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759B1 - 멀티미디어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 장치, 방법 및 그기록메체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 장치, 방법 및 그기록메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759B1
KR100906759B1 KR1020070078968A KR20070078968A KR100906759B1 KR 100906759 B1 KR100906759 B1 KR 100906759B1 KR 1020070078968 A KR1020070078968 A KR 1020070078968A KR 20070078968 A KR20070078968 A KR 20070078968A KR 100906759 B1 KR100906759 B1 KR 100906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message
communication network
request messag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4768A (ko
Inventor
임종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70078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759B1/ko
Publication of KR20090014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75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제1 이동통신망에 위치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제2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할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와 사서함 서비스 장치간에 호를 설정하기 위한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제1 이동통신망의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호 설정 요구 메시지가 제2 이동통신망의 교환기로 전송되고 제2이동통신망의 교환기가 로밍 단말기에 호 착신 요구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사서함 서비스 장치와 로밍 단말기 간에 설정된 데이터 경로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로밍 단말기의 사용자가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할 필요 없이 호 착신 요구 메시지에 응답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Figure R1020070078968
로밍 단말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 호 설정 요구 메시지, 접속번호

Description

멀티미디어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 장치, 방법 및 그 기록메체{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message mail service and record media recoded program realizing the same}
본 발명은 로밍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장치, 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국외의 로밍 단말에 국내 이동통신망에서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로밍 단말기는 호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호가 설정되면 저장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국내에서 해외여행자가 급증하면서 로밍 서비스 특히, O/B(Out/Bound) 로밍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이동통신서비스 가입자가 급증하고 있다. O/B 로밍 서비스는 국내에서 해외로 출국한 서비스 가입자가 국내의 이동통신망과 연동된 해외의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국내에서 제공받던 서비스를 그대로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그러나 기존의 국내의 서비스를 해외의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그대로 이용하게 되면 해외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국내에서 서비스와 요금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해당 국가의 이동통신망 운영자가 결정한 요금정책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우리나라와 유사하게 발신 호 요금은 착신 호 요금이 더 비싸거나 발신 호 요금만이 지불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국내에서 제공되는 통신 서비스 중 상당부분은 호를 발신하여야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대표적인 것이 음성 사서함 또는 메시지 서비스 등이다.
즉, 음성 사서함 서비스는 전화 통화를 먼저 시도한 단말기 측의 사용자가 호 설정에 실패한 후 음성 사서함에 음성 메시지를 남기면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후 호를 발신하여 음성 사서함에 접속한 뒤 음성 메시지를 청취하여야 한다. 또한, WCDMA(Wid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망의 가동으로 인하여 영상 사서함 서비스가 가능한 경우에도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호를 발신하여 영상 사서함에 접속하여야 한다.
이러한 음성 사서함 서비스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해외의 O/B 로밍 단말기 사용자가 확인하려면 로밍 단말기의 사용자가 해외의 이동통신망에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발신하여야 하며 그 해외의 이동통신망이 책정한 요금을 부담하여야 한다.
따라서 로밍 단말기의 사용자가 해외의 O/B 로밍 단말기의 사용자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의 이용을 기피하게 되며 급한 음성 메시지가 도착한 경우라도 확인을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국내에서 로밍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통화 후 음성 메시지를 남기거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남기고자 하는 경우에도 로밍 단말기의 사용자의 요금부담을 염려하게 되기 때문에 음성 메시지 서비스의 이용을 피하게 되어 국내 통신망 사업자의 수익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홈망에 위치한 단말기가 홈망에 남긴 메시지를 로밍망에 위치한 단말기에 호 설정을 하여 전화연결을 함으로써 메시지를 전송해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로밍망에 위치한 단말기에 로밍망에서 접속이 가능하도록 변환된 사서함 서비스 장치 접속번호를 전송하여 호 설정이 이루어 지지 않은 경우라도 로밍 단말기의 사용자가 메시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저장 및 전송을 수행하는 사서함 서비스 장치가 제2 이동통신망의 로밍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통신망에 위치한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로밍 단말기와 상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간에 호를 설정하기 위한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제1 이동통신망의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와 상기 로밍 단말기 간에 설정된 데이터 경로를 통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데이터 경로는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가 상기 제2 이동통신망의 교환기로 전송되고, 상기 제2이동통신망의 교환기가 상기 로밍 단말기에 호 착신 요구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설정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이동통신망의 사서함 서비스 장치에서 제2 이동통신망의 로밍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1 이동통신망에 포함되는 교환기가 멀티미디어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포함되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저장 및 전송을 수행하는 상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로부터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동통신망에 포함되는 교환기로 상기 수신된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 받은 상기 제2 이동통신망에 포함되는 교환기가 상기 로밍 단말기로 호 착신 요구 메시지를 전 송하여 상기 로밍 단말기가 응답하면 데이터 경로가 설정되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상기 설정된 데이터 경로를 통해 상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에서 상기 로밍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사서함 서비스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저장 및 전송을 수행하는 사서함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제1 이동통신망의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1 이동통신망에 포함되는 교환기에 제2 이동통신망의 로밍 단말기와 호 설정을 하기 위한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호 설정 요구 메시지 전송부; 상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와 상기 로밍 단말기 간에 설정된 데이터 경로를 통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로밍 단말기로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부-여기서 상기 데이터 경로는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가 상기 제2 이동통신망의 교환기로 전송되고 상기 제2이동통신망의 교환기가 상기 로밍 단말기에 호 착신 요구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설정됨-; 및 상기 저장부,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 전송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서함 서비스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망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로밍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1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측 단말기로부 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 받아 저장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로밍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상기 제1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포함되는 교환기로 전송하는 사서함 서비스 장치; 및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2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교환기로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교환기를 포함하되,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는 상기 제2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교환기에 의하여 호 착신 요구 메시지로 변환되어 상기 로밍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이동통신망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이동통신망의 사서함 서비스 장치에서 제2 이동통신망의 로밍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이동통신망에 포함되는 교환기가 멀티미디어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포함되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저장 및 전송을 수행하는 상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로부터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동통신망에 포함되는 교환기로 상기 수신된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 받은 상기 제2 이동통신망에 포함되는 교환기가 상기 로밍 단말기로 호 착신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로밍 단말기가 응답하면 데이터 경로가 설정되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상기 설정된 데이터 경로를 통해 상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에서 상기 로밍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를 설정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사서함 서비스 장치가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고 로밍 단말기는 호 착신 요구 메시지에 응답함으로써 설정된 데이터 경로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어 로밍 단말기는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따로 전송할 필요 없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밍 단말기가 사서함 서비스 장치에 접속할 수 있는 복잡한 접속번호를 호출하여 줌으로써 로밍 단말기가 용이하게 사서함 서비스 장치에 접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간을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설정된 시간에 로밍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확인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 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홈망(100)과 로밍망(170)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홈망(100)과 로밍망(170)이 도시되어 있는데 홈망(100)(Home Network)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20)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망 또는 이동통신망 시스템을 의미하고, 로밍망(170)(Roaming Network)은 로밍 이동통신 단말기(190)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망 또는 이동통신망 시스템을 의미한다.
