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048B1 -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048B1
KR101044048B1 KR1020080129003A KR20080129003A KR101044048B1 KR 101044048 B1 KR101044048 B1 KR 101044048B1 KR 1020080129003 A KR1020080129003 A KR 1020080129003A KR 20080129003 A KR20080129003 A KR 20080129003A KR 101044048 B1 KR101044048 B1 KR 101044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lated information
caller
signal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0644A (ko
Inventor
임재실
이길수
Original Assignee
(주)티아이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아이스퀘어 filed Critical (주)티아이스퀘어
Publication of KR20100040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9Special adaptations of TCP, UDP or IP for interworking of IP based networks with othe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및 이동통신망 네트워크와 연결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에서 SS7 ISUP 신호 또는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측의 발신자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전송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발신자 관련 정보, 공중전화망, 이동통신망, 이름 정보, 통신망, 연동

Description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ALLER RELATED INFORMATION TO RECEIVING TERMINAL WITH INTERWORKING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S}
본 발명은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신측 또는 착신측 단말을 포함하는 공중전화망 네트워크와 착신측 또는 발신측 단말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네트워크와 연결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에서 SS7 ISUP 신호 또는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서비스의 급속한 확대와 함께, 여러 가지 형태의 부가 서비스가 널리 제안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다양한 부가 서비스의 형태 중에서 착신측 단말로 발신자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존재한다. 예컨대, 발신자 정보 제공 서비스는 서비스 중의 하나로서 발신자의 정보 예컨대, 발신자의 이름이나 자체 설정한 인사 문구 등을 착신자에게 전송하여 착신자가 호에 응답하기 전까지 착신자의 단말 화면에 출력되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를 포함하는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는 동일한 이동 통신 사업자 내의 고객끼리만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또한, 공중전화망을 이용하는 가입자의 발신자 관련 정보를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전달하거나, 기업 고객의 발신자 관련 정보를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선망의 가입자 정보를 이동통신사업자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별도로 접속하여 저장시킨 후에 서비스를 제공받아야 하는 문제점 역시 존재하고 있었다.
최근에는 모바일 통신을 이용한 광고 활동 등이 발전하고 있는바, 유선 전화망과 이동통신망 사이에서 별도의 설정 없이 각 단말의 사용자 관련 정보를 상대방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한계점 및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서로 다른 통신망 서비스 제공업체 사이에서 발신자 관련 정보를 망간에 연동하여 착신측 단말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통신망 서비스 제공업체 사이에서 발신자 관련 정보를 망간에 연동하여 착신측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해당 서비스의 사용을 활성화시키고, 보다 효율적인 광고 방법을 제공하는 동시에 발신자 관련 정보를 볼 수 있는 것에 의하여 원치않는 스팸 전화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통신망 서비스 제공업체 사이에서 발신자 관련 정보를 망간에 연동하여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것은 물론, 그와 함께 멀티미디어 부가 서비스 정보 예컨대, 발신자의 위치 정보나 오늘의 날씨 정보 등도 함께 전송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통신망 서비스 제공업체 사이에서 발신자 관련 정보를 망간에 연동하여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것은 물론, 발신자 관련 정보를 수신한 착신자가 발신자 관련 정보를 손쉬운 조작에 의하여 자신의 정보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신측 단말이 결합하는 공중전화망 네트워크와 착신측 단말이 결합하는 이동통신망 네트워크와 연결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에서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중전화망 네트워크로부터 발생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와 연동하여 발신측 단말의 발신자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추출한 발신자 관련 정보가 포함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가 포함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 네트워크에서는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단계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단말이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에만 상기 공중 전화망 네트워크에서 발생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단계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발신자 관련 정보는 ISUP 신호 IAM 메시지의 UUI 변수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발신측 단말이 결합하는 이동통신망 네트워크와 착신측 단말이 결합하는 공중전화망 네트워크와 연결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에서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 네트워크로부터 발생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제1 단계-여기서,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에는 상기 발신측 단말의 발신자 관련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 상기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발신측 단말의 발신자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공중전화망 네트워크로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공중전화망 네트워크에서는 상기 단말 정보 서버에 저장된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단계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단말이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가입자인 경우에만 상기 이동통신망 네트워크에서 발생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단계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는 ISUP 신호 IAM 메시지의 UUI 변수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공중전화망 네트워크에서 상기 단말 정보 서버에 저장된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 호출 신호와 함께 FSK(Frequency Shift Keying) 신호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발신측 단말이 결합하는 공중전화망 네트워크와 착신측 단말이 결합하는 이동통신망 네트워크와 연결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에서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 네트워크로부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여기서,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는 공중전화망 네트워크에서 전송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부터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되며, 상기 발신측 단말이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의미함; 상기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 상기 수신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를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응답 신호를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통신망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는 상기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단계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단말이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는 