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385B1 -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385B1
KR101368385B1 KR1020110004851A KR20110004851A KR101368385B1 KR 101368385 B1 KR101368385 B1 KR 101368385B1 KR 1020110004851 A KR1020110004851 A KR 1020110004851A KR 20110004851 A KR20110004851 A KR 20110004851A KR 101368385 B1 KR101368385 B1 KR 101368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ontrol
messag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3553A (ko
Inventor
이경학
Original Assignee
(주)쏘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쏘몬 filed Critical (주)쏘몬
Priority to KR1020110004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385B1/ko
Publication of KR20110013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클라이언트에서 서비스 운영 시스템으로 분실 등록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서비스 운영 시스템은 그 분실 등록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SMS 메시지 또는 특정한 채널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를 구성한 뒤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제어 에이전트는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제어 에이전트의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한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분실 시 특정 형태의 SMS 메시지나 페이징 채널 메시지, 트래픽 채널 메시지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rolling Personal Information Controlling Ser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특정한 SMS 메시지 또는 이동 통신 채널 메시지를 이용하여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함으로써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이동 통신을 통한 원격 제어 및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보안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통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포터블 단말기를 의미하며 국내에서는 소위 '휴대폰'이라 칭해지고 있다. 과거,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무선 전화기로서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통상적이었으나, 최근에는 카메라, 캠코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기능, 게임기, 영상 통화 서비스, 네비게이션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구비한 복합적인 기능의 단말기로 구성되고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있어 단순한 통신 단말기가 아니라 개인용 네트워크 컴퓨터와 같은 중요한 정보 기기로 인식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진이나 음성, 영상 등을 촬영하여 저장하며, 이동 중 영화나 방송을 시청하거나 게임을 줄길 수 있고, 자신의 스케줄을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원격지의 상대방과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차량 내에서는 네비게이션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일상생활에서 많은 부분을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해결하며, 상당수의 개인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한다. 따라서 만약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분실하였을 경우, 경제적 손실과 더불어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불법 유출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폰을 이용한 결제나 인터넷 뱅킹 등이 보편화되면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분실은 심각한 피해로 이어질 수도 있다.
실제로 2005년 발행된 파이낸셜 뉴스에 따르면,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수는 1999년에 150만대였던 것이 2004년에는 450만대로 매년 그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분실 후 다시 회수되는 비율은 5퍼센트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분실 시 사용자가 해당 통신사에 연락하여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기능을 제한하도록 하는 기초적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비밀 번호를 적용하여 불법적인 조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솔루션도 제공되고 있으나, 이 경우 비밀번호의 보안성이 다소 떨어져 악의적인 공격에는 취약한 약점이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때마다 비밀번호를 일일이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대다수의 사용자들은 해당 기능을 이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분실 시에 보안을 보장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국내에도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등을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간의 호환이 가능해질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순 분실이 아닌 도난 등의 악의적인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분실에 대비한 대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분실이나 도난, 악의적인 사고에 의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 메모, 사진, 공인 인증서 등과 같은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분실 시에 특정 형태의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 정보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서비스 에이전트를 제어하여 분실 상태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외부 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측면(Aspect)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클라이언트에서 서비스 운영 시스템으로 분실 등록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운영 시스템이 상기 분실 등록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SMS 메시지 또는 특정한 채널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성한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를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제어 에이전트가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상기 제어 에이전트의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분실 등록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클라이언트가 사용자로부터의 분실 등록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받은 분실 등록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분실 등록 제어 명령을 상기 서비스 운영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운영 시스템이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를 상기 SMS 메시지의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 상기 구성 단계는, 해당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는 서비스 식별 정보를 SMS 메시지의 TID 필드에 삽입하고,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가 분실되었음을 통보하는 정해진 형식의 분실 통보 정보를 데이터 필드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에이전트가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의 TID 필드를 확인하여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가 해당 서비스 메시지임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분실 통보 메시지의 데이터 필드를 판독하여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가 분실된 상태임을 알아내어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를 분실 상태로 천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운영 시스템이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를 상기 SMS 메시지의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 상기 구성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가 분실되었음을 통보하는 정해진 형식의 분실 통보 정보를 SMS 메시지의 데이터 필드에 삽입하고, 상기 데이터 필드의 특정 위치에 해당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는 서비스 식별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에이전트가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의 특정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가 해당 서비스 메시지임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분실 통보 메시지의 데이터 필드를 분석하여 분실 통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를 분실 상태로 천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정한 채널 메시지는 페이징 채널 메시지 및 트래픽 채낼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으며, 해당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가 분실되었음을 통보하는 분실 통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어 에이전트의 서비스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서비스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서비스 운영 시스템으로 동작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운영 시스템이 상기 동작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SMS 메시지, 특정한 채널 메시지 및 TCP/IP 통신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동작 제어 메시지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성한 상기 동작 제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에이전트가 상기 동작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동작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명령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어 에이전트가 상기 제어의 결과를 상기 서비스 운영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운영 시스템이 상기 전송된 상기 제어의 결과를 상기 서비스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분실 등록 제어 명령 및 동작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서비스 클라이언트와; 상기 서비스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분실 등록 제어 명령 및 동작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분실 등록 제어 명령 및 상기 동작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특정 형식의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 및 동작 