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8682A -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8682A
KR20070058682A KR1020077009749A KR20077009749A KR20070058682A KR 20070058682 A KR20070058682 A KR 20070058682A KR 1020077009749 A KR1020077009749 A KR 1020077009749A KR 20077009749 A KR20077009749 A KR 20077009749A KR 20070058682 A KR20070058682 A KR 20070058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indoor unit
air conditioner
receive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9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나오 야스토미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8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6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perfuming or deodori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Abstract

벽걸이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 있어서, 실내 유닛의 형태에 의하여 수신기를 실내 유닛의 저면(底面) 및 그 근방에 배치하여야 하는 경우인데도, 리모컨으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확실히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벽걸이형 실내 유닛(1)은 전면(前面)에 실내 공기의 제1 흡입구(21)를 가지는 케이싱(2)과, 케이싱(2)의 하부(下部)에 설치되어 있고 리모컨으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소자(94)를 구비하고 있다. 수신 소자(94)에 대향하는 케이싱(2)의 면인 제1 케이싱면(24)은 벽면에 케이싱(2)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수평면(O)에 대하여 30° 이하의 각도(α)를 이루도록 상방(上方)을 향하여 경사하고 있다. 수신 소자(94)는, 수신 소자(94)의 중심선(D)이 제1 케이싱면(24)에 직교하는 직교면(J)에 경사하고, 또한, 비스듬한 하방(下方)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공기 조화 장치, 실내 유닛, 케이싱, 수신 소자, 리모컨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특히, 벽걸이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 관한 것이다.
분리형 공기 조화 장치를 구성하는 실내 유닛의 하나로서, 실내 벽면의 상부에 장착되는 벽걸이형 실내 유닛이 있다. 이 벽걸이형 실내 유닛에는, 리모컨에 의하여 운전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리모컨으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적외선식(赤外線式) 수신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신기가 설치되어 있다. 수신기는, 실내의 거주자가 실내 유닛의 전면(前面)의 비스듬한 하측(下側)의 위치로부터 리모컨을 이용하여 조작하는 것을 고려하여, 그 리모컨에 의한 조작 때의 수신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통상(通常) 실내 유닛의 전방(前方)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특허 문헌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케이싱의 전면에 설치된 흡입구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한 전면 패널을 구비한 구조를 가지는 벽걸이형 실내 유닛도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7-98129호 공보
상기의 특허 문헌 1에 나타내어지는 벽걸이형 실내 유닛과 같이, 개폐 가능한 전면 패널을 구비한 구조를 채용하면, 수신기를 케이싱의 하부(下部)에 배치하는 것이 필수로 된다. 그리고 전면 패널의 크기에 의해서는 수신기를 케이싱의 저면(底面) 및 그 근방에 배치하여야 하게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개폐 가능한 전면 패널을 구비한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나 실내 유닛의 형상 또는 다른 기기 배치의 제약 등의 실내 유닛의 형태에 의하여 수신기를 케이싱의 저면 및 그 근방에 배치하여야 하게 되는 경우에는, 리모컨으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확실히 수신할 수 없다는 문제가 생겨 버린다.
또한, 수신기의 근방에는 운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기나, 리모컨을 분실한 경우 등에 운전을 행하기 위한 버튼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기가 배치되는 것이 많고, 이들 기기에 관해서도 케이싱의 저면 및 그 근방에 배치하여야 하게 되어, 배치 공간이 한정되어 버린다. 특히, 표시기에 관해서는, 시인(視認, 눈으로 보고 확인함)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케이싱의 저면 및 그 근방에 배치하는데 있어서의 제약이 많다.
본 발명의 과제는 벽걸이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 있어서, 실내 유닛의 형태에 의하여 수신기를 실내 유닛의 저면 및 그 근방에 배치하여야 하는 경우인데도, 리모컨으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확실히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은, 벽걸이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이며, 실내의 벽면에 장착되어 있고, 전면에 실내 공기의 흡입구를 가지는 케이싱과, 케이싱의 하부(下部)에 설치되어 있고, 리모컨으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수신기에 대향하는 케이싱의 면인 제1 면은 벽면에 케이싱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수평면에 대하여 30° 이하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방(上方)을 향하여 경사하고 있다. 수신기는 수신기의 중심선이 제1 면에 직교하는 면에 경사하고, 또한, 비스듬한 하방(下方)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서는, 수평면에 대하여 30° 이하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방을 향하여 경사한 제1 면에 대향하여 수신기가 설치되어 있고, 수신기의 중심선이 제1 면에 직교하는 면에 경사하고, 또한, 비스듬한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신기의 중심선이 케이싱의 전방을 향하도록 된다. 이것에 의하여, 실내 유닛의 형태에 의하여 수신기를 실내 유닛의 저면 및 그 근방에 배치하여야 하는 경우인데도, 리모컨으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확실히 수신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은,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 있어서, 케이싱의 전면을 일측단(一側端)으로부터 타측단(他側端)까지 덮도록 설치되고, 운전 시에 케이싱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흡입구를 여는 전면 패널을 더 구비하고 있다.
본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서는, 케이싱의 전면을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까지 덮도록 전면 패널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신기를 케이싱의 하부에 배치하는 것이 필수로 되고, 나아가, 수신기를 실내 유닛의 저면 및 그 근방의 수평면에 대하여 30° 이하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방을 향하여 경사한 제1 면에 대향하여 수신기가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서는, 수평면에 대하여 30° 이하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방을 향하여 경사한 제1 면에 대향하여 수신기가 설치되는 경우인데도, 수신기의 중심선이 제1 면에 직교하는 면에 경사하고, 또한, 비스듬한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신기의 중심선이 케이싱의 전방을 향하도록 되고, 리모컨으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확실히 수신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은, 제1 또는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 있어서, 수신기의 근방에 배치되고,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기를 더 구비하고 있다. 수신기는 표시기의 후방(後方)에 배치되어 있다.
