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0320A -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0320A
KR20070060320A KR20050119608A KR20050119608A KR20070060320A KR 20070060320 A KR20070060320 A KR 20070060320A KR 20050119608 A KR20050119608 A KR 20050119608A KR 20050119608 A KR20050119608 A KR 20050119608A KR 20070060320 A KR20070060320 A KR 20070060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ireless
wired
subscrib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119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8953B1 (ko
Inventor
전진희
정용배
김종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050119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953B1/ko
Publication of KR20070060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0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95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 제공여부에 대한 정보연동과 실제 컨텐츠 정보의 연동을 분리한다. 실시간 호처리에 부하를 주지 않는 컨텐츠 제공여부에 대한 정보는 일반호를 처리하는 호처리정보(ISUP의 uui필드)에 실어서 보낸다. 실시간 호처리 정보에 실려오는 컨텐츠 제공여부에 대한 정보를 통해서 착신측 망에서는 컨텐츠 제공이 필요한 호임을 인지하고 발신망으로 착신자에게 표시할 컨텐츠를 서버간 연동 혹은 착신단말-서버간 연동을 통해서 요청한다. 착신측 망에서는 연동을 통해서 수신한 발신자 정보(애칭, 상호)를 착신자의 단말에 표시해 준다. 이렇게 본 발명에서는 현재의 유무선 망구조 하에서 사업자별로 개별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발신자 정보제공 서비스를 사업자간 연동을 통해서 유무선이 통합된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
CID, 발신자, FSK, 인터넷

Description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Fixed-Mobile interconnection CID information service devic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을 유선망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을 유, 무선망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발신자 정보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통화에 있어서 발신자의 정보를 착신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로 가장 일반화되어 있는 서비스는 발신 번호 표시(CID) 서비스이다. 하지만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만으로는 개인에게 있어서의 다양한 자기 표현 및 기업의 고객홍보 욕구를 만족시켜 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를 보완하기 위 해서 유무선 사업자들은 발신 가입자가 미리 등록한 간단한 애칭, 상호 및 홍보문안을 착신자의 단말에 표시해주는 서비스를 개별 사업자별로 자사망내에서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면, 에스케이텔레콤의 경우 레터링 서비스, 케이티에프의 경우에는 IAM 서비스, 케이티의 경우에는 네임표시 서비스 등이 있다.
하지만 이 서비스들은 자사망에서 타사망으로 착신되는 경우에는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고 있으며 제공되는 컨텐츠도 제한된 수자의 문자로 한정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현재의 유무선 망구조 하에서 사업자별로 개별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발신자 정보 제공 서비스를 사업자간 연동을 통해서 유무선이 통합된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컨텐츠를 발신자 정보로 제공하는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무선 레터링 서버와 연계하여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로서,
유선 가입자의 발신정보를 저장하는 유선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유선 가입자의 발신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무선 레터링 서버와 연계하여 무선 가입자의 발신 정보를 제공하는 발신정보 컨텐츠 서버;
무선 가입자의 단말로부터 유선 가입자로 호가 시도되면, 상기 발신정보 컨텐츠 서버로 상기 무선 단말의 발신 정보를 요청하는 톨/텐덤 교환기;
