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운전 정지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운전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하부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상부 평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2)에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4)(6)가 형성되고, 본체(2)의 내부에서 가열되거나 냉각되거나 정화된 공조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부(8)(10)가 형성된다.
본체(2)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나 천장형 공기조화기 등의 어느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나, 이하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체(2)는 하부에 공기 흡입부(4)(6)가 형성되고, 상부에 공기 토출부(8)(10)가 형성되어 하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에서 공조한 후 상부를 통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유로 구조를 갖고, 베이스(12)와, 캐비닛(20)과, 흡입 패널(30)(40)과, 토출 패널(50)을 포함한다.
베이스(12)는 캐비닛(20)과 흡입 패널(30)(40) 등을 지지한다.
캐비닛(20)은 본체(2)의 후방부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후판부(22)와 좌판부(24)와 우판부(26)로 이루어지고, 베이스(12)의 후방부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흡입 패널(30)(40)은 좌측 공기 흡입부(4)를 구성하는 좌측 흡입 패널(30)과, 우측 공기 흡입부(6)를 구성하는 우측 흡입 패널(40)로 이루어진다.
좌측 흡입 패널(30)은 캐비닛(20)의 좌판부(24)의 하부 전방 위치인 베이스(12)의 전방부 좌측 위에 배치되게 설치되고, 좌측 공기 흡입구(31)이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좌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좌측 흡입 패널(30)에는 좌측 흡입 패널(30)과 함께 좌측 공기 흡입부(4)를 구성하고 좌측 필터(32)가 장착되는 좌측 필터 케이스(34)가 설치된다.
좌측 흡입 패널(30)과 좌측 필터 케이스(34)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공간에는 좌측 흡입 패널(30)과 좌측 필터(32)와 좌측 필터 케이스(34)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이동되면서 좌측 필터(32)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좌측 청소 유닛(36)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우측 흡입 패널(40)은 캐비닛(20)의 우판부(26)의 하부 전방 위치인 베이스(12)의 전방부 우측 위에 배치되게 설치되고, 우측 공기 흡입구(41)는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우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우측 흡입 패널(40)에는 우측 흡입 패널(40)과 함께 우측 공기 흡입부(6)를 구성하고 우측 필터(42)가 장착되는 우측 필터 케이스(44)가 설치된다.
우측 흡입 패널(40)과 우측 필터 케이스(44)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공간에는 우측 흡입 패널(40)과 우측 필터(42)와 우측 필터 케이스(44)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이동되면서 우측 필터(42)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우측 청소 유닛(46)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토출 패널(50)은 캐비닛(20)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고, 좌측에 좌측 공기 토출부(8)가 형성되고 우측에 우측 공기 토출부(10)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크게 전판부(52)와 좌측판부(53)와 우측판부(54)로 이루어진다.
좌측 공기 토출부(8)는 전판부(52)와 좌측판부(53)의 사이에 전판부(52) 및 좌측판부(53)에 대해 경사진 좌측 경사부(55)가 형성되고, 좌측 경사부(55)에 좌측 공기 토출구(56)가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좌측 전방 방향의 경사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우측 공기 토출부(10)는 전판부(52)와 우측판부(54)의 사이에 전판부(52) 및 우측판부(54)에 대해 경사진 우측 경사부(57)가 형성되고, 우측 경사부(57)에 우측 공기 토출구(58)가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우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본체(2)는 토출 패널(50)의 전방에 전면 커버(60)가 설치된다. 전면 커버(60)는 좌측 공기 토출구(56)와 우측 공기 토출구(58)를 통과한 공기가 전방 방향으로 직진되지 않고, 옆으로 유도하는 일종의 에어 가이드로서, 좌측 공기 토출구(56)와 우측 공기 토출구(58)가 전방에서 보이지 않게 막는 일종의 차폐 부재의 역할을 한다.
본체(2)는 공기 토출구(78)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80)이 본체(2)의 내측 상부에서 본체(2)의 위로 상승되고, 본체(2)의 위에서 본체(2)의 내측 상부로 하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체(2)에는 토출구 유닛(80)이 승강 안내되는 승강 가이드(82)가 설치되고, 토출구 유닛(80)은 승강 가이드(82)에 승강 안내되면서 승강 가이드(82)의 상측 위치로 상승되어 공기 토출구(78)가 개방/노출되거나 승강 가이드(82)의 내부로 하강되어 승강 가이드(82)의 상면 즉, 본체(2)의 상면을 덮으면서 공기 토출구(78)가 밀폐/은닉된다.
본체(2)에는 공기 흡입부(4)(6)와 공기 토출부(8)(10)를 함께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를 안내하는 베인(90)(100)이 설치된다.