제어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비스 운영 시스템; 및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며, 상기 서비스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에 따라 액티브 상태로 천이하며, 상기 액티브 상태에서 상기 서비스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동작 제어 메시지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에이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운영 시스템은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 및 상기 동작 제어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SMS 메시지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비스 운영 시스템은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 및 상기 동작 제어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기 위하여 SMS 메시지의 TID 필드 및 데이터 필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운영 시스템은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 및 상기 동작 제어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페이징 채널 메시지 또는 트래픽 채널 메시지의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 에이전트는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한 후 그 제어 결과를 상기 서비스 운영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운영 시스템은 상기 제어 결과를 상기 서비스 클라이언트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 에이전트는 상기 액티브 상태에서 상기 서비스 운영 시스템과 TCP/IP 통신으로 연동하여 상기 동작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에이전트는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의 파일 시스템에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에 삽입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의 고유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USIM의 파일 시스템에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유한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 에이전트는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부팅 시에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의 파일 시스템에 저장된 USIM의 고유한 식별 정보와 상기 USIM의 고유한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액티브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에이전트는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부팅 시에 상기 USIM의 파일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유한 식별 정보와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유한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액티브 상태로 천이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 에이전트는 상기 액티브 상태로 천이하면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하며, 상기 액티브 상태에서 상기 동작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기능은 단말기 잠금 기능, 암호화키 삭제/은닉 기능, 데이터 관리 기능, 위치 전송 기능, 영상 정보 제공 기능, 음성 정보 제공 기능, 업데이트 기능, 정보 출력 기능, 통화 제한 기능, 분실 해제 기능, 강제 구동 기능 및 제어 결과 보고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 다른 측면에서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특정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를 액티브 상태로 천이하는 상태 제어부; 및 상기 액티브 상태에서 구동하며, 상기 특정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동작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명령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기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태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의 파일 시스템에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에 삽입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의 고유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USIM의 파일 시스템에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유한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분실 시 특정 형태의 SMS 메시지나 페이징 채널 메시지, 트래픽 채널 메시지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신뢰성 있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PICS :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Service)를 실현하기 위한 PICS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PICS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제 1 형태에 따라 구성한 PICS 제어 메시지의 필드 구성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제 2 형태에 따라 구성한 PICS 제어 메시지의 필드 구성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PICS에서 사용되는 제어 명령어 형식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PICS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PICS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기지국에 의하여 구성되는 PICS 제어 메시지의 필드 구성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페이징 채널을 사용한 경우)
도 9는 기지국에 의하여 구성되는 PICS 제어 메시지의 필드 구성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트래픽 채널을 사용한 경우)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PICS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ICS 제어 에이전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정상 상태의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부팅 시에 PICS 제어 에이전트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내용의 명료성을 위하여 특정한 기술 용어를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그 선택된 특정 용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각각의 특정 용어가 유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모든 기술 동의어를 포함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PICS :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Service, 이하 PICS로 약칭)를 실현하기 위한 PICS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ICS 제공 시스템(100)은 PICS 클라이언트(30), PICS 운영 시스템(10) 및 PICS 제어 에이전트(20)를 포함할 수 있다.
PICS 클라이언트(3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기(3)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가지는 PC, 노트북,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을 의미할 수 있다. PICS 클라이언트(30)는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기(3)에 소프트웨어 모듈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특정한 프로토콜, 예컨대 TCP/IP를 통하여 PICS 운영 시스템(10)과 연동함으로써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ICS 클라이언트(30)는 사용자가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를 분실했을 경우, 그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PICS 운영 시스템(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명령은 분실 등록 제어 명령, 동작 제어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ICS 클라이언트(30)는 PICS 운영 시스템(10)으로부터 상기 제어 명령의 전송에 응답한 제어 결과를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PICS 운영 시스템(10)은 서비스 사업자 또는 이동 통신 사업자 측에 구비될 수 있다. PICS 운영 시스템(10)은 PICS 클라이언트(3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PICS 제어 메시지를 구성하고, 이를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에 설치된 PICS 제어 에이전트(20)로 전송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PICS 제어 메시지는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 또는 동작 제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는 PICS 클라이언트(3)로부터 전송되는 분실 등록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PICS 제어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가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로 전송되면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에 구비된 PICS 제어 에이전트(20)의 서비스 기능들이 활성화된다. 한편, 동작 제어 메시지는 PICS 클라이언트(30)로부터 전송되는 동작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PICS 제어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동작 제어 메시지가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로 전송되면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해당 제어 명령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PICS 운영 시스템(10)은 이러한 PICS 제어 메시지를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메시지,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 메시지 또는 TCP/IP 통신 메시지 등의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PICS 제어 메시지의 전송 형태에 대해서는 차후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PICS 운영 시스템(10)은 PICS 운영 서버(12), 기지국(14) 및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16)를 포함할 수 있다.
PICS 운영 서버(12)는 PICS 클라이언트(30) 및 PICS 제어 에이전트(20)와 유선 또는 무선의 TCP/IP 통신을 통하여 연동할 수 있다. PICS 운영 서버(12)는 PICS 클라이언트(30)로부터 제어 명령, 즉 분실 등록 제어 명령, 동작 제어 명령 등을 수신하고 이를 기지국(24) 또는 SMSC(16)로 전달한다. 또한 PICS 운영 서버(12)는 PICS 제어 에이전트(30)로부터 제어 명령에 따른 수행 결과, 즉 제어 결과를 수신하고 이를 PICS 클라이언트(30)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PICS 운영 서버(12)는 PICS의 서비스 웹페이지를 PICS 클라이언트(23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웹페이지란 사용자로 하여금 분실 등록 요청, 동작 제어 요청 등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제어 결과를 알려주는 정보를 표시하는 등 사용자가 PICS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PICS 클라이언트(30)를 통해 PICS 운영 서버(12)에서 제공하는 PICS의 서비스 웹페이지에 접속한 뒤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제어 결과를 인지할 수도 있다.