상기 톨 텐덤 교환기로부터 발신 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발신정보 컨텐츠 서버로부터 발신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유선 가입자의 유선 단말로 송신하는 로컬 교환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발신정보 컨텐츠 제공 서버와 연계하여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로서,
무선 가입자의 발신정보를 저장하는 무선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상기 무선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무선 가입자의 발신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발신정보 컨텐츠 제공 서버와 연계하여 유선 가입자의 발신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레터링 서버;
유선 가입자의 단말로부터 무선 가입자로 호가 시도되면, 상기 무선 레터링 서버로 상기 유선 단말의 발신 정보를 요청하는 이동통신 교환기;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로부터 발신 번호 및 발신 정보를 수신하여 착신자의 무선 단말로 송신하는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은,
네트워크망을 통해 외부의 무선 레터링 서버와 연계하여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교환기가 무선 가입자의 단말로부터 유선 가입자로 호가 시도되면, 발신정보 컨텐츠 서버로 상기 무선 단말의 발신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발신 정보 컨텐츠 서버가 상기 무선 레터링 서버로 상기 무선 단말기의 발신 정보를 요청하고, 발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교환기가 상기 발신 정보 컨텐츠 서버로부터 발신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유선 가입자의 유선 단말로 발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은,
네트워크망을 통해 발신정보 컨텐츠 제공 서버와 연계하여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유선 가입자의 단말로부터 무선 가입자로 호가 시도되면, 이동통신 교환기가 무선 레터링 서버로 상기 유선 단말의 발신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무선 레터링 서버가 상기 발신정보 컨텐츠 제공 서버에 유선 가입자의 발신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단계;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를 통해 상기 무선 레터링 서버로부터 발신 정보를 수신하고, 착신자의 무선 단말로 상기 발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 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연동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연동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는, 로칼 교환기(102), 톨/텐덤(Toll/Tandem) 교환기(103), 유선 관문 교환기(104), 발신정보 컨텐츠 서버(105), 인터넷 연동 게이트웨이(106, GW), 웹 서버(107), 기지국 제어기(201), 이동통신 교환기(202), 무선 관문교환기(203), 무선 레터링 서버(204), 무선망 인터넷 연동 게이트웨이(205), 유선 가입자 데이터베이스(108), 무선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08)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각 무선 도는 유선 사업자가 일부를 분리하여 운영할 수도 있고, 전체를 하나의 사업자가 운영할 수도 있다.
유선 단말(100)은 문자정보나 그림, 사진 등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유선 전화기이다. 가입자 PC(101)는 웹서버(107)에 접속해서 자신이 발송할 컨텐츠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해주는 PC로서 웹브라우져 등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로칼 교환기(102)는 유선 가입자 단말(100)이 연결되어 있는 교환기로 타 망으로 유선 사업자 정보와 발신정보 서비스에 관한 가입여부 등의 서비스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필요에 따라 서비스 정보는 기본 가입으로 간주하여 생략할 수도 있다. 톨/텐덤 교환기(103)는 관문 교환기(104)로 사업자 정보와 서비스 정보를 전달하거나 발신정보 컨텐츠 서버(105)로 발신정보를 요청한다. 관문 교환기(104)는 무선망으로 사업자 정보와 서비스정보를 전달하거나, 무선망에서 수신되는 정보를 톨/텐덤 교환기(103)로 전달한다. 유선 가입자 데이터베이스(108)는 가입자의 유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정보 컨텐츠를 저장한다. 발신정보 컨텐츠는 문자정보나 그림, 사진 등이 될 수 있다. 