이하, 베인(90)(100)은 공기 흡입부(4)(6)와 공기 토출부(8)(10)를 동시에 함께 여닫음과 아울러 흡입 공기와 토출 공기 모두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즉, 베인(90)(100)은 하부가 공기 흡입부(4)(6)를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 흡입부(4)(6)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 도어 및 흡입 베인의 역할을 하고, 상부가 공기 토출부(8)(10)를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 토출부(8)(10)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 도어 및 토출 베인의 역할을 하며,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베인(90)(100)은 좌측 공기 흡입부(4)와 좌측 공기 토출부(8)를 동시에 함께 여닫고, 좌측 공기 흡입부(4)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며, 좌측 공기 토출부(8)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좌측 베인(90)과, 우측 공기 흡입부(6)와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동시에 함께 여닫고, 우측 공기 흡입부(6)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며,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우측 베인(100)으로 이루어진다.
본체(2)에는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110)와, 본체(2)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송풍기(120)와, 본체(2)의 내측 하부 특히 베이스(12)에 설치되어 청소 유닛(36)(46)에서 청소된 이물질을 처리하는 이물질 처리 장치(130)가 설치된다.
열교환기(11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가이드(82)와 송풍기(120)의 사이인 토출 패널(50)의 후방 즉, 본체(2)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다.
송풍기(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혹은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측으로 송풍시키는 원심 송풍기로서, 회전축이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팬모터(122)와, 팬모터(122)의 회전축에 연결된 송풍팬(124)과, 팬모터(122) 및 송풍팬(124)을 둘러싸고 전면과 후면 중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토출구가 형성된 팬 하우징(126)과, 팬 하우징(126)의 개구부에 배치된 오리피스(128)를 포함한다.
이물질 처리 장치(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필터(32)에서 청소된 이물질이 안내되는 좌측 호스(132)와, 우측 필터(42)에서 청소된 이물질이 안내되는 우측 호스(134)와, 좌측 호스(132)와 우측 호스(134)가 연결된 사이클론 분리기인 이물질 분리장치(135)와, 이물질 분리장치(135)와 연결되어 이물질 분리장 치(135) 및 좌,우측 호스(132)(134)와 좌측 청소 유닛(36) 및 우측 청소 유닛(46)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 발생유닛(136)과, 이물질 분리장치(135)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담겨지는 집진통인 이물질 수거통(137)과, 좌측 청소 유닛(36) 및 우측 청소 유닛(46)과 흡입력 발생유닛(136)을 제어하는 청소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흡입력 발생유닛(136)은 팬과 팬모터와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청소 송풍기로서, 청소 제어부(140)가 팬모터를 구동시키면, 팬이 회전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본체(2)의 전방에는 공기조화기의 외관 특히 전면측의 외관를 구성하는 프론트 패널(150)이 배치된다.
프론트 패널(150)은 본체(2)의 전면 전체의 전방에 배치되거나, 본체(2)의 전면 하부 전방에 배치되거나, 본체(2)의 전면 상부 전방에 배치되고, 이하 본체(2)의 전면 전체의 전방에 배치되어 본체(2)의 전면을 덮는 것으로 설명한다.
프론트 패널(150)은 본체(2)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좌,우 중 일측으로 중심으로 옆으로 회전되도록 본체(2)에 회동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등의 서비스를 위해 본체(2)에 회동되게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프론트 패널(150)은 베이스(12) 및 좌측 흡입 패널(30)과 우측 흡입 패널(40)과 토출 패널(50)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토출 패널(50) 및 전면 커버(60)의 상단과 베이스(12)의 전면부 사이를 여닫는다.
프론트 패널(150)은 프론트 프레임(152)과, 프론트 프레임(152)의 전방에 배치된 프론트 커버(160)와, 프론트 커버(160)를 프론트 프레임(150)과 고정시키는 프론트 홀더(170)를 포함하고, 프론트 프레임(152)과 프론트 커버(160)와 프론트 홀더(170) 중 하나에는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2) 또는 프론트 패널(150)에는 공기조화기의 각종 운전 정보와 기타 다양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고 공기조화기의 운전 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가 설치된다. 이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프론트 패널(150)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프론트 패널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프론트 패널(150)은 프론트 패널(150)의 전면부 미감을 높이는 장식부(180)와, 장식부(180)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190)와, 공기조화기의 각종 운전 정보와 사용자 등이 희망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와, 발광부(190)를 보호하는 발광부 커버(192)를 포함한다.
이하, 프론트 패널(150)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프론트 프레임(152)은 발광부(190)를 설치하거나 발광부(190)의 광이 통과하거나 프론트 패널(150)을 연 상태에서 발광부(190)를 서비스하기 위한 개구부(154, 이하 ‘발광부용 개구부’라 칭함)가 형성되고,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를 설치하거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의 정보를 식별하기 거나 프론트 패널(150)을 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를 서비스하기 위한 개구부(156, 이하 ‘리어 개구부’라 칭함)가 형성된다.
