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893B1 - 무선 단말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를 다른 유무선 단말로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를 다른 유무선 단말로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893B1
KR100591893B1 KR1020030039096A KR20030039096A KR100591893B1 KR 100591893 B1 KR100591893 B1 KR 100591893B1 KR 1020030039096 A KR1020030039096 A KR 1020030039096A KR 20030039096 A KR20030039096 A KR 20030039096A KR 100591893 B1 KR100591893 B1 KR 100591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voice
outgoing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9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8195A (ko
Inventor
임종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30039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893B1/ko
Publication of KR20040108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9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단말에 대한 발신 정보를 다른 유무선 단말로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단말에 대한 발신 정보를 다른 유무선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은 먼저 특정 무선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다른 유무선 단말을 사용하여 특정 무선 단말로 수신된 음성 호/영상 호에 대한 발신 정보, 음성 사서함에 대한 발신 정보 또는 단문 메시지에 대한 발신 정보 확인을 요구받은 경우, 발신 정보 제공 관련 안내방송을 음성으로 송출한다. 다음 안내방송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특정 무선 단말 정보를 수집한다. 그 후 수집된 특정 무선 단말로 수신된 음성 호/영상 호에 대한 발신 정보, 음성 사서함에 대한 발신 정보 또는 단문 메시지에 대한 발신 정보를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된 발신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을 집이나 사무실에 두고 나와서 정상적으로 호를 응답하지 못한 경우, 무선 단말의 배터리가 소멸된 경우 또는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음영 지역에 있는 경우에도 자신의 단말로 수신되는 음성 호/영상 호와 음성 사서함, 단문 메시지에 대한 발신 정보를 언제 어디서든 확인할 수 있다.
발신 정보, 발신 전화번호, 유무선 단말, 지능망, 체크 콜, VLR, HLR, SCP

Description

무선 단말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를 다른 유무선 단말로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FOR PROVIDING SENDING TELEPHONE NUMBER FOR WIRELESS TERMINAL TO OTHER WIRE/WIRELESS TERMINAL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로 수신된 발신 전화번호를 다른 유무선 단말로 제공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로 수신된 음성 호/영상 호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를 다른 유무선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의 음성 사서함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를 다른 유무선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로 수신된 단문 메시지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를 다른 유무선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무선 단말에 대한 발신 전화 번호 확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당 무선 단말 외의 다른 유무선 단말로 해당 발신 전화번호 확인이 가능하도록 무선 단말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를 다른 유무선 단말로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 한 것이다.
종래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는 유무선 전화 가입자의 발신 호 처리시에 착신측에서 링이 울림과 동시에 발신 번호를 착신 단말에 출력해주는 서비스이고, 착신불가시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일명 캐치 콜 서비스)는 무선 전화 가입자가 음영 지역에 있거나 또는 단말기 전원을 꺼둔 상태 등인 경우와 같이 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상황에 자신의 전화번호로 수신된 호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를 시스템에 저장해 두었다가 해당 가입자가 호 처리가 가능한 상태가 되면 지금까지 저장해둔 발신 전화번호를 무선 단말에 문자 메시지로 알려주는 서비스이다.
이와 같이, 종래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에서는 자신의 유무선 전화기를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호 처리가 가능하고, 종래 착신불가시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에서는 자신의 무선 단말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호 처리가 가능한 상태가 되어야만 발신번호 표시가 가능하며, 또한 각 서비스에서는 자신의 단말에 현재 호에 대한 발신번호를 문자로 표시하므로, 특히 유선 가입자의 경우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전화기 상에 문자표시 창이 있어야 가능해진다.
따라서, 무선 전화 가입자가 자신의 무선 단말을 집이나 사무실에 두고 나와서 정상적으로 호를 응답하지 못한 경우나 무선 단말의 배터리가 소멸되거나 음영 지역에 위치하여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경우에는 자신의 무선 단말로 수신되는 음성 호/영상 호와 음성 사서함, 단문 메시지 등에 대한 발신번호와 발신일시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 전화 가입자가 자신의 무선 단말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자신의 무선 단말로 수신된 발신 전화번호를 음성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무선 단말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를 다른 유무선 단말로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다른 유무선 단말로의 발신 정보 제공 장치는,
무선 단말에 대한 발신 정보를 다른 유무선 단말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장치로서,
무선 단말에 대한 기본적인 베어러 서비스를 제공하여 무선 망에서 음성 호 연결을 수행하는 무선 망 회선 교환기; 상기 무선 망 회선 교환기에 접속되며, 호 처리시 무선 단말의 음성 사서함을 관리하고, 상기 무선 단말의 음성 사서함에 대한 발신 정보를 저장하는 음성 메시지 처리기; 상기 무선 망 회선교환기에 접속되며, 발신 정보 제공관련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무선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무선 단말로 제공될 발신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 및 상기 무선 망 회선 교환기에 접속되며, 특정 무선 단말의 사용자가 다른 무선 단말을 사용하여 상기 특정 무선 단말의 음성사서함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각각의 발신 정보 확인을 요구하는 경우, 상기 음성 메시지 처리기로부터 상기 특정 무선 단말의 음성 사서함에 대한 발신 정보를 받아서 상기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를 통해 대응되는 음성으로 상기 유무선 단말로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를 포함한다.