기지국(14)은 PICS 운영 서버(12)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페이징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의 특정 부분에 상기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정보를 삽입하여 PICS 제어 메시지를 구성한 뒤 이를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PICS 제어 에이전트(20)로 전송한다.
SMSC(16)는 PICS 운영 서버(12)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SMSC(16)는 상기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특정 형태의 SMS 메시지를 만들어 PICS 제어 메시지를 구성한 뒤 이를 기지국(14)으로 전송한다. 이때 기지국(14)은 SMSC(16)로부터 전송되는 PICS 제어 메시지를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PICS 제어 에이전트(20)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는 SMS를 수신하고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폰, PMP, 와이브로 단말기, 내비게이션, PDA, MP3 플레이어, UMPC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일 수 있다.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이러한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에 소프트웨어 모듈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PICS 운영 시스템(10)으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PICS 제어 메시지, 예컨대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에 따라 그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한다. 또한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PICS 운영 시스템(10)으로부터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PICS 제어 메시지, 예컨대 동작 제어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PICS 운영 시스템(10)과 무선 TCP/IP 통신을 통해 연동할 수 있다. 이때 TCP/IP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동작 제어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를 제어할 수도 있으며, 그 제어 결과를 PICS 운영 시스템(1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PICS 제어 에이전트(20)의 구성 및 서비스 기능들은 차후에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PICS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PICS 제공 시스템은 다양한 서비스 시나리오를 통하여 PIC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PICS 제공 절차를 다수 개의 실시예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PICS 제공 절차의 제 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PICS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를 분실했을 경우,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에 설치되어 있는 PICS 클라이언트(30)를 이용하여 PICS 운영 서버(12)로 접속할 수 있다. 이때 PICS 운영 서버(12)는 소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서비스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비스 웹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를 분실했음을 등록할 수 있다. 그러면 PICS 클라이언트(30)는 TCP/IP 통신망을 통하여 PICS 운영 서버(12)로 분실 등록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단계:S1).
PICS 운영 서버(12)는 상기 분실 등록 제어 명령을 수신한 뒤 이를 SMSC(16)로 전달한다(단계:S2). SMSC(16)는 전달된 분실 등록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분실을 통보하는 PICS 메시지인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를 SMS 메시지의 형태로 구성한다(단계:S3).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는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가 PICS 제어 메시지임을 알리는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가 분실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SMSC(16)는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를 제 1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제 2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형태란 PICS 제어 메시지임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SMS 트랜스포트 레이어(Transport Layer)의 TID 필드에 삽입하는 것이다. 또한 제 2 형태는 PICS 제어 메시지임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SMS 텔레서비스 레이어(Teleservice Layer)의 데이터 필드에 데이터와 함께 삽입하는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은 상술한 제 1 형태에 따라 구성한 PICS 제어 메시지의 필드 구성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MSC(16)는 SMS 트랜스포트 레이어의 특정 필드들을 활용하여 PICS 제어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MSC는 텔레서비스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TID(Teleservice ID) 필드에는 해당 SMS 메시지가 PICS 제어 메시지임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예컨대 특정한 코드 값)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필드 즉, "Bearer Data" 필드에는 제어 명령어(예를 들어 분실 통보 메시지의 경우는 분실 등록 제어 명령, 동작 제어 메시지의 경우 동작 제어 명령 등)를 정해진 제어 명령어 형식으로 삽입할 수 있다.
도 4는 상술한 제 2 형태에 따라 구성한 PICS 제어 메시지의 필드 구성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MSC(16)는 SMS 텔레서비스 레이어의 특정 필드를 사용하여 PICS 제어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MSC는 SMS 텔레서비스 레이어의 데이터 필드인 "User Data" 필드에 해당 메시지가 PICS 제어 메시지임을 알리는 식별 정보 및 특정 형태의 제어 명령어를 삽입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필드의 앞부분에는 해당 메시지가 PICS 제어 메시지임을 알리는 헥사(Hexa) 값을 삽입하고, 뒤에는 정해진 형태의 제어 명령어를 삽입할 수 있다.
SMSC(16)는 상기 제 1 형태 또는 제 2 형태에 부합하도록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를 구성한 뒤(단계:S3), 이를 기지국(14)으로 전송한다(단계:S4). 그러면 기지국(14)은 전송된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를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로 전송한다(단계:S5).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여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한다(단계:S6).
이때,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가 제 1 형태의 PICS 제어 메시지로 구성되었을 경우,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TID를 보고 해당 SMS 메시지가 PICS 제어 메시지임을 식별하고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분실 통보 제어 명령어를 판독하여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가 분실되었음을 알아낼 수 있다. 반면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가 제 2 형태의 PICS 제어 메시지로 구성된 경우,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데이터 필드의 첫 부분에 삽입되어 있는 특정 정보, 예컨대 헥사 값을 확인함으로써 해당 SMS 메시지가 PICS 제어 메시지임을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PICS 운영 서버(12)와 무선 TCP/IP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다(단계:S7). 또한 PICS 운영 서버(12)와 PICS 클라이언트(30)도 TCP/IP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다(단계:S8).
연결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PICS 클라이언트(30)를 통하여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분실된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회수를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 동작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ICS 클라이언트(30)는 해당 동작 제어 명령을 PICS 운영 서버(12)로 전송하고(단계:S9), PICS 운영 서버(12)는 전송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정해진 형식의 제어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구성하여 PICS 제어 에이전트(20)로 전송한다(단계:S10). 그러면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상기 제어 명령어에서 지시하는 내용에 따라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단계:S11).