홈망(100)은 교환기(102)(MSC : Mobile Switch Center), 홈 위치 등록기(104)(HLR : Home Location Register), SMSC(106)(Short Message Service Center), VMS(Voice or Video Mail Service) 장치(108), IPGS(110) (Interconnection Protocol Gateway System)를 포함한다.
교환기(102)는 망의 중심부이며 주요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기간(120, 190)에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120)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등 고정통신망 단말기(미도시)와의 호를 교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교환기(102)는 이러한 호를 교환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HLR 및 VLR(Visitor Location Resistor)과의 정보 교환기능을 한다.
HLR(104)은 이동통신망 가입자의 위치정보 등을 보관하는 일종의 데이터 베이스(Data Base)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20, 190)의 종류, 기본 서비스, 부가 서비스 등이 등록된다. HLR(104)은 로밍 단말기(190)의 경우 로밍 서비스 가입자인지 여부가 등록이 된다.
HLR(104)은 교환기(102), SMSC(106), 고객센터(미도시) 등과 연동하여 정보 제공기능을 수행한다.
VLR(미도시)은 교환기(102)가 관할하는 영역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20, 190)의 관리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로 교환기(102)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SMSC(106)는 교환기(102)와 연동하여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를 전송하거나 기상정보, 증권정보 등의 부가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여 주는 호 처리장치이다.
VMS(Voice or Video Mail Service) 장치(108)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 기(190)의 사용자와 전화통화가 이루어 지지 않은 경우(예를 들어, Busy, Power Off, No Paging Response, No answer 등)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음성 또는 영상 메시지를 남기면 위에서 설명한 SMSC를 통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90)로 음성 또는 영상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VMS_NOTI)를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90)의 사용자는 VMS_NOTI(Voice or Video Mail Service Notification) 메시지에 포함된 콜백번호(Callback number)로 VMS 장치에 접속하여 저장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청취 또는 시청하게 된다.
종래에는 VMS 장치(108)를 음성 사서함 시스템 서버 등으로 명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저장 및 전송하는 장치로서 VMS 장치 또는 사서함 서비스 장치로 명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 또는 영상 메시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사용자의 취향 및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기종에 따라 음성 메시지나 영상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남길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서함 서비스 장치(108)가 저장 및 전송하는 메시지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성, 영상, 사진 등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모두 포함한다.
도 1에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홈망(100)이나 로밍망(170)에는 기지국(BTS : Base Transceiver System),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로밍망(170)도 홈망(100)과 동일한 이동통신망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로밍망(170)이 홈망(100)과 상이한 이동통신망 구성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나(예를 들어, 홈망(100)은 WCDMA(Wid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이고 로밍망(170)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망인 경우) 위에서 설명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시스템은 역시 포함하므로 이하에서는 로밍망(170)도 홈망(100)과 동일한 명칭의 구성을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홈망(100)에서 발신된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 모든 데이터는 서킷 형식으로 IPGS(110)를 통과하여 홈망(100)과 로밍망(170)의 중간에 설치된 국제회선망(150)을 지나 로밍망(170)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홈망(100)과 로밍망(170)간에 로밍 서비스에 대한 협의가 이루어진 경우라면 홈망(100)의 모든 데이터가 로밍망(170)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서킷 형식으로 국제회선망(150)을 지나 홈망(100)과 로밍망(170)간에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패킷 데이터 형식으로 IP(Internet Protocol)망을 지나 홈망(100)과 로밍망(170) 간에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홈망(100)은 국내의 이동통신망이고 로밍망(170)은 해외의 이동통신망인 것으로 가정하면 O/B 로머(Roamer)의 이동동신단말기(190)(이하에서는 '로밍 단말기'라고 한다.)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20)(이하에서는'홈 단말기'라고 한다.)가 전화를 거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로밍 단말기(190)가 응답을 하지 않아 전화연결이 이루어 지지 않으면 홈 단말기(120)는 VMS 장치(108)에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게 된다.
홈 단말기(120)가 WCDMA 단말기인 경우에는 영상 메시지를 남길 수 있으며 영상메시지도 역시 VMS 장치(108)에 저장된다.