본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서는, 수신기를 표시기의 후방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즉, 표시기를 수신기의 전방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표시기의 시인성을 확보하면서 수신기의 중심선이 케이싱의 전방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은, 제2 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 있어서, 수신기의 근방에 배치되고,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기를 더 구비하고 있다. 수신기는 표시기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전면 패널은 그 하단(下端)이 표시기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수신기는 그 하단이 전면 패널의 하단보다도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본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서는, 수신기를 표시기의 후방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즉, 표시기를 수신기의 전방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표시기의 시인성을 확보하면서 수신기의 중심선이 케이싱의 전방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서는, 전면 패널의 하단과 수신기의 하단의 사이의 전후(前後) 거리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리모컨으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확실히 수신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은, 제3 또는 제4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 있어서, 수신기는 제1 기판에 실장(實裝)되어 있다. 표시기는 제1 기판과는 다른 제2 기판에 실장되어 있다.
본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서는, 수신기와 표시기가 각각 다른 기판에 실장되어 있어 각 기판의 설치의 자유도가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수신기의 중심선이 제1 면에 직교하는 면에 경사하고, 또한, 비스듬한 하방을 향하도록 수신기를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은,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 있어서, 제1 기판은 제2 기판에 대하여 경사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서는, 제1 기판을 제2 기판에 대하여 경사시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수신기의 형상을 바꾸는 일 없이, 수신기의 중심선이 제1 면에 직교하는 면에 경사하고, 또한, 비스듬한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은, 제6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 있어서, 제1 기판이 제2 기판에 대하여 전방을 향함에 따라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하고 있다.
제8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은, 제6 또는 제7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 있어서, 제1 기판의 전단부(前端部)는 제2 기판의 후단부(後端部)보다도 제1 면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9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은, 제5 내지 제8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 있어서, 제2 기판에는 운전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기가 더 실장되어 있다.
본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서는, 조작기가 표시기와 같은 기판에 실장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기 및 표시기의 배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을 오른쪽 하측으로부터 비스듬히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을 왼쪽 상측으로부터 비스듬히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의 수평 방향 중앙 부근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전면 패널을 떼어낸 상태에서의 실내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이동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이동 기구의 개폐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전면 패널의 개폐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열림 상태 및 제2 열림 상태에서의 실내 유닛을 왼쪽 상측으로부터 비스듬히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체 표시부를 도시하는 우측면도(기판 지지 부재에 관해서는 좌측면부만을 도시)이다.
도 11은 본체 표시부를 도 3의 화살표 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C-C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내 유닛
2 : 케이싱
6 : 전면 패널
21 : 제1 흡입구
24 : 제1 케이싱 면(제1 면)
81 : 표시 패널(제1 면)
91, 92, 93 : LED(표시기)
94 : 수신 소자(수신기)
95 : 스위치(조작기)
101 : 제1 기판
102 : 제2 기판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1)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의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1)의 외관을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한다. 덧붙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실내 유닛(1)에 관한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실내 유닛(1)이 실내의 벽면에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실내 유닛(1)의 벽면에 장착되는 부분을 실내 유닛(1, 즉, 케이싱(2))의 배면(背面)으로 하고, 배면에 대향하여 실내로 돌출하는 면을 전면(또는 정면)으로 하고, 전면 및 배면의 횡측(橫側)면을 측면(보다 구체적으로는, 정면으로부터 볼 때 우측의 면을 우측면, 정면으로부터 볼 때 좌측의 면을 좌측면)으로 하고, 전면 및 배면의 상측의 면을 천면(天面)으로 하고, 전면 및 배면의 하측의 면을 저면(底面)으로 한다. 또한, 실내 유닛(1)의 수평면이란, 실내의 벽면이 연직면(鉛直面)인 경우에 벽면에 직교하는 면을 말한다. 여기서, 도 1은 실내 유닛(1)을 오른쪽 하측으로부터 비스듬히 본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실내 유닛(1)을 왼쪽 상측으로부터 비스듬히 본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실내 유닛(1)의 우측면도이다.
본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1)은 실내의 벽면의 상부에 장착되는 벽걸이형 실내 유닛이며, 실내의 냉난방 등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실내 유닛(1)은 주로, 케이싱(2)과 송풍팬(3, 도 4 참조)과 실내 열교환기(4, 도 4 참조)와 수평 플랩(flap, 5)과 전면 패널(6)과 이동 기구(7, 도 6 참조)와 본체 표시부(8)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
케이싱(2)은 정면에서 볼 때에 수평 방향으로 긴 직방체(直方體) 형상을 가지고 있고,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로 송풍팬(3)과 실내 열교환기(4)와 본체 표시부(8)의 구성 부품(도 10 참조)을 수용하고 있다. 케이싱(2)의 전면에는 전면 패널(6)이 설치되어 있다. 전면 패널(6)에 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케이싱(2)에는 제1 흡입구(21)와 제2 흡입구(22)와 취출구(23, 吹出口)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4는 실내 유닛(1)의 수평 방향 중앙 부근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취출구(23)는 케이싱(2) 내로부터 실내로 불어내어지는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開口)이고, 제1 케이싱면(24)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케이싱면(24)은 실내기 케이싱(2)의 저면의 전측(前側)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이 제1 케이싱면(24)은 그 전단(前端)이 하단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즉, 벽면에 케이싱(2)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수평면에 대하여 상방을 향하여 경사하고 있다. 그리고 취출구(23)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케이싱면(24)의 수평 방향 양단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취출구(23)에는 수평 플랩(5)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5는 전면 패널(6)을 떼어낸 상태에서의 실내 유닛(1)의 정면도이다.