발신정보 컨텐츠 서버(105)는 톨/텐덤 교환기(103) 또는 인터넷 연동 게이트웨이(106)의 발신정보 요청에 대해 유선 가입자 데이터베이스(108)를 검색하여 발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인터넷 연동 게이트웨이(106)는 무선망으로의 발신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 혹은 이동망으로의 발신정보 요청 등의 역할을 하고, 웹서버(107)의 정보 등록 정보를 무선 레터링 서버(204) 또는 발신정보 컨텐츠 서버(105)로 전달하여 각 데이터베이스(108. 208)에 저장하도록 한다. 웹 서버(107)는 유선 또는 무선 가입자가 가입자 PC(101)등을 이용하여 접속해서 자신의 발신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웹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무선 단말(200)은 호가 착신될 때 발신번호 및 발신정보가 표시된다. 기지국 제어기(201)는 무선 단말(200)로 발신번호를 포함한 발신정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고, 무선 단말(200의 호 요청을 이동 통신 교환기(2020로 전달한 다. 이동통신 교환기(202)는 무선 관문교환기(203)로부터 받은 호를 처리하며 사업자 정보와 서비스정보를 통해 무선 레터링서버(204)로 발신 정보 서비스를 요청한다. 무선 관문교환기(203) 무선통신의 관문으로서 유선 관문교환기(104)로부터 받은 사업자 정보와 서비스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202)로 전달한다. 무선 레터링 서버(204)는 이동통신교환기(202)로부터의 서비스요청을 무선망 인터넷 연동 게이트웨이(205)를 통한 연동을 통해서 발신정보를 받아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무선망 인터넷 연동 게이트웨이(205)는 발신정보연동을 위한 게이트웨이로서 인터넷 연동 게이트웨이(106)와 연동되어 서비스 요청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가입자는 상기 무선 레터링 서버(204) 및 발신정보 컨텐츠 서버(105)는 발신 정보를 무선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08) 및 유선 가입자 데이터베이스(108)에 웹서버(107)를 통해 발신정보를 등록시킬 때, 수신자를 그룹별로 저장하여 발신 정보를 다르게 할 수도 있고, 요일별, 시간대별로 다른 발신 정보가 표시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발신정보를 여러가지 옵션에 따라 가입자가 등록한 발신정보를 착신자의 유선 또는 무선 단말로 전달해 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무선 망간 연동 및 무선 레터링 서버(204)와 발신정보 컨텐츠 서버(105)간 연동을 통하여 유무선 통합 발신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며, 유선 및 무선에 각각 발신자의 컨텐츠(애칭, 상호) 정보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환경에서 유선발신-무선착신의 경우에는 유선 발신가입자 컨텐츠를 무선가입자의 단말에 표시해주고, 무선발신-유선착신 및 무선발신-무선발신의 경우에는 무선 발신 가입자의 컨텐츠를 착신측 유선단말에 표시해 주게 된다. 이때, 발신 정보 제공여부에 대한 서비스 정보는 유무선 망간 연동(ISUP)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실제로 단말에 표시할 발신 정보 즉, 컨텐츠는 서버(105, 204)간 연동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을 유선망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유선망 내부에서의 유선 단말(100)간의 발신 정보 서비스 처리절차를 나타내고 있으며, 로칼 교환기(102)를 발신쪽과 착신쪽으로 분리하여 설명한다.
먼저, 발신정보 서비스에 가입한 발신자가 호를 시도한다.
그러면, 발신자의 발신 로칼 교환기(102-1)에서 호를 톨/텐덤 교환기(103)로 전달한다(S211).
다음, 톨/텐덤 교환기(103)는 착신가입자의 착신 로칼 교환기(102-2)로 IAM메시지의 UUI(User-to-User Information)필드에 발신정보 서비스 가입여부를 나타내는 서비스정보와 사업자 정보를 실어 보낸다(S212). 이때, 메시지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IAM 메시지 외에 다른 메시지가 될 수도 있고, 필드도 특정 필드가 될 수도 있다.
그러면, 착신 가입자쪽 착신 로칼 교환기(102-2)에서 서비스 정보를 보고, 발신정보를 요청하는 발신정보 서비스 트리거 메시지(InitialDP)를 발신정보 컨텐 츠 서버(105)로 송신한다(S213). 이때, 발신정보 서비스 트리거 메시지(InitialDP)는 다른 이름의 메시지일 수도 있으며, 같은 기능을 수행하면 된다.
이후, 발신 정보 컨텐츠 서버(105)에서 서비스 구분자, 사업자 정보, 발신번호, 착신번호를 통해서 발신 가입자의 발신정보 메시지를 검색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발신자의 발신번호만을 가지고 검색을 할 수도 있다.
검색이 완료되면, 발신 정보 컨텐츠 서버(105)는 착신 로컬 교환기(102-2)로 발신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 즉, ContinueWithArguement메시지의 genericName필드에 발신정보를 실어서 전달한다(S214).
그러면, 착신 로칼교환기(102-2)에서 발신정보 컨텐츠 서버(105)로부터 전달받은 발신 정보와 발신 번호를 포함한 메시지를 착신자의 단말로 FSK(Frequency Shift Keying)변조를 통해 전달하고, 착신자의 유선 단말(100)에는 발신자의 발신 번호 및 발신 정보가 표시된다.