그러나 VMS 장치(108)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와 영상 사서함 서비스 장치로 분리되어 존재할 수 도 있으며 이에 따라 음성 메시지와 영상 메시지는 각각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와 영상 사서함 서비스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WCDMA 망은 제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개발되어 빠른 데이터 전송율을 가져 영상통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에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에서 음성메시지를 남기던 음성 메시지 서비스 대신 영상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영상 메시지 또한 음성 사서함에 저장되도록 하여 VMS 장치(108)가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형식에 관계없이 총괄적으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관리할 수도 있다. WCDMA 단말기 사용자도 영상메시지 대신 기존의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언급한 홈 단말기(120)가 홈망(100)의 다른 착신측 홈 단말기(미도시)를 위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남기는 경우를 먼저 설명한 뒤 로밍 단말기를 위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남기는 경우를 비교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홈 단말기(120)가 홈망(100)의 다른 착신측 홈 단말기를 위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남기는 경우 착신측 홈 단말기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도착 안내 메시지가 문자메시지 형식으로 전송된다.
이는 VMS 장치(108)가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Submit ACK(제출응답)로써의 VMS_NOTI(Notification)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센터(106)에 보내면 단문 메시지 센터(106)가 HLR(104)에 홈 단말기(120)의 위치정보 등을 질의 및 획득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 도착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기 때문이다.
멀티미디어 메시지 도착 안내 메시지를 전송 받은 착신측 홈 단말기의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호출번호로 안내된 *88을 눌러 VMS 장치(108)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청취 또는 시청할 수 있다.
이러한 홈망(100)내에서 이루어지는 사서함 서비스가 로밍 단말기(190)에 그대로 적용되는 것이 종래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 수행 형태였다.
즉,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앞서 설명한 VMS_NOTI 메시지를 전송받은 단문 메시지 센터(106)는 HLR(104)에 로밍 단말기(190)의 위치를 질의하게 되는데 로밍 단말기(190)의 위치는 홈망(100)의 HLR(104)에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로밍 단말기의 위치 등록은 홈망(100)과 로밍망(170)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에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여 상이한 네트워크 간에도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IRGS(International Roaming Gateway System)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서비스 가입자를 위한 가입자 관리를 수행하는 IRGS(International Roaming Gateway System)을 통하여 홈망(100)과 로밍망(170)의 HLR(104, 174)는 홈 단말기(120) 및 로밍 단말기(190)의 위치 등록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IRGS는 IPGS(110, 180)일 수 있다.
홈망(100)의 HLR(104)은 로밍 단말기(190)가 로밍망(170)에 존재한다는 정보, 로밍 서비스 가입자라는 정보 및 로밍망(170)에서의 위치정보 등을 단문 메시지 센터(106)로 전송한다.
SMSC(106)는 음성 메시지 도착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전송 받은 정보들을 이용하여 음성 메시지 도착 안내 메시지를 로밍망(170)의 교환기(172)로 전송한다.
따라서, 로밍망(170)의 교환기(172)는 전송 받은 음성 메시지 도착 안내 메시지를 호출채널(Paging Channel)을 통하여 로밍 단말기(190)로 전송한다.
이외에도 홈망(100)의 VMS 장치(108)는 저장된 음성 메시지 자체를 음성 메시지 도착 안내 메시지와 함께 로밍망(170)으로 전송하여 로밍망(170)의 VMS 장치(178)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착 안내 메시지를 전송 받은 로밍 단말기(190)의 사용자가 로밍망(170)의 VMS 장치(178)에 접속하여 음성 메시지를 청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두 가지 경우 모두 종래의 기술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로밍 단말기에서 로밍망(170)으로 호 설정 메시지를 보내어 호를 설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로밍망(170), 특히 해외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호에 해당하는 요금이 부과된다.
따라서 로밍 단말기(190)의 사용자가 직접 SEND 버튼을 눌러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기를 꺼리게 되고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지 않게 되며 홈망(100)의 VMS 장치(108)나 로밍망(170)의 VMS 장치(178) 모두 데이터 관리량이 증가하게 되며 음성 메시지 서비스의 이용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홈망(100)에서 저장된 음성 메시지에 대한 VMS_NOTI 메시지를 받은 SMSC(106)는 HLR(104)에 로밍망(170)으로의 전송을 위한 SRI(Send Routing Information)를 요청하게 되고 HLR(104)은 SMSC(106)로 SRI 응답(ACK)과 함께 로밍망(170)의 MSC(172)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
SMSC(106)는 로밍망(170)의 MSC(172)에 관한 정보를 VMS 장치(108)에 보고하게 되고 VMS 장치(108)는 홈망(100)의 MSC에 로밍 단말기로의 호 설정을 요청하게 된다. 따라서 MSC(102)는 로밍망(170)의 MSC(172)로 IAM(Initial Address Message)을 전송하게 된다. IAM은 호 설정 요구 메시지로서 WCDMA망에서 사용되는 메시지이나 호 설정 요구 메시지는 이동통신망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IAM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IAM를 전송 받은 로밍망(170)의 MSC(172)는 로밍 단말기(190)로 호출 채널(Paging Channel)을 통하여 호 착신 승낙 여부를 묻는 호 착신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는 도 3을 통하여 좀 더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로밍 단말기(190)의 사용자가 예를 들어 로밍 단말기(190)의 SEND 버튼을 눌러 이를 승낙하면 로밍망(170)의 MSC(172)를 통하여 홈망(100)의 VMS 장치(108)로 연결이 된다.
