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960B1 -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보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보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960B1
KR100600960B1 KR1020040023383A KR20040023383A KR100600960B1 KR 100600960 B1 KR100600960 B1 KR 100600960B1 KR 1020040023383 A KR1020040023383 A KR 1020040023383A KR 20040023383 A KR20040023383 A KR 20040023383A KR 100600960 B1 KR100600960 B1 KR 100600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personal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ignal
information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8373A (ko
Inventor
전용옥
김기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23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960B1/ko
Publication of KR20050098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6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comprising a suspension strap or lanyar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TA 신호를 이용하여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개인 정보를 삭제시킴으로써,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 정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보호 방법에 관한 것으로, ARS 시스템/서버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개인 정보 보호 서비스를 신청받는 과정과;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실제 소유자인 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실제 소유자이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접속이 처음인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접속이 처음인 경우에는, 상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를 수신하여 모든 개인 정보를 삭제하는 상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내에 긍정 응답 신호를 전송받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OTA 신호, 분실, 개인 정보 보호, 원격 제어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보호 방법{METHOD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보호 방법이 구현되는 이동 통신망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보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이동 통신 단말기, 20. 기지국, 30. BSC,
40. MSC, 50. ARS 시스템/서버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보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보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전화 통화 기능을 벗어나, 단말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일정 관리, 메모, 전화 번호부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일정 관리, 메모, 전화 번호부 등의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분실하게 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사용자 개인의 정보뿐만 아니라 전화 번호부에 저장되어 있는 적게는 몇 개에서 많게는 수천 개의 개인 정보가 제3자에게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분실했을 때 개인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기설정된 비밀 번호 입력시에만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그러나, 잠금 기능에 사용되는 비밀 번호가 4자리의 숫자로 이루어지므로, 비밀 번호가 유출되거나, 불법적인 비밀 번호 생성을 통해 제3자가 비밀 번호를 획득하게 되는 경우에는 제3자에게 개인 정보가 노출될 가능성이 있으며, 단말기 사용자가 비밀 번호를 설정해 놓지 않은 상태에서 분실했을 경우에는 개인 정보가 무방비 상태로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OTA 신호를 이 용하여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개인 정보를 삭제시킴으로써,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 정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보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보호 방법은, ARS 시스템/서버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개인 정보 보호 서비스를 신청받는 과정과;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실제 소유자인 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실제 소유자이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접속이 처음인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접속이 처음인 경우에는, 상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를 수신하여 모든 개인 정보를 삭제하는 상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내에 긍정 응답 신호를 전송받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OTA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OTA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OTA 신호가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인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OTA 신호가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OTA 신호를 송신한 상기 ARS 시스템/서버로 긍정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에 의거하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개인 정보를 삭제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접속이 처음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긍정 응답 신호를 수신했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긍정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개인 정보 보호 서비스를 이미 수행했음을 상기 단말기 사용자에게 알리고, 상기 긍정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를 재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긍정 응답 신호를 전송받지 못하게 되면, 상기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 전송을 대기하고 있다가 상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위치 등록을 수행하면, 상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 상기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를 재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보호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보호 방법이 구현되는 이동 통신망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로, 이동 통신 단말기(10), 기지국(20), BSC(Base Station Controller)(30), MSC(Mobile Switching Center)(40),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시스템/서버(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전원을 인가받아 초기화를 수행한 후, 기지국(20)을 통해 MSC(40)로 위치 등록을 요구하고, 기지국(20)을 통해 전송받은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Over The Air) 신호에 의거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개인 정보를 삭제한다.
기지국(20)은 셀 내에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가입자에게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BSC(30)는 여러 개의 기지국(20)과 정합하여, 셀간 핸드오프 처리, 호 제어, 기지국의 운용과 유지 보수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MSC(40)는 교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HLR(미도시)과 정보를 교환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신호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BSC(30)와 정합한다.
ARS 시스템/서버(50)는 유선 전화, 타 이동 통신 단말기,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망을 통해 접속한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 정보에 대한 보호를 요청하는 개인 정보 보호 서비스를 신청받으면, MSC(40)를 통해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저장되어 있는 개인 정보에 대한 보호를 명령하는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를 전송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보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 도 2는 ARS 시스템/서버 관점에서의 동작 설명이고, 도 3은 이동 통신 단말기 관점에서의 동작 설명이다.
