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706B1 -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706B1
KR101064706B1 KR1020080112952A KR20080112952A KR101064706B1 KR 101064706 B1 KR101064706 B1 KR 101064706B1 KR 1020080112952 A KR1020080112952 A KR 1020080112952A KR 20080112952 A KR20080112952 A KR 20080112952A KR 101064706 B1 KR101064706 B1 KR 101064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sensor
information
sensor node
n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4028A (ko
Inventor
이신경
오경희
정교일
최두호
조현숙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12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706B1/ko
Publication of KR20100054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logs of notifications; Post-processing of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42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comprising distributed management centres cooperatively managing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관리 단말은 서버로부터 수신된 점검 요청 메시지를 바탕으로 복수 개의 센서 노드 중 점검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1 센서 노드로 노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1 센서 노드로부터 제1 센서 노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노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1 센서 노드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점검 결과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점검 결과 정보를 제어 서버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센서 네트워크에 포함된 복수 개의 센서 노드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다.
센서 네트워크, USN, 노드, 관리

Description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ENSOR NETWORK}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에 포함된 센서 노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관리하기 위한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5-S-088-04, 과제명: 안전한 RFID/USN을 위한 정보보호 기술 개발].
기존의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어떤 특정한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에 관리자에게 그 상황을 알려주는 시스템으로써, 센서 네트워크에서 불필요한 트래픽을 줄여주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계층적 네트워크에서만 동작하기 때문에 다른 센서 네트워크에 적용하려면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수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경적인 요소나 지형적인 요소에 따라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정보 전달에 이상이 있는 센서는 관리 범위에서 벗어난 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센서 네트워크에 포함된 복수 개의 센서 노드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관리 방법은 시스템이 복수 개의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써, 시스템은 서버 및 단말을 포함하고, 방법은 서버로부터 수신된 점검 요청 메시지를 바탕으로 복수 개의 센서 노드 중 점검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1 센서 노드로 노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제1 센서 노드로부터 제1 센서 노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노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노드 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제1 센서 노드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점검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점검 결과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제1 센서 노드에 대한 정보는 제1 센서 노드의 주소, 제1 센서 노드의 부모 노드의 주소, 제1 센서 노드의 센싱 정보, 제1 센서 노드의 이웃 노드 개수, 제1 센서 노드의 이웃 노드 상태 정보, 또는 제1 센서 노드와 이웃 노드간의 전송 프레임 개수를 포함한다.
또한 점검 요청 메시지는 제1 센서 노드의 노드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고, 방법은 노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점검 요청 메시지에 따라 복 수 개의 센서 노드 중 미리 정해진 범위에 속하는 일부의 센서 노드로 노드 호출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 일부의 센서 노드로부터 복수 개의 노드 호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복수 개의 노드 호출 응답 메시지를 바탕으로 제1 센서 노드의 노드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노드 호출 응답 메시지를 선택하여 노드 호출 응답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1 센서 노드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 개의 노드 호출 응답 메시지의 각각은 노드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고, 검출하는 단계는 복수 개의 노드 호출 응답 메시지의 각각의 노드 식별자 정보를 바탕으로 제1 센서 노드의 노드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노드 호출 응답 메시지를 선택한다.
또한 점검 결과 정보는 제1 센서 노드의 노드 식별자 정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복수 개의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써, 제어 서버 및 관리 단말을 포함한다. 제어 서버는 복수 개의 센서 노드 중 어느 하나의 센서 노드에서 이상징후가 발견되는 경우에 센서 노드에 대한 점검을 요청하는 점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관리 단말은 점검 요청 메시지에 따라 복수 개의 센서 노드 중 미리 정해진 범위에 속하는 일부의 센서 노드에서 센서 노드를 검출하여 센서 노드에 대한 점검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점검 결과 정보를 제어 서버로 전송한다.
이때 범위는 관리 단말이 복수 개의 센서 노드 중 어느 하나와 일대일 통신이 가능한 범위이다.
또한 점검 결과 정보는 센서 노드의 주소, 센서 노드의 부모 노드의 주소, 센서 노드의 센싱 정보, 센서 노드의 이웃 노드 개수, 센서 노드의 이웃 노드 상태 정보, 또는 센서 노드와 이웃 노드간의 전송 프레임 개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센서 네트워크의 전체를 관리하는 제어 서버 외에 무선통신을 통해 일정 범위 내의 센서 노드를 관리할 수 있는 관리 단말을 이용하여 센서 네트워크에 포함된 복수 개의 센서 노드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고, 센서 네트워크의 유지 또는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은 센서 네트워크(10)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써 제어 서버(110) 및 복수 개의 관리 단말 즉, 제1 관리 단말(131) 및 제2 관리 단말(133)을 포함한다.