따라서, 로밍 단말기(190) 사용자로서는 홈망(100)에서 *88을 입력하여 직접 VMS 장치(108)로 호설정을 요청하여 음성 메시지를 청취하는 것과는 달리 호 설정을 수락하는 착신호만을 이용하여 음성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로밍망(170)의 MSC(172)가 로밍 단말기(190)로 호 착신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VMS 장치(108)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번호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는 홈망(100)의 VMS 장치(108)에서 호출한 전화를 로밍 단말기(190)가 반드시 받아 음성메시지를 청취하리라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즉, 여전히 통화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로밍망(170)의 MSC(172)는 로밍 단말기(190)가 호출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호 착신 요구 메시지에 VMS 장치(108)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번호를 삽입하여 전송함으로써 접속번호가 로밍 단말기(190)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로밍망(170)의 MSC(172)가 VMS 장치(108)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번호를 삽입하여 전송하지 않는 경우에는 로밍 단말기(190)의 사용자는 홈망(100)에서 서비스되는 것과 동일하게 *88을 눌러 음성메시지를 청취하려고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로밍망(170)에서 로밍 단말기(190)의 사용자가 *88을 눌러도 음성메시지를 청취할 수는 없다.
그것은 *88이 로밍망(170)에서 호처리 되려면 로밍망(170)과 로밍 협약이 체결 되어 있어야 하며 홈망(100)의 VMS 장치(108) 접속번호가 국제규격에 맞아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국가코드가 포함된 형태가 아닌 경우에는 로밍 협약이 되어있더라도 호처리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VMS 장치(108)는 이를 일일이 확인하여 입력할 필요 없도록 VMS 장 치(108)로 접속이 가능한 접속번호를 호 착신 요구 메시지에 삽입하여 전송하여야 한다.
이러한 접속번호는 먼저 VMS 장치(108)가 생성하되 VMS 장치(108)는 생성된 접속번호를 호 설정 요구 메시지에 삽입하여 홈망(100)의 MSC(102)로 전송한다.
홈망(100)의 MSC(102)는 접속번호가 삽입된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로밍망(170)의 MSC(172)로 전송하면 로밍망(170)의 MSC(172)가 접속번호가 삽입된 호 착신 요구 메시지를 로밍 단말기(19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도 3을 통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로밍 단말기(190)의 사용자는 멀티미디어메시지 청취를 위한 전화를 받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이후 접속번호를 입력하거나 로밍 단말기(190)의 저장부에 저장된 접속번호를 불러와 VMS 장치(108)에 접속하여 음성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종래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와 비교 설명하기 위하여 음성 메시지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영상 메시지 등 멀티미디어 메시지에도 위의 설명이 해당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저장 및 전송하는 VMS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MS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VMS 장치(102)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저장부(200),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부(210), 제어부(220), 호 설정 요구 메시지 전송부(230) 및 VMS 장치 접속번호 생성부(240)를 포함한다.
VMS 장치(102)는 서버(Server)로서 이동통신망 내부에 존재할 수도 있으며 이동통신망 외부에서 이동통신망과 연동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메시지 저장부(200)에는 홈 단말기(120)가 로밍 단말기(190)와 통화 연결을 시도하여 통화연결이 이루어 지지 않은 경우 홈 단말기(120)가 MSC(102)를 통하여 전송한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저장된다.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부(210)는 호 설정 요구 메시지 전송부가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MSC로 전송하여 설정된 데이터 통로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20)는 MPUP(Main Processor Unit Controller)로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저장부(200),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부(210), 제어부(220), 호 설정 요구 메시지 전송부(230) 및 VMS 장치 접속번호 생성부의 일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도 3에서 후술할 바와 같이 로밍 단말기(190)가 호 착신 요구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에는 호가 연결되지 않아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전송될 데이터 경로가 설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로밍 단말기(190)가 VMS 장치 접속번호를 이용하여 VMS 장치(102)에 접속하고 데이터 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VMS 장치 접속번호를 호 설정 요구 메시지에 삽입하여 전송하도록 호 설정 요구 메시지 전송부(23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VMS 장치 접속번호는 VMS 장치 접속번호 생성부(240)에서 생성되고 음성 메 시지를 수신할 로밍 단말기(190)를 관할하는 로밍망(170)의 MSC(172)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해당 로밍 이동통신망에서 VMS 장치로 접속이 가능한 번호이다.
이는 로밍망(170)이 국외의 이동통신망인 경우 *88등의 번호로는 로밍 단말기가VMS 장치로 접속할 수 없으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별도의 접속번호를 호출번호를 전송해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VMS 장치(108)가 해당 로밍망(170)에서 접속이 가능한 번호 예를 들어, 82162000088 과 같은 접속번호를 호 설정 요구 메시지에 삽입하여 홈망의 MSC(102)으로 전송해 주면 홈망의 MSC(102)은 로밍망(170)의 MSC(172)으로 재전송한다.
로밍망(170)의 MSC(172)은 접속번호를 호 착신 요구 메시지에 삽입하여 호출채널을 통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로밍 단말기(190)가 호 착신 요구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아 데이터 경로가설정되지 못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 받지 못한 경우라도 이후 접속번호를 이용해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여 데이터 경로를 다시 설정하면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받을 수 있다.
