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9764A - 냉장고의 저장박스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저장박스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9764A
KR20070059764A KR1020050119012A KR20050119012A KR20070059764A KR 20070059764 A KR20070059764 A KR 20070059764A KR 1020050119012 A KR1020050119012 A KR 1020050119012A KR 20050119012 A KR20050119012 A KR 20050119012A KR 20070059764 A KR20070059764 A KR 20070059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torage box
moving
guide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9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6355B1 (ko
Inventor
이창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9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6355B1/ko
Priority to IT002355A priority patent/ITMI20062355A1/it
Priority to DE102006057582.2A priority patent/DE102006057582C5/de
Priority to JP2006330887A priority patent/JP2007155324A/ja
Priority to US11/634,888 priority patent/US20070126324A1/en
Publication of KR20070059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27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dra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9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9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저장박스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본체의 내면외관을 형성하는 이너케이스(30)의 바닥면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2) 및 상기 가이드레일(3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레일(46)이 구비되는 레일조립체(31)와; 그 하면이 상기 레일조립체(3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이동레일(46)에 의해 상기 냉장고본체의 내외부로 이동되는 저장박스(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저장박스 이동장치는 저장박스(52)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제조원가가 절감되며, 저장박스(52)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레일조립체, 결합보스, 저장박스, 장착홈, 셀프댐핑유닛, 조작부재, 피스톤

Description

냉장고의 저장박스 이동장치{Storing box mov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저장박스 이동장치가 채용된 냉장고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저장박스 이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분리해서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이동레일이 인입된 상태에서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레일조립체의 동작과정을 저장박스가 인출되는 과정에 따라 보인 동작과정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레일조립체의 동작과정을 저장박스가 인입되는 과정에 따라 보인 동작과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이너케이스 30a:제1체결홀
31:레일조립체 32:가이드레일
33:체결리브 33a:제2체결홀
34:셀프댐핑유닛 36:실린더
37:로드 38:연동캠
38a:작용부 38b:걸림부
38c:안내돌기 40:가이드리브
40a:제1가이드슬릿 40b:제2가이드슬릿
44:중간레일 46:이동레일
48:조작부재 48a:작용편
48b:걸림편 50:결합보스
52:저장박스 54:저장공간
56:장착채널 56a:장착홈
B:볼베어링 S:스크류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 내부에 장착되어 음식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이동되는 저장박스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본체 내부에는 냉동실 또는 냉장실과 같은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이와 같은 냉동실이나 냉장실에는 야채박스와 같이 음식물을 수납할 수 있게 하는 각종 저장박스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저장박스는 보통 서랍식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고본체(2)의 내부에는 야채나 채소 등의 음식물을 보관하는 저장박스(미도시)가 설치되는 설치공간(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박스는 원활한 이동을 위해 그 바닥면이 아래에서 설명될 이너케이스(4)의 바닥면과 약간 이격된 상태로 상기 설치공간(2')에 설치된다.