ISUP 신호 IAM 메시지의 UUI 변수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발신측 단말이 결합하는 이동통신망 네트워크와 착신측 단말이 결합하는 공중전화망 네트워크와 연결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에서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중전화망 네트워크로부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여기서,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는 이동통신망 네트워크에서 전송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부터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되며, 상기 발신측 단말이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의미함; 상기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를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응답 신호를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는 상기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단계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단말이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는 ISUP 신호 IAM 메시지의 UUI 변수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내부의 이름 정보 서버에서 상기 단말 정보 서버에 저장된 발신측 단말의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 호출 신호와 함께 FSK(Frequency Shift Keying) 신호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발신측 단말, 단말 정보 서버 및 망 연동 교환기를 포함하는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적어도 착신측 단말, 단말 정보 서버 및 망 연동 교환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및 상기 공중전화망 네트워크로부터 발생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상기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와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발신자 관련 정보가 포함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가 포함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 네트워크에서는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발신측 단말, 단말 정보 서버 및 망 연동 교환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적어도 착신측 단말, 단말 정보 서버 및 망 연동 교환기를 포함하는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및 상기 이동통신망 네트워크로부터 발생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하고-여기서,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에는 상기 발신측 단말의 발신자 관련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 상기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공중전화망 네트워크로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공중전화망 네트워크에서는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에 저장된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발신측 단말, 단말 정보 서버 및 망 연동 교환기를 포함하는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적어도 착신측 단말, 단말 정보 서버 및 망 연동 교환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및 상기 이동통신망 네트워크로부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여기서,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는 공중전화망 네트워크에서 전송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부터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되며, 상기 발신측 단말이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의미함, 상기 공중전화망 네트워크에 포함된 단말 정보 서버로 상기 수신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를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그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응답 신호를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된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에서는 상기 수신한 응답 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발신측 단말, 단말 정보 서버 및 망 연동 교환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적어도 착신측 단말, 단말 정보 서버 및 망 연동 교환기를 포함하는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및 상기 공중전화망 네트워크로부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여기서,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는 이동통신망 네트워크에서 전송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부터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되며, 상기 발신측 단말이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의미함;, 상기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를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그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응답 신호를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된 응답 신호를 수신한 상기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에서는 상기 수신한 응답 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는 발신측 단말의 이름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는 발신측 단말이 설정한 멀티미디어 부가 서 비스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부가 서비스 정보는, 상기 발신측 단말의 위치 정보, 상기 발신측 단말이 설정한 멀티미디어 광고 정보 및 상기 발신측 단말이 설정한 날씨, 뉴스 및 운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신측 단말의 발신자 관련 정보가 상기 착신측 단말에 전송된 이후에, 상기 착신측 단말은 유무선 인터넷 또는 ARS(Automatic Response System)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의 착신자 관련 정보로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통신망 서비스 제공업체 사이에서 발신자 관련 정보를 망간에 연동하여 착신측 단말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통신망 서비스 제공업체 사이에서 발신자 관련 정보를 망간에 연동하여 착신측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해당 서비스의 사용을 활성화시키고, 보다 효율적인 광고 방법을 제공하는 동시에 발신자 관련 정보를 볼 수 있는 것에 의하여 원치않는 스팸 전화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통신망 서비스 제공업체 사이에서 발신자 관련 정보를 망간에 연동하여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것은 물론, 그와 함께 멀티미디어 부가 서비스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 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통신망 서비스 제공업체 사이에서 발신자 관련 정보를 망간에 연동하여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것은 물론, 발신자 관련 정보를 수신한 착신자가 발신자 관련 정보를 손쉬운 조작에 의하여 자신의 정보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의 망 구성도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40)은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를 포함하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는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 및 이동통신망 네트워크(30)와 연결된다.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는 상기 각 통신망 사이에서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는 발신측 단말이 속한 네트워크 망과 착신측 단말이 속한 다른 네트워크 망과의 사이에서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전송한다. 따라서, 발신자 관련 정보는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 측에서 이동통신망 네트워크(30) 측으로 전송될 수도 있으며, 이동통신망 네트워크(30) 측에서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 측으 로 전송될 수도 있다.