또한, 유선 단말에 대한 기본적인 베어러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정 망에서 음성 호 연결을 수행하는 고정 망 음성 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망 회선 교환기가 상기 고정 망 음성 교환기를 통해 유선 단말로 호를 연결하도록 중계 호를 처리하며, 상기 특정 무선 단말의 사용자가 유선 단말을 통해 상기 특정 무선 단말의 음성사서함에 대한 발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무선 망 회선 교환기에 접속되며, 무선 망에 가입된 가입자에 대한 위치 등록 정보와 서비스 등록 정보를 관리하고, 무선 단말이 위치한 지역의 방문 위치정보 등록기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홈 위치정보 등록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특정 무선 단말이 위치한 방문 위치정보 등록기 정보는 상기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를 통해 상기 유무선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기 특정 무선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홈 위치정보 등록기가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홈 위치정보 등록기가 상기 무선 단말의 음성사서함을 관리하는 음성 메시지 처리기 정보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특정 무선 단말의 음성 사서함을 관리하는 음성 메시지 처리기 정보는 상기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를 통해 상기 유무선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기 특정 무선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홈 위치정보 등록기가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유무선 단말로의 발신 정보 제공 장치는,
무선 단말에 대한 발신 정보를 다른 유무선 단말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장치로서,
무선 단말에 대한 기본적인 베어러 서비스를 제공하여 무선 망에서 음성 호 연결을 수행하는 무선 망 회선 교환기; 상기 무선 망 회선 교환기에 접속되며, 호 처리시 무선 단말의 단문 메시지를 관리하고, 상기 무선 단말로 수신된 단문 메시지에 대한 발신 정보를 저장하는 단문 메시지 처리기; 상기 무선 망 회선교환기에 접속되며, 발신 정보 제공관련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무선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무선 단말로 제공될 발신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 및 상기 무선 망 회선 교환기에 접속되며, 특정 무선 단말의 사용자가 다른 무선 단말을 사용하여 상기 특정 무선 단말에 대해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대한 각각의 발신 정보 확인을 요구하는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 처리기로부터 상기 특정 무선 단말로 수신된 단문 메시지에 대한 발신 정보를 받아서 상기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를 통해 대응되는 음성으로 상기 유무선 단말로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망 회선 교환기에 접속되며, 무선 망에 가입된 가입자에 대한 위치 등록 정보와 서비스 등록 정보를 관리하고, 무선 단말이 위치한 지역의 방문 위치정보 등록기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홈 위치정보 등록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홈 위치정보 등록기가 상기 무선 단말의 단문 메시지를 관리하는 단문 메시지 처리기 정보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 무선 단말의 단문 메시지를 관리하는 단문 메시지 처리기 정보는 상기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를 통해 상기 유무선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기 특정 무선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홈 위치정보 등록기가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발신 정보는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는 상기 유무선 단말로의 음성 안내방송 및 상기 음성 발신 정보의 송출을 위해 상기 무선 망 회선 교환기와의 음성 경로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 망 회선 교환기는 상기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유무선 단말로의 상기 발신 정보 제공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다른 유무선 단말로의 발신 정보 제공 방법은,
무선 단말에 대한 발신 정보를 다른 유무선 단말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특정 무선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다른 유무선 단말을 사용하여 상기 특정 무선 단말의 음성 사서함에 대한 발신 정보의 확인을 요구받은 경우, 상기 발신 정보 제공 관련 안내방송을 음성으로 송출하는 단계; b) 상기 안내방송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특정 무선 단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c) 상기 수집된 특정 무선 단말의 음성 사서함에 대한 발신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d) 상기 검색된 발신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다른 유무선 단말로의 발신 정보 제공 방법은,
무선 단말에 대한 발신 정보를 다른 유무선 단말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특정 무선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다른 유무선 단말을 사용하여 상기 특정 무선 단말로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대한 발신 정보의 확인을 요구받은 경우, 상기 발신 정보 제공 관련 안내방송을 음성으로 송출하는 단계; b) 상기 안내방송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특정 무선 단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c) 상기 수집된 특정 무선 단말로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대한 발신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d) 상기 검색된 발신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특정 무선 단말의 음성 사서함을 관리하는 음성 메시지 처리기로부터 상기 특정 무선 단말의 음성 사서함에 대한 발신 정보를 검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특정 무선 단말의 단문 메시지를 관리하는 단문 메시지 처리기로부터 상기 특정 무선 단말로 수신된 단문 메시지에 대한 발신 정보를 검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를 다른 유무선 단말로 제공하는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를 다른 유무선 단말로 제공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를 다른 유무선 단말로 제공하는 장치는 고정 망 음성 교환기(102), 중계 회선 교환기(103), 방문 위치정보 등록기(104), 무선 망 회선 교환기(105), 음성 메시지 처리기(106), 신호 중계 교환기(107),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108), 무선 망 패킷 교환기(109), 홈 위치정보 등록기(110), 단문 메시지 처리기(111),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 기지국(115) 및 기지국 제어기(116)을 포함한다.