상기 냉장고본체(2)의 외면과 내면은 각각 아웃케이스(4)와 이너케이스(6)가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간(2)에 저장박스를 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이너케이스(6)의 양측벽에는 지지부(6a)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6a)는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레일(8)을 이너케이스(6)의 양측벽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횡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6a)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8)은 상기 지지부(6a)의 가느다랗고 길게 형성된 홈에 끼워지도록 지지부(6a)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8)은 지지부(6a)에 고정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중간레일(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8)의 가느다랗고 길게 형성된 홈에는 중간레일(10)이 설치된다. 상기 중간레일(10)은 상기 가이드레일(8)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중간레일(10)은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레일(12)과 마찬가지로 상기 가이드레일(8)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여, 저장박스가 전방으로 인출되는 범위를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간레일(10)의 가느다랗고 긴 홈에는 이동레일(12)이 끼워진다. 상기 이동레일(12)은 음식물이 보관되는 저장박스의 양측면부에 결합되어 저장박스와 함께 상기 가이드레일(8)을 따라 전후로 이동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저장박스 내에 많은 양의 음식물이 보관되면, 음식물의 무게로 상기 저장박스의 바닥부가 처지게 된다. 특히, 상기 바닥부의 가운데부위는 음식물의 하중에 의한 모멘트가 가장 크게 작용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처짐이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저장박스의 바닥부와 이너케이스(6)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이 점점 좁아져 저장박스의 바닥부가 이너케이스(6)에 닿게 된다. 결국, 종래기술에서는 저장박스의 바닥부와 이너케이스(6)의 바닥면 간의 마찰로 저장박스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박스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레일(8,10,12)은 상기 이너케이스(6)의 양측벽에 각각 설치되어, 종래기술에서는 레일(8,10,12)을 한 곳에만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조원가가 증가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저장박스를 닫을 때 상기 저장박스가 냉장고본체(2)에 완전히 밀착될 때까지 저장박스의 전면에 힘을 계속 가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장박스의 이동시 저장박스의 처짐으로 발생하는 저장박스의 바닥부와 이너케이스의 바닥면 간의 마찰을 줄일 수 있는 냉장고의 저장박스 이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장박스를 이동가능하게 하는 레일조립체의 개수를 줄이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장박스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냉장고본체의 내면외관을 형성하는 이너케이스의 바닥면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레일이 구비되는 레일조립체와; 그 하면이 상기 레일조립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이동레일에 의해 상기 냉장고본체의 내외부로 이동되는 저장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레일의 선후단부에는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결합보스가 구비되고, 상기 저장박스의 바닥부 가운데부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채널 상측벽의 선후단에는 각각 오목하게 들어간 장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에 결합보스가 삽입되어 상기 저장박스와 이동레일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연동된다.
상기 가이드레일과 이동레일 사이에는 상기 이동레일의 이동범위를 확장시켜 주는 중간레일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과 이동레일의 일측에는 각각 셀프댐핑유닛과 조작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셀프댐핑유닛에는 인장되어 있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과 상호구속되게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방해하는 댐핑유체가 내부에 구비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되는 로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리브와; 상기 로드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조작부재와 선택적으로 상호구속되는 연동캠;이 구비된다.
상기 연동캠에는 돌출형성된 작용부와 상기 작용부에 인접하여서 돌출형성된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부재에는 상기 작용부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작용편과 상기 작용편에 인접하여서 상기 걸림부가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림편이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편에 걸어져 상기 연동캠과 조작부재가 연동가능하도록 상호구속되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편에서 분리되어 상기 저장박스의 인출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저장박스 이동장치는 저장박스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제조원가가 절감되며, 저장박스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저장박스 이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저장박스 이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분리해서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이동레일이 인입된 상태에서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본체의 내면외관을 형성하는 이너케이스(30)의 바닥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리브(33)가 체결되도록 제1체결홀(30a)이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홀(30a)을 통해 상기 이너케이스(3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레일조립체(31)에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레일(32)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레일(32)에는 상기 가이드레일(32)이 상기 이너케이스(30)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스크류(S)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2체결홀(33a)이 형성된 체결리브(33)가 구비된다. 상기 제2체결홀(33a)을 통해 스크류(S)가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2)이 이너케이스(30) 바닥면의 가운데부위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체결홀(33a)은 상기 레일조립체(31)를 이너케이스(30)의 바닥면에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레일(32)의 후단부 일측에는 셀프댐핑유닛(self-damping unit)(34)이 설치된다. 상기 셀프댐핑유닛(34)은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레일(46)의 이동속도를 완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셀프댐핑유닛(34)에는 실린더(36)가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36)의 내부에는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은 인장되어 있어 상기 스프링에 힘을 전달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미도시)을 잡아당겨 사용자가 아래에서 설명될 저장박스(52)의 전면에 힘을 주지 않고도 자동으로 저장박스(52)의 완전한 인입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링에는 피스톤이 상호구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은 아래에서 설명될 로드(37)로부터 전달받은 힘을 상기 스프링에 전달하여, 상기 스프링을 압축 또는 인장시킨다.