도 5는 PICS에서 사용되는 제어 명령어 형식을 도시하는 예시도로서, 예시된 제어 명령어는 TCP/IP 통신을 통한 제어 명령에 사용되거나 또는 PICS 제어 메시지의 데이터 필드에 삽입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명령어는 시작 코드 필드(ST), 명령어 코드 필드(CC), 디리미터(Delimiter) 필드(DT), 데이터 필드(DA), 종료 코드 필드(E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작 코드 필드(ST)에는 제어 명령어의 시작을 식별하는 코드가 삽입된다. 명령어 코드 필드(CC)에는 제어 명령어의 종류를 나타내는 명령어 코드가 삽입된다. 디리미터 필드(DT)는 명령어 코드와 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한 정해진 코드 값이 삽입된다. 데이터 필드(DA)에는 명령어 코드에 대응하는 실제 제어 정보가 삽입된다. 종료 코드 필드(EC)는 제어 명령어의 종료를 알리는 정해진 코드 값이 삽입된다.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상기 제어 명령어를 수신하여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를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어 코드가 연락할 전화번호를 설정하는 코드 값인 "0X01"이고, 데이터가 "3000300300"이라면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상기 데이터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 접속할 수도 있고, 상기 전화번호로 연락하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동작을 제어한 뒤 그 제어 결과 정보를 TCP/IP 통신을 이용하여 PICS 운영 서버(12)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S12). PICS 운영 서버(12)는 전송된 제어 결과 정보를 PICS 클라이언트(30)로 전달할 수 있다(단계:S13). 그러면 PICS 클라이언트(30)는 사용자에게 제어 결과를 알려줄 수 있다.
이상의 제 1 실시예에서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분실 시에 SMS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PICS 제어 에이전트(20)의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TCP/IP 통신을 통해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예를 살펴보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TCP/IP 통신을 이용하지 않고도 SMS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PICS 제어 에이전트(20)의 서비스 기능 활성화 및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는 이하의 제 2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PICS 제공 절차의 제 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PICS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를 분실했을 경우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에 설치되어 있는 PICS 클라이언트(30)를 이용하여 PICS 운영 서버(12)로 접속할 수 있다. 이때 PICS 운영 서버(12)는 소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서비스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그 서비스 웹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를 분실했음을 등록할 수 있다. 그러면 PICS 클라이언트(30)는 TCP/IP 통신망을 통하여 PICS 운영 서버(12)로 분실 등록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단계:S21).
PICS 운영 서버(12)는 상기 분실 등록 제어 명령을 수신한 뒤 이를 SMSC(16)로 전달한다(단계:S22). SMSC(16)는 전달된 분실 등록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분실을 통보하는 PICS 제어 메시지인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를 SMS 메시지의 형태로 구성한다(단계:S23).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는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가 PICS 제어 메시지임을 알리는 식별 정보 및 분실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는 앞서 언급한 제 1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고, 제 2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SMSC(16)는 구성된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를 기지국(14)으로 전송한다(단계:S24). 그러면 기지국(14)은 전송된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를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PICS 제어 에이전트(20)로 전송한다(단계:S25).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여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분실 상태로 천이한다(단계:S26). 이때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앞서도 언급했듯이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가 제 1 형태의 PICS 제어 메시지로 구성되었을 경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TID를 보고 해당 SMS 메시지가 PICS 메시지임을 식별하고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내용을 판독하여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가 분실된 것임을 알아낼 수 있으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가 제 2 형태의 PICS 제어 메시지로 구성된 경우에는 데이터 필드의 첫 부분에 삽입되어 있는 특정 정보, 예컨대 헥사 값을 확인함으로써 해당 SMS 메시지가 PICS 메시지임을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원하는 동작 제어 요청을 PICS 클라이언트(30)로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PICS 클라이언트(30)는 TCP/IP 통신망을 통하여 PICS 운영 서버(12)로 동작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단계:S27).
PICS 운영 서버(12)는 상기 동작 제어 명령을 수신한 뒤 이를 SMSC(16)로 전달한다(단계:S28). SMSC(16)는 전달된 동작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서비스 기능을 위한 동작 제어를 명령하는 PICS 메시지인 동작 제어 메시지를 SMS 메시지의 형태로 구성한다(단계:S29). 상기 동작 제어 메시지는 해당 메시지가 PICS 제어 메시지임을 알리는 식별 정보 및 요청된 서비스와 관련한 제어 동작을 명령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제어 메시지는 제 1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고, 제 2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SMSC(16)는 구성된 동작 제어 메시지를 기지국(14)으로 전송한다(단계:S30). 그러면 기지국(14)은 전송된 동작 제어 메시지를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PICS 제어 에이전트(20)로 전송한다.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상기 동작 제어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동작 제어 메시지가 제 1 형태의 PICS 제어 메시지로 구성되었을 경우, 동작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TID를 보고 해당 SMS 메시지가 PICS 메시지임을 식별하고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내용을 판독하여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를 어떻게 제어할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반면, 동작 제어 메시지가 제 2 형태의 PICS 제어 메시지로 구성된 경우에는 데이터 필드의 첫 부분에 삽입되어 있는 특정 정보, 예컨대 헥사 값을 확인함으로써 해당 SMS 메시지가 PICS 메시지임을 식별할 수 있다.