이때 센서 네트워크(10)는 응용 서버(11), 게이트웨이(13) 및 복수 개의 센서 노드 즉, 제1 센서 노드(15a), 제2 센서 노드(15b), 제3 센서 노드(15c) 및 제N 센서 노드(15d)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센서 노드(15a, 15b, 15c, 15d)의 각각은 미리 정해진 물리적인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게이트웨이(13)로 전송한다. 이때 복수 개의 센서 노드(15a, 15b, 15c, 15d)와 게이트웨이(13)는 동일한 무선 접속규격을 따른다.
게이트웨이(13)는 복수 개의 센서 노드(15a, 15b, 15c, 15d)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통신 방식에 따라 응용 서버(11)로 전송한다. 이때 게이트웨이(13)는 유/무선 인터넷, 위성통신,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방식에 따라 응용 서버(11)와 통신할 수 있다.
응용 서버(11)는 게이트웨이(13)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수집 또는 가공한다. 이때 응용 서버(11)는 수집된 데이터 또는 가공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제어 서버(110)는 특정 상황 발생시 센서 네트워크(10)의 응용 서버(11), 게이트웨이(13) 또는 복수 개의 센서 노드로부터 해당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센서 네트워크(10)를 관리한다. 이때 제어 서버(110)는 센서 네트워크(10)의 복수 개의 센서 노드 중 어느 하나의 센서 노드 또는 특정한 지역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노드에서 이상징후가 발견되는 경우에 복수 개의 관리 단말로 점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복수 개의 관리 단말에게 이상징후가 발견된 센서 노드에 대한 점검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서버(110)는 센서 네트워크(10)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기 위해 복수 개의 관리 단말로 점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관리 단말 즉, 제1 관리 단말(131) 및 제2 관리 단말(133)의 각각은 제어 서버(110)로부터 점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메시지에 따라 복수 개의 센서 노드 중 특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일부의 센서 노드를 점검한다.
다음은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에 포함된 복수 개의 관리 단말 중 어느 하나의 관리 범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단말의 관리 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리 단말(131) 및 제2 관리 단말(133)의 각각은 미리 정해진 관리 범위를 갖는다.
제1 관리 단말(131)은 제1 관리 단말(131)의 관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센서 노드 즉, 제1 센서 노드(15a), 제2 센서 노드(15b) 및 제3 센서 노드(15c) 중 어느 하나와 일대일로 무선 통신하여 해당 센서 노드를 점검한다.
제2 관리 단말(133)은 제2 관리 단말(133)의 관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센서 노드 즉, 제3 센서 노드(15c) 및 제N 센서 노드(15d) 중 어느 하나와 일대일로 무선 통신하여 해당 센서 노드를 점검한다.
이때 제1 관리 단말(131) 또는 제2 관리 단말(133)은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장소의 이동이 가능하고, 장소의 이동에 따라 관리 범위에 속하는 센서 노드의 수가 변할 수 있다.
다음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단말과 센서 노드간의 메시지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단말과 센서 노드간의 메시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단말과 센서 노드간의 메시지(P100)는 메시지 타입 블록(Type)(P110) 및 데이터 블록(Data)(P130)을 포함한다.
메시지 타입 블록(P110)은 메시지(P100)가 센서 노드와 관리 단말이 주고 받는 메시지임을 알린다.
데이터 블록(P130)은 명령어 블록(Command)(P131) 및 정보 블록(Information)(P133)을 포함한다.
명령어 블록(P131)은 복수 개의 명령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명령 어의 종류에는 노드 호출 명령(Node Call Command), 노드 호출 응답(Node Call Response), 노드 정보 명령(Node Info Command) 및 노드 정보 응답(Node Info Response)이 있을 수 있다.
노드 호출 명령은 관리 단말이 관리 범위 내에 통신 가능한 센서 노드를 호출하기 위한 명령어이다.
노드 호출 응답은 센서 노드가 관리 단말의 노드 호출 명령에 응답하기 위한 명령어이다.
노드 정보 명령은 관리 단말이 어느 하나의 센서 노드에게 센서 노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명령어이다.
노드 정보 응답은 센서 노드가 관리 단말의 노드 정보 명령에 응답하기 위한 명령어이다.