상기 실린더(36) 내부에는 기체나 액체와 같은 댐핑유체가 함유되어 있다. 상기 댐핑유체는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는 피스톤의 이동을 방해하여, 저장박스(52)의 이동속도를 감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피스톤에는 상기 실린더(36) 외부로 돌출된 로드(37)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로드(37)는 스프링의 복원력이 저장박스(52)에 전달될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동캠(38)과 결합되어 있어, 저장박스(52)와 선택적으로 상호구속된다.
상기 로드(37)의 선단부에는 연동캠(38)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아, 상기 로드(37)의 선단부에는 소정크기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연동캠(38)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동캠(38)이 상기 홈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동캠(38)의 후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작용부(38a)가 구비된다. 상기 작용부(38a)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작부재(48)의 작용편(48a)이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부분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걸림편(48b)이 걸림부(38b)에 원활하게 걸어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동캠(38)의 선단부에는 상기 작용부(38a)와 이격되어서 상방으로 돌출된 걸림부(38b)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38b)는 조작부재(48)의 걸림편(48b)이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부분으로, 저장박스(52)의 인입시에 걸림편(48b)의 후단부가 걸어져 연동캠(38)과 조작부재(48)를 상호구속되게 하여 저장박스(52)의 전방에 힘을 가하지 않아도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로드(37)와 저장박스(52)가 함께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38b)는 상기 걸림편(48b)에 걸어져 있어 저장박스(52)의 인출시에 일정위치까지는 상기 저장박스(52)의 이동력에 의해 상기 연동캠(38)이 이동되도록 하고, 그 후에는 상기 연동캠(38)이 상기 제2가이드슬릿 (40b)에 안내되어 이동하여 상기 걸림편(48b)에서 분리됨에 따라 저장박스(52)의 추가적인 인출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연동캠(3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가이드슬릿(40b)에 삽입되어 상기 연동캠(38)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연동캠(38)을 가이드리브(40)의 특정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안내돌기(38c)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셀프댐핑유닛(34)에는 상기 로드(37)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리브(4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리브(40)의 상면에는 연동캠(38)의 작용부(38a) 및 걸림부(38b)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슬릿(4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가이드슬릿(40a)은 가느다랗고 긴 형상으로 상기 가이드리브(4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40)의 일측면에는 제2가이드슬릿(40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가이드슬릿(40b)의 가느다랗고 긴 홈의 끝부분이 하방으로 처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슬릿(40b)에는 상기 연동캠(38)의 안내돌기(38c)가 삽입되어 이동한다. 이와 같은 제2가이드슬릿(40b)은 상기 안내돌기(38c)의 이동을 안내하여 상기 연동캠(38)을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레일조립체(31)에는 중간레일(44)이 구비되고, 상기 중간레일(44)은 상기 가이드레일(3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32)과 중간레일(44) 사이에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레일(44)이 상기 가이드레일(3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볼베어링(B)이 구비된다. 상기 중간레일(44)은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레일(46)과 마찬가지로 상기 가이드레일 (32)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여 저장박스(52)가 전방으로 인출되는 범위를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일조립체(31)에는 이동레일(46)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레일(46)은 상기 중간레일(44)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중간레일(44)과 이동레일(46) 사이에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레일(46)이 상기 가이드레일(3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볼베어링(B)이 구비된다. 상기 이동레일(46)은 음식물이 보관되는 저장박스(52)에 결합되어 저장박스(52)와 함께 상기 가이드레일(32)을 따라 전후로 이동된다.
상기 이동레일(46)의 일측에는 조작부재(48)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재(48)는 상기 작용부(38a) 및 걸림부(38b)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연동캠(38)과 상호구속되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저장박스(52)가 인입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작부재(48)에는 돌출형성된 작용편(48a)이 구비된다. 상기 작용편(48a)은 상기 작용부(38a)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작용편(48a)은 상기 이동레일(46)과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저장박스(52)가 완전히 인입되기 전에 상기 작용부(38a)에 안착되어 이동하고, 저장박스(52)가 인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작용부(38a)에서 분리되어 이동한다.