제1 흡입구(21)는 실내로부터 케이싱(2) 내로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이고, 제2 케이싱면(25)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케이싱면(25)은 케이싱(2)의 전면을 구성하고 있고, 제1 흡입구(21)는 케이싱(2)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케이싱면(25)은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는 대략 평탄한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상단(上端)이 하단에 비하여 약간 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하고 있다. 제2 케이싱면(25)의 하단은 제1 케이싱면(24)의 상단과 연속하고 있고, 제2 케이싱면(25)은 제1 케이싱면(24)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이루고 있다. 즉, 제1 케이싱면(24)과 제2 케이싱면(25)은 굴곡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90° 이상 180° 미만의 비교적 완만한 각도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제1 흡입구(21)는 취출구(23)와 마찬가지로 제2 케이싱면(25)의 수평 방향 양단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제2 흡입구(22)는 실내로부터 케이싱(2) 내로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이고, 제3 케이싱면(26)에 설치되어 있다. 제3 케이싱면(26)은 케이싱(2)의 천면을 구성하고 있으며, 격자상(格子狀)의 흡입 그릴이 설치되어 있다.
<송풍팬>
송풍팬(3)은 수평 방향으로 가늘고 긴 원기둥형상으로 구성되고, 중심축이 수평 방향에 평행이 되도록 배치된 크로스 플로 팬(cross flow fan)이다. 송풍팬(3)의 둘레면에는 복수의 날개가 설치되어 있다. 송풍팬(3)은 도시하지 않은 팬 모터에 의하여 중심축 주위에 회전 구동되어, 실내의 공기를 제1 흡입구(21) 및 제2 흡입구(22)를 통하여 케이싱(2) 내로 흡입하고, 실내 열교환기(4)를 통과시킨 후에 취출구(23)로부터, 케이싱(2) 내로부터 실내로 불어내어지는 공기의 흐름을 생기게 한다. 송풍팬(3)은 측면에서 볼 때에 실내 유닛(1)의 대체로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수평 플랩>
수평 플랩(5)은 취출구(23)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취출구(23)로부터 실내로 불어내어지는 공기를 안내한다. 수평 플랩(5)은 케이싱(2)의 수평 방향으로 가늘고 긴 판(板)형상을 가지고 있고, 케이싱(2)의 수평 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 함) 가능하게 취출구(23)에 설치되어 있다. 수평 플랩(5)은 도시하지 않은 플랩 모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된다. 수평 플랩(5)은 취출구(23)보다도 약간 작은 형상을 가지지만,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취출구(23)를 닫는 수평 플랩(5)의 상단과 케이싱(2)의 사이에는 간극(間隙, G)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간극(G)이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수평 플랩(5)은 취출구(23)에서 별 제한 없이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면 패널>
전면 패널(6)은 케이싱(2)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고, 케이싱(2)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1 흡입구(21)를 열고, 케이싱(2)으로 근접하도록 이동하여 제1 흡입구(21)를 닫는(이하, 닫힘 상태라고 한다) 것에 의하여 제1 흡입구(21)를 개폐한다. 또한, 전면 패널(6)은 닫힘 상태에서 케이싱(2)의 전면을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즉, 좌단으로부터 우단)까지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면 패널(6)은 제2 케이싱면(25)의 상단 부분을 제외한 좌단으로부터 우단까지를 덮고, 제1 케이싱면(24)의 상단 부분을 좌단으로부터 우단까지 덮고 있다. 즉, 전면 패널(6)은 케이싱(2)의 제1 흡입구(21) 및 취출구(23)의 수평 방향 양단 부분보다도 측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수평 플랩(5)은 전면 패널(6)에 의하여 간극(G)과 함께 그 상단 부분이 덮여 있다. 전면 패널(6)은 케이싱(2)의 제1 케이 싱면(24) 및 제2 케이싱면(25)의 형상을 따르도록 굴곡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제1 패널부(61)와 제2 패널부(62)를 가지고 있다.
제1 패널부(61)는 제1 케이싱면(24)을 따르는 형상을 가지고 있고, 전면 패널(6)의 닫힘 상태에서 수평 플랩(5)의 상단을 덮는 부분이다. 즉, 제1 패널부(61)는 전면 패널(6)의 하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2 패널부(62)는 제2 케이싱면(25)을 따르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전면 패널(6)의 닫힘 상태에서 제1 흡입구(21)를 덮는 부분이다. 즉, 제2 패널부(62)는 전면 패널(6)의 상부를 구성하고 있다.