정보 블록(P133)은 명령어 블록(P131)에 포함된 해당 명령어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정보 블록(P133)은 명령어 블록(P131)의 노드 호출 응답에 대응하는 노드 식별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명령어 블록(P131)의 노드 정보 응답에 대응하는 센서 노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노드에 대한 정보는 해당 센서 노드의 주소, 해당 센서 노드의 부모 노드의 주소, 해당 센서 노드의 센싱 정보, 해당 센서 노드의 이웃 노드 개수, 해당 센서 노드의 이웃 노드 상태 정보, 또는 해당 센서 노드와 이웃 노드간의 전송 프레임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은 도 4 또는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이 센서 네트워크(10)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관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의 제어 서버(110)는 복수 개의 관리 단말 즉, 제1 관리 단말(131) 및 제2 관리 단말(133) 중 하나로 제1 센서 노드(15a)의 점검을 요청하는 점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00). 이때 점검 요청 메시지는 제1 센서 노드(15a)의 노드 식별자 정보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예로 제어 서버(110)가 제1 관리 단말(131)로 점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의 제1 관리 단말(131)은 점검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제1 관리 단말(131)의 관리 범위 내에 속하는 제1 센서 노드(15a)를 점검하여 점검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S200).
이하에서는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관리 단말(131)이 제1 관리 단말(131)의 관리 범위에 속하는 제1 센서 노드(15a)를 점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 점검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1 관리 단말(131)은 점검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제1 관리 단말(131)의 관리 범위에 속하는 복수 개의 센서 노드로 노드 호출 메시지를 송출한다(S210). 이때 노드 호출 메시지의 명령어 블록은 노드 호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제1 관리 단말(131)은 제1 관리 단말(131)의 관리 범위에 속하는 복수 개의 센서 노드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노드 호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S220). 이때 복수 개의 노드 호출 응답 메시지의 각각의 명령어 블록은 노드 호출 응답을 포함할 수 있고, 정보 블록은 해당 센서 노드에 대응하는 노드 식별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1 관리 단말(131)은 복수 개의 노드 호출 응답 메시지의 각각의 정보 블록에 포함된 노드 식별자 정보를 바탕으로 점검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1 센서 노드(15a)의 노드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노드 호출 응답 메시지를 선택하여 제1 센서 노드(15a)를 검출한다(S230).
다음, 제1 관리 단말(131)은 제1 센서 노드(15a)로 노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240). 이때 노드 정보 요청 메시지의 명령어 블록은 노드 정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1 관리 단말(131)은 제1 센서 노드(15a)로부터 노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S250). 이때 노드 정보 응답 메시지의 명령어 블록은 노드 정보 응답을 포함할 수 있고, 정보 블록은 제1 센서 노드(15a)의 주소, 제1 센서 노드(15a)의 부모 노드의 주소, 제1 센서 노드(15a)의 센싱 정보, 제1 센서 노드(15a)의 이웃 노드 개수, 제1 센서 노드(15a)의 이웃 노드 상태 정보, 또는 제1 센서 노드(15a)와 이웃 노드간의 전송 프레임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제1 관리 단말(131)은 제1 관리 단말(131)에 대한 점검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S260). 이때 점검 결과 정보는 제1 관리 단말(131)의 노드 식별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점검 결과 정보는 제1 센서 노드(15a)의 주소, 제1 센서 노드(15a)의 부모 노드의 주소, 제1 센서 노드(15a)의 센싱 정보, 제1 센서 노드(15a)의 이웃 노드 개수, 제1 센서 노드(15a)의 이웃 노드 상태 정보, 또는 제1 센서 노드(15a)와 이웃 노드간의 전송 프레임 개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이 센서 네트워크(10)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후,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의 제1 관리 단말(131)은 점검 결과 정보를 제어 서버(110)로 전송한다(S300).
이를 통해 제어 서버(110)는 이상이 있는 센서 노드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센서 노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단말의 관리 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단말과 센서 노드간의 메시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관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 점검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8)

  1. 서버와 단말을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상기 단말이 복수 개의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점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점검 요청 메시지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 개의 센서 노드 중 상기 점검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1 센서 노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 노드로 노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 노드로부터 상기 제1 센서 노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노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노드 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제1 센서 노드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점검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점검 결과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노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센서 노드의 주소, 상기 제1 센서 노드의 부모 노드의 주소, 상기 제1 센서 노드의 센싱 정보, 상기 제1 센서 노드의 이웃 노드 개수, 상기 제1 센서 노드의 이웃 노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제1 센서 노드와 이웃 노드간의 전송 프레임 개수를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센서 노드의 노드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 노드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점검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센서 노드 중 미리 정해진 범위에 속하는 일부의 센서 노드로 노드 호출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일부의 센서 노드로부터 복수 개의 노드 호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노드 호출 응답 메시지를 바탕으로 상기 제1 센서 노드의 노드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노드 호출 응답 메시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한 상기 노드 호출 응답 메시지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센서 노드를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노드 호출 응답 메시지의 각각은 노드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노드 호출 응답 메시지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노드 호출 응답 메시지의 각각의 노드 식별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1 센서 노드의 노드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노드 호출 응답 메시지를 선택하는
    센서 네트워크 관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결과 정보는 상기 제1 센서 노드의 노드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 관리 방법.