상기 조작부재(48)에는 상기 작용편(48a)과 인접하여서 걸림편(48b)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편(48b)은 상기 걸림부(38b)가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부(38b)가 상기 걸림편(48b)에 걸어지면 상기 연동캠(38)과 조작부재(48)는 상호구속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저장박스(52)가 인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38b)가 상기 걸림편(48b)에서 분리되면, 저장박스(52)의 추가적인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이동레일(46)의 선후단부에는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결합보스(50)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보스(5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저장박스(52)의 장착홈(56a)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레일(46)과 저장박스(52)를 연동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레일조립체(31)에는 저장박스(52)가 장착된다. 상기 저장박스(52)의 내부에는 음식물의 보관을 위한 저장공간(54)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공간(54)은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양측벽에 지지되는 선반(미도시)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저장박스(52)의 바닥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채널(56)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채널(56)에는 상기 레일조립체(31)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장착채널(56)은 저장박스(52)의 이동시 상기 레일조립체(31)와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저장박스(52)의 양측면부는 상기 저장박스(52)와 이너케이스(30)간의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양측벽에서 약간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저장박스(52)는 바닥부와 상단부가 각각 상기 레일조립체(31)와 선반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레일(32)을 따라 흔들림없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장착채널(56)의 상측벽의 선후단부에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장착홈(56a)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56a)은 상기 이동레일(46)의 결합보스 (50)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저장박스(52)와 이동레일(46)을 연동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저장박스 이동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실시예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가이드레일(32)에 중간레일(44)을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중간레일(44)에 이동레일(46)을 이동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32)의 후단부에 셀프댐핑유닛(34)을 고정설치한다. 이와 같이, 레일조립체(31)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일(32)의 체결리브(33)를 이너케이스(30)의 바닥면에 스크류(S)와 같은 체결부재로 체결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동레일(46)의 결합보스(50)가 저장박스(52)의 장착홈(56a)에 삽입되도록 상기 레일조립체(31)의 상방에 저장박스(52)를 위치시키고, 상기 저장박스(52)를 하방으로 내려 상기 이동레일(46)의 결합보스(50)가 상기 저장박스(52)의 장착홈(56a)에 삽입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저장박스(52)가 레일조립체(31)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저장박스(52)의 바닥부가 상기 레일조립체(31)에 고정되고 상기 저장박스(52)의 상단부가 상기 선반에 안내되기 때문에, 상기 저장박스(52)는 흔들림없이 상기 가이드레일(32)을 따라 상기 이동레일과 함께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저장박스(52)의 가운데부위는 장착채널(56)의 성형으로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있어 음식물이 놓이기 어려워지고, 상기 장착채널(56)의 장착된 레일조립체(31)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박스(52)의 가운데부위는 음식물의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모멘트가 작아 처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저장박스(52)의 가운데부위가 상기 레일조립체(31)에 의해 지지됨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는 부위는 상기 저장박스(52)의 가운데부위를 기준으로 양측에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모멘트가 가장 크게 작용하는 거리(저장박스(52)의 측면부와 저장박스(52)의 가운데부위 사이 거리의 절반)가 줄어들고 음식물의 하중이 양측으로 분산되므로, 처짐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하여 저장박스(52)의 바닥부과 이너케이스(30)의 바닥면 사이의 마찰은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동작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레일조립체의 동작과정을 저장박스가 인출되는 과정에 따라 보인 동작과정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박스(52)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A)에서는 조작부재(48)의 작용편(48a)과 걸림편(48b)이 연동캠의 작용부(38a)와 걸림부(38b)에 각각 안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실린더(36)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에 피스톤이 상호구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저장박스(52)가 인출되면, 저장박스(52)와 함께 이동되는 이동레일(46)이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걸림편(48b)에 걸림부(38b)가 걸어져 로드(37)와 저장박스(52)가 상호구속적으로 이동가능하여 저장박스(52)의 이동에 따라 로드(37)가 B와 같은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B와 같은 상태에서 이동레일(46)이 계속 전방으로 인출되면, 연동캠(38)의 안내돌기(38c)가 제2가이드슬릿(40b)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걸림편(48b)이 걸림부(38b)에서 분리되어 C와 같은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작용편(48a)이 상기 걸림부(38b)에 방해받지 않고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저장박스(52)의 