우선, 이동 통신 단말기를 분실한 단말기 사용자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 유선 전화,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망을 통해 ARS 시스템/서버(50)의 분실 코너에 접속을 수행한 후,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 정보에 대한 보호를 요청하는 개인 정보 보호 서비스를 신청하게 되는 데,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분실한 단말기 사용자가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나, 유선 전화,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망을 통해 ARS 시스템/서버(50)의 분실 코너에 접속하면(S10), ARS 시스템/서버(50)는 단말기 사용자가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 정보에 대한 보호를 요청하는 개인 정보 보호 서비스를 신청하는 지를 판단한다(S12).
상기한 과정 S12의 판단결과 해당 단말기 사용자가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 정보에 대한 보호를 요청하는 개인 정보 보호 서비스를 신청하면, ARS 시스템/서버(50)는 개인 정보 보호 서비스를 신청한 단말기 사용자가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실제 소유자, 즉, 정당한 사용자인 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망을 통해 접속된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S14),
상기한 과정 S14를 통해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한 결과, 개인 정보 보호 서비스를 신청한 단말기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가 아닌 경우에는, 개인 정보 보호 서비스를 신청한 단말기 사용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신청할 권한이 없음을 알린다(S16, S18).
한편, 상기한 과정 S14를 통해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한 결과, 개인 정보 보호 서비스를 신청한 단말기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이면, ARS 시스템/서버(50)는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한 단말기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MIN 정보, ESN 정보 등)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S20), 상기한 과정 S14를 통해 사용자 인증 절차를 마친 단말기 사용자의 접속이 처음인 지를 판단한다(S22).
상기한 과정 S22의 판단결과 상기한 과정 S14를 통해 사용자 인증 절차를 마친 단말기 사용자의 접속이 처음인 경우에는, 단말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개인 정보 보호를 요구하는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를 MSC(40), BSC(30), 기지국(20)을 통해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S24).
상기한 과정 S24를 통해 ARS 시스템/서버(50)로부터 OTA 신호 형태로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를 전송받은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기지국(20), BSC(30), MSC(40)를 통해 ARS 시스템/서버(50)로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개인 정보를 삭제하겠다는 긍정 응답(ACK) 신호를 전송하고, 개인 정보 보호 명령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개인 정보를 삭제하는 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진행한다.
이후, ARS 시스템/서버(50)는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를 전송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내에 긍정 응답(ACK) 신호를 수신받으면, 긍정 응답(ACK) 신호를 수신했음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여 저장한다(S26, S28).
한편,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어, ARS 시스템/서버(50)가 전송한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를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가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ARS 시스템/서버(50)로 긍정 응답(ACK) 신호를 송신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기설정된 시간 내에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긍정 응답(ACK)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면, ARS 시스템/서버(50)는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 전송을 대기하고 있다가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전원을 인가받아 위치 등록을 수행하면,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로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를 재전송한다(S30).
한편, 상기한 과정 S22의 판단결과 상기한 과정 S14를 통해 사용자 인증 절차를 마친 단말기 사용자의 접속이 처음이 아닌 경우에는,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긍정 응답(ACK) 신호를 수신했는 지를 판단한다(S32).
상기한 과정 S32의 판단결과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긍정 응답(ACK)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개인 정보 보호 서비스를 이미 수행했음을 단말기 사용자에게 알린다(S34).
한편, 상기한 과정 S32의 판단결과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긍정 응답(ACK)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한 과정 S24로 진행하여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를 MSC(40), BSC(30), 기지국(20)을 통해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한편,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ARS 시스템/서버(50)로부터 OTA 신호 형태로 전송받은 개인 정보 보호 명령에 의거하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개인 정보를 삭제시킴으로써, 개인 정보가 제3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전원을 새로 인가받으면(S40), 기지국(20) 및 BSC(30)를 통해 MSC(40)로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S42), 기지국(20)을 통해 OTA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S44), 수신한 OTA 신호를 분석하여(S46), 수신한 OTA 신호가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인 지를 판단한다(S48).
상기한 과정 S48의 판단결과 수신한 OTA 신호가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인 경우에는, OTA 신호를 송신한 ARS 시스템/서버(50)로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개인 정보를 삭제하겠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긍정 응답(ACK) 신호를 전송하고(S52), 개인 정보 보호 명령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개인 정보를 삭제시킨다(S54).