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에서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경우 2가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첫째는 망 연동 프로토콜인 SS7(Signaling System No.7) ISUP(Inter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er Part)의 메시지 IAM(Initial Address Message)의 UUI(User-to-user Information)에 정보를 담아 전송하는 방법이며, 둘째는 각 네트워크 망에 속해있는 단말 정보 서버 간에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으로 연동하여 이름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단말 정보 서버는 해당 네트워크 망에 속해있는 단말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서버를 의미하며, 단말 정보는 예컨대, 단말의 이름 정보이거나 단말 사용자가 설정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일 수 있다. 발신자 관련 정보가 이름 정보인 경우에는 단말 정보 서버는 이름 정보 서버(CNAP, Calling NAme Presentation)의 기능을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SS7 ISUP 신호를 이용한 망 간의 연동 흐름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발명장치(이하,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라 한다)는 각 통신망의 외부 연동 교환기(IGS, CGS 등)와 SS7 ISUP 신호 및 각 통신망의 단말 정보 서버와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연동한다. 발신측 단말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 신호가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인입하면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는 발신망의 단말 정보 서버와 TCP/IP로 연동하여 발신측 단말의 발신자 관련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SS7 ISUP의 IAM 메시지 UUI 변수에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를 저장하여 착신망 측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착신망 측에서는 수신한 발 신측 단말의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에게 제공한다.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망 간의 연동 흐름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는 각 통신망의 단말 정보 서버와 TCP/IP 신호를 이용해 연동한다. 호 연결 요청 신호가 일반적인 방법으로 발신망 측에서 발생하여 망 간의 교환기를 거쳐서 착신망 측으로 인입되면, 착신망 측에서는 발신측이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 요청하는 신호를 착신망 측의 단말 정보 서버로 전송한다. 착신망 측의 단말 정보 서버는 발신측 단말의 정보가 로컬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에 발신자 인증을 요청하고,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는 발신망 측의 단말 정보 서버에 발신자 인증을 요청하여 그 결과를 수신하고, 이를 다시 착신망 측의 단말 정보 서버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착신망 측에서는 수신한 결과에 포함된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망 측의 착신 단말에게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은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 이동통신망 네트워크(30) 및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 및 이동통신망 네트워크(30)는 각 통신망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들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개념에 해당하며, 사용자 간에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 단말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정보 서버 및 서로 다른 통신망 간의 연동을 가능하게 하는 망 연동 교환기를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는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와 이동통신망 네트워크(30) 사이에서 발신측 단말의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의 구체적인 기능은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 또는 이동통신망 네트워크(30) 중 어느 쪽이 발신측이 되는지에 따라 달라지며, 또한 SS7 ISUP 신호 또는 TCP/IP 신호 중 어느 신호를 이용하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이하 각각의 케이스의 경우에 대하여 살펴본다.
발신측이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이며,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는 상기 공중전화망 네트워크로부터 발생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상기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와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발신자 관련 정보가 포함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가 포함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 네트워크(30)에서는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발신측이 이동통신망 네트워크(30)이며,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는 상기 이동통신망 네트워크로부터 발생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하고-여기서,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에는 상기 발신측 단말의 발신자 관련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 상기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공중전화망 네트워크로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에서는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에 저장된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발신측이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이며,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는 상기 이동통신망 네트워크(30)로부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여기서,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는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에서 전송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부터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되며, 상기 발신측 단말이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의미함, 상기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에 포함된 단말 정보 서버로 상기 수신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를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그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응답 신호를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로부터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된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에서는 상기 수신한 응답 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발신측이 이동통신망 네트워크(30)이며,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는 상기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로부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여기서,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는 이동통신망 네트워크에서 전송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부터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되며, 상기 발신측 단말이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의미함;, 상기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를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그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응답 신호를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된 응답 신호를 수신한 상기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에서는 상기 수신한 응답 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는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전송하기 위하여 각 경우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의 망 구성도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명장치(이하,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라 한다)는 다양한 네트워크 망과 연결될 수 있는바, 각 네트워크 망은 통신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들을 내부에 포함하고 있다. 도 3에서는 발신자 관련 정보로서 이름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때 단말 정보 서버는 이름 정보(CNAP) 서버 기능을 하도록 설정된다.