이상에서는 유선망에서의 발신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유무선망에서 발신정보가 표시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을 유무선망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유선 발신에서 무선착신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유선 발신 정보 서비스에 가입한 발신자가 유선 단말(100)로 호를 시도한다.
그러며, 발신자의 로칼교환기(102)는 톨/텐덤 교환기(103), 유선 관문 교환기(104) 및 무선 관문 교환기(203)를 거쳐 이동 통신 교환기(202)로 IAM메시지의 UUI필드에 서비스정보와 사업자 정보를 실어 보낸다(S311~314).
그러면, 이동 통신 교환기(202)는 서비스 정보를 보고, 무선 레터링서버(204)로 발신정보 서비스 요청을 트리거한다(S315).
이후, 무선 레터링 서버(204)가 TCP/IP망을 통해서 무선망 인터넷 연동 게이트웨이(205) 및 인터넷 연동 게이트웨이(106)를 통해 발신번호를 발신정보 컨텐츠 서버(105)로 전송하고 유선 가입자의 발신자 정보를 요청한다(S316).
발신정보 컨텐츠 서버(105)는 유선 가입자 데이터베이스(108)를 검색하여 발신번호에 대응하는 발신 정보를 검색하여 무선레터링서버(204)로 인터넷 연동 게이트웨이(106) 및 무선망 인터넷 연동 게이트웨이(205)를 통해 발신정보를 메시지로 송신한다(S317).
다음, 무선 레터링 서버(204)에서 착신 무선가입자의 이동 통신 교환기(202)로 발신정보 메시지를 전달한다(S318)
그러면, 이동 통신 교환기(202)가 기지국 제어기(201)를 통해 착신무선단말(200)로 발신정보 메시지를 송출하고, 무선 단말(200)에는 발신번호 및 발신정보가 표시된다(S319, S320).
이러한 과정에 의해 유선 단말에서 무선 단말로 발신정보 표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무선 단말에서 유선 단말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먼저, 무선 발신자가 무선 단말(200)을 이용하여 유선 가입자에게 호를 시도한다.
그러면, 기지국 제어기(201)를 통해 이동 통신 교환기(202)에서 관문교환기 (104, 203) 및 톨/텐덤 교환기(103)를 거쳐 착신 유선가입자 로칼교환기(102)로 IAM메시지의 UUI필드에 서비스정보와 사업자 정보를 실어 보낸다(S331~S335).
그리고 나서, 착신 유선 가입자의 로칼 교환기(102)에서 서비스정보를 보고, 발신정보 컨텐츠 서버(105)로 무선레터링서비스를 트리거한다(S336).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톨/텐덤 교환기(103)가 무선 레터링 서비스를 트리거할 수도 있다.
이후, 발신정보 컨텐츠 서버(105)는 TCP/IP망의 인터넷 연동 게이트웨이(106) 및 무선망 인터넷 연동 게이트웨이(205)를 통해 무선 레터링서버(204)로 발신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S338).
그러면, 무선레터링서버(204)는 무선망 인터넷 연동 게이트웨이(205) 및 인터넷 연동 게이트웨이(106)를 통해 발신정보 컨텐츠 서버(105)로 발신정보를 포함한 레터링메시지를 송신한다(S339).
그러면, 발신정보 컨텐츠 서버(105)는 착신 로칼 교환기(102)로 발신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달한다.