추가적인 인출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레일조립체의 동작과정을 저장박스가 인입되는 과정에 따라 보인 동작과정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박스(52)가 인입되어 작용편(48a)이 작용부(38a)에 접촉하는 순간인 D와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저장박스(52)의 전면에 힘을 가하지 않아도 작용편(48a)이 작용부(38a)에 안착되고 안내돌기(38c)가 제2가이드슬릿(40b)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걸림부(38b)가 걸림편(48b)을 당기면서 걸림편(48b)에 걸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동캠(38)과 조작부재(48)가 상호구속되어 연동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인장되어 있는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저장박스(52)는 자동으로 인입되고, 상기 연동캠(38)과 결합되어 있는 로드(37)가 댐핑유체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의 E에 잘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은 인장되어 있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스프링에 상호구속되어 있는 피스톤을 잡아당기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재(48)의 작용편(48a)은 연동캠(38)의 작용부(38a)에 안착되어 있고, 걸림부(38b)는 걸림편(48b)에 걸어져 있어, 상기 조작부재(48)와 연동캠(38)은 상호구속된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의 잡아당김에 의해 사용자가 저장박스(52)의 전방에 힘을 주지 않아도 상기 저장박스(52)는 자동으로 인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박스(52)가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로드(37)는 상기 스프링이 복원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자동으로 인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37)는 실린더(36) 내부에 있는 댐핑유체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댐핑유체는 상기 로드(37)의 이동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저장박스(52)의 인입속도가 감속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될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저장박스 이동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저장박스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레일조립체가 하나만 구비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너케이스의 바닥면에 일측이 고정설치되는 레일조립체를 저장박스의 가운데부위에 형성된 장착채널에 위치되게 하고, 레일조립체를 구성하는 이동레일의 선후단부에 구비되는 결합보스를 상기 장착채널에 형성된 장착홈에 삽입되게 하여 상기 저장박스를 레일조립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레일조립체가 상기 저장박스의 가운데부위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저장박스의 바닥부의 처짐이 억제되고 이에 따라 저장박스의 바닥부와 이너케이스의 바닥면 사이의 마찰이 제거되어 저장박스의 이동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저장박스의 인입시에 조작부재의 작용편 및 걸림편이 연동캠의 작용부 및 걸림부에 안착되어 상기 조작부재와 연동캠이 상호구속된다. 그리고, 셀프댐핑유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로드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조작부재와 연동캠의 상호구속으로 저장박스가 자동으로 인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저장박스가 일정이상 삽입되고 나면, 사용자가 저장박스의 전면에 힘을 주지 않아도 저장박스가 자동으로 인입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냉장고본체의 내면외관을 형성하는 이너케이스의 바닥면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레일이 구비되는 레일조립체와;
    그 하면이 상기 레일조립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이동레일에 의해 상기 냉장고본체의 내외부로 이동되는 저장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저장박스 이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의 선후단부에는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결합보스가 구비되고, 상기 저장박스의 바닥부 가운데부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채널 상측벽의 선후단에는 각각 오목하게 들어간 장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에 결합보스가 삽입되어 상기 저장박스와 이동레일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연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저장박스 이동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과 이동레일 사이에는 상기 이동레일의 이동범위를 확장시켜 주는 중간레일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저장박스 이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과 이동레일의 일측에는 각각 셀프댐핑유닛과 조작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셀프댐핑유닛에는 인장되어 있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과 상호구속되게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방해하는 댐핑유체가 내부에 구비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되는 로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리브와;
    상기 로드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조작부재와 선택적으로 상호구속되는 연동캠;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저장박스 이동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캠에는 돌출형성된 작용부와 상기 작용부에 인접하여서 돌출형성된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부재에는 상기 작용부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작용편과 상기 작용편에 인접하여서 상기 걸림부가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림편이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편에 걸어져 상기 연동캠과 조작부재가 연동가능하도록 상호구속되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편에서 분리되어 상기 저장박스의 인출이 가능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저장박스 이동장치.
