority to KR1020090072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585B1/ko
Priority to PCT/KR2010/005183 priority patent/WO2011016700A2/ko
Publication of KR20110015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환경에서 개인 휴대 통신 단말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보안 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의 도난 또는 분실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말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보안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이동통신 단말에 구비된 정보보호 수단이 구동되어 이동통신 단말의 분실 여부 상태 정보가 등록된 정보보호 운영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정보보호 운영 서버에서 단말의 분실 여부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단말이 분실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 상기 정보보호 수단에 미리 설정된 개인정보 보안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이동통신 단말, 개인정보, 보안처리, 분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ivate information protecting service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환경에서 개인 휴대 통신 단말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보안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의 도난 및 분실시에 단말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보호하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 공학 및 통신 공학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도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즉, 무선 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화상 통신 및 동영상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급격한 보급으로 인해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상당한 양의 통신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등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대 생활에서 필수적인 통신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과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있어 단순한 통신 단말 장치가 아닌 개인용 네트워크 컴퓨터와 같은 중요한 정보 기기로 인식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사진이나 음성, 영상 등을 촬영하여 저장하며, 이동 중에도 영화나 방송을 시청하거나 게임을 즐길 수 있고, 자신의 일정을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원격지의 상대방과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차량 내에서는 네비게이션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일상생활에서의 많은 부분을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서 해결하고 있으며, 상당수의 개인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만약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난당하거나 분실하였을 경우, 경제적 손실과 더불어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도용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폰을 이용한 결재나 인터넷 뱅킹 등이 보편화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실은 심각한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종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실 시에 사용자가 해당 통신사에 연락하여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기능을 제한하도록 하는 기초적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비밀번호를 적용하여 분실된 단말기를 취득한 자가 불법적인 단말기 조작을 할 수 없도록 하는 방안도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비밀번호의 보안성이 다소 부족하여 악의적인 공격에 취약한 문제가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때마다 비밀번호를 일일이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해당 기능을 이용하지 않는 실정이다.
아울러, 위 방안들은 단말의 기능을 제한하거나 발신을 제한하기는 하지만 단말 내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는 보호할 수 없으며, 유출 및 도용 가능성의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실 또는 도난 시에도 단말기에 저장중인 개인정보의 보호 및 보안을 보장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아울러, 국내에도 USIM 등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호환이 가능해지고 있는 추세이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실 및 도난에 따른 악의적인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대폭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어, 이런 문제에 대비한 대책이 시급하게 필요한 상태이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도난이나 분실에 따른 악의적인 사고가 발생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 메모, 사진, 공인 인증서 등과 같은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에 구비된 정보보호 수단이 구동되어, 단말의 분실 여부 상태를 자동으로 체크하여 단말의 분실 및 도난 시에, 단말에 저장된 개인정보에 대한 보안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의 도난 또는 분실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말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보안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이동통신 단말에 구비된 정보보호 수단이 구동되어 이동통신 단말의 분실 여부 상태 정보가 등록된 정보보호 운영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정보보호 운영 서버에서 단말의 분실 여부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단말이 분실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 상기 정보보호 수단에 미리 설정된 개인정보 보안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의 도난 또는 분실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말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보안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이동통신 단말의 분실 여부 상태 정보가 등록된 정보보호 운영 서버; 및 상기 정보보호 운영 서버에 접속하여 단말의 분실 여부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단말이 분실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 미리 설정된 개인정보 보안 처리를 수행하는 정보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에 단말의 기동과 함께 항시 구동되는 정보보호 수단을 구비하여, 단말 분실 여부 상태 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하는 운영서버에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접속해서 분실 상태 여부를 확인하고, 분실 상태로 확 인될 경우 즉시 단말에 저장된 개인정보에 대한 보안 처리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단말이 분실 상태를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인지와 함께 저장된 개인정보의 보안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개인정보의 보안 및 보호를 보다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단말 분실시에 단말에 별도의 액션을 취하지 않아도, 단말 스스로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분실 여부를 확인한 후, 분실 상태일 경우 정보보안 처리를 진행하게 되어, 단말에 SMS를 전송하거나 통화호 및 데이터호를 연결하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정보보호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되는 시스템은, 정보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100)과, 데이터베이스(210)를 구비한 정보보호 운영서버(200)가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된다. 