고정 망 음성 교환기(102)는 유선 전화기(101) 사용자들에게 기본적인 베어러 서비스와 텔레 서비스, 부가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고정 망에서 음성 호를 서로 연결시켜 주는 기능과 타 망으로 호를 연결하도록 중계 호를 처리한다.
중계 회선 교환기(103)는 고정 망 음성 교환기(102)와 무선 망 회선 교환기(105) 사이에 접속되어, 고정 망과 무선 망 사이에서 중계 호를 서로 연결시켜주고, 트래픽 경로를 제공하고, 베어러 서비스, 텔레 서비스, 부가 서비스들을 문제없이 제공한다.
방문 위치정보 등록기(104)는 VLR(Visit Location Register)로서, 무선 망에서 무선 가입자의 위치 등록 정보와 서비스 등록 정보 및 방문 가입자에 대한 정보들을 관리한다. 특히 방문 위치정보 등록기(104)는 무선 가입자의 무선 단말로 수신된 음성 호나 영상 호 중에 정상적으로 무선 가입자가 정상적으로 받지 못한 모든 호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를 저장한다.
무선 망 회선 교환기(105)는 무선 망에서 무선 가입자들에게 기본적인 베어러 서비스와 텔레 서비스, 부가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무선 망에서 음성 호/영상 호를 서로 연결시켜 주는 기능, 타 망으로 호를 연결하도록 중계 호를 처리하는 기능 및 지능망 서비스를 SCP(Service Control Point)인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로 연결해서 지능망 서비스 시나리오에 따라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SSP(Service Switching Point) 기능을 수행한다.
음성 메시지 처리기(106)는 무선 망 회선 교환기(105)에 연결되며, 호 처리시 착신 가입자가 응답하지 않는 경우나 착신 단말이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경우에 호는 음성 사서함으로 연결되어 착신 가입자에게 음성 메시지나 발신 전화번호를 남겨두면 음성 사서함에 저장해 두고, 착신 가입자에게 음성 사서함에 메시지가 저장되었다는 정보를 통보해서, 착신가입자가 저장된 음성 사서함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음성 메시지 처리기(106)는 무선 가입자의 무선 단말로 수신된 음성 사서함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를 저장한다.
신호 중계 교환기(107)는 공통선 신호방식 No.7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장치들, 즉 무선망 회선 교환기(105), 음성 메시지 처리기(106),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108), 무선 망 패킷 교환기(109), 홈 위치정보 등록기(110), 단문 메시지 처리기(111) 및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에 접속되어 서로 연결해서 신호 메시지들을 효율적으로 전달해주며, 각각의 장치들간에 전송로를 최소한으로만 구성하고, 신호 망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108)는 지능망 서비스 시나리오에 따른 안내방송 송출 기능과, 무선 가입자가 서비스 도중에 누른 디지트를 수집해서 처리하는 디지트 수집 기능,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TTS(Text To Speech) 기능, 음성을 실시간으로 인식해서 문자로 변환하는 음석 인식 기능 등을 수행하다. 따라서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108)는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TTS 장치를 구비하며, 이러한 TTS 장치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기술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특히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108)는 유무선 가입자로부터 발신 전화번호 확인 서비스에 대한 안내방송을 음성으로 송출하며, 유무선 가입자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트 입력을 수집한다.
무선 망 패킷 교환기(109)는 신호 중계 교환기(107)에 접속되며, 무선 데이터 망에서 무선 가입자가 인터넷을 접속하거나 데이터 서비스 또는 스트리밍 서비스, VOD(Video On Demand) 서비스,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서비스, 지능망 서비스 등을 이용할 경우 데이터 경로 지정과 데이터 호를 서로 연결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홈 위치정보 등록기(110)는 신호 중계 교환기(107)에 접속되며, 하나의 무선 망에 가입된 모든 가입자에 대한 위치 등록 정보와 베어러 서비스, 텔레 서비스, 이동 서비스, 부가 서비스, 지능망 서비스 등에 대한 서비스 등록 정보들을 관리한다. 특히 홈 위치정보 등록기(110)는 무선 단말이 위치한 지역의 방문 위치정보 등록기 정보, 무선 가입자의 음성사서함을 관리하는 음성 메시지 처리기 정보 및 무선 가입자의 단문 메시지를 관리하는 단문 메시지 처리기 정보를 갖고 있다.
단문 메시지 처리기(111)는 신호 중계 교환기(107)에 접속되며, 무선 가입자가 송신한 단문 메시지를 임시로 저장해 두었다가 착신 가입자에게 송신해 주는 기능, 기업형 단문 메시지를 송신하는 기능 및 단문 메시지 그룹 송신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단문 메시지 처리기(111)는 무선 가입자의 무선 단말로 수신된 단문 메시지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를 저장한다.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는 신호 중계 교환기(107)에 접속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전화로 발신 전화번호를 음성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방송을 위해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108)와 상호 연동하고, 발신 전화번호 및 수신 일시를 요구하기 위해서는 방문 위치정보 등록기(104)와 상호 연동하며, 수신 음성 메시지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 및 수신 일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음성 메시지 처리기(106)와 상호 연동하고, 수신 단문 메시지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 및 수신 일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단문 메시지 처리기(111)와 상호 연동을 한다.