그리고 나서, 로칼 교환기(102)가 착신 유선단말(100)로 레터링 메시지를 송출하고, 유선 단말(100)에는 발신정보가 표시된다. 필요에 따라 발신 번호를 표시해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무선 연동 발신정보 서비스를 통해서 유선사업자 혹은 무선사업자 개별망 내에서만 제공되고 있는 발신자 컨텐츠를 다양화하여 유무선이 통합된 서비스로 제공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발신정보와 발신번 호중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제공할 수도 있고, 발신정보를 홍보용으로 제작하여 홍보 욕구가 강한 소호 및 소규모 기업의 자사홍보용 서비스로 차별화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무선 망간 연동 및 서버간 연동을 통하여 유무선 통합 발신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유선 및 무선에 각각 발신자의 컨텐츠 정보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환경에서 유선발신-무선착신의 경우에는 유선 발신가입자 컨텐츠를 무선가입자의 단말에 표시해주고, 무선발신-유선착신 및 무선발신-무선발신의 경우에는 무선 발신가입자의 컨텐츠를 착신측 단말에 표시해 주는 유무선 연동 발신 표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여부에 대한 정보는 유무선 망간 연동(ISUP)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실제로 단말 에 표시할 컨텐츠는 서버간 연동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유무선 연동 발신정보 서비스를 통해서 유선사업자 혹은 무선사업자 개별망 내에서만 제공되고 있는 발신자 컨텐츠(애칭, 상호) 들을 유무선이 통합된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고, 유선사업자의 경우 홍보욕구가 강한 소호(SOHO)및 소규모 기업의 자사홍보용으로 발신정보 서비스를 차별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네트워크망을 통해 외부의 무선 레터링 서버와 연계하여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로서,
    유선 가입자의 발신정보를 저장하는 유선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유선 가입자의 발신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무선 레터링 서버와 연계하여 무선 가입자의 발신 정보를 제공하는 발신정보 컨텐츠 서버;
    무선 가입자의 단말로부터 유선 가입자로 호가 시도되면, 상기 발신정보 컨텐츠 서버로 상기 무선 단말의 발신 정보를 요청하는 톨/텐덤 교환기;
    상기 톨 텐덤 교환기로부터 발신 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발신정보 컨텐츠 서버로부터 발신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유선 가입자의 유선 단말로 송신하는 로컬 교환기를 포함하는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정보는 문자, 그림, 사진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망과 사업자 정보 및 발신자 정보 표시여부에 관한 서비스 정보를 통신하는 유선 관문 교환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톨/텐덤 교환기는 상기 서비스 정보에 따라 발신자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발신자 정보를 등록받기 위한 웹서버;
    상기 웹서버의 등록 정보를 상기 발신자 정보 컨텐츠 서버로 전달하는 인터넷 연동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하는 유무선 발신자 정보 제공장치.
  5. 네트워크망을 통해 발신정보 컨텐츠 제공 서버와 연계하여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로서,
    무선 가입자의 발신정보를 저장하는 무선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상기 무선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무선 가입자의 발신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발신정보 컨텐츠 제공 서버와 연계하여 유선 가입자의 발신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레터링 서버;
    유선 가입자의 단말로부터 무선 가입자로 호가 시도되면, 상기 무선 레터링 서버로 상기 유선 단말의 발신 정보를 요청하는 이동통신 교환기;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로부터 발신 번호 및 발신 정보를 수신하여 착신자의 무선 단말로 송신하는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는 유무선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망과 사업자 정보 및 발신자 정보 표시여부에 관한 서비스 정보를 통신하는 무선 관문 교환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는 상기 서비스 정보에 따라 발신자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발신자 정보를 등록받기 위한 웹서버;
    상기 웹서버의 등록 정보를 상기 무선 레터링 서버로 전달하는 무선망 인터넷 연동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하는 유무선 발신자 정보 제공장치.
  8. 네트워크망을 통해 외부의 무선 레터링 서버와 연계하여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교환기가 무선 가입자의 단말로부터 유선 가입자로 호가 시도되면, 발신정보 컨텐츠 서버로 상기 무선 단말의 발신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발신 정보 컨텐츠 서버가 상기 무선 레터링 서버로 상기 무선 단말기의 발신 정보를 요청하고, 발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교환기가 상기 발신 정보 컨텐츠 서버로부터 발신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유선 가입자의 유선 단말로 발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발신자 정보를 웹서버가 등록받아 상기 발신자 정보 컨텐츠 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무선 발신자 정보 제공방법.