여기에, 고객센터(310)가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에 연결되며, 고객(400)은 상기 고객센터(310) 또는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로 도난 또는 분실 접수를 의뢰한다.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는 이동통신 단말의 분실 또는 도난 접수에 따라 해당 단말의 분실 여부 상태 정보를 분실상태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100)이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매개로 접속할 수 있는 서버 장치이다.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는 고객센터(310)를 통해 도난 또는 분실 사고가 접수된 후, 접수 사실을 제공받아 해당 단말의 분실 상태를 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하게 된다. 또는 고객(400)으로부터 직접 유/무선 통신수단 및 오프라인을 통해 단말 분실 및 도난 접수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접수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단말의 분실 상태 등록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고객센터(310)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운영하는 이동통신 가입 고객에 대한 온/오프라인 서비스 센터로, 고객 서비스를 수행하며 단말 분실 및 도난 신고 접수 처리 업무도 이 서비스 중 하나에 포함된다. 상기 고객센터(310)는 분실 신고 접수 후 상기 정보보호 운영 서버(200)로 분실 사고 접수 사실을 제공하여 서버에 구비된 분실상태 정보 DB(210)에 해당 단말의 분실 상태를 등록하도록 한다.
상기 고객(400)은 본인 소유의 이동통신 단말의 분실 및 도난시에 상기 고객센터(310) 또는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로 분실 신고를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객센터(310) 또는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에서는 본인확인 및 본인 단말 여부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한 후, 분실 접수 절차를 진행한다.
상기 분실상태 정보 DB(210)에는 이동통신 단말의 분실 여부 상태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 관리된다. 도 3은 분실상태 정보 DB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 단말 분실 상태 정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분실상태 정보 DB(210)에는 단말을 구분할 수 있는 식별정보와 각 단말의 분실 여부 상태 정보가 정상 상태인지 분실 상태인지 기록된다. 도면의 예시에서는 식별정보 #003 단말이 현재 분실 상태인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상기 분실상태 정보 DB(210)는 분실 신고가 접수되면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에 의해 즉시 해당 단말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분실 여부 상태 정보에 분실 상태가 등록되어 저장된다. 또한, 단말의 분실 상태가 해소되거나 고객으로부터 분실 해제 신청이 접수될 경우에는 역시 상기 분실상태 정보 DB(210)에 해당 단말의 분실 상태 정보를 정상으로 기록하여 저장하게 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휴대형 통신 단말 기기이며, 정보보호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와 연동되어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 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100)은,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저장된 저장모듈(120)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의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있으며, 여기에 추가로 정보보호 모듈(1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정보보호 모듈(110)은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와 연결 및 연동되어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단이다. 상기 정보보호 모듈(110)은 단말 내에 구비되어 구동되는 클라이언트 또는 에이전트 구조의 수단이다. 아울러, 상기 정보보호 모듈(11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의 구동과 함께 항시 구동되어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정보보호 모듈(110)은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 상에서 항상 실행되는 대기화면 서비스(또는, 위젯 서비스)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정보보호 모듈(110)은 구동 처리부(111), 서버접속 처리부(112), 분실여부 판별부(113), 보안 처리부(114), 사용제한 처리부(115)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 처리부(111)는 단말의 구동과 함께 정보보호 모듈(110)이 구동되도록 실행 처리를 진행하며, 구동과 함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서버접속 처리부(112)는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에 접속하여 정보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접속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서버접속 처리부(112)는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로의 접속 주소 및 접속 프로토콜 등을 구 비하여 정보보호 모듈(110) 구동시 서버로의 원활한 접속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서버접속 처리부(112)는 항시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에 접속하도록 할 수도 있고, 주기적인 시간 간격으로 접속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항시 접속 처리할 경우에는 단말 및 서버, 통신 네트워크에 부하가 증가하지만 실시간으로 정보보호 운영서버(200)에서의 단말 분실 상태 여부를 체크할 수 있어, 분실 상태 등록시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반면에 주기적으로 접속 처리할 경우에는 단말 및 서버, 통신 네트워크에 부하를 줄일 수 있지만, 실시간 분실 상태 체크 및 대응에 약간의 시간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분실여부 판별부(113)는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10)를 조회하여 현재의 단말이 분실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분실여부 판별부(113)는 상기 서버접속 처리부(112)를 통해 접속된 운영서버(200)에서 단말이 분실 상태로 등록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해당 단말이 분실 상태로 등록된 경우에는 이를 후술할 보안 처리부(114)에 알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보안 처리부(114)는 단말이 분실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 단말에 저장된 개인정보에 대한 보안처리를 진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보안 처리부(114)는 상기 분실여부 판별부(113)에서 분실 상태가 확인되는 순간 미리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개인정보 보안처리를 진행하게 된다.