한편, 상기한 과정 S48의 판단결과 수신한 OTA 신호가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S50).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보호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 시스템 프로토콜인 Is-95b부터 Is-2000에 이르기까지의 기능에 추가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CDMA 망뿐만 아니라 GSM이나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 망 등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보호 방법에 따르면, OTA 신호를 이용하여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개인 정보를 삭제시킴으로써,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 정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개인 정보 노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피해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ARS 시스템/서버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개인 정보 보호 서비스를 신청받는 과정과;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실제 소유자인 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실제 소유자이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접속이 처음인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접속이 처음인 경우에는, 상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를 수신하여 모든 개인 정보를 삭제하는 상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내에 긍정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내에 긍정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긍정 응답 신호를 수신했음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여 저장하고, 상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내에 긍정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를 전송 대기하고 있다가 상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위치 등록을 수행하면, 상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 상기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를 재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보호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OTA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OTA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OTA 신호가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인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OTA 신호가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OTA 신호를 송신한 상기 ARS 시스템/서버로 긍정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에 의거하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개인 정보를 삭제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보호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접속이 처음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긍정 응답 신호를 수신했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긍정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개인 정보 보호 서비스를 이미 수행했음을 상기 단말기 사용자에게 알리고, 상기 긍정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 개인 정보 보호 명령 OTA 신호를 재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보호 방법.
  4. 삭제
KR1020040023383A 2004-04-06 2004-04-06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보호 방법 KR100600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383A KR100600960B1 (ko) 2004-04-06 2004-04-06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보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383A KR100600960B1 (ko) 2004-04-06 2004-04-06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보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373A KR20050098373A (ko) 2005-10-12
KR100600960B1 true KR100600960B1 (ko) 2006-07-13

Family

ID=37277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383A KR100600960B1 (ko) 2004-04-06 2004-04-06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보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9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695B1 (ko) * 2005-09-28 2012-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를 메시지를 이용하여 관리하기 위한 방법
KR100737803B1 (ko) * 2005-12-09 2007-07-10 (주)팜미디어 이동통신 단말기용 사용자 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와 이를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기록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293A (ko) * 2001-10-13 2003-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보안 설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293A (ko) * 2001-10-13 2003-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보안 설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373A (ko) 200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604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data in wireless devices
EP1827049B1 (en) Authentication vector generating device, subscriber authentication modul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vector generation method
CN1102016C (zh) 一个移动通信中禁止滥用一个复制的用户识别码
CN1157982C (zh) 通用移动电话业务的安全进程
RU2636679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устройство аутентификации, центр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и система связи
JP4776283B2 (ja) 無線lan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4636289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コアネットワーク、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その収容ネットワーク選択方法
CN101563944A (zh) Imsi处理系统
CN1947453A (zh) 未经许可的移动接入信令的改进的用户认证
FI20001252A (fi) Menetelmä matkaviestinverkon kautta pakettidataverkkoon kytketyn päätelaitteen paikkatiedon käsittelemiseksi
KR100834270B1 (ko) 이동통신 기반의 가상사설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이를 위한 이동단말기
CN1134200C (zh) 无线电网络传信的完整性保护方法
CN100576956C (zh) 通过归属位置寄存器修改的移动终端身份保护
KR100507394B1 (ko) 부정 시스템 액세스를 감소시키는 방법
KR10060096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보호 방법
CN104469772A (zh) 一种网点设备认证方法、装置及认证系统
US20020042820A1 (en) Method of establishing access from a terminal to a server
JP2000184462A (ja) 移動局からサ―ビス・サ―バへのアクセス方法、並びに、それに対応する移動局における加入者識別モジュ―ル及び端末
KR100218674B1 (ko) 개인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 호이력카운트 갱신 처리방법
KR100790496B1 (ko) 인증키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를 위한 인증 방법,시스템 및 기록매체
CN101176368A (zh) 移动终端合法性的识别方法
KR100821168B1 (ko) 교환장치에서의 인증 벡터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그교환장치
KR100620734B1 (ko) 분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정보 보호 방법
KR101263211B1 (ko) 안심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4303697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内部情報の保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