공중전화망 네트워크는 일반 유선 단말, 착신 LE(Local Exchange), 망간 연동하는 교환기인 IGS(Interconnection Gateway Switch), 단말의 이름 정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이름 정보(CNAP) 서버 등을 포함하고, 인터넷전화망 네트워크는 교환 시스템인 SSW(Soft Switch), 인터넷전화망과 타 망과의 연동하는 장비인 VoIP GW(GAteway) 및 이름 정보 서버 등을 포함한다. 음성 및 영상 이동통신망은 이동통신망과 타 망과 연동하는 교환기인 CGS(CDMA Gateway Switch), 단말기의 위치를 등록하는 HLR(Home Location Register), 무선망을 제어하는 장치인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및 BSC(Base Station Controller), 단말의 이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이름 정보 서버 및 휴대전화와 무선망으로 통신하는 장치인 Node B(UMTS Base Station) 및 BTS(Base Transceiver Station)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는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망 간의 연동을 SS7 ISUP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 및 TCP/IP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자세한 방법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발신측 단말이 결합하는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와 착신측 단말이 결합하는 이동통신망 네트워크(30)와 연결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에서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에 포함된 발신측 단말로부터 발생한 호 연결 요청 신호가 발생한다(S100). 여기서, 호 연결 요청 신호는 발신측 단말에서 착신측 단말로의 통화 연결 요청을 의미한다.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는 호 연결 요청 신호가 발생한 경우, 발신측 단말이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가입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110). 발신측 단말이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는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호 연결 요청 신호를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로 전송한다(S120).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는 공중 전화망 네트워크(20)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 발신측 단말의 발신자 관련 정보를 요청한다(S130 및 S140). 공중전화망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에서는 발신자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S150), 추출한 정보를 다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로 전송한다(S160).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는 추출된 발신자 관련 정보를 ISUP 신호의 IAM 메 시지의 UUI 변수에 담아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 네트워크(30)로 전송한다(S170 및 S180).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로부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 네트워크(30)에서는 착신측 단말에 상기 수신한 발신자 관련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190).
도 5는 발신측 단말이 결합하는 이동통신망 네트워크(30)와 착신측 단말이 결합하는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와 연결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에서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이동통신망 네트워크(30)에 포함된 발신측 단말로부터 착신측 단말로의 호 연결 요청 신호가 발생한다(S200).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의 발생을 탐지한 이동통신망 네트워크(30)는 발신측 단말이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가입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S210), 가입자로 확인된 경우 발신자 관련 정보가 포함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S220), 이를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로 전송한다(S230). 이때, 발신자 관련 정보는 ISUP 신호의 IAM 메시지의 UUI 변수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는 이동통신망 네트워크(30)로부터 전송된 발신자 관련 정보가 포함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S240), 착신측 단말을 포함하는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로 상기 수신한 호 연결 요청 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관련 정보를 저장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250). 저장 요청 신호 를 수신한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는 내부에 포함된 단말 정보 서버에 상기 전송된 발신자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S260),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다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로 전송한다(S270). 다음으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는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호 연결 요청 신호를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로 전송하고(S280),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에서는 내부에 포함된 단말 정보 서버에 저장된 발신자 관련 정보를 가져와서 착신측 단말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단말 정보 서버에 저장된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 호출 신호와 함께 FSK(Frequency Shift Keying) 신호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발신측 단말이 결합하는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와 착신측 단말이 결합하는 이동통신망 네트워크(30)와 연결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에서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는 호 연결 요청 신호가 발생한 경우(S300), 발신측 단말이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확인하고, 서비스 가입자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ISUP 신호의 IAM 메시지의 UUI 변수에 발신측 단말이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가입자임을 표시하고(S310), 상기 정보를 포함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이동통신망 네트워크(30)로 전송한다(S320).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 네트워크(30)는 발신측 단말이 타망 가 입자인 경우,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에 발신측 단말이 서비스 가입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것을 요청한다(S330 및 S340).
상기 요청 신호를 수신한 단말 정보 서버는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인증 요청 신호를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로 전송한다(S350). 상기의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는 이를 다시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한다(S360 및 S370). 다음으로,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는 상기 인증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다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로 전송한다(S380 및 S390).
이때, 응답 신호에는 발신자 관련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는 이를 다시 이동통신망 네트워크(30)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한다(S400 및 S410). 이동통신망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에서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관련 정보가 착신측 단말로 전송되는 것에 의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는 착신 단말에 출력된다(S420).
도 7은 발신측 단말이 결합하는 이동통신망 네트워크(30)와 착신측 단말이 결합하는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와 연결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에서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우선 이동통신망 네트워크(30)는 호 연결 요청 신호가 발생한 경우(S500), 발신측 단말이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확인하고, 서비스 가입자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ISUP 신호의 IAM 메시지의 UUI 변수에 발신측 단말이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가입자임을 표시하고(S510), 상기 정보를 포함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로 전송한다(S520).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는 발신측 단말이 타망 가입자인 경우,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에 발신측 단말이 서비스 가입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것을 요청한다(S530 및 S540).