상기 개인정보 보안처리는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이 보안 처리 시나리오의 예를 들면, 삭제 처리, 백업 처리, 암호화 처리, 분실 위치 전송 처리, 주변 정보 전송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삭제 처리는 단말의 저장 모듈(120)에 저장된 개인정보(121)를 삭제하여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하는 처리이다. 상기 백업 처리는 개인정보를 접속 중인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로 전송 처리한 후, 삭제하는 처리로 정보 백업후 유출을 방지하는 처리이다. 상기 암호화 처리는 접속 중인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로부터 암호키를 전송받아 저장 모듈(120)에 저장 중인 개인정보를 암호화 처리한 후, 재저장 처리하는 처리이다. 여기서, 암호키는 처음부터 단말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분실된 단말을 되찾았을 경우에는 이 암호키에 해당하는 복호화키를 전송받아 개인정보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
그외에 상기 분실 위치 전송 처리는 위 보안 처리 시나리오로 개인정보를 보호한 후,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접속중인 서버로 전송하는 처리이다. 또한, 주변정보 전송 처리는 단말의 카메라를 구동하여 주변 환경의 정보를 촬영하여 접속중인 서버로 전송하는 처리이다. 이러한 처리들은 분실된 단말을 되찾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된다.
상기 사용제한 처리부(115)는 상기 서버접속 처리부(112)에서 상기 정보보호 운영서버(200)로의 접속 처리가 실패하거나, 접속이 불가능할 경우에 단말의 사용을 제한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악의적으로 통신기능을 마비시키는 경우에 단말의 사용 자체를 제한하여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저장 모듈(120)은 단말 내부의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기록 수단이다. 상기 저장 모듈(120)에는 개인정보(121)가 저장 관리된다. 단말에 저장되는 상기 개인정보(121)의 예로는 전화번호부, 통화기록, 문자메시지, 일정 정보, 메모, 사진 데이터, 음악 데이터, 기념일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를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먼저, 단말에 전원이 인가되거나 단말 사용을 시작하게 되면, 단말이 구동되어 동작이 시작되는 절차가 진행된다.(S10)
단말의 구동과 함께 단말에 구비된 정보보호 수단이 실행되어 기능이 구동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 상기 정보보호 수단은 단말의 구동과 함께 구동되며 단말 이용시 항시 구동되게 된다.(S20)
정보보호 수단이 구동되면,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정보보호 운영 서버에 접속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이때에는 정보보호 운영 서버의 주소 및 접속 프로토콜 등을 통해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S30)
정보보호 운영서버로의 접속을 시도한 결과 접속이 성공하였는지 실패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이때, 접속이 실패한 것으로 확인될 경우에는 단말 사용 제한 처리를 수행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S40,45)
반면에 접속이 성공할 경우에는 접속한 정보보호 운영서버와 정보 통신을 수행하여 서버 내의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고 단말의 분실 상태 여부를 확인하는 절 차를 진행한다.(S50)
분실 상태를 확인한 결과 정상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일반적인 정상 단말 상태를 유지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와 함께 상기 단계 S30부터의 절차를 계속해서 진행하여 단말이 분실 상태인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때, 항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도 있고 일정 시간을 주기로 상기 단계 S30부터의 절차를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단말, 서버 및 통신망의 부하를 고려하여 이루어지게 된다.(S60,65)
다음, 상기 단계 S60에서 분실 상태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에는 정보보호 수단의 보안 처리를 활성화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이렇게 정보보호 수단의 보안 처리가 활성화되면, 단말이 분실 상태인 것으로 단말은 정보보안 모드로 돌입하여 미리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정보보안 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S70)
정보 보안 처리가 수행되면 개인정보의 삭제, 백업, 암호화 등과 같은 미리 설정된 시나리오대로 저장된 개인정보 데이터의 보안 처리가 수행되는 절차를 진행한다.(S8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각 노드 간에 이루어지는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이동통신 단말의 정보보호 수단에서 주기적으로 정보보호 운영서버에 접속하는 실시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고객센터를 통해 분실 또는 도난 신고가 접수되고 이를 정보보호 운영서버로 제공하는 경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와 같이, 먼저 이동통신 단말(이하, 단말로 칭함)은 자체 구비된 정 보보호 수단의 구동에 따라 정보보호 운영서버(이하, 서버로 칭함)로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접속 처리를 진행한 후 접속하게 된다.(1)
접속과 함께 단말은 분실 여부 상태 확인 요청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의 DB를 조회하여 분실 여부 상태 확인하게 된다.(2)
서버에서 분실 상태 여부의 확인 결과 아직 분실 신고가 접수된 적이 없었으므로 정상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고, 정상 상태 확인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게 된다.(3)