프론트 커버(160)는 공기조화기 특히 프론트 패널(15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장식부(180)의 일부가 삽입되어 위치되는 개구부(162: 이하, ‘장식부용 개구부’라 칭함)가 형성되고,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의 디스플레이(202)를 프론트 커버(160)의 전방에서 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를 통해 운전 명령이 입력될 수 있게 하는 개구부(164: 이하, ‘프론트 개구부’라 칭함)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202)와 수신부(400)와 운전조작부(500)의 전방에 개구 형성된다.
프론트 커버(160)는 글래스나 합성수지 사출물이나 금속재로 성형될 수 있고, 특히 합성수지 사출물이나 금속재로 성형될 경우 장식부용 개구부(162)와 프론트 개구부(164)를 전후 개구 형성하기 용이하며, 합성수지 사출물이나 금속재로 이루어질 경우 특정 색상을 갖고 불투명하게 형성된다.
장식부(180)는 프론트 패널(150)의 전면부 장식미를 높이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장식 부재(182)(184)가 겹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장식 부재(182)(184) 사이에 공간이 마련된다.
장식부(180)는 프론트 패널(150)의 전면부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면서 장식부용 개구부(162)를 막는 구조로 배치되는 바, 복수개의 장식 부재(182)(184)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개구부(162)로 삽입되어 개구부(162)에 의해 둘러싸여지고 전면이 프론트 커버(160)의 전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이하, 장식부(180)는 복수개의 장식 부재(182)(184)가 입체감을 줄 수 있도록 복수개의 장식 부재(182)(184) 모두가 투명하게 형성되거나,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장식부재(182)가 투명하게 형성되고,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 않는 장식부재(184)가 불투명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복수개의 장식 부재(182)(184) 모두가 투명한 것으로 설명한다.
복수개의 장식 부재(182)(184)는 2개 혹은 3개 이상이 전후 배치되고, 이하 프론트 장식 부재(182)와, 프론트 장식 부재(182)의 후방에 배치된 리어 장식 부재(184)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프론트 장식 부재(182)는 장식부용 개구부(162)로 삽입되고 배면이 개방된 프론트 돌출부(183)가 형성된다.
리어 장식 부재(184)는 프론트 돌출부(183)로 삽입되어 프론트 돌출부(183)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배면이 개방된 리어 돌출부(185)가 형성된다.
리어 장식 부재(184)는 리어 돌출부(185)가 프론트 돌출부(183)와 외곽 형상이 상위하고 크기가 더 작게 형성된다.
장식부(180)는 프론트 돌출부(183)의 내측면과 리어 돌출부(183)의 외측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와 같은 공간은 프론트 패널(150)의 전방에서 볼 때 입체감을 주며, 프론트 패널(150)는 장식부(180)에 의해 미감이 향상된다.
발광부(190)는 장식부(180)로 광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장식부(180)의 후방에 위치되게 설치되거나 장식부(180)의 둘레 방향 일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발광부(190)는 다양한 색상 변경이 가능하도록 엘이디 피시비 어셈블리로 구성되고, 피시비와, 피시비에 설치된 복수개의 엘이디와, 엘이디의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포함한다.
발광부(190)는 프론트 프레임(150)과, 프론트 커버(160)와, 장식부(180)와, 발광부 커버(192) 중 하나에 설치될 수 있고, 이하 프론트 프레임(150)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프론트 프레임(152)은 발광부(190)가 삽입되는 발광부 삽입부(155)가 형성된다.
발광부 삽입부(155)는 장식부(180)를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발광부 삽입부(155) 전방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장식부(180)를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장식부(180)는 발광부 삽입부(155)에 의해 후방으로 위치 이동되지 않게 지지되고, 프론트 커버(160)의 장식부용 개구부(162) 주변에 전방으로 위치 이동되지 않게 지지되며, 돌출부 특히 프론트 돌출부(183)가 개구부(162)에 걸리는 것에 의해 후방 이외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지 않게 지지된다.
발광부 삽입부(155)는 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프론트 프레임(152)에 전방으로 단턱지게 돌출 형성되며, 발광부(190)는 프론트 프레임(152) 특히 발광부 삽입부(155)의 후방에서 발광부 삽입부(155) 내부로 그 전부 혹은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된다.
발광부 삽입부(155)는 발광부(190)가 장식부(180)의 후방에서 장식부(180)를 향해 광이 조사할 수 있도록 프론트 커버(160)의 장식부용 개구부(162)의 후방에 형성된다.
발광부 삽입부(155)는 전판부(155a)와 둘레부(155b) 중 전판부(155a)에 발광부용 개구부(154)가 형성되어, 발광부(190)의 일부가 관통되게 배치되거나 발광부(190)에서 조사된 광이 발광부용 개구부(154)를 통과한다.