상기 요청 신호를 수신한 단말 정보 서버는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인증 요청 신호를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로 전송한다(S550). 상기의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는 이를 다시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한다(S560 및 S570). 다음으로, 이동통신망 네트워크(30)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는 상기 인증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다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로 전송한다(S580 및 S590).
이때, 응답 신호에는 발신자 관련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40)는 이를 다시 공중전화망 네트워크(20)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한다(S600 및 S610). 공중전화망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에서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관련 정보가 착신측 단말로 전송되는 것에 의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는 착신 단말에 출력된다(S620).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에 제공하는 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도 8 내지 도 11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정리하여 보면, IGS(Interconnection Gateway Switch)는 공중전화망 네트워크와 타망과 연동하는 교환기를 의미하며, CGS(CDMA Gateway Switch)는 이동통신망 네트워크와 타망과 연동하는 교환기를 의미하며, HLR(Home Location Register)은 단말기의 위치를 등록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CNAP(Calling NAme Presentation) 서버는 이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이름 정보 서버를 의미하는 용어로서 사용된다. 즉, 도 8 내지 도 11에 있어서, 이름 정보 서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단말 정보 서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도 8 내지 도 11은 상기 도 4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자 관련 정보가 발신측 단말의 이름 정보인 경우에 각 네트워크 내부에서의 세부 흐름을 자세히 알아보기 위한 도면에 해당함을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도 8은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공중전화망 네트워크에서 이동통신망 네트워크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통 신망 간에 연동하여 이름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순서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공중전화망 네트워크에 포함된 발신측 단말이 이동통신망 네트워크에 포함된 착신측 단말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발생한다. 호가 발생되면 호 연결 요청 신호는 공중전화망 내부의 교환기를 거쳐 IGS 교환기로 인입된다. IGS 교환기는 지능망을 통해 발신자 인증을 수행하고, 발신측 단말이 이름 정보 제공 서비스 가입자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발명 장치(이하,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라 한다)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라우팅한다.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는 공중전화망 네트워크의 이름 정보(CNAP) 서버와 연동하여 발신측 단말의 이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이름 정보를 ISUP 신호 IAM 메시지의 UUI 변수에 담아 이동통신망의 CGS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라우팅한다.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의 CGS는 내부의 HLR에 착신측 단말의 위치 정보를 질의한다. 다음으로, HLR은 MSC에 착신측 단말의 위치 정보를 질의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과정을 거쳐, 이동통신망 네트워크의 CGS는 ISUP 신호 IAM 메시지의 UUI 변수에 발신측 단말의 이름 정보를 담아 이동통신망 네트워크의 MSC로 전송한다. 이러한 정보를 수신한 MSC는 페이지(page) 신호에 발신측 단말의 이름 정보를 담아 착신측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발신측 단말의 이름 정보가 담긴 신호를 수신한 착신측 단말은 착신측 단말 사용자가 응답할 때까지 착신측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발신측 단말의 이름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도 9은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 네트워크에서 공중전화망 네트워크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이름 정보를 착신측 단말에 제공하는 순서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우선 이동통신망 네트워크에 포함된 발신측 단말이 공중전화망 네트워크에 포함된 착신측 단말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발생한다. 호 연결 요청 신호가 발생하면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내부의 MSC는 HLR에 발신자 인증을 요청하여 그 결과를 수신한다. 또한, MSC는 HLR에 발신측 단말의 가입 정보를 요청하여 그 결과를 수신한 후, 발신측 단말이 이름 정보 서비스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발신측 단말이 이름 정보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이동통신망 내부의 이름 정보(CNAP) 서버에 발신측 단말의 이름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발신측 단말의 이름 정보가 포함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발명 장치(이하,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라 한다)로 라우팅한다.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는 공중전화망의 이름 정보(CNAP)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발신측 단말의 이름 정보를 착신망의 이름 정보(CNAP) 서버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는 공중전화망의 IGS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SS7 ISUP 신호를 이용하여 라우팅한다.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공중전화망의 IGS는 착신 LE(Local Exchange)까지 호 연결 요청 신호를 라우팅한다. 그리고, 착신 LE는 착신측 단말에 호출 신호와 함께 FSK(Frequency Shift Keying) 신호 방식으로 발신측 단말의 이름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발신측 단말의 이름 정보를 수신한 착신측 단말에서는 착신자가 응답할 때까지 착신측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발신측 단말의 이름 정보를 표시한다.
