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7627A -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 및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센서노드 원격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 및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센서노드 원격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7627A
KR20070057627A KR1020060054155A KR20060054155A KR20070057627A KR 20070057627 A KR20070057627 A KR 20070057627A KR 1020060054155 A KR1020060054155 A KR 1020060054155A KR 20060054155 A KR20060054155 A KR 20060054155A KR 20070057627 A KR20070057627 A KR 20070057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node
accident
node
sensor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8333B1 (ko
Inventor
류재홍
김규형
도윤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70057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 G08C2201/42Transmitting or receiving remote control signals via a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센서노드 원격 제어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에서의 센서 노드와 연결된 임의의 사고감지 대상 장치(예를 들면, 변압기)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관리자가 현장에 출동하지 않고도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센서 노드를 원격 제어함으로써 신속/용이하게 사고에 대처할 수 있게 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센서노드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에서의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에 있어서, 사고감지 대상 장치 및 그 환경에 대한 물리량을 측정하여 사고발생 감지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센싱 수단; 센싱 제어 정보, 라우팅 정보 및 통신프로토콜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상기 저장된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사고발생 감지정보를 전달할 이웃한 센서노드나 싱크노드(이웃 노드)의 위치를 탐색하기 위한 경로 탐색 수단; 상기 센싱 수단에서 출력되거나 다른 센서 노드로부터 전달된 사고발생 감지정보를 무선신호로서 상기 이웃 노드로 전송하거나, 관리자의 이 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고대처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 수단; 및 상기 사고발생 감지정보를 상기 이웃노드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송/수신 수단을 제어하거나, 상기 무선 송/수신 수단을 통하여 수신된 사고대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사고감지 대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에서의 센서노드 제어 등에 이용됨.
유비쿼터스,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USN, 센서 노드, 사고발생 감지정보, 원격제어

Description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센서노드 원격 제어 방법{Sensor Node for Remote Control in Ubiquitous Sensor Networks,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Sensor Node using Mobile Terminal}
도 1 은 종래의 안전사고 해결 방법에 대한 설명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의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센서노드 원격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30: 배터리 31: 센서부
32: 마이컴(마이크로 프로세서) 33: 메모리
34: 경로 탐색부 35: 무선 송/수신부
36: 유선통신포트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에서의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센서노드 원격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센서 노드와 연결된 임의의 사고감지 대상 장치(예를 들면, 변압기)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관리자가 현장에 출동하지 않고도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센서 노드를 원격 제어함으로써 신속/용이하게 사고에 대처할 수 있게 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센서노드 원격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안전사고 해결 방법에 대한 설명도이다.
일반적으로 연구소 또는 공사 현장 등 안전 위험이 있는 장소에는 안전요소들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장치들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즉각적으로 관리자에게 알리어 신속한 사고처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안전사고 해결 방법을 도 1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약 현장의 변압기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변압기에 설치된 센서(11)가 사고발생(문제 발생 사실)을 감지하여(101) 그 감지 결과를 관리서버(12)로 전달한다(102).