발광부 삽입부(155)는 전판부(155a) 중 발광부용 개구부(154) 주변에 발광부(190)의 가장자리가 전방으로 걸리는 구조로 형성된다.
발광부 커버(192)는 프론트 패널(150)을 옆으로 회전시켜 그 배면이 개방되었을 때 발광부(19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발광부(190)의 배면을 덮는 것으로서, 전면이 개방된 박스체로 이루어진다.
프론트 패널(150)은 발광부(190)가 발광부 삽입부(155)에 삽입되게 배치되고, 발광부 커버(192)가 발광부 삽입부(155)의 후방을 덮으면서 프론트 프레임(152)에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이나 후크 등의 걸림수단으로 장착되며, 발광부(190)가 프론트 프레임(152) 특히 발광부 삽입부(155)와 발광부 커버(192) 중 하나에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이나 후크 등의 걸림수단으로 장착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발광부용 개구부(154)와, 장식부용 개구부(162)와, 장식부(180), 발광부(190)는 프론트 패널(150)에 복수 셋트 구비되고, 각 셋트는 크기가 같거나 상위하게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디스플레이(202)가 프론트 개구부(164)의 후방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디스플레이(202)와, 디스플레이 도어(300)와, 수신부(400)와, 운전조작부(500)와, 디스플레이 케이스(6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202)는 공기조화기의 각종 운전 정보와 기타 다양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로서, 엘이디나 엘시디나 88 세그먼트 등으로 구성되고, 이하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 뿐만 아니라 날씨 정보나 기타 사용자 등이 희망하는 다양한 정보를 아바타나 숫자 혹은 동영상 등으로 표시할 수 있는 엘시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02)의 전면을 터치하는 것에 공기조화기의 운전 명령 등의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갖는 엘시디인 것으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케이스(600)는 디스플레이(202)가 설치되는 일종의 디스플레이 설치부재로서, 프론트 프레임(152)에 형성된 리어 개구부(156)를 덮도록 프론트 프레임(152)에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이나 후크 등의 걸림수단으로 설치된다.
이하, 도 7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2)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를 차폐했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의 노출시켰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을 차폐했을 때의 평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의 노출시켰을 때의 평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202)는 엘시디 패널(210)과, 엘시디 패널(210)의 전방에 배치된 터치 스크린(220)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로 이루어지고, 프론트 커버(160)의 프론트 개구부(164)를 통해 보이는 위치인 프론트 커버(160)의 프론트 개구부(164) 후방에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엘시디 패널(210)을 제어하는 엘시디 보드(230)를 더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엘시디 보드(230)가 엘시디 패널(210)의 후방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엘시디 패널(210)이 엘시디 보드(230)에 실장되는 것도 가능하고, 엘시디 보드(230)가 엘시디 패널(210)과 이격되게 설치되고, 엘시디 보드(230)와 엘시디 패널(210)이 케이블이나 연성 인쇄 회로(232)로 연결되는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엘시디 보드(230)가 엘시디 패널(210)의 상,하,좌,우측 중 일측에 위치되어 엘시디 패널(210)과 이격되고, 엘시디 보드(230)와 엘시디 패널(210)이 케이블이나 연성 인쇄 회로(232)로 연결될 경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하 엘시디 보드(230)는 엘시디 패널(210)과 일체화되지 않고, 별도로 설치되고 엘시디 패널(210)과 케이블이나 연성 인쇄 회로(232)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202)는 터치 패널 특히 터치 스크린(220)의 가장자리를 덮는 터치 패널 커버(240)를 더 포함한다.
터치 패널 커버(240)는 사용자 등이 터치 스크린(220)을 터치하고, 터치 스크린(220)을 통해 엘시디 패널(210)의 표시 정보를 볼 수 있도록 개구부(242)가 형성된다.