기지국(115)은 무선 망에서 무선 단말 1, 2(113, 114)로 주파수 전력을 송출하여 무선 단말 1, 2(113, 114)와 무선으로 연결된다.
기지국 제어기(116)는 기지국(115), 무선 망 회선 교환기(115) 및 무선 망 패킷 교환기(109)와 접속되며, 기지국(115)을 제어하고, 무선 자원과 무선 링크들을 관리하며, 전력 제어와 핸드오버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하,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를 다른 유무선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무선 가입자는 자신의 무선 단말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를 다른 유무선 단말을 통해 확인하기 위해 해당 서비스(이하 '체크 콜 서비스(Check Call Service)'라고 함)에 등록된 상태에서 자신의 단말에서 전화를 받을 수 없다는 상황을 알게 되었을 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번호를 통해 자신의 무선 단말이 수신 불가능 상태임을 등록시켜두면 이 때부터 자신의 무선 단말로 수신되는 음성 호/영상 호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를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무선 가입자는 유선 전화기(101) 또는 다른 무선 단말 1, 2(113, 114)를 사용하여 발신 전화번호 확인이 가능한 체크 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체크 콜 서비스의 대표번호를 접속해서 체크 콜을 시도한다(S201). 이 때, 사용되는 전화가 유선 전화기(101)인 경우에는 고정망 교환기(102)로 호를 시도해서 중계 회선 교환기(102)를 통해 무선 망 회선 교환기(105)로 호가 전달되고(S202), 무선 단말 1 또는 2(113, 114)인 경우에는 기지국(115) 및 기지국 제어기(116)을 통해 바로 무선 망 회선 교환기(105)로 호가 전달된다(S202).
다음, 무선 망 회선 교환기(105)는 유선 전화기(101)나 무선 단말 1, 2(113, 114)로부터 수신된 호에 대해 체크 콜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신호 중계 교환기(107)를 통해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로 지능망 체크 콜 서비스 개시 요구 명령을 보낸다(S203). 이하 무선 망 회선 교환기(105),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108), 방문 위치정보 등록기(104) 및 홈 위치정보 등록기(110)간에 직접 신호를 주고 받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실제로는 각 장치 사이에는 신호 중계 교환기(107)가 위치하여 각 장치간에 신호 중계를 하고 있는 것이 생략된 것으로 한다.
한편,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에서는 체크 콜 서비스 개시 요구 명령을 받아서 해당 체크 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 시나리오에 따라 가입자에게 안내방송 송출 경로와 디지트 수집 경로를 연결하기 위해 무선 망 회선 교환기(105)로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108)와 무선 망 회선 교환기(105)간 트래픽 경로 설정을 요구하는 명령을 보낸다(S204).
다음, 무선 망 회선 교환기(105)에서는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의 명령에 따라 ISUP(ISDN User Part)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108)와 음성 및 데이터 트래픽 경로를 연결한다(S205).
이와 같이 무선 망 회선 교환기(105)와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108)간에 트래픽 경로가 연결되면 안내방송 처리기(108)에서는 경로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서 가입자와 통화로가 설정되었음을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로 알리는 동시에 추가 명령을 요구하기 위한 보조 명령을 요구한다(S206).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는 체크 콜 서비스 시나리오에 따라 무선 가입자에게 안내방송을 송출하는 경우와 디지트 수집 기능 등을 처리하기 위한 안내방송 송출 명령을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108)로 보낸다(S207).
다음,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108)는 체크 콜 서비스를 시도한 유선 전화기(101) 또는 무선 단말 1, 2(113, 114)을 통해 가입자에게 체크 콜 서비스에 필요한 적절한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송출된 안내방송에 따라 가입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호/영상 호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 서비스 선택을 위한 디지트를 수집한다(S208). 이 때, 가입자로부터 수집되는 디지트에는 예를 들어 가입자가 발신 전화번호 및 수신일시를 확인하고자 하는 자신의 무선 단말의 전화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 후,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108)는 가입자와의 안내방송 송출에 대한 결과와 수집된 디지트를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로 통보한다(S209).
이와 같이 안내방송 결과 수집된 디지트를 통보받은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는 가입자에 대해 음성 호/영상 호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를 서비스하기 위해 현재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무선 단말의 정보를 홈 위치정보 등록기(110)로 전달하여 해당 무선 단말이 위치한 방문 위치정보 등록기(VLR)의 위치를 요구하고(S210), 홈 위치정보 등록기(110)는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로부터 전달되는 무선 단말이 위치한 방문 위치정보 등록기(104)를 검색하여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로 통보한다(S211).