즉, 로밍 단말기(190)에서 전송된 호 설정 요구 메시지로 로밍 단말기(190)과 VMS 장치(108)간에 설정된 데이터 통로를 통해 로밍 단말기(190)은 음성 또는 영상 메시지를 전송 받을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후술할 바와 같이 호 설정 요구 메시지가 전송되는 시간을 조정하여 음성 메시지 청취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전송시간 질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호 설정 요구 메시지가 전송되는 시간에 대하여는 도 4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전송시간 질의부는 홈 단말기(120)가 원하는 시간에 음성 또는 영상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VMS 장치(102)의 호 설정 요구 메시지 전송시간을 질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송시간 질의부는 도 4에서 후술할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녹음 음성을 송출함으로써 발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네자리의 시간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네자리 시간정보는 1920등이 될 수 있는데 이는 도 4를 통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전송시간 질의부가 질의한 바에 따라 홈 단말기(120)가 전송시간을 전송한 경우 전송시간 질의부는 이를 제어부(220)로 넘기게 되며, 제어부(220)는 전송시간에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제1 이동통신망의 교환기로 전송하도록 호 설정 요구 메시지 전송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홈 단말기(120)가 전송시간을 전송하였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저장된 후로부터 일정시간 경과 후 전송하도록 호 설정 요구 메시지 전송부(2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홈망에서 로밍 단말기로 전화연결을 통하여 음성 또는 영상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홈망(100)의 홈 단말기가 로밍 단말기(190)와 전화통화를 시도하여 실패한 경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음성 또는 영상 메시지를 VMS 장치(108)가 관리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음성 메시지와 영상 메시지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 장치와 영상 사서함 서비스 장치로 구분되어 저장, 전송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먼저 홈 망의 MSC(102)는 홈망(100)의 VMS 장치(108)로 IAM 메시지를 보내 호를 설정한다(S300). IAM 메시지가 호 설정 요구 메시지인 것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호가 설정되면 홈 단말기(120)는'삐'소리와 함께 사용자에게 음성 또는 영상 메시지를 녹음을 시작하라는 안내음을 출력한다.
이와 동시에 홈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녹음하거나 촬영하면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는 VMS 장치(108)로 전송된다. 전송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VMS 장치(108)에 저장된다(S302).
VMS 장치(108)는 Submit_ACK(제출응답)로 VMS_NOTI 메시지를 SMSC(106)에 전송함으로써 로밍 단말기 번호로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저장되었다는 것을 보고한다(S304).
SMSC(106)는 홈망(100)의 HLR(104)에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SRI(Send Routing Information) 요청을 보낸다(S306).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로밍 단말기(190)가 아니라면 HLR(104)은 홈망(100)내에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현재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를 관할하는 MSC 정보 등을 SRI ACK 메시지와 함께 SMSC(106)로 전송한다.
SMSC(106)는 로밍 단말기(190)인 경우에는 로밍 단말기(190)라는 정보와 로밍 단말기(190)의 위치 정보 또는 현재 로밍 단말기(190)를 관할하는 로밍망(170)의 MSC(172) 정보를 SRI ACK 메시지와 함께 SMSC(106)로 전송한다(S308).
SMSC(106)는 로밍망(170)의 MSC(172) 정보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S310)한다.
판단결과 로밍망(170)의 MSC(172)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즉, 홈망(100)내에서의 단말기 위치 정보와 홈망(100)의 MSC 정보만을 수신한 경우라면 일반적인 음성사서함 메시지 안내 메시지를 홈망(100)내에서의 단말기로 전송한다(S314). 즉, 종래에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반적인 처리를 수행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VMS 장치(108)는 SMSC(106)을 통하여 로밍망(170)의 MSC(172) 정보를 수신하게 되는데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VMS 장치(108)는 직접 HLR(104)에 접속하여 로밍망(170)의 MSC(172)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할 수 도 있다.
해외 로밍망(170)의 MSC(172)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VMS 장치(108)에 로밍 보고 메시지(Report SM)를 전송한다(S312).
로밍 보고 메시지를 수신한 VMS 장치(108)는 로밍 단말기로 전화연결(Outdialing)을 시도한다(S316).
전화연결을 시도하기 위하여 VMS 장치(178)는 먼저 홈망(100)의 MSC(102)에 IAM 을 전송한다(S318). IAM 의 착신번호 필드에는 로밍 단말기의 번호, 발신 번호 필드에는 로밍 단말기가 접속 가능한 VMS 장치 접속번호가 삽입될 수 있다.
로밍 단말기(190)의 번호는 로밍 단말기(190)의 전화번호일 수 도 있으며 로밍 단말기(190)의 로밍 서비스 식별번호일 수 있다. VMS 장치(108) 접속번호는 로밍망(170)에서 로밍 단말기(190)이 VMS 장치(108)로 접속이 가능한 번호로써 예를 들어 82162000088가 삽입될 수 있다.
IAM을 수신한 MSC(102)는 호 연결을 위한 SRI(Send Routing Information) 요청을 HLR(104)로 전송한다(S320).
SRI요청을 수신한 홈망(100)의 HLR(104)은 SRI 메시지에 포함되거나 함께 전송된 로밍 단말기의 번호를 이용하여 로밍 넘버를 전달하여 달라는 요청인 PRN(Provide Roaming Number) 메시지를 로밍망(170)의 MSC(172)로 전송한다(S322).
로밍망(170)의 MSC(172)는 PRN 응답(PRN_ACK)메시지와 함께 로밍 넘버인 MSRN(Mobile Station Roaming Number)를 홈망(100)의 HLR(104)에 전송한다(S324).
홈망(100)의 HLR(104)은 단계S320 에서 수신한 SRI 요청에 대한 SRI 응답(SRI_ACK)메시지 및 단계 S324에서 수신한 MSRN을 홈망(100)의 MSC(102)에 전송한다(S326).
홈망(100)의 MSC(S102)는 전송 받은 MSRN을 이용하여 IAM을 로밍망(170)의 MSC(172)에 전송한다(S328).