덧붙여, 전면 패널(6)은 그 양측단이 제1 지지 부재(71)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도 9 참조). 2개의 제1 지지 부재(71)는 케이싱(2)의 양 측단에 설치되어 있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지지 부재(71)에 의하여 전면 패널(6)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흡입구(21)의 개폐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동 기구>
이동 기구(7)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흡입구(21)가 희망하는 개도(開度)로 열리도록 전면 패널(6)을 이동시키는 기구이다. 이동 기구(7)는, 전면 패널(6)이 제1 흡입구(21)를 닫은 닫힘 상태(도 7의 (a) 상태)와, 전면 패널(6)이 닫힘 상태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1 흡입구(21)를 연 상태(도 7의 (b) 상태, 이하, 제1 열림 상태라고 한다)와, 전면 패널(6)이 제1 열림 상태로부터 한층 더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1 흡입구(21)를 한층 더 크게 연 상태(도 7의 (c) 상태, 이하, 제2 열림 상태라고 한다)로 전면 패널(6)을 이동시킨다. 전면 패널(6)이 닫힘 상태로부터 제1 열림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는, 전면 패널(6)은 제1 케이싱면(24)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고, 전면 패널(6)이 제1 열림 상태로부터 제2 열림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는, 전면 패널(6)은 그 상단부가 전방으로 열리도록 회전 이동한다. 전면 패널(6)이 제1 열림 상태일 때, 제1 흡입구(21)는 제1 개도로 열린다. 또한, 전면 패널(6)이 제2 열림 상태일 때, 제1 흡입구(21)는 제1 개도보다도 큰, 최대 개도인 제2 개도로 열린다. 이동 기구(7)는 주로, 제1 지지 부재(71)와 제2 지지 부재(72)와 패널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도 6은 이동 기구(7)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은 이동 기구(7)의 개폐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지지 부재(71)는 전면 패널(6)의 좌측단(左側端)과 우측단(右側端)을 지지하는 판상(板狀)의 부재이고, 대략 연직 방향 및 전방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부재이다. 제1 지지 부재(71)의 상단 가장자리는 그 전측 부분이 후측(後側) 부분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하고 있고, 후술하는 제2 피니언 기어(79, pinion gear)에 나사로 감합하는 래크 기어(74, rack gear)가 제1 지지 부재(71)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지지 부재(71)의 상하 방향 중앙 부분에는 제1 슬릿부(75)와 제2 슬릿부(76)와 제3 슬릿부(77)가 설치되어 있다. 슬릿부(75, 76, 77)는 각각이 제1 지지 부재(71)의 양면을 관통하는 긴 구멍이고, 제1 지지 부재(71)와 마찬가지로 전측 부분이 후측 부분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슬릿부(75)는 제1 패널부(61)를 따르도록 즉, 제1 케이 싱면(24)을 따르도록 경사하고 있다. 제1 슬릿부(75)는 후하방(後下方)으로부터 전상방(前上方)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직선부(75a)와, 직선부(75a)의 후단에 연속하고 하방으로 약간 패여 만곡(彎曲)한 만곡부(75b)를 가지고 있다. 제2 슬릿부(76) 및 제3 슬릿부(77)는 제1 슬릿부(75)와 마찬가지로 직선부 및 만곡부를 가지고 있다. 덧붙여, 제2 슬릿부(76)는 제1 슬릿부(75)의 하방에 위치하고, 제3 슬릿부(77)는 제2 슬릿부(76)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슬릿부(75), 제2 슬릿부(76) 및 제3 슬릿부(77)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2 지지 부재(72)는 제1 지지 부재(71)를 케이싱(2)의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또한, 케이싱(2)의 전후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재이고, 케이싱(2)의 우측면의 내측(內側)과 좌측면의 내측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제2 지지 부재(72)는 서로 나사로 감합하는 제1 피니언 기어(78)와 제2 피니언 기어(79)를 가지고 있다. 제1 피니언 기어(78)는 도시하지 않는 패널 구동 모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고, 이 회전을 제2 피니언 기어(79)로 전달한다. 제2 피니언 기어(79)는 제1 피니언 기어(78)로부터 전달된 회전을 래크 기어(74)로 전달한다. 또한, 제2 지지 부재(72)의 중앙부 부근에는 제1 지지 고리(72a)와 제2 지지 고리(72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지지 고리(72a)는 제2 지지 부재(72)의 표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 원기둥형상을 가지고 있고, 제1 지지 부재(71)의 제1 슬릿부(75)에 삽입된다. 제1 지지 고리(72a)는 제1 슬릿부(75)에 계지하여 제1 지지 부재(71)를 지지한다. 제2 지지 고리(72b)도 제1 지지 고리(72a)와 마찬가지로 제2 지지 부재(7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원기둥형상을 가지고 있고, 제1 지지 부 재(71)의 제3 슬릿부(77)에 삽입된다. 제2 지지 고리(72b)는 제3 슬릿부(77)에 계지하여 제1 지지 부재(71)를 지지한다. 제1 지지 고리(72a) 및 제2 지지 고리(72b)는 전면 패널(6)이 개폐 동작을 행할 때에 제1 슬릿부(75) 및 제2 슬릿부(76)에 대하여 접동(摺動, 접촉하여 미끄러져 움직임)하고, 전후로 이동하는 전면 패널(6)을 지지하고 있다.
(2) 전면 패널의 개폐동작
다음으로, 전면 패널(6)의 개폐 동작에 관하여, 도 2, 도 7,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8은 전면 패널(6)의 개폐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9는 제1 열림 상태 및 제2 열림 상태에서의 실내 유닛(1)을 왼쪽 상측으로부터 비스듬히 본 외관 사시도이다.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1)의 운전 정지 시에는, 수평 플랩(5)에 의하여 취출구(23)가 닫히는 것과 함께 전면 패널(6)이 닫힘 상태로 되어 있다. 닫힘 상태에서는, 도 7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 부재(71)의 제1 슬릿부(75)의 전단과 제1 지지 고리(72a)가 근접하고, 제1 지지 부재(71)의 제3 슬릿부(77)의 전단과 제2 지지 고리(72b)가 근접하고 있어, 전면 패널(6)은, 도 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흡입구(21)를 덮는 것과 함께 수평 플랩(5)의 상단을 덮은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닫힘 상태에서, 제1 패널부(61)는 수평 플랩(5)의 상단부, 간극(G) 및 취출구(23)의 상부를 포함하는 제1 케이싱면(24)의 상부를 덮고 있다. 또한, 제2 패널부(62)는 제2 케이싱면(25)을 덮고 있다. 전면 패널(6)은 닫힘 상태에서 제1 케이싱면(24) 및 제2 케이싱면(25)을 따라 제1 케이싱면(24) 및 제2 케 이싱면(25)에 근접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실내 유닛(1)의 운전 정지 시에는 수평 플랩(5)의 상단으로부터 제1 흡입구(21)까지의 부분이 외부로부터 은폐되어 있다.