다음,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는 홈 위치정보 등록기(110)로부터 통보받은 방문 위치정보 등록기(104)로 해당 무선 단말 정보를 전달하여 해당 무선 단말로 수신된 음성 호나 영상 호 중에 정상적으로 가입자가 받지 못한 모든 호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 데이터를 요구하고(S212), 이러한 요구를 받은 방문 위치정보 등록기(104)는 요구된 무선 단말로 수신되어 정상적으로 받지 못한 모든 호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 데이터를 검색하여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로 통보한다(S213). 이 때,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 데이터는 문자 데이터에 해당된다.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는 방문 위치정보 등록기(104)에서 통보된 데이터를 가입자에게 안내멘트로 송신하기 위해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108)로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 데이터를 전달하여 안내방송을 송출하도록 요구한다(S214).
이러한 요구를 받은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108)는 내부의 TTS 장치를 사용하여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로부터 전달된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 데이터 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음성 멘트를 생성하여 무선 망 회선 교환기(105)를 통해 유선 전화기(101)나 무선 단말 1, 2(113, 114)로 송출한다(S215).
그 후,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108)는 가입자에게 안내멘트가 정상적으로 송출되었다는 정보를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로 통보하면(S216),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는 무선 망 회선 교환기(105)로 체크 콜 서비스 사용에 대한 과금 데이터 생성을 요구하여(S217), 무선 망 회선 교환기(105)로 과금 처리가 완료되면 지능망 체크 콜 서비스 종료를 통보한다(S218).
다음, 무선 망 회선 교환기(105)는 유선 전화기(101)로 체크 콜 서비스가 시도된 경우에는 고정망 음성 교환기(102)를 통해 유선 전화기(101)로 체크 콜 서비스 종료를 통보하고, 무선 단말 1(113)이나 2(114)로 시작한 경우에는 기지국 제어기(116)와 기지국(115)을 통해 무선 단말 1(113)이나 2(114)로 체크 콜 서비스 종료를 통보해서 호를 종료시킨다(S219).
이와 같은 체크 콜 서비스를 통해 무선 가입자는 자신의 무선 단말을 통해 정상적으로 착신 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다른 유무선 전화기(101, 113, 114)를 통해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를 음성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가입자는 음성으로 확인된 발신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다.
한편, 무선 가입자가 자신의 무선 단말이 수신 불가능 상태라고 등록하는 경우 이 때부터 해당 무선 단말로 수신되는 음성 호와 영상 호에 대한 발신번호와 수신 일시가 저장되는데, 특히 해당 무선 단말이 위치한 방문 위처정보 등록기(104) 의 특정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저장기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나 대략 하루 단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기간이 지난 후에는 다시 동일한 체크 콜 서비스로 등록하는 형태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로 수신된 음성 사서함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를 다른 유무선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무선 가입자의 단말이 수신 불가능 상태인 경우 발신 가입자가 음성 사서함에 음성 데이터나 전화번호를 저장시켜 둔 경우 다른 유무선 단말을 통해 해당 음성 사서함을 남긴 발신 전화번호를 확인하기 위해 체크 콜 서비스에 등록된 상태에서 자신의 단말에서 전화를 받을 수 없다는 상황을 알게 되었을 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번호를 통해 자신의 무선 단말이 수신 불가능 상태임을 등록시켜두면 이 때부터 자신의 무선 단말에 대한 음성 사서함에 음성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 해당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를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와 매우 유사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여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무선 가입자가 유선 전화기(101) 또는 다른 무선 단말 1, 2(113, 114)를 사용하여 음성 사서함에 데이터를 기록한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를 확인하기 위한 체크 콜 서비스를 시도하는 과정(S301)부터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108)가 해당 안내방송을 송출한 후 가입자로부터 관련 디지트를 수집하여 지능망 서비 스 제어기(112)로 통보하는 과정(S309)까지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의 과정(S201 내지 S209)까지와 거의 유사하다. 다만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108)가 가입자에게 음성 사서함 관련 발신 전화번호 확인에 대한 안내방송을 하고 이와 관련된 디지트를 가입자로부터 입력받아 수집한다는 점만이 약간 다를 뿐 전체적으로 유사하여 상기한 제1 실시예를 참조하면 쉽게 이해될 것이므로 설명의 편의상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다음, 안내방송 결과 수집된 디지트를 통보받은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는 가입자에 대해 음성 사서함에 데이터를 기록한 발신 전화번호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현재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무선 단말의 정보를 홈 위치정보 등록기(110)로 전달하여 해당 무선 단말의 음성 사서함을 관리하는 음성 메시지 처리기 정보를 요구하고(S310), 홈 위치정보 등록기(110)는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로부터 전달되는 무선 단말의 음성 사서함을 관리하는 음성 메시지 처리기(106)를 검색하여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로 통보한다(S311).