그러면, 관리서버(12)는 이동통신사의 이동통신시스템(13)을 통하여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4)로 사고발생 감지 사실을 전달하게 되며(103, 104), 이렇게 사고발생 감지 사실을 전달받은 이동통신 단말기(14)는 미리 설정된 경보신호(예를 들면, 벨소리, 진동 또는 빛 등)로 관리자에게 알림으로써, 관리자가 현장으로 출동하여 문제를 해결(사고 처리)하게 된다(105, 106).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전사고 해결 방법에 따르면, 현장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 관리자는 사고 발생 즉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발생 사실을 전달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관리자가 현장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관리자가 현장에 도착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신속한 사고처리를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방법에서는, 시설이나 장비에 사고(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관리자는 사고 현장에 출동하여 직접 눈으로 확인을 하든지, 아니면 현장에 있어서 그 현장에서의 알람을 통해서만 사고 발생 사실을 인지하게 되는데, 이는 관리자가 현장에 없을 경우에는 조치를 취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원격지에서도 사고를 감지하고 그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는 제어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에서의 센서 노드와 연결된 임의의 사고감지 대상 장치(예를 들면, 변압기)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관리자가 현장에 출동하지 않고도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센서 노드를 원격 제어함으로써 신속/용이하게 사고에 대처할 수 있게 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센서노드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에서의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에 있어서, 사고감지 대상 장치 및 그 환경에 대한 물리량을 측정하여 사고발생 감지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센싱 수단; 센싱 제어 정보, 라우팅 정보 및 통신프로토콜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상기 저장된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사고발생 감지정보를 전달할 이웃한 센서노드나 싱크노드(이웃 노드)의 위치를 탐색하기 위한 경로 탐색 수단; 상기 센싱 수단에서 출력되거나 다른 센서 노드로부터 전달된 사고발생 감지정보를 무선신호로서 상기 이웃 노드로 전송하거나,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고대처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 수단; 및 상기 사고발생 감지정보를 상기 이웃노드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송/수신 수단을 제어하거나, 상기 무선 송/수신 수단을 통하여 수 신된 사고대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사고감지 대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상의 센서노드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센서 노드가 해당 사고감지 대상 장치 및 그 환경에 대한 물리량을 측정하여 사고발생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감지 단계; 상기 센서노드가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고발생 감지정보를 전달할 이웃한 센서노드나 싱크노드(이하, '이웃 노드'라 함)의 위치를 탐색하는 경로 탐색 단계; 상기 센서노드가 상기 사고발생 감지정보를 상기 경로 탐색 단계에서 탐색된 이웃 노드를 통하여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제 1 감지정보 전달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전달된 사고발생 감지정보를 관리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달하는 제 2 감지정보 전달 단계; 상기 관리자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사고대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센서 노드로 전달하는 제어신호 전달 단계; 및 상기 센서 노드가 상기 전달받은 사고대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사고감지 대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 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Ubiquitous Sensor Network)란, 사물에 대한 인식정보 또는 주변의 환경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탑재된 센서 노드가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궁극적으로 모든 사물에 컴퓨팅 및 통신 기능을 부여하여 언제(anytime), 어디서나(anywhere), 네트워크, 디바이스, 서비스에 관계없이 통신이 가능한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는 사물에 대한 인식정보 또는 주변의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센서 노드의 집합인 센서 필드(201, 202, 203), 및 센서 필드에서 수집된 정보를 광대역 통신망(230)을 통해 관리 서버(240)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220)로 전달하는 싱크 노드(Sink Node)(211, 212, 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싱크 노드(211, 212, 213)는 위성통신, 무선랜, 블루투스, 이동패킷 통신망, 유선 인터넷 등과 같은 기존의 인프라로 게이트웨이(22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로서의 배터리(30), 센싱 수단으로서의 센서부(31), 제어 수단으로서의 마이 컴(Microprocessor)(32), 저장 수단으로서의 메모리(33), 경로 탐색 수단으로서의 경로 탐색부(34), 무선 송/수신 수단으로서의 무선 송/수신부(35), 및 유선통신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서의 유선 통신 포트(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하에서는 이들 각각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센서부(31)는 사고감지 대상 장치(예를 들면, 변압기)에 대하여 사고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센서를 통하여 기온, 유량, 기압 또는 진동 등과 같은 물리량을 감지하고 그 물리량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메모리(33)는 센싱 제어 정보, 라우팅 정보, 통신프로토콜 관련 데이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경로 탐색부(34)는 메모리(33)에 저장되어 있는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상의 센서 노드들 및 싱크 노드들 중에서 사고발생 감지정보를 전달할 이웃한 센서노드나 싱크노드(이하, 이웃 노드(Neighbor Node)라 한다)의 위치를 탐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송/수신부(35)는 센서부(31)에서 출력되거나 또는 다른 센서 노드로부터 전달된 사고발생 감지정보를 무선신호(RF 신호) 변조하여 해당 이웃 노드로 전송하거나,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고대처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마이컴(32)은 메모리(33)에 저장되어 있는 센싱 제어 정보, 라우팅 정보, 통신프로토콜 관련 데이터,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센서부(31), 경로 탐색부(34), 무선 송/수신부(35), 메모리(33) 등 센서노드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사고발생 감 지정보를 이웃노드로 전송하도록 무선 송/수신부(35)를 제어하거나, 무선 송/수신부(35)를 통하여 수신된 사고대처 제어신호(원격지에 있는 관리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전송한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사고감지 대상 장치(예: 변압기)를 제어함으로써 사고(문제)를 해결한다.