이상의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분실 시에 SMS 시스템 및 TCP/IP 통신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들을 살펴보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분실 시에 이동 통신 신호의 페이징 채널이나 트래픽 채널을 이용하여 PICS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동 통신 신호의 페이징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PICS 제공 절차의 제 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PICS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앞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2)를 분실했을 경우,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에 설치되어 있는 PICS 클라이언트(30)를 이용하여 PICS 운영 서버(12)로 접속할 수 있다. 이때 PICS 운영 서버(12)는 소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서비스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비스 웹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를 분실했음을 등록할 수 있다. 그러면 PICS 클라이언트(30)는 TCP/IP 통신망을 통하여 PICS 운영 서버(12)로 분실 등록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단계:S41).
PICS 운영 서버(12)는 상기 분실 등록 제어 명령을 수신한 뒤 이를 기지국(14)으로 전달한다(단계:S42). 기지국(14)은 전달된 분실 등록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분실을 통보하는 PICS 메시지인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를 페이징 채널 메시지 또는 트래픽 채널 메시지의 형태로 구성한다(단계:S43).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는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가 PICS 제어 메시지임을 알리는 식별 정보 및 분실 통보를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기지국(14)에 의하여 구성되는 PICS 제어 메시지의 필드 구성을 도시하는 예시도로서, 페이징 채널을 이용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4)은 페이징 채널 메시지를 활용하여 PICS 제어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기지국(14)은 페이징 채널 메시지 중 다이렉티드 메시지(Directed Message)의 메시지 바디(Message Body) 필드에 해당 메시지가 PICS 메시지임을 알리는 식별 정보 및 정해진 형식의 제어 명령어를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Data Burst Message) 내의 버스트 타입 값으로 분실 등록 또는 동작 제어를 알리는 특정 타입의 값을 삽입할 수 있다.
도 9는 기지국(14)에 의하여 구성되는 PICS 제어 메시지의 필드 구성을 도시하는 예시도로서, 트래픽 채널을 이용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4)은 트래픽 채널 메시지를 활용하여 PICS 제어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기지국(14)은 트래픽 채널 상의 포워드 메시지(Forward Message)의 세컨더리 트래픽(Secondary Traffic) 필드(88비트)에 분실 등록 또는 동작 제어를 알리는 특정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프라이머리 트래픽(Primary Traffic) 필드(80비트)의 경우 주로 음성 신호가 삽입되므로 세컨더리 트래픽 필드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한정적인 사항은 아니며 실시 환경에 따라서는 프라이머리 트래픽 필드에 PICS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기지국(14)은 이러한 형식으로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를 구성한 뒤, 이를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PICS 제어 에이전트(20)로 전송한다(단계:S44).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 즉 페이징 채널 메시지 또는 트래픽 채널 메시지에 응답하여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한다(단계:S45).
이후,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PICS 운영 서버(12)와 TCP/IP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다(단계:S46). 또한 PICS 운영 서버(12)와 PICS 클라이언트(30)도 TCP/IP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다(단계:S47). 연결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PICS 클라이언트(30)를 통하여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분실된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회수를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동작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ICS 클라이언트(20))는 해당 동작 제어 명령을 PICS 운영 서버(12)로 전송하고(단계:S48), PICS 운영 서버(12)는 전송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정해진 형식의 제어 명령어를 TCP/IP 통신에 부합되도록 구성하여 PICS 제어 에이전트(20)로 전송한다(단계:S49). 그러면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제어 명령어에서 지시하는 내용에 따라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동작을 제어한다(단계:S50).
또한,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동작을 제어한 뒤 그 제어 결과 정보를 TCP/IP 통신을 이용하여 PICS 운영 서버(12)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S51). PICS 운영 서버(12)는 전송된 제어 결과 정보를 PICS 클라이언트(30)로 전달할 수 있다(단계:S52). 그러면 PICS 클라이언트(30)는 사용자에게 제어 결과를 알려줄 수 있다.
이상의 제 3 실시예에서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분실 시에 이동 통신 신호의 특정 채널(즉, 페이징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PICS 제어 에이전트(20)의 서비스 기능을 구동시키고, TCP/IP 통신을 통해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예를 살펴보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분실 시에 페이징 채널 메시지 또는 트래픽 채널 메시지를 이용하여 PICS 제어 에이전트(20)의 서비스 기능의 활성화 및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동작 제어를 모두 수행할 수도 있다. 이는 이하의 제 4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PICS 제공 절차의 제 4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PICS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를 분실했을 경우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에 설치되어 있는 PICS 클라이언트(30)를 이용하여 PICS 운영 서버(12)로 접속할 수 있다. 이때 PICS 운영 서버(12)는 소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서비스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그 서비스 웹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를 분실했음을 등록할 수 있다. 그러면 PICS 클라이언트(30)는 TCP/IP 통신망을 통하여 PICS 운영 서버(12)로 분실 등록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단계:S61).
PICS 운영 서버(12)는 상기 분실 등록 제어 명령을 수신한 뒤 이를 기지국(14)으로 전달한다(단계:S62). 기지국(14)은 전달된 분실 등록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분실을 통보하는 PICS 메시지인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를 페이징 채널 메시지 또는 트래픽 채널 메시지의 형태로 구성한다(단계:S63).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는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가 PICS 제어 메시지임을 알리는 식별 정보 및 분실 통보를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지국(14)은 구성된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를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로 전송한다(단계:S64).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여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시킨다(단계:S65).