다음,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는 홈 위치정보 등록기(110)로부터 통보받은 음성 메시지 처리기(106)로 해당 무선 단말 정보를 전달하여 해당 무선 단말의 음성 사서함에 데이터를 기록한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 데이터를 요구하고(S312), 이러한 요구를 받은 음성 메시지 처리기(106)는 요구된 무선 단말의 음성 사서함에 데이터를 기록한 가입자의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 데이터를 검색하여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로 통보한다(S313). 이 때,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 데이터는 문자 데이터에 해당된다.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는 음성 메시지 처리기(106)에서 통보된 데이터를 가입자에게 안내멘트로 송신하기 위해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108)로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 데이터를 전달하여 안내방송을 송출하도록 요구한다(S314).
다음,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108)가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음성 멘트를 생성하여 유선 전화기(101)나 무선 단말 1, 2(113, 114)로 송출하는 과정(S315)부터 체크 콜 서비스를 종료하는 과정(S319)까지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의 과정(S215 내지 S219)과 유사하여 제1 실시예를 참조하는 경우 쉽게 이해될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한다.
이와 같은 체크 콜 서비스를 통해 무선 가입자는 자신의 무선 단말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다른 유무선 전화기(101, 113, 114)를 통해 자신의 무선 단말의 음성 사서함에 데이터를 기록한 가입자의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를 음성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가입자는 음성으로 확인된 발신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상대방과 통화하여 음성 사서함에 기록된 내용에 대해 궁금한 사항을 확인할 수가 있다.
한편, 무선 가입자가 자신의 무선 단말이 수신 불가능 상태라고 등록하는 경우 이 때부터 해당 무선 단말의 음성 사서함에 데이터를 기록한 가입자의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가 저장되는데, 특히 해당 무선 단말의 음성 사서함을 관리하는 음성 메시지 처리기(106)의 특정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저장기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나 대략 하루 단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기간이 지난 후에는 다시 동일한 체크 콜 서비스로 등록하는 형태로 수행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로 수신된 단문 메시지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를 다른 유무선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무선 가입자의 단말이 수신 불가능 상태인 경우 가입자의 무선 단말로 단문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다른 유무선 단말을 통해 해당 단문 메시지를 송신한 발신 전화번호를 확인하기 위해 체크 콜 서비스에 등록된 상태에서 자신의 단말에서 전화를 받을 수 없다는 상황을 알게 되었을 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번호를 통해 자신의 무선 단말이 수신 불가능 상태임을 등록시켜두면 이 때부터 자신의 무선 단말로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를 송신한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를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와 매우 유사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여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무선 가입자가 유선 전화기(101) 또는 다른 무선 단말 1, 2(113, 114)를 사용하여 단문 메시지를 발신한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를 확인하기 위한 체크 콜 서비스를 시도하는 과정(S401)부터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108)가 해당 안내방송을 송출한 후 가입자로부터 관련 디지트를 수집하여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로 통보하는 과정(S409)까지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의 과정(S201 내지 S209)까지와 거의 유사하다. 다만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108)가 가입자에게 단문 메시지 관 련 발신 전화번호 확인에 대한 안내방송을 하고 이와 관련된 디지트를 가입자로부터 입력받아 수집한다는 점만이 약간 다를 뿐 전체적으로 유사하여 상기한 제1 실시예를 참조하면 쉽게 이해될 것이므로 설명의 편의상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다음, 안내방송 결과 수집된 디지트를 통보받은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는 가입자에 대해 단문 메시지를 보낸 발신 전화번호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현재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무선 단말의 정보를 홈 위치정보 등록기(110)로 전달하여 해당 무선 단말의 단문 메시지를 관리하는 단문 메시지 처리기 정보를 요구하고(S410), 홈 위치정보 등록기(110)는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로부터 전달되는 무선 단말의 단문 메시지를 관리하는 단문 메시지 처리기(111)를 검색하여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로 통보한다(S411).
다음,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는 홈 위치정보 등록기(110)로부터 통보받은 단문 메시지 처리기(111)로 해당 무선 단말 정보를 전달하여 해당 무선 단말로 수신된 단문 메시지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 데이터를 요구하고(S412), 이러한 요구를 받은 단문 메시지 처리기(111)는 요구된 무선 단말로 수신된 단문 메시지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 데이터를 검색하여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로 통보한다(S413). 이 때,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 데이터는 문자 데이터에 해당된다.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112)는 단문 메시지 처리기(111)에서 통보된 데이터를 가입자에게 안내멘트로 송신하기 위해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108)로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 데이터를 전달하여 안내방송을 송출하도록 요구한다(S414).
다음,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108)가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음성 멘트를 생성하여 유선 전화기(101)나 무선 단말 1, 2(113, 114)로 송출하는 과정(S415)부터 체크 콜 서비스를 종료하는 과정(S419)까지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의 과정(S215 내지 S219)과 유사하여 제1 실시예를 참조하는 경우 쉽게 이해될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한다.
이와 같은 체크 콜 서비스를 통해 무선 가입자는 자신의 무선 단말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다른 유무선 전화기(101, 113, 114)를 통해 자신의 무선 단말로 수신된 단문 메시지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를 음성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가입자는 음성으로 확인된 발신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상대방과 통화하여 단문 메시지에 대해 궁금한 사항을 확인할 수가 있다.
