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974B1 -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974B1
KR101162974B1 KR1020120029593A KR20120029593A KR101162974B1 KR 101162974 B1 KR101162974 B1 KR 101162974B1 KR 1020120029593 A KR1020120029593 A KR 1020120029593A KR 20120029593 A KR20120029593 A KR 20120029593A KR 101162974 B1 KR101162974 B1 KR 101162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sation
conversation contents
message
receiving terminal
dynamic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일
김인권
임진동
정보원
송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크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크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크리드
Priority to KR1020120029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974B1/ko
Priority to PCT/KR2013/002384 priority patent/WO20131416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12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filtering or selective b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시지 서버가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대화 정보, 즉 대화 내용을 동적 메모리에 메모리 주소를 할당하여 저장하고, 메모리 주소를 참조하여 동적 메모리에서 저장된 대화 내용을 추출하여 수신 단말에 전송을 완료한 후, 동적 메모리 주소를 초기화하는 방식으로 화자 간 대화 내용이 전송되면서도 대화 내용을 저장하지 않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메신저나 SMS 서비스와 같은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서 대화 정보가 메시지 서버 내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자 간 대화내용이 유출되어 개인의 사생활이 침해되거나 대화내용이 범죄에 악용되는 등의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protecting conversation information between speakers from its leaking based on instant messenger}
본 발명은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예컨대 모바일 메신저나 SMS 서비스와 같은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서 대화 정보가 메시지 서버 내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자 간 대화내용이 유출되어 개인의 사생활이 침해되거나 대화내용이 범죄에 악용되는 등의 위험을 제거하도록 한 새로운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스턴트 메신저는 즉각적인 메시지를 중계하는 클라이언트이다. 인스턴트 메신저는 실시간으로 대화가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전자 우편과 다르다. 또한, 대부분의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는 현재 접속해 있고 대화 가능한 목록을 보여주는 접속자 정보 기능을 제공한다. 이것을 흔히 '친구 목록'이라 부른다. 대화를 하는 사람들이 서로 한 줄씩 입력할 때마다 전송이 이루어지며, 따라서 이것은 편지를 교환하는 것보다는 전화 대화를 하는 것과 유사하다.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은 보통 집 전화의 자동 응답 기능과 유사하게 '자리 비움 메시지'를 자동으로 남겨주는 기능을 지원한다. 인터넷을 망으로 이용하여 서비스를 시작한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는 최근 스마트폰의 선풍적인 인기와 보급으로 모바일 환경으로 전이되어 인스턴트 메신저라 하면 흔히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서비스제공자와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흔히 톡 서비스라고 불리고 있고, 기존의 SMS 서비스와 달리 무료로 문자를 전송할 수 있는 장점 이외에도 커뮤니티 그룹 간에 상호 대화가 실시간으로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중 국내외에서 가장 많은 회원을 확보하고 있는 톡 서비스인 카카오톡(KakaoTalk)은 (주)카카오가 2010년 3월 18일 서비스를 시작한 글로벌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이다. 사용자 수는 대한민국 사용자와 해외 사용자 수를 합하여 2011년 4월 1일 1,000만 명, 7월 28일 2,000만 명을 넘어선데 이어, 11월 14일 3,000만 명을 돌파하였고, 2012년 3월 첫주 기준으로는 4,200만명을 넘어섰다.
카카오톡은 무료로 제공되며, 아이폰 사용자는 애플 앱스토어에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는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내려받아 사용할 수 있다. 블랙베리용 카카오톡은 현재 오픈 베타 상태이다.
카카오톡의 주 기능으로, 상대방에게 메시지, 사진, 동영상, 음성, 연락처 등을 전송할 수 있는 기능, 그룹 채팅 또는 채팅방을 통해 여러 명과 함께 대화할 수 있는 기능, 아이디로 친구 찾기가 가능한 기능,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몰라도 카카오톡 아이디를 알면 그 상대방과 대화할 수 있는 기능, 또한 내 연락처에 카카오톡을 쓰고 있는 사용자가 있으면 자동으로 그 사용자를 등록해 주는 친구 자동 등록 기능 등을 포함한다.