터치 패널 커버(240)는 수신부(400)와 운전조작부(500)의 주변을 가릴 수 있도록 형성되고, 수신부(400)의 일부가 관통되는 수신부 관통부(244)와, 운전조작부(500)의 일부가 관통되는 운전조작부 관통부(246)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도어(3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02)를 차폐하는 위치(P1)에 위치되어 디스플레이(202)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가리면서 디스플레이(202)를 보호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02)를 노출시키는 위치(P2)에 위치되어 디스플레이(202)가 외부에서 보이게 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202)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각종 운전 명령 등을 입력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300)의 차폐/노출을 위해 디스플레이(202)의 차폐 위치(P1)와 노출 위치(P2)로 무빙되게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도어(300)는 디스플레이(202) 보다 크게 형성되고, 프론트 프레임(152)과 프론트 커버(160) 사이에서 무빙되도록 디스플레이 케이스(600)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도어(300)는 디스플레이(202)의 전방에서 옆으로 무빙되어 디스플레이(202)를 노출시키고 디스플레이(202)의 전방 옆에서 디스플레이(202)의 전방으로 무빙되어 디스플레이(202)를 차폐하는 것도 가능하고, 디스플레이(202)의 전방에서 위나 아래로 무빙되어 디스플레이(202)를 노출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디스플레이(202)의 전방 위나 아래에서 디스플레이(202)의 전방으로 무빙되어 디스플레이(202)를 개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디스플레이(202)의 전방에 위치되어 디스플레이(202)를 차폐하고, 디스플레이(202)의 전방 옆에 위치되어 디스플레이(202) 를 노출시키는 것으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디스플레이 도어(300)를 안내하도록 설치된 디스플레이 도어 가이드(3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도어 가이드(320)는 디스플레이 도어(300)의 상부가 좌우 슬라이드 안내되는 어퍼 가이드(322)와, 디스플레이 도어(300)의 하부가 좌우 슬라이드 안내되는 로우어 가이드(324)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도어 가이드(320)는 어퍼 가이드(322)와 로우어 가이드(324)가 디스플레이 케이스(600)에 상하 이격되고 대향되게 설치되고, 어퍼 가이드(322)가 디스플레이(202)의 전방 상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게 디스플레이 케이스(600)의 상부에 장착되고, 로우어 가이드(324)가 디스플레이(202)의 전방 하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게 디스플레이 케이스(600)의 하부에 장착된다.
어퍼 가이드(322)는 디스플레이 도어(300)의 상단 또는 디스플레이 도어(300)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상단 돌기(302)가 안내되는 어퍼 가이드 레일(323)이 하면에 형성된다.
로우어 가이드(324)는 디스플레이 도어(300)의 하단 또는 디스플레이 도어(300)의 하단에 돌출 형성된 하단 돌기(304)가 안내되는 로우어 가이드 레일(325)이 상면에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도어(300)는 상단 돌기(302)와 하단 돌기(304)가 형성될 경우 어퍼 가이드(322)와 로우어 가이드(324)와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어 마찰이 최소화되고, 디스플레이 도어(300)의 상단 및 하단이 어퍼 가이드(322)와 로우어 가이 드(324)에 직접 접촉할 경우 보다 부드럽게 슬라이딩 이동된다.
디스플레이 도어(300)는 상단에 상단 돌기(302)의 복수개가 좌우 이격되게 형성되고, 하단에 하단 돌기(304)의 복수개가 좌우 이격되게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도어(300)는 디스플레이 도어 무빙기구(330)에 의해 무빙 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 등에 의해 수동으로 무빙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디스플레이 도어 무빙기구(330)에 의해 무빙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도어 무빙기구(330)는 구동원과,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340)와, 디스플레이 도어(300)에 구비되고 구동기어(340)에 치합된 종동기어(350)를 포함한다.
구동원은 디스플레이 케이스(600)에 설치된 모터(332)로 이루어진다. 모터(332)는 회전축(333)이 전방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되게 설치된다.
모터(332)는 디스플레이 케이스(600)에 형성된 모터 체결보스(601A)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601B)로 체결된다.
구동기어(340)는 모터(332)의 회전축(333)에 축설된 피니언으로 이루어진다.
종동기어(350)는 디스플레이 도어(300)가 디스플레이(202)의 전방과 디스플레이(202)의 전방 옆으로 좌우 슬라이딩 무빙되도록 디스플레이 도어(300)에 좌우로 길게 배치된 랙으로 이루어진다.
종동기어(350)는 디스플레이 도어(300)의 배면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도어 무빙기구(330)는 디스플레이 도어(3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360)과, 디스플레이 도어(300)를 무빙시키도록 구동원인 모터(332)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도어 제어부(370)를 더 포함한다.
위치감지수단(360)은 디스플레이 케이스(600)에 설치되고 발광부(361)와 수광부(362)가 피시비(363)에 설치된 포토 센서인 센서부(364)와, 센서부(364)의 발광부(361)와 수광부(362) 사이를 막도록 디스플레이 도어(300)에 형성된 차폐부(365)(366)를 포함한다.
차폐부(365)(366)는 디스플레이 도어(300)가 디스플레이(202)를 차폐하는 위치(P1)에 위치될 때 발광부(361)와 수광부(362) 사이를 막는 차폐 위치감지용 차폐 리브(365)와, 디스플레이 도어(300)가 디스플레이(202)를 노출하는 위치(P2)에 위치될 때 발광부(361)와 수광부(362) 사이를 막는 노출 위치감지용 차폐 리브(366)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도어 제어부(370)는 위치감지수단(360) 특히 센서부(364)의 감지 결과에 따라 구동원인 모터(332)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센서부(364)와 케이블(371)로 연결되고, 구동원인 모터(332)와 케이블(372)로 연결된다.