전면 패널(6)이 닫힘 상태로부터 제1 열림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 제1 지지 부재(71)는,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슬릿부(75)의 직선부(75a)의 후단이 제1 지지 고리(72a)에 근접하고, 제3 슬릿부(77)의 직선부(77a)의 후단이 제2 지지 고리(72b)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 슬릿부(75)의 직선부(75a)는 제1 지지 고리(72a)에 대하여 접동하고, 제3 슬릿부(77)의 직선부(77a)는 제2 지지 고리(72b)에 대하여 접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지지 부재(71)는 비스듬한 전상방으로 이동하고, 전면 패널(6)은,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케이싱면(24)을 따라 비스듬한 전상방으로 평행 이동한다(도 8의 화살표 A 참조). 이때, 제1 패널부(61)가 제1 케이싱면(24)을 따라 비스듬한 전상방으로 이동하는 것과 함께, 제2 패널부(62)가 제2 케이싱면(25)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비스듬한 전상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전면 패널(6)은 취출구(23) 및 제1 흡입구(21)를 열게 된다. 그리고 제1 패널부(61)는 하단이 취출구(23)의 상단을 넘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제1 패널부(61)가 취출구(23)로부터의 공기의 불어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과 함께, 제1 패널부(61)가 제2 패널부(62)와 제2 케이싱면(25)의 사이의 하부를 막는다. 그리고 취출구(23)를 닫고 있던 수평 플랩(5)이 회동하는 것에 의하여 취출구(23)가 열린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패널부(62)와 제2 케이싱면(25)의 사이의 상부가 열려 있어, 제1 흡입구(21)로부 터 케이싱(2) 내로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된다(도 9의 실선으로 도시된 전면 패널(6)을 참조). 덧붙여, 제1 열림 상태에서는, 제2 패널부(62)와 제2 케이싱면(25)의 사이의 양 측부는 제1 지지 부재(71)에 의하여 막혀 있고, 이 제1 지지 부재(71)가 가리개판으로 되어 외부로부터 제1 흡입구(21)를 통하여 케이싱(2)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 전면 패널(6)이 제1 열림 상태로부터 제2 열림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 제1 지지 부재(71)는,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슬릿부(75)의 만곡부(75b)가 제1 지지 고리(72a)에 계지되고, 제3 슬릿부(77)의 만곡부(77b)가 제2 지지 고리(72b)에 계지되도록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지지 부재(71)는 회전 이동하고, 전면 패널(6)은, 도 8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단이 전방으로 넘어가도록 회전 이동한다(화살표 B 참조). 이때, 제1 패널부(61)의 하단은 제1 열림 상태에서의 위치 그대로이고, 전면 패널(6)이 제1 패널부(61)의 하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제2 패널부(62)의 상단이 전방을 향하여 회전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2 패널부(62)와 제2 케이싱면(25)의 사이의 상부가 한층 더 열리고, 제1 흡입구(21)가 한층 더 열린다(도 9의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전면 패널(6)을 참조).
덧붙여, 전면 패널(6)이 제2 열림 상태로부터 제1 열림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는, 전면 패널(6)이 상기와는 반대로 회전 이동한다. 또한, 실내 유닛(1)의 운전 정지 시에는 수평 플랩(5)이 회동하여 취출구(23)를 닫은 후, 전면 패널(6)이 상기와는 반대의 동작을 행하여, 수평 플랩(5)의 상단으로부터 제1 흡입구(21)까지 의 부분이 다시 외부로부터 은폐된다.
(3) 본체 표시부의 구성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1)에서는,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 수평 플랩(5)의 상단으로부터 제1 흡입구(21)까지의 부분이 전면 패널(6)에 의하여 은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평 플랩(5)을 회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비교적 큰 간극(G)이 외부로부터 보이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전면 패널(6)은 제1 흡입구(21)나 취출구(23)가 케이싱(2)의 전면의 수평 방향 양단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만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케이싱(2)의 전면을 좌단으로부터 우단까지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실내 유닛(1)에서는 인테리어 품질이 향상되는 등 미관이 향상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 전면 패널(6)이 케이싱(2)의 전면의 대부분을 덮고 있기 때문에, 본체 표시부(8)를 케이싱(2)의 저면 및 그 근방에 배치하여야 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체 표시부(8)는 제1 면으로서의 제1 케이싱면(24)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케이싱면(24)은 수평면(O)에 대한 각도가 30° 이하로 되도록 전방을 향함에 따라 상방으로 경사하고 있다. 여기서, 제1 케이싱면(24)과 수평면(O)이 이루는 각도를 각도(α)라고 하면, 각도(α)는 제1 케이싱면(24)이 완전하게 평탄한 면이 아니고, 약간 만곡한 면인 것을 고려하여 제1 케이싱면(24)의 각부에서의 접선면과 수평면(O)이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수신 소자(94)의 중심선(D)과 제1 케이싱면(24)의 외면(外面)이 교차하는 점(E)에서의 접선면을 접선면(F)으로 하면, 이 접선면(F)과 수평면(O)이 이루는 각도가 각도(α)에 대응하게 된다. 그리고 제1 케이싱면(24)의 각부에서의 각도(α)는, 모두 30° 이하이다. 도 10에 있어서는, 각도(α)는 20° 이하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본체 표시부(8)에 관하여, 도 1,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0은 본체 표시부(8)를 도시하는 우측면도(기판 지지 부재(103)에 관해서는 좌측면부(103b)만을 도시)이고, 도 11은 본체 표시부(8)를 도 3의 화살표 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본체 표시부(8)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케이싱면(24)의 취출구(23)의 우측에 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체 표시부(8)는 주로, 표시 패널(81)을 가지고 있다.