이때에, 단말 소유자가 단말을 분실하여 고객센터를 통해 단말 분실 신고를 하게되고, 고객센터는 서버로 분실 신고를 접수 요청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4)
서버는 분실 신고 접수 요청에 따라 DB에 해당 단말의 분실 상태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5)
단말은 일정 주기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시 서버로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접속 처리를 진행한다.(6)
단말은 서버에 접속후 단말의 분실 여부 상태 확인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서버는 DB를 조회하여 해당 단말의 분실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7)
여기서, DB에는 분실 신고 접수로 인해 해당 단말의 상태가 분실 상태인 것으로 등록되었으므로, 해당 단말은 분실 상태인 것을 확인하게 되고, 분실 상태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8)
단말에서는 분실 상태가 확인됨에 따라 구동중인 정보보호 수단에서의 보안처리 프로세스가 활성화되고, 이 보안 처리 프로세스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나리오 에 의한 정보보안 처리가 진행된다.(9)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분실상태 정보 DB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 단말 분실 상태 정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를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각 노드 간에 이루어지는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
200 : 정보보호 운영서버
210 : 데이터베이스
310 : 고객센터

Claims (11)

  1. 이동통신 단말의 도난 또는 분실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말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보안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이동통신 단말에 구비된 정보보호 수단이 항시 구동되어 이동통신 단말의 분실 여부 상태 정보가 등록된 정보보호 운영 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며, 접속이 실패하거나 또는 접속이 불가능할 경우에 단말의 사용을 제한하는 단계;
    (b) 상기 정보보호 운영 서버에서 단말의 분실 여부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단말이 분실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 상기 정보보호 수단에 미리 설정된 개인정보 보안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이전에,
    이동통신 단말 사용 고객의 단말 도난 또는 분실 신고를 접수하여 정보보호 운영 서버에 분실 상태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구비된 정보보호 수단은 이동통신 단말의 구동과 함께 항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보호 수단은 이동통신 단말 상에서 항상 실행되는 대기화면 서비스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정보보호 수단은 상기 정보보호 운영 서버에 항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개인정보 보안 처리는,
    단말의 저장수단에 저장된 개인정보의 삭제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개인정보 보안 처리는,
    단말의 저장수단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상기 접속된 정보보호 운영 서버로 전송하고 삭제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개인정보 보안 처리는,
    단말의 저장수단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상기 접속된 정보보호 운영 서버에서 제공받은 암호키로 암호화하고 재저장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11. 이동통신 단말의 도난 또는 분실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말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보안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이동통신 단말의 분실 여부 상태 정보가 등록된 정보보호 운영 서버; 및
    상기 정보보호 운영 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단말의 분실 여부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단말이 분실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 미리 설정된 개인정보 보안 처리를 수행하며, 접속이 실패하거나 또는 접속이 불가능할 경우에 단말의 사용을 제한하는 정보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90072781A 2009-08-07 2009-08-07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124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781A KR101124585B1 (ko) 2009-08-07 2009-08-07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CT/KR2010/005183 WO2011016700A2 (ko) 2009-08-07 2010-08-06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781A KR101124585B1 (ko) 2009-08-07 2009-08-07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190A KR20110015190A (ko) 2011-02-15
KR101124585B1 true KR101124585B1 (ko) 2012-03-15

Family