디스플레이 도어 제어부(370)는 디스플레이 케이스(600)에 설치된 피시비(374)와, 피시비(374)에 설치되고 모터(332)를 제어하는 각종 전장부품(376)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도어 무빙기구(330)는 디스플레이 도어(300)가 프론트 커버(160)의 프론트 개구부(164) 전체를 막도록 디스플레이 도어(300)를 무빙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프론트 개구부(164) 중 수신부(400)와 운전조작부(500) 전방을 막지 않도 록 디스플레이 도어(300)를 무빙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디스플레이 도어(300)가 수신부(400)와 운전조작부(500) 전방을 막지 않는 위치까지만 디스플레이 도어(300)를 무빙시키는 것으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도어 무빙기구(330)는 디스플레이 도어(300)가 프론트 커버(160)의 프론트 개구부(164) 옆에 가려지도록 디스플레이 도어(300)를 무빙시킨다.
수신부(400)는 리모컨 등의 원격조작기구의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200)의 옆에 위치되게 설치된 피시비(402)에 설치된다.
운전조작부(500)는 사용자 등이 공기조화기를 조작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202)의 옆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운전조작부(500)는 공기조화기를 온/오프시키는 전원 입력부로 구성되고, 텟 스위치(502)와, 텟 스위치(502)를 스위칭시키는 버튼(504)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도어 제어부(370)는 피시비(373)의 일부가 디스플레이(200)의 하부 옆에 위치되게 돌출되는 돌출부(375)를 갖고, 텟 스위치(502)는 돌출부(375)에 설치된다.
버튼(504)은 스크린 커버(240)에 형성된 운전 조작부 관통홀(246)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케이스(600)는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202)와, 디스플레이 도어 가이드(320)와, 디스플레이 도어 무빙기구(330)의 구동원과, 위치감지수단(360)과, 디스플레이 도어 제어부(370) 등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인 형상이 전면이 개 방된 박스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케이스(600)는 어퍼 가이드(322)가 하면에 설치되는 상부 설치판부(602)와, 로우어 가이드(324)가 상면에 설치되는 하부 설치판부(604)가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케이스(600)는 상부 설치판부(602)와 하부 설치판부(604) 사이에는 전방으로 단턱지게 절곡 형성된 디스플레이 설치부(606)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설치부(606)는 좌우 중 일측에 배면이 개방되고 엘시디 보드(230)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되어 수용되는 엘시디 보드 수용부(608)가 마련되고, 좌우 중 타측에 전면이 개방되고 엘시디 패널(210)이 터치 스크린(220)과 함께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되어 수용되는 엘시디 패널 수용부(610)가 마련된다.
엘시디 보드 수용부(608)와 엘시디 패널 수용부(610)는 디스플레이 케이스(600)에 좌우 구획 형성되고, 엘시디 패널(210) 및 터치 스크린(220)은 엘시디 보드(230)와 격벽(211)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게 설치된다.
엘시디 보드 수용부(608)는 전판부의 배면에 엘시디 보드(230)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609A)로 체결되는 보드 체결부인 체결 보스(609B)가 형성되고, 엘시디 보드(230)는 체결부재(609A)가 엘시디 보드(230)에 형성된 체결공(231)을 관통하여 체결 보스(609B)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엘시디 보드 수용부(608)에 체결된다.
엘시디 패널 수용부(610)는 후판부에 엘시디 패널(210)의 방열과 엘시디 패널(210)과 엘시디 보드(230)를 연결하는 케이블이나 연성 인쇄회로(232: FPC : Flexible Printde Circuit) 등이 통과하기 위한 개구부(612)가 형성되고, 개구 부(612) 주변이 엘시디 패널(210)의 가장자리가 후방으로 걸리는 걸림부(614)가 된다.
디스플레이 케이스(600)는 디스플레이 설치부(606)의 엘시디 패널 수용부(610)가 프론트 커버(160)의 프론트 개구부(164) 후방에 위치되고, 디스플레이 설치부(606)의 엘시디 보드 수용부(608)가 프론트 커버(160)에 의해 가려지게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피시비 어셈블리(200)는 디스플레이 케이스(600)의 배면에 결합되는 백 커버(620)를 더 포함한다.
백 커버(620)는 엘시디 보드 수용부(608)의 배면과 엘시디 패널 수용부(610)의 개구부(612)를 덮어, 엘시디 보드(230)과 엘시디 패널(210)을 보호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케이스(60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나 후크 등의 걸이수단으로 결합된다.
백 커버(620)는 프론트 패널(150)의 후면부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프론트 패널(150)을 좌,우 중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본체(2)의 전면을 개방시켰을 때 외부로 노출된다.
백 커버(620)에는 제어기판(230)에 설치된 스피커(미도시)의 소리가 외부로 백 커버(620)를 통과하도록 복수개의 통공(62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 등이 리모컨 등의 원격 조작기구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운전 명 령을 입력하거나 리모컨 등의 원격 조작기구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노출 명령을 입력하거나 프론트 커버(160)의 프론트 개구부(164)로 손을 집어 넣어 운전 조작부(500)의 버튼(504)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도어 제어부(370)는 구동원인 모터(340)를 구동시킨다.