  6. 복수 개의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센서 노드 중 어느 하나의 센서 노드에서 이상징후가 발견되는 경우에 상기 센서 노드에 대한 점검을 요청하는 점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어 서버; 및
    상기 점검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센서 노드 중 미리 정해진 범위에 속하는 일부의 센서 노드에서 상기 센서 노드를 검출하고, 검출한 상기 센서 노드로 노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 상기 센서 노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노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센서 노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 노드에 대한 점검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점검 결과 정보를 상기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관리 단말을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범위는 상기 관리 단말이 상기 복수 개의 센서 노드 중 어느 하나와 일대일 통신이 가능한 범위인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결과 정보는 상기 센서 노드의 주소, 상기 센서 노드의 부모 노드의 주소, 상기 센서 노드의 센싱 정보, 상기 센서 노드의 이웃 노드 개수, 상기 센서 노드의 이웃 노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센서 노드와 이웃 노드간의 전송 프레임 개수를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KR1020080112952A 2008-11-13 2008-11-13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64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952A KR101064706B1 (ko) 2008-11-13 2008-11-13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952A KR101064706B1 (ko) 2008-11-13 2008-11-13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028A KR20100054028A (ko) 2010-05-24
KR101064706B1 true KR101064706B1 (ko) 2011-09-14

Family

ID=42278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952A KR101064706B1 (ko) 2008-11-13 2008-11-13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7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23520B2 (en) * 2011-06-16 2014-09-02 The Boeing Company Reconfigurable network enabled plug and play multifunctional processing and sensing node
KR101280034B1 (ko) * 2011-08-26 2013-07-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기반형 양방향 질의응답 및 실시간 수강자 반응 취합 통보 시스템
KR102088979B1 (ko) * 2017-11-22 2020-03-16 (주)솔빛시스템 전술 센서망 운용 효율성 향상 방법 및 장치
KR102347606B1 (ko) * 2020-09-03 2022-01-0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센싱 공백을 방지하기 위한 센서 재배치 동작을 수행하는 호핑 센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535A (ko) * 2005-04-27 2006-11-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57627A (ko) * 2005-12-01 2007-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 및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센서노드 원격 제어 방법
KR20070106338A (ko) * 2006-04-29 2007-11-01 손병락 무선인증과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주차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080068298A (ko) * 2007-01-18 2008-07-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센서 네트워크 운용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535A (ko) * 2005-04-27 2006-11-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57627A (ko) * 2005-12-01 2007-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 및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센서노드 원격 제어 방법
KR20070106338A (ko) * 2006-04-29 2007-11-01 손병락 무선인증과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주차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080068298A (ko) * 2007-01-18 2008-07-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센서 네트워크 운용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028A (ko) 2010-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17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general software to control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
ES2288745T3 (es) Red de automatizacion con componentes de red que generan mensajes de estado.
US8306782B2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diagnosing remote devices
KR20170020311A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
JP2008508760A5 (ko)
CN109634260B (zh) 车辆控制器在线监控方法
KR101064706B1 (ko)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9176473A (ja) 不正検知方法、不正検知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38548A (ko) 중계 통신 시스템 및 액세스 관리 장치
Elsayed et al. Autonomic self-healing approach to eliminate hardware fault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JP2010098591A (ja) 障害監視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ノード装置
US20180324063A1 (en) Cloud-based system for device monitoring and control
JP2015517140A (ja) 分散リアルタイムシステムにおけるソフトウェア故障封じ込めユニット(SWFCUs)を形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6395858B2 (ja) 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発見方法、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およ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発見システム
US11153769B2 (en) Network fault discovery
KR102369991B1 (ko) IoT 멀티네트워크의 보안을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US11595409B2 (en) Method for monitoring an industrial network
KR101556781B1 (ko) 네트웍 장비 예측 장애 및 수명 정보 서비스 시스템
KR101549548B1 (ko) 다중 모바일 센서 허브 기반 센싱 정보 공유 시스템
JP2018196035A (ja) ノードおよびフレーム送信制御方法
KR20110015906A (ko) 원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916806B2 (en) Monitoring a communication system that is used for control and/or surveillance of an industrial process
JPH0787088A (ja) ネットワーク監視形態決定装置
KR20170122403A (ko) 데이터 분산 서비스 기반의 노드 고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JP2010147595A (ja) ネットワーク管理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