IAM을 전송 받은 로밍망(170)의 MSC(172)는 로밍 단말기(190)에 호 착신 요구 메시지를 보내어 호 착신을 요구한다(S322). 단계 S322이전에 로밍망(170)의 MSC(172)는 PRN 또는 IAM에 삽입되어 또는 함께 전송된 발신번호 즉, VMS 장치 접속번호를 로밍 단말기(190)으로 전달(S330)할 수 있는데 이는 단계 S322에서 전송하는 호 착신 요구 메시지에 삽입되어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호 착신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로밍 단말기(190)에는 예를 들어,"전화가 왔습니다. 음성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다"와 같은 안내 메시지와 VMS 장치 접속번호가 함께 표시되게 된다(S334). 이에 대하여는 도 5를 통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로밍 단말기(190)의 사용자는 걸려온 전화에 대하여 SEND 버튼을 누름으로써 수신응답을 하게 되고 호가 설정된다(S336). 호 설정에 성공하여 데이터 전송채널(경로)가 열리면 홈망(100) VMS 장치(108)의 음성사서함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또는 영상 메시지가 로밍 단말기에 전송된다. 즉, GGSN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서킷 데이터 형식으로 국제회선망(150)을 지나 로밍망(170)의 MSC로 전송된다. 그러나 로밍망(170)으로의 전송경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킷 데이터 형식으로 IP 망 또는 위성망을 지나 전송될 수 도 있음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로밍 단말기의 사용자는 전송되는 음성 메시지를 청취하거나 영상 메시지를 시청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S338).
VMS 장치(108)는 로밍 단말기(190)의 별도의 조작에 의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저장된 음성 또는 영상 메시지를 보관, 삭제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로밍 단말기(190)의 사용자가 음성 메시지를 청취하거나 영상 메시지를 시청하여 확인한 뒤 예를 들어 1번을 누르면 멀티미디어 메시지 삭제 신호가 VMS 장치(108)로 전송되어 저장된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삭제될 수 있다.
로밍 단말기(190)의 사용자가 걸려온 전화에 대하여 전화를 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로밍 단말기(190)에 표시된 안내 메시지 및 VMS 장치(108) 접속번호를 이용하여 로밍망(170)에 국제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VMS 장치(108)에 접속할 수 있다(S340).
멀티미디어 메시지 도착 안내 메시지는 로밍 단말기(190)의 문자 메시지 저장함이나 부재중 전화 목록 저장함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로밍 단말기(190)의 사용자는 언제든 필요한 경우 VMS 장치(108)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VMS 장치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VMS 장치(108)에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저장된 후 VMS 장치(108)의 VMS_NOTI 메시지를 전송하면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과정이 시작된다.
그러나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저장은 홈 단말기(120)의 로밍 단말기(190)로의 통화연결이 실패한 경우 발생하므로 통화연결이 실패한 직후 다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을 위한 통화를 시도하는 것은 로밍 단말기(190)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확 인할 확률을 급격히 떨어뜨린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통화연결이 실패한 시점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통화를 시도함으로 써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한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홈 단말기(120)가 로밍 단말기(190)로 통화시도를 하여 실패한 이후 홈 망의 MSC(102)는 홈망(100)의 VMS 장치(108)에 IAM 을 전송하여 홈 단말기(120)와 VMS 장치(108)간에 호를 설정한다(미도시).
호가 설정되면 VMS 장치(108)는 홈 단말기(120)에 음성 또는 영상 메시지를 저장할지 여부를 묻는 질의를 전송한다(S410).
음성 또는 영상 메시지를 저장할지 여부를 묻는 질의는 음성 또는 문자 데이터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면"1 번 저장, 2번 거절"이라는 메시지를 전송될 수 도 있으며 미리 녹음된 "1번 저장, 2번 거절이라는 음성 데이터를 송출될 수도 있다. 다만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SMSC(106)를 통하여 전송된다.
위에서 설명한 음성 또는 문자 데이터 형태의 질의에 홈 단말기(120)가 저장을 승인하면(예를 들어, 1번을 누르는 경우) 승인 요청 신호가 VMS 장치(108)로 전송되고 이에 따라 VMS 장치(108)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저장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415).
만일 홈 단말기(120)에서 저장을 승인하지 않는 신호가 전송된 경우(예를 들어, 2번을 누르는 경우) VMS 장치(108)는 그대로 멀티미디어 사서함 서비스를 종료 할 수 있다(S420).
저장을 승인한 경우에는 홈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메시지 또는 영상 메시지가 전송되어 VMS 장치(108)에 저장된다(S425).
홈 단말기(120)의 사용자는 음성 또는 영상 메시지의 전송이 끝나면 예를 들어, 별표(*) 등의 버튼입력을 통하여 음성 또는 영상 메시지의 전송이 종료되었음을 VMS 장치(108)로 알린다.
이 경우 VMS 장치(108)는 저장이 완료되었다는 음성을 홈 단말기(120)로 전송하는 동시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화연결(Outdialing)을 언제 수행할지를 묻는 질의를 홈 단말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S430).
따라서 홈 단말기(120)의 사용자는 시간을 입력하여 VMS 장치(108)로 전송한다. 시간을 입력하는 방법은 네자리 숫자를 입력하도록 하여 VMS 장치(108)는 첫 번째 2자리는 시간으로 마지막 2자리는 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1920이라고 입력하면 1920이 VMS 장치(108)로 전송되어 VMS 장치(108)는 이를 19시 20분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VMS 장치(108)은 시간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435).