모터(332)는 회전축(333) 도 7 내지 도 9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구동기어(340)인 피니언은 회전축(333)과 함께 회전되며, 종동기어(350)인 랙은 도 7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디스플레이 도어(300)는 도 7 내지 도 9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도어(300)의 이동시 디스플레이 도어(300)는 상부가 어퍼 가이드(322)의 안내를 받고, 하부가 로우어 가이드(324)의 안내를 받으면서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디스플레이(20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커버(300)의 프론트 개구부(164)를 통해 보이게 된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202)가 보이도록 디스플레이 도어(300)가 무빙될 때 디스플레이 도어(300)에 형성된 노출 위치감지용 리브(366)는 센서부(360)의 발광부(361)와 수광부(362) 사이로 진입되어 그 사이를 막고, 발광부(361)의 광은 노출 위치감지용 리브(366)에 막혀 수광부(362)에 수신되지 못하고, 디스플레이 도어 제어부(370)는 센서부(360) 특히 수광부(362)의 신호 변화에 따라 디스플레이 도어(300)가 디스플레이(202)를 노출하는 위치(P2)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하고, 구동원인 모터(340)를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도어(300)의 무빙시, 디스플레이 도어(300)는 프론트 커버(160)의 프론트 개구부(164)의 옆에 가려지고, 엘시디 보드(230)는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도어(300)가 노출 위치로 이동됨과 동시에 혹은 노출 위치로 이동된 이후에 엘시디 패널(210)을 온시키고 엘시디 패널(210)이 아바타나 숫자 등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엘시디 패널(210)을 제어한다.
사용자 등은 프론트 커버(160)의 프론트 개구부(164)를 통해 디스플레이(202)를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202)의 터치 스크린(220)를 터치하여 공기조화기의 각종 운전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즉, 터치 스크린(220)을 통해 송풍 모드의 변경이나 운전 모드의 변경 등이 입력되면, 공기조화기는 입력된 명령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운전한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도어(3OO)가 디스플레이(202)를 노출하는 위치로 무빙된 상태에서, 사용자 등이 리모컨 등의 원격 조작기구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정지 명령을 입력하거나 리모컨 등의 원격 조작기구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차폐 명령을 입력하거나 프론트 커버(160)의 프론트 개구부(164)로 손을 집어넣어 운전 조작부(500)의 버튼(504)을 다시 누르면, 디스플레이 도어 제어부(370)는 구동원인 모터(340)를 디스플레이 노출시와 역구동시킨다.
모터(332)는 회전축(333) 도 7 내지 도 9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구동기어(340)인 피니언은 회전축(333)과 함께 역회전되며, 종동기어(350)인 랙은 도 7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디스플레이 도어(300)는 도 7 내지 도 9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도어(300)의 이동시 디스플레이 도어(300)는 상부가 어퍼 가이드(322)의 안내를 받고, 하부가 로우어 가이드(324)의 안내를 받으면서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디스플레이(20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커버(300)의 프론트 개구부(164)를 통해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202)가 가려지도록 디스플레이 도어(300)가 무빙될 때 디스플레이 도어(300)에 형성된 차폐 위치감지용 리브(365)는 센서부(360)의 발광부(361)와 수광부(362) 사이로 진입되어 그 사이를 막고, 발광부(361)의 광은 차폐 위치감지용 리브(365)에 막혀 수광부(362)에 수신되지 못하고, 디스플레이 도어 제어부(370)는 센서부(360) 특히 수광부(362)의 신호 변화에 따라 디스플레이 도어(300)가 디스플레이(202)를 차폐하는 위치(P1)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하고, 구동원인 모터(340)를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도어(300)의 무빙시, 디스플레이 도어(300)는 프론트 커버(160)의 프론트 개구부(164)와 디스플레이(202)의 사이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202)를 차폐하고, 엘시디 보드(230)는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도어(300)가 차폐 위치로 이동됨과 동시에 혹은 노출 위치로 이동된 이후에 엘시디 패널(210)을 오프한다.