도 10은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공중전화망 네트워크에서 이동통신망 네트워크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이름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순서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우선 공중전화망 네트워크에 포함된 발신측 단말이 이동통신망 네트워크에 포함된 착신측 단말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발생한 호 연결 요청 신호는 공중전화망 내부의 교환기를 거쳐 IGS 교환기로 인입된다. 다음으로, IGS 교환기는 지능망을 통하여 발신자 인증을 수행하고, 발신측 단말이 이름 정보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ISUP 신호 IAM 메시지의 UUI 변수에 발신자가 이름 정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표시하여 이동통신망의 CGS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라우팅한다.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CGS는 이동통신망 내부의 이름 정보(CNAP) 서버에 발신측 단말이 이름 정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이름 정보 서비스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이름 정보(CNAP) 서버는 상기 발신측 단말이 타망의 가입자라는 것을 확인한 후, 발명 장치(이하,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라 한다)에 이름 정보 서비스 인증 요청 신호를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상기 신호를 수신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는 공중전화 망 내부의 이름 정보(CNAP) 서버에 상기 이름 정보 서비스 인증 요청 신호를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그 결과를 수신한다. 상기 결과에는 발신측 단말의 이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는 다시 이동통신망 내부의 이름 정보(CNAP) 서버에 상기 공중전화망 내부의 이름 정보(CNAP) 서버로부터 수신한 결과를 전송한다. 그 후의 흐름도는, 각 이동통신 사업자의 발신측 단말이 자국 가입자인 경우의 호 흐름도와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즉, 공중전화망 측의 발신측 단말의 이름 정보는 이동통신망 측의 착신측 단말로 전송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도 11은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 네트워크에서 공중전화망 네트워크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이름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순서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우선 이동통신망 네트워크에 포함된 발신측 단말이 공중전화망 네트워크에 포함된 착신측 단말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발생한다. 호 연결 요청 신호가 발생하면 이동통신망 내의 MSC는 HLR에 발신자 인증을 요청하고 그 결과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MSC는 발신측 단말이 이름 정보 서비스 가입자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ISUP 신호 IAM 메시지의 UUI 변수에 발신측 단말이 이름 정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표시하여 이동통신망 내의 CGS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라우팅한다. 다음으로, 상기 CGS는 해당 호를 공중전화망 내의 IGS로 라우팅하고, 상기 호 를 수신한 IGS는 해당 호를 공중전화망 내의 착신 LE로 라우팅한다. 그리고, 착신 LE는 지능망을 통하여 공중전화망 내의 이름 정보(CNAP) 서버에 상기 발신측 단말의 서비스 인증을 질의한다. 인증을 질의받은 공중전화망 내의 이름 정보(CNAP) 서버는 상기 발신측 단말이 타망 가입자에 해당하므로, 발명 장치(이하,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라 한다)로 이름 정보 서비스 인증 요청 신호를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상기 이름 정보 서비스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에서는 이동통신망 내의 이름 정보 서버로 이 신호를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 결과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수신한 응답 결과를 다시 공중전화망 내의 이름 정보(CNAP) 서버로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상기 응답 결과를 수신한 공중전화망 내의 이름 정보(CNAP) 서버는 지능망을 통하여 착신 LE에 상기 응답 결과를 전송한다. 상기 응답 결과를 전송받은 착신 LE에서는 착신측 단말에 호출 신호와 함께 FSK(Frequency Shift Keying) 신호 방식으로 발신측 단말의 이름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착신측 단말은 착신자가 응답할 때까지 착신측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발신측 단말의 이름 정보를 표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할 수 있는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 전송 대상이 되는 발신자 관 련 정보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다양한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발신자 정보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발신측 단말의 사용자가 설정하여 놓은 이름 정보일 수 있으며,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 등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정보일 수도 있다. 도 12의 발신측 단말에서는 발신자 정보로서 "사랑해요"라는 문구와 관련 이미지가 포함되는 이름 정보 및 오늘의 날씨 정보를 설정한 것을 나타낸다. 발신측 단말의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이 속한 네트워크에 포함된 단말 정보 서버에 상기와 같은 발신자 정보를 설정하여 놓은 뒤, 이를 착신측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발신자 정보는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다양한 설정 정보가 착신측 단말에 동시에 표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또한, 도 12에 나타난 발신자 정보 외에도, 예컨대, 발신측 단말의 위치 정보가 착신측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발신측 단말이 설정한 광고 콘텐츠가 착신측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발신자 정보가 이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사항이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발신자 정보가 저장된 곳은 단말 정보 서버로 표현되어 있으나, 단말 정보 서버는 경우에 따라 다수의 서버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발신측 단말이 발신자 정보로 이름 정보 및 위치 전송 정보를 설정한 경우, 발신자의 이름 정보는 이름 정보 서버에서 추출하며, 발신자의 위치 정보는 LBS(Location Based Service) 서버 및 지도 서버에서 추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단말 정보 서버는 발신자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광의의 개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설명한 경우 이외에도 매우 다양한 멀티미디어 부가 서비스가 이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당연하다 할 것이다. 