  10. 네트워크망을 통해 발신정보 컨텐츠 제공 서버와 연계하여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유선 가입자의 단말로부터 무선 가입자로 호가 시도되면, 이동통신 교환기가 무선 레터링 서버로 상기 유선 단말의 발신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무선 레터링 서버가 상기 발신정보 컨텐츠 제공 서버에 유선 가입자의 발신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단계;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를 통해 상기 무선 레터링 서버로부터 발신 정보를 수신하고, 착신자의 무선 단말로 상기 발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KR20050119608A 2005-12-08 2005-12-08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738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9608A KR100738953B1 (ko) 2005-12-08 2005-12-08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9608A KR100738953B1 (ko) 2005-12-08 2005-12-08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320A true KR20070060320A (ko) 2007-06-13
KR100738953B1 KR100738953B1 (ko) 2007-07-12

Family

ID=38356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119608A KR100738953B1 (ko) 2005-12-08 2005-12-08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9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410B1 (ko) * 2007-07-10 2009-07-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기반의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레터링 서비스 서버
KR100948989B1 (ko) * 2007-08-16 2010-03-30 에스케이텔링크 주식회사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044048B1 (ko) * 2008-10-10 2011-06-23 (주)티아이스퀘어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3146A (ja) * 1994-05-10 1995-1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発信者情報通知システム
KR100924423B1 (ko) * 2002-12-12 2009-10-29 주식회사 케이티 발신번호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
KR20040067134A (ko) * 2003-01-21 2004-07-30 주식회사 에스브이엘 발신자 정보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신자 정보제공방법
KR100591893B1 (ko) * 2003-06-17 2006-06-2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무선 단말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를 다른 유무선 단말로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584640B1 (ko) * 2004-03-02 2006-05-3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유선 전화에 대한 발신 정보 제공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410B1 (ko) * 2007-07-10 2009-07-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기반의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레터링 서비스 서버
KR100948989B1 (ko) * 2007-08-16 2010-03-30 에스케이텔링크 주식회사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044048B1 (ko) * 2008-10-10 2011-06-23 (주)티아이스퀘어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105807B1 (ko) * 2008-10-10 2012-01-17 (주)티아이스퀘어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측 단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105815B1 (ko) * 2008-10-10 2012-01-17 (주)티아이스퀘어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측 단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8953B1 (ko) 200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045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bscriber-initiated information over the short message service (SMS) or a microbrowser
US73800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wired data voice over IP data and wireless data through a common IP core network
US661478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s (SS) in an integrated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82239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alternate path routing and redundancy based on cost sensitive network selection
AU2008362914B2 (en) Regional zone based mobile charging
US20060052095A1 (en) Communication method, system, devices and software arranged to operate in this system and devices
US20090225972A1 (en) Voiding calls to signal supplementary services
WO2006066485A1 (fr) Procede permettant d'afficher des informations d'appel sur un terminal utilisateur appele
CN101180908B (zh) 专用路由控制号码
EP2241098B1 (en) A method of and an arrangement for call establishment between an internet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a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KR100738953B1 (ko)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010003092A1 (en) System and method relating to private telecommunication systems
KR100526684B1 (ko) 번호 이동성 서비스에서 사업자 정보 제공방법
KR101105807B1 (ko)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측 단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1568197A (zh) 电话签名业务实现方法及其系统和装置
KR100751679B1 (ko) Sms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11113B1 (ko)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정보제공 장치,기록매체, 정보 저장매체
KR101108130B1 (ko) 네트워크에서 ussd를 이용한 발신자 식별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I117034B (fi) Menetelmä jonotuspalvelun toteuttamiseksi
FI117583B (fi) Raportointijärjestelmä
KR20030033571A (ko) 확장 발신자표시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20100137677A (ko) 전국대표번호 착신 서비스에서 VoIP사업자 서버를 경유하지 않고 VoIP폰으로 호를 연결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030589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call and communication transactions and offering reporting services and a computer program for collecting call and communication transactions
KR20080000765A (ko) 유,무선 착신통화전환 식별번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60033972A (ko) 무선통신망을 통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발신자 표시서비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