디스플레이 도어(300)가 디스플레이(202)의 전방을 차폐하므로, 사용자 등은 프론트 커버(160)의 프론트 개구부(164)를 통해 디스플레이(202)를 보거나 터치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도어(300)의 차폐 무빙시, 디스플레이 도어(300)는 프론트 커버(160)의 프론트 개구부(164) 후방 전체를 차폐하지 않고, 수신부(400)와 운전조작부(500)의 전방을 차폐하지 않는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2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2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도어가 동작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디스플레이 도어(300′)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달리, 수평축(33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동작되어 디스플레이(202)를 차폐/노출시킨다. 디스플레이 도어(300′)에는 수평축(333′)이 연결되는 축연결부(350′)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도어 무빙기구(330′)는 수평축(333′)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디스플레이 케이스(600)에 설치된 모터(33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도어(300′)의 무빙 방식과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도어(300′)의 구성 및 디스플레이 도어 무빙기구(330′)의 구성 이외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모터(332′)의 수평축(333′)이 도 13 및 도 14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동되면, 디스플레이 도어(330′)는 수평축(333′)과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디스플레이 도어(330′)는 프론트 커버(160)에 가려지는 위치 즉, 프론트 커버(160)의 프론트 개구부(164) 후방 상,하,좌,우측 중 일측에서 90°회전되어 디스 프레이(202)의 전방에 위치되고 디스플레이(202)는 디스프레이 도어(300)에 의해 차폐된다.
반면에, 모터(332′)의 수평축(333′)이 도 13 및 도 14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동되면, 디스플레이 도어(330′)는 수평축(333′)과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디스플레이 도어(330′)는 디스프레이(202)의 전방 위치에서 프로트 커버(160)에 가려지는 위치 즉, 프론트 커버(160)의 프론트 개구부(164) 후방 상,하,좌,우측 중 일측으로 90°역회전되어 디스플레이(202)의 전방 이외로 위치되고, 디스플레이(202)는 프론트 커버(160)의 프론트 개구부(164)를 통해 보이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3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3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도어가 동작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디스플레이 도어(300″)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달리, 수직축(333″)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되어 디스플레이(202)를 차폐/노출시킨다. 디스플레이 도어(300″)에는 상부에 상부 수직축(350A″)이 구비되고, 하부에 하부 수직축(350B″)이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도어 무빙기구(330″)는 상부 수직축(350A″)와 하부 수직축(350B″)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회전축(333″)이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디스플레이 케이스(600)에 설치된 모터(33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케이스(600)에는 상부 수직축(350A″)와 하부 수직축(350B″) 중 다른 하나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603)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도어(300″)의 무빙 방식과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도어(300″)의 구성 및 디스플레이 도어 무빙기구(330″)의 구성 이외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모터(332″)가 구동되어 회전축(333″)이 회전되면, 디스플레이 도어(330″)는 회전축(333″)과 함께 회전되고, 디스플레이 도어(330″)는 프론트 커버(160)의 프론트 개구부(164)를 관통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프론트 커버(160)의 프론트 개구부(164)의 후방으로 삽입되게 회전되고, 디스프레이(202)의 전방에 디스플레이(202)의 전면과 나란하게 위치된다. 즉, 디스플레이(202)는 디스프레이 도어(300)에 의해 차폐된다.
반면에, 모터(332″)가 구동되어 회전축(333″)이 역회전되면, 디스플레이 도어(330″)는 회전축(333″)과 함께 회전되고, 디스플레이 도어(330″)는 디스플레이(202)의 전방 위치에 디스플레이(202)의 전면과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프론트 커버(160)의 프론트 개구부(164)를 관통하여 일부가 프론트 커버(160)의 프론트 개구부(164)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회전되며, 디스플레이(202)의 전면과 직교하거나 경사지게 위치된다. 즉, 디스플레이(202)는 디스프레이 도어(300)에 의해 차폐되지 않고, 디스플레이(202)는 프론트 커버(160)의 프론트 개구부(164)를 통해 보이게 된다.
도 16에 도시된 참조부호 605A는 모터(332″)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605B)로 체결되는 모터 체결보스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4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도어가 디스플레이를 차폐하였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4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도어가 디스플레이를 노출하였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4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도어가 디스플레이를 차폐하였을 때의 평단면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4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도어가 디스플레이를 노출하였을 때의 평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디스플레이 도어(300)가 프론트 커버(160)의 프론트 개구부(164) 전체와 디스플레이(202) 사이를 차폐하도록 구성되어, 디스플레이 도어(300)가 프론트 커버(160)의 프론트 개구부(164)를 개폐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같이, 수신부(400)를 포함할 경우, 리모컨 등의 원격조작기구에서 송신된 신호가 디스플레이 도어(300)를 관통하여 수신부(400)로 입력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도어(300)가 프론트 커버(160)의 프론트 개구부(164)를 밀폐하는 위치일 때 디스플레이 도어(300) 중 수신부(400)의 앞부분에 투명부(500A)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같이, 운전 조작부(500)를 포함할 경우, 사용자 등의 손이 디스플레이 도어(300)를 관통하여 운전 조작부(5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도어(300)가 프론트 커버(160)의 프론트 개구부(164)를 밀폐하는 위치일 때 디스플레이 도어(300) 중 운전 조작부(500)의 앞부분에 개구부(500B)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가 캐비닛(20)과 토출구 유닛(80)과 베인(90)(100) 등과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