또한, 도 4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1920을 홈망(100)을 기준으로 입력할지 로밍망(170)을 기준으로 입력할지를 선택하는 질의를 추가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로밍망(170)이 프랑스 파리인 경우 로밍망(170)을 기준으로 1920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해당 프랑스 파리 시간을 기준으로 19시 20분에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VMS 장치(108)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HLR(104)에 질의하여 로밍 단말기(190)의 번호를 통하여 서비스 가입자 별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에서 현재 로밍 단말기(190)가 위치한 국가(예를 들면, 프랑스)를 식별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에는 로밍 서비스 가입자별 정보가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만일 홈 단말기(120)로부터 시간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VMS 장치(108)는 즉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로밍 단말기(190)에 전송하기 위하여 도 3에서 설명한 전화연결(Outdialing)을 수행할 수 있다. 즉, VMS 장치(108)는 MSC(102)에 IAM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시간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로밍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시간을 멀티미디어 메시지 저장 시점으로부터 30분 후로 미리 설정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VMS 장치(108)에 저장되고 30분이 경과한 때 도 3에서 설명한 전화연결(Outdialing)을 수행할 수 있다. 즉, VMS 장치(108)는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VMS 장치(108)에 저장된 후 30분이 경과하면 MSC(104)에 IAM을 전송한다.
이 경우 30분은 디폴트(Default)값으로써 1시간, 또는 1일 등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홈 단말기에서 시간을 전송하지 않은 경우 VMS 장치(108)는 1시간 뒤 또는 1일 뒤에 전화연결을 수행하기 위하여 MSC(104)로 IAM을 전송할 수 있다.
만일 앞서 설명한 시간이 입력된 경우에는 입력된 시간에 음성 또는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의 로밍 단말기의 모습과 본 발명이 적용되지 않은 경우의 로밍 단말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에 홈망(100)의 VMS 장치(108)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홈망(100)을 통해 설정된 국제호를 통하여 로밍 단말기에 전송되므로 로밍 단말(19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전화가 왔다는 메시지와 음성메시지가 도착하였다는 안내 메시지도 함께 표시된다.
따라서 로밍 단말기(190)의 사용자는 SEND 버튼을 누름으로써 로밍망(170)에서 전송하는 호 착신 요구 메시지에 응답하게 되고 통화채널이 형성되면 홈망(100)의 VMS 장치(108)와 연결되어 음성메시지가 전송되게 된다.
이때 음성 메시지는 서킷 데이터 형식으로 국제회선망(150)을 통하여 홈망(100)과 로밍망(170) 사이를 통과할 수도 있으며 패킷 데이터 형식으로 IP망을 통하여 전송될 수도 있음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통화채널은 앞서 설명한 데이터 경로를 의미한다.
제3세대 이동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역폭 증가와 전송효율 향상으로 영상 데이터도 전송할 수 있으므로 앞에서 음성메시지가 전송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영상 메시지도 로밍 단말기에 전송되어 본 발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음성 또는 영상 메시지는 모두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전송되는 멀티미디어의 종류가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영상 데이터는 IP망을 통하여 홈망(100)과 로밍망(170)간에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적용되지 않은 경우의 로밍 단말기(192)에는 음성 메시지가 홈망(100)의 VMS 장치(108)에 저장되었다는 것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 도착 안내 메시지만이 전송될 뿐이다.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인 음성 메시지 도착 안내 메시지는 소량의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는 호출 채널(Paging Channel)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지만 호 착신 요구 메시지에 삽입되어 전송되는 것은 아니므로 로밍 단말기(192)의 사용자는 음성 메시지가 도착하였다는 메시지만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로밍 단말기(192)가 로밍 망(170)에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여야 하므로 발신호에 해당하는 요금이 로밍 단말기(192)의 사용자에게 과금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 로밍 단말기(190)가 착신 호를 이용하므로 발신 호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저렴한 요금을 부담하면서 음성 메시지의 확인율이 크게 향상되고 멀티미디어 사서함 서비스의 이용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홈망과 로밍망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MS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홈망에서 로밍 단말기로 전화연결을 통하여 음성 또는 영상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VMS 장치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의 로밍 단말기의 모습과 본 발명이 적용되지 않은 경우의 로밍 단말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Claims (16)

  1. 제1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저장 및 전송을 수행하는 사서함 서비스 장치가 제2 이동통신망의 로밍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통신망에 위치한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로밍 단말기와 상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간에 호를 설정하기 위한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상기 제1 이동통신망의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와 상기 로밍 단말기 간에 설정된 데이터 경로를 통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데이터 경로는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가 상기 제2 이동통신망의 교환기로 전송되고, 상기 제2이동통신망의 교환기가 상기 로밍 단말기에 호 착신 요구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설정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이후와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상기 제1 이동통신망의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제1 이동통신망의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상기 제2 이동통신망의 교환기인 로밍 교환기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밍 교환기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동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센터에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저장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로밍 교환기의 정보를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로밍 교환기의 정보는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가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 단문 메시지 전송에 필요한 경로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전송 받은 것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상기 제1 이동통신망의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에 접속할 수 있는 사서함 서비스 장치 접속번호가 삽입된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상기 제1 이동통신망의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이후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상기 제1 이동통신망의 교환기로 전송할 시간을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 질의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송할 시간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상기 제1 이동통신망의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전송할 시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상기 제1 이동통신망의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 이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 및 상기 호 착신 요구 메시지에는 상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 접속번호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로밍 단말기 상기 호 착신 요구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아 상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간에 상기 데이터 경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호 착신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 접속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로밍 단말기가 상기 제2 이동통신망으로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로밍 단말기와 상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간에 설정되는 상기 데이터 경로를 통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8. 제1 이동통신망의 사서함 서비스 장치에서 제2 이동통신망의 로밍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1 이동통신망에 포함되는 교환기가 멀티미디어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포함되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저장 및 전송을 수행하는 상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로부터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동통신망에 포함되는 교환기로 상기 수신된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 받은 상기 제2 이동통신망에 포함되는 교환기가 상기 로밍 단말기로 호 착신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로밍 단말기가 응답하면 데이터 경로가 설정되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상기 설정된 데이터 경로를 통해 상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에서 상기 로밍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9. 제1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저장 및 전송을 수행하는 사서함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제1 이동통신망의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1 이동통신망에 포함되는 교환기에 제2 이동통신망의 로밍 단말기와 호 설정을 하기 위한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호 설정 요구 메시지 전송부;
    상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와 상기 로밍 단말기 간에 설정된 데이터 경로를 통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로밍 단말기로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부-여기서 상기 데이터 경로는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가 상기 제2 이동통신망의 교환기로 전송되고 상기 제2이동통신망의 교환기가 상기 로밍 단말기에 호 착신 요구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설정됨-; 및
    상기 저장부,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 전송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서함 서비스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수신되어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보고 메시지를 홈 위치 등록기에 전송하고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상기 제2 이동통신망의 교환기의 정보를 수신하는 로밍 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서함 서비스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밍 정보 수신부는 상기 보고 메시지를 상기 1 이동통신망에 포함되는 단문 메시지 센터를 통하여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 전송하고, 상기 제2 이동 통신 망의 교환기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서함 서비스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는
    상기 제2 이동통신망의 로밍 단말기가 상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에 접속할 수 있는 사서함 서비스 장치 접속번호를 생성하는 접속번호 생성부-여기서 상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 접속번호는 상기 제2 이동통신망의 교환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됨-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에 상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 접속번호를 삽입하여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로밍 단말기가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에 상응하는 호 착신 요구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아 상기 데이터 경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로밍 단말기가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 접속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와 상기 데이터 통로가 설정되면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서함 서비스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는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 전송부가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 전송시간을 상기 발신측 단말기에 질의하는 전송시간 질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신측 단말기가 상기 질의에 응답한 전송시간에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 전송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서함 서비스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가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한 시간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때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 전송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서함 서비스 장치.