상기와 같은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의 각 구성요소는 일반적으로 일회용 건전지로 이루어진 배터리(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센서 노드의 특정 위치에는 시리얼 포트 등에 해당하는 유선 통신 포트(36)가 노출되게 배치되어 사고감지 대상 장치와 유선 통신을 할 수 있게 한다. 보통 센서노드는 사고감지 대상 장치에 근접해 있기 때문에 이들 간에는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요컨대, 센서 노드는 유선 통신 포트(36)를 통하여 사고감지 대상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 이웃한 센서 노드나 싱크 노드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신호 또는 센서부(31)에서 감지된 신호를 무선 송/수신부(35)를 통하여 이웃한 다른 센서 노드 또는 싱크 노드로 전달한다. 또는 센서노드는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고대처 제어신호를 유선 통신 포트(36)를 통하여 사고감지 대상 장치로 전달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센서노드 원격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현장의 변압기(사고감지 대상 장치)에 사고(문제)가 발생한 경우, 변압기에 설치된 센서 노드(41)는 사고발생 사실(문제 발생 사실)을 감지하여(401) 사고발생 감지 사실을 관리서버(42)로 전달한다(402).
그러면, 관리서버(42)는 이동통신시스템(43)을 통하여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4)로 사고발생 감지 사실을 전달하며, 이렇게 사고발생 감지 사실을 전달받은 이동통신 단말기(44)는 미리 설정된 경보신호(예를 들면, 벨소리, 진동 또는 빛 등)로 관리자에게 알린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사고발생 감지 사실을 전달받은 관리자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44)를 이용하여 즉각 사고(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어신호(사고대처 제어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405) 관리자가 현장으로 출동하지 않고도 사고(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4)는 메뉴 등을 통하여 기설정된 다양한 대처방법을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며, 그에 따라 관리자가 적절한 대처 방안을 선택하면, 그에 해당하는 사고대처 제어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제어신호(사고대처 제어신호)는 WIPI (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또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플랫폼을 이용하여 관리서버(42)까지 전달되며(405, 406), 이후 관리서버(42)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해당 센서 노드(41)로 전달한다. 이렇게 제어신호를 전달받은 해당 센서 노드(41)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유선 통신 포트(36)를 통하여 사고감지 대상 장치(변압기)를 제어함으로써, 사고(문제)가 발생된 사고감지 대상 장치(변압기 등)의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변압기에 문제가 감지된 경우, 해당 센서 노드의 제어에 따라 해당 변압기로의 전력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 가스 밸브의 경우에는 해당 센서 노드가 문제가 된 가스밸브를 잠그도록(off) 제어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센서 노드와 연결된 임의의 장치(예: 변압기)에 사고(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관리자가 사고가 발생한 장치가 있는 현장까지 가지 않고도,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센서 노드를 원격 제어하여 사고(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함으로써, 관리자가 현장에 출동해야하는 번거로움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하며, 또한 문제발생 사실을 확인하는 즉시 대처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에서의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에 있어서,
    사고감지 대상 장치 및 그 환경에 대한 물리량을 측정하여 사고발생 감지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센싱 수단;
    센싱 제어 정보, 라우팅 정보 및 통신프로토콜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상기 저장된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사고발생 감지정보를 전달할 이웃한 센서노드나 싱크노드(이웃 노드)의 위치를 탐색하기 위한 경로 탐색 수단;
    상기 센싱 수단에서 출력되거나 다른 센서 노드로부터 전달된 사고발생 감지정보를 무선신호로서 상기 이웃 노드로 전송하거나,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고대처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 수단; 및
    상기 사고발생 감지정보를 상기 이웃노드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송/수신 수단을 제어하거나, 상기 무선 송/수신 수단을 통하여 수신된 사고대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사고감지 대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서의 사고감지 대상 장치 제어는,
    유선 통신을 통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의 각 수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
  4.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상의 센서노드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센서 노드가 해당 사고감지 대상 장치 및 그 환경에 대한 물리량을 측정하여 사고발생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감지 단계;
    상기 센서노드가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고발생 감지정보를 전달할 이웃한 센서노드나 싱크노드(이하, '이웃 노드'라 함)의 위치를 탐색하는 경로 탐색 단계;
    상기 센서노드가 상기 사고발생 감지정보를 상기 경로 탐색 단계에서 탐색된 이웃 노드를 통하여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제 1 감지정보 전달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전달된 사고발생 감지정보를 관 리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달하는 제 2 감지정보 전달 단계;
    상기 관리자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사고대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센서 노드로 전달하는 제어신호 전달 단계; 및
    상기 센서 노드가 상기 전달받은 사고대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사고감지 대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센서노드 원격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센서 노드가 유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사고감지 대상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센서노드 원격 제어 방법.