MIM(모바일 인스턴트 메시지)의 변화 트렌드를 살펴보면, 국내 대표 모바일 메신저인 카카오톡의 이러한 변화는 앞으로 국내 모바일 메신저 시장이 어떻게 진화되어 갈지 짐작할 수 있게 하며, 실제 다른 비지니스에도 많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가급적 많은 회원수를 확보하고 커뮤니티를 형성하게 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산업,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이윤 창출의 효율성 증대에만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어, 무료로 문자를 전송하고 상호 채팅하는 내용들이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사업자의 서버에 그대로 저장되어 심각한 개인정보 유출 위험성 내포와 사생활 침해의 우려도 낳고 있다.
한편, SMS는 통신 회사의 서버에 데이터로 3-6개월 저장하도록 규정되어 있어 신상 노출문제와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침해의 문제가 내재되어 있고, 개인 간의 대화내용이 공개되어 악용될 소지가 있다. 이는 정부에서 규제하여 어느 정도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이 적으나, 카카오톡, 올레톡 등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소위 톡 서비스는 현재까지 이러한 의무규정 및 개인정보 유출 제한에 대한 규제 규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특히,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는 개인 정보 노출을 극대화하는 영업 정책 및 기술적인 문제로 서버에 대화내용의 데이터가 남을 수 밖에 없는 태생적 한계가 있어, 개인 정보, 사생활 및 대화내용의 노출위험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에서 메시지 서버(13)는 발신 단말(11)로부터의 발신 메시지에 포함된 대화 내용과 대화 로그를 모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정적 저장장치(132)에 저장하고, 이러한 정적 저장장치(132)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대화 내용을 수신 단말(15)로 전송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정적 저장장치(132)에 저장된 대화 내용 등의 정보가 항상 접근이 가능하며 이를 삭제하여도 다층 레이어 구조로 복원이 가능하여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및 대화내용 유출방지에 매우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문제를 감안하여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및 대화내용 유출방지 기술이 소개되고 있으나, 이들 종래기술들은 비밀번호나 공개키를 이용하기 때문에 이용시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공개키를 부여받아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대화 상대방이 제한되어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35078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75786호 등).
따라서, 대화 상대방이 제한되지 않고 많은 사람에게 무료 문자 전송 및 채팅을 가능하게 하는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의 장점을 살리면서도 화자 간 대화 내용은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업체의 서버에 흔적을 남기지 않도록 하는 모바일 대 모바일의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대화내용이 서버에 임의로 저장됨에 따른 사용자의 불안감이나 의구심을 해소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도 증대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제공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개발을 거듭한 결과, 메시지 서버가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대화 내용을 동적 메모리에 메모리 주소를 할당하여 저장하고, 메모리 주소를 참조하여 동적 메모리에서 저장된 대화 내용을 추출하여 수신 단말에 전송을 완료한 후, 동적 메모리 주소를 초기화하는 방식으로 화자 간 대화 내용을 저장하지 않으면서 인스턴트 메신저의 장점을 최대한 살린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 및 시스템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35078호 (2001.05.0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75786호 (2007.07.24)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바일 메신저나 SMS 서비스와 같은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서 대화 정보가 메시지 서버 내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자 간 대화내용이 유출되어 개인의 사생활이 침해되거나 대화내용이 범죄에 악용되는 등의 위험을 제거하도록 한 새로운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메시지 서버가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대화 정보, 즉 대화 내용을 동적 메모리에 메모리 주소를 할당하여 저장하고, 메모리 주소를 참조하여 동적 메모리에서 저장된 대화 내용을 추출하여 수신 단말에 전송을 완료한 후, 동적 메모리 주소를 초기화하는 방식으로 화자 간 대화 내용이 전송되면서도 대화 내용을 저장하지 않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동적 메모리(dynamic memory)"는 정상 상태에서는 정보 유지 능력이 없는 소자를 이용하여 주기적인 재주입 등으로 정보를 유지하는 기억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한 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모든 동적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정적 저장장치(static storage)"는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가 공간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시간에 대해서 이동도 변화도 하지 않는 저장 장치로서 일정 주기로 리플레시(reflesh)를 할 필요가 없어 동적 메모리와 대비되는 저장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정적 램(static RAM)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모든 정적 저장장치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은,
(a) 발신 단말이 통신망을 통해 메시지 서버로, 대화 내용을 포함하는 발신 메시지를 발신하여, 수신 단말로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하는 단계와,
(b) 상기 메시지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의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발신 메시지에 포함된 대화 내용을 동적 메모리에 메모리 주소를 할당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c) 상기 메시지 서버는 상기 메모리 주소를 참조하여 상기 동적 메모리에서 저장된 대화 내용을 추출하여 상기 수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d) 상기 메시지 서버는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상기 대화 내용의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면 상기 동적 메모리의 주소를 초기화하여 상기 동적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대화 내용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에 상기 메시지 서버는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상기 대화 내용의 확인 요청을 받으면 상기 (c)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서버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시간 마다 상기 동적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대화 내용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일정한 시간은 메시지 서버의 관리자가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이 