예컨대, 발신측 단말이 착신측 단말로 전화를 걸 때 이름 정보와 함께 국가적 특정 이슈에 대한 캠페인 콘텐츠를 제공하여 이벤트성이 강한 프로모션으로 사회적 분위기와 개인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활용이 가능하며, 발신측 단말이 기업 고객 및 개인 사업자인 경우에 이름 정보와 함께 발신측 단말의 사용자가 광고하고자 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전화 통화를 광고 채널로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발신측 단말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착신측 단말에서는 발신측 단말의 이름 정보가 마음에 드는 경우, 유무선 인터넷 또는 ARS(Automatic Response System)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측 단말의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의 착신자 관련 정보로 간단히 설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며, 첨부한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파악되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 수정 및 개선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의 망 구성도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의 망 구성도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에 제공하는 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할 수 있는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2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발신측 단말이 결합하는 공중전화망 네트워크와 착신측 단말이 결합하는 이동통신망 네트워크와 연결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에서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 네트워크로부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여기서,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는 공중전화망 네트워크에서 전송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부터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되며, 상기 발신측 단말이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의미함;
    상기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 상기 수신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를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응답 신호를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는 상기 발신측 단말의 이름 정보 또는 상기 발신측 단말의 이름 정보와 상기 발신측 단말이 미리 설정한 멀티미디어 부가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망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는 상기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단말이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는 ISUP(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er Part) 신호 IAM(Initial Address Message) 메시지의 UUI(User-to-User Information) 변수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10. 발신측 단말이 결합하는 이동통신망 네트워크와 착신측 단말이 결합하는 공중전화망 네트워크와 연결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에서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중전화망 네트워크로부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여기서,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는 이동통신망 네트워크에서 전송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부터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되며, 상기 발신측 단말이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의미함;
    상기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를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응답 신호를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는 상기 발신측 단말의 이름 정보 또는 상기 발신측 단말의 이름 정보와 상기 발신측 단말이 미리 설정한 멀티미디어 부가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는 상기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단말이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는 ISUP(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er Part) 신호 IAM(Initial Address Message) 메시지의 UUI(User-to-User Information) 변수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내부의 이름 정보 서버에서 상기 단말 정보 서버에 저장된 발신측 단말의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 호출 신호와 함께 FSK(Frequency Shift Keying) 신호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발신측 단말, 단말 정보 서버 및 망 연동 교환기를 포함하는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적어도 착신측 단말, 단말 정보 서버 및 망 연동 교환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및
    상기 이동통신망 네트워크로부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여기서,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는 공중전화망 네트워크에서 전송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부터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되며, 상기 발신측 단말이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의미함, 상기 공중전화망 네트워크에 포함된 단말 정보 서버로 상기 수신한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를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그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응답 신호를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는 상기 발신측 단말의 이름 정보 또는 상기 발신측 단말의 이름 정보와 상기 발신측 단말이 미리 설정한 멀티미디어 부가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된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에서는 상기 수신한 응답 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16.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발신측 단말, 단말 정보 서버 및 망 연동 교환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적어도 착신측 단말, 단말 정보 서버 및 망 연동 교환기를 포함하는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및
    상기 공중전화망 네트워크로부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여기서,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는 이동통신망 네트워크에서 전송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부터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되며, 상기 발신측 단말이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의미함;, 상기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인증 요청 신호를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그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응답 신호를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로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는 상기 발신측 단말의 이름 정보 또는 상기 발신측 단말의 이름 정보와 상기 발신측 단말이 미리 설정한 멀티미디어 부가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TCP/IP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된 응답 신호를 수신한 상기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내부의 단말 정보 서버에서는 상기 수신한 응답 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단말의 발신자 관련 정보가 상기 착신측 단말에 전송된 이후에, 상기 착신측 단말은 유무선 인터넷 또는 ARS(Automatic Response System)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의 착신자 관련 정보로 저장하며,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를 상기 착신측 단말에 상기 착신자 관련 정보로 저장하는 것은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에 포함된 이름 정보나 멀티미디어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상기 착신자 단말에 표시되도록 설정하거나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24.