KR1020060054155A 2005-12-01 2006-06-16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 및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센서노드 원격 제어 방법 KR1007383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6142 2005-12-01
KR1020050116142 2005-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627A true KR20070057627A (ko) 2007-06-07
KR100738333B1 KR100738333B1 (ko) 2007-07-12

Family

ID=38354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155A KR100738333B1 (ko) 2005-12-01 2006-06-16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 및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센서노드 원격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3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535B1 (ko) 2006-10-30 2007-09-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웍 시스템 및 그시스템에서의 센서 정보 전송 방법
KR101064706B1 (ko) * 2008-11-13 2011-09-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1706A (ko) * 2015-04-10 2016-10-20 (주)다울 시설물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23331A (ko) * 2016-08-25 2018-03-07 한국전력공사 수전설비 상시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909B1 (ko) 2010-08-06 2011-01-25 (주)파이브텍 연속 직교하는 코드셋을 이용한 간섭제거형 원방·원격 감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01678B1 (ko) 2012-03-21 2012-11-1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소스 노드의 경로 탐색 방법
KR101752488B1 (ko) * 2016-06-24 2017-07-11 주식회사 삼진엘앤디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온톨로지 기반의 상황인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0172A (ko) * 2005-11-10 2007-05-1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차량용 교통정보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1063036B1 (ko) * 2005-11-29 2011-09-07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유비쿼터스환경하의 센서 네트워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535B1 (ko) 2006-10-30 2007-09-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웍 시스템 및 그시스템에서의 센서 정보 전송 방법
KR101064706B1 (ko) * 2008-11-13 2011-09-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1706A (ko) * 2015-04-10 2016-10-20 (주)다울 시설물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23331A (ko) * 2016-08-25 2018-03-07 한국전력공사 수전설비 상시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8333B1 (ko) 200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8333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 및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센서노드 원격 제어 방법
AU2006215969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bterranean wireless data transmission between at least one mobile station and a fixed network by means of a radio network
EP2341359B1 (en) Location tracking system
EP2087713B1 (en) Mobil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10041081A (ko) 위치확인 비콘 시스템
CN103404214A (zh) 移动蜂窝电信网络中移动终端的室内定位
JP2005094530A (ja) データ転送経路構築方法、無線通信ネットーワークシステム及び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150070189A (ko) 사물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의 실현 방법, 장치 및 단말
KR101713297B1 (ko) 보안등 네트워크 시스템, 이를 이용하는 이동 경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20120027435A (ko) 위치 정보의 확정 방법, 설비 및 시스템
KR20180089915A (ko) 공사중 건물에서의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
US20100265062A1 (en)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200025666A (ko) 로라 네트워크 멀티 채널 구현방법
KR20030054212A (ko) 지하 공동구의 원격 감시 시스템
CN104410432A (zh) 微型数字信标器及快速查寻移动目标的监控系统和方法
KR101927866B1 (ko)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2082711B1 (ko)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
CN106993007A (zh) 基于多智能传感网络的安全生产监控系统
JP2008306676A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近距離内通信相手探索方法
KR20070051241A (ko)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선박감시 방법 및 시스템, 이를위한 기록매체
KR102636006B1 (ko) 항로표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5036642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端末の位置検出方法
WO2005027423A1 (ja)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端末収容装置並びに無線通信端末
KR100881019B1 (ko) 백본망과 연동하는 센서 네트워크
KR100972514B1 (ko) 고정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호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