발신 단말이나 수신 단말을 이용하여 메시지 서버에 로그인한 후 메시지 서버가 제공하는 설정 메뉴에 따라 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이나 상기 수신 단말의 전원이 끊어지면 각각 상기 발신 단말 상 또는 상기 수신 단말 상에 표시되는 대화 내용이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서 대화 정보가 메시지 서버 내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자 간 대화내용이 유출되어 개인의 사생활이 침해되거나 대화내용이 범죄에 악용되는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의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발신 메시지에 포함된 대화 내용을 동적 메모리에 메모리 주소를 할당하여 저장하고, 상기 발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로그정보는 정적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로그 정보가 정적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동적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대화 내용이 삭제된 경우에도 상기 수신 단말에 예를 들어 "12월 12일 12시 12분 12초에 A에게서 메시지가 전송된 내역이 있습니다"와 같은 로그 정보를 송신할 수 있어,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를 위해 대화 정보가 삭제된 경우라도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의 발신 메시지의 발신 사실을 추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부득이 한 사정이나 무선 통신망의 사각 지대에 있는 경우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여 대화 정보가 삭제되더라도 로그 정보에 의해 추후 발신자와 발신 시간을 확인하여 대화를 시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시스템은,
수신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수신 단말과 연결되고, 동적 메모리와 정적 저장장치를 구비하는 메시지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상기 메시지 서버로, 대화 내용을 포함하는 발신 메시지를 발신하여,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하는 발신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메시지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의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발신 메시지에 포함된 대화 내용을 상기 동적 메모리에 메모리 주소를 할당하여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 주소를 참조하여 상기 동적 메모리에서 저장된 대화 내용을 추출하여 상기 수신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상기 대화 내용의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면 상기 동적 메모리의 주소를 초기화하여 상기 동적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대화 내용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의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발신 메시지에 포함된 대화 내용을 상기 동적 메모리에 메모리 주소를 할당하여 저장한 후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상기 대화 내용의 확인 요청을 받으면 상기 메모리 주소를 참조하여 상기 동적 메모리에서 저장된 대화 내용을 추출하여 상기 수신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서버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시간 마다 상기 동적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대화 내용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일정한 시간은 메시지 서버의 관리자가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이 발신 단말이나 수신 단말을 이용하여 메시지 서버에 로그인한 후 메시지 서버가 제공하는 설정 메뉴에 따라 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이나 상기 수신 단말의 전원이 끊어지면 각각 상기 발신 단말 상 또는 상기 수신 단말 상에 표시되는 대화 내용이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르면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서 대화 정보가 메시지 서버 내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자 간 대화내용이 유출되어 개인의 사생활이 침해되거나 대화내용이 범죄에 악용되는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의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발신 메시지에 포함된 대화 내용을 동적 메모리에 메모리 주소를 할당하여 저장하고, 상기 발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로그정보는 정적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로그 정보가 정적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동적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대화 내용이 삭제된 경우에도 상기 수신 단말에 예를 들어 "12월 12일 12시 12분 12초에 A에게서 메시지가 전송된 내역이 있습니다"와 같은 로그 정보를 송신할 수 있어,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를 위해 대화 정보가 삭제된 경우라도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의 발신 메시지의 발신 사실을 추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부득이 한 사정이나 무선 통신망의 사각 지대에 있는 경우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여 대화 정보가 삭제되더라도 로그 정보에 의해 추후 발신자와 발신 시간을 확인하여 대화를 시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모바일 메신저나 SMS 서비스와 같은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서 대화 정보가 메시지 서버 내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자 간 대화내용이 유출되어 개인의 사생활이 침해되거나 대화내용이 범죄에 악용되는 등의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시나리오 1인 경우 본 발명의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에 따라 A와 B 사이에 대화 내용이 전송되면서도 대화 내용이 메시지 서버 내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지 않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서 시나리오 2인 경우 본 발명의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에 따라 A로부터 전송된 대화내용에 대해 B 가 수신을 하지 않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대화 내용을 메시지 서버에서 삭제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에 인용된 참고문헌은 본 발명에 참고로서 통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은, 휴대폰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용 휴대 단말들(11, 15)과, 무선전화 통신망 및/또는 무선 인터넷망과 같은 통신망(12, 14)을 통해 개인용 휴대 단말들 간에 메시지를 중계 전송할 수 있는 메시지 서버(13)를 포함하는 시스템(10)에서 수행될 수 있다(도 2 참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휴대 단말'은 적어도 텍스트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화면과 입력장치를 구비하며, 무선전화망 또는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원격의 서버에 메시지를 전송하여 특정 수신 휴대 단말로 보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의 예로는 스마트폰 또는 피처폰과 같은 휴대폰을 포함한다. 도 2에는 발신 단말(11) 및 수신 단말(15)로서 예시되어 있다.