이어서,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원하는 동작 제어 요청을 PICS 클라이언트(30)로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PICS 클라이언트(30)는 TCP/IP 통신망을 통하여 PICS 운영 서버(12)로 동작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단계:S66). PICS 운영 서버(12)는 상기 동작 제어 명령을 수신한 뒤 이를 기지국(14)으로 전달한다(단계:S67). 기지국(14)은 전달된 동작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해당 동작 제어를 명령하는 PICS 메시지인 동작 제어 메시지를 페이징 채널 메시지 또는 트래픽 채널 메시지의 형태로 구성한다(단계:S68). 상기 동작 제어 메시지는 해당 메시지가 PICS 제어 메시지임을 알리는 식별 정보 및 특정한(예컨대 사용자가 요청하거나 미리 설정된) 서비스 기능을 위한 제어 동작을 명령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기지국(14)은 구성된 동작 제어 메시지를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PICS 제어 에이전트(20)로 전송한다(단계:S69).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상기 동작 제어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동작을 제어한다(단계:S70).
이상 PICS에서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PICS 제어 에이전트(20)로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다양한 시나리오들의 실시예를 살펴보았다.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에 구비되어 있는 PICS 제어 에이전트(20)의 서비스 기능이 활성화되면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PICS 제어 에이전트(20)의 구성, 서비스 기능 및 동작 등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ICS 제어 에이전트(2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통신부(22), 메시지 분석부(24), 상태 제어부(27) 및 기능 제어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는 외부의 네트워크로 정보를 송신하고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2)는 기지국(14)으로부터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PICS 제어 메시지, 예컨대 SMS 메시지, 페이징 채널 메시지, 트래픽 채널 메시지 또는 PICS 운영 서버로부터 무선 TCP/IP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PICS 제어 메시지 등을 수신하여 메시지 분석부(24)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기능 제어부(21) 또는 상태 제어부(27)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예컨대, 제어 결과 관련 정보 등)를 무선 TCP/IP 통신을 통하여 PICS 운영 서버(12)로 전송할 수도 있다.
메시지 분석부(24)는 통신부(22)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분석하여 PICS와 관련된 제어 메시지인지를 인지를 판단하고, PICS 제어 메시지일 경우 그 내용을 분석하여 기능 제어부(21) 또는 상태 제어부(27)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22)를 통하여 수신된 메시지가 제 1 형태로 구성된 SMS 메시지일 경우 메시지 분석부는 해당 SMS 메시지의 TID를 확인하여 PICS 제어 메시지인지를 판단한 뒤, PICS 제어 메시지일 경우 그 데이터 필드에 삽입된 제어 명령어의 내용을 기능 제어부(21) 또는 상태 제어부(27)로 넘겨줄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통신부(22)를 통하여 수신된 메시지가 제 2 형태로 구성된 SMS 메시지일 경우 메시지 분석부(24)는 해당 SMS 메시지의 내용을 파싱하여 PICS 제어 메시지인지를 판단하고, PICS 제어 메시지일 경우 그 제어 명령어의 내용을 기능 제어부(21) 또는 상태 제어부(27)로 제공할 수도 있다.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메시지가 페이징 채널 메시지, 트래픽 채널 메시지 또는 TCP/IP 통신 메시지일 경우에도 같은 개념으로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PICS 시스템에서 어떠한 형태의 메시지를 PICS용으로 사용하는지는 실시 환경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사항이다.
상태 제어부(27)는 메시지 분석부(24)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명령어의 내용이 분실 통보와 관련된 명령일 경우 PICS 제어 에이전트(20)의 상태를 천이한다.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가 정상 상태일 때 슬립 상태(Sleep Status)로 있다. 슬립 상태에서는 통신부(22), 메시지 분석부(24) 및 상태 제어부(27)만 기본적인 동작을 수행하며 서비스 기능은 활성화 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가 분실 상태일 때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액티브 상태(Active Status)가 된다. 액티브 상태에서는 기능 제어부가 동작하여 PICS 제어 에이전트(20)의 서비스 기능들이 활성화된다. 서비스 기능들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외부(즉 기지국, PICS 운영 서버 등)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명령어에 따라 해당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 제어가 수행된다. 즉 액티브 상태는 PICS 제어 에이전트(20)가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를 장악하여 그 동작을 제어하는, 실질적으로 PICS 제어 에이전트(20)가 구동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태 제어부(20)는 메시지 분석부(24)로부터 분실 통보 명령이 수신될 경우 기능 제어부(21)를 구동시켜 PICS 제어 에이전트(20)의 서비스 기능들을 활성화한다. 이때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액티브 상태가 되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는 분실 상태로 천이하게 된다. 반면 상태 제어부(27)는 메시지 분석부(24)로부터 분실 해제 명령(PICS 제어 메시지로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됨)이 수신될 경우 즉시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기능 제어부(21)의 동작을 종료한다. 이때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슬립 상태가 되고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는 정상 상태가 된다.
기능 제어부(21)는 메시지 분석부(24)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명령어의 내용에 따라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해당 단말기 유닛(5)을 제어함으로써 분실 상태의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를 제어한다. 즉, PICS 클라이언트(30)에서 요구한 제어 명령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 제어부(21)는 앞서 언급했듯이 상태 제어부(27)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거나 종료된다.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PICS 구동 제어 메시지의 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서비스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1. 잠금 기능 :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를 잠금 상태로 변화시켜 개인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는 기능. 잠금 상태에서는 메뉴 진입 등이 차단되고 특정 기능들에 대한 사용이 제한됨.
2. 암호화 키 삭제/은닉 기능 :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암호화키를 삭제 또는 은닉하여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기능. 평상 시에 보안 대상인 여러 종류의 데이터(예컨대, 전화번호, 메모, 스케줄, 공인 인증서 등)를 공통된 암호화키로 암호화하여 보관하고 공통된 암호화키도 별도로 보관하다가 분실 상황이 발생할 시에 암호화키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PICS 운영 서버로 백업한 후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는 이 암호화키를 삭제/은닉하면 암호화된 데이터를 단말기의 습득자가 볼 수 없게 되므로 데이터 보호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3. 데이터 관리 기능 :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에 저장된 데이터를 백업, 삭제, 복구하는 기능. 예를 들어,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에 저장된 데이터를 특정한 네트워크 개체(예컨대 PICS 운영 서버 등)로 업로드하여 데이터 백업을 수행한 뒤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에 저장된 데이터는 삭제함. 분실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네트워크 개체로부터 백업된 데이터를 제공받아 다시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에 저장하여 데이터를 복구함.