표시 패널(81)은 그 전단 및 후단에 복수의 계지 고리(81a, 81b) 를 가지는 대략 사각형의 판상 부재이고, 제1 케이싱면(24)의 취출구(23)의 우측에 횡으로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개구에 계지 고리(81a, 81b)에 의하여 장착되어 있고, 제1 케이싱면(24)과 일체를 이루고 있다. 표시 패널(81)은 그 전후 방향(즉, 상하 방향)의 중앙 부근에 LED(91, 92, 93, 후술)의 표시를 시인하기 위한 표시창(82, 83, 84)과, 표시창(82 ~ 84)의 후측에 적외선식 수신 소자(94, 후술)가 수신하는 신호를 투광시키기 위한 수신창(85)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들 창(82 ~ 85)에는 투광성을 가지는 수지(樹脂)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표시창(82)에 설치되는 수지 부재는 리모컨을 분실한 경우 등에 운전을 행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운전/정지 버튼(86)으로도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운전/정지 버튼(86)은,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표시창(82) 내를 표시 패널(81)의 판 두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버튼 본체(86a)와 설부(舌部, 86b)와 돌출부(86c)를 가지고 있다. 버튼 본체(86a)는 표시창(82) 내에 삽입된 가로가 긴 대략 직사각형상의 부분이고, 표시창(82)의 내측과 외측(外側)으로 약간 돌출하고 있다. 설부(86b)는 버튼 본체(86a)의 표시창(82)의 내측으로 돌출한 부분에 버튼 본체(86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표시 패널(81)의 내면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부분이다. 돌출부(86c)는 설부(86a)의 전단에 케이싱(2)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원기둥상의 부분이다. 또한, 전면 패널(6)의 하단은 닫힘 상태에서 표시 패널(81)의 표시창(82 ~ 84)을 덮지 않는 정도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고(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표시창(82 ~ 84)의 근방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전면 패널(6)의 하단을 참조), 제1 및 제2 열림 상태에서 표시 패널(81)의 전단을 약간 덮는 정도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표시 패널(81)의 전단 근방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전면 패널(6)의 하단을 참조). 여기서, 도 12는 도 11의 C-C 단면도이다.
표시 패널(81)의 내측에는, 제1 기판(101)과 제2 기판(102)이 제1 케이싱면(24)의 내면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기판(101) 및 제2 기판(102)은 표시 패널(81)의 창(82 ~ 85)이 설치된 부분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기판 지지 부재(103)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기판 지지 부재(103)는 케이싱(2)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고, 주로, 표시 패널(81)과 제2 기판(102)의 사이에 배치되는 직사각형상의 하면부(103a)와, 하면부(103a)의 양 측단으로부터, 제1 기판(101) 및 제2 기판(102)을 측방으로부터 끼 우도록 연장되는 좌측면부(103b) 및 우측면부(103c)를 가지고 있다. 하면부(103a)에는 표시창(82 ~ 84)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관통 구멍(103d, 103e, 103f)과 관통 구멍(103d)의 전방의 위치에 형성된 탄성부(103g)가 설치되어 있다. 탄성부(103g)는 하면부(103a)에 설치된 일단이 하면부(103a)의 판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띠상(帶狀)의 부분이다. 탄성부(103g)의 단부는 운전/정지 버튼(86)의 돌출부(86c)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탄성부(103g)의 단부에는 돌출부(86c)의 선단에 접촉하는 원기둥상의 제1 돌출부(103h)와, 제1 돌출부(103h)가 형성된 면과 반대측의 면에 형성된 원기둥상의 제2 돌출부(103i)가 설치되어 있다. 좌측면부(103b) 및 우측면부(103c)에는 제1 기판(10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고리(103j)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면부(103b) 및 우측면부(103c)에는 제2 기판(102)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고리(103k)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기판(102)은 그 기판면(H)이 표시 패널(81, 즉, 제1 케이싱면(24))에 대략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1 기판(101)은 그 기판면(I)이 표시 패널(81, 즉, 제1 케이싱면(24))보다도 상방으로 경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케이싱면(24)에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전방으로 경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기판(101)은 제2 기판(102)에 대하여 각도(β)만큼 전방을 향함에 따라 상방으로 경사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2 기판(102)에는 주로, 실내 유닛(1)의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기로서의 LED(91, 92, 93)와, 리모컨을 분실한 경우 등에 운전을 행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운전/정지 버튼(86)을 통하여 조작되는 조작기로서의 스위치(95)가 실장되어 있다. LED(92, 93)는 각각 관통 구멍(103e, 103f)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그 빛을 직접적으로 표시창(83, 84)을 통하여 시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LED(91)는 관통 구멍(103d)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어, 관통 구멍(103d)에서 확산된 빛을 간접적으로 표시창(82, 즉, 운전/정지 버튼(86))을 통하여 시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스위치(95)는 주로, 기판 지지 부재(103)의 제2 돌출부(103i)가 삽입되는 통상부(筒狀部, 95a)와, 통상부(95a) 내에 설치된 스위치 본체(95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운전/정지 버튼(86)이 눌러지면, 기판 지지 부재(103)의 제2 돌출부(103i)가 스위치 본체(95b)에 접촉하게 되어, 리모컨을 이용하는 일 없이 실내 유닛(1)의 운전/정지를 행할 수 있다(도 12의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탄성부(103g)를 참조).