한편, '발신 단말'이나 '수신 단말'이라는 용어에서 '발신'이나 '수신'이라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한 것으로서, 메시지의 전송에 있어서 시작점과 목표점이라는 일반적인 용어에 불과하며, 특정 단말이 반드시 '발신'만 하는 단말이나 '수신'만 하는 단말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 및 도면에서 사용된 발신 단말(11)은 경우에 따라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단말로서 동작할 수 있고, 수신 단말(15)도 마찬가지로 메시지를 발신하는 발신 단말로서 동작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시스템의 메시지 서버(13)는 종래의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시스템에 포함되는 메시지 서버와 유사한 구성을 취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메시지 서버(13)는 발신 단말(11)과 수신 단말(15) 사이에 오고 가는 대화 내용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영구저장하지 않고, 서비스에 필요한 만큼의 일정한 시간 동안만 일시적으로 저장한다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상세히 설명한다.
메시지 서버(13)는 발신 단말(11)과 수신 단말(15) 사이의 문자나 사진, 동영상, 기타 형식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대화 메시지를 중계하는 메시지 중계 서버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메시지 서버(13)는 동적 메모리(131)와 정적 저장장치(132)를 포함할 수 있는데, 발신 단말(11)로부터의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여 발신 메시지에 포함된 대화정보, 즉 대화 내용을 동적 메모리(131)에 메모리 주소를 할당하여 저장하고, 발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로그정보는 정적 저장장치(132)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동적 메모리(131)에 대화정보, 즉 대화 내용을 저장하는 경우, 메시지 서버(13)가 동적 메모리(131)의 주소를 초기화하는 것으로 동적 메모리(131) 내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내용이 삭제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동적 메모리(131)는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메모리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동적 메모리는 주기적인 재주입 등으로 정보를 유지하는 기억 장치이므로 전원이 끊어지면 정보의 주기적인 재주입이 차단되고 저장된 데이터가 초기화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메시지 서버(13)는 발신 단말(11)로부터의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여 발신 메시지에 포함된 대화 내용을 동적 메모리(131)에 메모리 주소를 할당하여 저장하고, 메모리 주소를 참조하여 동적 메모리(131)에서 저장된 대화 내용을 추출하여 수신 단말(15)에 전송하며, 수신 단말(15)로부터 대화 내용의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면 동적 메모리(131)의 주소를 초기화하여 동적 메모리(131)에 저장되어 있는 대화 내용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메시지 서버(13)는 발신 단말(11)로부터의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여 발신 메시지에 포함된 대화 내용을 동적 메모리(131)에 메모리 주소를 할당하여 저장한 후 수신 단말(15)로부터 대화 내용의 확인 요청을 받으면 메모리 주소를 참조하여 동적 메모리(131)에서 저장된 대화 내용을 추출하여 수신 단말(15)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서버(13)는 예컨대 5시간 또는 10시간과 같이 미리 정해진 일정한 시간 마다 동적 메모리(131)에 저장되어 있는 대화 내용을 규칙적으로 삭제할 수 있고, 이때 삭제되는 일정한 시간은 메시지 서버(13)의 관리자가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이 메시지 서버(13)에 로그인한 후 메시지 서버(13)가 제공하는 설정 메뉴에 따라 조정할 수도 있다.