한편, 무선 가입자가 자신의 무선 단말이 수신 불가능 상태라고 등록하는 경우 이 때부터 해당 무선 단말로 수신된 단문 메시지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가 저장되는데, 특히 해당 무선 단말의 단문 메시지를 관리하는 단문 메시지 처리기(111)의 특정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저장기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나 대략 하루 단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기간이 지난 후에는 다시 동일한 체크 콜 서비스로 등록하는 형태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을 집이나 사무실에 두고 나와서 정상적으로 호를 응답하지 못한 경우, 무선 단말의 배터리가 소멸된 경우 또는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음영 지역에 있는 경우에도 자신의 단말로 수신되는 음성 호/영상 호와 음성 사서함, 단문 메시지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를 언제 어디서든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업상 중요한 회의나 계약, 기타 중요한 약속 등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대인 관계에 있어서도 신뢰성을 줄 수 있다.

Claims (19)

  1. 무선 단말에 대한 발신 정보를 다른 유무선 단말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무선 단말에 대한 기본적인 베어러 서비스를 제공하여 무선 망에서 음성 호 연결을 수행하는 무선 망 회선 교환기;
    상기 무선 망 회선 교환기에 접속되며, 호 처리시 무선 단말의 음성 사서함을 관리하고, 상기 무선 단말의 음성 사서함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발신 정보를 저장하는 음성 메시지 처리기;
    상기 무선 망 회선교환기에 접속되며, 발신 정보 제공관련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무선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무선 단말로 제공될 발신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 및
    상기 무선 망 회선 교환기에 접속되며, 특정 무선 단말의 사용자가 다른 무선 단말을 사용하여 상기 특정 무선 단말의 음성사서함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각각의 발신 정보 확인을 요구하는 경우, 상기 음성 메시지 처리기로부터 상기 특정 무선 단말의 음성 사서함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발신 정보를 받아서 상기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를 통해 대응되는 음성으로 상기 유무선 단말로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
    를 포함하는 다른 유무선 단말로의 발신 정보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유선 단말에 대한 기본적인 베어러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정 망에서 음성 호 연결을 수행하는 고정 망 음성 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망 회선 교환기가 상기 고정 망 음성 교환기를 통해 유선 단말로 호를 연결하도록 중계 호를 처리하며, 상기 특정 무선 단말의 사용자가 유선 단말을 통해 상기 특정 무선 단말의 음성사서함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발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유무선 단말로의 발신 정보 제공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망 회선 교환기에 접속되며, 무선 망에 가입된 가입자에 대한 위치 등록 정보와 서비스 등록 정보를 관리하고, 무선 단말이 위치한 지역의 방문 위치정보 등록기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홈 위치정보 등록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특정 무선 단말이 위치한 방문 위치정보 등록기 정보는 상기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를 통해 상기 유무선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기 특정 무선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홈 위치정보 등록기가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유무선 단말로의 발신 정보 제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위치정보 등록기가 상기 무선 단말의 음성사서함을 관리하는 음성 메시지 처리기 정보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유무선 단말로의 발신 정보 제공 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무선 단말의 음성 사서함을 관리하는 음성 메시지 처리기 정보는 상기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를 통해 상기 유무선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기 특정 무선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홈 위치정보 등록기가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유무선 단말로의 발신 정보 제공 장치.
  7. 무선 단말에 대한 발신 정보를 다른 유무선 단말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무선 단말에 대한 기본적인 베어러 서비스를 제공하여 무선 망에서 음성 호 연결을 수행하는 무선 망 회선 교환기;
    상기 무선 망 회선 교환기에 접속되며, 호 처리시 무선 단말의 단문 메시지를 관리하고, 상기 무선 단말로 수신된 단문 메시지에 대한 발신 정보를 저장하는 단문 메시지 처리기;
    상기 무선 망 회선교환기에 접속되며, 발신 정보 제공관련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무선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무선 단말로 제공될 발신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 및
    상기 무선 망 회선 교환기에 접속되며, 특정 무선 단말의 사용자가 다른 무선 단말을 사용하여 상기 특정 무선 단말에 대해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대한 각각의 발신 정보 확인을 요구하는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 처리기로부터 상기 특정 무선 단말로 수신된 단문 메시지에 대한 발신 정보를 받아서 상기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를 통해 대응되는 음성으로 상기 유무선 단말로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
    를 포함하는 다른 유무선 단말로의 발신 정보 제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망 회선 교환기에 접속되며, 무선 망에 가입된 가입자에 대한 위치 등록 정보와 서비스 등록 정보를 관리하고, 무선 단말이 위치한 지역의 방문 위치정보 등록기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홈 위치정보 등록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홈 위치정보 등록기가 상기 무선 단말의 단문 메시지를 관리하는 단문 메시지 처리기 정보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유무선 단말로의 발신 정보 제공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무선 단말의 단문 메시지를 관리하는 단문 메시지 처리기 정보는 상기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를 통해 상기 유무선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기 특정 무선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홈 위치정보 등록기가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유무선 단말로의 발신 정보 제공 장치.