제1 기판(101)에는 주로, 리모컨으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로서의 적외선식 수신 소자(94)가 실장되어 있다. 이 수신 소자(94)는 수신 창(85)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신 소자(94)는 수신 창(85)의 후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수신 소자(94)는 LED(91, 92, 93)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수신 소자(94)는 그 하단이 전면 패널(6)의 하단보다도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신 소자(94)는 수신 소자(94)의 중심선(D)이 접선면(F, 즉, 표시 패널(81)의 외면과 교차하는 점인 점(E)에서의 접선면)에 직교하는 직교면(J)에 경사하고, 또한, 비스듬한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심선(D)은 직교면(J)에 대하여 각도(γ)만큼 경사하고 있다.
(4)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의 특징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1)에는 이하와 같은 특징이 있다.
(A)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1)에서는, 케이싱(2)의 전면을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까지 덮도록 배치되고, 운전 시에 케이싱(2)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1 흡입구(21)를 여는 전면 패널(6)을 더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수신기로서의 수신 소자(94)를 케이싱(2)의 하부에 배치하는 것이 필수로 되고, 또한, 수평면(O)에 대하여 30° 이하의 각도(α)를 이루도록 상방을 향하여 경사한 제1 면으로서의 제1 케이싱면(24)에 대향하여 수신 소자(94)를 설치하여야 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실내 유닛(1)에서는, 수신 소자(94)의 중심선(D)이 제1 케이싱면(24)에 직교하는 면인 직교면(J)에 대하여 각도(γ)만큼 경사하고, 또한, 비스듬한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신 소자(94)의 중심선(D)이 케이싱(2)의 전방을 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수신 소자(94)를 수평면(O)에 대한 각도가 작은 제1 케이싱면(24, 즉, 케이싱(2)의 저면 및 그 근방)에 배치하여야 하는 경우인데도, 리모컨으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 소자(94)에서 확실히 수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실내 유닛(1)과 같이 케이싱(2)의 저면 및 그 근방의 면(즉, 제1 케이싱면(24))이 수평면(O)에 대하여 20° 이하의 각도(α)인 경우에는 수신 소자(94)의 수신 거리가 확보할 수 없는 우려가 커지기 때문에 유효하다.
(B)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1)에서는, 수신 소자(94)를 표시기 로서의 LED(91, 92, 93)의 후방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즉, LED(91, 92, 93) 및 그 표시창(82, 83, 84)을 수신 소자(94)의 전방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LED(91, 92, 93)의 시인성을 확보하면서 수신 소자(94)의 중심선(D)이 케이싱(2)의 전방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실내 유닛(1)에서는, 전면 패널(6)은 그 하단이 LED(91, 92, 93)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고, 수신 소자(94)는 그 하단이 전면 패널(6)의 하단보다도 후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면 패널(6)의 하단과 수신 소자(94)의 하단의 사이의 전후 거리를 크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신 소자(94)를 한층 더 케이싱(2)의 전방을 향하도록(구체적으로는, 제1 기판(101)과 제2 기판(102)이 이루는 각도(β)를 크게 한다) 할 수 있게 되어, 리모컨으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확실히 수신할 수 있다.
(C)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1)에서는, 수신 소자(94)와 LED(91, 92, 93)가 각각 다른 기판(구체적으로는, 제1 기판(101)과 제2 기판(102))에 실장되어 있어, 각 기판(101, 102)의 설치의 자유도가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수신 소자(94)의 중심선(D)이 제1 케이싱면(24)에 직교하는 직교면(J)에 경사하고, 또한, 비스듬한 하방을 향하도록 수신 소자(94)를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실내 유닛(1)에서는, 제1 기판(101)을 제2 기판(102)에 대하여 각도(β)만큼 경사시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수신 소자(94)의 형상을 바꾸 는 일 없이, 수신 소자(94)의 중심선(D)이 직교면(J)에 경사하고, 또한, 비스듬한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1)에서는, 제2 기판(102)에 운전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기로서의 스위치(95)가 더 실장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치(95) 및 LED(91, 92, 93)의 배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실내 유닛(1)에서는, LED(91)의 표시창(82)과 스위치(95)의 온 오프(on off) 조작을 행하기 위한 운전/정지 버튼(86)이 겸용(즉,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한층 더 배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의장성도 향상되고 있다.
(5)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벽걸이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 있어서, 실내 유닛의 형태에 의하여 수신기를 실내 유닛의 저면 및 그 근방에 배치하여야 하는 경우인데도, 리모컨으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확실히 수신할 수 있도록 된다.

Claims (9)

  1. 벽걸이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이며,
    실내의 벽면에 장착되어 있고, 전면(前面)에 실내 공기의 흡입구(21)를 가지는 케이싱(2)과,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설치되고, 리모컨으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94)를 구비하며,
    상기 수신기에 대향하는 상기 케이싱의 면인 제1 면(24, 81)은 상기 벽면에 상기 케이싱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수평면(O)에 대하여 30° 이하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방(上方)을 향하여 경사하고 있으며,
    상기 수신기는 상기 수신기의 중심선(D)이 상기 제1 면에 직교하는 면(J)에 경사하고, 또한, 비스듬한 하방(下方)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의 전면을 일측단(一側端)으로부터 타측단(他側端)까지 덮도록 설치되고, 운전 시에 상기 케이싱의 전방(前方)으로 이동하여 상기 흡입구(21)를 여는 전면 패널(6)을 더 구비하고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94)의 근방에 배치되고,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기(91, 92, 93)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신기는 상기 표시기의 후방(後方)에 배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1).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94)의 근방에 배치되고,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기(91, 92, 93)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신기는 상기 표시기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전면 패널(6)은 그 하단(下端)이 상기 표시기(91, 92, 93)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고,
    상기 수신기(94)는 그 하단이 상기 전면 패널의 하단보다도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1).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94)는 제1 기판(101)에 실장(實裝)되어 있고,
    상기 표시기(91, 92, 93)는 상기 제1 기판과는 다른 제2 기판(102)에 실장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101)은 상기 제2 기판(102)에 대하여 경사하여 배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101)은 상기 제2 기판(102)에 대하여 전방을 향함에 따라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하여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1).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101)의 전단부(前端部)는 상기 제2 기판(102)의 후단부(後段部)보다도 상기 제1 면(24, 81)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1).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102)에는 운전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기(95)가 더 실장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1).