4. 위치 전송 기능 : GPS, 기지국 등에 요청하여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위치 정보를 PICS 운영 서버로 제공하도록 하여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위치 정보를 알려주는 기능
5. 영상 정보 제공 기능 :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카메라를 작동시켜 현재의 영상 정보를 촬영한 뒤 PICS 운영 서버(12)로 제공하는 기능. PICS 운영 서버(12)에서는 이를 PICS 클라이언트(30)로 제공할 수 있음.
6. 음성 정보 제공 기능 :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마이크를 작동시켜 현재의 음성 정보를 녹음하도록 한 뒤 PICS 운영 서버(12)로 제공하는 기능. PICS 운영 서버(12)는 이를 PICS 클라이언트(30)로 제공할 수 있음.
7. 업데이트 기능 : PICS 운영 서버(12)로부터 보안에 필요한 기능 모듈을 수신하여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에 설치하는 기능. 설치된 해당 기능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음.
8. 정보 출력 기능 :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를 통하여 미리 정해진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예컨대 PICS 클라이언트를 통하여설정할 수 있음) 메시지를 출력하는 기능. 예를 들어, "연락처는 "XXX-XXXX"입니다.", "찾아 주시면 후사하겠습니다." 등과 같은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음.
9. 통화 제한 기능 :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통화를 차단하거나 정해진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전화번호로만 통화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
10. 분실 해제 기능 :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분실 상태를 해제하는 기능.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분실 해제를 알리는 제어 명령어가 수신되거나 또는 미리 정해진 사용자 패스워드가 입력될 경우, 즉시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슬립 상태로 천이함. 이 후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는 정상 동작함.
11. 강제 구동 기능 : 분실 상태가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전원이 꺼진 후 다시 전원이 켜지더라도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강제로 액티브 상태를 유지함. 즉 서비스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를 제어할 수 있음. 이를 위해 상태 제어부(27)는 PICS 제어 에이전트(20)가 액티브 상태로 구동 중임을 식별할 수 있는 값을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음.
12. 제어 결과 보고 기능 : 서비스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동작의 결과를 PICS 운영 서버(12)로 보고하는 기능. 보고된 제어 결과는 PICS 클라이언트 단말기(30)로 전송됨.
한편,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고유 식별 정보와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에 삽입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의 고유 식별 정보를 분석하여 분실로 의심되는 경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를 분실 상태로 천이시키고 자신은 액티브 상태로 천이하여 상술한 서비스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는 고유한 식별 정보인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값을 가진다.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이러한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IMEI 값을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에 삽입된 USIM의 파일 시스템에 암호화하여 저장한다. 한편 USIM은 고유한 식별 정보인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를 가진다.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이러한 USIM의 IMSI 값을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파일 시스템에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을 수행하는 시점은 PICS 제어 에이전트(20)가 초기에 설치된 시점일 수 있으나 이는 한정적인 사항은 아니다. PICS 제어 에이전트(20)의 상태 제어부(27)는 슬립 상태에서도 IMSI 및 IMEI의 저장 동작 및 정보 비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정상 상태의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부팅 시에 PICS 제어 에이전트(20)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가 부팅되면(단계:S81),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USIM의 파일 시스템에 저장된 IMEI 값과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IMEI 값을 비교하고,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에 저장된 IMSI 값과 USIM의 IMSI 값을 비교한다(단계:S82).
상기 비교에서 USIM의 파일 시스템에 저장된 IMEI 값과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IMEI 값 또는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에 저장된 IMSI 값과 USIM의 IMSI 값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단계:S83),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액티브 상태로 천이하여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한다(단계:S84). 이때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는 분실 상태로 천이한다. 상기 PICS 제어 에이전트(20)의 서비스 기능들은 앞서 살펴본바 있다.