  10.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정보는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를 포함하는 다른 유무선 단말로의 발신 정보 제공 장치.
  11.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망 안내방송 처리기는 상기 유무선 단말로의 음성 안내방송 및 상기 음성 발신 정보의 송출을 위해 상기 무선 망 회선 교환기와의 음성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유무선 단말로의 발신 정보 제공 장치.
  12.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망 회선 교환기는 상기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유무선 단말로의 상기 발신 정보 제공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른 유무선 단말로의 발신 정보 제공 장치.
  13. 무선 단말에 대한 발신 정보를 다른 유무선 단말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특정 무선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다른 유무선 단말을 사용하여 상기 특정 무선 단말의 음성 사서함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발신 정보의 확인을 요구받은 경우, 상기 발신 정보 제공 관련 안내방송을 음성으로 송출하는 단계;
    b) 상기 안내방송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특정 무선 단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c) 상기 수집된 특정 무선 단말의 음성 사서함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발신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d) 상기 검색된 발신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특정 무선 단말의 음성 사서함을 관리하는 음성 메시지 처리기로부터 상기 특정 무선 단말의 음성 사서함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발신 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유무선 단말로의 발신 정보 제공 방법.
  14. 무선 단말에 대한 발신 정보를 다른 유무선 단말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특정 무선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다른 유무선 단말을 사용하여 상기 특정 무선 단말로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대한 발신 정보의 확인을 요구받은 경우, 상기 발신 정보 제공 관련 안내방송을 음성으로 송출하는 단계;
    b) 상기 안내방송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특정 무선 단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c) 상기 수집된 특정 무선 단말로 수신된 단문메시지에 대한 발신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d) 상기 검색된 발신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특정 무선 단말의 단문 메시지를 관리하는 단문 메시지 처리기로부터 상기 특정 무선 단말로 수신된 단문 메시지에 대한 발신 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유무선 단말로의 발신 정보 제공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정보는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일시를 포함하는 다른 유무선 단말로의 발신 정보 제공 방법.
  19.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후에, 상기 발신 정보 제공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른 유무선 단말로의 발신 정보 제공 방법.
KR1020030039096A 2003-06-17 2003-06-17 무선 단말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를 다른 유무선 단말로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591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096A KR100591893B1 (ko) 2003-06-17 2003-06-17 무선 단말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를 다른 유무선 단말로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096A KR100591893B1 (ko) 2003-06-17 2003-06-17 무선 단말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를 다른 유무선 단말로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195A KR20040108195A (ko) 2004-12-23
KR100591893B1 true KR100591893B1 (ko) 2006-06-20

Family

ID=37382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096A KR100591893B1 (ko) 2003-06-17 2003-06-17 무선 단말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를 다른 유무선 단말로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18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846B1 (ko) 2006-12-01 2007-11-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910B1 (ko) * 2005-09-27 2007-04-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선 전화기를 위한 발신자 애칭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38953B1 (ko) * 2005-12-08 2007-07-12 주식회사 케이티 유무선 연동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846B1 (ko) 2006-12-01 2007-11-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195A (ko) 200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6801B2 (en) Enhanced call return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7564958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a message to multiple destinations
KR100729991B1 (ko) W-cdma망에서 동영상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 및장치
KR100591893B1 (ko) 무선 단말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를 다른 유무선 단말로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321722B1 (ko) 개인번호서비스2차착신연결방법
US2002013636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 use message delivery
KR100569029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지능망 및 회의통화 기능을 이용한통화연결음 및 통화 배경음의 동시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KR20070091719A (ko) 국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605833B1 (ko) 부재중 전화 메시지 제공 시스템, 메시지 데이터 서버, 응답 서비스 센터 및 전화기
KR100965091B1 (ko) 미착신 유선전화 호의 발신정보 제공 방법
KR20020007059A (ko) 이기종 통신시스템에서의 가입자 이동성 보장 장치 및 그방법
KR20080012196A (ko) 호연결 시도 중 발신자 또는 수신자 전화기로 부가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459763B1 (ko) 무선 통신망에서 가입자의 부재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KR100906759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 장치, 방법 및 그기록메체
KR100693751B1 (ko) 엠엠에스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641331B1 (ko) 이동통신망에 있어 일반 착신번호와 착신전환에 의한 착신번호 구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335994B1 (ko) 차세대 지능망에서 유선 전화를 이용하여 개인용 컴퓨터를호출하는 폰투피시 지능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674335B1 (ko) 지능망에서 통화자간 자동연결 방법
KR100194756B1 (ko) 개인통신시스템에서의 일반개인원격통신서비스 방법
KR100676228B1 (ko) 착신 불가 호에 대한 발신 정보 제공 방법
KR100993947B1 (ko) 유선전화 발신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77918B1 (ko) 자동 연결된 착신 불가 호에 대한 발신 정보 제공 방법
KR100806177B1 (ko) 유무선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927939B1 (ko) 유선전화 가입자의 가입전화번호로 평생번호를 부여하기위한 평생번호 가입자 발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779846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