KR1020050119012A 2005-12-07 2005-12-07 냉장고의 저장박스 이동장치 KR101286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012A KR101286355B1 (ko) 2005-12-07 2005-12-07 냉장고의 저장박스 이동장치
IT002355A ITMI20062355A1 (it) 2005-12-07 2006-12-06 Complesso di rotaie per frigorifero e dispositivo per estrarre e retrarre una scatola ponta-alimenti di frigorifero avente tale complesso
DE102006057582.2A DE102006057582C5 (de) 2005-12-07 2006-12-06 Kühlschrankschienenanordnung und Kühlschranklagerbehälterauszugs-/-Einschubvorrichtung mit derselben
JP2006330887A JP2007155324A (ja) 2005-12-07 2006-12-07 冷蔵庫用レール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含む冷蔵庫用収納ボックス出入装置
US11/634,888 US20070126324A1 (en) 2005-12-07 2006-12-07 Refrigerator rail assembly and refrigerator storage box extracting/retrac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012A KR101286355B1 (ko) 2005-12-07 2005-12-07 냉장고의 저장박스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764A true KR20070059764A (ko) 2007-06-12
KR101286355B1 KR101286355B1 (ko) 2013-07-15

Family

ID=38356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9012A KR101286355B1 (ko) 2005-12-07 2005-12-07 냉장고의 저장박스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63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0306A (ko) * 2015-11-24 2017-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368B1 (ko) * 2016-04-12 2017-07-0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서랍가이드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4968B2 (ja) * 1998-07-28 2006-06-14 株式会社東芝 貯蔵庫
KR200288322Y1 (ko) 2002-05-28 2002-09-10 박윤식 냉장고용 슬라이드레일
KR20040025316A (ko) * 2002-09-19 2004-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랍식 냉장고
JP2004154219A (ja) 2002-11-05 2004-06-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浄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0306A (ko) * 2015-11-24 2017-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9863692B2 (en) 2015-11-24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6355B1 (ko) 2013-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26324A1 (en) Refrigerator rail assembly and refrigerator storage box extracting/retrac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U2012254891B2 (en) Synchronizing device for a drawer slide mechanism
US10165859B2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a drawer slide synchronizer
KR101114478B1 (ko) 자동 폐쇄 장치가 설치된 하부 장착형 슬라이딩 장치
EP3059529B1 (en) Refrigerator
JP2009030875A (ja) 冷蔵庫
KR101286355B1 (ko) 냉장고의 저장박스 이동장치
KR101894879B1 (ko) 냉장고
KR200478368Y1 (ko) 슬라이드레일 자동폐쇄장치
KR100798453B1 (ko) 가구용 오토클로져
JP4644699B2 (ja) 冷蔵庫
US20100001623A1 (en) Refrigerator and rail assembly thereof
KR101161874B1 (ko)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
KR101233581B1 (ko)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
JP6985861B2 (ja) 冷蔵庫
KR20080065099A (ko) 냉장고
JP4483461B2 (ja) 冷蔵庫
KR101113134B1 (ko) 도어 개폐구조
JP2009052801A (ja) 冷蔵庫
JP6857008B2 (ja) 冷蔵庫
JP6385464B2 (ja) 冷蔵庫
JP5377468B2 (ja) 冷蔵庫
KR20060101038A (ko) 상향 경사 인출이 가능한 서랍을 구비한 냉장고
WO2019186886A1 (ja) 貯蔵庫
KR20170014995A (ko) 슬라이드레일 자동폐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