반면 상기 비교에서 USIM의 파일 시스템에 저장된 IMEI 값과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의 IMEI 값 또는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에 저장된 IMSI 값과 USIM의 IMSI 값이 일치할 경우(단계:S83), PICS 제어 에이전트(20)는 슬립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는 정상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면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는 정상적인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분실 시에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습득자가 데이터를 불법 추출할 목적으로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끄거나 서비스 음영 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PICS 운영 시스템은 주기적으로 분실 통보 메시지 또는 동작 제어 메시지를 SMS 또는 특정 채널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다시 켜지는 순간 PICS 에이전트의 서비스 기능들(예컨대 잠금 기능 등)이 활성화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다시 끄거나 배터리를 제거하더라도 다시 전원이 켜지면 PICS 에이전트에서는 이전에 수행하던 작업(예를 들어 다시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등)을 계속 실행할 수 있다. 잠금 기능이 수행되던 중에는 키 입력이 불가능하며, 배터리를 제거해야만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끌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음영 지역에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가 진입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10분 등)이 지속되면 PICS 에이전트의 서비스 기능들이 자동 활성화(상태 제어부 및 기능 제어부 등에 의해 수행)되어 잠금 기능 등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비밀번호를 입력해야만 해제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비밀번호는 사용자가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에 미리 설정한 일반 비밀번호일 수 있으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가 분실 되었을 경우 실행되는 PICS 에이전트의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를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와 구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한정된 사항은 아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2 :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
3 : 클라이언트 단말기
10 :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운영 시스템
12 :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운영 서버
14 : 기지국
16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20 :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어 에이전트
30 :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클라이언트
100 :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시스템

Claims (22)

  1. 서비스 클라이언트에서 서비스 운영 시스템으로 분실 등록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운영 시스템이 상기 분실 등록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가 개인정보제어서비스 제어 메시지임을 식별할 수 있는 서비스 식별 정보를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의 TID(Teleservice ID) 필드 및 데이터 필드 중 어느 하나에 삽입함으로써 SMS 메시지 형태의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구성한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를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제어 에이전트가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상기 제어 에이전트의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실 등록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클라이언트가 사용자로부터의 분실 등록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받은 분실 등록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분실 등록 제어 명령을 상기 서비스 운영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운영 시스템이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가 개인정보제어서비스 제어 메시지임을 식별할 수 있는 서비스 식별 정보를 상기 TID 필드에 삽입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에이전트가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의 상기 TID 필드를 확인하여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가 개인정보제어서비스 제어 메시지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의 데이터 필드를 판독하여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가 분실된 상태임을 알아내는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를 분실 상태로 천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운영 시스템이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가 개인정보제어서비스 제어 메시지임을 식별할 수 있는 서비스 식별 정보를 상기 데이터 필드에 삽입하는 경우,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가 분실되었음을 통보하는 정해진 형식의 분실 통보 정보를 상기 데이터 필드에 더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에이전트가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의 상기 데이터 필드를 확인하여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가 개인정보제어서비스 제어 메시지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의 상기 데이터 필드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가 분실되었음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를 분실 상태로 천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에이전트의 서비스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서비스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서비스 운영 시스템으로 동작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운영 시스템이 상기 동작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SMS 메시지 및 TCP/IP 통신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동작 제어 메시지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구성한 상기 동작 제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에이전트가 상기 동작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동작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명령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에이전트가 상기 제어의 결과를 상기 서비스 운영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운영 시스템이 상기 전송된 상기 제어의 결과를 상기 서비스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10. 서비스 클라이언트;
    서비스 운영 시스템; 및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제어 에이전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클라이언트는 상기 서비스 운영 시스템으로 분실 등록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운영 시스템은 상기 분실 등록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가 개인정보제어서비스 제어 메시지임을 식별할 수 있는 서비스 식별 정보를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의 TID(Teleservice ID) 필드 및 데이터 필드 중 어느 하나에 삽입함으로써 SMS 메시지 형태의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를 구성하고, 상기 구성한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에이전트는 상기 분실 통보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상기 제어 에이전트의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10004851A 2011-01-18 2011-01-18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368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851A KR101368385B1 (ko) 2011-01-18 2011-01-18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851A KR101368385B1 (ko) 2011-01-18 2011-01-18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195A Division KR101094747B1 (ko) 2008-02-28 2008-02-28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553A KR20110013553A (ko) 2011-02-09
KR101368385B1 true KR101368385B1 (ko) 2014-02-28

Family

ID=43773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851A KR101368385B1 (ko) 2011-01-18 2011-01-18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3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766B1 (ko) * 2013-02-01 2015-02-26 주식회사 팬택 원격 보안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404A (ko) * 2000-08-30 2002-03-07 서평원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KR20030031293A (ko) * 2001-10-13 2003-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보안 설정 장치 및 방법
KR20050086980A (ko) * 2005-08-04 2005-08-30 박정일 원격 기능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06483A (ko) * 2005-07-08 2007-01-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 정보 삭제 시스템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404A (ko) * 2000-08-30 2002-03-07 서평원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KR20030031293A (ko) * 2001-10-13 2003-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보안 설정 장치 및 방법
KR20070006483A (ko) * 2005-07-08 2007-01-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 정보 삭제 시스템및 방법
KR20050086980A (ko) * 2005-08-04 2005-08-30 박정일 원격 기능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553A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3901B2 (e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ser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5893169B2 (ja) 携帯電話のための盗難防止保護方法およびデバイス
JP5001380B2 (ja) ワイヤレス通信デバイスをロケーティングし、追跡し、および/または回復する装置および方法
EP2613580B1 (en) System,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cking stolen communication terminal
WO2016101384A1 (zh) 基于双系统切换的数据安全处理方法及装置
US20170264614A1 (en) Security control method for social network user, social application device and terminal
KR20090056908A (ko) 도난된 단말기에서 데이터의 파괴성 독출을 위한 방법
EP1887816B1 (en)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after SIM card withdrawal
CN103345607A (zh) 一种终端数据信息的智能显示方法和装置
CN101616495A (zh) 保护手机中个人隐私的方法及系统
JP2002077372A (ja) 紛失、盗難または悪用される携帯電話の制御および保護方法ならびに装置
CN101772017A (zh) 远程销毁通信终端的信息的方法及其通信终端
EP2911431A1 (en) Communications system,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transition control device, transition control method, and transition control program
CN104185161B (zh) 嵌入式通用集成电路卡、用户签约信息的切换方法和系统
US200802386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ing and recover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788648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CN100571436C (zh) 一种移动终端信息资源安全保障的实现方法
CN105812584A (zh) 一种基于可穿戴设备的信息防盗方法、装置及设备
KR10136838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5307135A (zh) 移动终端及其信息保护方法
KR10109474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및 시스템
KR2007011776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원격 제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97469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개인 정보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및 시스템
KR101525164B1 (ko) 이동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및 그 이동 단말
KR20070122379A (ko)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 추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