추가로, 발신 단말(11)이나 수신 단말(15)에 공급되는 전원을 끊었다가 재연결하는 동작을 수행할 때, 동적 메모리(131)는 초기화되고 전원공급 중단 전까지 발신 단말(11) 상 또는 수신 단말(15) 상에 표시되었던 대화 내용은 삭제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시스템(10)은, 1차적으로 메시지 서버(13)가 발신 단말(11)로부터 전송된 대화 정보, 즉 대화 내용을 동적 메모리(131)에 메모리 주소를 할당하여 저장하고, 메모리 주소를 참조하여 동적 메모리(131)에서 저장된 대화 내용을 추출하여 수신 단말(15)에 전송한 후, 수신 단말(15)에서 대화 내용의 수신 완료가 확인되면 동적 메모리(131)의 주소를 초기화하여 동적 메모리(131)에 저장되어 있는 대화 내용을 삭제할 뿐만아니라, 2차적으로는 대화 내용의 전송 완료와 관계없이 미리 정해진 일정한 시간 마다 동적 메모리(131)에 저장되어 있는 대화 내용을 규칙적으로 삭제함으로써, 부득이 한 사정이나 무선 통신망의 사각 지대에 있는 관계로 수신 단말(15)이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는 대화 정보 미삭제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3차적으로는 발신 단말(11) 상 또는 수신 단말(15) 상에 표시되었던 대화 내용 역시 전원을 차단하여 삭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될 수 있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을 하나의 예시로서 설명한다.
도시된 예에서, 발신 단말(11)이 통신망을 통해 메시지 서버(13)로 특정 대화 내용을 포함하는 발신 메시지(이하, '메시지 1'이라 함)를 발신하여 수신 단말(15)로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하는 전송요청단계(S21)가 진행된다. 이 단계는 종래 카카오톡이나 SMS 서비스 시스템과 유사하게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 서버(13)는 발신 단말(11)로부터 '메시지 1'을 수신하여 '메시지 1'에 포함된 대화 내용을 동적 메모리(131)에 메모리 주소를 할당하여 저장하고, '메시지 1'에 포함되는 로그정보는 정적 저장장치(132)에 저장한다(S22). 이 경우, 종래에는 '메시지 1'에 포함된 대화 내용과 대화 로그를 모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정적 저장장치(132)에 저장하고 이러한 정적 저장장치(132)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대화 내용을 수신 단말(15)로 전송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메시지 서버(13)에 대화 내용이 영구저장된 문제점이 있는 반면에, 본 발명의 경우에는 메시지 서버(13)가 '메시지 1'에 포함된 대화 내용을 동적 메모리(131)에 저당하기 때문에 대화 내용은 일시적으로만 저장되고 영구저장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진다.
S22 단계 이후, 선택적으로 메시지 서버(13)는 수신 단말(15) 측으로부터 대화 확인 요청이 있는지 확인하고(S23) 수신 단말(15)로부터 대화 내용의 확인 요청을 받으면(S23의 "예"), 전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 주소를 참조하여 동적 메모리(131)에서 저장된 '메시지 1"의 대화 내용을 추출하여 수신 단말(15)에 전송한다(S24). 한편, 수신 단말(15) 측으로부터 대화 확인 요청이 없으면(S23의 "아니오"), S27 단계로 진행한다. 참고로, S23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S24 단계 이후, 메시지 서버(13)는 수신 단말(15)로부터 '메시지 1'의 대화 내용의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면(S25의 "예"), 동적 메모리(131)의 주소를 초기화하여 동적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 1'의 대화 내용을 삭제한다(S26). 한편, 수신 단말(15)의 '메시지 1'의 대화 내용의 수신 완료가 확인되지 않으면(S25의 "아니오"), S27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S26 단계로 종료되는 시나리오 1의 방법에서는 A와 B 간에 인스턴트 메신저 대화는 이루어지지만 대화 내용이 저장되지 않는다. 즉, 도 4에 도시된 같이, 발신 단말(11)(도 4의 단말기 A에 해당)에서 전송한 "B야 언제 밥 한번 먹을까? (12월 12일 12시 12분 12초)"라는 메시지의 대화 내용은 메시지 서버(13)와 동적 메모리(131)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15)(도 4의 단말기 B에 해당)로 수신되지만 해당 대화 내용은 메시지 서버(13)에 저장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발신 단말(11)과 수신 단말(15) 상에 표시된 "B야 언제 밥 한번 먹을까? (12월 12일 12시 12분 12초)"라는 메시지는 발신 단말(11)과 수신 단말(15) 쪽에서 각각 전원을 끊었다가 재연결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표시화면에서 사라지게 된다.