KR1020077009749A 2004-11-08 2005-10-11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KR200700586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23861A JP3806881B2 (ja) 2004-11-08 2004-11-08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JP-P-2004-00323861 2004-1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682A true KR20070058682A (ko) 2007-06-08

Family

ID=3631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9749A KR20070058682A (ko) 2004-11-08 2005-10-11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78017B2 (ko)
EP (1) EP1813875A4 (ko)
JP (1) JP3806881B2 (ko)
KR (1) KR20070058682A (ko)
CN (1) CN100532964C (ko)
AU (1) AU2005301867B2 (ko)
WO (1) WO200604899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7972B2 (en) 2013-10-02 2018-08-14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US10197298B2 (en) 2013-10-02 2019-02-05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US10203124B2 (en) 2014-01-27 2019-02-12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air conditioner having wind visors
US10203150B2 (en) 2013-10-11 2019-02-12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air conditio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7920B2 (ja) * 2009-10-13 2013-10-16 三菱電機株式会社 リモコン用送受信器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4924696B2 (ja) * 2009-11-04 2012-04-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壁掛け型室内機
JP5423420B2 (ja) * 2010-01-22 2014-02-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室内機
KR101781845B1 (ko) * 2010-05-13 2017-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
CN202470348U (zh) * 2012-02-29 2012-10-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导风板驱动装置及使用该驱动装置的空调室内机
JP5678952B2 (ja) * 2012-12-28 2015-03-0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5850032B2 (ja) * 2013-11-26 2016-02-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室内機
CN105020873B (zh) * 2014-04-24 2018-08-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运动机构、面板机构及家用电器
JP6300958B2 (ja) * 2014-12-26 2018-03-28 三菱電機株式会社 受信装置基板
US20170336083A1 (en) * 2015-03-02 2017-11-2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CN107725425A (zh) * 2016-08-12 2018-02-23 佛山市南海南洋电机电器有限公司 一种贯流式上进风风幕机
CN107420987A (zh) * 2017-07-05 2017-12-0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
CN111247376B (zh) * 2017-10-26 2023-06-23 三菱电机株式会社 空调机的室内机以及空调机
CN108224576A (zh) * 2018-03-08 2018-06-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
WO2023010664A1 (zh) * 2021-07-31 2023-02-0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气处理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1671A (ja) * 1993-06-02 1994-12-13 Hitachi Ltd リモコン受信および運転表示部
JPH0798129A (ja) * 1993-09-30 1995-04-11 Matsushita Seiko Co Ltd 分離型空気調和機
KR0120742Y1 (ko) 1995-09-25 1998-08-01 김광호 공기 조화기
KR200146096Y1 (ko) 1996-10-19 1999-06-15 윤종용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제어장치
JP3791159B2 (ja) * 1997-11-20 2006-06-2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H11159801A (ja) * 1997-11-28 1999-06-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分離型空気調和装置
JPH11211142A (ja) * 1998-01-20 1999-08-06 Sanyo Electric Co Ltd 天井吊型空気調和装置
KR100437049B1 (ko) 2002-04-19 2004-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
JP3735592B2 (ja) * 2001-06-19 2006-01-18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空調装置
JP4495370B2 (ja) 2001-08-28 2010-07-0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03074952A (ja) * 2001-08-28 2003-03-12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
JP3730604B2 (ja) * 2002-08-01 2006-01-0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20040069655A (ko) 2003-01-30 2004-08-06 캐리어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공기 흡입구 개폐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7972B2 (en) 2013-10-02 2018-08-14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US10197298B2 (en) 2013-10-02 2019-02-05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US10203150B2 (en) 2013-10-11 2019-02-12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air conditioner
US10203124B2 (en) 2014-01-27 2019-02-12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air conditioner having wind vis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32964C (zh) 2009-08-26
US7878017B2 (en) 2011-02-01
EP1813875A4 (en) 2011-03-02
AU2005301867A1 (en) 2006-05-11
JP3806881B2 (ja) 2006-08-09
WO2006048994A1 (ja) 2006-05-11
US20070261425A1 (en) 2007-11-15
JP2006132872A (ja) 2006-05-25
AU2005301867B2 (en) 2009-04-09
EP1813875A1 (en) 2007-08-01
CN101048623A (zh) 2007-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8682A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CN108556596B (zh) 汽车空调出风口总成
EP2381183B1 (en)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EP2813767B1 (en) Air conditioner
JP3641722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1082557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00073121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90043232A (ko) 공기조화기
JP4766161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936496B1 (ko) 공기조화기
JP2005106395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766165B2 (ja) 空気調和機
CN209763446U (zh) 用于风管机的回风组件和风管机
KR100251812B1 (ko)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
KR100709877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N110595050A (zh) 空调器的滑动门组件以及具有其的空调器
KR102028605B1 (ko) 전환도어를 구비한 인테이크 덕트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JP5257488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218820659U (zh) 空调柜机
KR200467930Y1 (ko) 공기조화기
KR100420527B1 (ko) 공기 조화기의 토출구 개폐 장치
KR20070095143A (ko) 공기조화기의 스위치 고정구조
KR100757481B1 (ko) 공기조화기의 외부케이스조립체
CN114763927A (zh) 立式空调室内机
KR100420357B1 (ko) 공기조화기의 그릴루버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