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단말의 발신자 관련 정보가 상기 착신측 단말에 전송된 이후에, 상기 착신측 단말은 유무선 인터넷 또는 ARS(Automatic Response System)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의 착신자 관련 정보로 저장하며,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를 상기 착신측 단말에 상기 착신자 관련 정보로 저장하는 것은 상기 발신자 관련 정보에 포함된 이름 정보나 멀티미디어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상기 착신자 단말에 표시되도록 설정하거나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080129003A 2008-10-10 2008-12-18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0440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830 2008-10-10
KR20080099830 2008-10-1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678A Division KR101085991B1 (ko) 2008-10-10 2011-04-12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644A KR20100040644A (ko) 2010-04-20
KR101044048B1 true KR101044048B1 (ko) 2011-06-23

Family

ID=4221669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003A KR101044048B1 (ko) 2008-10-10 2008-12-18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0090022280A KR101105807B1 (ko) 2008-10-10 2009-03-16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측 단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0110002595A KR101105815B1 (ko) 2008-10-10 2011-01-11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측 단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0110033678A KR101085991B1 (ko) 2008-10-10 2011-04-12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280A KR101105807B1 (ko) 2008-10-10 2009-03-16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측 단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0110002595A KR101105815B1 (ko) 2008-10-10 2011-01-11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측 단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0110033678A KR101085991B1 (ko) 2008-10-10 2011-04-12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10440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362B1 (ko) * 2013-05-14 2014-12-0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638A (ko) * 1999-12-30 2001-07-06 이계철 전전자교환기에서 발신자 정보 제공방법
KR20070060320A (ko) * 2005-12-08 2007-06-13 주식회사 케이티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080153519A1 (en) 2006-12-21 2008-06-26 Nokia Corporation Conducting sessions initiated from non-mobile terminal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136B1 (ko) * 2001-11-22 2003-12-18 유비퀵스(주) 발신자 id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85408B1 (ko) 2006-06-16 2007-12-13 한국인포데이타 (주) 발신자정보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06910A (ko) * 2008-07-10 2010-01-22 주식회사 케이티 이종망간 발신자 정보 표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638A (ko) * 1999-12-30 2001-07-06 이계철 전전자교환기에서 발신자 정보 제공방법
KR20070060320A (ko) * 2005-12-08 2007-06-13 주식회사 케이티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080153519A1 (en) 2006-12-21 2008-06-26 Nokia Corporation Conducting sessions initiated from non-mobile termi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399A (ko) 2011-02-23
KR20100040656A (ko) 2010-04-20
KR20100040644A (ko) 2010-04-20
KR101105807B1 (ko) 2012-01-17
KR20110057091A (ko) 2011-05-31
KR101105815B1 (ko) 2012-01-17
KR101085991B1 (ko)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16069A (zh) 被叫终端在用户应答前动态播放振铃的系统和方法
JP2006514513A (ja) マルチメディアメッセージングサービス方法
KR100785408B1 (ko) 발신자정보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44048B1 (ko)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54449B1 (ko)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101058944B1 (ko) 발신자설정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발신자설정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US20090097622A1 (en) Networking Character Information
KR101171377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전송된 사진 및 동영상의 원본 파일을 제공하는 방법
KR100860144B1 (ko) 모바일 패킷망을 이용한 영상 블로그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591894B1 (ko) 착신 가입자의 착신 통화를 녹음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0757010B1 (ko) 발신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50092656A (ko) 이동 통신망에서 착신자 정보 제공방법
KR100907410B1 (ko) 멀티미디어 기반의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레터링 서비스 서버
KR100637039B1 (ko) 발신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2290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발신자 정보 제공방법
KR100501163B1 (ko) 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방법
KR100637040B1 (ko) 발신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757008B1 (ko) 멀티미디어 발신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986264B1 (ko)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629143B1 (ko) 무선 통신망을 통한 마케팅정보 서비스 방법
KR100335994B1 (ko) 차세대 지능망에서 유선 전화를 이용하여 개인용 컴퓨터를호출하는 폰투피시 지능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57006B1 (ko) 멀티미디어 발신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035853B1 (ko) 이동전화 사용자의 기념일 관리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시스템 및 방법
KR20050015673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처리 방법
KR20060091446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