또한, 수신 단말(15) 측으로부터 대화 확인 요청이 없거나(S23의 "아니오"), 수신 단말(15)의 '메시지 1'의 대화 내용의 수신 완료가 확인되지 않으면(S25의 "아니오") S27 단계로 진행하여 메시지 서버(13)는 '메시지 1'의 대화 내용의 전송완료와 관계없이 예컨대 5시간 또는 10시간과 같이 미리 정해진 일정한 시간 마다 동적 메모리(131)에 저장되어 있는 대화 내용을 규칙적으로 삭제하게 된다(도 3 및 도 5 참조).
예를 들어, 통신망(12, 14)에 장애가 있어 수신 단말(15)에 의한 메시지 수신이 원활하지 않았거나 수신 단말(15)의 배터리가 꺼져 있어 수신이 불가능한 것과 같은 부득이 한 상황이 되더라도, 5시간 또는 10시간과 같이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발신 단말(11)에서 전송된 '메시지 1'의 대화 내용은 자동으로 메시지 서버(13) 내에서 삭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8 단계로 종료되는 시나리오 2의 방법에서는 발신 단말(11)(도 5의 단말기 A에 해당)에서 전송한 "B야 언제 밥 한번 먹을까? (12월 12일 12시 12분 12초)"라는 메시지의 대화 내용이 수신 단말(15)(도 5의 단말기 B에 해당)에 의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으므로 메시지 서버(13)는 대화 내용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동적 메모리(131)에 저장된 위 대화 내용을 삭제하게 된다.
이때, 도 3의 S22 단계에서 로그 정보가 정적 저장장치(132)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동적 메모리(131)에 저장되어 있는 대화 내용이 삭제된 경우에도 수신 단말(15)(도 5의 단말기 B에 해당)에 예를 들어 "12월 12일 12시 12분 12초에 A에게서 메시지가 전송된 내역이 있습니다"와 같은 로그 정보를 송신할 수 있어,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를 위해 대화 정보가 삭제된 경우라도 발신 단말(15)로부터의 발신 메시지의 발신 사실을 추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부득한 사정이나 무선 통신망의 사각 지대에 있는 경우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여 대화 정보가 삭제되더라도 로그 정보에 의해 추후 발신자와 발신 시간을 확인하여 대화를 시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예컨대 모바일 메신저나 SMS 서비스와 같은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서 대화 정보가 메시지 서버 내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자 간 대화내용이 유출되어 개인의 사생활이 침해되거나 대화내용이 범죄에 악용되는 등의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및 상기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및 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에 따라 수정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정 변경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 발신 단말 15: 수신 단말
13: 메시지 서버
131: 동적 메모리 132: 정적 저장장치
12, 14: 통신망

Claims (8)

  1.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에 있어서,
    (a) 발신 단말이 통신망을 통해 메시지 서버로, 대화 내용 및 로그 정보를 포함하는 발신 메시지를 발신하여, 수신 단말로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하는 단계와,
    (b) 상기 메시지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의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발신 메시지에 포함된 대화 내용을 동적 메모리에 메모리 주소를 할당하여 저장하고, 상기 발신 메시지에 포함된 로그 정보를 정적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단계와,
    (c) 상기 메시지 서버는 상기 메모리 주소를 참조하여 상기 동적 메모리에서 저장된 대화 내용을 추출하여 상기 수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d) 상기 메시지 서버는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상기 대화 내용의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면, 대화 내용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동적 메모리의 주소를 초기화하여 상기 동적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대화 내용을 삭제하는 단계와,
    (e) 상기 메시지 서버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수신 단말에 의해 상기 대화 내용이 수신되지 않을 때, 대화 내용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동적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대화 내용을 삭제하되, 상기 정적 저장장치에 저장된 로그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이나 상기 수신 단말의 전원이 끊어지면 각각 상기 발신 단말 상 또는 상기 수신 단말 상에 표시되는 대화 내용이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
  4. 삭제
  5.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수신 단말과 연결되고, 동적 메모리와 정적 저장장치를 구비하는 메시지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상기 메시지 서버로, 대화 내용 및 로그 정보를 포함하는 발신 메시지를 발신하여,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하는 발신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메시지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의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발신 메시지에 포함된 대화 내용을 상기 동적 메모리에 메모리 주소를 할당하여 저장하며 상기 발신 메시지에 포함된 로그 정보를 상기 정적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 주소를 참조하여 상기 동적 메모리에서 저장된 대화 내용을 추출하여 상기 수신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상기 대화 내용의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면, 대화 내용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동적 메모리의 주소를 초기화하여 상기 동적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대화 내용을 삭제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수신 단말에 의해 상기 대화 내용이 수신되지 않을 때, 대화 내용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동적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대화 내용을 삭제하되, 상기 정적 저장장치에 저장된 로그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시스템.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이나 상기 수신 단말의 전원이 끊어지면 각각 상기 발신 단말 상 또는 상기 수신 단말 상에 표시되는 대화 내용이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시스템.