ID=43774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781A KR101124585B1 (ko) 2009-08-07 2009-08-07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5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919B1 (ko) * 2012-01-20 2013-11-0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 단말기에서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보안 솔루션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5306A (ko) * 2003-12-24 2005-06-29 주식회사 안랩유비웨어 무선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 장치 및 그 방법과 원격제어를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JP2006279321A (ja) * 2005-03-28 2006-10-12 Willcom Inc 移動端末のためのセキュリティソフトウェア及びセキュリティ通信システム
KR20070060657A (ko) * 2005-12-09 2007-06-13 (주)팜미디어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와 이를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기록매체
KR20090065975A (ko) * 2007-12-18 2009-06-2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단말 도난시 개인 정보 보호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5306A (ko) * 2003-12-24 2005-06-29 주식회사 안랩유비웨어 무선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 장치 및 그 방법과 원격제어를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JP2006279321A (ja) * 2005-03-28 2006-10-12 Willcom Inc 移動端末のためのセキュリティソフトウェア及びセキュリティ通信システム
KR20070060657A (ko) * 2005-12-09 2007-06-13 (주)팜미디어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와 이를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기록매체
KR20090065975A (ko) * 2007-12-18 2009-06-2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단말 도난시 개인 정보 보호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190A (ko) 201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3901B2 (e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ser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99164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itigating the unauthorized use of a device
EP2266070B1 (en) System for mitigating the unauthorized use of a device
US20170164204A1 (en) Method for mitigating the unauthorized use of a device
CN102739868B (zh) 移动终端的丢失处理方法及系统
EP2693782B1 (en) Method for backuping and recovering data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of
US20090006867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availability for lost/stol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JP2010518751A (ja) ワイヤレス通信デバイスをロケーティングし、追跡し、および/または回復する装置および方法
CA2757472A1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unauthorized use of a device
CN102955904A (zh) 防止移动通讯设备泄密的方法和系统
CN104427089A (zh) 移动终端及移动终端权限管理方法
KR10073780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와 이를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기록매체
KR101124585B1 (ko)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7011776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원격 제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4882532B2 (ja) 所在管理システム、情報管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所在管理方法、および情報管理方法
KR100944246B1 (ko)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을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15191A (ko)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11097B1 (ko) 무선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 보호 장치 및 그 방법과 원격제어를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TW201112720A (en) Method of communication device recognition code and dynamic code for network identification and telephone fraud certification
KR102383050B1 (ko)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발신번호 변경 기기
WO20140272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itigating the unauthorized use of a device
WO2018047203A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locking a lost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136838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0225473B (zh) 添加联系人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KR10109474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