  15. 제2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로밍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1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 받아 저장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로밍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상기 제1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포함되는 교환기로 전송하는 사서함 서비스 장치; 및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교환기로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교환기를 포함하되,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는 상기 제2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교환기에 의하여 호 착신 요구 메시지로 변환되어 상기 로밍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이동통신망 시스템.
  16. 제1 이동통신망의 사서함 서비스 장치에서 제2 이동통신망의 로밍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이동통신망에 포함되는 교환기가 멀티미디어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통신망 시스템에 포함되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저장 및 전송을 수행하는 상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로부터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동통신망에 포함되는 교환기로 상기 수신된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 받은 상기 제2 이동통신망에 포함되는 교환기가 상기 로밍 단말기로 호 착신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로밍 단말기가 응답하면 데이터 경로가 설정되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상기 설정된 데이터 경로를 통해 상기 사서함 서비스 장치에서 상기 로밍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를 설정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70078968A 2007-08-07 2007-08-07 멀티미디어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 장치, 방법 및 그기록메체 KR100906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968A KR100906759B1 (ko) 2007-08-07 2007-08-07 멀티미디어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 장치, 방법 및 그기록메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968A KR100906759B1 (ko) 2007-08-07 2007-08-07 멀티미디어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 장치, 방법 및 그기록메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768A KR20090014768A (ko) 2009-02-11
KR100906759B1 true KR100906759B1 (ko) 2009-07-09

Family

ID=40684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968A KR100906759B1 (ko) 2007-08-07 2007-08-07 멀티미디어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 장치, 방법 및 그기록메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7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602A (ko) 2001-08-08 2003-02-15 인포뱅크 주식회사 유무선 통합 음성 사서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6665532B1 (en) * 1999-10-05 2003-12-16 Lucent Technologies Inc. Alternative message usage for voice mail retreival via revertive calling
KR20070091719A (ko) 2006-03-07 2007-09-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국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5532B1 (en) * 1999-10-05 2003-12-16 Lucent Technologies Inc. Alternative message usage for voice mail retreival via revertive calling
KR20030013602A (ko) 2001-08-08 2003-02-15 인포뱅크 주식회사 유무선 통합 음성 사서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91719A (ko) 2006-03-07 2007-09-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국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768A (ko)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1908C2 (ru) Протокол управления вызовами при недостаточном кредите
US20090124238A1 (en) Telecommunications services apparatus and methods
EP12297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ultimedia messages to a wireless phone without ringing
GB2403621A (en) Notifying a caller of a user's availability following a missed call
KR100729991B1 (ko) W-cdma망에서 동영상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 및장치
WO2006051611A1 (ja) 用件提示方法及び用件情報蓄積装置及び端末
KR100700876B1 (ko) 3자 통화 방식을 이용한 음성 저장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92472A (ko) 통신시스템에서의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
KR100906759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 사서함 서비스 장치, 방법 및 그기록메체
KR100827337B1 (ko) 발신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정보서비스 이용 방법
CN101980551A (zh) 语音短信系统及其实现方法
KR101069039B1 (ko) 유선단말로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2572728B (zh) 一种传输留言信息的方法及装置和系统
KR100591893B1 (ko) 무선 단말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를 다른 유무선 단말로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693751B1 (ko) 엠엠에스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12196A (ko) 호연결 시도 중 발신자 또는 수신자 전화기로 부가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561669B1 (ko) 화상 전화망에서의 대체 동영상 데이터 제공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100549685B1 (ko) 발신번호 메모 기능을 구비한 비동기 imt-2000 시스템및 발신번호 메모 서비스 방법
KR20040016727A (ko) 이동통신 데이터망을 이용한 양방향 음성통화 및음성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33304A (ko) 통신시스템에서 착신 가입자의 상태에 따른 착신호 제어서비스 방법
KR10065019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40025350A (ko) 미착신 유선전화 호의 발신자 표시 방법
KR100766235B1 (ko) 착신불가 정보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시스템및 방법
KR100668454B1 (ko) 통화 중 dtmf 신호 검출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0998928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 접속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