  8. 삭제
KR1020120029593A 2012-03-22 2012-03-22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 및 시스템 KR101162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593A KR101162974B1 (ko) 2012-03-22 2012-03-22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 및 시스템
PCT/KR2013/002384 WO2013141639A1 (ko) 2012-03-22 2013-03-22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593A KR101162974B1 (ko) 2012-03-22 2012-03-22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2974B1 true KR101162974B1 (ko) 2012-07-09

Family

ID=46716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593A KR101162974B1 (ko) 2012-03-22 2012-03-22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62974B1 (ko)
WO (1) WO20131416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5653B2 (en) 2017-11-29 2020-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ducting dialo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4820A1 (en) * 2014-04-24 2015-10-29 Idis Technology Ip Ltd Private messaging application and associated method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5077B1 (ko) * 1996-12-06 1999-06-15 정선종 셀룰라 시스템의 단문서비스 센터 데이타베이스에 대한 단문메세지 삭제 방법
KR100613077B1 (ko) 2004-12-20 2006-08-1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효기간을 갖는 단문 메시지를 통한개인정보 보호 방법
KR100834496B1 (ko) 2006-06-30 2008-06-02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위피 기반에서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8374A (ko) * 2006-06-12 2007-12-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JP4374027B2 (ja) * 2007-01-15 2009-12-02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メールプロキシサー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5077B1 (ko) * 1996-12-06 1999-06-15 정선종 셀룰라 시스템의 단문서비스 센터 데이타베이스에 대한 단문메세지 삭제 방법
KR100613077B1 (ko) 2004-12-20 2006-08-1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효기간을 갖는 단문 메시지를 통한개인정보 보호 방법
KR100834496B1 (ko) 2006-06-30 2008-06-02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위피 기반에서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5653B2 (en) 2017-11-29 2020-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ducting dialog
US11315567B2 (en) 2017-11-29 2022-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ducting dialo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41639A1 (ko) 201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6030B2 (en) Communications system for residents of secure facility
US9374690B2 (en) Generating conversation threads for a unified messaging system
US9148397B2 (en) Messaging object generation for synchronous conversation threads
US9515976B2 (en) Proxied outgoing message transmission
US1041937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layed notifications in communications networks
US20180262902A1 (en) Managing multiple communication profiles at a mobile device
KR20160035197A (ko) 자동 방 삭제 기능을 갖는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US117114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contact lists on an electronic device that is unavailable or unusable
KR101162974B1 (ko) 인스턴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화자 간 대화내용 유출방지 방법 및 시스템
CN102132594A (zh) 通信认证
JP2005033565A (ja) メールおよびスケジュール機能付き携帯電話
JP6458125B2 (ja) セキュリティチャットサービス提供方法、セキュリティチャット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通信端末、及びチャットアプリケーション
KR100913193B1 (ko) 복수 개의 이종 메신저 서비스들과 이종 비메신저 서비스들 간의 양방향 메시지 서비스 중계 장치
KR101547995B1 (ko) 개인정보보안이 강화된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US10754986B2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selectively shared access modes and incoming communication
JP7190764B2 (ja) 通話システム、通話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500247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ed communications based upon contact relationships
KR101242515B1 (ko) 멀티 로그인을 이용하여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022792B1 (ko) 문자 대화를 지원하는 장치 및 문자 대화 서비스 방법
KR101595524B1 (ko)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공용 휴대폰 관리 시스템
JP6749645B2 (ja) 通話システム、通話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30011816A (ko) 개인 연락처 노출 방지를 위한 전자명함 서비스 시스템
KR101718952B1 (ko) 안심통화를 위한 사전 위험도 제공장치
US20200076945A1 (en) Inbound call to chat
TWI594614B (zh) Method and system of situation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